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5265B1 - 파이프 공급장비 - Google Patents

파이프 공급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5265B1
KR101335265B1 KR1020120017758A KR20120017758A KR101335265B1 KR 101335265 B1 KR101335265 B1 KR 101335265B1 KR 1020120017758 A KR1020120017758 A KR 1020120017758A KR 20120017758 A KR20120017758 A KR 20120017758A KR 101335265 B1 KR101335265 B1 KR 101335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loading
support
convey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7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6371A (ko
Inventor
서종무
김종주
김화섭
박태근
허종행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7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5265B1/ko
Publication of KR20130096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2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onveyers, e.g. of endless-belt or screw-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7D9/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articulated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파이프 공급장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공급장비는 상하로 구획된 다단의 파이프적재부와, 각 파이프적재부 측면의 개구를 개폐하는 다수의 개폐부재를 구비하고, 파이프를 운송하는 운송선에 탑재되는 적재선반; 적재선반의 경사를 조절하여 각 파이프적재부에 적재된 파이프를 개구로 배출시키는 경사조절장치; 및 파이프부설선의 측면 쪽에 설치되며 적재선반의 개구로부터 배출되는 파이프를 파이프부설선으로 밀어 올리는 파이프이송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이프 공급장비{PIPE SUPPLY EQUIPMENT}
본 발명은 파이프 공급장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를 운송하는 운송선으로부터 파이프부설선으로 파이프를 공급할 수 있는 파이프 공급장비에 관한 것이다.
해저에 파이프라인을 부설하는 방법은 파이프부설선(Pipe Laying Vessel) 위에서 용접 등을 수행하여 파이프라인을 만들고 이를 수중으로 내려 부설하는 방법과, 육상에서 용접 등으로 파이프라인을 만든 후 이를 현장까지 옮겨 부설하는 방법이 있다.
파이프부설선을 이용하여 파이프라인을 부설하는 방법은 파이프라인을 수중에 내리는 방식에 따라 S형 부설법(S-Laying), J형 부설법(J-Laying), 릴 부설법(Reel-Laying)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S형 부설법과 J형 부설법은 파이프들을 선상의 작업영역에서 용접 등으로 연결하여 파이프라인을 만들고, 이 파이프라인을 수중으로 내려 부설한다.
한편, 선상에서 파이프라인을 연결하는 파이프부설선은 선상에 보관된 파이프가 소진될 경우 운송선을 통해 육상으로부터 파이프를 공급받는다. 이때 운송선에 실린 파이프들은 통상 파이프부설선에 마련된 크레인을 이용하여 파이프부설선으로 옮긴다. 그리고 파이프부설선으로 옮겨진 파이프는 파이프부설선의 보관영역에 저장하였다가 파이프라인의 부설에 사용한다.
관련 선행기술로 미국등록특허 US 6,149,347호에는 운송선에 실린 파이프를 크레인을 이용하여 파이프부설선으로 옮기는 파이프부설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미국등록특허 US 6,149,347호(2000. 11. 21.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운송선에 실린 파이프를 파이프부설선으로 공급할 수 있는 파이프 공급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하로 구획된 다단의 파이프적재부와, 각 파이프적재부 측면의 개구를 개폐하는 다수의 개폐부재를 구비하고, 파이프를 운송하는 운송선에 탑재되는 적재선반; 상기 적재선반의 경사를 조절하여 상기 각 파이프적재부에 적재된 파이프를 상기 개구로 배출시키는 경사조절장치; 및 파이프부설선의 측면 쪽에 설치되며 상기 적재선반의 개구로부터 배출되는 파이프를 상기 파이프부설선으로 밀어 올리는 파이프이송장치를 포함하는 파이프 공급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적재선반은 상기 개구 쪽 하부가 상기 운송선 위에 마련된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반대편 하부가 상기 경사조절장치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경사조절장치는 상기 적재선반을 승강시키는 하나 이상의 유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이송장치는 그 상부가 상기 파이프부설선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적재선반의 개구 쪽으로 길게 연장되는 이송지지대와, 상기 이송지지대를 동작시켜 상기 이송지지대 하부와 상기 적재선반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거리조절장치와, 상기 이송지지대에 설치되며 상기 적재선반으로부터 상기 이송지지대로 배출된 파이프를 상기 파이프부설선 위로 밀어 올리는 이송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이송지지대에 상하로 길게 설치된 하나 이상의 무한궤도와, 파이프를 밀어서 이동시키는 위해 상기 무한궤도에 설치된 복수의 걸림부와, 상기 무한궤도를 구동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이송지지대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와, 파이프를 밀어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승강부재에 설치된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리조절장치는 상기 파이프부설선의 측면 쪽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지지대를 외측으로 밀거나 역으로 당겨주어 상기 이송지지대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개폐부재는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형태로 상호 폭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파이프 운송선에 적재된 파이프를 인접하게 위치하는 파이프부설선으로 이송시키는 파이프 공급장비에 있어서, 그 상부가 상기 파이프부설선의 측면 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파이프 운송선 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이송지지대와, 상기 이송지지대를 동작시켜 상기 이송지지대 하부와 상기 운송선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거리조절장치와, 상기 이송지지대에 설치되며 상기 운송선으로부터 상기 이송지지대로 옮겨진 파이프를 상기 파이프부설선 위로 밀어 올리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파이프 공급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공급장비는 파이프이송장치가 운송선의 적재선반으로부터 배출되는 파이프를 파이프부설선으로 연속하여 밀어 올리는 방식으로 공급하기 때문에 운송선으로부터 파이프부설선으로 파이프를 쉽고 빠르게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공급장비가 적용되는 파이프부설선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공급장비가 적용된 파이프부설선과 운송선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공급장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공급장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공급장비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공급장비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공급장비가 적용될 수 있는 파이프부설선을 나타낸다. 이 파이프부설선(100)은 S형 부설법으로 해저에 파이프라인(300)을 부설할 수 있도록 후미에 스팅거(160)가 장착된 선체(110)를 구비한다.
선체(110)의 저부에는 추진을 위한 복수의 추진기(111)가 설치되고, 선체(110) 내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파이프들(310)을 보관하는 보관실(112)이 마련된다. 선체(110)는 상측에 복층으로 구성되는 갑판들(121,122)을 구비하고, 여기에는 파이프들(310)을 연결하여 파이프라인(300)을 생산하기 위한 작업영역이 마련된다.
작업영역은 파이프들(310)을 길게 연결하여 최종 파이프라인(300)을 만드는 메인 작업라인(130)과, 메인 작업라인(130)으로 공급할 파이프들을 소망하는 길이로 연결하는 복수의 서브 작업라인(140)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작업라인(140)은 파이프의 연결을 위한 베벨링, 예열, 용접, 검사 등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고, 메인 작업라인(130)과 같은 층의 갑판(122) 또는 다른 층의 갑판(121)에 병렬 작업라인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메인 작업라인(13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수(101) 쪽으로부터 선미(102) 방향으로 길게 마련된다. 여기에는 복수 개소에 용접영역(131)이 마련됨으로써 서브 작업라인(140)에서 생산된 파이프들을 직렬로 배치한 상태에서 빠르게 연결할 수 있다. 메인 작업라인(130)에도 용접부분의 검사 및 피복을 위한 작업영역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메인 작업라인(130) 후미 쪽에는 생산된 파이프라인(300)을 수중으로 안내하기 위해 선미(102) 쪽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경사안내부(125)가 마련된다. 그리고 경사안내부(125) 직전의 메인 작업라인(130)에는 수중에 부설되는 파이프라인(300)의 무게를 지탱하면서 파이프라인(300)을 이동시키는 복수의 텐셔너(150,Tensioner)가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텐셔너들(150) 중 일부는 경사안내부(125)에 설치될 수도 있다.
스팅거(160)는 경사안내부(125)와 연계되는 파이프라인 지지경로를 형성하도록 선체(110)의 후미 쪽에 연결되며, 수중으로 진입하는 파이프라인(300)이 안전한 곡률로 휘어져 내릴 수 있도록 지지한다. 이러한 스팅거(160)는 선체(110)의 후미 쪽으로부터 하향경사를 유지하며 후방으로 연장되는 트러스구조물의 형태일 수 있고, 선체(110)에 설치된 크레인(115) 등의 지지수단에 의해 각도조절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스팅거(160)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라인(300)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 다수의 롤러(16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파이프부설선(100)은 선상에서 생산된 파이프라인(300)을 선체(110) 후미 쪽의 이동시켜 스팅거(160)로 지지하는 가운데 수중으로 내려 부설할 수 있다. 즉 S형 부설법으로 해저에 파이프라인을 부설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S형 부설법으로 파이프라인(300)을 부설하는 파이프부설선(100)을 하나의 예로써 설명하고 있으나, 파이프부설선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파이프부설선은 J형 부설법으로 파이프라인을 부설하는 선박일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5는 위에서 설명한 파이프부설선(100)으로 외부에서 파이프(310)를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공급장비를 나타낸다.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 공급장비는 다수의 파이프(310)를 정렬하여 적재한 상태로 운송선(200)에 탑재되는 적재선반(400)과, 적재선반(400)의 파이프(310)를 파이프부설선(100)으로 이송하기 위해 파이프부설선(100)의 측면 쪽에 각도조절 가능하게 설치된 파이프이송장치(500)를 포함한다.
운송선(200)은 통상의 바지선처럼 파이프를 적재한 상태에서 운반하는 선박일 수 있다. 적재선반(400)은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송선(200)의 선수에서 선미방향의 길이가 파이프(310)의 길이보다 큰 사각상자 형태의 철골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적재선반(400)은 그 내부에 다수의 파이프(310)를 정렬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상하로 구획된 다단의 파이프적재부(410a,410b,410c,410d)를 구비한다.
적재선반(40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파이프적재부(410a,410b,410c,410d)로 파이프(310)를 진입시켜 적재하거나 적재된 파이프(310)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운송선(200)의 좌현 또는 우현 쪽에 위치하는 각 파이프적재부(410a,410b,410c,410d)의 한쪽 측면에 개구(411a,411b,411c,411d)를 구비하고, 이들 개구를 각각 개폐하는 다수의 개폐부재(412a,412b,412c,412d)를 구비한다. 각 개폐부재(412a,412b,412c,412d)는 그 하단이 각 개구(411a,411b,411c,411d)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회전하여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들 개폐부재(412a,412b,412c,412d)는 적재선반(400)에 설치되는 전동식 개폐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적재선반(40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411a,411b,411c,411d) 쪽 하부가 운송선(200) 위에 마련된 지지부(4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반대편 하부가 적재선반(400)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는 경사조절장치(430)에 의해 지지된다. 경사조절장치(430)는 적재선반(400)의 하부를 승강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유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경사조절장치(430)로 적재선반(400)의 하부를 밀어 올려 적재선반(400)이 개구(411a,411b,411c,411d) 쪽으로 하향 경사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그 내부에 적재된 파이프(310)를 개구 쪽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후술할 파이프이송장치(500) 쪽으로 파이프를 배출시키기 위함이다.
파이프이송장치(500)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부가 파이프부설선(100)의 측면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운송선(200)의 적재선반(400) 개구(411a,411b,411c,411d) 쪽으로 길게 연장되어 파이프(310)의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이송지지대(510)와, 이송지지대(510) 하부와 적재선반(40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거리조절장치(520)와, 적재선반(400)으로부터 배출되는 파이프(310)를 파이프부설선(100) 위로 밀어 올리도록 이송지지대(510)에 설치된 이송유닛(530)을 포함한다.
거리조절장치(520)는 파이프부설선(100)의 측면 쪽에 설치되어 이송지지대(510)를 외측으로 밀거나 역으로 당겨주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리조절장치(520)가 이송지지대(510)를 적재선반(400) 쪽으로 밀거나 역으로 당겨서 적재선반(400)의 개구와 이송지지대(5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는 거리조절장치(520)가 유압실린더인 경우를 제시하지만, 거리조절장치(520)는 랙과 피니언장치, 이송나사장치처럼 변위를 유발할 수 있는 다른 기구적 장치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이송유닛(53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지지대(510)의 양측에 상하로 길게 설치된 두 무한궤도(531)와, 파이프(310)를 밀어서 이동시키기 위해 무한궤도(531) 외면에 돌출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걸림부(532), 무한궤도(531)를 구동하는 구동장치(533)를 구비한다.
이러한 이송유닛(530)은 구동장치(533)가 양측의 무한궤도(531)를 회전시키고, 무한궤도(531)에 결합된 걸림부(532)가 무한궤도(531)와 함께 상승하면서 적재선반(400)으로부터 배출되는 파이프(310)를 하나씩 밀어 올림으로써 파이프(310)를 파이프부설선(10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는 무한궤도가 복수인 경우을 예시하지만, 무한궤도는 폭이 넓게 형성될 경우 하나로도 구성될 수 있다.
적재선반(400)의 개구(411a,411b,411c,411d)를 개폐하는 다수의 개폐부재(412a,412b,412c,412d)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방식으로 상호 폭(상하방향 폭)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이송지지대(510)가 경사를 유지하는 관계로 이송지지대(510)와 적재선반(400)의 각 개구(411a,411b,411c,411d)의 거리가 상호 다른 점을 고려한 것으로 각 개폐부재(412a,412b,412c,412d)의 폭을 달리하여 개폐부재가 열릴 때 개폐부재가 적재선반(400)으로부터 배출되는 파이프(310)를 이송지지대(510)까지 원활히 안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부재(412a,412b,412c,412d)는 가로방향의 길이(L)가 파이프이송장치(500)의 두 무한궤도(531)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되어 두 무한궤도(531)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개폐부재(412a,412b,412c,412d)가 이송지지대(510) 쪽으로 펼쳐져 지지되더라도 무한궤도(531)와 간섭되지 않는다. 따라서 원활한 파이프(310)의 공급이 가능하다.
다시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파이프부설선(100)의 상부에는 파이프이송장치(500)에 의해 파이프부설선(100)으로 공급되는 파이프(310)를 선체(110) 내부의 보관실(112)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610)와, 파이프이송장치(500) 상부로부터 이동장치(610) 쪽으로 파이프(310)가 굴러 내리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레일(620)이 마련될 수 있다.
안내레일(620)과 이동장치(610) 사이에는 공급된 파이프들(310)이 일시적으로 안내레일(620)에 적치되었다가 이동장치(610)로 순차 공급되도록 하는 스토퍼(630)가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63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하는 승강부재(631)와, 승강부재(631)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6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파이프이송장치(500)의 이송지지대(510)에 설치되는 이송유닛의 다른 실시 예로, 이송유닛이 엘리베이터처럼 승강하는 방식으로 마련된 것이다. 이 이송유닛(550)은 이송지지대(510)에 마련된 레일(555)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재(551)와, 승강부재(551)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552)와, 파이프(310)를 밀어 올리도록 승강부재(551)에 설치된 걸림부(554)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장치(552)는 승강부재(551)와 연결된 케이블(553)을 감거나 풀어줄 수 있는 윈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걸림부(554)는 승강부재(551)에 설치된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접히거나 펴질 수 있다. 걸림부(554)는 승강부재(551)가 상승할 때 파이프(310)를 걸어서 올리도록 펴지고, 승강부재(551)가 하강할 때 승강부재(551)에 수용되도록 접힐 수 있다.
다음은 본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공급장비를 이용해 운송선(200)으로부터 파이프부설선(100)으로 파이프(310)를 공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부설선(100)에 설치된 파이프이송장치(500)는 평소 선체(110) 쪽으로 당겨져 선체(110) 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파이프들(310)은 운송선(200)의 적재선반(400)에 적재된 상태에서 파이프부설선(100) 쪽으로 운송될 수 있다. 적재선반(400)은 운송선(200)의 갑판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운송선(200)은 육상의 파이프공급처로부터 공급되는 파이프를 적재선반(400)에 채운 후 해상에서 작업하는 파이프부설선(100)으로 이동하여 파이프부설선(100)에 파이프(310)를 공급할 수 있다.
운송선(200)으로부터 파이프부설선(100)으로 파이프(310)를 공급할 때는 파이프이송장치(500)가 위치하는 파이프부설선(100)의 측방에 운송선(200)을 계류시킨다. 이 상태에서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이송장치(500)의 거리조절장치(520)를 동작시켜 이송지지대(510)를 외측으로 펼침으로써 이송지지대(510)의 하부와 적재선반(400) 사이의 거리를 적절하게 조정한다.
이송지지대(510)와 적재선반(40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한 후에는 적재선반(400)의 개폐부재(412a,412b,412c,412d) 중 하나를 개방한다. 그리고 경사조절장치(430)를 동작시켜 적재선반(400)이 개구(411a,411b,411c,411d) 쪽으로 기울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파이프적재부들(410a,410b,410c,410d) 중 개방된 파이프적재부의 파이프들(310)이 이송지지대(510) 쪽으로 굴러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파이프이송장치(500)의 이송유닛(530)을 동작시키면, 무한궤도(531)가 동작하면서 적재선반(400)으로부터 배출되는 파이프들(310)을 파이프부설선(100)의 위로 연속하여 밀어 올린다. 적재선반(400)에서는 어느 하나의 파이프적재부에 채워진 파이프(310)가 모두 옮겨진 후 다른 파이프적재부의 개구가 열림으로써 파이프를 연이어 공급할 수 있다. 즉 적재선반(400)의 모든 파이프(310)가 배출될 때까지 연이어 파이프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파이프부설선(100) 위에서는 파이프이송장치(500)에 의해 공급된 파이프(310)가 안내레일(620)을 통해 이동장치(610)로 안내되고, 이동장치(610)는 파이프(310)를 보관실(112)로 옮긴다. 이때 안내레일(620)과 이동장치(610) 사이의 스토퍼(630)는 안내레일(620)에 적치된 파이프(310)가 하나씩 이동장치(610)로 순차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파이프 공급장비는 운송선(200)의 적재선반(400)으로부터 파이프이송장치(500)로 파이프(310)를 공급하는 경우이나, 본 발명의 파이프 공급장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재선반(400)이 없는 운송선(200)으로부터 파이프이송장치(500)로 파이프(310)를 공급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이 경우 파이프이송장치(500)의 구성 및 동작은 앞서 언급한 예와 동일하고, 운송선(200)에서는 적재된 파이프(310)를 하나씩 옮겨서 파이프이송장치(500)로 공급하는 방식일 수 있다.
100: 파이프부설선, 200: 운송선,
310: 파이프, 400: 적재선반,
430: 경사조절장치, 500: 파이프이송장치,
510: 이송지지대, 520: 거리조절장치,
530,550: 이송유닛, 531: 무한궤도,
532,554: 걸림부, 533,552: 구동장치.

Claims (12)

  1. 상하로 구획된 다단의 파이프적재부 및 각 파이프적재부 측면의 개구를 개폐하는 다수의 개폐부재를 구비하고, 파이프를 운송하는 운송선에 탑재되는 적재선반;
    상기 적재선반의 경사를 조절하여 상기 각 파이프적재부에 적재된 파이프를 상기 개구로 배출시키는 경사조절장치; 및
    파이프부설선의 측면 쪽에 설치되며 상기 적재선반의 개구로부터 배출되는 파이프를 상기 파이프부설선으로 밀어 올리는 파이프이송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이송장치는 그 상부가 상기 파이프부설선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적재선반의 개구 쪽으로 길게 연장되는 이송지지대와, 상기 이송지지대를 동작시켜 상기 이송지지대 하부와 상기 적재선반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거리조절장치와, 상기 이송지지대에 설치되며 상기 적재선반으로부터 상기 이송지지대로 배출된 파이프를 상기 파이프부설선 위로 밀어 올리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파이프 공급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선반은 상기 개구 쪽 하부가 상기 운송선 위에 마련된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반대편 하부가 상기 경사조절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파이프 공급장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조절장치는 상기 적재선반을 승강시키는 하나 이상의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파이프 공급장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이송지지대에 상하로 길게 설치된 하나 이상의 무한궤도와, 파이프를 밀어서 이동시키는 위해 상기 무한궤도에 설치된 복수의 걸림부와, 상기 무한궤도를 구동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파이프 공급장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이송지지대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와, 파이프를 밀어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승강부재에 설치된 걸림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공급장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조절장치는 상기 파이프부설선의 측면 쪽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지지대를 외측으로 밀거나 역으로 당겨주어 상기 이송지지대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파이프 공급장비.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개폐부재는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형태로 상호 폭이 다르게 형성되는 파이프 공급장비.
  9. 파이프 운송선에 적재된 파이프를 인접하게 위치하는 파이프부설선으로 이송시키는 파이프 공급장비에 있어서,
    그 상부가 상기 파이프부설선의 측면 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파이프 운송선 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이송지지대;
    상기 이송지지대를 동작시켜 상기 이송지지대 하부와 상기 운송선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거리조절장치; 및
    상기 이송지지대에 설치되며 상기 운송선으로부터 상기 이송지지대로 옮겨진 파이프를 상기 파이프부설선 위로 밀어 올리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파이프 공급장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이송지지대에 상하로 길게 설치된 하나 이상의 무한궤도와, 파이프를 밀어서 이동시키는 위해 상기 무한궤도에 설치된 복수의 걸림부와, 상기 무한궤도를 구동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파이프 공급장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이송지지대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와, 파이프를 밀어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승강부재에 설치된 걸림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공급장비.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조절장치는 상기 파이프부설선의 측면 쪽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지지대를 외측으로 밀거나 역으로 당겨주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파이프 공급장비.
KR1020120017758A 2012-02-22 2012-02-22 파이프 공급장비 KR101335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758A KR101335265B1 (ko) 2012-02-22 2012-02-22 파이프 공급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758A KR101335265B1 (ko) 2012-02-22 2012-02-22 파이프 공급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371A KR20130096371A (ko) 2013-08-30
KR101335265B1 true KR101335265B1 (ko) 2013-12-03

Family

ID=49219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7758A KR101335265B1 (ko) 2012-02-22 2012-02-22 파이프 공급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52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79597A (zh) * 2016-01-09 2016-04-13 广东科捷龙机器人有限公司 一种全自动制管成型装置
CN105479596A (zh) * 2016-01-09 2016-04-13 广东科捷龙机器人有限公司 一种水泥管全自动生产线
KR101847306B1 (ko) * 2016-12-30 2018-05-2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화된 파이프 이송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839B1 (ko) * 2014-02-07 2015-03-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드릴쉽
KR101530980B1 (ko) * 2014-08-11 2015-06-25 주식회사 디에스아이 유공관 성형장치
CN110194351A (zh) * 2018-02-24 2019-09-03 江苏双辉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输送碳棒的自动送料机构
CN110902250B (zh) * 2020-02-17 2020-06-19 山东炎黄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车间智能输送***及其输送方法
CN117141999B (zh) * 2023-11-01 2024-02-13 山东威猛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建筑材料输送装置及方法
CN117864653B (zh) * 2024-03-12 2024-05-31 泰州市中盛机电有限公司 基于铰接式可进行调节的薄膜放置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935U (ja) * 1992-06-22 1994-03-29 サンエイ株式会社 長尺丸棒の整列装置
JP2007131308A (ja) * 2005-11-08 2007-05-31 Hokkaido Seikan Kogyo Kk 肥料配送用コンテナ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935U (ja) * 1992-06-22 1994-03-29 サンエイ株式会社 長尺丸棒の整列装置
JP2007131308A (ja) * 2005-11-08 2007-05-31 Hokkaido Seikan Kogyo Kk 肥料配送用コンテナ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79597A (zh) * 2016-01-09 2016-04-13 广东科捷龙机器人有限公司 一种全自动制管成型装置
CN105479596A (zh) * 2016-01-09 2016-04-13 广东科捷龙机器人有限公司 一种水泥管全自动生产线
KR101847306B1 (ko) * 2016-12-30 2018-05-2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화된 파이프 이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371A (ko) 201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5265B1 (ko) 파이프 공급장비
EP2462369B1 (en) Tubular handling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tubulars
US20120061504A1 (en) Transporting and installing flexible pipe
KR101358148B1 (ko) 파이프라인 부설선박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라인 부설방법
US9625057B2 (en) Multi-activity pipe-laying vessel
KR20150143705A (ko) 해저 유정시추공 작업 선박
EP2551231B1 (en) Hold crane as well as pipefeeder vessel with such hold crane
DK2801740T3 (en) Plumbing system, device and method of use
EP3156317B1 (en) Laying vessel, auxiliary structure,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reels
KR101347356B1 (ko) 파이프부설선 및 이를 이용한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장치와 부설방법
KR101394498B1 (ko) 조수간만차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로로선의 하역시스템
NL2013894B1 (en) Marine pipelaying system and method for lowering and/ or raising an offshore pipeline and including one or more accessories thereto.
KR20130093304A (ko) 파이프부설선
EP3478566B1 (en) System and method
NL9900022A (nl) Werkwijze voor het uit te voegen pijpsecties samenstellen en onderwater geleiden en installeren van een onderzeese pijpleiding, en een maritieme installatie voor het ten uitvoer brengen van de werkwijze.
KR102022097B1 (ko) 일체형 대차를 갖는 선양장 구조물 및 상기 선양장에서의 도킹방법
GB2507222A (en) A modular system for installing a pipeline with pipe section racks and conveyor means
NL2017175B1 (en) Installation pallet
KR101335252B1 (ko) 부유식 파이프라인 지지장치 및 이를 갖춘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