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382B1 - Tester for gui - Google Patents

Tester for gui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382B1
KR101332382B1 KR1020130070390A KR20130070390A KR101332382B1 KR 101332382 B1 KR101332382 B1 KR 101332382B1 KR 1020130070390 A KR1020130070390 A KR 1020130070390A KR 20130070390 A KR20130070390 A KR 20130070390A KR 101332382 B1 KR101332382 B1 KR 101332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touch
information
imaging
touch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03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모
김현우
이치학
안종필
조민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아이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아이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아이랩
Priority to KR1020130070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38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3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 G06F11/26Functional tes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A tester for graphic user interface (GU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t least one touch member; an object stand; a transfer unit which allows at least one touch member to meet a touch panel to touch each other or to be adjacent to the touch panel while transferring at least one touch member to one or more specific positions on the touch panel of a terminal put on a test region in the center of the object stand; a plurality of imaging units which are installed at the side of the object stand to diagonally pick up the image of the top surface of the touch panel in the terminal put on the test region in the center of the object stand; and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transfer unit to transfer at least one touch member to one or more positions according to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to allow at least one touch member to be touched with the touch panel in a touch type, or adjacent to the touch panel in a proximity type, operates the plurality of imaging units after the touch or proximity of at least one touch member to pick up the image of the top surface of the touch panel in the terminal in the center of the object stand for acquisition of multiple imaging information, composes multiple imaging information to generate one test imaging information, checks whether the test imaging information corresponds to a predefined display information, and generates a test resul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heck result.

Description

GUI에 대한 테스트 장치{Tester for GUI}Tester for GUI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테스트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GUI(Graphic User Interface)에 대한 테스트를 위해 터치패널을 터치하거나 근접하는 터치봉의 이동거리를 단축시켜 테스트 소요시간을 단축함은 물론이며 터치 또는 근접에 따른 표시정보의 변경을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게 하여 테스트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GUI에 대한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st technique for a user interface, and more particularly, to shorten the test time by shortening the moving distance of a touch bar that touches or approaches a touch panel for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tes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st apparatus for a GUI capable of quickly acquiring a change in display information according to a touch or a proximity, there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a test.

최근 들어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 등 모바일 기기의 보급이 일반화되면서 터치스크린 패널에 기반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이하 'GUI'라 함)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Recently, with the spread of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based on a touch screen panel is widely used.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은 마우스나 키보드 등의 입력 방식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입력 방식으로, 손이나 펜을 이용하여 스크린에 직접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새로운 입력 방식이다. 특히 터치스크린 패널은 사용자가 스크린을 보면서 원하는 작업을 직접 수행할 수 있고, 누구나 쉽게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GUI(Graphical User Interface) 환경하에서 가장 이상적인 입력 방식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현재 휴대폰, PDA, 은행이나 관공서, 각종 의료장비, 관광 및 주요 기관의 안내 등 여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The touch screen panel is a new input method that can replace an input method such as a mouse or a keyboard, and is a new input method that can directly input information on a screen using a hand or a pen. In particular, the touch screen panel is evaluated as the most ideal input method under the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environment because the user can directly perform a desired task while viewing the screen, and anyone can easily operate it. It is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government offices, various medical equipment, tourism and guidance of major organizations.

특히 화상이 출력되는 표시부의 단위 화소에 터치 센서(touch sensor)가 배치되는 인셀 방식(in-cell type)의 터치스크린 패널에는 표시 소자에 따라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Panel)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패널 및 유기 전계 발광 표시 패널(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Panel)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패널 등이 상용화되어 있으며,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센서 소자에 따라 저항성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 용량성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 등이 상용화되어 있다.In particular, an in-cell type touch screen panel in which a touch sensor is disposed on a unit pixel of an image display unit includes a touch screen panel using a liquid crystal panel according to display elements; A touch screen panel using a plasma display panel and a touch screen panel using a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panel are commercially available, and resistive touch is used depending on a sensor element that detects a touch input. Screen panels and capacitive touch screen panels are commercially available.

이와 같은 터치스크린의 구현방식으로는 정전용량 방식, 광센서 방식, 초음파 방식, 전자기 방식, 저항막 방식 등이 있다. 이 중 저항막 방식은 유리(Glass)기판 위에 형성된 투명 도전막(ITO)과 필름에 형성된 투명 도전막(ITO)이 도트 스페이서(Dot spacer)를 사이에 두고 떨어져 있다가 터치 동작에 의해 접촉되는 위치를 인식하는 방식이다.The implementation of such a touch screen includes a capacitive type, optical sensor type, ultrasonic type, electromagnetic type, resistive film type, and the like. In the resistive film type,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ITO) formed on a glass substrate and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ITO) formed on a film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 a dot spacer therebetween, .

그리고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투명 재질의 윈도우와 접촉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센서, 그리고 정전용량 센서에 전기적 신호를 구동하여 센서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의 변화로부터 디스플레이상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터치 행위에 대한 좌표를 계산해내는 컨트롤러와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다. 원도우는 일반적으로 0.5mm에서부터 5mm 정도 두께의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이나 투명한 유리 재질로 제작되며 정전용량 센서와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의 전면에 위치한다. 상기 정전용량 센서는 원도우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투명 재질의 필름이나 유리 기판 위에 투명한 특성과 전기 전도성을 갖는 ITO(Indium Thin Oxide)나 폴리머 재질 또는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도전성 잉크 등을 도포하여 특정 모양으로 성형된 전극의 패턴을 성형하여 제작된다.
In addition, the capacitive touch screen is a capacitive sensor that detects contact with a window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drives an electrical signal to the capacitive sensor to change a user's touch action input on the display from a change in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from the sensor. It consists of a controller and a display device that calculate coordinates for The window is usually made of transparent plastic or transparent glass, 0.5mm to 5mm thick, located in front of the capacitive sensor and display device screen. The capacitive sensor is positioned below the window, and is coated on a transparent film or glass substrate by applying ITO (Indium Thin Oxide), a polymer material, or a conductive ink using carbon nanotubes, having a transparent property and electrical conductivity. It is produced by molding the pattern of the electrode molded in the.

한편, 전형적인 터치스크린 기반의 시스템은 터치스크린(Touch screen)과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Processor)로 구성되어, 터치스크린이 센서를 통해 감지한 터치신호를 프로세서로 전달하고, 프로세서는 이러한 터치신호를 바탕으로 터치스크린이 수행해야 하는 명령(command)을 전송한다.
On the other hand, a typical touch screen based system is composed of a touch screen and a processor for executing a program, and the touch screen transmits a touch signal detected by the sensor to the processor, and the processor transmits the touch signal. Based on this, the touch screen transmits a command to be performed.

이러한 GUI를 시험하기 위해서는 사람이나 로봇이 직접 터치스크린에 입력을 가하고 그 표시결과를 사람이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를 자동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터치봉으로 터치스크린을 터치한 후에 카메라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의 변화된 표시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해석하여 정상동작 여부를 관찰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In order to test such a GUI, a human or a robot directly inputs a touch screen and a human checks the display result. As a method for automating this, after touching the touch screen with a touch rod, a method of acquiring a changed display image of the touch screen using a camera and interpreting the same may be used to observe normal operation.

그런데, 카메라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의 표시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터치봉에 의해 터치스크린이 가려지지 않을 때까지, 터치봉이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충분히 이격되도록 이동시켜야 했음에 따라, 터치봉의 이동소요 시간만큼 테스트 소요시간이 매우 긴 문제가 있었다. 이를 예시한 것이 도 13의 (a)이다. 상기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봉(2)은 촬상장치(3)가 단말기의 터치패널(1)의 전면을 촬상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H1)까지 이동하여야 하며, 그럴 경우에 상기 촬상장치(3)는 상기 단말기의 터치패널(1)의 전면을 촬상할 수 있다. 상기 높이(H1)로의 이동은 매우 많은 수의 터치가 이루어지는 테스트 과정에서 반복되어 이루어지므로, 이는 테스트 소요시간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However, in order to acquire the display image of the touch screen using a camera, the touch rod had to be moved to be sufficiently spaced apart from the touch screen until the touch screen was not covered by the touch rod. There was a very long time. This is illustrated in FIG. 13A. As shown in FIG. 13A, the touch rod 2 must move to a height H1 such that the imaging device 3 can capture the front surface of the touch panel 1 of the terminal. In this case, the imaging device 3 may capture the front surface of the touch panel 1 of the terminal. Since the movement to the height H1 is repeated in a test process in which a very large number of touches are made, this increases the test time.

또한 상기 터치봉의 이동소요 시간에 의해 촬상시기도 지연되어, 터치에 응답하여 미리 정의해둔 표시정보가 즉각적으로 표시되는지를 파악할 수 없는 문제도 있었다.
In addition, the imaging time is also delayed due to the movement time of the touch bar,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display information predefined in response to the touch is displayed immediately.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1-0035428호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11-0035428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1-0055950호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11-0055950

본 발명은 GUI에 대한 테스트를 위해 터치패널을 터치하거나 근접하는 터치봉의 이동거리를 단축시켜 테스트 소요시간을 단축함은 물론이며 터치 또는 근접에 따른 표시정보의 변경을 신속하게 획득하여 검사할 수 있게 하는 GUI에 대한 테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shortens the test time by shorten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touch bar that touches or approaches the touch panel for testing the GUI, and also allows the user to quickly acquire and inspect the change of the displa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ouch or proximity. Its purpose is to provide a test device for the GUI.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GUI에 대한 테스트 장치는, 하나 이상의 터치부재; 대물대; 상기 대물대의 중심에 위치하는 테스트 영역에 올려진 단말기의 터치패널상의 하나 이상의 특정 위치로 상기 하나 이상의 터치부재를 이송함과 아울러 상기 터치패널과 상기 하나 이상의 터치부재를 맞닿게 하여 터치하거나 근접되게 하는 이송부; 상기 대물대의 측면에 설치되어 사선방향으로 상기 대물대의 중심에 위치하는 테스트 영역에 올려진 단말기의 터치패널의 상면을 촬상하는 다수의 촬상장치; 및 테스트 명령정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위치로 상기 하나 이상의 터치부재를 이송하여 상기 테스트 명령정보에 따른 터치방식으로 터치되게 하거나 근접방식으로 근접되게 상기 이송부를 제어하며, 상기 터치 또는 근접후에 상기 다수의 촬상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대물대의 중심에 위치하는 단말기의 터치패널의 상면을 촬상하여 다수의 촬상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다수의 촬상정보를 합성하여 하나의 테스트용 촬상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테스트용 촬상정보가 미리 정의된 표시정보가 대응되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그 체크결과에 따른 테스트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Test device for the GU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ne or more touch member; Objective; The at least one touch member is transferred to at least one specific position on the touch panel of the terminal mounted on the test area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objective, and the touch panel and the at least one touch member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touch or approach the touch panel. Transfer unit; A plurality of imaging device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objective and picking up an upper surface of the touch panel of the terminal mounted on a test area positioned in the center of the objective in an oblique direction; And transferring the one or more touch members to one or more positions according to test command information to control the transfer unit to be touched or touched in a proximity manner according to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Drive a device to capture the upper surface of the touch panel of the terminal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objective to obtain a plurality of pieces of image information, synthesize the plurality of pieces of image information to generate a single piece of test image information, and the image for test And a controller for checking whether the display information corresponds to predefined display information and generating test resul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heck result.

상기한 본 발명은 GUI에 대한 테스트를 위해 터치패널을 터치하거나 근접하는 터치봉의 이동거리를 단축시켜 테스트 소요시간을 단축함은 물론이며 터치 또는 근접에 따른 표시정보의 변경을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게 하여 테스트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야기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shorten the test time by shorten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touch bar that touches or approaches the touch panel for testing the GUI, and can also quickly obtain a change in display information according to touch or proximity. This results in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test.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은 다수의 방향에서 터치패널의 표시정보를 촬상하고, 촬상정보들에서 고품위로 촬상된 영역들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고품위의 촬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하며, 이 역시 테스트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야기한다.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capture display information of the touch panel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and selectively combine high-quality imaged regions in the image pickup information to obtain high-quality image pickup information, which is also a test reliability. Cause the effect to increas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GUI에 대한 테스트 시스템의 외관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GUI에 대한 테스트 시스템의 블럭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제1-1테스트 장치의 외관도.
도 5는 도 1의 제1-1테스트 장치의 블럭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GUI에 대한 테스트 시스템의 처리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GUI에 대한 테스트 시스템의 영상처리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GUI에 대한 테스트 시스템의 외관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GUI에 대한 테스트 시스템의 블럭구성도.
도 10은 도 9의 제2-1테스트 장치(5021)의 외관도.
도 11은 도 9의 제2-1테스트 장치(5021)의 블럭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GUI에 대한 테스트 시스템의 처리 흐름도.
도 13의 (a)는 종래방식에 따른 촬상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촬상예를 도시한 도면.
1 is an external view of a test system for a GUI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test system for a GUI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external views of the 1-1st test apparatus of FIG.
5 is a block diagram of the first-first test apparatus of FIG. 1;
6 is a process flow diagram of a test system for a GUI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n image processing procedure of a test system for a GUI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ternal view of a test system for a GUI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of a test system for a GUI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xternal view of the second-first test apparatus 5021 of FIG. 9. FIG.
FIG. 11 is a block diagram of the second-first test apparatus 5021 of FIG.
12 is a process flow diagram of a test system for a GUI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A is a diagram showing an imaging exampl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and FIG. 13B is a diagram showing an imaging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GUI에 대한 테스트를 위해 터치패널을 터치 또는 근접하는 터치부재의 이동거리를 최소화시켜 테스트 소요시간을 단축함은 물론이며, 터치 또는 근접에 따른 표시정보의 변경을 빠른 시간내에 획득하여 테스트의 신뢰도를 높인다. 즉 도 13의 (b)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촬상장치(30,40)를 이용하여 다수의 방향에서 단말기의 터치패널(10)을 촬상하고, 그에 따른 촬상정보들을 조합하여 단말기의 터치패널(10)에 대한 촬상정보를 획득한다. 이에따라 터치부재(20)가 도 13의 (a)에 비해 적은 높이만큼 이동하여도 단말기의 터치패널(10)의 전면에 대한 촬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높이는 다수의 촬상장치(30,40)가 촬상한 촬상정보들에서 중복되는 영역이 미리 정해둔 최소영역에 대응되게 존재할 때의 높이로 정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shortens the test time by minimiz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touch member touching or approaching the touch panel to test the GUI, but also acquires a change in display information according to touch or proximity within a short time. To increase the reliability. That is, as illustrated in (b) of FIG. 13, the present invention photographs the touch panel 10 of the terminal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using the plurality of imaging apparatuses 30 and 40, and combines the imaging information accordingly. Acquires imaging information of the touch panel 10. Accordingly, even if the touch member 20 moves by a height smaller than that of FIG. 13A, imaging information regarding the front surface of the touch panel 10 of the terminal can be obtained. Here, the height is defined as the height when the overlapping area in the imaging information picked up by the plurality of imaging devices 30 and 40 exists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minimum area.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방향에서 터치패널의 표시정보를 촬상하고, 촬상정보들에서 고품위로 촬상된 영역들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터치패널의 표시정보에 대한 고품위의 촬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하며, 이 역시 테스트의 신뢰도를 높인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apture the display information of the touch panel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and by selectively combining the high-quality image area in the image pickup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high-quality imaging information for the display information of the touch panel, This also increases the reliability of the test.

<제1실시예>&Lt; Embodiment 1 >

<다수 단말기를 위한 GUI 테스트 시스템의 구성><Configuration of GUI Test System for Multiple Terminal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르는 다수 단말기를 위한 GUI 테스트 시스템의 구성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GUI test system for multiple terminal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상기 다수 단말기를 위한 GUI 테스트 시스템(100)은 제1컨베이어 장치(300)와 제1제어장치(304)와 제1메모리부(306)와 제1디스플레이 장치(308)와 제1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10)와 제1-1 내지 제1-N 통신모듈(3121~312N)과 제1-1 내지 제1-N 테스트 장치(1021~102N)로 구성된다. The GUI test system 100 for the plurality of terminals includes a first conveyor device 300, a first control device 304, a first memory unit 306, a first display device 308, and a first user interface device ( 310, the first to first to first communication modules 3121 to 312N, and the first to first to first test apparatuses 1021 to 102N.

상기 제1컨베이어 장치(300)는 제1회전 모터(302)와 제1컨베이어 벨트(104)로 구성된다.The first conveyor device 300 is composed of a first rotary motor 302 and a first conveyor belt 104.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104)의 이동경로를 따라 제1-1 내지 제1-N 테스트 장치(1021~102N)가 직렬로 배치되어 설치된다. The first-first to first-N test apparatuses 1021 to 102N are disposed in series along the movement path of the first conveyor belt 104.

또한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104)에는 터치패널이 구비된 단말기들(1061~106M)이 제1-1 내지 제1-N 테스트 장치(1021~102N)의 배치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한 제1컨베이어 벨트(104)에는 상기 단말기들의 이동 또는 테스트시에 발생될 수 있는 단말기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한 단말기 고정부재(holder)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단말기의 배면을 압착하는 압착기 또는 상기 단말기의 네 모서리를 고정하는 고정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conveyor belt 104 has terminals 1061 to 106M provided with touch panels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s of arrangement of the first to first to first test devices 1021 to 102N. The first conveyor belt 104 may be provided with a terminal holder for minimizing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that may occur during the movement or testing of the terminals. The fixing member may be composed of a pressing machine for pressing the back of the terminal or a fixing pin for fixing the four corners of the terminal.

상기 제1회전 모터(302)는 상기 제1제어장치(304)에 의해 단말기 이송명령이 입력되면, 그 이송명령에 따라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104)를 구동하여 제1-1 내지 제1-N 테스트 장치(1021~102N)의 배치 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배치된 단말기들(1061~106M)을 제1-1 내지 제1-N 테스트 장치(1021~102N)의 테스트 영역으로 이송하고, 테스트가 종료된 단말기들(1061~106M)은 외부로 배출한다. When the terminal transfer command is inputted by the first control device 304, the first rotary motor 302 drives the first conveyor belt 104 according to the transfer command to drive the first-first to first-first. The terminals 1061 to 106M arranged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intervals of the N test apparatuses 1021 to 102N are transferred to the test area of the first to first to first test apparatuses 1021 to 102N, and the test is performed. The terminated terminals 1061 to 106M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제1-1 내지 제1-N 테스트 장치(1021~102N) 각각은 제1제어장치(304)의 제어에 따라 하나 또는 둘의 터치부재를 대기위치에서 이동시켜 테스트 영역의 단말기의 터치패널상의 미리 정해진 하나 또는 둘의 터치위치를 미리 정해진 터치방식으로 터치하거나 미리 정해진 하나 또는 둘의 근접위치를 미리 정해진 근접방식으로 근접하고, 그 터치 또는 근접이 완료되면, 상기 하나 또는 둘의 터치부재를 대기위치로 복귀시킴은 물론이고 상기 단말기의 터치패널의 표시정보를 양측면에서 사선 방향으로 촬상하여 제1제어장치(304)에 제공한다. Each of the first to first to first N test apparatuses 1021 to 102N moves one or two touch members in a standby posi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control device 304, and thus on the touch panel of the terminal of the test area. Touch the predetermined one or two touch positions with a predetermined touch method or approach the predetermined one or two proximity positions with a predetermined proximity method, and when the touch or the proximity is completed, wait for the one or two touch members. In addition to returning to the position, the display information of the touch panel of the terminal is captured in an oblique direction from both sides and provided to the first control device 304.

상기 제1제어장치(304)는 상기 제1컨베이어 장치(300) 및 상기 제1-1 내지 제1-N 테스트 장치(1021~102N)를 전반적으로 제어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테스트 기능을 수행한다. The first control device 304 controls the first conveyor device 300 and the first to first to first N test devices 1021 to 102N to perform a tes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좀 더 설명하면, 상기 제1제어장치(304)는 상기 제1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10)를 통해 [GUI 테스트]가 요청되면, 상기 제1컨베이어 장치(300)의 제1회전 모터(302)를 구동하여 제1컨베이어 벨트(104) 상에 배치된 단말기들을 제1-1 내지 제1-N 테스트 장치(1021~102N) 각각의 테스트 영역으로 위치되게 이동하고, 상기 제1-1 내지 제1-N 테스트 장치(1021~102N)로 테스트 명령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테스트 명령정보는 하나 또는 둘의 터치위치정보 및 터치방식정보로 구성되거나, 하나 또는 둘의 근접위치정보 및 근접방식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In more detail, when the [GUI test] is requested through the first user interface device 310, the first control device 304 operates the first rotary motor 302 of the first conveyor device 300. Driving to move the terminals disposed on the first conveyor belt 104 to be located in the test area of each of the first to first to first N test apparatuses 1021 to 102N, and the first to the first to first one.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N test apparatuses 1021 to 102N.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may include one or two touch location information and touch method information, or one or two proximity location information and proximity method information.

상기 터치위치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터치패널의 수평면상의 위치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근접위치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터치패널의 수평면상의 위치정보 및 상기 터치패널과의 이격거리정보로 구성된다. The touch position information includes position information on a horizontal surface of a touch panel of the terminal, and the proximity position information includes position information on a horizontal surface of a touch panel of the terminal and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touch panel.

그리고 상기 터치방식정보는 미리 정해진 짧은 시간동안 터치상태를 유지하는 것 또는 미리 정해진 긴 시간동안 터치상태를 유지하는 것 또는 미리 정해진 위치 또는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패턴에 따라 터치상태를 유지한채 이동하는 것 등이 될 수 있고, 상기 근접방식정보는 미리 정해진 짧은 시간동안 근접상태를 유지하는 것 또는 미리 정해진 긴 시간동안 근접상태를 유지하는 것 또는 미리 정해진 위치 또는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패턴에 따라 근접상태를 유지한채 이동하는 것 등이 될 수 있다. The touch method information may be maintained in a touch state for a predetermined short time, or maintained in a touch state for a predetermined long time, or moved while maintaining a touch stat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ttern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r direction. The proximity method information may be maintained in a proximity state for a predetermined short time or in a proximity state for a predetermined long time or in a proximity posi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ttern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r direction. It can be moving.

상기한 테스트 명령정보를 전송한 후에, 상기 제1제어장치(304)는 상기 제1-1 내지 제1-N 테스트 장치(1021~102N)로부터 하나의 단말기에 대해 양측면에서 사선방향으로 단말기의 터치패널의 상면을 촬상한 촬상정보들을 제공받고, 그 촬상정보들을 합성하여 테스트 촬상정보를 생성하고, 그 테스트 촬상정보가 상기 테스트 명령정보에 대응되게 미리 정의해둔 테스트용 표시정보에 대응되는지를 체크하고, 그 체크결과를 포함하는 테스트 결과정보로 생성한다. After transmitting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the first control device 304 touches the terminal in a diagonal direction from both sides with respect to one terminal from the first-first to first-N test devices 1021 to 102N. Receiving image information obtained by captu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panel, synthesizing the image information to generate test image information, and checking whether the test image information corresponds to test display information previously defined to correspond to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It generates the test result information including the check result.

상기 제1메모리부(306)는 상기 제1제어장치(304)의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특히 GUI 검사를 위한 테스트 명령정보와 그에 대응되는 테스트용 표시정보에 대한 테스트 정보가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테스트 명령정보와 그에 대응되는 테스트용 표시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학습된 자료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memory unit 306 stores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a control program of the first control device 304. In particular, the test information for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for the GUI inspection and the test display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is stored. Here,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and the test displa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may be composed of data learned by a user.

상기 제1디스플레이 장치(308)는 상기 제1제어장치(304)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며, 특히 상기 제1-1 내지 제1-N 테스트 장치(1021~102N)로부터 제공된 촬상정보들을 조합하여 생성한 테스트 촬상정보 또는 테스트 결과정보 등을 표시하여 작업자에게 안내한다. The first display device 308 displays a variety of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first control device 304, and in particular, combines the imag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first to first to first N test devices 1021 to 102N. And display the test imaging information or test result information generated to guide the operator.

상기 제1-1 내지 제1-N 통신모듈(3121~312N)은 제1-1 내지 제1-N 테스트 장치(1021~102N)와 상기 제1제어장치(304) 사이의 통신을 담당한다.
The first to first to first N communication modules 3121 to 312N are in charge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to first to first N test devices 1021 to 102N and the first control device 304.

<테스트 장치의 구성 및 동작><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est device>

상기 제1-1 내지 제1-N 테스트 장치(1021~102N)는 그 구성 및 동작이 동일하므로, 제1-1 테스트 장치(1021)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만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Since the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of the first to first test apparatuses 1021 to 102N are the sam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first to first test apparatus 1021 ar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Explain.

상기 제1-1 테스트 장치(1021)는, 제1베이스 부재(200)와, 제1촬상장치(202)와, 제2촬상장치(204)와, 제1지지부재(206)와, 제2지지부재(232)와, 제1터치부재 지지봉(216)과, 제2터치부재 지지봉(242)과, 제1터치부재(218)와, 제2터치부재(244)와, 제1X축 이동모터(208)와, 제1X축 이동봉(210)과, 제1Z축 이동모터(220)와, 제1Z축 이동봉(222)과, 제1Y축 이동장치(214)와, 제1Z축 이동봉 고정부재(226)와, 제2X축 이동모터(234)와, 제2X축 이동봉(236)와, 제2Z축 이동모터(246)와, 제2Z축 이동봉(248)과, 제2Y축 이동장치(240)와, 제2Z축 이동봉 고정부재(252)와, 제2제어장치(400)와,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406)와, 제2통신모듈(402)과, 제2메모리부(404)와, 제1거리센서(246)와 제2거리센서(248)로 구성된다. The first-first test apparatus 1021 includes a first base member 200, a first imaging device 202, a second imaging device 204, a first support member 206, and a second The support member 232, the first touch member support rod 216, the second touch member support rod 242, the first touch member 218, the second touch member 244, the first X-axis moving motor 208, the first X-axis moving rod 210, the first Z-axis moving motor 220, the first Z-axis moving rod 222, the first Y-axis moving device 214, and the first Z-axis moving rod fixing member ( 226, the second X-axis moving motor 234, the second X-axis moving rod 236, the second Z-axis moving motor 246, the second Z-axis moving rod 248, and the second Y-axis moving unit 240. A second Z-axis moving rod fixing member 252, a second control device 400, a second user interface device 406,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02, a second memory unit 404, The first distance sensor 246 and the second distance sensor 248 are configured.

상기 제1베이스 부재(200)는 상기 제1-1 테스트 장치(1021)의 각부를 지지한다. The first base member 200 supports the respective parts of the first-first test apparatus 1021.

상기 제1베이스 부재(200)의 상측에는 단말기의 터치패널에 상기 제1 또는 제2터치부재(218,244)를 터치 또는 근접하기 위한 제1 및 제2터치부재(218,244)를 구동하기 위한 기구들이 설치된다.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ase member 200, mechanisms for driving the first and second touch members 218 and 244 for touching or approaching the first or second touch members 218 and 244 are installed on the touch panel of the terminal. do.

특히 상기 제1 및 제2터치부재(218,244)는 단말기의 터치패널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터치부재(218,244)는 제1제어장치(350)로부터의 테스트 명령정보에 따라 XYZ축 이동을 이행한다. 이하, 설명의 편이상 상기 X축 방향은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104)의 이동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이고, 상기 Z축 방향은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104)의 이동방향과 수평인 방향이고, 상기 Y축 방향은 상하방향으로 정한다.
In particular, the first and second touch members 218 and 244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touch panel of the terminal, and the first and second touch members 218 and 244 are test command information from the first control device 350. The XYZ axis shift is performed accordingly.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X-axis direction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conveyor belt 104, and the Z-axis direction i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conveyor belt 104. The Y-axis direction is determi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1터치부재를 위한 기구적인 구성 및 동작><Mechanical configuration and operation for the first touch member>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베이스 부재(200)에는 제1Z축 이동봉(222)의 양측면에 위치하는 제1Z축 이동모터(220)와 제1Z축 이동봉 고정부재(226)가 고정설치된다. 상기 제1Z축 이동모터(220)는 상기 제1Z축 이동봉(222)을 회전시키며, 이 회전에 따라 상기 제1Z축 이동봉(222)에 끼워져 결합된 제1지지부재(206)가 Z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상기 제1지지부재(206)는 상기 제1Z축 이동봉(222)에 끼워져 결착하며 그 제1Z축 이동봉(222)이 회전하면 상기 제1Z축 이동봉(222)에 식각된 홈을 추종하여 Z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In more detail, the base member 200 is fixed to the first Z-axis moving motor 220 and the first Z-axis moving rod fixing member 226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Z-axis moving rod 222. The first Z-axis moving motor 220 rotates the first Z-axis moving rod 222,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06 coupled to the first Z-axis moving rod 222 in the Z-axis direction Move. That is, the first support member 206 is fitted to the first Z-axis moving rod 222 and is bound. When the first Z-axis moving rod 222 rotates, the first support member 206 follows the groove etched in the first Z-axis moving rod 222 to form a Z-axis. Move in the direction of

상기 제1지지부재(206)는 내부에 직사각형의 개구가 형성된 사각 기둥형태로서, 상기 직사각형의 개구로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104)가 통과한다. The first support member 206 is in the form of a square pillar having a rectangular opening therein, and the first conveyor belt 104 passes through the rectangular opening.

상기 제1지지부재(206)의 상면에는 제1X축 이동모터(208)와 제1X축 이동봉(210)이 장착된다. 상기 제1X축 이동모터(208)는 상기 제1X축 이동봉(210)를 회전시키며, 이 회전에 따라 상기 제1X축 이동봉(210)에 끼워져 결합된 제1Y축 이동장치(214)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상기 제1Y축 이동장치(214)는 상기 제1X축 이동봉(210)에 끼워져 결착하며 그 제1X축 이동봉(210)이 회전하면 상기 제1X축 이동봉(210)에 식각된 홈을 추종하여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The first X-axis moving motor 208 and the first X-axis moving rod 210 ar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06. The first X-axis moving motor 208 rotates the first X-axis moving rod 210, the first Y-axis moving device 214 coupled to the first X-axis moving rod 210 coupled to the X-axis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Go to. That is, the first Y-axis moving device 214 is fitted to the first X-axis moving rod 210 and bound, and when the first X-axis moving rod 210 rotates, the groove that is etched in the first X-axis moving rod 210 is followed by X Move in the axial direction.

상기 제1Y축 이동장치(214)는 제1터치부재 지지봉(216)과 결착되며, 상기 제1터치부재 지지봉(216)을 상하방향, 즉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The first Y-axis moving device 214 is engaged with the first touch member support rod 216 and moves the first touch member support rod 216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in the Y axis direction.

상기 제1터치부재 지지봉(216)의 하면에는 제1터치부재(218) 및 제1거리센서(246)가 결착된다. The first touch member 218 and the first distance sensor 246 are attached to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touch member support bar 216.

상기 제1터치부재(218)는 점형태의 터치부재만이 예시되었으나, 작업자의 요청에 따라 선형의 터치부재 또는 면형의 터치부재 등이 채용될 수도 있다. Although the first touch member 218 is illustrated only as a point-type touch member, a linear touch member or a planar touch member may be employed at the request of the operator.

즉, 상기 제1터치부재(218)는 제1X축 이동모터(208)와 제1X축 이동봉(210)과 제1Z축 이동모터(220)와 제1Z축 이동봉(222)과 제1Y축 이동장치(214)의 구동에 따라 XYZ 방향으로 이동하여 테스트 명령정보에 따른 터치 또는 근접을 이행한다. That is, the first touch member 218 is the first X-axis moving motor 208, the first X-axis moving rod 210, the first Z-axis moving motor 220, the first Z-axis moving rod 222 and the first Y-axis mov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214, the direction is moved in the XYZ direction to perform the touch or the proximity according to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또한 상기 제1터치부재(218)는 테스트를 위한 터치 또는 근접이 완료되면, 미리 정해진 대기 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대기 위치는 상기 테스트 영역의 중심에서 일정거리만큼 상측으로 이동한 거리이다. 상기 대기 위치의 높이는 제1 및 제2촬상장치(202,204)가 촬상한 촬상정보들에서 중복되는 영역이 미리 정해둔 최소영역에 대응되게 존재할 때의 높이로 정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및 제2촬상장치(202,204)가 단말기의 양측면에서 사선 방향으로 촬상을 이행하고, 각 촬상장치가 촬상한 촬상정보 중 자신과 근접한 쪽의 촬상정보의 일부만을 선택하여 이용하도록 하여, 상기 제1터치부재(218)의 대기위치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touch or proximity for the test is completed, the first touch member 218 moves to a predetermined standby position, and the standby position is a distance moved up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test region. The height of the standby position is determined as the height when the overlapping area in the sensing information captured by the first and second imaging apparatuses 202 and 204 corresponds to the predetermined minimum area.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imaging apparatuses 202 and 204 carry out imaging in diagonal directions from both sides of the terminal, and select and use only a part of the imaging information closer to the user among the imaging information captured by each imaging apparatus. The height of the standby position of the first touch member 218 can be minimized.

상기 제1거리센서(246)는 상기 제1터치부재(218)와 단말기의 터치패널 사이의 이격거리를 검출하여 제2제어장치(400)에 제공하며, 제2제어장치(400)는 상기 테스트 명령정보가 근접을 지시하면 상기 제1터치부재(218)와 단말기의 터치패널 사이의 이격거리가 테스트 명령정보에 따른 이격거리에 부합되도록 상기 제1Y축 이동장치(214)를 구동한다.
The first distance sensor 246 detect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touch member 218 and the touch panel of the terminal and provides it to the second control device 400, the second control device 400 is the test When the command information indicates the proximity, the first Y-axis moving device 214 is driven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touch member 218 and the touch panel of the terminal corresponds to the distance according to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제2터치부재를 위한 기구적인 구성 및 동작><Mechanical configuration and operation for the second touch member>

그리고, 상기 제1베이스 부재(200)에는 제2Z축 이동봉(248)의 양측면에 위치하는 제2Z축 이동모터(246)와 제2Z축 이동봉 고정부재(252)가 고정설치된다. 상기 제2Z축 이동모터(246)는 상기 제2Z축 이동봉(248)을 회전시키며, 이 회전에 따라 상기 제2Z축 이동봉(248)에 끼워져 결합된 제2지지부재(232)가 Z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상기 제2지지부재(232)는 상기 제2Z축 이동봉(248)에 끼워져 결착하며, 그 제2Z축 이동봉(248)이 회전하면 상기 제2Z축 이동봉(248)에 식각된 홈을 추종하여 Z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A second Z-axis moving motor 246 and a second Z-axis moving rod fixing member 252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Z-axis moving rod 248 are fixed to the first base member 200. The second Z-axis moving motor 246 rotates the second Z-axis moving rod 248,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32 coupled to the second Z-axis moving rod 248 in the Z-axis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Move. That is, the second support member 232 is fitted to the second Z-axis moving rod 248 and is bound. When the second Z-axis moving rod 248 rotates, the grooves etched in the second Z-axis moving rod 248 are followed by Z. Move in the axial direction.

상기 제2지지부재(232)는 내부에 직사각형의 개구가 형성된 사각 기둥형태로서, 상기 직사각형의 개구로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104)가 통과한다. The second support member 232 has a rectangular pillar shape having a rectangular opening therein, and the first conveyor belt 104 passes through the rectangular opening.

상기 제2지지부재(232)의 상면에는 제2X축 이동모터(234)와 제2X축 이동봉(236)이 장착된다. 상기 제2X축 이동모터(234)는 상기 제2X축 이동봉(236)를 회전시키며, 이 회전에 따라 상기 제2X축 이동봉(236)에 끼워져 결합된 제2Y축 이동장치(240)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상기 제2Y축 이동장치(240)는 상기 제2X축 이동봉(236)에 끼워져 결착하며 상기 제2X축 이동봉(236)이 회전하면 상기 제2X축 이동봉(234)에 식각된 홈을 추종하여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The second X-axis moving motor 234 and the second X-axis moving rod 236 ar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32. The second X-axis moving motor 234 rotates the second X-axis moving rod 236, the second Y-axis moving device 240 coupled to the second X-axis moving rod 236 coupled to the X-axis direction Go to. That is, the second Y-axis moving device 240 is fitted to the second X-axis moving rod 236 and is bound. When the second X-axis moving rod 236 rotates, the grooves etched in the second X-axis moving rod 234 are followed by X. Move in the axial direction.

상기 제2Y축 이동장치(240)는 제2터치부재 지지봉(242)과 결착되며, 상기 제2터치부재 지지봉(242)을 상하방향, 즉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The second Y-axis moving device 240 is coupled with the second touch member support rod 242 and moves the second touch member support rod 242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Y axis direction.

상기 제2터치부재 지지봉(242)의 하면에는 제2터치부재(244) 및 제2거리센서(248)가 결착된다. The second touch member 244 and the second distance sensor 248 ar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touch member support bar 242.

상기 제2터치부재(244)는 점형태의 터치부재만이 예시되었으나, 터치방식의 다양화에 부응하여 선형의 터치부재 또는 면형의 터치부재 등이 채용될 수도 있다. Although the second touch member 244 is only illustrated as a point-type touch member, a linear touch member or a planar touch member may be employed in response to the diversification of the touch method.

즉, 상기 제2터치부재(244)는 제2X축 이동모터(234)와, 제2X축 이동봉(236)와, 제2Z축 이동모터(246)와, 제2Z축 이동봉(248)과, 제2Y축 이동장치(240)의 구동에 따라 XYZ 방향으로 이동하여 테스트 명령정보에 따른 터치 또는 근접을 이행한다. That is, the second touch member 244 is the second X-axis moving motor 234, the second X-axis moving rod 236, the second Z-axis moving motor 246, the second Z-axis moving rod 248,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the 2 Y-axis moving device 240, the device moves in the XYZ direction to perform a touch or proximity according to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또한 상기 제2터치부재(244)는 테스트를 위한 터치 또는 근접이 완료되면, 미리 정해진 대기 위치로 이동한다. 상기 대기 위치의 높이는 제1 및 제2촬상장치(202,204)가 촬상한 촬상정보들에서 중복되는 영역이 미리 정해둔 최소영역에 대응되게 존재할 때의 높이로 정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및 제2촬상장치(202,204)가 단말기의 양측면에서 사선 방향으로 촬상을 이행하고, 각 촬상장치가 촬상한 촬상정보 중 자신과 근접한 쪽의 촬상정보의 일부만을 선택하여 이용하도록 하여, 상기 제2터치부재(244)의 대기위치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touch or proximity for the test is completed, the second touch member 244 moves to a predetermined standby position. The height of the standby position is determined as the height when the overlapping area in the sensing information captured by the first and second imaging apparatuses 202 and 204 corresponds to the predetermined minimum area.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imaging apparatuses 202 and 204 carry out imaging in diagonal directions from both sides of the terminal, and select and use only a part of the imaging information closer to the user among the imaging information captured by each imaging apparatus. The height of the standby position of the second touch member 244 can be minimized.

상기 제2거리센서(248)는 상기 제2터치부재(244)와 단말기의 터치패널 사이의 이격거리를 검출하여 제2제어장치(400)에 제공하며, 제2제어장치(400)는 상기 테스트 명령정보가 근접을 지시하면 상기 제2터치부재(244)와 단말기의 터치패널 사이의 이격거리가 테스트 명령정보에 따른 이격거리에 부합되도록 상기 제2Y축 이동장치(214)를 구동한다.
The second distance sensor 248 detect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touch member 244 and the touch panel of the terminal and provides it to the second control device 400, the second control device 400 is the test When the command information indicates the proximity, the second Y-axis moving device 214 is driven such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touch member 244 and the touch panel of the terminal corresponds to the separation distance according to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제1촬상장치(202)와 제2촬상장치(204)는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104)의 측면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제1컨베이어 벨트(104)의 테스트 영역에 위치하는 단말기(1061)의 터치패널의 상면을 촬상하고, 그 촬상된 표시정보를 제2제어장치(400)로 제공한다. The first imaging device 202 and the second imaging device 204 are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first conveyor belt 104, and are located in the test area of the first conveyor belt 104. Ima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ouch panel is provided to the second control device 400.

상기 제2제어장치(400)는 제2통신모듈(402)을 통해 테스트 명령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제1 및 제2터치부재(218,244)가 터치할 터치위치 및 터치방식을 결정하고, 그 결정에 따라 제1X축 이동모터(208)와 제1Z축 이동모터(220)와 제1Y축 이동장치(214)와, 제2X축 이동모터(234)와 제2Z축 이동모터(246)와 제2Y축 이동장치(240)를 제어하여, 제1 및 제2터치부재(218,244)를 대기위치에서 결정된 터치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결정된 터치방식으로 단말기(1061)의 터치패널을 터치하거나, 상기 제1 및 제2터치부재(218,244)가 근접할 근접위치 및 근접방식을 결정하고, 그 결정에 따라 제1X축 이동모터(208)와 제1Z축 이동모터(220)와 제1Y축 이동장치(214)와, 제2X축 이동모터(234)와 제2Z축 이동모터(246)와 제2Y축 이동장치(240)를 제어하여, 제1 및 제2터치부재(218,244)를 대기위치에서 결정된 근접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결정된 근접방식으로 단말기(1061)의 터치패널을 근접한다. The second control device 400 receives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02 to determine the touch position and the touch method to be touched by the first and second touch members 218 and 244. Accordingly, the first X-axis moving motor 208, the first Z-axis moving motor 220, the first Y-axis moving device 214, the second X-axis moving motor 234, the second Z-axis moving motor 246, and the second Y-axis After controlling the moving device 240 to move the first and second touch members 218 and 244 to the touch position determined from the standby position, the touch panel of the terminal 1061 is touched with the determined touch method, or the first and second touch members 218 and 244 are moved. Determining the proximity position and the proximity method to which the second touch members 218 and 244 are to approach each other, an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the first X-axis moving motor 208 and the first Z-axis moving motor 220 and the first Y-axis moving device 214; The second X-axis moving motor 234, the second Z-axis moving motor 246, and the second Y-axis moving device 240 are controlled to move the first and second touch members 218 and 244 at the standby position. To be close to the touch panel of the terminal 1061 of the determined proximity manner after moving.

또한 상기 제2제어장치(400)는 상기 제1 및 제2터치부재(218,244)에 의한 터치이후 상기 제1 및 제2터치부재(218,244)가 터치패널로부터 이격되어 Y축으로 상승 이동하여 미리 정해둔 대기 위치까지 이동하면, 상기 제1 및 제2촬상장치(202,204)를 구동하여 상기 단말기(1061)의 터치패널의 상면을 촬상하고, 그 촬상에 따른 촬상정보들을 제2통신모듈(402)을 통해 제1제어장치(304)로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control device 400 is predetermined after the first and second touch members 218 and 244 are moved away from the touch panel after being touched by the first and second touch members 218 and 244. When moving to the standby position, the first and second imaging apparatuses 202 and 204 are driven to capture an ima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ouch panel of the terminal 1061, and the imag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maging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02. Through the first control device 304 is provided.

상기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406)는 사용자로부터의 각종 명령을 입력받아 제2제어장치(400)에 제공한다. The second user interface device 406 receives various commands from the user and provides them to the second control device 400.

상기 제2통신모듈(402)은 상기 제2제어장치(400)와 제1제어장치(304) 사이의 통신을 담당한다.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402 is in charge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second control device 400 and the first control device 304.

상기 제2메모리부(404)는 상기 제2제어장치(400)의 처리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The second memory unit 404 stores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a processing program of the second control device 400.

<GUI 테스트 시스템의 처리 흐름도><Processing Flow of GUI Test System>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GUI 테스트 시스템의 처리 동작을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processing operation of the GUI test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상기 GUI 테스트 시스템의 제1제어장치(304)는 제1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310)를 통해 작업자가 GUI 테스트를 명령하면(400단계), 제1컨베이어 장치(300)의 제1회전 모터(302)를 구동하여 제1컨베이어 벨트(104)를 구동하여, 제1컨베이어 벨트(104)의 상면에 제1-1 내지 제1-N 테스트 장치(1021~102N)의 설치간격으로 배치된 단말기들을 제1-1 내지 제1-N 테스트 장치(1021~102N)의 중앙부분으로 설정된 테스트 영역으로 이송한다. When the operator commands the GUI test through the first user interface device 310 (operation 400), the first control device 304 of the GUI test system may include a first rotating motor 302 of the first conveyor device 300. Drive the first conveyor belt 104, the terminals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veyor belt 104 at intervals of installation of the first to first to first test apparatus (1021 to 102N) first It transfers to the test area set as the center part of -1 thru | or 1-N test apparatus 1021-102N.

또한 상기 제1제어장치(304)는 제1-1 내지 제1-N 테스트 장치(1021~102N)로 촬상명령을 전송하고, 그 촬상명령에 따라 상기 제1-1 내지 제1-N 테스트 장치(1021~102N)는 제1컨베이어 벨트(104)의 양측면에서 사선방향으로 중앙의 테스트 영역을 촬상하고, 그 촬상에 따른 촬상정보들을 제1제어장치(304)로 반환한다(402,404단계). Further, the first control device 304 transmits an imaging command to the first to first to first test devices 1021 to 102N, and the first to first to first test devices in accordance with the imaging command. 1021 to 102N image the test area in the center in the diagonal direction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conveyor belt 104, and return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to the first control device 304 according to the imaging (steps 402 and 404).

상기 제1제어장치(304)는 상기 촬상에 따른 촬상정보들을 수신하여, 그 촬상정보내의 단말기들의 위치가 미리 정해둔 테스트 영역들에 위치하는지를 검사한다(406단계). The first control device 304 receives the imag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maging, and checks whether the terminals of the imaging information are located in predetermined test areas (step 406).

이후 상기 제1제어장치(304)는 상기 촬상정보내의 단말기들의 위치가 미리 정해둔 테스트 영역들에 위치하면(408단계), 상기 제1제어장치(304)는 테스트 명령정보를 전송한다(410단계).Thereafter, when the first control device 304 is located in the test areas predetermined in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in the imaging information (step 408), the first control device 304 transmits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step 410). ).

상기 테스트 명령정보를 수신한 제1-1 내지 제1-N 테스트 장치(1021~102N)는 터치부재들을 XZ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테스트 명령정보에 따른 터치위치로 이동시키고, Y축 방향으로 강하하여 테스트 명령정보에 따른 터치방식으로 단말기의 터치패널을 터치하거나, 상기 터치부재들을 XYZ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테스트 명령정보에 따른 근접방식으로 단말기의 터치패널과 상기 터치부재들을 근접시키고(412단계), 상기 테스트 명령정보에 의한 터치 또는 근접이 완료되면(414단계) 상기 제1-1 내지 제1-N 테스트 장치(1021~102N)는 상기 터치부재들을 Y축 방향으로 상승시킴과 아울러 제1컨베이어 벨트(104)의 양측면에서 상기 터치패널의 상면을 촬상하고, 그에 따른 촬상정보들을 제1제어장치(304)에 제공한다(416단계). The first-first to first-N test apparatuses 1021 to 102N receiving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move the touch members to the touch position according to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while moving in the XZ-axis direction, and then drop in the Y-axis direction. Touching the touch panel of the terminal by the touch method according to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or moving the touch members in the XYZ direction while approaching the touch panel and the touch members of the terminal in a proximity method according to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step 412), When the touch or the proximity by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is completed (step 414), the first-first to first-N test apparatuses 1021 to 102N raise the touch members in the Y-axis direction and the first conveyor belt ( The upper surface of the touch panel is photographed on both sides of the 104, and the imag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is provided to the first control device 304 (step 416).

상기 촬상정보들을 제공받은 제1제어장치(304)는 단말기의 터치패널을 양측면에서 촬상한 촬상정보들을 합성하여 하나의 테스트 촬상정보를 생성한다(418단계). The first control device 304 receiving the sensing information generates one test sensing information by synthesizing the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by photographing the touch panel of the terminal from both sides (step 418).

이를 도 7을 참조하여 좀 더 설명하면, 단말기의 터치패널을 양측면에서 촬상하면, 도 7의 (a)와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촬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촬상정보는 단말기의 상면이 아닌 양측면에서 사선방향으로 촬상됨에 따라 촬상장치와 멀어질수록 단말기의 터치패널이 축소되게 왜곡되며, 터치를 완료한 후에 대기위치로 상승이동한 터치패드와 터치패드 지지봉이 함께 촬상된다. Referring to FIG. 7, when the touch panel of the terminal is photographed from both sides, imaging information as shown in FIGS. 7A and 7B can be obtained. The imaging information is distorted so that the touch panel of the terminal is reduced as it moves away from the image pickup device as the image is captured in an oblique direction from both sides instea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This is imaged together.

이와같은 본 발명은 상기 터치패드의 대기위치의 높이는 터치패널의 양측면에서 사선방향으로 촬상하는 촬상장치들에 의해 촬상된 촬상정보들에서 중복되는 영역(R)이 미리 정해둔 최소영역에 대응되게 존재할 때의 높이로 정해진다. 이는 터치패널로부터 완전히 터치부재를 제거하지 않아도 되게 하여 터치부재의 이동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야기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of the standby position of the touch pad is present so as to correspond to a predetermined minimum area of the overlapping region R in the imaging information picked up by the image pickup apparatuses photographed in diagonal directions from both sides of the touch panel. Determined by the height of the hour. This causes the effect of not having to completely remove the touch member from the touch panel, thereby reducing the movement time of the touch member.

상기한 바와 같이 터치패널의 측면에서 촬상하는 촬상장치들에 의해 촬상된 촬상정보는 도 7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근감에 의한 왜곡이 존재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image pickup information captured by the image pickup apparatuses picked up from the side of the touch panel has distortion due to perspective as shown in FIGS. 7A and 7B.

이에 상기 제1제어장치(304)는 도 7의 (c) 및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원근감에 의한 왜곡을 보정하고, 도 7의 (e) 및 도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회전한다. 이후 상기 제1제어장치(304)는 상기 촬상정보들에서 터치패드가 존재하지 않으며 촬상장치와 근접됨에 따라 고품질로 촬상된 영역들(A,B)을 추출하고, 그 추출된 부분을 결합하여 도 7의 (g)에 도시한 바와 같은 테스트용 촬상정보를 생성한다. 상기한 바와 달리 상기 수직방향으로 회전된 두 촬상정보를 모자이싱하여 합성하여 테스트용 촬상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control device 304 corrects the distortion caused by the perspective as shown in FIGS. 7C and 7D, and as shown in FIGS. 7E and 7F. Rotate vertically. Thereafter, the first control device 304 extracts the areas A and B captured at high quality as the touch pad does not exist and approaches the image pickup device, and combines the extracted portions. Test imaging information as shown in Fig. 7G is generated. Unlike the above description, the imaging information for test may be generated by synthesizing the two imaging information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후 상기 제1제어장치(304)는 상기 테스트용 촬상정보와 미리 정의된 표시정보가 서로 대응되는지를 체크하고, 그 체크결과를 테스트 결과정보로서 생성한다(420단계).Thereafter, the first control device 304 checks whether the test image pickup information and the predefined display information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generates the check result as test result information (step 420).

상기 테스트 결과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308) 등을 통해 작업자에게 안내될 수 있다.
The test result information may be guided to the operator through the display device 308 or the like.

상기 제1제어장치(304)는 테스트가 완료되지 않았다면(422단계), 상기 402단계로 복귀하여 다음 단말기들에 대한 GUI 기능을 테스트한다.
If the test is not completed (step 422), the first control device 304 returns to step 402 to test the GUI function for the next terminals.

<제2실시예>&Lt; Embodiment 2 >

<다수 단말기를 위한 GUI 테스트 시스템의 구성><Configuration of GUI Test System for Multiple Terminal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는 GUI 테스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GUI 테스트 시스템의 구성을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I test system,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상기 GUI 테스트 시스템(500)은 제2컨베이어 장치(700)와 제3제어장치(704)와 제3메모리부(706)와 제2디스플레이 장치(708)와 제3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710)와 제3-1 내지 제3-N 통신모듈(7121~712N)과 제2-1 내지 제2-N 테스트 장치(5021~502N)로 구성된다. The GUI test system 500 includes a second conveyor apparatus 700, a third control apparatus 704, a third memory unit 706, a second display apparatus 708, a third user interface apparatus 710, and a third conveyor apparatus 700. 3-1 to 3-N communication modules 7121 to 712N and 2-1 to 2-N test devices 5021 to 502N.

상기 제2컨베이어 장치(700)는 제2회전 모터(702)와 제2컨베이어 벨트(504)로 구성된다. 상기 제2컨베이어 벨트(504)를 따라 제2-1 내지 제2-N 테스트 장치(5021~502N)가 직렬로 배치되어 설치된다. The second conveyor apparatus 700 includes a second rotary motor 702 and a second conveyor belt 504. The 2-1st to 2nd-N test apparatuses 5021 to 502N are disposed in series along the second conveyor belt 504.

또한 상기 제2컨베이어 벨트(504)에는 터치패널이 구비된 단말기들(5061~506M)이 제2-1 내지 제2-N 테스트 장치(5021~502N)의 배치 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한 제2컨베이어 벨트(504)에는 상기 단말기들의 이동 또는 테스트시에 발생될 수 있는 단말기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한 단말기 고정부재(holder)가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erminals 5051 to 506M having touch panels are disposed on the second conveyor belt 504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intervals of the second to second test apparatuses 5021 to 502N. The second conveyor belt 504 may be provided with a terminal holder for minimizing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that may occur during the movement or testing of the terminals.

상기 제2회전 모터(702)는 상기 제3제어장치(704)에 의해 단말기 이송명령이 입력되면, 그 이송명령에 따라 상기 제2컨베이어 벨트(504)를 구동하여 제2-1 내지 제2-N 테스트 장치(5021~502N)의 배치 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배치된 단말기들(5061~506M)을 제2-1 내지 제2-N 테스트 장치(5021~502N)의 테스트 영역으로 이송하고, 테스트가 종료된 단말기들(5061~506M)은 외부로 배출한다. When the terminal transfer command is input by the third control device 704, the second rotary motor 702 drives the second conveyor belt 504 in accordance with the transfer command to generate the second through second through second through second motors. The terminals 5051 to 506M arranged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s of arrangement of the N test apparatuses 5021 to 502N are transferred to the test area of the 2-1 to 2-N test apparatuses 5021 to 502N, and the test is performed. The terminated terminals 5051 to 506M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제2-1 내지 제2-N 테스트 장치(5021~502N) 각각은 제3제어장치(704)의 제어에 따라 하나의 터치부재를 대기위치에서 이동시켜 테스트 영역의 단말기의 터치패널상의 미리 정해진 터치위치를 미리 정해진 터치방식으로 터치하거나 미리 정해딘 하나 또는 둘의 근접위치를 미리 정해진 근접방식으로 근접하고, 그 터치 또는 근접이 완료되면, 상기 터치부재를 대기위치로 복귀시킴은 물론이고 상기 단말기의 터치패널의 표시정보를 양측면에서 사선방향으로 촬상하여 제3제어장치(704)에 제공한다.
Each of the 2-1 to 2 -N test apparatuses 5021 to 502N moves one touch member from the standby posi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third control apparatus 704 so as to be predetermined on the touch panel of the terminal of the test area. Touching the touch position with a predetermined touch method or approaching one or two predetermined proximity positions with a predetermined proximity method, and when the touch or proximity is completed, returning the touch member to the standby position as well as the terminal. The display information of the touch panel is captured in diagonal directions from both sides and provided to the third control device 704.

상기 제3제어장치(704)는 상기 제2컨베이어 장치(700) 및 상기 제2-1 내지 제2-N 테스트 장치(5021~502N)를 전반적으로 제어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테스트 기능을 수행한다. The third control device 704 controls the second conveyor device 700 and the second through second through second test devices 5021 through 502N to perform a tes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좀 더 설명하면, 상기 제3제어장치(704)는 상기 제3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710)를 통해 [GUI 테스트]가 요청되면, 상기 제2컨베이어 장치(700)의 제2회전 모터(702)를 구동하여 제2컨베이어 벨트(504) 상에 배치된 단말기들을 제2-1 내지 제2-N 테스트 장치(5021~502N) 각각의 테스트 영역으로 위치되게 이동하고, 상기 제2-1 내지 제2-N 테스트 장치(5021~502N)로 테스트 명령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테스트 명령정보는 하나 또는 둘의 터치위치정보 및 터치방식정보로 구성되거나, 하나 또는 둘의 근접위치정보 및 근접방식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In more detail, when the [GUI test] is requested through the third user interface device 710, the third control device 704 uses the second rotary motor 702 of the second conveyor device 700. Drive to move the terminals disposed on the second conveyor belt 504 to be located in the test area of each of the 2-1 to 2 -N test apparatuses 5021 to 502N, and the 2-1 to 2-2.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N test apparatuses 5021 to 502N.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may include one or two touch location information and touch method information, or one or two proximity location information and proximity method information.

상기 터치위치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터치패널의 수평면상의 위치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근접위치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터치패널의 수평면상의 위치정보 및 상기 터치패널과의 이격거리정보로 구성된다. The touch position information includes position information on a horizontal surface of a touch panel of the terminal, and the proximity position information includes position information on a horizontal surface of a touch panel of the terminal and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touch panel.

그리고 상기 터치방식정보는 미리 정해진 짧은 시간동안 터치상태를 유지하는 것 또는 미리 정해진 긴 시간동안 터치상태를 유지하는 것 또는 미리 정해진 위치 또는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패턴에 따라 터치상태를 유지한채 이동하는 것 등이 될 수 있고, 상기 근접방식정보는 미리 정해진 짧은 시간동안 근접상태를 유지하는 것 또는 미리 정해진 긴 시간동안 근접상태를 유지하는 것 또는 미리 정해진 위치 또는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패턴에 따라 근접상태를 유지한채 이동하는 것 등이 될 수 있다. The touch method information may be maintained in a touch state for a predetermined short time, or maintained in a touch state for a predetermined long time, or moved while maintaining a touch stat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ttern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r direction. The proximity method information may be maintained in a proximity state for a predetermined short time or in a proximity state for a predetermined long time or in a proximity posi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ttern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r direction. It can be moving.

상기한 테스트 명령정보를 전송한 후에, 상기 제3제어장치(704)는 상기 제2-1 내지 제2-N 테스트 장치(5021~502N)로부터 하나의 단말기에 대해 양측면에서 사선방향으로 단말기의 터치패널의 상면을 촬상한 촬상정보들을 제공받고, 그 촬상정보들을 가공하여 테스트 촬상정보를 생성하고, 그 테스트 촬상정보가 상기 테스트 명령정보에 대응되게 미리 정의해둔 테스트용 표시정보에 대응되는지를 체크하고, 그 체크결과를 포함하는 테스트 결과정보로 생성한다. After transmitting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the third control device 704 touches the terminal in a diagonal direction from both sides with respect to one terminal from the 2-1 to 2-N test devices 5021 to 502N. Receiving image pickup informa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anel, processing the image pickup information to generate test image pickup information, and checking whether the test image pickup information corresponds to test display information previously defined to correspond to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It generates the test result information including the check result.

상기 제3메모리부(706)는 상기 제3제어장치(704)의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특히 GUI 검사를 위한 테스트 명령정보와 그에 대응되는 테스트용 표시정보에 대한 테스트 정보가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테스트 명령정보와 그에 대응되는 테스트용 표시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학습된 자료로 구성될 수 있다. The third memory unit 706 stores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a control program of the third control device 704. In particular, the test information for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for the GUI inspection and the test display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is stored. Here,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and the test displa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may be composed of data learned by a user.

상기 제2디스플레이 장치(708)는 상기 제3제어장치(704)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며, 특히 상기 제2-1 내지 제2-N 테스트 장치(5021~502N)로부터 제공된 촬상정보들을 조합하여 생성한 테스트 촬상정보 또는 테스트 결과정보 등을 표시하여 작업자에게 안내한다. The second display device 708 display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third control device 704, and in particular, combines the imag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cond to second test devices 5021 to 502N. And display the test imaging information or test result information generated to guide the operator.

상기 제3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710)는 작업자로부터 각종 명령을 제공받아 상기 제3제어장치(704)에 제공한다. The third user interface device 710 receives various commands from the operator and provides them to the third control device 704.

상기 제3-1 내지 제3-N 통신모듈(7121~712N)은 제2-1 내지 제2-N 테스트 장치(5021~502N)와 상기 제3제어장치(704) 사이의 통신을 담당한다.
The 3-1 to 3-N communication modules 7121 to 712N are in charge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2-1 to 2-N test devices 5021 to 502N and the third control device 704.

<테스트 장치의 구성 및 동작><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est device>

상기 제2-1 내지 제2-N 테스트 장치(5021~502N)는 그 구성 및 동작이 동일하므로, 제2-1 테스트 장치(5021)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만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Sinc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2-1 to 2 -N test apparatuses 5021 to 502N are the sam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2-1 test apparatus 5021 ar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only. Explain.

상기 제2-1 테스트 장치(5021)는, 제2베이스 부재(600)와 제3촬상장치(602)와 제4촬상장치(604)와 제4제어장치(750)와 제4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756)와 제4통신모듈(752)와 제4메모리부(754)와 제3지지부재(606)와 제3X축 이동모터(610)과 제3Z축 이동모터(612)와 제3Y축 이동모터(616)와 X축 이동바(608)와 Y축 이동바(618)와 Z축 이동바(614)와 제3터치부재(620), 제3거리센서(622)로 구성된다.
The 2-1st test apparatus 5021 includes a second base member 600, a third imaging device 602, a fourth imaging device 604, a fourth control device 750, and a fourth user interface device ( 756, the fourth communication module 752, the fourth memory unit 754, the third support member 606, the third X-axis movement motor 610, the third Z-axis movement motor 612, and the third Y-axis movement motor. 616, the X-axis moving bar 608, the Y-axis moving bar 618, the Z-axis moving bar 614, the third touch member 620, and the third distance sensor 622.

상기 제2베이스 부재(600)의 상면에는 상기 제3지지부재(606)가 결착되어 고정설치된다. The third support member 606 is fixed to and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ase member 600.

상기 제3지지부재(606)는 제2컨베이어 벨트(504)의 상면을 가로지는 바와 상기 바의 종단면들 각각에 상기 제2베이스 부재(600)와의 결착을 위한 연결부재로 형성된다. 이하, 설명의 편이상 상기 제2컨베이어 벨트(504)의 이동방향을 Z축, 상기 제2컨베이어 벨트(402)의 이동방향과 수직방향을 X축, 상하방향을 Y축이라 정했다. The third supporting member 606 is formed as a connecting member for binding with the second base member 600 on each of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s of the bar and the bar that cro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veyor belt 504.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cond conveyor belt 504 is defined as the Z axis, the moving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cond conveyor belt 402 is defined as the X axis, and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referred to as the Y axis.

상기 제3지지부재(606)의 바의 일측단면에는 제3 X축 이동모터(610)가 장착되며, 상기 제3 X축 이동모터(610)는 상기 제3지지부재(606)의 바의 상면에 위치하는 X축 이동바(608)를 구동하여 상기 X축 이동바(608)의 일측에 결착된 Z축 이동모터(612)를 통해 연결된 제3터치부재(620)가 X축 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A third X-axis moving motor 610 is mount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bar of the third supporting member 606, and the third X-axis moving motor 610 is an upper surface of the bar of the third supporting member 606. The third touch member 620 connected through the Z-axis movement motor 612, which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X-axis movement bar 608 by driving the X-axis movement bar 608 located in the to move in the X-axis direction do.

상기 제3 Z축 이동모터(612)는 상기 X축 이동바(608)의 일측에 결착되어, 상기 X축 이동바(608)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제3 Z축 이동모터(612)는 상기 X축과는 수평방향으로 수직인 Z축으로 연장된 Z축 이동바(614)를 구동하여 Y축 이동바(618)를 통해 연결된 제3터치부재(620)가 Z축 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The third Z-axis movement motor 612 is bound to one side of the X-axis movement bar 608, and moves in the X-axis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X-axis movement bar 608. In addition, the third Z-axis movement motor 612 drives the Z-axis movement bar 614 extending in the Z-axis perpendicular to the X-axi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third touch connected through the Y-axis movement bar 618 The member 620 is moved in the Z-axis direction.

상기 제3 Y축 이동모터(616)는 상기 Z축 이동바(614)의 일측에 결착되어, 상기 Z축 이동바(614)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Z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제3 Y축 이동모터(616)는 상하방향인 Y축 방향으로 연작된 Y축 이동바(618)를 구동하여, 상기 Y축 이동바(618)의 하단에 위치하는 제3터치부재(620)를 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Y축 이동바(618)의 하단에는 제3거리센서(622)도 부착된다. The third Y-axis movement motor 616 is bound to one side of the Z-axis movement bar 614, and moves in the Z-axis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Z-axis movement bar 614. In addition, the third Y-axis moving motor 616 drives the Y-axis moving bar 618 that is serialized in the Y-axis direction, which is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Y-axis moving bar 618. 620 is moved in the Y-axis direction. Here, the third distance sensor 622 is also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Y-axis movement bar 618.

즉, 상기 제3터치부재(620)는 X축 이동바(608), Z축 이동바(614) 및 Y축 이동바(618)의 움직임에 따라 XYZ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4제어장치(750)의 제어에 따른 터치 또는 근접위치로 이동하여 제4제어장치(750)의 제어에 따른 터치 또는 근접 방식으로 테스트 영역에 위치하는 단말기의 터치패널을 터치 또는 근접한다. 여기서, 상기 제3터치부재(620)는 점형태의 터치부재만이 개시되어 있으나 터치방식의 다양화에 부응하여 면형상의 터치부재, 선형상의 터치부재가 채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에 의해 자명하다. That is, the third touch member 620 moves in the XYZ axis direc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X-axis moving bar 608, the Z-axis moving bar 614, and the Y-axis moving bar 618. The touch panel of the terminal located in the test area is touched or approached in a touch or proximity manner under the control of the fourth control device 750 by moving to a touch or a proximity posi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750. Here, only the point-type touch member is disclosed as the third touch member 620. However, in accordance with the diversification of the touch method, a planar touch member and a linear touch member may be employed. Do.

또한 상기 제3터치부재(620)는 테스트를 위한 터치 또는 근접이 완료되면, 미리 정해진 대기 위치로 이동한다. In addition, when the touch or proximity for the test is completed, the third touch member 620 moves to a predetermined standby position.

상기 대기 위치의 높이는 제3 및 제4촬상장치(602,604)가 촬상한 촬상정보들에서 중복되는 영역이 미리 정해둔 최소영역에 대응되게 존재할 때의 높이로 정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3 및 제4촬상장치(602,604)가 단말기의 양측면에서 사선 방향으로 촬상을 이행하고, 각 촬상장치가 촬상한 촬상정보 중 자신과 근접한 쪽의 촬상정보의 일부만을 선택하여 이용하도록 하여, 상기 제3터치부재(620)의 대기위치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The height of the standby position is determined as the height when the overlapping regions exist in the image capturing information picked up by the third and fourth imaging apparatuses 602 and 604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minimum reg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and fourth imaging apparatuses 602 and 604 carry out imaging in the oblique direction from both sides of the terminal, and select and use only a part of the imaging information closer to the self among the imaging information captured by each imaging apparatus. In this way, the height of the standby position of the third touch member 620 may be minimized.

상기 제3거리센서(622)는 상기 제3터치부재(620)와 단말기의 터치패널 사이의 이격거리를 검출하여 제4제어장치(750)에 제공하며, 제4제어장치(750)는 상기 테스트 명령정보가 근접을 지시하면 상기 제3터치부재(620)와 단말기의 터치패널 사이의 이격거리가 테스트 명령정보에 따른 이격거리에 부합되도록 상기 제3Y축 이동모터(616)를 구동한다. The third distance sensor 622 detect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third touch member 620 and the touch panel of the terminal and provides it to the fourth control device 750, the fourth control device 750 is the test When the command information indicates the proximity, the third Y-axis moving motor 616 is driven so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third touch member 620 and the touch panel of the terminal corresponds to the separation distance according to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상기 제4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756)는 작업자로부터의 각종명령을 입력받아 제4제어장치(750)에 제공한다. The fourth user interface device 756 receives various commands from the operator and provides them to the fourth control device 750.

상기 제4통신모듈(752)은 상기 제3제어장치(704)와 상기 제4제어장치(750) 사이의 통신을 담당한다. The fourth communication module 752 is in charge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third control device 704 and the fourth control device 750.

상기 제4메모리부(754)는 상기 제4제어장치(750)의 처리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The fourth memory unit 754 stores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a processing program of the fourth control device 750.

상기 제3 및 제4촬상장치(602,604)는 제2컨베이어 벨트(504)의 양측면에서 제2컨베이어 벨트(504) 상면에 위치하는 테스트 영역으로 이송된 단말기(5061)의 터치패널의 상면을 촬상하고, 그에 따른 촬상정보를 제4제어장치(750)에 제공한다. The third and fourth imaging apparatuses 602 and 604 image upper surfaces of the touch panel of the terminal 5051 transferred from both sides of the second conveyor belt 504 to the test area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veyor belt 504. Then, the imag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is provided to the fourth control device 750.

상기 제4제어장치(750)는 제4통신모듈(754)을 통해 제공된 테스트 명령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제3터치부재(620)가 터치할 터치위치 및 터치방식을 결정하고, 그 결정에 따라 제3X축 이동모터(610)와 제3Z축 이동모터(612)와 제3Y축 이동모터(616)와 X축 이동바(608)와 Y축 이동바(618)와 Z축 이동바(614)를 제어하여, 상기 제3터치부재(620)를 대기위치에서 결정된 터치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결정된 터치방식으로 단말기(5061)의 터치패널을 터치하거나, 상기 제3터치부재(620)가 근접할 근접위치 및 근접방식을 결정하고, 그 결정에 따라 제3X축 이동모터(610)와 제3Z축 이동모터(612)와 제3Y축 이동모터(616)와 X축 이동바(608)와 Y축 이동바(618)와 Z축 이동바(614)를 제어하여, 상기 제3터치부재(620)를 대기위치에서 결정된 근접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결정된 터치방식으로 단말기(5061)의 터치패널에 근접한다. The fourth control device 750 receives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fourth communication module 754 to determine the touch position and the touch method to be touched by the third touch member 620. 3X-axis movement motor 610, the third Z-axis movement motor 612, the third Y-axis movement motor 616, the X-axis movement bar 608, the Y-axis movement bar 618 and the Z-axis movement bar 614 By controlling, the third touch member 620 is moved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determined touch position, and then the touch panel of the terminal 5061 is touched by the determined touch method, or the proximal position where the third touch member 620 is close to. And a proximity method, an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the third X-axis moving motor 610, the third Z-axis moving motor 612, the third Y-axis moving motor 616, the X-axis moving bar 608, and the Y-axis moving bar. 618 and the Z-axis movement bar 614 to move the third touch member 620 to the proximal position determined from the standby position, and then the terminal 5051 to the determined touch method. Close to the touch panel.

상기 제4제어장치(750)는 상기 제3터치부재(620)에 의한 터치 또는 근접이후 상기 제3터치부재(620)가 단말기(5061)의 터치패널로부터 이격되어 Y축으로 상승 이동하여 미리 정해둔 대기위치까지 이동하면, 상기 제3 및 제4촬상장치(602,604)를 구동하여 상기 단말기(5061)의 터치패널의 상면을 촬상하고, 그 촬상에 따른 촬상정보들을 제4통신모듈(752)을 통해 제4제어장치(750)로 제공한다.
The fourth control device 750 is predetermined after the third touch member 620 is moved away from the touch panel of the terminal 5061 after being touched or approached by the third touch member 620. When moving to the standby position, the third and fourth imaging apparatuses 602 and 604 are driven to capture an upper surface of the touch panel of the terminal 5061, and the imag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maging is transferred to the fourth communication module 752. Through the fourth control device 750 is provided.

<GUI 테스트 시스템의 처리 흐름도><Processing Flow of GUI Test System>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원 터치 방식 GUI 테스트 시스템의 처리 동작을 도 1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processing operation of the one-touch GUI test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상기 원 GUI 테스트 시스템의 제3제어장치(704)는 제3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710)를 통해 작업자가 GUI 테스트를 명령하면(800단계), 제2컨베이어 장치(700)의 제2회전 모터(702)를 구동하여 제2컨베이어 벨트(504)를 구동하여, 제2컨베이어 벨트(504)의 상면에 제2-1 내지 제2-N 테스트 장치(5021~502N)의 설치간격으로 배치된 단말기들을 제2-1 내지 제2-N 테스트 장치(5021~502N)의 중앙부분으로 설정된 테스트 영역으로 이송한다. The third control device 704 of the original GUI test system when the operator commands the GUI test through the third user interface device 710 (step 800), the second rotary motor 702 of the second conveyor device 700 Drive the second conveyor belt 504, and the terminals disposed at the intervals between the installation of the second to second test apparatuses 5021 to 502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veyor belt 504. It transfers to the test area set as the center part of 2-1 thru | or 2-N test apparatus 5021-502N.

또한 상기 제3제어장치(704)는 제2-1 내지 제2-N 테스트 장치(5021~502N)로 촬상명령을 전송하고, 그 촬상명령에 따라 상기 제2-1 내지 제2-N 테스트 장치(5021~502N)는 제2컨베이어 벨트(704)의 양측면에서 중앙의 테스트 영역을 촬상하고, 그 촬상에 따른 촬상정보들을 제3제어장치(704)로 반환한다(802단계). Further, the third control device 704 transmits an imaging command to the 2-1 to 2-N test apparatuses 5021 to 502N, and according to the imaging command, the second-1 to 2-N test apparatuses. 5021 to 502N image the central test area on both sides of the second conveyor belt 704, and return the image pickup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pickup to the third control device 704 (step 802).

상기 제3제어장치(704)는 상기 촬상에 따른 촬상정보들을 수신하여, 그 촬상정보내의 단말기들의 위치가 미리 정해둔 테스트 영역들에 위치하는지를 검사한다. The third control device 704 receives the imag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maging, and checks whether the terminals of the imaging information are located in the predetermined test areas.

이후 상기 제3제어장치(704)는 상기 촬상정보내의 단말기들의 위치가 미리 정해둔 테스트 영역들에 위치하면, 상기 제3제어장치(704)는 테스트 명령정보를 전송한다. Thereafter, when the third control device 704 is located in the test areas predetermined in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in the imaging information, the third control device 704 transmits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상기 테스트 명령정보를 수신한 제2-1 내지 제2-N 테스트 장치(5021~502N) 각각은 터치부재를 XZ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테스트 명령정보에 따른 터치위치로 이동시키고, Y축 방향으로 강하하여 테스트 명령정보에 따른 터치방식으로 단말기의 터치패널을 터치하거나, 상기 터치부재들을 XYZ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테스트 명령정보에 따른 근접방식으로 단말기의 터치패널과 상기 터치부재들을 근접시키고(812단계), 상기 테스트 명령정보에 의한 터치 또는 근접이 완료되면(814단계), 상기 제2-1 내지 제2-N 테스트 장치(5021~502N) 각각은 상기 터치패드를 Y축 방향으로 상승시킴과 아울러 제2컨베이어 벨트(504)의 양측면에서 상기 터치패널의 표면을 촬상하고, 그에 따른 촬상정보들을 제3제어장치(704)에 제공한다(816단계). Each of the 2-1 to 2 -N test apparatuses 5021 to 502N receiving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moves to the touch position according to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while moving the touch member in the XZ axis direction, and drops in the Y axis direction. Touch the touch panel of the terminal by the touch method according to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or move the touch members in the XYZ direction to approach the touch panel and the touch member of the terminal in a proximity method according to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step 812), When the touch or the proximity by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is completed (step 814), each of the second to second test apparatuses 5021 to 502N raises the touch pad in the Y-axis direction, and a second point. Images of the surface of the touch panel are imaged on both sides of the conveyor belt 504, and the imaging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third control device 704 (step 816).

상기 촬상정보들을 제공받은 제3제어장치(704)는 단말기의 터치패널을 양측면에서 촬상한 촬상정보들이 제공되면, 그 두 촬상정보들을 합성하여 하나의 테스트 촬상정보를 생성한다(818단계). 이는 도 7을 참조하여 상술되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third control device 704 receiving the sensing information provides the test sensing information by synthesizing the two sensing information when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touch panel of the terminal is provided from both sides (step 818). Since this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7,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후 상기 제3제어장치(704)는 상기 테스트용 촬상정보와 미리 정의된 표시정보가 서로 대응되는지를 체크하고, 그 체크결과를 테스트 결과정보로서 생성한다(820단계).Thereafter, the third control apparatus 704 checks whether the test image pickup information and the predefined display information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generates the check result as test result information (step 820).

상기 테스트 결과정보는 제2디스플레이 장치(708) 등을 통해 작업자에게 안내될 수 있다. The test result information may be guided to an operator through the second display device 708 or the like.

상기 제3제어장치(304)는 테스트가 완료되지 않았다면 상기 802단계로 복귀하여 다음 단말기의 터치방식의 GUI 기능을 테스트한다.
If the test is not completed, the third control device 304 returns to step 802 to test the touch type GUI function of the next terminal.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단일 단말기를 위한 투 터치 방식 GUI 테스트 장치><Two touch type GUI test device for single terminal>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서는 다수의 단말기에 대해 GUI를 테스트하기 위한 구조를 개시하였으나, 테스트 장치 하나를 이용하여 단일 단말기에 대해 GUI를 테스트하게도 구성할 수 있다. In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for testing a GUI for a plurality of terminals has been disclosed, but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GUI for a single terminal using one test device.

이러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컨베이어 장치가 없이 대물대가 컨베이어 벨트의 자리에 대신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후 상기 대물대에 단말기를 위치시키면, 테스트 장치의 제어장치가 그 단말기의 터치 패드를 테스트 명령정보에 따라 터치 또는 근접한 후에 그 단말기의 터치패드의 표면을 양측면에서 사선방향으로 촬상하고, 그 촬상에 따라 생성된 두 촬상정보들을 합성하여 하나의 테스트 촬상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한 테스트 촬상정보와 미리 정의된 표시정보가 서로 대응되는지를 체크하고, 그 체크 결과에 따른 테스트 결과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장치는 도 3의 테스트 장치로부터 자명하다.
In this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ive is positioned in place of the conveyor belt without the conveyor apparatus. Then, when the terminal is positioned on the objective, the control device of the test apparatus touches or approaches the touch pad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and then images the surfaces of the touch pad of the terminal in both directions in diagonal directions, The test image information is generated by synthesizing the two pieces of image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ly, and checking whether the generated test image information and the predefined display information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generating test resul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heck result. Th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arent from the test apparatus of FIG. 3.

<제4실시예><Fourth Embodiment>

<단일 단말기를 위한 원 터치 방식 테스트 장치><One touch test device for single terminal>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단말기에 대한 GUI를 테스트하기 위한 구조를 개시하였으나, 테스트 장치 하나를 이용하여 단일 단말기에 대해 GUI를 테스트하게도 구성할 수도 있다. Although a structure for testing a GUI for a plurality of terminals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isclosed, the GUI may be configured for a single terminal using one test device.

이러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컨베이어 장치가 없이 대물대가 컨베이어 벨트의 자리에 대신하여 위치한다. 상기 대물대에 단말기를 위치되면, 테스트 장치의 제어장치가 그 단말기의 터치 패드를 테스트 명령정보에 따라 터치 또는 근접한 후에, 그 단말기의 터치패드의 표면을 양측면에서 사선방향으로 촬상하고, 그 촬상에 따라 생성된 두 촬상정보들을 합성하여 하나의 테스트 촬상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한 테스트 촬상정보와 미리 정의된 표시정보가 서로 대응되는지를 체크하고, 그 체크 결과에 따른 테스트 결과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장치는 도 10의 테스트 장치로부터 자명하다.
In this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ive is positioned in place of the conveyor belt without the conveyor apparatus. When the terminal is positioned on the objective, after the control device of the test apparatus touches or approaches the touch pad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the surface of the touch pad of the terminal is imaged diagonally from both sides, and The test image information is generated by synthesizing the two pieces of image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ly, and checking whether the generated test image information and the predefined display information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generating test resul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heck result. Th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arent from the test apparatus of FIG. 10.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터치부재와 터치패널 사이의 이격거리를 거리센서를 통해 획득하는 것만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이격거리는 터치패널의 양측면에서 촬상한 촬상정보들로부터 검출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의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In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distance between the touch member and the touch panel is obtained by using a distance sensor, but the distance may be detected from imaging information captured from both sides of the touch panel.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by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터치부재가 대기위치로 이동한 후에 터치패널의 양측면에서 촬상을 이행하는 것만을 예시하였으나, 터치 또는 근접한 상태에서 촬상할 수도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의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image pickup is performed on both sides of the touch panel after the touch member is moved to the standby position, but the image may be captured in a touch or close state, and this may be achiev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elf-explanatory

또한 상기한 본 발명에서 터치패널에 근접하여 사용자 입력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는 근래 상용화된 에어뷰 등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providing the user input information in close proximity to the touch panel is a commercially available air view and the like.

또한 상기 근접시의 이격거리는 GUI를 통한 사용자 입력방식의 다양화를 고려하여 가변될 수 있음은 본 발명에 의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In addition,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by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in proximity can be varied in consideration of the diversification of the user input method through the GUI.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두개의 촬상장치를 이용하는 것만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터치봉의 이동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더 많은 수의 촬상장치를 구비하여, 그 많은 수의 촬상장치로부터의 영상정보를 조합하게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의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wo imaging apparatuses are used. However, in order to minimize the movement of the touch rod, a larger number of imaging apparatuses are provided, so that image information from a large number of imaging apparatuses can be obtained. Combinations can also be made and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by the present invention.

100 : 다수 단말기를 위한 투 GUI 테스트 시스템
1021~102N : 제1-1 내지 제1-N 테스트 장치
104 : 컨베이어 벨트
100: Two GUI test system for multiple terminals
1021-102N: 1-1 to 1-N test apparatus
104: conveyor belt

Claims (13)

GUI에 대한 테스트 시스템에 있어서,
컨베이어 벨트와 컨베이어 모터로 구성되는 컨베이어 장치;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직렬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이송되는 단말기들에 대해 GUI를 테스트하는 다수의 테스트 장치; 및
상기 컨베이어 장치와 상기 다수의 테스트 장치를 제어하며,
테스트 명령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 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배치된 단말기를 다수의 테스트 장치의 테스트 영역으로 이송하고,
상기 다수의 테스트 장치로 테스트 명령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테스트 명령정보에 따른 촬상정보들이 제공되면, 그 촬상정보들을 합성하여 테스트 촬상정보를 생성하고,
그 테스트 촬상정보가 미리 정의된 표시정보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그 체크결과에 따른 테스트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제1제어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의 테스트 장치는 ,
하나 이상의 터치부재,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중심에 위치하는 테스트 영역에 올려진 단말기의 터치패널상의 하나 이상의 특정 위치로 상기 하나 이상의 터치부재를 이송함과 아울러 상기 터치패널과 상기 하나 이상의 터치부재를 맞닿게 하여 터치되게 하거나 근접되게 하는 이송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측면에 설치되어 사선방향으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중심에 위치하는 테스트 영역에 올려진 단말기의 터치패널의 상면을 촬상하는 다수의 촬상장치, 및
상기 테스트 명령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테스트 명령정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위치로 상기 하나 이상의 터치부재를 이송하여 상기 테스트 명령정보에 따른 터치 방식으로 터치되게 하거나 근접 방식으로 근접되게 상기 이송부를 제어하며,
상기 터치 또는 근접후에 상기 다수의 촬상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테스트 영역에 위치하는 단말기의 터치패널의 상면을 촬상하여 다수의 촬상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1제어장치로 제공하는 제2제어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상기 다수의 테스트 장치의 중심을 가로지르며 이동하며,
상기 제1제어장치는 테스트 명령이 제공되면, 상기 제2제어장치로 다수의 촬상장치로부터의 촬상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제2제어장치가 상기 다수의 촬상장치로부터의 촬상정보를 상기 제어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제1제어장치가 상기 다수의 촬상장치로부터의 촬상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가 미리 정해진 테스트 영역에 위치하는지를 체크하고, 상기 단말기가 미리 정해진 테스트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테스트 명령정보를 상기 제2제어장치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GUI에 대한 테스트 시스템.
In the test system for the GUI,
A conveyor device composed of a conveyor belt and a conveyor motor;
A plurality of test devices disposed in series along the conveyor belt, the plurality of test devices for testing a GUI for terminals transported through the conveyor belt; And
To control the conveyor device and the plurality of test devices,
Driving the conveyor apparatus according to a test command to transfer the terminals disposed on the conveyor belt to test areas of the plurality of test apparatuses,
Providing test command information to the plurality of test devices,
When the imag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is provided, the imaging information is synthesized to generate test imaging information,
And a first control device which checks whether the test image capturing information corresponds to predefined display information, and generates test resul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heck result.
The plurality of test devices,
One or more touch elements,
The at least one touch member is transferred to at least one specific position on the touch panel of the terminal mounted on the test area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onveyor belt, and the touch panel and the at least one touch member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or in close proximity to each other. Conveying part,
A plurality of imaging apparatuses installed on side surfaces of the conveyor belt and configured to image an upper surface of a touch panel of a terminal mounted in a test area positioned in the center of the conveyor belt in an oblique direction;
Receiving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and transferring the one or more touch members to one or more positions according to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to control the transfer unit to be touched or touched in a proximity manner according to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A second control device configured to drive the plurality of imaging devices after the touch or the proximity to capture an upper surface of the touch panel of the terminal located in the test area, to obtain a plurality of pieces of imaging information, and to provide the plurality of imaging information to the first control device; ,
The conveyor belt moves across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test devices,
When the test command is provided, the first control device requests imaging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imaging devices from the second control device.
The second control apparatus provides the imaging information from the plurality of imaging apparatuses to the control apparatus,
The first control device receives the image information from the plurality of image pickup devices, checks whether the terminal is located in a predetermined test area, and if the terminal is located in a predetermined test area,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is controlled by the second control device. Test system for a GUI,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by th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재는,
점형상, 선형상 또는 면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GUI에 대한 테스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touch member,
Test system for a GUI characterized by being pointed, linear or face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방식은, 특정 위치에 대해 미리 정해진 짧은 시간동안 터치하는 것, 특정 위치에 대해 미리 정해진 긴 시간동안 터치하는 것, 또는 특정 위치에서 다른 특정위치로 터치상태를 유지하면서 특정 패턴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거나,
상기 근접방식은, 특정 위치에 대해 미리 정해진 짧은 시간동안 근접하는 것, 특정 위치에 대해 미리 정해진 긴 시간동안 근접하는 것, 또는 특정 위치에서 다른 특정위치로 근접상태를 유지하면서 특정 패턴을 따라 이동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GUI에 대한 테스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touch method may be performed by touching a predetermined short time for a specific position, touching a predetermined long time for a specific position, or moving along a specific pattern while maintaining a touch state from one specific position to another specific position. Or
The proximity method may be a method of approaching a specific position for a predetermined short time, approaching a predetermined long time for a specific position, or moving along a specific pattern while maintaining proximity to another specific position. Test system for the GUI,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장치는, 상기 다수의 촬상장치로부터의 촬상정보들을 제공받아 원근감 왜곡을 제거하고, 그 원근감 왜곡이 제거된 촬상정보들 중 촬상장치와 근거리에 위치하는 영역들을 선택하여 조합하여 테스트용 촬상정보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GUI에 대한 테스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ontrol device receives image information from the plurality of image pickup devices to remove perspective distortion, and selects and combines regions located at a short distance with the image pickup device from among the imaging information from which the perspective distortion has been removed. A test system for a GUI, characterized by generating imaging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장치는 상기 다수의 촬상장치로부터의 촬상정보들을 제공받아 원근감 왜곡을 제거하고, 그 원근감 왜곡이 제거된 촬상정보들을 모자이싱하여 합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GUI에 대한 테스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first control device receives image information from the plurality of image pickup devices to remove perspective distortion, and synthesizes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from which the perspective distortion has been remov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터치부재를 통해 터치패널을 터치한 후에 대기위치로 복귀시키며,
상기 대기위치의 높이는 상기 다수의 촬상장치가 촬상한 촬상정보에서 중복되는 영역이 미리 정해둔 최소영역에 대응되게 존재할 때의 높이로 정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GUI에 대한 테스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control device returns to the standby position after touching the touch panel through the at least one touch member,
And the height of the standby position is determined as the height when the overlapping area in the imaging information picked up by the plurality of imaging devices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minimum area.
GUI에 대한 테스트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터치부재;
대물대;
상기 대물대의 중심에 위치하는 테스트 영역에 올려진 단말기의 터치패널상의 하나 이상의 특정 위치로 상기 하나 이상의 터치부재를 이송함과 아울러 상기 터치패널과 상기 하나 이상의 터치부재를 맞닿게 하여 터치하거나 근접되게 하는 이송부;
상기 대물대의 측면에 설치되어 사선방향으로 상기 대물대의 중심에 위치하는 테스트 영역에 올려진 단말기의 터치패널의 상면을 촬상하는 다수의 촬상장치; 및
테스트 명령정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위치로 상기 하나 이상의 터치부재를 이송하여 상기 테스트 명령정보에 따른 터치방식으로 터치되게 하거나 근접방식으로 근접되게 상기 이송부를 제어하며,
상기 터치 또는 근접후에 상기 다수의 촬상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대물대의 중심에 위치하는 단말기의 터치패널의 상면을 촬상하여 다수의 촬상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다수의 촬상정보를 합성하여 하나의 테스트용 촬상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테스트용 촬상정보가 미리 정의된 표시정보가 대응되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그 체크결과에 따른 테스트 결과정보를 생성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다수의 촬상장치로부터의 촬상정보들을 제공받아 원근감 왜곡을 제거하고, 그 원근감 왜곡이 제거된 촬상정보들을 모자이싱하여 합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GUI에 대한 테스트 장치.
In the test device for the GUI,
One or more touch members;
Objective;
The at least one touch member is transferred to at least one specific position on the touch panel of the terminal mounted on the test area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objective, and the touch panel and the at least one touch member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touch or approach the touch panel. Transfer unit;
A plurality of imaging device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objective and picking up an upper surface of the touch panel of the terminal mounted on a test area positioned in the center of the objective in an oblique direction; And
Controlling the transfer unit to move the one or more touch members to one or more positions according to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so as to be touched by a touch method according to the test command information or to approach a proximity method.
After the touch or proximity, the plurality of imaging devices are driven to capture the upper surface of the touch panel of the terminal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objective to obtain a plurality of pieces of image information, and to synthesize the plurality of pieces of image information for one test image. And a controller for generating information, checking whether the test image pickup information corresponds to predefined display information, and generating test resul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heck result.
And the control device receives image information from the plurality of image pickup devices to remove perspective distortion, and synthesizes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from which the perspective distortion has been remov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재는,
점형상, 선형상 또는 면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GUI에 대한 테스트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touch member,
Test device for a GUI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inted, linear or plana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방식은, 특정 위치에 대해 미리 정해진 짧은 시간동안 터치하는 것, 특정 위치에 대해 미리 정해진 긴 시간동안 터치하는 것, 또는 특정 위치에서 다른 특정위치로 터치상태를 유지하면서 특정 패턴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거나,
상기 근접방식은, 특정 위치에 대해 미리 정해진 짧은 시간동안 근접하는 것, 특정 위치에 대해 미리 정해진 긴 시간동안 근접하는 것, 또는 특정 위치에서 다른 특정위치로 근접상태를 유지하면서 특정 패턴을 따라 이동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GUI에 대한 테스트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touch method may be performed by touching a predetermined short time for a specific position, touching a predetermined long time for a specific position, or moving along a specific pattern while maintaining a touch state from one specific position to another specific position. Or
The proximity method may be a method of approaching a specific position for a predetermined short time, approaching a predetermined long time for a specific position, or moving along a specific pattern while maintaining proximity to another specific position. Test device for the GUI, characterized in tha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다수의 촬상장치로부터의 촬상정보들을 제공받아 원근감 왜곡을 제거하고, 그 원근감 왜곡이 제거된 촬상정보들 중 촬상장치와 근거리에 위치하는 영역들을 선택하여 조합하여 테스트용 촬상정보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GUI에 대한 테스트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ler receives image information from the plurality of image pickup devices to remove perspective distortion, and selects and combines the image pickup device for the test with the image pickup information for the test. Test device for the GUI, characterized in that generating.
삭제dele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터치부재를 통해 터치패널을 터치 또는 근접한 후에 대기위치로 복귀시키며,
상기 대기위치의 높이는 상기 다수의 촬상장치가 촬상한 촬상정보에서 중복되는 영역이 미리 정해둔 최소영역에 대응되게 존재할 때의 높이로 정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GUI에 대한 테스트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 unit returns to the standby position after touching or approaching the touch panel through the at least one touch member,
And the height of the standby position is determined by a height when overlapping regions exist in the image capturing information picked up by the plurality of imaging apparatuses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minimum region.
KR1020130070390A 2013-06-19 2013-06-19 Tester for gui KR1013323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390A KR101332382B1 (en) 2013-06-19 2013-06-19 Tester for gui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390A KR101332382B1 (en) 2013-06-19 2013-06-19 Tester for gui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2382B1 true KR101332382B1 (en) 2013-11-22

Family

ID=49858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0390A KR101332382B1 (en) 2013-06-19 2013-06-19 Tester for gui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238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589B1 (en) 2014-04-29 2014-10-08 주식회사 디아이랩 Gui tester for multi input
WO2018187674A1 (en) * 2017-04-06 2018-10-11 Cve Technology Group, Inc. Novel automated functional testing system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171A (en) * 2005-03-23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Visual inspection device and panel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111237B1 (en) * 2011-06-10 2012-02-14 김동언 Inspectio apparatus for touch-panel
KR20120117595A (en) * 2011-04-16 2012-10-24 비티에스테크놀로지스(주) Touch screen base user interface test apparatus and test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171A (en) * 2005-03-23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Visual inspection device and panel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120117595A (en) * 2011-04-16 2012-10-24 비티에스테크놀로지스(주) Touch screen base user interface test apparatus and test method
KR101111237B1 (en) * 2011-06-10 2012-02-14 김동언 Inspectio apparatus for touch-pane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589B1 (en) 2014-04-29 2014-10-08 주식회사 디아이랩 Gui tester for multi input
WO2018187674A1 (en) * 2017-04-06 2018-10-11 Cve Technology Group, Inc. Novel automated functional testing system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11709114B2 (en) 2017-04-06 2023-07-25 Kyutaek Cho Automated functional testing system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5054B2 (en) Touch device with adjustable grid distance
CN103309495B (en) There is the display device of integrated touch screen
US10534485B2 (en) Display device having an integrated sensing device with improved proximity sensing
KR101374104B1 (en) Display apparatus having multi-touch recognizing func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190121491A1 (en) Display device
US9652077B2 (en) Touch screen testing platform having components for providing conductivity to a tip
CN106791450B (en) A kind of photographic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02662229B (en) Microscope having touch screen
CN103809792A (en) Touch display
CN102798973B (en) Micro-electromechanical display with touch control function
CN102884496A (en) Varying demodulation to avoid interference
US9547919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5637443A (en) In-cell low power modes
EP3161592A1 (en) Touch screen testing platform having components for providing conductivity to a tip
CN105760030A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Display Artifacts
CN103135855A (en) Optical touch device and touch image processing method
WO2015159774A1 (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device
KR101332382B1 (en) Tester for gui
CN105448249A (en) Display device, driving circuit and driv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9212621A (en) Electronic component handling apparatus and electronic component inspection device
KR101075442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pointing information thereof
KR101196894B1 (en) Touch screen base user interface test apparatus and test method
CN205581834U (en) Multiple spot touch devices and display device
KR101447589B1 (en) Gui tester for multi input
JP4493200B2 (en) Touch panel mounted device adjustment apparatus and touch panel mounted device adjustmen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