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008B1 - 탄성도전쉬트와 도전재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탄성도전쉬트와 도전재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3008B1
KR101323008B1 KR1020070048945A KR20070048945A KR101323008B1 KR 101323008 B1 KR101323008 B1 KR 101323008B1 KR 1020070048945 A KR1020070048945 A KR 1020070048945A KR 20070048945 A KR20070048945 A KR 20070048945A KR 101323008 B1 KR101323008 B1 KR 101323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conductive
elastic
elastic material
conductiv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8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2115A (ko
Inventor
이형곤
Original Assignee
이형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곤 filed Critical 이형곤
Priority to KR1020070048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3008B1/ko
Publication of KR20080102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2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05K9/0086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comprising a single discontinuous metallic layer on an electrically insulating supporting structure, e.g. metal grid, perforated metal foil, film, aggregated flakes, sint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15Gaskets or se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05K9/0083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comprising electro-conductive non-fibrous particles embedded in an electrically insulating supporting structure, e.g. powder, flakes, whis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분한 탄성을 갖는 도전성쉬트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별히 별도의 탄성재와의 조합가공과정이나 쉬트의 기재를 미세한 홀(hole)을 천공하는 공정과 그에 필요한 금형 및 장치들이 불필요하며 제조과정이 간편하게 개선되고, 생산성이 향상되어 결과적으로 단가가 절감되며, 신뢰성과 재연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편리하게 원하는 형상으로 커팅하여 탄성도전재를 생산할 수 있는 전방향으로 도전성을 갖는 탄성도전쉬트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탄성재의 단면형상이 원형 또는 충격흡수에 유리한 단면을 갖도록 성형하여 제조할 수도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탄성, 도전쉬트, 전자파

Description

탄성도전쉬트와 도전재 및 제조방법{elastic conductive sheet and manufacture}
도1은 메쉬의 필라멘트가 탄성재로 피복된 후 도전박막9로 코팅된 탄성도전쉬트의 일부분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평면도
도2는 메쉬의 필라멘트가 탄성재로 피복된 후 도전박막9로 코팅된 탄성도전쉬트에서 메쉬 필라멘트 하나를 절단하여 본 단면도
도3은 도2의 메쉬 필라멘트에 부가적으로 부식방지(방식)층이 형성된 단면도
도4는 경사1과 위사3이 겹쳐진 부위의 단면도
도5의 <가>는 메쉬의 한 면에 소정 형상을 갖는 탄성재(107)과 도전박막층(109)이 구비된 전방향 탄성도전쉬트의 단면도
도5의 <나>는 도5<가>의 것 한면에 추가의 도전재(11)을 포함하여 완성되는 전방향 탄성도전쉬트의 단면도
도5의 <다>는 메쉬의 양 면에 소정 형상을 갖는 탄성재(107)과 도전박막층(109)이 구비된 전방향 탄성도전쉬트의 단면도
도6은 메쉬의 필라멘트 단면에서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윗면과 밑면 그리고 측면을 정의하기 위해 설명한 그림
도7의 <가>는 도5의 <가>의 탄성도전쉬트에서 도전박막으로 코팅된 소정의 형상을 갖는 탄성재를 분리하여 탄성도전재로 완성한 제품의 단면도
도7의 <다>는 도5의 <다>의 탄성도전쉬트에서 도전박막으로 코팅된 소정의 형상을 갖는 탄성재를 분리하여 탄성도전재로 완성한 제품의 단면도
1;메쉬필라멘트(경사) 3;메쉬필라멘트(위사) 5;개공부 7;탄성재로 형성된 탄성층 9;도전박막 10.부가적인 기능층(일예; 방식층-부식방지층) 11.금속호일(또는 도전재) 13;메쉬필라멘트의 상표면으로 간주되는 면 15;메쉬필라멘트의 하표면으로 간주되는 면 17;메쉬필라멘트의 단면 중 측면(연결도전박막이 형성되는 면)
107; 메쉬 위에 특정한 형상으로 형성된 탄성재 109; 탄성재107과 메쉬필라멘트의 전반적인 면에 형성된 도전박막층
A; 메쉬 개공부의 폭 B; 탄성재와 도전박막이 형성된 후에 남겨진 개공부의 폭
본 발명은 충분한 탄성을 갖는 도전성쉬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별히 별도의 탄성재와의 조합가공과정이나 쉬트의 기재를 미세한 홀(hole)을 천공하는 공정이 불필요하며 제조과정이 간편하게 개선되고, 생산성이 향상되어 결과적으로 단가가 절감되 며, 신뢰성과 재연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편리하게 원하는 형상으로 커팅하여 탄성도전재를 생산할 수 있는 전방향으로 도전성을 갖는 탄성도전쉬트에 관한 것이다.
전자파장애를 방지 및 차단하기 위한 제품으로서 공지된 종래의 기술은 크게 분류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먼저 가장 흔히 사용되는 전자파차단 가스켓의 대표되는 형태로서 대한민국 특허10-0618613과 같이 원하는 단면형상을 갖는 탄성(발포)재를 성형한 후에 그 표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피복된 도전직물(또는 필름)로 구성되는 구조가 있다. 이는 그 공정이 매우 복잡하고 전용으로 사용되는 제조장치가 필수적으로 필요할 뿐 아니라 그 제조가능한 형태 또한 매우 제한적이며 특별히 복잡한 형상이나 얇거나 가는 형태의 제품은 제조가 불가능하다.
다음으로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07-003229의 것과 같이 발포재 쉬트(sheet)를 먼저 수득하고 이를 도전수지로 함침한 후 건조하여 제조되는 형태의 탄성을 갖는 발포도전쉬트가 사용되고 있다. 이는 도전쉬트에 함침되는 도전수지의 소모량이 과다하고 그 제조원가가 대단히 고가이기 때문에 보급형 발포도전쉬트로 사용되기에는 심각한 제약이 따른다.
또 다른 형태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06-0000012의 것과 같이 탄성(또는 발포)수지로 쉬트를 수득하고 여기에 다수의 작은 천공을 형성한 후 무전해도금방법 또는 증착방법에 의해 도전박막을 형성하여 탄성을 갖는 발포도전쉬트를 제조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먼저 발포쉬트를 수득하는 공정과 상기 쉬트에 미세하고 다수의 천공홀을 형성하는 공정과 공정 중에 오염된 쉬트를 전처리하는 단계와 도금방법 및 후처리 공정을 포함하는데 이 공정들은 매우 까다롭고 공해를 일으키며 매우 복잡하고 불안정한 공정들을 거쳐야 하는 단점과 역시 고단가로 제조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친환경적으로 경제적이고 안정적이며 단순한 공정으로 신뢰할 만한 탄성도전쉬트를 제조하는 방법과 탄성도전쉬트의 개발이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특별히 최근 전자제품의 경박단소화 경향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비롯한 최근의 정보통신 분야 제품들에 사용되는 전자파가스켓으로서는 상기 세 종류의 선행 기술 중 매우 얇은 제품의 제조가 가능한 형태, 즉 탄성쉬트에 다수의 천공홀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 가장 선호되고 있으며 이러한 형태의 단점을 극복한 제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상기한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경제적인 형태의 전방향 탄성도전쉬트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첫 번째 양태와 같이 메쉬와 탄성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방향도전쉬트에 있어서, 메쉬필라멘트에 피복 또는 부착된 탄성재와, 그 기재로서 사용된 메쉬와, 적어도 상기 탄성재의 표면 일부분 이상에 형성된 도전박막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재의 탄성은 상기 메쉬필라멘트보다 탄성이 더 큰 재료이며, 상기 탄성재는 상기 메쉬의 개공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공부로 남겨지는 형태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개공부의 내측면에도 도전박막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탄성도전쉬트가 제공된다.
보다 더 좋은 탄성이 확보된 도전쉬트를 얻기 위하여, 본 발명의 두 번째 양태와 같이 메쉬와 탄성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방향도전쉬트에 있어서, 메쉬의 개공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공부로 남겨지는 형태로 메쉬필라멘트에 피복 또는 부착된 발포재와, 그 기재로서 사용된 메쉬와, 적어도 상기 발포재의 표면 일부분 이상에 형성된 도전박막을 포함하며, 상기 발포재의 탄성은 상기 메쉬필라멘트보다 탄성이 더 큰 재료이며, 상기 발포재는 상기 메쉬의 개공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공부로 남겨지는 형태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개공부의 내측면에도 도전박막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탄성도전쉬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두 양태에서 메쉬필라멘트 재료는 흔히 기계적인 치수 안정성을 위하여 탄성이 적은 재료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이보다 탄성이 더 작은 재료로 상기 탄성재층을 구성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탄성도전쉬트는 상기 메쉬필라멘트의 재료보다 더 큰 탄성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재는 메쉬의 어느 한면 이상에 형성되는데 두께 방향으로의 도전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탄성재의 상하면은 물론 측면에도 도전박막층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하여 상기 메쉬 개공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개공부로 남겨지는 것이 필요하다. 이 개공부를 통하여 두께 방향으로 도전성을 부여하기 위한 도전박막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상기 남겨진 개공부를 통하여 도전박막 을 형성할 경우에는 당연히 상기 개공부의 측면에도 도전박막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두께방향으로 도전성을 확보하기에 더욱 유리하다. 상기 개공부가 남겨지지 않을 경우에느 상기 메쉬와 탄성재를 포함하는 쉬트는 상면과 (또는) 하면의 면방향으로만 도전성을 보유하게 된다.
보다 다양한 용도와 목적에 부합한 도전쉬트를 얻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세 번째 양태와 같이 메쉬(또는 하나 이상의 필라멘트-이하 메쉬로 통합하여 칭함)와 탄성재(또는 발포재-이하 탄성재로 통합하여 칭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방향도전쉬트에 있어서, 상기 메쉬와, 탄성재와, 적어도 상기 탄성재의 표면 일부분 이상에 형성된 도전박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탄성재 중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메쉬의 형상과 다른 모양으로 메쉬의 일부분에 부분적으로 형성(또는 접착)되어 소정형태를 갖는 것이고, 상기 탄성재의 탄성은 상기 메쉬필라멘트보다 탄성이 더 큰 재료이며, 상기 탄성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양표면과 측면에 모두 도전박막이 구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탄성도전쉬트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양태의 것은 주로 상기 메쉬의 일부분에 소정형태를 갖도록 형성된 상기 탄성도전재들을 상기 탄성도전쉬트로부터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사욜할 경우에 애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탄성도전재들을 독립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서 각 각의 탄성도전재들은 면방향은 물론 두께 방향으로도 도전성이 확보된 것이라야 한다. 이를 위해서 당연히 상기 탄성도전쉬트의 요소로 사용되는 메쉬의 개공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개공부로 남겨진 상태로 도전박막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이 경우에 상기 메쉬는 반드시 메쉬형태가 아니더라도 무방하다. 즉 메쉬형태에서 변형된 형태로서 한 줄 이상의 필라멘트를 포함한다면 본 양태의 탄성도전쉬트를 제공하기 위한 최소한의 요소로 인정할 수 있다. 즉 하나의 필라멘트 줄에 복수 개의 탄성도전재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가 바로 그것이다.
상기와 같이 탄성도전쉬트로부터 독립적으로 분리된 제품을 제공하기 위하여, 세 번째 양태의 탄성도전쉬트로부터 도전박막으로 코팅된 소정의 형상을 갖는 탄성재를 분리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도전재가 제공된다. 이러한 형태의 도전재는 주로 실링(seal)기능을 갖는 전자파도전재나 혹은 특정한 형태의 개스킷(gasket)을 다량 제조할 경우에 애용될 수 있다.
상기의 탄성도전재를 제조할 경우에는 상기 메쉬가 반드시 메쉬형태가 아니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세 번째 양태의 탄성도전쉬트에 있어서 탄성도전쉬트의 구성 요소인 메쉬가 메쉬형태에서 변형된 것으로서, 한 줄 이상의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필라멘트는 복수 개의 상기 탄성도전재가 형성되어 있고, 폭방향과 길이방향으로 각각 독립되어 형성된 상기 탄성도전재의 수량이 상이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탄성도전쉬트가 제공된다. 이 경우에는 결과물이 사실상 쉬트 형태가 아닐 수도 있지만 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넓은 의미의 쉬트로 취급한다. 또한 상기 메쉬의 변형된 형태로서 필라멘트 한 줄만을 사용하여 상기 탄성도전쉬트를 제조할 경우에는 한 줄의 필라멘트 위에 형성된 탄성재들이 안정된 위치를 유지하기가 곤란하므로 제한적이지는 않지만 적 어도 두 줄 이상의 필라멘트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첫번째와 두번째 양태의 것에서 보다 충분한 탄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재 또는 발포재의 두께는 상기 메쉬의 필라멘트 직경보다 더 큰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탄성도전쉬트가 제공된다. 물론 탄성재의 두께가 메쉬의 직경 굵기보다 작을 경우에도 본 발명의 일부 효과는 얻을 수 있지만 충분한 탄성을 갖도록 할 수는 없으므로 직경보다 더 두꺼운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상기 도전박막 형성방법으로 무전해도금법 또는 증착방법(물리적증착방법-physical vapor deposition 또는 화학적증착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으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탄성도전쉬트가 제공된다. 상기 증착방법으로는 미세하게 형성되는 개공부 내측면에 도전박막코팅이 용이한 스퍼터링(sputtering) 방법이 더욱 애용될 수 있을 것이다. 스퍼터링 공정압력은 1*10-4 torr 이상 5*10-2 torr 이하의 압력에서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10-4 torr 이하의 압력에서는 스퍼터링 플라즈마가 불안정할 수 있으며 생산성도 떨어지게 되며, 5* 10-2 torr 이상의 압력에서는 도전박막의 부착력이 저하되고 도전박막물질의 손실이 많아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탄성도전쉬트는 목적에 따라 각 용도에 맞추기 위하여 상기 양태의 것들에 더하여 부가적인 기능층을 한 층 이상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도전쉬트가 제공된다. 물론 부가적인 층을 더하는 대신 메쉬나 탄성재 또는 도전박막층에 부가적인 기능재료를 추가하여 제조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탄성도전쉬트는 그 도전율과 전자파차단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부가적인 기능층은 금속호일, 금속쉬트, 금속망, 금속부직포, 도전직물 중에서 선택된 한 종류 이상의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는 전방향 탄성도전쉬트가 제공된다. 여기서 금속재료는 자성체 또는 비자성체 중에서 목적용도에 따라 선택된다.
본 발명의 탄성도전쉬트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에서 한 면 이상에 점착(또는 접착)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탄성도전쉬트가 제공된다. 이러한 형태의 도전쉬트는 상기 점착제의 외표면에 이형지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은 당연한 구조라 할 수 있다. 물론 양면 또는 개공부를 포함하는 양면에 점착제를 포함시키는 구조로 제조할 경우에는 물론 양면도전 테이프 (tape)로도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 본 발명의 두 번째 양태와 같은 도전쉬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메쉬(직물)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메쉬의 적어도 일부분에 발포전 발포액 수지를 코팅하는 단계와, 상기 발포액 수지가 코팅된 메쉬를 가열하여 발포 및 경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발포가 완료된 발포재가 형성되어 있는 메쉬 표면에 도전박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발포가 완료된 후에 상기 메쉬의 개공부 중 일부 이상이 개공부로 남겨진 것이며, 상기 남겨진 개공부의 내측면에도 상기 도전박막이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도전쉬트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발포액재는 제한적 범위는 아니지만 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실 리콘수지 중에서 선택된 한 종류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제조방법에서 메쉬 필라멘트를 감싸는 형태로 코팅되는 발포액 두께와 메쉬 개공부의 폭과의 관계가 A(메쉬 개공부의 폭) 은 (T * a)*2 값 보다 큰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탄성도전쉬트 제조방법
이 제공된다. 여기서 T는 발포전의 발포액 수지의 코팅 두께이며, a는 발포비율, A는 메쉬의 폭이다. 상기 메쉬의 개공부가 정사각 형상이 아닐 경우 A는 개공부의 최소폭을 기준한다.
실시예1) 메쉬-발포수지 코팅- 가열발포- 스퍼터링(양면)-권취( 두께 방향과 면방향으로 도전성을 갖는 전방향 탄성도전쉬트 제조 )
메쉬 필라멘트의 직경이 약250미크론이고, 목수(mesh count)가 25이며, 개공부의 폭이 약750미크론인 폴리에스터 메쉬를 준비하였다. 상기 메쉬의 경사와 위사가 고르게 잘 코팅되도록 발포액 수지를 공지된 기술인 디핑(deeping) 방법에 의해 코팅하였다. 이후 상기 코팅된 메쉬를 150도~250도씨의 발포실을 통과하면서 발포 및 경화단계를 실행한 후, 이를 스퍼터링 챔버(sputtering chamber)에 장입하여 초기진공도 1*10-6 torr 까지 배기하고, 알곤 개스를 약250 sccm(standard cubic centimeter per minute) 의 량으로 플로우잉(flowing)하여 상기 진공도를 약 1*10-3 torr로 유지하여 공정압력으로 유지한다. 이때에 스퍼터링 타깃물질로는 은(silver)을 이용하여 은으로 도전박막을 형성하였다. 은 박막의 두께는 약0.7미크론으로 하였다. 메쉬의 양 쪽 면에 고르게 도전박막을 코팅하여 본 발명의 두께 방향과 면방향, 즉 전방향으로 도전성을 갖는 탄성도전쉬트를 수득하였다. 여기서 발포가 완료된 상기 메쉬에는 메쉬의 개공부분이 상기 발포층의 형성으로 인해 도1에서와 같이 좁아지게 되며 이 실시 예에서는 남은 개공부의 폭이 약 150미크론이었다.
실시예2) 메쉬-폴리우레탄 수지 코팅- 경화- 프라이머 코팅- 스퍼터링- 오링 형상의 도전탄성재 메쉬로부터 분리 (도전탄성재로 된 전도성오링 완성)
메쉬 필라멘트의 직경이 약250미크론이고, 목수(mesh count)가 25이며, 개공부의 폭이 약750미크론인 폴리에스터 메쉬를 준비하였다. 상기 메쉬의 한 면 위에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두께가 약 1.5mm이고 내경이 5mm 외경이 약8mm인 오링을 전체 면적에 다수로 가득 형성하였다. 이후 상기 메쉬를 항온항습실에서 충분히 경화시키고 다시 그 전체표면에 프라이머 수지로 코팅하고 다시 경화시켰다. 이를 스퍼터링 챔버(sputtering chamber)에 장입하여 초기진공도 1*10-6 torr 까지 배기하고, 알곤 개스를 약250 sccm(standard cubic centimeter per minute) 의 량으로 플로우잉(flowing)하여 상기 진공도를 약 1*10-3 torr로 유지하여 공정압력으로 유지한다. 이때에 스퍼터링 타깃물질로는 은(silver)을 이용하여 은으로 도전박막을 형성하였다. 은 박막의 두께는 약0.7미크론으로 하였다. 메쉬의 양 쪽 면에 고르게 도전박막을 코팅하여 본 발명의 두께방향과 면방향, 즉 전방향으로 도전성을 갖는 탄성도전쉬트를 수득하였다.
실시예3) 실시예2에서 수득한 탄성도전쉬트의 한 면에 복수개로 형성된 상기 두께가 약1.5mm이고 내경이 5mm 외경이 약8mm인 오링을 형상이 잘 유지되 도록 절단하여 오링의 모든 방향으로 도전성을 갖는 전방향 도전성오링을 수득하였다. 상기 오링은 양 면은 물론 오링의 내경과 외경의 측면에도 은(silver) 박막으로 고르게 스퍼터링되어 있었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된 것으로서, 당해 분야의 상식적인 이해가 가능한 사용자에 의해 공지된 기술이나 부가적인 재료, 구성, 방법을 접목하여 보다 다양한 형태의 탄성도전재와 탄성도전쉬트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과 사상에 의하여 정하여야 할 것이다.
별도의 탄성재와의 조합가공과정이나 쉬트의 기재를 미세한 홀(hole)을 천공하는 공정 및 그에 필요한 금형과 장치들이 불필요하며 제조과정이 간편하게 개선되고 생산성이 향상되어 결과적으로 단가가 절감되며, 신뢰성과 재연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편리하게 원하는 형상으로 커팅하여 탄성도전재를 생산할 수 있는 전방향으로 도전성을 갖는 탄성도전쉬트가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2)

  1. 메쉬와 탄성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방향도전쉬트에 있어서, 메쉬 필라멘트에 피복 또는 부착된 탄성재와, 그 기재로서 사용된 메쉬와, 적어도 상기 탄성재의 표면 일부분 이상에 형성된 도전박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탄성재의 탄성은 상기 메쉬 필라멘트보다 탄성이 더 큰 재료이며, 상기 탄성재는 상기 메쉬의 개공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공부로 남겨지는 형태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개공부의 내측면에도 역시 도전박막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탄성도전쉬트
  2. 메쉬와 탄성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방향도전쉬트에 있어서, 메쉬의 개공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공부로 남겨지는 형태로 메쉬 필라멘트에 피복 또는 부착된 발포재와, 그 기재로서 사용된 메쉬와, 적어도 상기 발포재의 표면 일부분 이상에 형성된 도전박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발포재의 탄성은 상기 메쉬 필라멘트보다 탄성이 더 큰 재료이며, 상기 발포재는 상기 메쉬의 개공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공부로 남겨지는 형태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개공부의 내측면에도 역시 도전박막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탄성도전쉬트
  3. 메쉬(또는 하나 이상의 필라멘트-이하 메쉬로 통합하여 칭함)와 탄성재(또는 발포재-이하 탄성재로 통합하여 칭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방향도전쉬트에 있어서, 상기 메쉬와, 탄성재와, 적어도 상기 탄성재의 표면 일부분 이상에 형성된 도전박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탄성재 중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메쉬의 형상과 다른 모양으로 메쉬의 일부분에 부분적으로 형성(또는 접착)되어 소정형태를 갖는 것이고, 상기 탄성재의 탄성은 상기 메쉬 보다 탄성이 더 큰 재료이고, 상기 탄성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양표면과 측면에 모두 도전박막이 구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탄성도전쉬트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전방향으로 도전성을 갖는 탄성도전쉬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메쉬(직물)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메쉬의 적어도 일부분에 발포전 발포액 수지를 코팅하는 단계와, 상기 발포액 수지가 코팅된 메쉬를 가열하여 발포 및 경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발포가 완료된 발포재가 형성되어 있는 메쉬 표면에 도전박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발포가 완료된 후의 상기 쉬트 형상은 상기 메쉬의 개공부 중 일부 이상이 개공부로 남겨진 것이며, 상기 남겨진 개공부의 내측면에도 상기 도전박막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탄성도전쉬트의 제조방법
  12. 삭제
KR1020070048945A 2007-05-19 2007-05-19 탄성도전쉬트와 도전재 및 제조방법 KR101323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945A KR101323008B1 (ko) 2007-05-19 2007-05-19 탄성도전쉬트와 도전재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945A KR101323008B1 (ko) 2007-05-19 2007-05-19 탄성도전쉬트와 도전재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115A KR20080102115A (ko) 2008-11-24
KR101323008B1 true KR101323008B1 (ko) 2013-10-29

Family

ID=40288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8945A KR101323008B1 (ko) 2007-05-19 2007-05-19 탄성도전쉬트와 도전재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30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766B1 (ko) * 2009-04-22 2009-10-07 두성산업 주식회사 박막형 쿠션 점착 테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958891B1 (ko) * 2009-06-18 2010-05-20 두성산업 주식회사 도전성 및 탄성이 우수한 디스플레이용 내열 박막 가스켓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7271A (ja) * 1997-12-10 1999-07-02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磁波遮蔽板
JP2000252681A (ja) 1999-03-02 2000-09-14 Gunze Ltd リード電極付き電磁波シールド用パネル
JP2002343462A (ja) 2001-05-10 2002-11-29 Fujitsu Ltd 異方導電性シート、その製造方法、接点構造体、電子装置及び動作試験用検査装置
JP2004288831A (ja) 2003-03-20 2004-10-1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7271A (ja) * 1997-12-10 1999-07-02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磁波遮蔽板
JP2000252681A (ja) 1999-03-02 2000-09-14 Gunze Ltd リード電極付き電磁波シールド用パネル
JP2002343462A (ja) 2001-05-10 2002-11-29 Fujitsu Ltd 異方導電性シート、その製造方法、接点構造体、電子装置及び動作試験用検査装置
JP2004288831A (ja) 2003-03-20 2004-10-1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115A (ko) 2008-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9789B1 (en) Conductive material and its manufacture thereof
JP6872529B2 (ja) 音響デバイスを保護するための多層テキスタイル構造を作るための方法、多層テキスタイル構造によって音響デバイスを保護するためのコンポーネントを作るための方法、及び得られる音響デバイス保護コンポーネント
CN100502630C (zh) 用于电磁干扰屏蔽的方法与装置
US4720400A (en) Microporous metal-plated polytetrafluoroethylene articles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2185067B1 (ko) 박막 인덕터용 코일 유닛, 박막 인덕터용 코일 유닛의 제조방법, 박막 인덕터 및 박막 인덕터의 제조방법
JP2007299907A (ja) 電磁波を伝導又は吸収する特性を有する構造体
KR101323008B1 (ko) 탄성도전쉬트와 도전재 및 제조방법
WO2006120832A1 (ja) 電磁波を伝導又は吸収する特性を有する構造体
JP2001003264A (ja) 電磁波遮蔽三次元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82543B1 (ko) 증착 마스크의 제조 방법 및 유기 발광 재료의 증착 방법
JPH01158799A (ja) 透明電磁波シールドシートの製造方法
RU2375851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агнитного и электромагнитного экрана
KR102308519B1 (ko)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기능성 원단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원단
KR20080006069A (ko) 절약형 도전재
JP2003286588A (ja) 複合伝導性材料の調製方法
JP2003051691A (ja) 電磁波シールディングガスケ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導電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25484B1 (ko) 플라즈마 표면처리에 의한 대면적 나노구조체 제조방법 및 장치
US8318265B2 (en) Plasma mediated processing of non-conductive substrates
JPH11330778A (ja) 電磁波シ―ルド用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97905B1 (ko) 접촉형도전재
KR101304061B1 (ko) 도전쉬트와 그 제조방법
JP4838638B2 (ja) 電波遮蔽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70850B1 (ko) 쉬트형 도전재
KR101215431B1 (ko) 통기성과 소수성이 향상된 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88857A (ko) 다층도전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