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185B1 -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185B1
KR101324185B1 KR1020060117712A KR20060117712A KR101324185B1 KR 101324185 B1 KR101324185 B1 KR 101324185B1 KR 1020060117712 A KR1020060117712 A KR 1020060117712A KR 20060117712 A KR20060117712 A KR 20060117712A KR 101324185 B1 KR101324185 B1 KR 101324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operating voltage
voltage
cove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7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7809A (ko
Inventor
엄윤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7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185B1/ko
Priority to US11/942,092 priority patent/US7856186B2/en
Priority to CNA2007101878456A priority patent/CN101192023A/zh
Priority to EP07121231.0A priority patent/EP1925984B8/en
Publication of KR20080047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7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4Electronic sequencing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71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 G03G2215/0078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opening of structural par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동작전압을 출력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본체에 장착될 교환유니트가 장착되어 있는 지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동작전압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커버가 열리는 경우 또는 교환유니트가 장착되어 있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위험을 이중으로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에서 생성되는 전압신호들을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60 : 전사유니트 210 : 전원코드
212 : 커버 220 : 전원공급부
222 : 제1 컨버터 226 : 제2 컨버터
230 : 고압발생보드 232 : 고압발생부
234 : 커버스위치 240 : 전장물 구동부
248 : 릴레이 251 : 전사유니트 중계보드
260 : 중계 커넥터 270 : 전사유니트 인터페이스부
272 : 릴레이 구동부 280 : 제어부
290 : 인쇄매체 잼 검출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오동작으로부터 사용자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레이저빔에 의해 감광매체(OPC: Organic Photo Conductor)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부착시켜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한다. 감광매체에 토너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감광매체가 양(+)전하로 대전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통상 감광매체에는 수백V의 고압이 인가된다.
그러나 UL(Underwriters Laboratories)과 같은 국제안전규격에서는 고압전원장치의 출력전압이 인체에 접촉시 인체를 통해 2mA 이상의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권고하고 있다. 이는 약 2KΩ의 인체 저항을 갖는 사용자가 고압에 노출하는 경우의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권고사항으로 레이저 프린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레이저 프린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인쇄 도중 인쇄매 체의 잼 발생 등에 의해 커버를 오픈하거나, 토너 및 감광드럼을 내장하는 현상유니트를 본체에서 분리하거나, 전사유니트를 본체에서 분리하는 경우, 고압을 차단하는 기계식 커버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다.
이 기계식 커버스위치는 화상형성장치의 오동작을 고려하여 각종 국제규격에서 권고되고 있으나, 기계식 커버스위치는 내구성이 떨어져 소정 회수 이상 사용하면 접촉 단자가 마모되거나 탄성을 잃게 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의 커버가 열려 있는 동안 고압발생부에서 생성된 고압이 사용자에게 인가되어 사용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 또한, 고압발생부에서 공급되는 고전압을 단속하는 기계식 커버스위치는 기구적인 구성이 복잡해지고 비용이 증가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오동작으로부터 사용자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교환유니트가 장착되어 있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위험을 이중으로 보호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공급부의 퓨즈 오픈 여부를 검출하여 표시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동작전압을 출력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본체에 장착될 교환유니트가 장착되어 있는 지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동작전압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본체를 덮는 커버와; 상기 동작전압을 입력받아 고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고압발생부와; 상기 고압발생부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의 개폐에 연동하며 ON 또는 OFF 상태를 갖는 커버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 스위치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교환유니트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동작전압의 출력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압발생부의 입력단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커버 스위치가 ON 및 OFF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환유니트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 상기 동작전압을 출력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환유니트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 신호의 전달을 위해 플러그와 콘센트를 포함하는 중계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환유니트에 장착판단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교환유니트로부터 상기 장착판단신호가 되돌아 오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교환유니트의 장착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전장물과; 상기 동작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전장물에 공급되는 구동전압을 단속하는 전장물 구동부와; 상기 전장물 구동부에 공급되는 상기 동작전압을 차단하는 스위칭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환유니트로부터 에러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장물 구동부에 공급되는 상기 동작전압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위칭소자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 잼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매체 잼 검출부에 의해 인쇄매체 잼이 검출된 경우 상기 전장물 구동부에 공급되는 상기 동작전압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위칭소자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소자는, 릴레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전압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에 디스에이블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고압발생부에 공급되는 제1동작전압을 생성하는 제1 컨버터와, 상기 전장물 구동부에 공급되는 제2동작전압을 생성하는 제2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동작전압 및 상기 제2동작전압을 각각 차단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에 디스에이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환유니트로부터 에러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동작전압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에 디스에이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컨버터 및 상기 제2 컨버터의 출력단에 각각 퓨즈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장물 구동부의 입력단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제2 컨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된 퓨즈의 오픈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고압발생부 및 전장물 구동부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에 있어서, 동작전압을 상기 고압발생부 및 상기 전장물 구동부에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형성장치 내부에 설치될 교환유니트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교환유니트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동작전압이 출력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제어방법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커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커버가 열려 있는 경우 상기 동작전압이 출력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커버의 개폐에 연동하여 상기 출력된 동작전압을 단속적으로 상기 고압발생부의 입력단으로 전달하도록 커버스위치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고압발생부의 입력단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제어방법은, 상기 교환유니트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 상기 동작전압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환유니트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교환유니트로 송신된 장착판단신호가 상기 교환유니트로부터 되돌아 오는 지 여부에 따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제어방법은, 상기 교환유니트로부터 에러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전장물 구동부에 상기 동작전압이 출력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에 배치된 커버와; 전장물과; 동작전압을 출력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동작전압을 수령하여 상기 전장물에 공급되는 구동전압을 단속하는 전장물 구동부와; 상기 본체 내에 교환유니트가 설치되어 있는 지 여부와 상기 커버의 개폐여부를 기초로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동작전압이 출력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가 오픈되고 상기 교환유니트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동작전압의 출력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장물 구동부로 공급되는 상기 동작전압을 단속하는 스위칭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환유니트로부터 에러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전장물 구동부로 상기 동작전압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위칭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전자사진방식의 칼라 화상형성장치로서, 캐비넷(110)과, 이 캐비넷(110) 내에 장착되는 공급유니트(120), 감광매체(130), 광주사유니트(140), 현상유니트(150), 전사유니트(160) 및 정착유니트(170)를 포함한다.
캐비넷(110)은 화상형성장치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그 외부에는 배출된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배출유니트(11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캐비넷(110)에는 공급될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공급유니트(120)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 공급유니트(120)를 통하여 공급되는 인쇄매체는 이송경로를 통하여 현상유니트(150) 방향으로 이송된다.
공급유니트(120)는 캐비넷(110) 내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피딩롤러(125)의 회전에 의하여 적재된 인쇄매체 중 1매의 인쇄매체를 픽업하고, 이송롤러(127)를 통하여 픽업된 인쇄매체를 공급한다.
감광매체(130)는 현상유니트(150)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외주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도록 광주사유니트(140)에서 주사된 빔에 감응된다.
현상유니트(150)는 내부에 토너(T)를 수용하는 토너 컨테이너(151)와, 감광매체(130)에 마주하게 배치되어 감광매체(130)의 정전잠상이 형성된 영역에 대해 토너를 현상하는 현상롤러(155)와, 현상롤러(155)에 토너(T)를 공급하는 공급롤러(156)와, 및 감광매체(130)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157)를 포함한다. 또한, 감광매체(130)에 잔류하는 폐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블레이드(1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현상유니트(150) 및 감광매체(130)는 싱글 패스 방식으로 풀 칼라 화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각 칼라별로 마련된다. 도 1은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칼라를 각각 구현할 수 있도록 4개의 유니트로 구성된 것을 예로 들어 나타낸 것이다.
광주사유니트(140)는 복수의 감광매체(130) 각각에 정전 잠상이 형성되도록 빔을 주사한다. 이를 위하여, 광주사유니트(140)는 동시에 복수의 감광매체(130)에 빔을 주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멀티 빔 광주사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전사유니트(160)는 이송경로를 통하여 이송되는 인쇄매체를 사이에 두고 감광매체(130)에 마주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감광매체(130)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공 급되는 인쇄매체에 전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전사유니트(160)는 복수의 감광매체(130)와 마주하게 배치된 전사벨트(161)와 전사백업롤러(163)를 포함한다. 이 전사유니트(160)를 통하여 인쇄매체에 전사된 화상은 정착유니트(170)를 통하여 정착된다.
정착장치(170)는 가열롤러(171)와, 가압롤러(175) 및 열원(177)을 포함한다. 따라서 가열롤러(171)는 열원(181)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표면이 가열되며, 가압롤러(175)와의 상호 압착에 의하여, 인쇄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감광매체(130)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공급되는 인쇄매체에 전사하기 위해, 전사유니트(160)는 이송경로를 통하여 이송되는 인쇄매체를 사이에 두고 감광매체(130)에 마주하게 배치되어 있어, 인쇄매체 잼이 발생하거나 전사유니트(160)를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 전사유니트(160)를 본체에서 분리하여야 한다. 또한, 전사유니트(160)뿐만 아니라 소모품인 현상유니트(150) 등도 교환이 가능하게 설계되어 있는 바, 본체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유니트를 통칭하여 교환유니트라고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전원공급부(220), 고압발생보드(230), 전장물 구동부(240), 전사유니트(160), 중계 커넥터(260), 전사유니트 인터페이스부(270) 및 제어부(280)를 포함한다.
전원공급부(220)는 전원코드(210)에 의해 입력된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고압 발생보드(230)의 고압발생부(232)와 전장물 구동부(240)의 각각에 공급되는 소정의 동작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전원공급부(220)는 이들 동작전압으로 동일한 24V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있으나, 고압발생보드(230)의 고압발생부(232)에 공급되는 동작전압과 전장물 구동부(240)에 공급되는 동작전압을 생성하기 위해 각각의 컨버터(222, 226)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전원공급부(220)는 이들 동작전압 24V 외에도 제어부(280)나 전사유니트 인터페이스부(270) 등에 필요한 5V 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하고 있다. 그리고 각 컨버터(222, 226)의 출력단에는 퓨즈(224, 228)가 연결되어 있다.
고압발생보드(230)는 고압발생을 위해 별도로 마련된 보드로, 고압발생부(232)와 고압발생부(232)의 입력단에 연결된 커버스위치(234)를 포함한다.
고압발생부(232)는 전원공급부(220)에서 생성하여 공급되는 동작전압을 이용하여 대전고압, 현상고압 및 전사고압으로 사용되는 고전압을 발생한다.
커버스위치(234)는 기구적인 액츄에이터 레버(미도시)에 의해 커버(212)의 개폐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스위치로, 커버(212)가 열리면 커버스위치(234)가 오프되어 고압발생부(232)에 공급되는 동작전원을 차단한다.
전장물 구동부(240)는 모터(242), 클러치(244), 팬(246) 등의 전장물을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280)로부터 각 전장물(242, 244, 246)에 대한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각 전장물을 구동한다. 전장물 구동부(240)의 입력단에는 릴레이(248)가 연결되어 있다. 이 릴레이(248)는 제2 컨버터(226)에서 출력된 동작전압 24V를 단속할 수 있는 스위칭소자이다. 릴레이(248)의 가동 단자가 오프되면 제2 컨버 터(226)에서 출력된 동작전압 24V는 차단되어 전장물 구동부(240)에 공급되지 않는다.
전사유니트(160)는 이송경로를 통하여 이송되는 인쇄매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감광매체(130)에 마주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감광매체(130)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공급되는 인쇄매체에 전사하는 역할을 한다. 전사유니트(160)는 전사유니트 중계보드(251)와, 전사유니트 중계보드(251)에 위치한 전사벨트 수명 및 ID를 저장하는 CRUM(Customer Replacement Unit Monitor) 메모리(252)와, 인쇄매체의 원하는 위치에 각 색상별 화상이 정확하게 정렬되어 인쇄되는지의 검출하는 CR(Color Registration) 센서(253, 254)와, 토너 농도를 감지하는 CTD(Color Tone Density) 센서(255)와 전사벨트의 홈을 감지하는 홈 검지 센서(256)와, 전사유니트(160)의 온도 등을 검지하는 기타 센서들을 포함한다.
중계 커넥터(260)는 전사유니트(160)의 전사유니트 중계보드(251)와 전사유니트 인터페이스부(270)의 사이에 신호의 전달을 위해 플러그와 콘센트로 이루어진 드로우어(drawer) 커넥터이다. 즉, 전사유니트(160)는 사용자가 커버(212)를 열면 같이 연동되어 본체에서 분리될 수 있는 교환유니트로, 중계 커넥터(260)를 통해 본체와 연결되어야 한다.
전사유니트 인터페이스부(270)는 전사유니트(160)와 제어부(280) 사이에 필요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특히, 전사유니트(160)의 장착여부는 전사유니트 인터페이스부(270)에서 장착판단신호를 중계 커넥터(260)로 송신하고 중계 커넥터(260)로부터 피드백되는 장착판단신호의 수신여부에 의해 알 수 있다. 즉, 중계 커넥터(260)에 전사유니트(160)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송신된 장착판단신호가 전사유니트 중계보드(251)를 통해 다시 피드백되나, 중계 커넥터(260)에 전사유니트(160)가 장착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장착판단신호가 피드백되지 않는다. 또한, 도 2에서는 전사유니트 인터페이스부(270)에 릴레이 구동부(272)가 도시되어 있다. 이 릴레이 구동부(272)는 전장물 구동부(240)의 입력단에 연결된 릴레이(248)를 구동시킨다.
제어부(280)는 대전전압, 전사전압 및 현상전압 등의 고전압을 생성하도록 고압발생부(232)를 제어하며, 모터(242), 클러치(244), 팬(246) 등을 동작조건에 따라 구동하도록 전장물 구동부(240)를 제어한다. 그리고 고압발생부(232) 또는 전장물 구동부(240)에 동작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전원공급부(220)를 제어한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전압 인에이블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0)는 전사유니트 인터페이스부(270)를 통해 전사유니트(160)의 에러신호들을 수신한다. 이러한 에러신호들에는 전사유니트(160)가 장착되지 않는 에러신호 및 각 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에러신호들이 포함된다. 그리고 고압발생보드(230)의 고압발생부(232)의 입력단과 전장물 구동부(240)의 입력단의 동작전압을 각각 감지하기 위해 이 동작전압을 각각 피드백하는 피드백신호를 입력받는다. 이 경우 고압발생부(232) 및 전장물 구동부(240)의 동작전압이 24V로 제어부(280)의 동작전압 5V보다 높으므로, 저항들을 이용하여 동작전압을 강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도 2의 구성에 따른 동작을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전사유니트(160)가 장착되어 있고, 커버(212)가 닫혀있는 경우의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전사유니트(160)가 장착되어 있고, 커버(212)가 닫혀있는 상태는 도 5의 타이밍도 a 시점이다.
제어부(280)는 전원공급부(220)에 24V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한다. 전원공급부(220)는 제1 컨버터(222)를 동작시켜 고압발생부(232)에 제1 동작전압 24V를 공급하고, 제2 컨버터(226)를 동작시켜 전장물 구동부(240)에 제2 동작전압 24V를 공급한다. 이 경우 커버(212)가 닫혀 있어 커버스위치(234)는 온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제1 동작전압 24V가 고압발생부(232)에 공급된다. 그리고 제어부(280)의 제어에 따라 고전압의 대전전압, 전사전압 및 현상전압을 발생한다. 또한, 전장물 구동부(240)의 입력단에 연결된 릴레이(248)의 가동단자도 온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제2 동작전압 24V도 전장물 구동부(240)에 공급된다. 그리고 제어부(280)의 제어에 따라 모터(242), 클러치(244) 및 팬(246)을 동작시킨다.
다음으로 커버(212)가 열린 경우의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전사유니트(160)가 장착되어 있고, 커버(212)가 열린 상태는 도 5의 타이밍도 b 시점이다.
사용자에 의해 커버(212)가 열리면 커버스위치(234)는 오프상태로 변경된다. 따라서 고압발생부(232)에는 동작전압 24V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출력되는 고압전압들이 OV로 떨어진다. 그리고 제어부(280)는 고압발생부(232)의 입력단의 전압을 검출한다. 이 경우 고압발생부(232)의 입력단의 전압은 0V가 되므로 제어부(280)는 커버(212)가 열려있다고 판단하게 된다.
이어서 전사유니트(160)가 장착되어 있지 않는 경우를 살펴본다. 전사유니트(160)가 장착되어 있지 않고, 커버(212)가 열린 상태는 도 5의 타이밍도 c 시점이다.
커버(212)가 열린 후 사용자가 전사유니트(160)를 화상형성장치(100)의 본체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중계 커넥터(260)에는 전사유니트(160)가 결합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에 따른 검출단자의 전압이 전사유니트 인터페이스부(270)에 수신된다. 전사유니트 인터페이스부(270)에서는 수신된 검출신호가 릴레이 구동부(272)에 입력되어 릴레이(248)의 가동단자를 오픈상태로 전환한다. 또한 수신된 검출신호는 제어부(280)로 전달된다.
제어부(280)는 에러신호를 수신하여 전사유니트(160)가 장착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커버(212)가 열린 상태이고, 전사유니트(160)가 장착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전원공급부(220)의 24V 인에이블 단자에 디스에이블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의해 전원공급부(220)의 제1 컨버터(222) 및 제2 컨버터(226)의 동작이 정지되어 고압발생부(232) 및 전장물 구동부(240)에 공급되는 동작전압이 차단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전사유니트(160)를 장착하지 않고 커버(212)를 닫은 상태를 설명한다.
커버(212)가 닫히면 커버(212)에 연동하여 커버스위치(234)가 온상태로 전환된다. 그러나 제어부(280)는 전사유니트(160)가 장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커버(212)는 닫혀 있으나, 전사유니트(160)가 장착되지 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제어부(280)는 전원공급부(220)의 24V 인에이블 단자로 출력되는 디스에이블 신호를 그대로 유지한다. 전사유니트(160)가 장착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280)가 디스에이블 신호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교환유니트가 장착되지 않아도 위험요소가 없는 경우 제어부(280)는 24V 인에이블 단자로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전사유니트 인터페이스부(270)의 릴레이 구동부(272)를 통해 릴레이(248)의 가동단자가 오프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상술한 커버(212)의 개폐여부와 전사유니트(160)의 장착유무에 따라 전원공급부(220), 고압발생부(232) 및 전장물 구동부(240)의 동작전압의 공급 또는 차단여부가 [표 1]에 정리되어 있다.
[표 1]
커버
개폐여부
전사유니트
장착유무
전원공급부 고압발생부 전장물 구동부
동작전압 차단 - -
동작전압 출력 동작전압 차단 동작전압 공급
동작전압 차단 - -
동작전압 출력 동작전압 공급 동작전압 공급
또한, 전사유니트(160)가 장착되고, 커버(212)가 닫혀 있으나, 전사유니트(160)로부터 에러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에는 제1 컨버터(222) 및 제2 컨버터(226)의 동작을 정지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제어부(280)는 인에이블 신호를 유지하게 된다. 다만, 에러신호에 의해 릴레이 구동부(272)가 동작하여 릴레이(248)의 가동단자가 오프상태로 전환되어 전장물 구동부(240)에 공급되는 제2 동작전압 24V를 차단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280)는 전사유니트(160)가 장착되고, 커버(212)가 닫혀 있으나, 전장물 구동부(240)의 입력단에서 제2 동작전압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퓨 즈(228)가 단선되었다고 판단하여 경고음을 발신하거나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100)와 주요 구성이 동일하다. 다만, 전사유니트 인터페이스부(270)가 제거되고, 인쇄매체 잼 검출부(290)가 추가되고, 2개의 인에이블 신호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와 동일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전사유니트 인터페이스부(270)가 제거되어 있으므로, 제어부(280)는 중계 커넥터(260)를 전사유니트(16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제어부(280)는 전사유니트(160)로부터 출력되는 에러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릴레이 구동전압을 출력한다. 이에 의해, 릴레이(248)의 가동단자가 오프상태로 전환되어 전장물 구동부(240)에 공급되는 제2 동작전압 24V를 차단하게 된다.
인쇄매체 잼 검출부(290)는 인쇄 도중에 인쇄매체 잼이 발생하였는지를 검출하여 제어부(280)로 출력한다. 제어부(280)는 인쇄매체 잼이 검출된 경우 전장물 구동부(240)에 공급되는 제2 동작전압 24V를 차단하도록 릴레이 구동전압을 출력한다. 이에 의해, 릴레이(248)의 가동단자가 오프상태로 전환되어 전장물 구동부(240)에 공급되는 제2 동작전압 24V를 차단하게 된다.
제어부(280)는 제1 컨버터(22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전원공급부(220)에 제1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신호를 출력하고, 제2 컨버터(226)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전원공급부(220)에 제2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신호를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전원공급부(220)는 제어부(280)로부터 24V 인에이블 신호를 수신하면 고압발생부(232)와 전장물 구동부(240)에 공급되는 소정의 동작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한다(S402). 그리고 제어부(280)는 커버스위치(234)가 온상태인지를 검출한다(S404). 커버(212)의 개폐여부는 고압발생부(232)의 입력단 전압을 검출하여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스위치가(234)가 오프되면, 고압발생부(232)에 공급되는 동작전압이 차단된다(S406).
제어부(280)는 전사유니트(160)가 장착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408). 제어부(280)로부터 전사유니트(160)로 장착판단신호를 송신하고, 제어부(280) 전사유니트(160)로부터 피드백되는 장착판단신호의 수신여부에 기초하여 전사유니트(160)의 장착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280)는 전사유니트(160)가 장착되어 있지 않는 경우 전원공급부(220)에 디스에이블 신호를 출력하여 고압발생부(232)와 전장물 구동부(240)에 공급되는 동작전압을 차단한다(S410).
그리고 커버(212)가 닫혀 있는 경우, 전사유니트(160)가 장착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412). 제어부(280)는 전사유니트(160)가 장착되어 있지 않는 경우 전원공급부(220)에 디스에이블 신호를 출력하여 고압발생부(232)와 전장물 구동부(240)에 공급되는 동작전압을 차단한다. 그러나 제어부(280)는 전사유니트(160)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 전원공급부(220)에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여 고압발생부(232)와 전장물 구동부(240)에 공급되는 동작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한다(S414).
그리고, 제어부(280)는 전사유니트(16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에러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S416). 에러가 발생한 경우, 전장물 구동부(240)에 공급되는 제2 동작전압을 차단한다(S418).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가 열리는 경우 고압발생부의 전원이 차단되므로 사용자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교환유니트가 장착되어 있지 않는 경우 이중으로 보호되므로 부품의 오동작으로부터 사용자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공급부의 퓨즈 오픈 여부를 검출하여 표시함으로써, 퓨즈 고장에 대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Claims (26)

  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동작전압을 출력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본체에 장착될 교환유니트가 장착되어 있는 지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동작전압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본체를 덮는 커버와;
    상기 동작전압을 입력받아 고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고압발생부와;
    상기 고압발생부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의 개폐에 연동하며 ON 또는 OFF 상태를 갖는 커버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 스위치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교환유니트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동작전압의 출력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며, 상기 고압발생부의 입력단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커버 스위치가 ON 및 OFF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 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환유니트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 상기 동작전압을 출력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유니트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 신호의 전달을 위해 플러그와 콘센트를 포함하는 중계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환유니트에 장착판단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교환유니트로부터 상기 장착판단신호가 되돌아 오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교환유니트의 장착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전장물과;
    상기 동작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전장물에 공급되는 구동전압을 단속하는 전장물 구동부와;
    상기 전장물 구동부에 공급되는 상기 동작전압을 차단하는 스위칭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환유니트로부터 에러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장물 구동부에 공급되는 상기 동작전압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위칭소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인쇄매체 잼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매체 잼 검출부에 의해 인쇄매체 잼이 검출된 경우 상기 전장물 구동부에 공급되는 상기 동작전압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위칭소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소자는, 릴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전압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에 디스에이블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고압발생부에 공급되는 제1동작전압을 생성하는 제1 컨버터와, 상기 전장물 구동부에 공급되는 제2동작전압을 생성하는 제2 컨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동작전압 및 상기 제2동작전압을 각각 차단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에 디스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환유니트로부터 에러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동작전압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에 디스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버터 및 상기 제2 컨버터의 출력단에 각각 퓨즈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장물 구동부의 입력단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제2 컨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된 퓨즈의 오픈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본체와, 상기 본체를 덮는 커버와, 동작전압을 입력받아 고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고압발생부 및 전장물 구동부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작전압을 상기 고압발생부 및 상기 전장물 구동부에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커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커버가 열려 있는 경우 상기 동작전압이 출력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될 교환유니트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교환유니트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동작전압이 출력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커버의 개폐에 연동하여 ON 또는 OFF 상태를 가지며, 상기 출력된 동작전압을 단속적으로 상기 고압발생부의 입력단으로 전달하도록 커버 스위치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고압발생부의 입력단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커버 스위치가 ON 및 OFF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스위치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교환유니트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동작전압이 출력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
  19. 삭제
  20. 삭제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유니트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 상기 동작전압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유니트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교환유니트로 송신된 장착판단신호가 상기 교환유니트로부터 되돌아 오는 지 여부에 따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유니트로부터 에러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전장물 구동부에 상기 동작전압이 출력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
  24.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에 배치된 커버와;
    전장물과;
    동작전압을 출력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동작전압을 입력받아 고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고압발생부와;
    상기 동작전압을 수령하여 상기 전장물에 공급되는 구동전압을 단속하는 전장물 구동부와;
    상기 고압발생부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의 개폐에 연동하며 ON 또는 OFF 상태를 갖는 커버 스위치와;
    상기 본체 내에 교환유니트가 설치되어 있는 지 여부와 상기 커버의 개폐여부를 기초로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동작전압이 출력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 스위치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교환유니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동작전압의 출력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며, 상기 고압발생부의 입력단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커버 스위치가 ON 및 OFF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 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가 오픈되고 상기 교환유니트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동작전압의 출력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물 구동부로 공급되는 상기 동작전압을 단속하는 스위칭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환유니트로부터 에러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전장물 구동부로 상기 동작전압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위칭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60117712A 2006-11-27 2006-11-27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KR101324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712A KR101324185B1 (ko) 2006-11-27 2006-11-27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US11/942,092 US7856186B2 (en) 2006-11-27 2007-11-19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CNA2007101878456A CN101192023A (zh) 2006-11-27 2007-11-20 成像装置及其电力控制方法
EP07121231.0A EP1925984B8 (en) 2006-11-27 2007-11-21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712A KR101324185B1 (ko) 2006-11-27 2006-11-27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7809A KR20080047809A (ko) 2008-05-30
KR101324185B1 true KR101324185B1 (ko) 2013-11-06

Family

ID=39106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7712A KR101324185B1 (ko) 2006-11-27 2006-11-27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56186B2 (ko)
EP (1) EP1925984B8 (ko)
KR (1) KR101324185B1 (ko)
CN (1) CN10119202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215B1 (ko) * 2007-02-15 2014-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5523216B2 (ja) * 2009-06-30 2014-06-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729989B2 (ja) * 2010-11-30 2015-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を搭載した画像形成装置
JP5622770B2 (ja) * 2012-03-13 2014-11-1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004783B2 (ja) * 2012-06-28 2016-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978835B2 (ja) * 2012-07-30 2016-08-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5856989B2 (ja) * 2013-02-26 2016-02-1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524712B2 (ja) * 2015-03-02 2019-06-0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047277B2 (ja) * 2017-08-01 2022-04-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ドラム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2208A (en) * 1992-11-07 1994-07-26 Mita Industrial Co., Ltd. Paper-supplying device
US5708922A (en) * 1995-04-26 1998-01-13 Canon Kabushiki Kaisha Guide means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40096228A1 (en) * 2002-01-18 2004-05-20 Hoberock Tim M. Fuser sensor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7854A (ja) * 1982-02-09 1983-08-16 Canon Inc 安全装置
JPH0683130A (ja) 1992-09-04 1994-03-25 Fuji Xerox Co Ltd 電源投入時に高電圧ユニットの脱着を禁止する機構を備えた静電複写機
JPH09212042A (ja) * 1996-02-02 1997-08-15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11202722A (ja) * 1998-01-19 1999-07-3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1272892A (ja) 2000-03-27 2001-10-0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2202698A (ja) 2000-12-28 2002-07-19 Sharp Corp 保守安全装置
JP2004077830A (ja) * 2002-08-19 2004-03-11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JP2004109166A (ja) * 2002-09-13 2004-04-0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のインターロックシステム
KR100524012B1 (ko) 2003-08-05 2005-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용 전원공급장치
JP2006159740A (ja) 2004-12-09 2006-06-2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のインターロックシステム
KR100677571B1 (ko) * 2005-03-22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장치
KR101225080B1 (ko) 2006-07-20 2013-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2208A (en) * 1992-11-07 1994-07-26 Mita Industrial Co., Ltd. Paper-supplying device
US5708922A (en) * 1995-04-26 1998-01-13 Canon Kabushiki Kaisha Guide means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40096228A1 (en) * 2002-01-18 2004-05-20 Hoberock Tim M. Fuser sensor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56186B2 (en) 2010-12-21
KR20080047809A (ko) 2008-05-30
EP1925984A3 (en) 2011-03-23
EP1925984A2 (en) 2008-05-28
EP1925984B1 (en) 2019-10-30
US20080124094A1 (en) 2008-05-29
CN101192023A (zh) 2008-06-04
EP1925984B8 (en) 2019-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4185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US801924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986889B2 (en) Abnormality detection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EP2538282A2 (en) Power supply modul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ame
US7496312B2 (en) Auxiliary power supply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85551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85551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fixing unit control method thereof
EP1881375A1 (en)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a power control apparatus in an Image forming device
CN108803285A (zh) 图像形成装置
US7667724B2 (en) Customer replaceable unit with high voltage power supply
US20060115291A1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8380101B2 (en) Photosensitive member unit with contact portions selectively connectable to voltage supplying mechanis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photosensitive member unit
EP2573625A2 (en) Fuser protection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956887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replacement unit and a power supply switch that is turned off when detachment of the replaceable unit is necessary
US2007024296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6912364B2 (en) Consumable product unit, consumable product replacement sens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00326589A (ja) 電源制御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333113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電気機器
CN111830808B (zh) 转印单元及图像形成装置
US1189279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ical equipment
JP2011064983A (ja) 画像形成装置
JP2022086733A (ja) 画像形成装置
US20060284966A1 (en) Apparatus for disconnecting light scann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877035B2 (en) Electronic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201386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