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1881B1 -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1881B1
KR101321881B1 KR1020120052224A KR20120052224A KR101321881B1 KR 101321881 B1 KR101321881 B1 KR 101321881B1 KR 1020120052224 A KR1020120052224 A KR 1020120052224A KR 20120052224 A KR20120052224 A KR 20120052224A KR 101321881 B1 KR101321881 B1 KR 101321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case
portable electronic
case body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스텍
Priority to KR1020120052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1881B1/ko
Priority to PCT/KR2012/003943 priority patent/WO201317249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1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1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42Devices for identifying luggage; Means for attach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45C15/06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with illumin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휴대전자기기를 보호하되, 시각 및 촉각을 통해 휴대전자기기의 각 구성부 위치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가 제공된다. 보호케이스는, 휴대전자기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휴대전자기기를 수용하고, 휴대전자기기의 전면을 개방하는 개방부가 형성된 케이스본체, 및 케이스본체와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방부를 덮는 케이스커버를 포함하되, 케이스본체 및 케이스커버 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 표면에 케이스본체와 케이스커버를 구분 가능한 식별무늬가 형성된다.

Description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 {Protective cas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각 및 촉각을 통해 휴대전자기기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부나 조작버튼, 또는 접속포트 등과 같은 기기 구성부 위치가 용이하게 인지되도록 한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자기기(Mobile electronic device)란 이동 중에도 사용 가능하도록 소형화, 경량화되어 제작된 전자기기를 말한다. 이러한 휴대전자기기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 MP3 플레이어, 스마트 폰 등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각각은 그 쓰임새 및 기기적 특성 등에 따라 서로 다른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다.
한편, 이러한 휴대전자기기는 손을 이용하여 파지하거나, 주머니 등에 삽입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사용자의 부주의나 예기치 않은 돌발상황에 의해 낙하되어 그 전부 또는 일부가 쉽게 파손될 수 있는 단점 역시 가지고 있다. 따라서, 종래 이를 방지하기 위해 휴대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Protective case)가 제작되어 사용되었다.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는 휴대전자기기의 외측 표면을 감싸는 파우치(Pouch) 또는 보호스킨(Protective skin)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전자기기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휴대전자기기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한다. 이를 위해 보호케이스는 연질 또는 경질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전자기기의 외측에 밀착되도록 각 휴대전자기기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29546호에는 이와 같은 휴대전자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일 례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휴대전자기기의 외측을 감싸고, 휴대전자기기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이러한 보호케이스들은 휴대전자기기의 충격을 완화하는 데는 효과적일 수 있으나, 화면 표시용 스크린과 같은 디스플레이부나,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버튼, 또는 부속기기나 주변기기를 접속하여 사용하기 위한 접속포트 등과 같은 구성부들의 위치가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파악되지 못하여 기기 사용시에는 오히려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즉, 보호케이스의 외관상으로 조작버튼이나 스크린 등이 위치한 휴대전자기기의 전면부와 카메라가 위치한 후면부 등을 손쉽게 구분할 수 없어 휴대전자기기의 실용성이 오히려 감소되는 역효과가 나타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케이스에 기기의 전면부를 덮는 커버부가 형성되거나, 보호케이스가 휴대전자기기의 노출을 완전히 차단하도록 형성된 경우 더욱 가중될 수 있으며, 눈으로 식별이 어려운 야간이나, 예를 들어, 화재시와 같은 위급상황에서 스마트 폰을 사용하여 구조요청을 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커다란 장애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이유로, 시각장애인과 같이 시력이 약한 사용자의 경우에는 대중적으로 보급된 스마트 폰 등의 휴대전자기기라 하더라도 이를 용이하게 이용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2-0029546호, (2012.3.27), 도 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시각 및 촉각을 이용해 휴대전자기기의 기기 구성부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 가능하도록 한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시각장애인과 같이 시력이 약한 사용자가 휴대전자기기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는, 휴대전자기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휴대전자기기를 수용하고, 상기 휴대전자기기의 전면을 개방하는 개방부가 형성된 케이스본체; 및 상기 케이스본체와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방부를 덮는 케이스커버; 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본체 및 상기 케이스커버 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 표면에 상기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커버를 구분 가능한 식별무늬가 형성된다.
상기 식별무늬는 음각 또는 양각 형성되어 시각 및 촉각을 통해 인지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본체 및 상기 케이스커버는 상기 식별무늬가 형성되지 않은 표면에 부드러운 엠보싱 무늬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식별무늬는 상기 케이스본체 및 상기 케이스커버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식별무늬는 상기 케이스본체 및 상기 케이스커버에 모두 음각 형성되거나 또는 모두 양각 형성되되, 각각 서로 다른 패턴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식별무늬는 상기 케이스본체 및 상기 케이스커버 중 어느 하나에는 음각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양각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식별무늬는 불규칙한 반사면을 갖는 반사입자, 형광물질, 및 야광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별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식별물질은 상기 케이스본체 및 상기 케이스커버 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 표면에 음각 또는 양각되는 패턴부 위에 부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패턴부는 음각되어 형성되고, 상기 반사입자는 상기 패턴부의 음각된 표면을 채워 상기 케이스본체 또는 상기 케이스커버의 표면보다 상대적으로 거친 접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패턴부는 양각되어 형성되고, 상기 형광물질 또는 상기 야광물질은 상기 패턴부의 양각된 표면에 도포될 수 있다.
상기 휴대전자기기는 상기 전면에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고, 후면에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이고, 상기 케이스본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둘레에 밀착되어 상기 개방부를 형성하는 전면 테두리부, 상기 후면에 밀착되고 상기 소형카메라와 중첩되는 카메라 홀이 형성된 배면부, 상기 전면 테두리부와 상기 배면부를 서로 연결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유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접하는 내측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포켓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식별무늬는 문자형상, 도형형상 및 그림형상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문자형상은 점자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점자형상의 식별무늬는 양각 또는 음각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자형상의 식별무늬는 음각 또는 양각된 상기 도형형상 또는 상기 그림형상의 식별무늬 내부에 양각 또는 음각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는, 휴대전자기기 수용부가 형성된 케이스본체; 및 상기 케이스본체에 음각 또는 양각 형성되는 점자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는 휴대전자기기의 전면을 개방하는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전자기기는 휴대단말기일 수 있다.
상기 점자 표시부는 상기 케이스본체의 측면부에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본체의 측면부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자 표시부는 상기 케이스본체의 측면부를 따라 각각 서로 다른 형태로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자 표시부는 상기 케이스본체의 배면부,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본체의 배면부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자 표시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배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는, 휴대전자기기를 수용하여 휴대전자기기를 보호하되, 시각 및 촉각을 통해 휴대전자기기의 화면이나 조작버튼, 또는 접속포트 등과 같은 각각의 기기 구성부 위치를 용이하게 인지 가능하여 기기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인지 및 식별을 위해 마련된 무늬가 심미감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는, 촉각을 통해 휴대전자기기의 구성부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시각장애인과 같이 시력이 약한 사람이 스마트 폰 등의 휴대전자기기를 사용하는 데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보호케이스가 펼쳐진 모습을 그에 장착되는 휴대전자기기와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보호케이스에 마련된 식별무늬 및 그 제1 변형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보호케이스에 마련된 식별무늬의 제2 변형례를 도시한 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보호케이스에 마련된 식별무늬의 제3 변형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보호케이스에 마련된 식별무늬의 제4 변형례를 도시한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와 그에 장착되는 휴대전자기기를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보호케이스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보호케이스가 펼쳐진 모습을 그에 장착되는 휴대전자기기와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상에서 '휴대전자기기'는 태양전지나 배터리 또는 보조 배터리 등을 사용하여 이동 중에도 사용이 가능하고, 휴대가 용이하도록 소형화하여 제작되는 모바일 전자기기(Mobile electronic device)를 말한다. 이러한 휴대전자기기에는 예를 들어, PDA, 태블릿 PC, 스마트 폰 또는 휴대전화와 같은 휴대단말기(mobile terminal), MP3 플레이어, 휴대용 게임기, 노트북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휴대전자기기'의 '전면'은 사용자가 휴대전자기기를 조작하기 위해 설치되는 조작버튼이나 디스플레이 화면 등이 형성된 부위 즉, 전면부를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에 해당하는 스마트 폰 등의 터치스크린 설치 부위를 말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1)는 크게 케이스본체(100)와 케이스커버(200)로 이루어지며, 케이스본체(100)의 일 측에는 휴대전자기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케이스본체(100)는 휴대전자기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유입구(131)를 통해 유입되는 휴대전자기기를 수용할 수 있으며, 케이스커버(200)는 케이스본체(100)와 접철 가능하게 형성되어 케이스본체(100)에 수용된 휴대전자기기(도 2의 A 참조)의 전면부를 덮어 보호하거나, 이를 개방하여 용이하게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케이스본체(100) 및 케이스커버(200) 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 표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무늬(300)가 형성된다. 식별무늬(300)는 케이스본체(100) 및 케이스커버(200)의 외측 표면에 음각되거나 또는 양각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전자기기의 사용자는 시각 또는 촉각을 통해 식별무늬(300)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식별무늬(300)는 케이스커버(200) 측에만 형성되거나, 또는 케이스본체(100) 측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커버(200) 및 케이스본체(100)에 모두 형성되되 각각의 패턴을 달리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각 영상을 통해서, 그리고, 손에 전해지는 촉감을 통해서 케이스커버(200)와 케이스본체(100)를 구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케이스커버(200)가 덮어 보호하고 있는 휴대전자기기의 전면부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케이스커버(200)를 개방하여 즉각적으로 휴대전자기기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1)에 보호된 채 주머니 등에 삽입되어 있는 휴대전자기기를 꺼내 사용할 때 매우 유용할 수 있으며, 기기가 외부에 놓여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1)를 직접 열어보지 않고도 내부에 수용된 휴대전자기기의 앞 뒷면을 손쉽게 구분할 수 있어 사용시 역시 유용하다.
특히, 정전 상황이 포함된 화재 상황과 같이 위급한 상황에서 스마트 폰이나 휴대전화 등 통신 단말기인 휴대전자기기를 이용하여 긴급히 구조요청을 하는 경우, 이러한 식별무늬(300)가 매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촉각을 통해 인지되는 식별무늬(300)는 시각장애인과 같이 시력이 약한 사람들이 휴대전자기기를 사용하는 데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식별무늬(300)는 케이스본체(100) 및 케이스커버(20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되, 예를 들어, 케이스본체(100)의 측면부(130)와 같이 각각의 일 측 또는 타 측의 서로 다른 위치에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휴대전자기기의 전면부뿐만 아니라, 그 밖의 다른 구성요소의 위치까지도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으며, 식별무늬(300)가 형성되지 않은 케이스본체(100) 및 케이스커버(200)의 나머지 부분에는 부드러운 엠보싱무늬(312)가 형성되어 음각 또는 양각 형성된 식별무늬(300)가 더욱 용이하게 인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의 각 구성부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케이스본체(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전자기기(A)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테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형의 바(B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휴대전자기기(A)는 전면부에 디스플레이부(A1)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이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소형카메라(미도시)가 장착된 바(Bar) 형태의 스마트 폰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부(A1)는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져 휴대전자기기(A)를 조작하는 조작부로도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바 형상의 휴대전자기기(A)는 예시적인 것이며, 휴대전자기기(A) 및 케이스본체(100)의 형태는 이와 같은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또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케이스본체(100)는 휴대전자기기(A)의 전면부 특히, 디스플레이부(A1) 둘레에 밀착되는 전면 테두리부(110)와, 휴대전자기기(A)의 후면에 밀착되어 휴대전자기기(A)를 지지하며 휴대전자기기(A)의 소형카메라(미도시)와 중첩되는 위치에 카메라 홀(121)이 개방 형성된 배면부(120) 및 전면 테두리부(110)와 배면부(120)를 서로 연결하는 측면부(130)를 포함하여, 휴대전자기기(A)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측면부(130)의 일 측은 개방되어 휴대전자기기(A)가 유입되는 유입구(131)를 형성할 수 있으며, 유입구(131)의 위치는 제작상의 용이성 및 휴대전자기기(A)의 수용상태 등을 고려하여 서로 다른 다양한 지점에 적절히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전면 테두리부(110)는 디스플레이부(A1)의 둘레에 밀착되어 케이스본체(100)에 수용된 휴대전자기기(A)의 전면부를 개방하는 개방부(111)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개방부(111)를 통해 디스플레이부(A1)의 표시화면을 인식하거나 이를 터치하여 휴대전자기기(A)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케이스본체(100)의 배면부(120) 및 측면부(130) 각각의 일 측에는 이 밖에도 다양한 형상의 개구부(140)가 형성된다. 개구부(140)는 원형이나 방형 또는 그 밖의 정형화 되지 않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케이스본체(100)에 수용된 휴대전자기기(A)의 충전포트나 데이터 통신용 잭, 또는 그 밖의 조작 스위치 등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식별무늬(300)는 이러한 개구부(140) 주변의 서로 다른 위치에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휴대전자기기(A)의 여타 구성부의 위치를 용이하게 드러낼 수 있다.
케이스커버(200)는 케이스본체(100)와 적어도 동일한 너비로 형성되어 휴대전자기기(A)의 전면부를 개방하는 개방부(111)를 덮는다. 케이스커버(200)는 연결부(210)에 의해 케이스본체(100)와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며, 접철되면, 케이스본체(100)의 전면 테두리부(110)와 밀착되어 휴대전자기기(A)의 전면부를 완전히 밀폐한다. 따라서, 케이스커버(200)가 닫힌 상태에서 휴대전자기기(A)가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연결부(210)와 케이스커버(200)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케이스본체(100)에 접합된 것일 수 있으며, 별도로 형성된 연결부(210)가 케이스커버(200)와 케이스본체(100) 각각에 접합되어 서로를 연결하도록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케이스커버(200)는 디스플레이부(A1)와 접하는 내측 표면에 포켓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포켓부(220)는 휴대전자기기(A)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카드나 지폐 등을 간단히 수납하여 지갑을 대신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1)가 더욱 실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케이스커버(200) 및 케이스본체(100)는 플라스틱이나 금속재와 같은 경질, 또는 천연 및 합성고무와 같은 연질의 내장재를 내장할 수 있으며, 내측 및 외측의 표면은 천연 및 인조 피혁이나 직물로 마감되거나, 폴리우레탄과 같이 탄성을 갖는 화합물로 코팅되어 부드럽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엠보싱무늬(312)가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부드러운 촉감을 통해 식별무늬(300)가 형성된 지점과 식별무늬(300)가 형성되지 않은 지점을 용이하게 구분해낼 수 있는 것이다.
식별무늬(300)는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1)의 표면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식별 및 인지효과를 높일 수 있다.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1)의 각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이로써 마치고, 이하, 도 3a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1)에 형성된 식별무늬(300) 및 식별무늬(300)의 서로 다른 변형례들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보호케이스에 마련된 식별무늬 및 그 제1 변형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보호케이스에 마련된 식별무늬의 제2 변형례를 도시한 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보호케이스에 마련된 식별무늬의 제3 변형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보호케이스에 마련된 식별무늬의 제4 변형례를 도시한 도이다.
우선 도 3a를 참조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1)의 식별무늬(300)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식별무늬(300)는 케이스커버(200) 및 케이스본체(10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음각 또는 양각되어 사용자의 시각 및 촉각을 통해 인지될 수 있다. 식별무늬(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그림이나 도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외관을 유려하게 하고, 심미적인 효과 역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식별무늬(300)는 인지효과를 강화하기 위해 반사입자, 형광물질, 및 야광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별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식별물질은 불규칙한 반사면을 갖는 반사입자(311)일 수 있으며, 반사입자(311)는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1)의 표면에 도달하는 외부광을 산란시켜 시각적인 인지효과를 상승시키는 동시에, 불규칙한 반사면이 형성하는 거친 면을 통해 촉각적인 인지효과 역시 효과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반사입자(311)는 광투과성을 갖는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을 분말 형태로 가공하거나, 이 외에도 광산란 효과를 갖는 여러 가지 다른 물질을 혼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반사입자(311)는 음각 또는 양각 형성되는 패턴부 위에 부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음각 형성된 패턴부(310)위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식별물질은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림이나 도형 형상, 또는 후술할 문자 형상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패턴화 되어 형성되는 패턴부(310, 320)를 따라서 역시 다양한 형상의 식별무늬(300)를 형성하는 것이며, 패턴부(310, 320)의 음각된 표면을 채워 상대적으로 거친 접촉면을 형성하고, 식별무늬(300)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지점에 형성되는 부드러운 엠보싱무늬(312)와 대조되어 결국, 사용자가 이를 용이하게 인지하게 되는 것이다.
식별무늬(300)와 달리, 엠보싱무늬(312)는 케이스본체(100) 및 케이스커버(200)의 표면에 마감된 합성/천연 피혁이나 직물,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이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얕은 볼록면과 오목면이 반복해서 교차되도록 압착 성형된 것일 수 있다. 엠보싱무늬(312)의 패턴 역시, 부드러운 촉감을 줄 수 있는 또 다른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어서, 도 3b를 참조하면, 식별무늬(300a)는 반사입자 대신, 형광물질이나 야광물질 등의 식별물질(321)이 패턴부(320) 위에 부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패턴부(320)는 음각 또는 양각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각되어 형성될 수 있다. 식별물질(321)은 양각된 패턴부(320)의 최외곽에 층을 이루어 도포되는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식별무늬(300)는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1)의 외부에서 입체적으로 식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간뿐만 아니라, 야간에도 식별무늬(300)가 더욱 용이하게 인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식별무늬(300b, 301b)는 케이스커버(200)와 케이스본체(100) 양측에 모두 형성되되, 각각 그 패턴을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식별무늬(300b, 301b)는 케이스커버(200) 측의 식별무늬(300b)와 케이스본체(100) 측의 식별무늬(301b)가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양각 되거나 또는 모두 음각되어 형성되되, 서로 형상을 달리하여 형성되어 사용자가 이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상으로는 캐릭터화된 강아지 형상의 전면 및 후면 모습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지만, 식별무늬(30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서로 완전히 다른 이종(異種)의 형상으로 식별무늬(300)를 형성하여 식별무늬(300)의 인지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식별무늬(300)는 각각 서로 다른 색상으로 도색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각적인 인지효과를 더욱 상승시킬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식별무늬(300c, 301c)는 역시 케이스커버(200)와 케이스본체(100) 모두 형성되되, 둘 중 어느 하나에는 음각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양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식별무늬(300c, 301c)는 서로 동일한 패턴을 갖되, 케이스커버(200) 측에는 음각되고, 케이스본체(100) 측에는 양각되어 사용자가 이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때 각각의 식별무늬(300c, 301c)는 특정한 도형 패턴 및 문자 패턴 등으로 음각된 음각부(310c), 및 역시 특정한 도형 패턴 및 문자 패턴 등으로 양각된 양각부(320c)를 각각 반복적으로 형성하여 음각된 식별무늬(300c)와 양각된 식별무늬(301c)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또한 효과적으로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식별무늬(300d, 301d, 302d, 303d)는 문자형태, 특히 점자형태로 형성되어 케이스커버(200) 및 케이스본체(100)의 서로 다른 여러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시각장애인과 같은 시력이 약한 사용자는 대중적으로 널리 보급된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전자기기라 할지라도 이를 용이하게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보호케이스가 휴대전자기기 외부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라면 사용상의 어려움은 더욱 가중된다.
점자형태로 형성된 식별무늬(300d, 301d, 302d, 303d)는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점자형태의 식별무늬(300d, 301d, 302d, 303d)는 케이스커버(200) 측과 케이스본체(100) 측에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은 서로 다른 내용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점자형태의 식별무늬(300d, 301d, 302d, 303d)는 단순한 인지효과뿐만 아니라, 시각장애인인 사용자에게 휴대전자기기의 각 구성부의 위치나 휴대전자기기의 사용방법을 알려주는 정보전달효과까지 아울러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휴대전자기기 및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1)가 더 넓은 사용자 계층에게 더욱 실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점자형태의 식별무늬(300d, 301d, 302d, 303d) 역시 케이스커버(200) 및 케이스본체(100) 표면에 그 크기를 달리하여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케이스본체(100) 및 케이스커버(200) 각각에 단독으로 형성되거나(301d, 302d), 그림 또는 도형 형태로 형성된 식별무늬(300d)의 표면 위에 크기가 작은 점자형태의 식별무늬(303d)가 중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그림 또는 도형 형태의 식별무늬(300d)는 음각 또는 양각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크기가 작은 식별무늬(303d) 역시 음각 또는 양각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음각 또는 양각된 그림이나 도형 형태의 식별무늬(300d)의 내부에는 전술한 불규칙한 반사면을 갖는 반사입자(도 3a의 311 참조)로 이루어진 식별물질이나,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1) 표면에 도포 가능한 형광물질 또는 야광물질인 식별 물질(도 3b의 321 참조)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문자와 도형 또는 그림과의 조합으로 시각장애인 사용자뿐만 아니라 그 외 일반 사용자 역시 더욱 용이하게 식별무늬(300d, 301d, 302d, 303d)를 인지할 수 있다.
점자형태의 식별무늬(300d, 301d, 302d, 303d) 역시 전술한 다른 식별무늬들과 마찬가지로 케이스커버(200) 및 케이스본체(100) 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 표면에 음각 또는 양각 되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나, 시각장애인 사용자에게 더욱 효과적으로 인지되기 위해서는 양각되어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식별무늬는 그 형상이나 재질 등을 다양한 형태로 변화시켜 사용자에게 적절한 식별 및 인지효과를 줄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와 그에 장착되는 휴대전자기기를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보호케이스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1-1)는 커버 없이 케이스본체(100) 만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본체(100)에 휴대전자기기(A)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11-1)가 개방 형성된다. 이 때, 케이스본체(100)의 외측 표면에는 음각 또는 양각 형성되는 점자 표시부(300-1a, 300-1b, 300-1c)가 형성된다. 따라서, 특히 시력이 약한 시각장애인 사용자가 이러한 형상의 보호케이스(1-1)가 결착된 휴대전자기기(A)를 더욱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케이스본체(100)는 휴대전자기기(A)의 후면에 밀착되는 배면부(120)와 휴대전자기기(A)의 측면에 밀착되는 측면부(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면부(120) 및 측면부(130)의 일 측에는 각각 카메라 홀(121)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개방된 개구부(140) 들이 형성되어 있어, 휴대전자기기(A)에 장착된 소형카메라(미도시), 및 조작스위치 등과 같은 그 밖의 구성부들을 용이하게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자 표시부(300-1a, 300-1b, 300-1c)는 케이스본체(100)의 서로 다른 위치에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케이스본체(100)의 측면부(130)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300-1a, 300-1b). 즉, 휴대전자기기(A)가 장착된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1)를 안정적으로 파지하기 위해서는 손가락 부분이 자연스럽게 보호케이스의 측면부(130)를 향하게 되는 바, 측면부(130)를 따라 점자표시부(300-1a, 300-1b)를 형성하여 최적의 인지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점자 표시부(300-1a, 300-1b, 300-1c) 는 배면부(120)의 외측 표면에 형성되어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1-1)의 식별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300-1c). 즉, 휴대전자기기(도 7의 A 참조)의 가로 및 세로 너비만큼 넓게 형성되는 배면부(120) 위에, 사용자의 이름이나 이니셜, 그 밖의 식별 가능한 표지가 양각 또는 음각된 점자표시부(300-1c)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전자기기(A)를 타인의 기기와 혼동하는 일 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점자 표시부(300-1a, 300-1b, 300-1c)의 이러한 배치형태는 한정적인 것이 아니며, 따라서, 필요한 경우 측면부(130)나 배면부(120) 외의 다른 지점에도 또 다른 점자표시부를 병행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부(130)의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된 점자표시부(300-1a, 300-1b)는 휴대전자기기(A)의 정렬 상태나 각 구성부의 위치를 더욱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A1)의 상, 하 정렬방향을 표시하는 점자표시부(300-1a)[인지된 지점이 디스플레이부(A1)의 하단 부분인지 또는 상단 부분인지를 표시하기 위해 영문의 약어 DN 또는 UP 를 점자 형태로 표기한 것일 수 있다.]와 그렇지 않은 나머지 점자표시부(300-1b)등을 구분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파지된 휴대전자기기(A)의 정렬상태가 올바른지 여부에 대해 판단하고 이를 더욱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점자표시부(300-1a, 300-1b, 300-1c)는 앞서 설명한 식별무늬들과 같이 음각 또는 양각 형성될 수 있으나, 시각장애인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인지될 수 있도록 양각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휴대전자기기(A)의 구성부 위치를 인지하게 하는 인지수단의 기능뿐만 아니라, 휴대전자기기(A)의 조작방법이나 주의사항 등의 정보를 전달하는 정보전달기능을 함께 가져 더욱 실용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1-1: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 100: 케이스본체
110: 전면 테두리부 111: 개방부
120: 배면부 121: 카메라 홀
130: 측면부 131: 유입구
140: 개구부 200: 케이스커버
210: 연결부 220: 포켓부
300, 300a, 300b, 301b, 300c, 301c, 300d, 301d, 302d, 303d: 식별무늬
310, 320: 패턴부 310c: 음각부
320c: 양각부 311: 반사입자
312: 엠보싱무늬 321: 식별물질
300-1a, 300-1b, 300-1c: 점자 표시부
휴대전자기기: A 디스플레이부: A1

Claims (18)

  1. 삭제
  2. 휴대전자기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휴대전자기기를 수용하고, 상기 휴대전자기기의 전면을 개방하는 개방부가 형성된 케이스본체; 및
    상기 케이스본체와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방부를 덮는 케이스커버; 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본체 및 상기 케이스커버 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 표면에 상기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커버를 구분 가능한 식별무늬가 형성되고,
    상기 식별무늬는 음각 또는 양각 형성되어 시각 및 촉각을 통해 인지되는 것인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 및 상기 케이스커버는 상기 식별무늬가 형성되지 않은 표면에 부드러운 엠보싱무늬가 형성된 것인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무늬는 상기 케이스본체 및 상기 케이스커버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되는 것인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무늬는 상기 케이스본체 및 상기 케이스커버에 모두 음각 형성되거나 또는 모두 양각 형성되되, 각각 서로 다른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인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무늬는 상기 케이스본체 및 상기 케이스커버 중 어느 하나에는 음각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양각 형성되는 것인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
  7. 휴대전자기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휴대전자기기를 수용하고, 상기 휴대전자기기의 전면을 개방하는 개방부가 형성된 케이스본체; 및
    상기 케이스본체와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방부를 덮는 케이스커버; 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본체 및 상기 케이스커버 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 표면에 상기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커버를 구분 가능한 식별무늬가 형성되고,
    상기 식별무늬는 불규칙한 반사면을 갖는 반사입자, 형광물질, 및 야광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별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물질은 상기 케이스본체 및 상기 케이스커버 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 표면에 음각 또는 양각되는 패턴부 위에 부착되는 것인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음각되어 형성되고,
    상기 반사입자는 상기 패턴부의 음각된 표면을 채워 상기 케이스본체 또는 상기 케이스커버의 표면보다 상대적으로 거친 접촉면을 형성하는 것인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양각되어 형성되고,
    상기 형광물질 또는 상기 야광물질은 상기 패턴부의 양각된 표면에 도포되는 것인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
  11. 휴대전자기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휴대전자기기를 수용하고, 상기 휴대전자기기의 전면을 개방하는 개방부가 형성된 케이스본체; 및
    상기 케이스본체와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방부를 덮는 케이스커버; 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본체 및 상기 케이스커버 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 표면에 상기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커버를 구분 가능한 식별무늬가 형성되고,
    상기 휴대전자기기는 상기 전면에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고, 후면에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이고,
    상기 케이스본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둘레에 밀착되어 상기 개방부를 형성하는 전면 테두리부,
    상기 후면에 밀착되고 상기 카메라와 중첩되는 카메라 홀이 형성된 배면부,
    상기 전면 테두리부와 상기 배면부를 서로 연결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유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접하는 내측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포켓부가 형성되는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
  12. 휴대전자기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휴대전자기기를 수용하고, 상기 휴대전자기기의 전면을 개방하는 개방부가 형성된 케이스본체; 및
    상기 케이스본체와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방부를 덮는 케이스커버; 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본체 및 상기 케이스커버 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 표면에 상기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커버를 구분 가능한 식별무늬가 형성되고,
    상기 식별무늬는 문자형상, 도형형상 및 그림형상 중 적어도 하나인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형상은 점자형상인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형상의 식별무늬는 양각 또는 음각되어 형성되는 것인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형상의 식별무늬는 음각 또는 양각된 상기 도형형상 또는 상기 그림형상의 식별무늬 내부에 양각 또는 음각되어 형성되는 것인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
  16. 휴대전자기기 수용부가 형성된 케이스본체; 및
    상기 케이스본체에 음각 또는 양각 형성되는 점자 표시부; 를 포함하는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 표시부는 상기 케이스본체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것인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
  18. 제 16항 및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 표시부는 상기 케이스본체의 배면부에 형성되는 것인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
KR1020120052224A 2012-05-16 2012-05-16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 KR101321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224A KR101321881B1 (ko) 2012-05-16 2012-05-16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
PCT/KR2012/003943 WO2013172495A1 (ko) 2012-05-16 2012-05-18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224A KR101321881B1 (ko) 2012-05-16 2012-05-16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1881B1 true KR101321881B1 (ko) 2013-10-28

Family

ID=49583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224A KR101321881B1 (ko) 2012-05-16 2012-05-16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21881B1 (ko)
WO (1) WO20131724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042Y1 (ko) * 2015-06-18 2016-12-09 주식회사 다다씨앤씨 독특한 로고표현 효과를 가진 핸드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35557B1 (de) * 2021-01-29 2024-01-10 RIMOWA GmbH Gepäckstüc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499B1 (ko) * 2009-03-13 2011-08-23 (주)금오전자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6164A (ja) * 1997-12-25 1999-07-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用ケース
KR20060036127A (ko) * 2004-10-25 2006-04-28 오세철 거울이 부착된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110003052U (ko) * 2009-09-18 2011-03-24 장은영 입체감을 느끼는 장식용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0455881Y1 (ko) * 2011-06-03 2011-09-30 이영훈 단말기용 가죽스킨패드
KR101138015B1 (ko) * 2011-11-29 2012-04-20 김준삼 전자기기 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499B1 (ko) * 2009-03-13 2011-08-23 (주)금오전자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042Y1 (ko) * 2015-06-18 2016-12-09 주식회사 다다씨앤씨 독특한 로고표현 효과를 가진 핸드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72495A1 (ko) 201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94542A1 (en) Cell phone cover with integrated mirror and flip shield
TWI538600B (zh) 殼體結構
US7546114B1 (en) Secure, light emitting cell phone
CN204091207U (zh) 一种新型钱包
KR101227847B1 (ko) 휴대단말기의 보호커버
KR20110004307U (ko) 휴대폰 보호케이스
NO20101796A1 (no) Universell kombinert lommebok og oppbevarings og beskyttelsesanordning for elektroniske innretninger med tilhorende oppbevaringsmulighet for headsets
KR101321881B1 (ko)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
WO2018068613A1 (zh) 一种带有游戏机功能的智能手机保护壳
KR20130007175U (ko)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ES2768695T3 (es) Traje de protección
CN206452437U (zh) 一种多功能手机保护壳
CN203416292U (zh) 改良的手机保护套结构
US20110017634A1 (en) Protective cover for electronic books and electronic media devices
CN202998186U (zh) 具可站立、夹持、收线的手机壳套改良结构
CN212938373U (zh) 一种智能穿戴设备
JP3203291U (ja) 財布
CN207460290U (zh) 一种手机保护壳
CN202818404U (zh) 手表型手机
CN202798826U (zh) 一种手机套
KR20110121776A (ko) 바타입 휴대기기의 보호스킨
CN217445401U (zh) 一种磁吸式折叠手机保护壳
CN207721232U (zh) 一种便携式手机外套
KR200476115Y1 (ko) 터치동작이 가능한 투명커버가 구비된 모바일기기 케이스
KR200301188Y1 (ko) 휴대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