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6194B1 - Rfid 태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자 보호대 - Google Patents

Rfid 태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자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6194B1
KR101326194B1 KR1020120116751A KR20120116751A KR101326194B1 KR 101326194 B1 KR101326194 B1 KR 101326194B1 KR 1020120116751 A KR1020120116751 A KR 1020120116751A KR 20120116751 A KR20120116751 A KR 20120116751A KR 101326194 B1 KR101326194 B1 KR 101326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rfid tag
circuit
rfid
tag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6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근
이진재
Original Assignee
이진재
조성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재, 조성근 filed Critical 이진재
Priority to KR1020120116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61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 G06K19/07762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the adhering arrangement making the record carrier wearable, e.g. having the form of a ring, watch, glove or bracel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28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impact or bending, e.g. protective shells or stress-absorbing layers around the integrated circui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37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on a target surface or at impact on the ground
    • A63B2024/0043Systems for locating the point of impact on a specific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ID 태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RFID 태그는 면상의 기저 소재와 상기 기저 소재에 배치되는 회로부와 상기 기저 소재에 배치되며 상기 회로부의 둘레에 배치되는 안테나를 구비하는 RFID 태그와, 상기 RFID 태그의 일면을 덮는 제1커버와, 상기 RFID의 타면을 덮으며 일부가 상기 제1커버에 접착되는 제2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제1커버는 상기 RFID 태그의 상기 회로부의 휨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기 RFID 태그의 상기 회로부에 대응되는 부분의 둘레를 일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요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RFID 태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자 보호대 {RFID Tag assembly and electronic protective gear}
본 발명은 RFID 태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보호대에 관련된 것이다.
최근 태권도 등의 격투기 경기에서 전자 보호대를 도입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 보호대는 특정 선수들의 공격이 상대방 선수의 보호구에 정확하게 타격이 되었는지를 검출하기 하기 위하여 RFID 태그 및 RFID 리더를 이용하기도 한다. 일례로 타격을 가하는 발등에는 RFID 태그를 배치하고, 타격을 받는 몸통에는 RFID 리더를 배치하는 방식으로 특정 선수의 발등에 의한 타격이 상대방 선수의 몸통에 정확하게 가해졌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런데 전자 보호대는 선수들의 공방에 의한 반복적인 충격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RFID 태그가 물리적 충격으로 인하여 손상되는 일이 빈번하였다. RFID 태그가 손상되면 더 이상 전자적인 채점이 불가능하므로 전자 보호대가 기능을 할 수 없음은 물론, 파손된 RFID가 전자 보호대의 외피를 찢고 돌출되어 선수들의 심각한 부상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반복 지속적인 충격에도 불구하고 RFID 태그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RFID 태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보호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RFID 태그 조립체는, 면상의 기저 소재와 상기 기저 소재에 배치되는 회로부와 상기 기저 소재에 배치되며 상기 회로부의 둘레에 배치되는 안테나를 구비하는 RFID 태그와, 상기 RFID 태그의 일면을 덮는 제1커버와, 상기 RFID의 타면을 덮으며 일부가 상기 제1커버에 접착되는 제2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제1커버는 상기 RFID 태그의 상기 회로부의 휨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기 RFID 태그의 상기 회로부에 대응되는 부분의 둘레를 일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요철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RFID 태그 조립체는 상기 RFID 태그의 회로부와 제1커버의 요철부의 내측 사이에 배치되는 쿠션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쿠션부재는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RFID의 회로부에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제2커버의 사이에는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의 가장 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제2커버가 접착되는 접착 영역과 상기 접착 영역의 내측에 형성되는 비접착 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RFID 태그는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 사이의 비접착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접착 영역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RFID 태그의 기저 소재는 상기 회로부와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1커버 또는 상기 제2커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RFID 태그의 관통구에 끼워지는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부의 관통구가 외부에서 보이도록,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제1커버의 요철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요철부를 구비하며, 상기 RFID 태그의 회로부와 제2커버의 요철부의 내측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RFID의 회로부에 접착되는 쿠션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보호대는, 신체의 일부에 착용되는 격투기용 전자 보호대로서, 타격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상기 RFID 태그 조립체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RFID 태그 조립체에 의하면, 전자 보호대에 가해지는 반복적인 충격에도 불구하고 RFID의 손상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RFID 태그 조립체를 구비하는 전자 보호대는, RFID의 손상이 억제되어 수명이 효과적으로 연장되며, RFID의 손상으로 인한 착용자들의 부상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RFID 태그 조립체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RFID 태그 조립체에서 III-III선을 따라 취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RFID 태그 조립체의 IV-IV선을 따라 취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태그 조립체가 휘어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보호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 조립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RFID 태그 조립체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RFID 태그 조립체의 III-I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RFID 태그 조립체의 IV-IV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다른 따른 RFID 태그 조립체(1)는 RFID 태그(300), 제1커버(100), 제2커버(200), 제1쿠션부재(154), 제2쿠션부재(156) 및 접착 테이프(150)를 구비한다.
RFID 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는 전파를 이용하여 알에프아이디 리더와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한 태그로서 기저 소재(301), 회로부(310), 안테나(304)를 구비한다.
기저 소재(301)는 면상으로 형성되며 회로부(310) 및 안테나(304)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기저 소재(301)는 연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저 소재는 회로부(310) 및 안테나(304)의 양면을 덮어 밀봉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회로부(310) 및 안테나(304)를 일면으로만 지지하는 것일 수도 있다. 기저 소재(301)의 회로부(310)와 이격된 위치에는 관통구(330)가 형성된다.
회로부(310)는 기저 소재(301)에 배치되며 회로 소자를 구비한다. 회로부(310)에 배치되는 회로 소자에는 저항, 캐패시터 또는 정보의 처리 및 저장을 위한 집적회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회로부(310)는 회로부(31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감지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안테나(304)는 기저 소재(301)에 배치되며 회로부(310)의 둘레를 따라 일주하도록 연장되게 형성된다. 안테나(304)는 회로부(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RFID 리더(RFID reader)가 접근 시에 RFID 리더와 전파로 정보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즉, RFID 리더와 RFID 태그가 접근하면 RFID 리더와 RFID 태그(300)의 회로부(310) 사이에는 정보의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제1커버(100)는 RFID 태그(300)의 일면을 덮으며, 연성의 투명한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며, 회로부 대응부(110)와, 요철부(120), 돌출부(130)를 구비한다.
회로부 대응부(110)는 RFID 태그(300)에 회로부(31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다른 부분에 비해서 돌출된다. 회로부 대응부(110)의 하측에는 제1쿠션부재(154)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회로부 대응부(110)는 제1커버(100)의 원소재를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회로부 대응부(110)는 원형 또는 각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응력의 집중을 막을 수 있도록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요철부(120)는 제1커버(100)의 회로부 대응부(110)의 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형성된다. 요철부(120)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서 제1커버(100)의 회로부 대응부(110)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요철부(120)는 회로부 대응부(110)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요철부(120)와 회로 대응부(110) 사이에는 홈(115)이 형성된다. 이처럼 제1커버(100)에는 요철 및 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RFID 태그 조립체(1)에 휨이 발생하면 요철부(120)의 주변에서 휨이 주변보다 많이 발생하게 된다. 즉 요철부(120)는 주변의 휨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돌출부(130)는 RFID 태그(300)의 관통구(330)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며, 관통구(330)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돌출부(130)도 회로부 대응부(110) 및 요철부(120)와 함께 프레스 가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버(100)가 RFID 태그(300)의 일면에 배치되면 돌출부(130)는 RFID 태그(300)의 관통구(330)에 끼워져 위치가 고정되므로, 제1커버(100)는 RFID 태그(300)의 기저 소재(301)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RFID 태그(300)와 제1커버(10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제1커버(100)의 돌출부(130)가 RFID 태그(300)의 관통구(330)에 끼워져야 하므로, RFID 태그(300)가 제1커버(100)에 대하여 잘못 배향된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제1커버(10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RFID 태그(300)의 관통구(330)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RFID 태그(300)의 배향 상태를 즉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커버(100)에 대해서 RFID 태그(300)가 잘못 배향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1쿠션부재(154)는 제1커버(100)의 회로부 대응부(110)의 하면과 RFID 태그(300)의 회로부(310) 사이에 배치되며, 제1커버(100)의 회로부 대응부(110)에 대응되도록 납작한 원형의 형태를 가진다. 제1쿠션부재(154)의 일면 및 타면에는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있어서 제1커버(100)의 회로부 대응부(110) 및 RFID 태그(300)의 회로부(310)에 접착된다. 즉 제1커버(100)와 RFID 태그(300)는 제1쿠션부재(154)를 매개로 상호 접착된다. 제1커버(100)는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커버(100) 및 RFID 태그(300)가 제1쿠션부재(154)에 의해서 상호 접착되고 제1커버(100)의 돌출부(130)가 RFID 태그(300)의 관통구(330)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제1커버(100)와 RFID 태그(300)는 2지점에서 고정 결합되므로 서로에 대해서 회전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제1쿠션부재(154)는 외부의 충격이 RFID 태그(300)의 회로부(310)로 그대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 및 소정의 쿠션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커버(100)에서 회로부 대응부(110) 이외의 부분과 RFID 태그(300) 사이에는 별도의 접착 물질이 도포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제1커버(100)의 회로부 대응부(110) 이외의 부분과 RFID 태그(300)의 사이에서는 상대적인 미끌어짐이 가능하며, 제1커버(100) 및 RFID 태그(300)에 휨이 발생하더라도 이에 대해서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제2커버(200)는 RFID 태그(300)의 타면을 덮도록 배치되며, 제1커버(100)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커버(200)는 회로부 대응부(210)와, 요철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회로부 대응부(210)는 RFID 태그(300)에 회로부(310)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RFID 태그(300)를 기준으로 제1커버(100)의 회로부 대응부(210)에 대칭되게 형성된다. 즉 제2커버(200)의 회로부 대응부(210)도 다른 부분에 비해서 돌출되게 형성되며 그 하측에 제2쿠션부재(156)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요철부(220)는 RFID 태그(300)를 기준으로 제1커버(100)의 요철부(220)에 대하여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요철부(220)는 제2커버(200)의 회로부 대응부(210)의 둘레를 일주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회로부 대응부(210)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어서 요철부(220)와 회로 대응부(210) 사이에 홈(215)이 형성되도록 한다. 제2커버(200)의 요철부(220) 역시 주변의 휨을 유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쿠션부재(156)는 회로부 대응부(220)의 하측과 RFID 태그(300)의 회로부(310) 사이에 배치되며, 제1쿠션부재(15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및 형태를 가진다. 즉 제2쿠션부재(156)는 RFID 태그(300)의 회로부(310)와 제1커버(100)의 회로부 대응부(210)의 하면을 접착시키는 역할 및 RFID 태그(310)로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2커버(200)와 RFID 태그(300)는 제2쿠션부재(156)가 배치된 부분에서만 접착이 이루어지고, 제2쿠션부재(156) 이외의 영역에서는 접착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제2커버(200)의 회로부 대응부(210) 이외의 부분과 RFID 태그(300)의 사이에서도 상대적인 미끌어짐이 가능하다.
접착 테이프(150)는 제1커버(100)와 제2커버(200)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커버(100)와 제2커버(200)를 상호 접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접착 테이프(150)는 제1커버(100)와 제2커버(2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그 내측에는 공간을 형성한다. 즉, 접착 테이프(150)에 의해서 제1커버(100)와 제2커버(200) 사이에는 제1커버(100)와 제2커버(2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 영역이 형성되고, 그 접착 영역의 내측에는 비접착 영역이 형성된다. 접착 테이프(150)의 내측의 비접착 영역에는 RFID 태그(300)가 배치된다. 접착 테이프(150)는 양면에 접착 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양면 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접착 테이프(150)는 그 내측에 배치되는 RFID 태그(300)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공간(151)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즉 RFID 태그(300)는 제1커버(100)와 제2커버(200)의 접착 영역(BA)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접착 테이프(150)와 RFID 태그(300) 사이에 여유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RFID 태그 조립체(1)가 휘어지더라도 RFID 태그(300)는 이에 따라 유연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특히 RFID 태그(300)는 회로부(310)를 제외하고는 제1커버(100) 및 제2커버(200)와 접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RFID 태그(300)의 비접착 영역은 RFID 태그 조립체(1)의 휨에 따라서 제1커버(100) 및 제2커버(200)에 대해서 상대적인 위치변동이 가능한데, RFID 태그(300)와 접착 테이프(150) 사이에 유격이 있으므로 RFID 태그(300)는 제1커버(100) 및 제2커버(200)에 대해서 용이하게 위치 변동이 가능하다. 또한 접착 테이프(150)와 RFID 태그(300) 사이에 형성된 공간(151)으로 인하여, RFID 태그 조립체(1)가 휘더라도 RFID 태그(300)가 접착 테이프(150)를 외측으로 밀어내거나 접착 테이프(150)를 뚫고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RFID 태그 조립체(1)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예의 RFID 태그 조립체(1)가 휘어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5는 본 실시예의 RFID 태그 조립체(1)의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실시예의 RFID 태그 조립체(1)의 너비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RFID 태그 조립체(1)가 외부의 충격을 받으면 그 충격에 의해서 전체적으로 휘게 된다.
이때, RFID 태그(300)의 회로부(310)는 그 양면에 제1쿠션부재(154), 제2쿠션부재(156)가 부착되고, 그 위에 다시 제1커버(100) 및 제2커버(200)의 회로부 대응부(110,210)가 부착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RFID 태그 조립체(1)는 RFID 태그(300)에 회로부(310)에 해당하는 영역(A)이 다른 부분에 비해서 두께가 두껍게 형성됨은 물론, 그 적층 구조의 계면이 상호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RFID 태그 조립체(1)의 회로부 영역(A)은 다른 영역에 비해서 단면의 이차 모멘트가 현저히 크다. 따라서 RFID 태그 조립체(1)가 휨을 받는 경우에 회로부 영역(A)을 제외한 부분에서 곡률이 크게 나타나고, RFID 태그 조립체(1)의 회로부 영역(A)은 곡률이 작게 나타난다.
또한 RFID 태그 조립체(1)의 회로부 영역(A)을 제외한 부분은, RFID 태그(300)와 제1커버(100)의 경계면 및 RFID 태그(300)와 제2커버(200)의 경계면이 접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 경계면 상에서 상대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다. 일반적인 층상의 구조에 있어서 각 층의 계면 간에 접착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계면 간의 접착이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 비해서 단면 이차 모멘트가 작기 때문에 유연성이 더욱 크다. 따라서 RFID 태그 조립체(1)의 회로부 영역(A)의 이외의 부분은 계면이 접착되어 있는 RFID 태그 조립체(1)의 회로부 영역(A)에 비해서 연성이 매우 높다. 그러므로 RFID 태그 조립체(1)가 일정한 크기로 휘어지는 경우, 회로부 영역(A)의 이외의 부분에서 휨이 크게 발생하는 반면, 회로부 영역(A)에서는 휨이 매우 적게 발생한다.
또한, 제1커버(100) 및 제2커버(200)의 회로부 대응부(110,210)의 둘레에는 요철부(120,220)가 형성되는데, 요철부(120,220)는 그 곡선 형상으로 인하여 다른 부분에 비해서 연성이 크므로 다른 부분에 비해서 휨이 더욱 크게 발생한다. 즉 요철부(120,220)는 휨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RFID 태그 조립체(1)에 소정의 크기의 휨이 발생할 경우에 요철부(120,220)에서 그 휨의 많은 부분을 감당함으로써, 요철부(120,220)의 내측에 위치하는 회로부 대응부(110,210)로 휨이 전달되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RFID 태그 조립체(1)에 따르면 RFID 태그 조립체(1)가 휘는 경우, RFID 태그 조립체(1)의 휨 변형은 대부분은 회로부 영역(A)의 외측, 특히 제1커버(100) 및 제2커버(200)의 요철부(120,220)에서 주로 일어나고 회로부 영역(A)에서는 휨 변형이 매우 적게 발생한다. 따라서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RFID 태그 조립체(1)가 휘어지는 경우에도 RFID 태그(300)의 회로부(310)의 변형이 효과적으로 억제되므로 RFID 태그(300)의 회로부(310)의 손상이 매우 효과적 억제될 수 있다.
또한 RFID 태그 조립체(1)의 제1 및 제2쿠션부재(154,156)는 어느 정도의 탄성력을 보유하여 외부의 충격을 분산시키는 효과를 가지므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RFID 태그(300)의 회로부(310)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RFID 태그(300)는 접착 테이프(150)와 유격을 가지므로 제1커버(100) 및 제2커버(200)의 내의 공간에서 어느 정도의 범위 내로 움직임이 가능하면서도, RFID 태그(300)의 관통구(330)가 제1커버(100)의 돌출부(130)에 걸려 있으므로 과도한 범위의 움직임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RFID 태그(300)는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더라도 소정의 범위 내에서 위치를 변경하면서 그 충격을 효과적으로 소산시킬 수 있으면서도, 접착 테이프(150)의 영역을 침범할 정도로 이동되는 것은 방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 조립체(1)는 외력에 의해서 휨 변형되는 경우 또는 회로부(310)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회로부(310) 및 접착 테이프(150)를 비롯한 구성요소들의 의 변형 및 손상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상시적으로 충격을 받는 상황에서도 효과적으로 수명을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보호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보호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자 보호대(10)는 사용자(F)의 발에 착용하는 보호대에 해당한다.
본 실시예의 전자 보호대(10)는 착용부(11), 완충부(12), RFID 태그 조립체(1)를 구비한다.
착용부(11)는 사용자의 발과 같은 신체의 일부에 착용되며, 착용이 용이하고 착용시에 신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신축성을 가지는 직물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완충부(12)는 착용부(11)의 외측에 배치되며, 발등과 같이 타격이 주로 이루어지는 부분에 배치된다. 완충부(12)는 타격시의 충격에 의해서 착용자의 신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격에 의해서 착용자의 상대방의 신체가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적절한 쿠션을 가지는 소재, 예컨대 발포 성형 수지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RFID 태그 조립체(1)는 도 1의 RFID 태그 조립체(1)로서 완충부(12)의 내부 혹은 완충부(12)와 착용부(11)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RFID 태그 조립체(1)는 가격이 주로 이루어지는 부분인 착용부(11)의 발 바닥 부분(미도시)에도 배치될 수 잇다. RFID 태그 조립체(1)에서 대해서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자 보호대(10)에 사용되는 RFID 태그 조립체(1)는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타격에도 불구하고 RFID 태그 조립체(1)의 전체적인 손상 또는 회로부(310)의 국부적인 손상이 효과적으로 억제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전자 보호대(10)는 기존의 전자 보호대(10)에 비해서 RFID 태그 조립체(1)의 손상으로 인한 수명의 단축이 현저하게 억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전자 보호대(10)의 RFID 태그 조립체(1)는 제1커버(100) 및 제2커버(200)와 RFID 태그(300)의 계면 사이의 마찰 등을 통하여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소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파손의 우려가 적어, 파손된 RFID 태그 조립체(1)가 파손되어 전자 보호대(10)의 외부로 돌출되는 문제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파손된 RFID 태그 조립체(1)가 전자 보호대(10)의 외부로 돌출되면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 또는 그 상대방에게 심각한 부상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전자 보호대(10)는 사용자의 안전성 확보의 측면에서도 매우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커버(100)와 제2커버(200)에 모두 요철부(120,220)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커버(100) 또는 제2커버(200) 중 어느 하나에만 요철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휨이 요철부로 유도되어 그 내측의 회로부 영역의 휨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커버(100)와 RFID 태그(300)의 회로부(310) 사이, 및 제2커버(200)와 RFID 태그(300)의 회로부(310) 사이에 제1 및 제2쿠션부재(154,156)가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커버(100)와 RFID 태그(300)의 회로부(310) 사이, 및 제2커버(200)와 RFID 태그(300)의 회로부(310) 사이에는 별도의 쿠션부재가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쿠션부재가 배치되지 않더라도 요철부(120,220)가 RFID 태그(300)의 회로부(310)의 휨을 억제할 수 있고 제1커버(100) 및 제2커버(200)가 연성을 가지기 때문에, RFID 태그(300)의 회로부(310)는 RFID 태그 조립체(1)의 휨 및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다만 RFID 태그 조립체(1)를 휨 및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더욱 확실하게 RFID 태그(300)의 회로부(310)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별도의 쿠션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쿠션부재(154) 및 제2쿠션부재(156)는 일면이 RFID 태그(300)에 접착되고 타면이 제1커버(100) 또는 제2커버(200)에 접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쿠션부재(154) 및 제2쿠션부재(156)는 RFID 태그(300)에만 접착되거나, 제1커버(100) 또는 제2커버(200)에만 접착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커버(100)에만 돌출부(130)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2커버(200)에도 돌출부(130)가 형성되어 제1커버(100)의 돌출부(130)와 제2커버(200)의 돌출부(130)가 모두 RFID 태그(300)의 관통구(330)에 끼워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의 전자 보호대(10)는 발 보호대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손 보호대(글러브), 몸통 보호대, 팔 보호대, 다리 보호대 혹은 헤드 기어 등의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RFID 태그 조립체(1)는 타격이 주로 이루어지는 부분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RFID 태그 조립체 10 ... 전자 보호대
100 ... 제1커버 200 ... 제2커버
120,220 ... 요철부 300 ... RFID 태그
154,156 ... 쿠션부 150 ... 접착 테이프

Claims (7)

  1. 면상의 기저 소재와, 상기 기저 소재에 배치되는 회로부와, 상기 기저 소재에 배치되며 상기 회로부의 둘레에 배치되는 안테나를 구비하는 RFID 태그와,
    상기 RFID 태그의 일면을 덮는 제1커버와,
    상기 RFID의 타면을 덮으며 일부가 상기 제1커버에 접착되는 제2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제1커버는,
    상기 RFID 태그의 상기 회로부의 휨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기 RFID 태그의 상기 회로부에 대응되는 부분의 둘레를 일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요철부를 구비하는 RFID 태그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의 회로부와 제1커버의 요철부의 내측 사이에 배치되는 쿠션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쿠션부재는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RFID의 회로부에 접착되는 RFID 태그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제2커버의 사이에는,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의 가장 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제2커버가 접착되는 접착 영역과,
    상기 접착 영역의 내측에 형성되는 비접착 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RFID 태그는,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 사이의 비접착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접착 영역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RFID 태그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의 기저 소재는,
    상기 회로부와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1커버 또는 상기 제2커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RFID 태그의 관통구에 끼워지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RFID 태그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의 관통구가 외부에서 보이도록,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RFID 태그 조립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제1커버의 요철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요철부를 구비하며,
    상기 RFID 태그의 회로부와 제2커버의 요철부의 내측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RFID의 회로부에 접착되는 쿠션부재를 더 구비하는 RFID 태그 조립체.
  7. 신체의 일부에 착용되는 격투기용 전자 보호대로서,
    타격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RFID 태그 조립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투기용 전자 보호대.
KR1020120116751A 2012-10-19 2012-10-19 Rfid 태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자 보호대 KR101326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751A KR101326194B1 (ko) 2012-10-19 2012-10-19 Rfid 태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자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751A KR101326194B1 (ko) 2012-10-19 2012-10-19 Rfid 태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자 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6194B1 true KR101326194B1 (ko) 2013-11-20

Family

ID=49856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6751A KR101326194B1 (ko) 2012-10-19 2012-10-19 Rfid 태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자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61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1541A (ja) * 1996-11-27 1998-06-19 Denso Corp 電子荷札
JP2005071063A (ja) 2003-08-25 2005-03-17 Omron Corp Icタグ及びicタグの製造方法
KR20100005029A (ko) * 2007-03-23 2010-01-13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전자 장치, 전자 장치가 실장된 전자 기기, 전자 장치가 장착된 물품, 및 전자 장치의 제조 방법
JP2011134194A (ja) 2009-12-25 2011-07-07 Toppan Printing Co Ltd Icカー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1541A (ja) * 1996-11-27 1998-06-19 Denso Corp 電子荷札
JP2005071063A (ja) 2003-08-25 2005-03-17 Omron Corp Icタグ及びicタグの製造方法
KR20100005029A (ko) * 2007-03-23 2010-01-13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전자 장치, 전자 장치가 실장된 전자 기기, 전자 장치가 장착된 물품, 및 전자 장치의 제조 방법
JP2011134194A (ja) 2009-12-25 2011-07-07 Toppan Printing Co Ltd Icカー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24025B (zh) 感测式护具内衬及防护装置
US8635789B2 (en) Protection devices for use in shoes or other products
US8316463B2 (en) Protective device
US6182299B1 (en) Baseball chest protector
US10499693B2 (en) Selectively stiffenable assemblies, protective garments for protecting an individual,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10219582B2 (en) Protection devices for use in shoes or other products
US20130283504A1 (en) Helmet pads
CA2316729A1 (en) Protective athletic pads for joint surfaces
JP5709692B2 (ja) ランドリー用rfidタグ
US20170020401A1 (en) Biological-information detecting device
KR101326194B1 (ko) Rfid 태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자 보호대
JP5145881B2 (ja) Rfidタグ
US5983408A (en) Guard device for sports
KR101326193B1 (ko) 격투기용 보호구
JP5117782B2 (ja) 胸部保護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26483B1 (ko) 전자 헤드 기어
KR200445737Y1 (ko) 완충패드가 설치된 의류
KR200348171Y1 (ko) 축구용 정강이 보호대
JP6782266B2 (ja) 装着可能なスポーツ計時タグ・アセンブリ
EP3569082A1 (en) Athletic protector
KR102664145B1 (ko) 접근응답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대련아머
JP2015033487A (ja) 武術頭部保護防具および衝撃吸収体
JP2593064Y2 (ja) 格闘技用保護防具
CN212138865U (zh) 一种多功能马护腿
CN216363738U (zh) 一种体育运动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