KR101338396B1 - 전선용 단자결착기 - Google Patents

전선용 단자결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8396B1
KR101338396B1 KR1020130071446A KR20130071446A KR101338396B1 KR 101338396 B1 KR101338396 B1 KR 101338396B1 KR 1020130071446 A KR1020130071446 A KR 1020130071446A KR 20130071446 A KR20130071446 A KR 20130071446A KR 101338396 B1 KR101338396 B1 KR 101338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wire
housing
uni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1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주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엠 디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엠 디지텍 filed Critical (주)케이엠 디지텍
Priority to KR1020130071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3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55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with contact member feeding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2/00Metal deforming
    • Y10S72/712Electrical terminal crim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용 단자결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복이 일정한 길이로 벗겨진 전선 끝단의 심선 및 피복에 단자를 동시에 압착하여 효과적으로 결착시킬 수 있는 전선용 단자결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피복된 전선의 심선에 단자를 가압하여 결착시키는 전선용 단자결착기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이동가이드(110)가 형성된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이동가이드(110) 내에서 상하이동하며 전선의 심선에 단자를 가압하여 결착시키는 단자가압부(200);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단자가압부(200)의 상하이동시 연동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단자를 상기 단자가압부(200)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단자이송부(300); 및 상기 단자이송부(300)의 하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단자이송부(300)에 의한 상기 단자의 이송을 가이드해주는 동시에 상기 단자를 단자가압부(200)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자공급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선용 단자결착기{TERMINALCLAMPING MACHINE FOR WIRE}
본 발명은 전선용 단자결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복이 일정한 길이로 벗겨진 전선 끝단의 심선 및 피복에 단자를 동시에 압착하여 효과적으로 결착시킬 수 있는 전선용 단자결착기에 관한 것이다.
산업현장, 자동화된 기계설비, 자동차 등 많은 분야에 사용되는 자동제어반이 작동하기 위해서는 자동제어반과 PLC프로그램, 제어서보모터, 각종 센서류와, 유압 혹은 공압설비 간의 전기적 연결을 필요로 한다.
각각의 전기적 연결을 용도별, 전기적 특성별로 분류하여 와이어(전선) 및 커넥터, 단자 등을 세트(set)화해서 한번에 연결시켜 작업성, 안정성, 시인성을 향상한 배선 뭉치가 와이어 하니스(wire harness)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기배선에 사용되는 와이어 하니스는 대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직경이 큰 대전류용 와이어가 많이 사용되며, 또 다른 와이어나 컨넥터 등의 요소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와이어 끝단의 피복을 탈피한 후, 탈피된 도선(심선)에 단자를 압착하여 결착시키게 된다.
특히, 자동차의 경우, 최근에는 다수의 전자부품과 센서에 의해 전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고전압을 사용하는 전기 차량, 연료전지 차량 및 두 가지 이상의 동력원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고전압 배터리 및 모터 등 기존 가솔린이나 디젤 차량의 운전 전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와이어 하니스의 사용 비중이 급증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 들어서는 자동차의 전기배선에 사용되는 와이어 하니스의 생산이 대량생산방식에서 소량다품종 생산방식으로 옮겨가고 있는 추세이며, 따라서, 각종 규격(전선직경, 단선 또는 복선, 연선(燃線) 또는 비연선, 피복색)이나 단자길이가 다른 많은 종류의 전선을 코킹(caulking)하고 압착하여 결착하는 일련의 처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선용 단자 결착기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특허등록 제10-0768538호, 한국공개특허 10-2010-0046629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우징 내부에서 일정 시간차를 두고 상하로 이동되는 단자가압부를 통해 전선의 심선에 단자를 자동으로 연속적으로 결착시킬 수 있는 전선용 단자결착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단자가압부의 상하 이동과 연동하여 단자를 일정 피치 간격으로 자동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전선의 심선에 보다 효과적으로 단자를 결착시킬 수 있는 전선용 단자결착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단자가압부의 상하 이동과정에서 하우징과의 접촉에 따른 마찰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전선용 단자결착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단자가압부와 하우징 사이의 유격이 발생되는 경우, 효과적으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전선용 단자결착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선용 단자결착기의 중량을 경량화하여 이동 및 보관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전선용 단자결착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단자가압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단자가압부의 하방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단자가압부의 펀치 어셈블리와 하부에 위치한 엔빌어셈블리의 충격에 의한 파손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전선용 단자결착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단자를 공급하는 단자공급부를 상하 또는 좌우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타입으로 적용함으로써, 하나의 단자공급부를 사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단자를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가공원가를 줄이면서 생산 수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전선용 단자결착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단자가압부와 단자이송부가 서로 접촉되며 상대운동을 수행하는 부분의 캠 각도를 조정가능한 가변형 타입으로 구성함으로써, 단자의 피치 거리에 관계없이 다양한 단자를 결착위치점까지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전선용 단자결착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피복된 전선의 심선에 단자를 가압하여 결착시키는 전선용 단자결착기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이동가이드(110)가 형성된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이동가이드(110) 내에서 상하이동하며 전선의 심선에 단자를 가압하여 결착시키는 단자가압부(200);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단자가압부(200)의 상하이동시 연동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단자를 상기 단자가압부(200)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단자이송부(300); 및 상기 단자이송부(300)의 하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단자이송부(300)에 의한 상기 단자의 이송을 가이드해주는 동시에 상기 단자를 단자가압부(200)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자공급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이동가이드(110) 내에서 상하 이동되는 상기 단자가압부(200)와 하우징(100)과의 마찰을 저감시키기 위한 마찰저감부재(12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찰저감부재(120)는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상기 단자가압부(200)측 방향으로 진퇴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마찰저감부재(120)를 상기 단자가압부(200)측 방향으로 진퇴시키면서 상기 마찰저감부재(120)와 상기 단자가압부(200) 사이의 간극을 조절해 주는 간극조절볼트(125)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자이송부(3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로드(310)와; 상기 이송로드(310)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단자공급부(400)에서 공급되는 단자를 상기 단자가압부(200)측 방향으로 이송하는 핑거(3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0)과 이송로드(310) 사이에는 상기 이송로드(310)를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탄성 회전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해 주는 탄성체(33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로드(310)의 하단부에는 상기 핑거(321)가 지지되는 핑거홀더(320)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로드(310)의 하단부와 상기 핑거홀더(320) 사이에는 상기 핑거(321)가 지지된 상기 핑거홀더(320)를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탄성 회전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해 주는 탄성체(340)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자가압부(200)의 일측면에는 상기 단자가압부(200)의 상하이동시 상기 이송로드(310)와 접촉되며 상기 이송로드(31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가압로드(2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로드(310)의 일측에는 상기 단자가압부(200)의 상하이동시 상기 가압로드(210)와 접촉되며 구름운동을 수행하는 가이드롤러(355)가 구비된 구동로드(350)가 결합되고, 상기 가압로드(210)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롤러(355)와 접촉되는 접촉편(25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접촉편(250)의 회동위치에 따라 상기 이송로드(310)의 회전각이 조절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로드(210)의 일측에는 상기 접촉편(250)의 회동위치를 조절해주기 위한 접촉편 조절볼트(250)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자공급부(400)는, 베이스 블록(411)과; 상기 베이스 블록(411) 위에 설치되며 상부면에 단자가 안착된 상태로 이송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412)(413)과; 상기 가이드레일(412)(413)로부터 이격된 상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412)(413) 위에 안착된 단자를 눌러 커버해주는 커버 플레이트(414);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레일(412)(413)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베이스 블록(411) 위에 고정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베이스 블록(411) 위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414)는 상하방향 및 단자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자가압부(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이동가이드(110) 내에서 상하이동되는 램(220)과, 상기 램(220)의 하단에 결합되는 홀드(231), 펀치(232), 스토퍼(233), 지그(324)를 포함하는 펀치어셈블리(23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펀치어셈블리(230)의 하부에는 단자공급부(400)에서 공급된 단자가 안착되는 엔빌어셈블리(240)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상기 단자가압부(200)의 하방이동을 일시적으로 제한하도록 하는 스토퍼어셈블리(500)가 설치되되, 상기 스토퍼어셈블리(500)는 상기 단자가압부(200)가 하방으로 가압하여 이동되는 경우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어셈블리(500)는, 일측 단부에 상기 단자가압부(200)의 하단과 접촉되는 원추형상의 접촉면(511)을 가지며,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스토퍼홈(512)이 형성된 스토퍼핀(510)과; 상기 스토퍼핀(510)과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스토퍼홈(512)에 삽입되어 상기 스토퍼핀(510)의 이동을 구속해주는 볼을 구비한 볼 플랜저(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자가압부(200)에는 상기 스토퍼핀(510)의 단부에 형성된 원추형 접촉면(511)과 접촉되며 상기 단자가압부(200)의 스토핑(stopping)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접촉볼트(530)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단자결착기는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하여 단자가압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심선에 단자를 자동으로 연속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자가압부의 상하 이동시 연동하며 회전 이동하는 단자이송부를 통해 단자를 한 피치씩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전선의 심선에 단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자가압부가 상하 슬라이딩되는 하우징의 내측면에 마찰저감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단자가압부의 상하 이동과정에서 하우징과의 접촉에 따른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마찰에 따른 마모발생을 줄일 수 있고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기존에 내구성 및 내마모성 문제로 철 이외의 소재로 적용하지 못했던 단자가압부를 제외한 하우징, 단자이송부, 단자공급부 등 80% 이상의 부품들을 가벼운 알루미늄 소재로 변경하였기 때문에 단자결착기의 무게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우징 내측면에 설치되는 마찰저감부재를 진퇴가능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단자가압부와 하우징 사이의 유격이 발생되는 경우 마찰저감부재와 단자가압부 간의 간격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선용 단자결착기의 불필요한 부분을 줄이는 한편 내구성과 관계되는 부품과 단자의 압착과 직접적으로 관계되는 부품을 제외한 단자결착기의 몸체 대부분을 알루미늄 소재로 적용함으로써, 제품의 가공성 및 제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의 중량을 크게 경량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동 및 보관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하우징의 일측에 유사시 단자가압부의 하방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스토퍼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단자가압부의 펀치 어셈블리와 하부에 위치한 엔빌어셈블리의 충격에 의한 파손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과 같이 하우징과 단자가압부 사이에 별도의 안전블록을 끼워 넣은 등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하우징과 단자가압부 사이에 삽입된 안전블록이 분리되어 분실되는 폐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단자가압부의 동작시 스토퍼핀에 의한 고정상태가 자동으로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과 같이 하우징과 단자가압부 사이에 삽입된 안전블록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실수로 단자가압부를 작동하여 구동부위의 파손을 유발하게 되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단자가압부의 램 일측에 스토퍼핀의 단부와 접촉되는 접촉볼트를 구비하되, 상기 접촉볼트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램 하단으로부터의 돌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단자가압부의 상승높이를 조정하여 단자결착기 교체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자를 공급하는 단자공급부를 단자의 종류 및 크기게 맞게 상하 또는 좌우로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타입으로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단자공급부를 사용하여 다양한 종류 및 크기를 갖는 단자를 효과적으로 이송하여 공급할 수 있고, 기존과 같이 매번 단자의 종류 및 형태에 맞는 부품으로 교체 설치하거나, 그에 맞는 별도의 가공작업을 수행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때문에 단자의 종류 및 형태에 맞는 부품으로 매번 교체하거나 별도의 부가적인 가공작업이 필요 없게 되어 생산원가를 줄일 수 있고 생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자가압부와 단자이송부가 서로 접촉되며 상대운동을 수행하는 부분에 캠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가변형 타입으로 구성함으로써, 단자의 피치 거리에 관계없이 다양한 종류의 단자를 가압위치 지점까지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선용 단자결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자가압부와 하우징이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하우징을 A-A'방향으로 바라본 것으로서, 마찰저감부재의 진퇴운동 전후 모습을 비교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마찰저감부재의 진퇴운동에 의해 하우징 내부의 간극이 조절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가압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이송부의 구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상세도.
도 7은 단자가압부의 상하 이동에 따른 단자이송부의 회전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
도 8은 조절볼트를 통해 가압로드에 구비된 접촉편의 회동각이 조절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공급부의 구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엔빌어셈블리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11은 단자공급부에 투입되는 단자의 크기에 맞도록 가이드레일 및 커버 플레이트가 상하 좌우로 조절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
도 12는 단자공급부 내에 단자가 투입된 상태에서 레버를 회동시켜 단자를 눌러주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어셈블리의 설치구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부분 절개 단면도.
도 14는 스토퍼어셈블리에 구비된 스토퍼핀에 의해 단자가압부가 고정되는 모습과 단자가압부의 작동시 스토퍼핀의 고정상태가 자동 해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선용 단자결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자결착기의 단자가압부와 하우징이 상호 분리된 상태의 모습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단자결착기(이하 '단자결착기'라 한다)는 프레스기(미도시) 내에 장착되어 피복된 전선의 심선에 단자를 가압하여 결착하는 장치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단자가압부(200), 단자이송부(300) 및 단자공급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00)은 단자를 가압하는 단자가압부(200)를 지지하도록 하는 알루미늄 소재로 제작된 구조물로서, 내부에는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이동가이드(1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단자가압부(200)의 상하 이동시 후술되는 가압로드(210)가 간섭되지 않도록 일정 폭으로 절개된 개구부(101)가 형성된다.
단자가압부(200)는 프레스기 내부에 구비된 압착부(미도시)와 결합되어 상기 압착부의 상하구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일정 피치 간격으로 이동하며 단자를 가압하는 것으로, 하우징(100)의 이동가이드(110) 내에서 상하로 이동하며 전선의 심선에 단자를 가압하여 결착시킨다. 이러한 단자가압부(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단자이송부(300)는 단자가압부(200)가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단자가압부(200)와 연동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면서 단자를 단자가압부(200)의 하부측으로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하우징(100)의 일측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단자공급부(400)는 단자이송부(300)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단자이송부(300)에 의한 단자의 이송과정에서 상기 단자를 가이드해 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전선의 심선 부위에 단자를 가압하여 결합시키는 단자가압부(200)는 상하동작 1사이클(cycle) 마다 단자를 가압하게 되는바, 이러한 단자가압부(200)의 상하동작이 오랫동안 반복될 경우, 상호 반복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하우징(100)과 단자가압부(200) 사이에는 마찰로 인한 마모가 발생될 수 있다. 이처럼 두 구조물 간의 접촉부위에 마모가 발생된 상태에서 단자가압부(200)가 하강하여 단자를 가압할 경우에는 단자가 정해진 위치상에 정확하게 가압되지 못하여 단자의 결착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동가이드(110)가 형성된 하우징(100)의 내측면 부분에는 상기 이동가이드(110)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단자가압부(200)의 외측면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면 사이의 마찰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복수의 마찰저감부재(120)가 구비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마찰저감부재(120)가 설치된 하우징(100)을 A-A'섹션 방향으로 바라본 것을로서, (a)는 마찰저감부재(120)가 하우징(100)에 설치된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b)는 간극조절볼트(125)를 통해 마찰저감부재(120)가 진퇴운동을 수행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마찰저감부재(120)의 진퇴운동에 의해 하우징(100) 내부의 간극이 조절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찰저감부재(120)는 여러가지 금속 성분을 배합하여 제작된 막대형 베어링 구조물로서, 이동가이드(110)가 형성된 하우징(100)의 내측면상에 복수 개가 구비된다.
앞에서도 설명했듯이, 단자의 결착작업은 단자가압부(200)가 하우징(100)의 이동가이드(110) 내에서 반복적으로 상하 이동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단자가압부(200)의 상하이동이 장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수행될 경우 서로 접촉되는 하우징(100)의 내측면과 단자가압부(200)의 외측면 사이에는 마모 등에 의한 유격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부품의 가공시 발생되는 오차에 의해 유격이 발생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유격을 줄이기 위해서는 단자가압부(200)와 접촉되는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마찰저감부재(12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면 일부분(도 4에서 좌측면 및 하측면)에는 얇은 띠 형상을 가지는 마찰저감부재(120)가 부착되고, 나머지 다른 부분(도 4의 우측면 및 상측면)에는 유격조정이 가능한 직사각형 막대 형상을 갖는 마찰저감부재(120)가 설치된다.
상기 직사각형 막대 형상의 마찰저감부재(120)는 단자가압부(200)가 위치한 하우징(100)의 내측방향으로 진퇴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데, 이때, 마찰저감부재(120)가 위치된 하우징(100)의 측면부에는 상기 마찰저감부재(120)를 일정 거리만큼 진퇴시키면서 마찰저감부재(120)와 상기 단자가압부(200) 사이의 간극을 조절해 줄 수 있는 간극조절볼트(125)가 결합된다.
이와 같은 간극조절볼트(125)는, 도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마찰저감부재(120)와 결합된 고정볼트(124)가 하우징(100) 내에서 좌우로 일정 간격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간극조절볼트(125)를 조이거나 푸는 동작을 통해 마찰저감부재(120)를 하우징(100)의 내,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간극조절볼트(125)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마찰저감부재(120)는 하우징(100)의 내측방향으로 전진하게 되고, 반대로, 상기 간극조절볼트(12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마찰저감부재(120)는 하우징(100)의 외측방향으로 후퇴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100)의 4개의 측면 중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마찰저감부재(120)를 하우징(100)의 내,외측 방향으로 간극조절볼트(125)를 통해 진퇴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단자가압부(200)의 장시간 반복적인 스트로크 동작에 의해 하우징(100)과 단자가압부(200) 사이의 마모에 따른 유격이 발생되어도 상기 간극조절볼트(125)를 통해 마찰저감부재(120)를 하우징(100)의 내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유격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가압부(2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자가압부(200)는 하우징(100)의 이동가이드(110) 내에서 상하 이동되는 램(220)과, 램(220)의 하단에 결합되는 홀드(231), 펀치(232), 스토퍼(233), 지그(324)를 포함하는 펀치어셈블리(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램(220)은 단자를 가압하는 펀치어셈블리(230)를 지지하는 것으로, 하우징(100)의 이동가이드(110)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가이드(110)의 내측면과 접촉하며 상하 이동된다.
이러한 램(220)의 상부에는 펀치어셈블리(230)의 상단과 램(2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인슐레이션디스크(223), 와이어디스크(222)가 포스트램(221)에 회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
펀치어셈블리(230)는 단자가압부(200)를 통해 단자를 가압할 경우, 단자(단자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 12에 도시함)가 상부 또는 하부로 절곡되지 않도록 하는 홀드(231)와, 전선의 심선 및 피복을 압착하기 위한 심선바렐(371) 및 피복바렐(372)이 단자띠(373)와 상호 연결된 형태를 갖는 단자(370)에서 단자띠(373)를 절단하기 위한 펀치(232)와, 전선을 가압할 때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233)와, 전선의 심선과 피복을 가압하는 한 쌍의 지그(234)로 구성된다.
따라서 한 쌍의 지그(234)가 단자(370)의 심선바렐(371)과 피복바렐(372)을 동시에 가압하면서 탈피된 전선과 단자(370)를 상호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단자(370)를 홀드(231)에 의해 가압하여 단자가 상부 또는 하부로 절곡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펀치어셈블리(230)의 하부에는 단자공급부(400)에서 공급된 단자(370)가 안착되는 엔빌어셈블리(240)가 배치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이송부(300)의 구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상세도이고, 도 7은 단자가압부(200)의 상하 이동에 따른 단자이송부(300)의 회전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접촉편 조절볼트(260)를 통해 가압로드(210)에 구비된 접촉편(250)의 회동각이 조절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단자이송부(300)는 하우징(10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로드(310)와, 상기 이송로드(310)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단자공급부(400)에서 공급되는 단자를 상기 단자가압부(200)측 하부로 밀어내면서 이송하는 핑거(321)를 포함한다.
이송로드(310)는 단자가압부(200)가 상부로 이동하는 경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핑거(321)를 통해 단자를 단자가압부(200)측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밀어내면서 이송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이송로드(310)와 하우징(100)의 사이에는 상기 이송로드(310)를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탄성 회전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330)가 결합된다.(도 2 또는 도 6참조)
따라서, 상기 이송로드(310)는 단자가압부(200) 의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 즉, 상기 단자가압부(200)가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체(330)에 의해 부여된 탄성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이송로드(310)의 하단에는 단자와 접촉되는 핑거(321)가 구비된 핑거홀더(3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이송로드(310)의 하단부와 상기 핑거홀더(320) 사이에는 상기 핑거홀더(320)를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탄성 회전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340)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핑거(321)는 탄성체(340)에 의해 핑거홀더(320)에 대해 소정의 탄성력이 부여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단자의 이송동작시 상기 핑거(321)가 단자공급부(400) 상면에 안착된 단자에 탄성적으로 접촉을 이루며 단자를 밀어내어 이송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 이송로드(31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 형성된 브래킷(131)에는 이송로드(310)의 회전각을 일정각도 범위 내로 제한할 수 있는 핑거조절나사(132)가 결합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가압부(200)의 일측면에는 상기 단자가압부(200)의 상하 이동시 이송로드(310)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이송로드(31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가압로드(2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송로드(310)의 일측에는 단자가압부(200)의 상하 이동시 가압로드(210)와 접촉을 이루며 구름운동을 수행하는 회전가능한 가이드롤러(355)를 구비한 구동로드(350)가 설치된다.
상기 가압로드(210)에는 단자가압부(200)에 의한 상하 이동시 가이드롤러(355)가 접촉을 이루며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가이드홀(2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홀(212) 주변에 위치한 가압로드(210)상에는 가이드롤러(355)와 접촉되며 가이드롤러(355)의 이동을 안내하는 접촉편(25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접촉편(250)은 가압로드(210)상에 힌지된 힌지부(252)를 중심으로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접촉편(250)의 하부측에 위치한 상기 가압로드(210)상에는 상기 접촉편(250)의 회동위치를 조절해줄 수 있는 접촉편 조절볼트(25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접촉편(250)은 도 8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접촉편 조절볼트(260)의 상단에 지지된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접촉편 조절볼트(260)의 상하 이동시 힌지부(252)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도 8의 (a)와 같이 접촉편 조절볼트(250)를 조여 상방으로 전진시키게 되면 접촉편(250)이 힌지부(252)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반대로, 도 8의 (b)와 같이 접촉편 조절볼트(260)를 풀어 하방으로 후퇴시키게 되면 접촉편(250)이 힌지부(252)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접촉편(250)의 위치조절 가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촉편(250)의 위치조정이 자유롭게 설정되도록 구성하게 되면, 상기 접촉편(250)을 타고 구름운동하는 가이드롤러(355)의 운동궤적을 변경하여 이송로드(310)의 회전반경을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단자의 종류 및 크기가 달라질 경우에도 상기 접촉편(250)의 위치를 이동시켜 이송로드(310)의 회전반경을 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단자를 이동시키는 핑거(321)의 이동거리(피치 간격)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접촉편(250)과 가이드롤러(355)와의 접촉에 따른 이송로드(310)의 회전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7의 (a)와 같이, 단자가압부(20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송로드(310)에 구비된 가이드롤러(355)가 가압로드(210)에 구비된 접촉편(250)의 경사면을 타고 안내되어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가압로드(210) 내부의 가이드홀(212) 안으로 안내되면서 이송로드(310)가 반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게 되고, 이와 연동하여 상기 이송로드(310)의 하단에 결합된 핑거(321)는 상기 이송로드(310)와 함께 회전이동하면서 단자가압부(200)측 방향으로 일정거리 전진 이동하면서 단자공급부(400)의 상면에 안착된 단자를 단자가압부(200) 하부측 엔빌어셈블리(240)로 밀어내어 이송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단자가압부(200)가 다시 하방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도 7의 (b)에서 보는 것처럼, 이송로드(310)의 가이드롤러(355)가 가압로드(210)의 접촉편(250) 경사면을 타고 안내되어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이송로드(310)가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게 되고, 이와 연동하여 상기 이송로드(310)의 하단에 결합된 핑거(321)는 단자가압부(200)로부터 멀리 떨어진 후방측 방향으로 후진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단자가압부(200)의 상승 및 하강 동작과 연동하여 이송로드(31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면서 이송로드(310)의 하단에 결합된 핑거(321)가 단자를 단자가압부(200)의 하부측으로 일정 피치간격으로 연속적으로 밀어내는 반복적인 동작을 통해 단자의 연속적인 이송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공급부(400)의 구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상세도이고, 도 10은 단자공급부(400)의 전방측에 구비되는 엔빌어셈블리(24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다. 또한, 도 11은 단자공급부(400)에 투입되는 단자(370)의 크기에 맞도록 가이드레일(412)(413) 및 커버 플레이트(414)가 상하 좌우로 조절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고, 도 12는 단자공급부(400) 내에 단자(370)가 투입된 상태에서 레버(417)를 회동시켜 단자(370)를 눌러주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자공급부(400)는 단자가 투입되는 동시에 투입된 단자가 엔빌어셈블리(240)측으로 정확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해 주는 것으로, 상기 단자공급부(400)는 크게 베이스 블록(411), 2개의 가이드레일(412)(413), 커버 플레이트(4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단자공급부(400)에서 공급된 단자(370)가 압착되는 엔빌어셈블리(240)는, 엔빌홀더(245)와, 와이어엔빌(244)과, 인슐레이션엔빌(243)과, 커터(242) 및 커터홀더(2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엔빌어셀블리(240)는 단자결착기를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420)의 상면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20)의 상면부 또 다른 일측에는 단자공급부(410) 및 하우징(100)이 결합된다.
한편, 가이드레일(412)(413)은 단자(370)의 하부면을 받쳐주는 구조물로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블록(411)의 상부면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412)(413) 위에는 단자(370)가 안착된 상태에서 단자이송부(300)의 핑거(321)를 통해 단자가압부(200)측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단자(370)의 하부면상에 돌출된 후크(374)는 2개의 가이드레일(412)(413) 사이에 위치되어 단자(370)의 이송과정에서 후크(374)가 가이드레일(412)(413)과 간섭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블록(411) 위에 설치되는 2개의 가이드레일(412)(413) 중, 일측 가이드레일(413)은 베이스 블록(411) 위에 고정 설치되고, 나머지 일측 가이드레일(412)은 베이스 블록(411) 위에 단자(37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면, 단자공급부(400)로 투입되는 단자(370)의 길이가 달라질지라도 베이스 블록(411) 위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일측 가이드레일(412)을 단자(370)의 길이방향 폭에 맞는 적정 위치상에 이동시켜 고정한 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412)(413)로부터 이격된 상부측에는 상기 가이드레일(412)(413) 위에 안착된 단자(370)를 눌러 커버해주는 커버 플레이트(41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커버 플레이트(414)의 일측 단부에는 하방으로 일정 폭 수직으로 절곡된 가이드단(414a)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단(414a)은 단자(370)의 심선바렐(371)과 피복바렐(372)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단자(370)의 이송을 가이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커버 플레이트(414)는 상하방향 및 단자(37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베이스 블록(411)의 후방측(-X축 방향)에는 제1슬라이드블록(415)이 좌우방향(Y축 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슬라이드블록(415)의 일측에는 커버 플레이트(414)와 결합된 제2슬라이드블록(416)이 상하방향(Z축 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슬라이드블록(415)의 상부면은 베이스 블록(411)의 상부면과 동일한 높이에 놓이도록 형성되고, 제1슬라이드블록(415)의 후면은 제2슬라이드블록(416)의 후면과 동일 위치에 놓이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 블록(411)의 후방측에 제1슬라이드블록(415)을 좌우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제1슬라이드블록(415)의 일측에 커버 플레이트(414)와 결합된 제2슬라이드블록(416)을 상하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단자공급부(400)에 투입되는 단자(370)의 길이 및 높이에 맞도록 제1슬라이드블록(415)과 제2슬라이드블록(416) 및 가이드레일(412)(413)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412)(413), 제1슬라이드블록(415), 제2슬라이드블록(416)의 위치조정 및 고정을 위한 볼트의 구성은 도면상에 별도로 표현하지 않았다.)
여기서, 상기 단자공급부(400)의 일측면에 구비된 레버(417)는 단자(370)의 이송과정에서 복수의 단자(370)들을 연결하는 단자띠(373) 부분을 스프링(418)에 의해 부여되는 일정 탄성력으로 눌러주도록 하는 한편, 단자(370)의 교체시에는 단자를 눌러주었던 가압력을 해제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레버(417)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캠운동을 통해 단자공급부(400)의 측면에 배치된 단자띠 가압부(419)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단자띠(373) 부분을 탄성적으로 눌러주거나 눌렀던 힘을 해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자띠 가압부(419)은 단자(370)의 이송과정에서 단자띠(373) 부분을 스프링(418)에 의한 소정의 가압력으로 눌러주기 때문에, 핑거(321)가 후방측으로 회전 이동할 경우에도 단자(370)가 후방측으로 따라 이동하지 않고 제위치상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핑거(321)가 단자(370)를 물고 단자가압부(200)측으로 이송하는 힘은 단자띠 가압부(419)를 통해 단자(370)를 누르는 힘보다 크기 때문에 핑거(321)에 의한 단자(370)의 원활한 이송동작이 가능하다.
한편, 단자결착기를 프레스기로부터 분리하여 교체하거나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 단자가압부(200)가 하방으로 내려오지 않도록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 즉, 단자가압부(200)를 하방으로 내려오지 않도록 고정함으로써, 단자가압부(200)의 펀치어셈블리(230)가 엔빌어셈블리(240)를 타격하여 파손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는 하우징(100)의 일측에 단자가압부(200)가 하방으로 내려오지 못하도록 일시적으로 고정시켜 주는 스토퍼어셈블리(500)가 구비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어셈블리(500)의 설치구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부분 절개 단면도이고, 도 14는 스토퍼어셈블리(500)에 구비된 스토퍼핀(510)에 의해 단자가압부(200)가 고정되는 모습과 단자가압부(200)의 작동시 스토퍼핀(510)의 고정상태가 자동 해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어셈블리(500)는 단자가압부(200)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다시 하방으로 내려오지 않도록 강제적으로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아울러, 프레스기에 단자결착기를 다시 장착하여 사용할 경우 스토퍼어셈블리(500)에 의한 단자가압부(200)의 고정상태가 쉽게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스토퍼어셈블리(500)의 구성을 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어셈블리(500)는 외주연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스토퍼홈(512)이 형성된 스토퍼핀(510)과, 상기 스토퍼핀(510)의 하부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기 스토퍼홈(512)에 삽입되어 스토퍼핀(510)을 구속하는 볼을 구비한 볼 플랜저(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토퍼핀(510)은 하우징(100)의 측면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삽입되며, 단자가압부(200)와 마주하는 스토퍼핀(510)의 단부는 원추형상의 접촉면(511)을 갖도록 형성되고, 그 반대편에 위치한 헤드부(513)는 하우징(100)의 측면 밖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볼 플랜저(520)는 상기 스토퍼핀(510)의 하부측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스프링에 의해 지지된 상단의 볼(522)이 상기 스토퍼핀(510)의 일측 스토퍼홈(512)에 끼워져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토퍼핀(510)의 움직임을 구속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단자가압부(200)에 구비된 램(220)의 일측면에는 하단으로부터 상부로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으로서, 스토퍼핀(510)의 원추형 접촉면(511)에 걸려 지지될 수 있는 접촉볼트(530)가 나사결합된다. 이때, 상기 접촉볼트(530)는 필요에 따라 조이거나 풀러서 램(220)의 하단으로부터 돌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어셈블리(500)에 의한 단자가압부(200)의 고정 및 해제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도 14에서는 편의상 접촉볼트를 생략하여 표현하였다), 단자가압부(200)를 하방으로 내려오지 못하도록 고정하고자 할 경우, 먼저, 도 14의 (a)와 같이, 단자가압부(200)가 상부로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스토퍼핀(510)의 헤드부(513)를 손으로 누르게 되면 가압력에 의해 일측 스토퍼홈(512)에 삽입된 볼 플랜저(520) 상단의 볼(522)이 빠져나오면서 스토퍼핀(510)은 하우징(100)의 내측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된다. 이때, 볼 플랜저(520)의 상단에 구비된 볼(522)이 스토퍼핀(5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른 일측 스토퍼홈(512)에 끼워져 결합되어 스토퍼핀(510)은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14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자가압부(200)의 측면 하단에 구비된 접촉볼트(530)가 상기 스토퍼핀(510)의 원추형 접촉면(511)에 걸려 지지됨으로써 단자가압부(200)의 하방 이동이 제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단자가압부(200)가 상승된 후 스토퍼핀(51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단자결착기를 프레스기에 장착시켜 다시 사용하게 되는 경우, 도 14의 (c)와 같이, 프레스기의 압착부(미도시)를 통해 단자가압부(200)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단자가압부(200)의 측면 하단에 구비된 접촉볼트(530)가 스토퍼핀(510) 끝단의 원추형 접촉면(511)을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고, 그 가압력에 의해 스토퍼핀(510)이 다시 하우징(10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한 후 그 이동된 위치에 자동 고정됨으로써 스토퍼핀(510)에 의한 구속상태가 용이하게 해제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전선용 단자결착기는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하여 단자가압부(200)를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전선의 심선에 단자를 자동으로 연속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품 생산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단자가압부(200)의 상하 이동시 연동하며 회전 이동하는 단자이송부(300)를 통해 단자를 한 피치씩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전선의 심선에 단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단자결착기는 기존과 같이 철,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나, 장치의 경량화를 위해 내구성이 요구되는 부분이나, 또는 단자의 압착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부분들(예를 들어 펀치어셈블리(230), 앤빌어셈블리(240) 등)을 제외한 부피가 비교적 큰 부분들(예를 들어, 하우징(100), 단자가압부(200), 단자이송부(300), 단자공급부(400) 등)의 몸체 부분들을 알루미늄 소재로 적용하여 제작함으로써, 부품 제작시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제작이 용이하고, 장치의 전체 무게를 약 40% 정도 크게 감량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자가압부(200)가 상하 슬라이딩되는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마찰저감부재(120)를 설치함으로써, 단자가압부(200)의 상하 이동과정에서 하우징(100)과의 접촉에 따른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마찰에 따른 마모발생을 줄일 수 있고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기존에 내구성 및 내마모성 문제로 철 이외의 소재로 적용하지 못했던 단자가압부 부분을 가벼운 알루미늄 소재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단자결착기의 무게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하우징 101 : 개구부
110 : 이동가이드 120 : 마찰저감부재
125 : 간극조절볼트 131 : 브래킷
132 : 핑거조절나사 200 : 단자가압부
210 : 가압로드 220 : 램
221 : 포스트램 222 : 와이어디스크
223 : 인슐레이션디스크 230 : 펀치어셈블리
231 : 홀드 232 : 펀치
233 : 스토퍼 234 : 지그
240 : 엔빌어셈블리 241 : 커터홀더
242 : 커터 243 : 인슐레이션엔빌
250 : 접촉편 260 : 접촉편 조절볼트
300 : 단자이송부 310 : 이송로드
320 : 핑거홀더 330, 340 : 탄성체
321 : 핑거 350 : 구동로드
355 : 가이드롤러 370 : 단자
400 : 단자공급부 411 : 베이스 블록
412, 413 : 가이드레일 414 : 커버 플레이트
415 : 제1슬라이드블록 416 : 제2슬라이드블록
417 : 레버 418 : 스프링
419 : 단자띠 가압부 500 : 스토퍼어셈블리
510 : 스토퍼핀 511 : 접촉면
512 : 스토퍼홈 520 : 볼 플랜저
530 : 접촉볼트

Claims (15)

  1. 피복된 전선의 심선에 단자를 가압하여 결착시키는 전선용 단자결착기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이동가이드(110)가 형성된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이동가이드(110) 내에서 상하이동하며 전선의 심선에 단자를 가압하여 결착시키는 단자가압부(200);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단자가압부(200)의 상하이동시 연동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단자를 상기 단자가압부(200)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단자이송부(300); 및
    상기 단자이송부(300)의 하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단자이송부(300)에 의한 상기 단자의 이송을 가이드해주는 동시에 상기 단자를 단자가압부(200)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자공급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이동가이드(110) 내에서 상하 이동되는 상기 단자가압부(200)와 하우징(100)과의 마찰을 저감시키기 위한 마찰저감부재(12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단자결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저감부재(120)는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상기 단자가압부(200)측 방향으로 진퇴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마찰저감부재(120)를 상기 단자가압부(200)측 방향으로 진퇴시키면서 상기 마찰저감부재(120)와 상기 단자가압부(200) 사이의 간극을 조절해 주는 간극조절볼트(12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단자결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이송부(3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로드(310)와;
    상기 이송로드(310)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단자공급부(400)에서 공급되는 단자를 상기 단자가압부(200)측 방향으로 이송하는 핑거(3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단자결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과 이송로드(310) 사이에는 상기 이송로드(310)를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탄성 회전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해 주는 탄성체(33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단자결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드(310)의 하단부에는 상기 핑거(321)가 지지되는 핑거홀더(320)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로드(310)의 하단부와 상기 핑거홀더(320) 사이에는 상기 핑거(321)가 지지된 상기 핑거홀더(320)를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탄성 회전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해 주는 탄성체(34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단자결착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가압부(200)의 일측면에는 상기 단자가압부(200)의 상하이동시 상기 이송로드(310)와 접촉되며 상기 이송로드(31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가압로드(21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단자결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드(310)의 일측에는 상기 단자가압부(200)의 상하이동시 상기 가압로드(210)와 접촉되며 구름운동을 수행하는 가이드롤러(355)가 구비된 구동로드(350)가 결합되고,
    상기 가압로드(210)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롤러(355)와 접촉되는 접촉편(25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접촉편(250)의 회동위치에 따라 상기 이송로드(310)의 회전각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단자결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로드(210)의 일측에는 상기 접촉편(250)의 회동위치를 조절해주기 위한 접촉편 조절볼트(2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단자결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공급부(400)는,
    베이스 블록(411);
    상기 베이스 블록(411) 위에 설치되며 상부면에 단자가 안착된 상태로 이송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412)(413);
    상기 가이드레일(412)(413)로부터 이격된 상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412)(413) 위에 안착된 단자를 눌러 커버해주는 커버 플레이트(414);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레일(412)(413)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베이스 블록(411) 위에 고정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베이스 블록(411) 위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414)는 상하방향 및 단자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단자결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가압부(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이동가이드(110) 내에서 상하이동되는 램(220)과, 상기 램(220)의 하단에 결합되는 홀드(231), 펀치(232), 스토퍼(233), 지그(324)를 포함하는 펀치어셈블리(2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단자결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어셈블리(230)의 하부에는 단자공급부(400)에서 공급된 단자가 안착되는 엔빌어셈블리(24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단자결착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상기 단자가압부(200)의 하방이동을 일시적으로 제한하도록 하는 스토퍼어셈블리(500)가 설치되되,
    상기 스토퍼어셈블리(500)는 상기 단자가압부(200)가 하방으로 가압하여 이동되는 경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단자결착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어셈블리(500)는,
    일측 단부에 상기 단자가압부(200)의 하단과 접촉되는 원추형상의 접촉면(111)을 가지며,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스토퍼홈(512)이 형성된 스토퍼핀(510)과;
    상기 스토퍼핀(510)과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스토퍼홈(512)에 삽입되어 상기 스토퍼핀(510)의 이동을 구속해주는 볼을 구비한 볼 플랜저(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단자결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가압부(200)에는 상기 스토퍼핀(510)의 단부에 형성된 원추형 접촉면(111)과 접촉되며 상기 단자가압부(200)의 스토핑(stopping)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접촉볼트(53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단자결착기.
KR1020130071446A 2013-06-21 2013-06-21 전선용 단자결착기 KR101338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446A KR101338396B1 (ko) 2013-06-21 2013-06-21 전선용 단자결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446A KR101338396B1 (ko) 2013-06-21 2013-06-21 전선용 단자결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8396B1 true KR101338396B1 (ko) 2013-12-10

Family

ID=49987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1446A KR101338396B1 (ko) 2013-06-21 2013-06-21 전선용 단자결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839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8566B1 (ko) 2017-02-23 2017-11-17 임다영 전원단자 결착장치
CN109994907A (zh) * 2017-12-30 2019-07-09 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 一种制作水密连接器插座用模具及其制作方法
CN110227916A (zh) * 2019-02-28 2019-09-13 电子科技大学中山学院 一种端子及端子壳自动装配机
CN110350380A (zh) * 2019-06-13 2019-10-18 淮阴工学院 O型端子与线缆的压合喷气回收装置
KR102688115B1 (ko) 2022-10-31 2024-07-25 (주)유니코어텍 어플리케이터용 펀치 어셈블리 및 어플리케이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1630A (ja) * 1993-02-08 1994-08-19 Sumitomo Electric Ind Ltd 圧接コネクタを用いたワイヤーハーネス製造用布線ヘッド
JPH1050450A (ja) * 1996-07-31 1998-02-20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圧着ユニット
JPH10208844A (ja) * 1997-01-28 1998-08-07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ワイヤーハーネス用コネクタ端子の実装装置
JP2001093641A (ja) 1999-09-28 2001-04-06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圧接金型とそれを備えた圧接ステーショ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1630A (ja) * 1993-02-08 1994-08-19 Sumitomo Electric Ind Ltd 圧接コネクタを用いたワイヤーハーネス製造用布線ヘッド
JPH1050450A (ja) * 1996-07-31 1998-02-20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圧着ユニット
JPH10208844A (ja) * 1997-01-28 1998-08-07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ワイヤーハーネス用コネクタ端子の実装装置
JP2001093641A (ja) 1999-09-28 2001-04-06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圧接金型とそれを備えた圧接ステーション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8566B1 (ko) 2017-02-23 2017-11-17 임다영 전원단자 결착장치
WO2018155796A1 (ko) * 2017-02-23 2018-08-30 임다영 전원단자 결착장치
CN109994907A (zh) * 2017-12-30 2019-07-09 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 一种制作水密连接器插座用模具及其制作方法
CN109994907B (zh) * 2017-12-30 2023-09-29 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 一种制作水密连接器插座用模具及其制作方法
CN110227916A (zh) * 2019-02-28 2019-09-13 电子科技大学中山学院 一种端子及端子壳自动装配机
CN110227916B (zh) * 2019-02-28 2024-01-26 电子科技大学中山学院 一种端子及端子壳自动装配机
CN110350380A (zh) * 2019-06-13 2019-10-18 淮阴工学院 O型端子与线缆的压合喷气回收装置
CN110350380B (zh) * 2019-06-13 2024-03-15 淮阴工学院 O型端子与线缆的压合喷气回收装置
KR102688115B1 (ko) 2022-10-31 2024-07-25 (주)유니코어텍 어플리케이터용 펀치 어셈블리 및 어플리케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8396B1 (ko) 전선용 단자결착기
US9484722B2 (en) Pulling head assembly workstation
US20200295544A1 (en) Method for Installing a Pulling Head Assembly
US10840663B2 (en) Cable processing device
US8356401B2 (en) Electrical cable wiring head device and electrical cable wiring apparatus
CN108257777B (zh) 一种点火线圈加工的冲床装置
CN1135670A (zh) 用于制造压焊电线束的装置和方法
CN109818230B (zh) 一种圆形电连接器与多芯电缆自动焊接生产线
CN113036676B (zh) 一种输电电缆自动压接平台
KR910004800B1 (ko) 하아네스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533030B1 (ko) 클램핑머신의 실린더블럭 이송장치
JP5722088B2 (ja) ケーブル組立装置及びケーブル組立方法
CN107785760B (zh) 一种全自动压端子设备
US3555672A (en) High speed semiautomatic termination of coaxial cable
EP0367990A1 (en) Harness-making machine having improved cable guide
EP1076385B1 (en) A wire connecting method and a wire connecting apparatus
EP2779327B1 (de) Kabeldrehzange und Verfahren für Zuführung eines elektrischen Leiters
US11862920B2 (en) Contact loading assembly for electrical connector assembling machine
CN210914760U (zh) 一种线缆的自动绕线装置
CN210648267U (zh) 一种线束裁切装置
KR101752863B1 (ko) 전선용 단자 클램핑장치
CN217642100U (zh) 端子自动组装设备
EP3525299B1 (en) Crimping tool, base, ram assembly, plant and method of changing between tools of a crimping tool
CN109411160B (zh) 一种多管径自动穿套号码管装置
CN218602892U (zh) 一种热缩管电缆接头压接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