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6667B1 - 벽면에 내/외장재로 시공되는 조립식 패널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벽면에 내/외장재로 시공되는 조립식 패널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6667B1
KR101336667B1 KR1020110073620A KR20110073620A KR101336667B1 KR 101336667 B1 KR101336667 B1 KR 101336667B1 KR 1020110073620 A KR1020110073620 A KR 1020110073620A KR 20110073620 A KR20110073620 A KR 20110073620A KR 101336667 B1 KR101336667 B1 KR 101336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ss
installation frame
panel
support angl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2422A (ko
Inventor
전병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공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공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공도
Priority to KR1020110073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667B1/ko
Publication of KR20130012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side holes preformed into the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에 내/외장재로 시공되는 조립식 패널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물 벽면에 미리 설정된 위치에 설치는 설치판(100); 몸체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부(212)가 형성되어 고정수단(220)이 상기 개구부(212)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트러스바(210)가 구비되되, 상기 트러스바(210)를 일정한 형태의 틀로 짜고 트러스바(210)가 만나거나 교차하는 지점에는 체결클립(230)이 상기 고정수단(220)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일정한 형태로 형성되는 다수의 설치프레임(200); 상기 설치프레임(200)에 결합 되어 건축물의 벽면을 장식하거나 보호하는 패널(300);을 포함하여,
상기 설치프레임(200)에 상기 패널(300)을 고정하고 트러스바(210)를 상기 설치판(100)에 형성된 지지앵글(110)에 걸어 고정함으로써 벽면에 설치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프레임을 쉽게 조립하여 형성할 수 있어서 다량의 패널을 손쉽게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패널뿐만 아니라 건축물에 설치되는 몰딩 또는 창틀 등을 같이 시공하여 줄 수 있게 되는 벽면에 내/외장재로 시공되는 조립식 패널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벽면에 내/외장재로 시공되는 조립식 패널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A pannel in use interior and exterior finishing and working method therof}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면에 내/외장재로 시공되는 조립식 패널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한 크기로 패널블록을 형성하고 그 패널블록을 벽면에 설치함으로써 내/외장재로 시공하는 조립식 패널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물의 콘크리트 벽면에는 단열, 방음, 방수 등의 기능을 가지는 여러 가지 형태의 마감재가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마감재의 대표적인 예로는 벽돌, 타일, 석고보드, 마그네슘 보드 등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마감재는 그 용도나 필요에 따라 각각 구비되어 별도로 시공되고 있는바, 예를 들어 벽면 마감을 벽돌로 할 경우 벽돌공이 벽돌을 쌓아주어야 하고, 타일의 경우 타일공이 타일을 부착해 주어야 하며, 석고보드나 마그네슘보드와 같은 형태의 보드는 벽면에 접착제나 못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해 차례로 부착함으로써 시공하고 있었다. 따라서 각기 기능과 용도 및 원하는 마감재마다 별도의 작업자가 각기 다른 방식으로 시공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패널을 이용하여 시공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일정한 크기로 재단된 패널을 건축물 벽면에 설치함으로써 마감하고 있는 것이다. 대표적인 예로 특허등록 제10-0953210호 "건축용 패널과 이의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이 있다.
상기 등록특허에 개시된 기술은 상기한 장착용 앵글을 패널의 저면 및 상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각각 삽입가능하도록 절곡편이 형성되어 상기 절곡편이 상기 고정홈에 끼워짐으로써 패널을 지지하게 하는 구성이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는 패널을 설치하기 위해 건축물의 벽면에 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을 일일이 설치한 다음 그 전면에 패널을 설치하여야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패널을 고정하기 위해 건축물의 벽면에 구조물을 우선 시공한 후 패널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시공 시간이 오래 걸리고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이에, 그러한 문제를 개선하여 단위패널을 형성하는 구조가 특허등록 제10-0721211호 "내/외장내 패널 및 그 시공방법"이 제안되었다.
상기와 같이 단위패널을 형성하는 구성은 프레임을 격자형태로 엮어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에 패널을 미리 고정하여서 단위패널로 형성한 다음 이를 벽면에 시공하고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단위패널을 형성하여 패널을 시공하는 구조는 단위패널을 형성하는 구조가 상당히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단위패널을 형성하기 위해 많은 구성품들을 복잡하게 조립하여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단위패널을 형성하고 그것을 이용해 건축물의 벽면에 패널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에 건축물의 벽면에 패널을 하나하나 일일이 설치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시공기간의 증가와 위험 및 불편을 해소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건축물의 벽면에 패널을 시공토록 하기 위해 종래 단위패널의 구조를 개선하고 시공구조를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트러스바를 일정한 규격으로 짜서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에 패널을 미리 설치하여 패널블록을 형성하여 상기 패널블록을 건축물의 벽면에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패널 구조체를 제안함으로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러스바를 이용해 프레임을 형성함으로써 간편한 프레임 형성이 가능해지고, 이러한 프레임에 패널을 설치하여 패널블록을 형성하여 벽면에 시공함으로써 다량의 패널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프레임을 쉽게 조립하여 형성할 수 있어서 패널뿐만 아니라 건축물에 설치되는 몰딩 또는 창틀 등을 같이 시공하여 줄 수 있게 된다.
도 1a 내지 1g는 본 발명에 의한 설치판의 사시도,
도 2a 내지 2c 는 본 발명에 의한 설치프레임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다양한 트러스바의 예시도,
도 4a 내지 4s는 동일 평면상에서 교차하는 트러스바의 교차지점에 적용되는 체결클립의 다양한 예시도,
도 5a 내지 5w는 겹쳐져 교차하는 트러스바의 교차지점에 적용되는 체결클립의 다양한 예시도,
도 6은 3중으로 겹쳐져 교차하는 트러스바의 교차지점에 적용되는 체결클립의 예시도,
도 7a, 7e는 본 발명에 의한 설치프레임이 보강바로 보강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8은 발명에 의한 설치프레임이 설치판에 걸리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설치프레임이 벽면에 설치된 상태 예시도,
도 10a, 10b는 본 발명에 의한 설치프레임의 구성에 따라 설치판에 걸리는 상태를 정면에서 보여주는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설치프레임에 패널이 설치되어 패널블록을 형성한 상태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설치프레임에 패널이 고정되어 벽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보여주는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설치프레임에 설치되는 패널에 오픈조인트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4는 오픈조인트가 설치된 패널이 본 발명에 의한 설치프레임에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5a, 15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오픈조인트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설치프레임으로 건축물의 벽면에 몰딩을 설치하는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은 종래에 건축물의 벽면에 패널을 하나하나 일일이 설치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시공기간의 증가와 위험 및 불편을 해소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건축물의 벽면에 패널을 시공토록 하기 위해 다수 개가 마련되어 건축물 벽면에 미리 설정된 위치에 설치되되, 전면에 지지앵글이 마련되는 설치판과, 상기 설치판에 걸어 고정되는 설치프레임 및 상기 설치프레임에 고정되어 건축물의 벽면을 장식하거나 보호하는 패널(300)을 포함하는 벽면에 내/외장재로 시공되는 조립식 패널 구조체를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6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패널 구조체는 건축물 벽면에 설치되는 설치판(100), 일정한 형태의 틀로서 상기 설치판(100)에 걸어 설치되는 설치프레임(200) 및 상기 설치프레임(200)에 고정되는 패널(300)을 포함한다.
설치판(100)은 도 1a 내지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지지앵글(110)이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서 다수 개가 마련되어 건축물 벽면에 미리 설정된 위치에 설치된다.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금속을 판 형태로 성형하여 구성하는 것이며, 벽면에 설치될 때에는 앵커볼트나 기타 견고한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고정수단을 채택하여 설치하게 된다.
상기 설치판(100) 전면에 고정되는 지지앵글(110)은 다양한 형태가 채택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부가 개방된 'ㄷ'자 형태로 형성한 것을 예로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설치프레임(200)을 구성하는 트러스바(210)를 위에서 아래쪽으로 걸어주어서 설치하여 줄 수 있게 되는바, 설치프레임(200)을 신속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상기 지지앵글(110)의 전면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트러스바(210)가 얹혀져 걸린 후 고정수단(220)이 상기 구멍을 관통하여 너트가 체결되게 함으로써 견고한 고정을 이루게 한다.
상기 고정수단(220)이 관통하는 구멍은 필요에 따라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하여 고정수단(220)의 고정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지지앵글(110)은 설치프레임(200)이 설치된 위치를 미리 계산하여 설치판(100) 전면에서 고정되는 위치와 개수를 조절하게 된다. 넓은 벽면에 설치프레임(200)을 차례로 고정하는 경우 하나의 설치판(100)에 네 개의 설치프레임(200)이 걸릴수 있으므로 네 개를 형성할 수 있으며, 달리 벽면의 맨 가장자리에서는 설치프레임(200)이 한 개 또는 두 개만 걸릴 수 있으므로 그에 맞게 형성되는 개수와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설치판(100)은 고정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도 1a를 기본 구성으로 하여 도 1b 내지 1f와 같이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b, 1c, 1d에 도시된 설치판(100)은 후방에 봉에 걸 수 있는 고리(102)가 형성되어 봉에 설치판(100)을 걸어 고정하여 줄 수 있는 구성이다. 이 구성을 통해 벽면 외에도 봉을 이용해 격자 형태로 짜여 설치된 구조물에 상기 설치판(100)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e에 도시된 설치판(100)은 후방에 봉에 걸 수 있는 걸림판(104) 이 설치판(100)과 90도 정도 각도를 이루게 형성되어 봉에 걸어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 중 도 1d와 1e에 도시된 설치판(100)은 별도의 'ㄴ'자 형 앵글(120)을 마련하여 일면은 벽면에 고정하고 다른 면은 설치판(100)에 형성된 고리(102) 또는 걸림판(104) 상면에 결합함으로써 보다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게 구성한다.
도 1f와 1g에 도시된 설치판(100)은 후방으로 판 형태의 지지판(106)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지지판(106)을 벽이나 벽면에 형성된 돌출부분의 상단 또는 천장에 대고 볼트등으로 고정함으로써 설치판(10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설치프레임(200)은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는 트러스바(210)를 이용해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형태의 틀을 짜되, 트러스바(210)가 맞닿는 지점 또는 교차되는 지점을 체결클립(230)으로 고정하여서 일정한 형태의 틀을 형성함으로써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사각형 형상의 틀로 구성되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트러스바(210)는 대략 단면 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것이 채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몸체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부(21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채택하여 설명하는바, 상기 개구부(212)에는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220)이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수단(220)은 상기 체결클립(230)을 고정하거나 또는 후술하는 패널(300)을 설치프레임(200)에 설치하기 위한 앵글을 고정하는 용도 및 상기 설치판(100)에 형성된 지지앵글(110)에 설치프레임(200)을 걸어 줄 때 트러스바(210)를 지지앵글(110)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용도 등 다양한 용도를 가진다.
상기 체결클립(230)은 트러스바(210)가 만나거나 교차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개구부(212)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수단(220)으로 고정함으로써 교차지점을 견고하게 고정한다. 고정수단(220)은 체결클립(230)을 관통하여 너트가 체결됨으로써 체결클립(230)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체결클립(230)을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끼워주기 위해 트러스바(210)가 교차되는 지점에서 트러스바(210)의 전면과 양 측면에 모두 접하는 형태로 상기 체결클립(230)을 형성한다. 이때, 체결클립(230)이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그 형상을 달리할 수 있다.
즉, 트러스바(210)로 틀을 짜서 설치프레임(200)을 형성하는 경우 가장자리에서는 두 트러스바(210)가 만나 'T'자로 될 수 있고, 모서리에서는 'L'자로 될 수 있으며, 중앙 부분에서는 '+'자로 교차 될 수 있는바, 해당 지점에 맞게 'T'자, 'L'자, '+'자 형태의 체결클립(230)을 마련하여 해당 위치에서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끼워 설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체결클립(230)은 도 4a 내지 4s 및 도 5a 내지 5w,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가 있을 수 있다.
도 4a 내지 4s는 트러스바(210, 부호 미표시)가 동일한 평면상에서 교차 되는 구조에서 교차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체결클립(230)의 다양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트러스바(210)를 모두 지지하여 줄 수 있는 구성이다.
반면, 도 5a 내지 5w는 트러스바(210)가 서로 겹쳐지면서 교차할 때 교차하는 지점에서 두 교차하는 트러스바(21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클립(230)의다양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교차되는 트러스바(210)를 지지하되, 겹쳐지는 두 트러스바(210)를 하나의 체결클립(230)으로 지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은 트러스바(210)가 3개가 겹쳐져서 교차하는 경우 교차하는 지점에 체결되는 체결클립(230)의 예를 도시하였다. 이 구성은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교차되는 트러스바(210)를 지지하되, 겹쳐지는 세 개의 트러스바(210)를 하나의 체결클립(230)으로 지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설치프레임(200)은 트러스바(210)가 교차되는 지점에는 트러스바(210)가 서로 만나거나 교차하는 지점에서 두 트러스바(210)가 이루는 내각 방향에 대각선 방향으로 보강바(240)를 설치하여 충분한 강도를 가지도록 보강할 수 있다. 도 7a 내지 7e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보강바(240)는 상기 트러스바(210)와 만나는 지점에 보강클립(250)이 체결됨으로써 고정된다. 이때, 상기 보강클립(250)은 보강바(240)와 트러스바(210)가 만나는 지점에서 보강바(240)와 트러스바(210)의 전면 및 측면에 모두 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체결클립(230)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끼워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보강바(240)는 트러스바(210)와 마찬가지로 전면에 몸체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부(242)가 형성된 것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를 통해 개구부(242)에 설치되는 고정수단(220)이 상기 보강클립(250)의 전면을 관통하여 너트가 체결되게 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보강바(240)를 지지하는 보강클립(250)은 도 7c와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되는 두 트러스바(210)를 모두 지지하게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클립(230)과 일체로 형성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설치프레임(800)은 도 8과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설치판(100)의 전면에서 지지앵글(110)에 트러스바(210)가 걸림으로써 설치된다.
이때,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프레임(200)은 지지앵글(110)에 걸리는 트러스바(210)의 끝단이 두 트러스바(210)가 서로 만나는 지점 모서리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돌출된 부분이 지지앵글(110)에 걸리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설치프레임(200)을 설치판(100)에 고정하게 되면 인접한 설치프레임(200) 사이의 간격이 충분히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달리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프레임(200)은 지지앵글(110)에 걸리는 트러스바(210)의 끝단이 두 트러스바(210)가 서로 만나는 지점 모서리 바깥쪽으로 돌출되지 않고 서로 끝단이 맞닿게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설치프레임(200)을 설치판(100)에 고정하게 되면 인접한 설치프레임(20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기는 하나 지지앵글(110)에 걸리는 트러스바(210)(횡 방향)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트러스바(210)(종 방향)가 설치프레임(200)이 지지앵글(110)에서 횡 방향으로 밀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장점이 있다.
패널(3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프레임(200)에 결합 되어 건축물의 벽면을 장식하거나 보호한다. 이러한 패널(300)은 그 설치 위치 및 용도에 맞게 형성되어 설치프레임(200)에 미리 고정하여 패널블록을 형성하거나 또는 설치프레임(200)을 설치판(100)에 걸어 고정한 다음 설치프레임(200)에 고정하여 줄 수 있다.
상기 패널(300)을 설치프레임(200)에 고정할 때에는 다양한 구성과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바(21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고정수단(220)에 패널(300)을 고정하기 위한 앵글(310)을 고정하여 준 다음 상기 앵글(310)에 패널(300)을 걸어서 고정하는 방식을 도면으로 예시하였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패널(300)이 석재와 같은 단단한 재질일 경우 앵글(310)을 패널(300)에 걸 수 있도록 가공하기가 용이치 않다. 따라서, 앵글(310)을 걸어 줄 수 있는 수단을 채택할 수 있는바, 오픈조인트(320)가 그것이다.
오픈조인트(320)는 도 13과 15a,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300)의 일면에서 앵글(310)이 걸릴 수 있는 위치에 미리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앵글(310)이 걸릴 수 있도록 레일홈(3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패널(300)은 건축물의 벽면을 장식하기 위해 설치되는 다양한 형태의 몰딩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설치프레임(200)의 크기와 형태를 구성하여서 벽면에 걸어 고정한 다음 몰딩 형태의 패널(300)을 설치프레임(200)에 고정하여서 설치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벽면에 내/외장재로 시공되는 조립식 패널 구조체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패널 구조체 시공방법은 패널(300)의 설치 방법에 따라 두 가지 예가 있을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설치판(100)을 다수 개가 구비하여 건축물 벽면에 미리 설정된 위치에 설치한다. 그런 다음 설치프레임(200) 전방에 패널(300)을 고정하여 형성한 패널블럭을 상기 설치판(100)에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패널블럭의 시공은 설치프레임(200)을 구성하는 트러스바(210)를 설치판(100)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앵글(110)에 걸어 준 다음 고정수단(220)을 지지앵글(110)에 체결하여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며, 패널블록을 벽면을 따라 정해진 위치에 차례로 상기와 같이 걸어서 고정함으로써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패널(300)을 설치프레임(200)에 미리 설치하는 경우 패널블록을 시공할 때 패널이 지지앵글(110) 부분을 가릴 수 있으므로, 해당 부분의 패널(300)은 미리 설치하지 않고 패널블록을 설치한 다음 마지막으로 설치프레임(200)에 고정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번째 방법은 설치판(100)을 다수 개가 구비하여 건축물 벽면에 미리 설정된 위치에 설치한다. 그런 다음 설치프레임(200)을 들어올려 상기 설치판(100)에 걸어주어 고정한 다음, 상기 설치프레임(200) 전방에 패널(300)을 고정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패널(300)을 미리 설치프레임(200)에 고정하지 않고 설치프레임(200)을 벽면에 설치한 상태에서 패널(300)을 시공하는 방법이다.
한편, 상기 설치프레임(200)을 지지앵글(110)에 걸어 줄 때에는 트러스바(210) 모서리 측이 지지앵글(110)에 걸리게 하되, 트러스바(210)의 끝단이 모서리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돌출된 부분이 지지앵글(110)에 걸리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설치프레임(200) 간의 간격 조절이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설치프레임(200)을 지지앵글(110)에 걸어 줄 때, 트러스바(210)가 맞닿은 지점 모서리 안쪽이 지지앵글(110)에 걸리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앵글(110)에 걸리는 트러스바(210)(횡 방향)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트러스바(210)(종 방향)가 설치프레임(200)이 지지앵글(110)에서 횡 방향으로 밀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게 된다.
이상이 과정을 통해 건축물의 벽면에 패널(300)을 신속하고 빠르게 시공하여 줄 수 있는 것이며, 패널(300)의 구성과 설치프레임(200)을 다양하게 형성하게 되면 판상의 패널(300) 뿐만 아니라 몰딩과 같이 다양한 형상의 패널(300) 또한 편리하게 시공하여 줄 수 있게 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설치프레임(200)에 창틀을 미리 설치하거나 창틀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하고 형성하여 시공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게 된다.
100 : 설치판, 110 : 지지앵글,
200 : 설치프레임, 210 : 트러스바,
212 : 개구부, 220 : 고정수단,
230 : 체결클립, 240 : 보강바,
250 : 보강클립, 300 : 패널
320 : 오픈조인트, 322 : 레일홈.

Claims (11)

  1. 다수 개가 마련되어 건축물 벽면에 미리 설정된 위치에 설치되되, 전면에 지지앵글(110)이 마련되는 설치판(100);
    몸체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부(212)가 형성되어 고정수단(220)이 상기 개구부(212)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트러스바(210)가 구비되되, 상기 트러스바(210)를 일정한 형태의 틀로 짜고 트러스바(210)가 만나거나 교차하는 지점에는 체결클립(230)이 상기 고정수단(220)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일정한 형태로 형성되는 다수의 설치프레임(200);
    상기 설치프레임(200)에 결합 되어 건축물의 벽면을 장식하거나 보호하는 패널(300);을 포함하여,
    상기 설치프레임(200)에 상기 패널(300)을 고정하고 트러스바(210)를 상기 설치판(100)에 형성된 지지앵글(110)에 걸어 고정함으로써 벽면에 설치하며,
    상기 설치프레임(200)은 지지앵글(110)에 걸리는 트러스바(210)의 끝단이 두 트러스바(210)가 만나는 지점 모서리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돌출된 부분이 지지앵글(110)에 걸림으로써, 인접하는 상기 설치프레임(200)의 간격을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에 내/외장재로 시공되는 조립식 패널 구조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앵글(110)은 상부가 개방된 'ㄷ'자 형태이되, 상기 트러스바(210)가 얹혀져 고정수단(220)이 상기 지지앵글(110)의 전면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고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에 내/외장재로 시공되는 조립식 패널 구조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프레임(200)은 두 트러스바(210)가 만나는 지점에 대각선 방향으로 보강바(240)가 더 설치되되, 상기 보강바(240)와 상기 트러스바(210)가 만나는 지점에는 보강클립(250)이 고정수단(220)에 체결되어 상기 보강바(240)가 설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에 내/외장재로 시공되는 조립식 패널 구조체.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300)은 일면에 오픈조인트(320)가 미리 설치되되, 상기 오픈조인트(320)에는 레일홈(322)이 형성되어 상기 설치프레임(200)에 고정된 앵글(310)에 걸려 패널(300)이 설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에 내/외장재로 시공되는 조립식 패널 구조체.
  6. 전면에 지지앵글(110)이 구비된 설치판(100)을 다수 개가 구비하여 건축물 벽면에 미리 설정된 위치에 설치하고,
    몸체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수단(220)이 결합되는 개구부(122)가 형성된 트러스바(210)를 일정한 형태의 틀로 짜서 형성한 설치프레임(200) 전방에 패널(300)을 고정하여 패널블럭을 형성하고,
    상기 패널블럭을 상기 지지앵글(110)에 걸어 시공하며,
    상기 설치프레임(200)은 모서리 측이 지지앵글(110)에 걸리되, 트러스바(210)의 끝단이 모서리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돌출된 부분이 지지앵글(110)에 걸리게 함으로써, 인접하는 상기 설치프레임(200)의 간격을 조절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에 내/외장재로 시공되는 조립식 패널 구조체 시공방법.
  7. 전면에 지지앵글(110)이 구비된 설치판(100)을 다수 개가 구비하여 건축물 벽면에 미리 설정된 위치에 설치하고,
    몸체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수단(220)이 결합되는 개구부(212)가 형성된 트러스바(210)를 일정항 형태의 틀로 짜서 형성한 설치프레임(200)을 상기 지지앵글(110)에 걸어준 다음,
    상기 설치프레임(200) 전방에 패널(300)을 고정하여 시공하며
    상기 설치프레임(200)은 모서리 측이 지지앵글(110)에 걸리되, 트러스바(210)의 끝단이 모서리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돌출된 부분이 지지앵글(110)에 걸리게 함으로써, 인접하는 상기 설치프레임(200)의 간격을 조절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에 내/외장재로 시공되는 조립식 패널 구조체 시공방법.
  8. 제6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프레임(200)은 상기 트러스바(210)에 결합된 고정수단(220)을 지지앵글(110)을 관통시켜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에 내/외장재로 시공되는 조립식 패널 구조체 시공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6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300)의 일면에는 레일홈(322)이 형성된 오픈조인트(320)가 미리 설치되어 상기 레일홈(322)에 상기 설치프레임(200)에 고정된 앵글(310)이 걸리게 하여 패널(300)을 설치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에 내/외장재로 시공되는 조립식 패널 구조체 시공방법.
KR1020110073620A 2011-07-25 2011-07-25 벽면에 내/외장재로 시공되는 조립식 패널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336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620A KR101336667B1 (ko) 2011-07-25 2011-07-25 벽면에 내/외장재로 시공되는 조립식 패널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620A KR101336667B1 (ko) 2011-07-25 2011-07-25 벽면에 내/외장재로 시공되는 조립식 패널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422A KR20130012422A (ko) 2013-02-04
KR101336667B1 true KR101336667B1 (ko) 2013-12-04

Family

ID=47893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620A KR101336667B1 (ko) 2011-07-25 2011-07-25 벽면에 내/외장재로 시공되는 조립식 패널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666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3388A (ko) 2014-09-18 2016-03-28 (주)세기경영기술연구원 콘크리트 건축물 외장용 석재패널의 긴결장치를 이용한 석재패널 시공방법
KR101808105B1 (ko) * 2017-01-24 2017-12-13 주식회사 동림 건축물 외장벽체 및 시공방법
KR102158072B1 (ko) * 2020-02-20 2020-09-2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입체적인 마감재 시공이 가능한 무용접 하지 프레임
KR102352299B1 (ko) * 2021-05-18 2022-01-17 이우준 간편한 조립성을 갖는 조립식 공장 도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0276A (ko) * 2002-12-30 2004-07-06 유각열 빔 보강용 잭
KR200423791Y1 (ko) * 2006-05-29 2006-08-10 김종성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KR100721211B1 (ko) * 2006-09-06 2007-05-23 원병욱 내/외장재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1004057B1 (ko) * 2010-06-15 2010-12-27 브릿지스톤(주) 건축용 트러스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0276A (ko) * 2002-12-30 2004-07-06 유각열 빔 보강용 잭
KR200423791Y1 (ko) * 2006-05-29 2006-08-10 김종성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KR100721211B1 (ko) * 2006-09-06 2007-05-23 원병욱 내/외장재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1004057B1 (ko) * 2010-06-15 2010-12-27 브릿지스톤(주) 건축용 트러스 조립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3388A (ko) 2014-09-18 2016-03-28 (주)세기경영기술연구원 콘크리트 건축물 외장용 석재패널의 긴결장치를 이용한 석재패널 시공방법
KR101808105B1 (ko) * 2017-01-24 2017-12-13 주식회사 동림 건축물 외장벽체 및 시공방법
KR102158072B1 (ko) * 2020-02-20 2020-09-2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입체적인 마감재 시공이 가능한 무용접 하지 프레임
KR102352299B1 (ko) * 2021-05-18 2022-01-17 이우준 간편한 조립성을 갖는 조립식 공장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422A (ko) 2013-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73909U1 (ru) Система профилей для модульного фасада здания
KR100916568B1 (ko) 건물의 벽체 패널 설치용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사용한벽체 패널 설치 방법
KR20120027141A (ko) 프리스트레스트 2축 보강재를 갖는 세멘트 모르타르 패널을 위한 기능 시스템
CA271622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cladding to structures
KR101336667B1 (ko) 벽면에 내/외장재로 시공되는 조립식 패널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709253B1 (ko) 이중결합형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
WO2010024720A1 (ru) Каркасное здание
KR101336959B1 (ko) 조립식 건축물의 모서리용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1433597B1 (ko) 조립식 건축물의 각도 조절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20210115404A (ko) 슬림벽돌 레일시스템
KR102250859B1 (ko) 내진용 건축 내외장 패널
KR20090005274A (ko) 건물의 외벽면 샌드위치 판넬 시공구조
KR101079991B1 (ko) 차수막, 벽체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벽체마감 장치 및 설치방법
KR101179549B1 (ko) 건축물 외벽의 차양고정장치
RU2632617C2 (ru) Способ облицовки фасада перекрытий при монолитном строительстве зданий
JP3759142B2 (ja) 組立式型枠ユニット
KR102408249B1 (ko) 내진 성능을 가진 건축외장용 복합패널
JP2020084492A (ja) 簡易建物
KR101336669B1 (ko) 건축물의 벽면에 내/외장재로 설치되는 판넬 구조체
TWM561109U (zh) 用於建築物外部牆體之預組牆板
JP2020084493A (ja) 簡易建物
RU2608369C2 (ru) Стыковоч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внешних стеновых материалов
KR101023543B1 (ko) 철골과 외벽패널의 체결 구조
JP6265677B2 (ja) 外部張出し構造
JP4570978B2 (ja) 外壁面材の脱着式取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