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3935B1 - 연료전지 단위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카세트형 연료전지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단위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카세트형 연료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3935B1
KR101333935B1 KR1020120057464A KR20120057464A KR101333935B1 KR 101333935 B1 KR101333935 B1 KR 101333935B1 KR 1020120057464 A KR1020120057464 A KR 1020120057464A KR 20120057464 A KR20120057464 A KR 20120057464A KR 101333935 B1 KR101333935 B1 KR 101333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case
cell unit
unit pack
current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진
김기정
윤용식
전유택
Original Assignee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7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39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06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58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67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having heating or cooling means, e.g. heaters or coolant flow chann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574Current
    • H01M8/04589Current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84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characterised by external manifo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 단위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카세트형 연료전지에 관한 것으로, 제 1 면에 형성되는 냉각수 유로와 제 2 면에 형성되는 반응가스 유로에 의해 형성되는 채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 1 매니폴드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연료전지용 분리판과 상기 연료전지용 분리판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막-전극접합체(MEA)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과, 상기 연료전지 스택 중 양쪽 가장자리의 상기 연료전지용 분리판에 각각 밀착 결합되며, 상기 제 1 매니폴드부에 대응되는 제 2 매니폴드부를 포함하는 전류집전체와, 상기 전류집전체의 양측에서 밀착 결합되고, 상기 연료전지 스택 및 상기 전류집전체 결합 구조를 박스형태로 패키징 하는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에는 상기 제 2 매니폴드부에 대응되는 각각의 제 3 매니폴드부가 포함되는 연료전지 단위 팩을 제공하고, 이들을 직렬로 연결하거나, 끼워서 사용할 수 있는 카셋트형 연료전지를 제조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료전지 단위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카세트형 연료전지{FUEL CELL UNIT PACK AND CASSETTE-TYPE FUEL CELL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료전지 단위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카세트형 연료전지에 관한 것으로, 연료전지 스택을 단위 팩으로 형성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출력 용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연료전지 기술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는 수소 가스와 산소 가스를 이용하여 전기 화학적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장치로서, 외부에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연료(수소) 및 공기(산소)를 전기화학반응에 의하여 직접 전기에너지와 열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연료전지는, 산화전극(anode)에서의 산화반응 및 환원전극(cathode)에서의 환원반응을 이용하여 전력(electric power)을 생성하게 된다. 이때, 산화 및 환원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해 백금 또는 백금-루테늄 금속 등을 포함하는 촉매층과 고분자 전해질막으로 구성된 막-전극 접합체(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가 사용되며 막-전극 접합체 양단으로 전도성 물질의 분리판이 체결되어 셀(CELL) 구조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은 셀 구조가 적층되어 연료전지 스택을 구성하게 되는데, 현재 상술한 연료전지는 대체 에너지(alternative energy source)로서 다양한 용도로 연구 및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를 들 수 있다.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는 출력밀도 및 에너지 전환효율이 높고 소형화 및 밀폐화가 가능한 장점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연료전지는 무공해 자동차, 가정용 발전 시스템, 이동통신장비, 군사용 장비, 의료기기 등 여러 가지 분야에서 대체에너지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연료전지 자동차에 사용되는 스택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셀을 적층시켜야 하고, 운전시 스택 성능의 저하 예컨대 역전 현상 또는 단락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적층된 다수의 셀 전압을 항상 측정하여야 한다.
즉, 이러한 연료 전지 스택의 평가는 연료 전지 스택에서 발생되는 전류와 전압 측정으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각 셀(CELL)의 전압 측정은 스택 운전 시, 각 셀의 성능 및 특성을 나타내 주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따라서 연료 전지 스택이 최적의 상태로 안정적으로 운전되고 갑작스런 성능 감소에 따른 운전 정지를 위해선 각 셀의 전압을 정확하여 모니터링 해야 하며, 그에 따라 셀 전압 측정장치의 정확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다수의 연료전지 분리판으로 이루어진 스택 셀의 전력을 검출하는 경우 데이터 처리 능력에 한계가 있어, 연료전지의 상태를 신속하게 측정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일부 연료전지 분리판의 고장 발생시 전체 연료전지 스택의 작동을 중지시킨 상태에서 수리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때, 고장 부분이 어느 지점인지 파악하는 일 또한 쉬운 문제가 아니므로, 연료전지를 제조한 후 유지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관련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23150호(2005.10.19 공고)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 및 그 운전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연료전지 분리판을 소정 개수 별로 묶어서 정해진 단위 별로 출력할 수 있는 연료전지 단위 팩을 제조하고, 연료전지 단위 팩을 끼워서 사용할 수 있는 카세트형 연료전지를 제조함으로써, 연료전지의 출력 용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연료전지 단위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카세트형 연료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단위 팩은 제 1 면에 형성되는 냉각수 유로와 제 2 면에 형성되는 반응가스 유로에 의해 형성되는 채널부와 상기 채널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 1 매니폴드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연료전지용 분리판과, 상기 복수개의 연료전지용 분리판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막-전극접합체(MEA)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과, 상기 연료전지 스택 중 양쪽 가장자리의 연료전지용 분리판에 각각 밀착 결합되며, 상기 제 1 매니폴드부에 대응되는 제 2 매니폴드부를 포함하는 전류집전체와, 상기 전류집전체의 양측에서 밀착 결합되고, 상기 연료전지 스택 및 상기 전류집전체 결합 구조를 박스형태로 패키징 하는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 및 상기 제 2 매니폴드부에 대응되며, 상기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에 각각 형성되는 제 3 매니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료전지용 분리판은 각 분리판 본체의 둘레 및 각 분리판 본체 내면의 실링을 필요로 하는 부위에 형성되는 가스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전류집전체는 구리(Cu), 니켈(Ni), 철(Fe), 티타늄(Ti), 크롬(Cr), 알루미늄(Al) 및 전도성 카본(C)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진 플레이트(Plate)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류집전체는 금(Au), 백금(Pt), 금속질화물 AxByN(A: Cr, Ti, Al, B : Cr, Ti, Al, C) 및 금속탄화물 AxC(A: Cr, Ti, Al)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물질로 표면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류집전체는 전류 인가 및 수집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를 관통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전류 인가용 전극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 연료전지용 분리판 및 상기 막-전극접합체(MEA) 사이에 배치되는 가스확산층(GDL)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는 상기 제 3 매니폴드부를 밀봉시킬 수 있는 차단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냉각수 및 상기 반응가스의 입출구를 포함하는 제 1 엔드 모듈이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냉각수 및 상기 반응가스의 흐름을 유도하여 상기 제 1 엔드 모듈로 순환시키는 제 2 엔드 모듈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케이스 또는 제 2 케이스는 상기 냉각수 및 상기 반응가스를 공급하는 연료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단위 팩은 제 1 면에 형성되는 냉각수 유로와 제 2 면에 형성되는 반응가스 유로에 의해 형성되는 채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 1 매니폴드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연료전지용 분리판과, 상기 연료전지용 분리판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막-전극접합체(MEA)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과, 상기 연료전지 스택 중 양쪽 가장자리의 연료전지용 분리판에 각각 밀착 결합되며, 상기 제 1 매니폴드부에 대응되는 제 2 매니폴드부를 포함하는 전류집전체와, 상기 제 2 매니폴드부를 밀봉시킬 수 있는 차단 커버 및 상기 전류집전체를 연결하여,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체결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매니폴드부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수 및 상기 반응가스를 공급하는 연료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류집전체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냉각수 및 상기 반응가스의 입출구를 포함하는 제 1 엔드 모듈이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냉각수 및 상기 반응가스의 흐름을 유도하여 상기 제 1 엔드 모듈로 순환시키는 제 2 엔드 모듈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형 연료전지는 상술한 연료전지 단위 팩을 포함하되, 상기 연료전지 단위 팩 둘 이상이 직렬로 연결되며, 매니폴드부가 서로 관통되는 형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료전지 단위 팩 연결 상태를 고정시키거나, 상기 연료전지 단위 팩이 끼워질 수 있는 여분의 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 구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료전지 단위 팩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전류검출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료전지 단위 팩 중 양측 최외곽에 형성되는 어느 하나에 상기 냉각수 및 상기 반응가스의 입출구를 포함하는 제 1 엔드 모듈이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냉각수 및 상기 반응가스의 흐름을 유도하여 상기 제 1 엔드 모듈로 순환시키는 제 2 엔드 모듈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단위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카세트형 연료전지는 소정 용량의 단위 전류를 출력할 수 있는 연료전지 연료전지 단위 팩을 형성함으로써, 필요에 따라서 출력 용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고장 발생시 해당 연료전지 단위 팩만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 관리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단위 팩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단위 팩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단위 팩의 차단 커버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형 연료전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단위 팩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형 연료전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형 연료전지에 엔드 모듈이 결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형 연료전지에 엔드 모듈이 결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단위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카세트형 연료전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 및 도면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즉,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에서는 고분자형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고분자형 연료전지에 반드시 한정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히, 고분자막을 전해질로 사용하는 연료전지로서 SPEFC(Solid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SPFC(Solid polymer fuel cell), PEFC(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DMFC(Direct Methanol Fuel Cell) 및 PEMFC(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와 같은 용어로도 사용되고 있으므로, 본원발명은 전극집전체(Current Collector)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분야에 전반적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단위 팩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연료전지 단위 팩(100)은 제 1 면에 형성되는 냉각수 유로와 제 2 면에 형성되는 반응가스 유로에 의해 형성되는 채널부(12)를 포함하고, 채널부(12)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 1 매니폴드부(14)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연료전지용 분리판(10)이 구비된다. 이때, 반응가스는 수소 또는 공기를 정의하고 있으며, 냉각수 유로는 제 2 면에서 제 1 면으로 형성된 돌출부 사이의 영역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2 면에는 상대적으로 오목한 부분이 반응가스 유로로서 형성된다.
여기서, 냉각수 유로가 돌출되거나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은 상황에 따라서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으며, 도시된 유로의 형태 또한 예시적인 형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연료전지용 분리판(10) 각각의 사이에 복수개의 막-전극접합체(MEA)가 배치된다. 이때, 막-전극접합체(MEA, 15)는 고분자 전해질막과 그 양쪽면에 각각 형성되는 산화전극과 환원전극(미도시)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 다음으로, 연료전지용 분리판(10)과 연료전지용 분리판(10) 사이에는 각 분리판 본체의 둘레 및 각 분리판 본체 내면의 실링을 필요로 하는 부위에 형성되는 가스켓(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아울러, 연료전지용 분리판(10) 및 막-전극접합체(15) 사이에 반응가스가 연료전지 분리판(10) 전면에 확산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가스확산층(GDL)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막-전극접합체(15)를 중심으로 양면에 연료전지 분리판(10)이 접합된 구조를 연료전지를 이용한 전기 발전을 위한 하나의 단위 셀로 볼 수 있으며, 이러한 단위 셀의 적층 구조를 연료전지 스택(10s)이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시스템에 요구되는 출력 용량 별로 연료전지 분리판(10) 개수를 조절하여, 연료전지 스택(10s)을 형성한다. 예를들어, 1000Wh의 출력 용량을 요구하는 시스템에서는 100Wh의 출력 용량을 가지는 연료전지 스택(10s) 10개를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설정하고, 100Wh에 맞는 개수만큼의 연료전지 분리판(10)을 적층시킨다.
그 다음으로 연료전지 스택(10s) 중 양쪽 가장자리의 상기 연료전지 분리판(10)에 밀착 결합되어, 전류 인가 및 수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류집전체(20)가 형성한다. 이때, 전류집전체(20)의 양 에지부에는 제 1 매니폴드부(14)에 대응되는 제 2 매니폴드부(25)가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류집전체(20)는 연료전지 분리판(10)의 전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양측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서 연료전지 분리판(10)들을 압착 고정시킬 수 있어야 하므로, 소정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Plate)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류집전체(20)는 구리(Cu), 니켈(Ni), 철(Fe), 티타늄(Ti), 크롬(Cr), 알루미늄(Al) 및 전도성 카본(C)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매니폴드부(25)를 포함하는 전류집전체(20)의 전체 표면에는 금(Au), 백금(Pt), 금속질화물 AxByN(A: Cr, Ti, Al, B : Cr, Ti, Al, C) 및 금속탄화물 AxC(A: Cr, Ti, Al)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물질로 표면이 코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류집전체(20)는 전류 인가 및 수집 기능을 수행하는 전류 인가용 전극 단자가 연결될 수 있다.
그 다음에는 전류집전체(20)의 양측에서 밀착 압력을 인가할 수 있고, 연료전지 스택(10s) 및 전류집전체(20) 결합 구조를 박스형태로 패키징 할 수 있는 제 1 케이스(30) 및 제 2 케이스(50)를 형성한다. 이때, 제 1 케이스(30) 및 제 2 케이스(50)에는 제 2 매니폴드부(25)에 대응되는 각각의 제 3 매니폴드부(40, 45, 60, 65)가 포함되도록 한다.
그 다음으로, 제 1 케이스(30) 및 제 2 케이스(30)에는 각각 냉각수 및 상기 반응가스를 순환시키기 위한 제 1 엔드 모듈 및 제 2 엔드 모듈이 연결될 수 있는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하기 도 8 및 도 9를 통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아울러, 제 1 케이스(30) 및 제 2 케이스(50)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 중 어느 물질로든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케이스(30) 및 제 2 케이스(50)는 연료전지 스택(10s)을 중심부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결합되는데, 그 결합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즉, 제 1 케이스(30) 및 제 2 케이스(50)가 서로 접촉되는 경계부에 용접을 하거나, 나사를 이용하여 결합시키거나, 본드를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방식 중 어느 것이든 사용될 수 있으며, 외부에서 두 케이스의 결합상태를 지지시키는 별도의 지지 수단을 두어도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춤으로써, 소정 출력 용량을 가지는 연료전지 단위 팩이 완성되며, 그 구체적인 결합 형태는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단위 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 케이스(30) 및 제 2 케이스(50)에 의해서 하나의 연료전지 단위 팩(100)이 완성된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성된 연료전지 단위 팩(100)은 정형화된 카트리지 형태로서, 각각의 결합 또는 소정 프레임을 가지는 카세트에 장착되어 연료전지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의 동작을 위해서, 반응가스(연료) 및 냉각수의 공급 및 배출을 담당하는 공급 및 배출 장치가 외장형태로 장착될 수 있으며, 제 1 케이스(30) 및 제 2 케이스(50)의 내부 공간에 내장형태로도 장착될 수 있다.
반응가스(연료) 및 냉각수의 공급 및 배출을 담당하는 공급 및 배출 장치를 편의상 연료탱크라고 할 때, 연료탱크가 외장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제 3 매니폴드부(40, 45, 60, 65)에 연결되어야 한다.
여기서, 제 3 매니폴드부를 1측, 2측, 3측, 4측으로 분류할 때, 연료탱크의 공급부가 1측에 연결된다면, 배출부는 3측이 되어야 하고, 나머지 2측과 4측은 닫혀 있는 형태가 되어야 한다.
또한, 카트리지형 연료전지로 사용되는 경우 중간에 삽입되는 연료전지 단위 팩의 경우에는 모든 제 3 매니폴드부(40, 45, 60, 65)가 열려 있어야 한다. 아울러, 연료탱크가 내장형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모든 제 3 매니폴드부(40, 45, 60, 65)가 닫혀 있어야 하고, 내부에 연료탱크와 제 2 매니폴드부를 연결하는 별도의 연결 수단이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 3 매니폴드부(40, 45, 60, 65)의 열림과 닫힘을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차단 커버가 필요하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3 매니폴드부(40, 45, 60, 65)의 차단 커버(40c)를 나타낸 개략도 이다.
도 3에 도시된 차단 커버(40c)는 제 3 매니폴드부(40, 45, 60, 65)의 내측에 구비된 형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 형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단위 팩의 차단 커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매니폴드부(40)의 내측에 형성된 차단 커버(40c)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 3 매니폴드부(40)의 외측 지점에 차단 커버(40c) 회전축(40b)이 구비되고, 내부에 차단 커버(40c)가 움직일 수 있는 슬릿형 공간이 마련됨으로써, 제 3 매니폴드부(40)가 개폐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때, 차단 커버(40c)에는 수동으로 개패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핸들(40d)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조작핸들(40d)이 고정될 수 있도록 제 3 매니폴드부(40)의 모서리 부에는 고정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닫힘 상태에서 제 3 매니폴드부(40)가 완벽하게 밀봉상태로 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실링부재가 차단 커버(40c)의 외측 표면 또는 제 3 매니폴드부(40)의 내측면에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매니폴드부의 차단 커버 형태는 극히 제한적인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그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카메라 렌즈의 조리개식 커버를 들을 수 있으며, 소정의 홈을 개폐할 수 있는 형태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단위 팩(100)은 박스 형태의 단위체로 형성되며, 이들을 카세트 형식으로 결합함으로써, 필요한 용량을 가지는 연료전지를 제조하거나, 보수 시에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형 연료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단위 팩(100)을 5 ~ 20개씩 연결하여 하나의 카세트형 연료전지(200)로서 사용하는 예를 도시한 것으로, 별도의 프레임 부재를 제조하여 끼움 형식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각 연료전지 단위 팩에 포함되는 제 1 내지 제 3 매니폴드부들(40)은 서로 관통하는 형태로 연결하여야 하며, 각 연료전지 단위 팩에 형성되는 전극 단자들은 서로 직렬로 연결되도록 하여야 한다. 전극 단자들은 제 1 및 제 2 케이스를 관통하여 서로 접속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최 외곽의 연료전지 단위 팩에 형성되는 전극 단자들(210, 220)은 제 1 및 제 2 케이스의 상부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단위 팩은 카세트에 끼워지는 위치에 따라서 그 형태를 다르게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최 외곽의 연료전지 단위 팩은 전극 단자용으로 형성하되, 매니폴드부(40)에 차단 커버를 더 형성하여, 선택적으로 연료탱크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카세트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내부 끼움용 연료전지 단위 팩은 상기와 같은 차단 커버를 생략하여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상기 도 1에서의 제 1 및 제 2 케이스도 생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전류집전체 간의 밀착 결합이 어려워 질 수 있으므로, 별도의 체결봉을 형성하여 연료전지 단위 팩 형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연료전지 단위 팩에 대한 실시예는 하기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단위 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카세트 내에 결합될 것을 고려하여 외부 케이스를 생략하고, 전류집전체에 의해서 연료전지 단위 팩(300) 형태가 유지되도록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내장형으로 형성되는 체결봉(350) 및 너트(360)에 의해서 연료전지 스택(310s)에 밀착 결합된다.
여기서, 전류집전체(320)에 매니폴드부(340, 345)가 형성되도록 하고, 최 외곽부에 끼워지는 것을 대비하여, 매니폴드부(340)의 내측에 차단 커버(340c)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차단 커버(340c)에는 상기 도 4에서와 같은 회전축(340b)과 조작핸들(340d)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전류집전체(320)에는 각각 냉각수 및 상기 반응가스를 순환시키기 위한 제 1 엔드 모듈 및 제 2 엔드 모듈이 연결될 수 있는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하기 도 8 및 도 9를 통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외부 커버를 생략하고 연료전지 단위 팩을 형성한 경우 단가를 절약할 수 있고, 팩의 크기도 감소시킬 수 있으나, 이를 이용하여 카세트형 연료전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프레임 구조를 형성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실시예를 하기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형 연료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골조 구조의 카세트형 프레임(450)이 형성되고, 각 연료전지 단위 팩이 끼워지는 영역 사이사이에는, 매니폴드부(470)를 포함하는 내벽(460)이 형성된다.
여기에, 필요 출력 용량에 따라서 연료전지 단위 팩(300)을 끼우고, 각 연료전지 단위 팩(3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카세트형 연료전지(400)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형 연료전지에 엔드 모듈이 결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형 연료전지에 엔드 모듈이 결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상술한 제 1 엔드 모듈(610) 및 제 2 엔드 모듈(620)을 카세트형 연료전지(600)에 실질 적으로 적용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세트형 프레임(550)에 각 연료전지 단위 팩(500)들이 끼워지고, 양측 최외곽 부에 제 1 엔드 모듈(610) 및 제 2 엔드 모듈(620)이 각각 연결된다. 이때, 제 1 엔드 모듈(610)은 수소가스의 입구(640a) 및 출구(640b)를 포함하며, 공기의 입구(650a) 및 출구(650b)를 포함하고, 냉각수의 입구(660a) 및 출구(660b)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 입출구는 도시된 위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쌍을 이루는 형태면 어떠한 위치든 제한 없이 가능하다.
아울러, 제 2 엔드 모듈(620)은 수소가스, 공기 및 냉각수의 흐름을 각각 변경시켜서, 다시 제 1 엔드 모듈(610)로 순환되도록 하는 변경유로(670)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제 1 및 제 2 엔드 모듈(610, 620)은 카세트형 연료전지에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상술한 도 1의 제 1, 제 2 케이스(30, 50) 또는 도 6의 전류집전체(320)에 내장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단위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카세트형 연료전지는 소정의 전력 용량을 출력할 수 있는 연료전지 단위 팩을 형성함으로써, 필요에 따라서 출력 용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고장 발생시 해당 연료전지 단위 팩만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 관리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활용범위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연료전지용 분리판 12 : 채널부
14 : 제 1 매니폴드부 15 : 막-전극접합체
10s, 310s : 연료전지 스택 20, 320 : 전류집전체
25 : 제 2 매니폴드부 30 : 제 1 케이스
40, 45, 60, 65 : 제 3 매니폴드부 50 : 제 2 케이스
40b, 340b : 회전축 40c, 340c : 차단 커버
40d, 340d : 조작핸들 100, 300 : 연료전지 단위 팩
200, 400, 600 : 카세트형 연료전지 210, 220 : 전극 단자
350 : 체결봉 360 : 너트
340, 470 : 매니폴드부 450, 550 : 카세트형 프레임
460 : 내벽 610 : 제 1 엔드 모듈
620 : 제 2 엔드 모듈 640a : 수소가스의 입구
640b : 수소가스의 출구 650a : 공기의 입구
650b : 공기의 출구 660a : 냉각수의 입구
660b : 냉각수의 출구 670 : 변경유로

Claims (16)

  1. 제 1 면에 형성되는 냉각수 유로와 제 2 면에 형성되는 반응가스 유로에 의해 형성되는 채널부와 상기 채널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 1 매니폴드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연료전지용 분리판과, 상기 복수개의 연료전지용 분리판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막-전극접합체(MEA)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
    상기 연료전지 스택 중 양쪽 가장자리의 연료전지용 분리판에 각각 밀착 결합되며, 상기 제 1 매니폴드부에 대응되는 제 2 매니폴드부를 포함하는 전류집전체;
    상기 전류집전체의 양측에서 밀착 결합되고, 상기 연료전지 스택 및 상기 전류집전체 결합 구조를 박스형태로 패키징 하는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 및
    상기 제 2 매니폴드부에 대응되며, 상기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에 각각 형성되는 제 3 매니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단위 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용 분리판은 각 분리판 본체의 둘레 및 각 분리판 본체 내면의 실링을 필요로 하는 부위에 형성되는 가스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단위 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집전체는 구리(Cu), 니켈(Ni), 철(Fe), 티타늄(Ti), 크롬(Cr), 알루미늄(Al) 및 전도성 카본(C)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진 플레이트(Plate)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단위 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집전체는 금(Au), 백금(Pt), 금속질화물 AxByN(A: Cr, Ti, Al, B : Cr, Ti, Al, C) 및 금속탄화물 AxC(A: Cr, Ti, Al)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물질로 표면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단위 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용 분리판 및 상기 막-전극접합체(MEA) 사이에 배치되는 가스확산층(GDL)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단위 팩.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집전체는 전류 인가 및 수집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를 관통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전류 인가용 전극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단위 팩.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는 상기 제 3 매니폴드부를 밀봉시킬 수 있는 차단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단위 팩.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냉각수 및 상기 반응가스의 입출구를 포함하는 제 1 엔드 모듈이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냉각수 및 상기 반응가스의 흐름을 유도하여 상기 제 1 엔드 모듈로 순환시키는 제 2 엔드 모듈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단위 팩.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 또는 제 2 케이스는 상기 냉각수 및 상기 반응가스를 공급하는 연료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단위 팩.
  10. 제 1 면에 형성되는 냉각수 유로와 제 2 면에 형성되는 반응가스 유로에 의해 형성되는 채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 1 매니폴드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연료전지용 분리판과, 상기 연료전지용 분리판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막-전극접합체(MEA)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
    상기 연료전지 스택 중 양쪽 가장자리의 연료전지용 분리판에 각각 밀착 결합되며, 상기 제 1 매니폴드부에 대응되는 제 2 매니폴드부를 포함하는 전류집전체;
    상기 제 2 매니폴드부를 밀봉시킬 수 있는 차단 커버; 및
    상기 전류집전체를 연결하여,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체결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단위 팩.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매니폴드부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수 및 상기 반응가스를 공급하는 연료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단위 팩.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집전체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냉각수 및 상기 반응가스의 입출구를 포함하는 제 1 엔드 모듈이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냉각수 및 상기 반응가스의 흐름을 유도하여 상기 제 1 엔드 모듈로 순환시키는 제 2 엔드 모듈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단위 팩.
  13. 제 1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연료전지 단위 팩을 포함하되, 상기 연료전지 단위 팩 둘 이상이 직렬로 연결되며, 매니폴드부가 서로 관통되는 형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연료전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단위 팩 연결 상태를 고정시키거나, 상기 연료전지 단위 팩이 끼워질 수 있는 여분의 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 구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연료전지.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단위 팩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전류검출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연료전지.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단위 팩 중 양측 최외곽에 형성되는 어느 하나에 상기 냉각수 및 상기 반응가스의 입출구를 포함하는 제 1 엔드 모듈이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냉각수 및 상기 반응가스의 흐름을 유도하여 상기 제 1 엔드 모듈로 순환시키는 제 2 엔드 모듈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연료전지.
KR1020120057464A 2012-05-30 2012-05-30 연료전지 단위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카세트형 연료전지 KR101333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464A KR101333935B1 (ko) 2012-05-30 2012-05-30 연료전지 단위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카세트형 연료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464A KR101333935B1 (ko) 2012-05-30 2012-05-30 연료전지 단위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카세트형 연료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3935B1 true KR101333935B1 (ko) 2013-11-27

Family

ID=49858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464A KR101333935B1 (ko) 2012-05-30 2012-05-30 연료전지 단위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카세트형 연료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39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661B1 (ko) * 2015-12-14 2018-09-28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카트리지형 연료전지 파워 팩 및 시스템 플랫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3628A (ja) * 1995-08-23 1997-03-07 Hitachi Zosen Corp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
KR100709224B1 (ko) 2005-11-09 2007-04-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직접 산화형 연료 전지
KR101089160B1 (ko) 2009-07-16 2011-12-02 주식회사 프로파워 연료 전지 스택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3628A (ja) * 1995-08-23 1997-03-07 Hitachi Zosen Corp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
KR100709224B1 (ko) 2005-11-09 2007-04-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직접 산화형 연료 전지
KR101089160B1 (ko) 2009-07-16 2011-12-02 주식회사 프로파워 연료 전지 스택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661B1 (ko) * 2015-12-14 2018-09-28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카트리지형 연료전지 파워 팩 및 시스템 플랫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9542B2 (en)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fuel cell
CA2911500C (en) Fuel cell and fuel cell system
US8512903B2 (en)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and method for measuring voltages of cells in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CA2911072C (en) End plate for fuel cell, fuel cell, and fuel cell system
US9034536B2 (en) Fuel cell having voltage monitor terminal with exposed portion
JP2005502995A (ja) モジュール式燃料電池カートリッジおよびスタック
JPWO2007123191A1 (ja)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JP2008523575A (ja) 燃料電池用の統合型バスバー
JP2018028980A (ja) バイポーラ電池
JP2002367652A (ja) 燃料電池収容ケース
AU2016432004B2 (en) Redox flow battery
JP6117745B2 (ja) 燃料電池スタック
US20060216558A1 (en) Monitor connection of fuel cell stack
JP2004014446A (ja) 燃料電池
KR101333935B1 (ko) 연료전지 단위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카세트형 연료전지
JP5684614B2 (ja) 燃料電池スタックのシール形成方法
WO2014087785A1 (ja) 燃料電池スタック
JP2009099312A (ja) 燃料電池スタック
CN114551929A (zh) 一种液冷叠加电池组件及氢燃料电池电堆
JP2006216333A (ja) 燃料電池スタック
KR101105050B1 (ko) 연료전지 스택
JP5167708B2 (ja) 燃料電池スタック
JP2008251513A (ja) 燃料電池モジュール及び燃料電池スタック
JP4505315B2 (ja) 燃料電池
CN217820763U (zh) 用于燃料电池的电压采集装置和电压采集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