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1739B1 - 차량 적재용 이동식 하우스 - Google Patents

차량 적재용 이동식 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1739B1
KR101321739B1 KR1020130049324A KR20130049324A KR101321739B1 KR 101321739 B1 KR101321739 B1 KR 101321739B1 KR 1020130049324 A KR1020130049324 A KR 1020130049324A KR 20130049324 A KR20130049324 A KR 20130049324A KR 101321739 B1 KR101321739 B1 KR 101321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ouse
box
roof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9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철
Original Assignee
김학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철 filed Critical 김학철
Priority to KR1020130049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17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1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1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the living accommodation being expansible, collapsible or capable of re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 적재용 이동식하우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정지시에는 주거공간을 제공하는 제1용도 및 차량이동시에는 루프상에 조립되어 이동되는 제2용도로 사용되는 차량 적재용 이동식 하우스(100)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승차칸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우스형상의 부재인 승차칸하우스 (10); 상기 차량의 화물칸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우스형상의 부재인 전단화물칸하우스 (20); 상기 차량의 화물칸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우스형상의 부재인 후단화물칸하우스 (30); 및 상기 승차칸하우스, 전단화물칸하우스 및 후단화물칸하우스를 지지하는 막대형상의 부재인 하우스지지부( 40)를 포함하고, 상기 승차칸하우스의 루프하우징의 후단과 상기 전단화물칸하우스의 상기 전단상부박스의 전단은 서로 겹쳐지도록 위치하여 상기 중간지지폴에 의해 함께 지지되고, 상기 전단상부박스의 후단과 상기 후단상부박스의 전단은 서로 겹쳐지도록 위치하여 상기 중간지지폴에 의해 함께 지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승차칸하우스, 전단화물칸하우스 및 후단화물칸하우스는 상기 차량의 이동시에는 상기 하우스지지부와 분리되었다가 상기 차량의 정지시에 상기 하우스지지부와 연결되어 이동식하우스를 형성함으로써, 최소한의 패키징부피로 최대한의 주거공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 적재용 이동식 하우스{Mobile House installed on roof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적재용 이동식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차량의 루프에 조립설치되어 이동되다가 차량정지후 레저활동시에 주거공간을 제공하는 차량 루프용 이동식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주5일근무제 및 여가시간의 증가로 인해 레저활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레저활동중에서 특히 야외에서 숙박하는 야영생활을 즐기고자 하는 레저 인구는 점차 늘고 있는 상황이고, 이러한 야영을 위해 조립식 텐트 및 야영용 차량인 캠프 트레일러(camper trailer)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조립식 텐트는 외벽이 얇은 섬유재질로 되어있어 지지력이 약하고 방한방온특성이 취약할 뿐 아니라, 야영생활에 필수적인 설비를 제공하지못한다.
또한, 캠프 트레일러는 차량에 부탁되어 이송되는 야영용 차량으로서 사용가능하도록 특수제작된 차량부속이기 때문에 고가이어서 일반인이 자주 있지 않은 야영생활을 위해 구입하기에는 경제적으로 효율적이지 못하다.
또한, 이러한 트레일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차량의 루프에 설치하는 이동식 하우스가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루프용 이동식 하우스는 그 자체의 적재량의 한계에 의해 조립후 제공할 수 있는 하우스의 공간이 작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인이 차량루프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조립, 이동 및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조립후 보다 넓은 공간을 보다 적은 적재량으로 제공할 수 있는 차량 적재용 이동식 하우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정지시에는 주거공간을 제공하는 제1용도 및 차량이동시에는 루프상에 조립되어 이동되는 제2용도로 사용되는 차량 적재용 이동식 하우스(100)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승차칸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우스형상의 부재인 승차칸하우스 (10); 상기 차량의 화물칸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우스형상의 부재인 전단화물칸하우스 (20); 상기 차량의 화물칸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우스형상의 부재인 후단화물칸하우스 (30); 및 상기 승차칸하우스, 전단화물칸하우스 및 후단화물칸하우스를 지지하는 막대형상의 부재인 하우스지지부( 40)를 포함하고, 상기 승차칸하우스(10)는, 하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의 부재인 루프하우징 (12), 상기 루프하우징의 측벽에서 힌지연결되는 판넬형상의 부재인 루프벽체(14), 레일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차량의 승차칸의 상부면에서 상기 차량의 전단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어 위치하는 루프레일(16) 및 상기 루프레일의 상부에서 상기 차량의 앞뒤방향으로 활주하는 판넬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루프하우징 및 루프벽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루프베이스판넬(18)을 포함하고, 상기 전단화물칸하우스(20)는, 하부 및 후단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의 부재인 전단상부박스 (22) 및 상부,하부 및 후단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전단상부박스의 측벽을 따라 상기 전단상부박스의 하부에 위치하는 전단연결박스(24)를 포함하고, 상기 후단화물칸하우스(30)는, 하부 및 전단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의 부재인 후단상부박 스(32), 및 상부,하부 및 전단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후단상부박스의 측벽을 따라 상기 후단상부박스의 하부에 위치하는 후단연결박스(34), 상부 및 전단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후단연결박스의 측벽을 따라 상기 후단연결박스의 하부에 위치하는 후단하부박스 (36), 레일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차량의 화물칸 바닥에서 상기 차량의 후단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어 위치하는 확장레일(39) 및 상기 확장레일의 상부에서 상기 차량의 앞뒤방향으로 활주하는 판넬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후단하부박스의 하부에 위치하는 확장베이스판넬(38)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스지지부(40)는, 막대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루프레일의 전단말단의 하부와 상기 차량의 전단측 견인고정쇠사이에 위치하는 루프레일지지폴 (41), 막대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루프레일의 중앙부의 상부와 상기 루프하우징의 전단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루프하우징지지폴 (42), 막대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차량의 화물칸바닦의 전단상부와 상기 루프하우징의 후단하부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지지폴 (43), 막대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차량의 화물칸바닦의 후단상부와 상기 전단상부박스의 후단하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전단화물칸지지폴 (44), 및 막대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확장레일 후단상부와 상기 후단상부박스의 후단하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후단화물칸지 지폴(45) 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하우징의 후단과 상기 전단상부박스의 전단은 서로 겹쳐지도록 위치하여 상기 중간지지폴에 의해 함께 지지되고, 상기 전단상부박스의 후단과 상기 후단상부박스의 전단은 서로 겹쳐지도록 위치하여 상기 중간지지폴에 의해 함께 지지됨으로써, 상기 승차칸하우스, 전단화물칸하우스 및 후단화물칸하우스는 상기 차량의 이동시에는 상기 하우스지지부와 분리되었다가 상기 차량의 정지시에 상기 하우스지지부와 연결되어 이동식하우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승차칸하우스(10)는, 상기 루프벽체의 상부말단과 상기 승차칸하우스의 측벽하부가 힌지연결되고, 상기 루프벽체는 상부에 위치하는 판넬형상의 부재인 제1루프벽체(141)와 상기 제1루프벽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루프벽 체(142)가 힌지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차량의 정지시에는 힌지열림됨으로써 상기 제1루프벽체 및 제2루프벽체가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루프하우징의 하부의 벽체를 형성하며, 상기 차량의 이동시에는 상기 제1루프벽체 및 제2루프벽체가 힌지닫힘됨으로써 상기 루프하우징의 하측내부에 만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후단화물칸하우스의 외측규격은 상기 전단화물칸하우스의 내측규격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차량의 이동시에 후단화물칸하우스가 상기 전단화물칸하우스의 내부에 포함되도록 패키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단연결박스(24)의 외측규격은 상기 전단상부박스(22)의 내측규격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후단상부박스(32)의 외측규격은 상기 전단연결박스(24)의 내측규격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후단연결박스(34)의 외측규격은 상기 후단상부박스(32)의 내측규격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후단하부박스(36)의 외측규격은 상기 후단연결박스(34)의 내측규격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단연결박스가 상기 전단상부박스에 포함되도록 패키징되며, 상기 후단연결박스 및 후단하부박스가 상기 후단상부박스에 포함되도록 패키징되며, 상기 패키징된 후단상부박스, 후단연결박스 및 후단하부박스의 조립체인 후단화물칸조립체(903)가 상기 패키징된 전단상부박스와 전단연결박스의 조립체인 전단화물칸조립체(902)의 내부에 포함되도록 패키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단상부박스의 외측규격은 상기 차량의 화물칸의 내측규격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단화물칸조립체와 후단화물칸조립체의 조립체인 화물칸조립체(300)가 상기 화물칸의 내부에 완전히 포함되도록 패키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간지지폴(43)의 상단에는 가로방향으로 연장돌출된 형상의 지지머리(431)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머리(431)에는 공동형상의 지지머리연결공(432)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머리연결공에 볼트형상의 지지머리연결부재(434)가 상기 루프하우징의 후단부 및 상기 전단상부박스의 전단부에 동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스지지부를 구성하는 막대형상의 부재(41,42,43,44,45)는 적어도 2개의 막대형상의 부재가 서로 활주하는 방식으로 결합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루프베이스판넬(18) 및 확장베이스판넬(38)을 구성하는 판넬형상의부재는 적어도 2개의 판넬형상의 부재가 서로 활주하는 방식으로 결합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스지지부(40)는, 막대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확장레일 후단하부와 지면상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확장레일지지폴 (46)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박스형 부재와 막대형 부재만으로 이루어진 비교적 조립과 패키징이 쉬운 부재를 사용하여 주거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최소한의 패키징 부피로 최대한의 주거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이동식 하우스가 제공된다. 특히, 중간지지폴에 의해 루프하우징과 전단화물칸하우스가 함께 겹쳐져서 지지되는 형상에 의해 패키징부피의 감소와 조립의 편의성이 극대화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승차칸하우스와 화물칸하우스가 별도로 구성되어 최대한의 주거공간이 제공되고, 특히 승차칸하우스의 루프벽체는 힌지형으로 루프하우징의 내부로 만입되므로, 패키징 부피가 감소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루프뿐만 아니라 차량의 화물칸도 이동식하우스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작은 패키징의 부피로 큰 주거공간을 제공하는 이동식 하우스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식하우스의 화물칸하우스가 두 개의 부분으로 나뉘어져서 확장되므로 더욱 큰 주거공간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식하우스로 사용되는 두 개의 화물칸하우스가 하나의 박스형 조립체로 패키징가능하기 때문에, 운반해야할 패키징의 양이 감소된다. 특히 전단화물칸하우스와 후단화물칸하우스를 이루는 박스형 부재가 서로 만입가능한 내부규격과 외부규격의 관계를 가짐으로써 안정된 형상으로 최소한의 패키징 부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확장가능한 루프베이스판넬, 루프레일, 확장베이스판넬 및 확장레일에 의해 더욱 넓어진 주거공간이 제공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적재용 이동식 하우스(100)의 조립전 및 조립후의 측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적재용 이동식 하우스(100)의 조립후의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5 는 본 발명의 승차칸하우스(10)과 관련된 도면으로서, 도 3은 승차칸하우스(10)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승차칸하우스에서 루프하우징(12)과 루프벽체(14)의 조립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베이스판넬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단화물칸하우스 및 후단화물칸하우스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7은 전단 및 후단화물칸하우스의 내측 및 외측 규격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8은 하우스지지부에 의해 전단 및 후단화물칸하우스가 지지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후단화물칸하우스에서 확장베이스판넬(38)이 확장레일(39)에 의해 지지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전단 및 후단화물칸하우스가 조립해체후 패키징을 위해 적재용도로 변환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적재용 이동식 하우스(100)의 조립전 조립후의 측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의 윗 도면은 차량에 적재된 이동식 하우스가 제 1 용도 즉 이동식 하우스가 조립되어 주거용으로 사용되는 상태에서의 측면도이고, 도 1의 아래 도면은 제 2 용도 즉 차량에 적재된 이동식 하우스가 차량의 이동을 위해 패키징된 용도로 사용되는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1의 윗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적재용 이동식 하우스(100)는 승차칸하우스 (10), 전단화물칸하우스 (20), 후단화물칸하우스 (30) 및 하 우스지지부(40)를 포함한다.
승차칸하우스(10)는 루프하우징 (12), 루프벽체(14), 루프레일(16) 및 루프베이스판넬( 18)을 포함한다.
루프하우징(12)은 하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의 부재로서, 사기 차량의 승차칸하우스의 상부에 위치한다. 루프벽체(14)는 상기 루프하우징의 측벽에서 힌지연결되는 판넬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루프하우징의 하부에 위치한다. 루프레일(16)은 레일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차량의 승차칸의 상부면에서 상기 차량의 전단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어 위치한다. 루프베이스판넬(18)은 상기 루프레일의 상부에서 상기 차량의 앞뒤방향으로 활주하는 판넬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루프하우징 및 루프벽체의 하부에 위치한다.
전단화물칸하우스(20)는 전단상부박스 (22), 전단연결박스(24)를 포함한다.
전단상부박스(22)는 하부 및 후단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차량의 화물칸의 전단부에 위치한다. 전단연결박스(24)는 상부,하부 및 후단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전단상부박스의 측벽을 따라 상기 전단상부박스의 하부에 위치한다.
후단화물칸하우스(30)는 후단상부박스 (32), 후단연결박스(34), 후단하부박스 (36), 확장레일(39) 및 확장베이스판넬(38)을 포함한다.
후단상부박스(32)는 하부 및 전단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차량의 화물칸의 후단에 위치하며, 동시에 상기 전단상부박스의 후단에 위치한다. 후단연결박스(34)는 상부,하부 및 전단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후단상부박스의 측벽을 따라 상기 후단상부박스의 하부에 위치한다. 후단하부박스(36)는 상부 및 전단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후단연결박스의 측벽을 따라 상기 후단연결박스의 하부에 위치한다. 확장레일(39)은, 레일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차량의 화물칸 바닥에서 상기 차량의 후단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어 위치한다. 확장베이스판넬(38)은 상기 확장레일의 상부에서 상기 차량의 앞뒤방향으로 활주하는 판넬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후단하부박스의 하부에 위치한다.
하우스지지부(40)는 루프레일지지폴 (41), 루프하우징지지폴 (42), 중간지지폴(43), 전단화물칸지지폴 (44) 및 후단화물칸지지폴(45)을 포함한다.
루프레일지지폴(41)은 막대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루프레일의 전단말단의 하부와 상기 차량의 전단측 견인고정쇠사이에 위치한다. 루프하우징지지폴(42)은 막대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루프레일의 중앙부의 상부와 상기 루프하우징의 전단부의 하부에 위치한다. 중간지지폴(43)은 막대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차량의 화물칸바닦의 전단상부와 상기 루프하우징의 후단하부사이에 위치한다. 전단화물칸지지폴(44)은 막대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차량의 화물칸의 바닦의 후단상부와 상기 전단상부박스의 후단하부의 사이에 위치한다. 후단화물칸지지폴(45) 막대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확장레일 후단상부와 상기 후단상부박스의 후단하부의 사이에 위치한다.
한편, 상기 루프하우징의 후단과 상기 전단상부박스의 전단은 서로 겹쳐지도록 위치하여 상기 중간지지폴에 의해 함께 지지된다. 또한, 상기 전단상부박스의 후단과 상기 후단상부박스의 전단은 서로 겹쳐지도록 위치하여 상기 중간지지폴에 의해 함께 지지된다. 이에 의해, 도 1의 아래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승차칸하우스, 전단화물칸하우스 및 후단화물칸하우스는 상기 차량의 이동시에는 상기 하우스지지부와 분리되었다가 상기 차량의 정지시에 상기 하우스지지부와 연결되어 이동식하우스를 형성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적재용 이동식 하우스(100)의 조립후의 평면도이다.
도 2에서, 차량은 4부분으로 나뉜다. 차량의 제1부분 (c1)은 차량의 본넷 부분에 대응하는 평면부분이고, 차량의 제2부분 (c2)은 차량의 승차칸에 대응하는 평면부분이고, 차량의 제3부분(c3)은 차량의 화물칸에 대응하는 평면부분이고, 차량의 제4부분(c4)은 차량의 화물칸의 후단에 위치한 차량 화물칸도어(2)가 펼쳐진 부분에 대응하는 평면부분이다.
본 발명의 이동식 하우스의 루프레일(16) 및 루프베이스판넬(18)은 차량의 제1 및 제2부분에 걸쳐서 놓여진다. 즉 루프레일(16)이 차량의 제1 및 제2부분에 차량의 운전석 및 조수석위치에 평면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게 놓여진 후, 그 상부에 루프베이스판넬(18)이 위치한다.
루프레일(16)의 전단부분은 루프레일지지폴(41)에 의해 지지되는데, 이 루프레일지지폴은 하부말단이 차량의 차량고정쇠에 의해 지지되어 기립된다. 루프레일의 후단부분은 상기 차량의 승차칸에 의해 지지된다.
루프하우징(12)의 전단부는 루프하우징지지폴(42)에 의해 지지되는데, 이 루프하우징지지폴은 하부말단이 상기 루프레일 및 루프베이스판넬에 의해 지지된다.
루프하우징(12)의 후단부 및 전단상부박스(22)의 전단부는 중간지지폴(43)에 의해 지지되는데, 이 중간지지폴(43)의 하부는 차량의 화물칸의 바닦에 의해 지지된다.
전단상부박스의 후단부 및 후단상부박스의 전단부는 전단화물칸지지폴(44)에 의해 지지되는데, 이 전단화물칸지지폴(44)은 마찬가지로 차량의 화물칸의 바닦에 의해 지지된다. 전단상부박스와 후단상부박스는 평면적으로 일부가 겹치도록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전단화물칸지지폴에 의해 용이하게 동시에 지지가능하다.
후단상부박스의 후단부는 후단화물칸지지폴(45)에 의해 지지되는데, 이 후단화물칸지지폴(45)은 확장베이스판넬(38)에 의해 지지된다. 이 때 확장베이스판넬(38)은 확장레일(39)에 의해 지지되고, 확장레일(39)은 화물칸의 바닦 및 화물칸의 후측에 위치한 화물칸도어에 의해 지지된다. 이 때 화물칸도어(2)는 화물칸도어걸쇠(3)에 의해 화물칸에 고정되기 때문에 지지력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스지지부(40)는, 확장레일지지폴(46)을 더 포함한다. 확장레일지지폴(46)은 막대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확장레일의 후당하부와 상기 차량이 위치한 지면의 상부사이에 위치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확장레일지지폴(46)이 상기 확장레일(39)의 후단에 추가적인 지지력을 제공함으로써 확장베이스판넬에 대해 보다 확실한 지지력이 제공된다.
도 3 내지 5 는 본 발명의 승차칸하우스(10)과 관련된 도면으로서, 도 3은 승차칸하우스( 10)의 분리사시도이고 , 도 4는 승차칸하우스에서 루프하우징(12)과 루프벽체(14)의 조립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베이스판넬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승차칸하우스(10)의 분리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에서, 승차칸하우스(10)은 루프벽체(14)의 상부말단과 승차칸하우스의 측벽하부는 힌지연결되고, 상기 루프벽체(141)는 제1루프벽체(141) 및 제2루프벽체(142)로 분리형성된후 서로 힌지연결된다. 즉 제1루프벽체(141)는 상부에 위치하는 판넬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승차칸하우스의 측벽하부에 힌지연결되고, 제2루프벽체(142)는 상기 제1루프벽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판넬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제1루프벽체에 힌지연결된다.
상기 루프벽체의 구조는 좌측 및 우측 루프벽체뿐 아니라 전단 및 후단 루프벽체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루프벽체(14)는 제1,제2좌측루프벽체(141,142), 제1,제2우측루프벽체(143,144), 제1,제2전단루프벽체(145,146) 및 제1,제2후단루프벽체(147,148)로 구성된다.
도 4는 루프벽체의 조립모습(위 도면) 및 조립해체모습(아래 도면)을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차량의 정지시 즉 이동식 하우스의 조립에 의해 주거공간으로 사용하는 제1용도시에는, 상기 루프하우징과 제1루프벽체를 연결하는 제1힌지(h1) 및 제1루프벽체와 제2루프벽체를 연결하는 제2힌지(h2)가 열림으로써, 상기 제1루프벽체 및 제2루프벽체가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루프하우징의 벽체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차량의 이동시 즉 이동식 하우스가 조립해체되어 패킹되는 제2용도시에는, 상기 힌지(h1,h2)가 닫힘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루프벽체들이 상기 루프하우징의 하측내부로 만입된다. 이에 의해, 상기 루프벽체가 보관되는 공간이 상기 루프하우징의 내부에 의해 제공됨으로써, 패키징공간이 감소되고, 그 결과 승차칸하우스를 형성하는 모든 판넬형상의 부재는 승차칸영역(c1)에서 모두 해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도 3 및 5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스지지부를 구성하는 막대형상의 부재(41,42,43,44,45)는 적어도 2개의 막대형상의 부재가 서로 활주하는 방식으로 결합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활주하는 방식은 막대형상의 부재의 내경 및 외경을 서로 달리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당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서, 루프레일(16)은 서로 활주하는 막대형상의 부재인 3개의 하위루프레일(161,162,163)으로 구성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도 3 및 5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루프베이스판넬(18) 및 확장베이스판넬(38)을 구성하는 판넬형상의 부재는 적어도 2개의 판넬형상의 부재가 서로 활주하는 방식으로 결합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도 3 및 도 5에서, 루프베이스판넬(18)은 서로 활주하는 판넬형상의 부재인 3개의 하위루프베이스판넬(181,182,183)으로 구성된다. 판넬의 활주방식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의 하위판넬의 외측단면에 활주홈(501)을 형성하고, 이 활주홈(501)에 다른 하위루프베이스판넬을 끼움으로써 형성가능하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단화물칸하우스 및 후단화물칸하우스의 리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
도 6 및 도 7은 전단 및 후단화물칸하우스와 하우스지지부의 연결관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의 지지점 S3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루프하우징(12)의 후단부 및 전단상부박스(22)의 후단부는 중간지지폴(43)에 의해 지지된다. 중간지지폴(43)은 운전석측 및 조수석측에 나란히 두개씩 형성되며, 이는 다른 모든 지지폴(41 내지 45)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6 및 도 7의 지지점 S4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단상부박스(22)의 후단부 및 후단상부박스의 전단부는 전단화물칸지지폴(44)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점 S4 는 전단상부박스의 후단부와 후단상부박스의 겹쳐진 지점에 위치하므로, 전단상부박스의 후단부와 후단상부박스의 전단부는 하나의 지지폴인 전단화물칸지지폴에 의해 지지가능하다.
도 6 및 도 7의 지지점 S5 에 나타난 바와 같이, 후단상부박스의 후단부는 후단화쿨칸지지폴(45)에 의해 지지된다.
한편, 전단상부박스와 전단연결박스의 결합 및 후단상부박스,후단연결박스 및 후단하부박스의 결합은 별도의 체결부재, 예를 들면 볼트 및 너트의 조합에 의해 구현가능하며, 이와 유사한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방법에 의해 구현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도 6 및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간지지폴의 상단에는 가로방향으로 연장돌출된 형상의 지지머리(4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머리(431)에는 공동형상의 지지머리연결공(432)이 형성되고, 이 지지머리연결공에 볼트형상의 지지머리연결부재(434)가 상기 루프하우징의 후단부 및 상기 전단상부박스의 전단부에 동시에 연결된다. 이 때 전단상부박스에는 박스연결공(433)이 형성되며, 또한 지지머리가 상기 전단상부박스의 측면에 인입될 수 있도록 지지머리인입공(437)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머리연결부재(434)가 상기 박스연결공(433) 및 상기 지지머리연결공(432)에 동시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전단상부박스는 상기 중간지지폴에 의해 용이하게 지지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루프하우징의 후단부와 전단상부박스의 전단부는 서로 동시에 지지될 수 있다. 전단상부박스의 후단부와 후단상부박스의 전단부는 겹쳐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하나의 지지폴 즉 전단화물칸지지폴에 의한 공통된 지지점(S4)에 의해 지지가능하다. 그러나, 루프하우징의 후단과 전단상부박스의 전단부는 겹쳐지도록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인 막대형상의 지지폴로는 이 둘을 동시에 지지하는 지지점은 불안정하다. 따라서 보다 확실한 지지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중간지지폴의 상단에 돌출형상의 지지머리를 형성하여 루프하우징의 후단부와 전단상부박스의 전단부를 동시에 그리고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8은 전단 및 후단화물칸하우스의 내측 및 외측 규격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 도 9는 상기 도 8의 규격관계에 의해 전단 및 후단화물칸하우스가 패키징된 후의 측단면도이다 .
일 실시예에서, 상기 후단화물칸하우스의 외측규격은 상기 전단화물칸하우스의 내측규격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차량의 이동시에 후단화물칸하우스가 상기 전단화물칸하우의 내부에 포함되도록 패키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하우스는 적은 적재량에 의해 큰 주거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후단화물칸하우스는 전단화물칸하우스와 만약 합쳐져서 적재될 수 있다면, 보다 적은 적재량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이를 위한 조건을 한정한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후단화물칸하우스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 즉 후단상부박스(32), 후단연결박스(34) 및 후단하부박스(36)의 모든 외부규격은 전단화물칸하우스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 즉 전단상부박스(22) 및 전단연결박스(24)의 모든 내측규격보다 모두 작게 형성된다. 즉 후단화물칸하우스의 구성요소의 외측규격중 가장 큰 외측규격은 전단화물칸하우스의 구성요소의 내측규격중 가장 작은 내측규격보다 작다. 이렇게 함으로써, 후단화물칸하우스의 조립체가 전단화물칸하우스의 조립체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단화물칸하우스의 각각의 구성요소의 규격과 후단화물칸하우스의 각각의 구성요소의 규격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첫째, 전단연결박스(24)의 외측규격은 전단상부박스(22)의 내측규격보다 작게 형성된다.
둘째, 후단상부박스(32)의 외측규격은 전단연결박스(24)의 내측규격보다 작게 형성된다.
셋째, 후단연결박스(34)의 외측규격은 후단상부박스(32)의 내측규격보다 작게 형성된다.
넷째, 후단하부박스(36)의 외측규격은 후단연결박스(34)의 내측규격보다 작게 형성된다.
도 9는 상기 4가지 조건이 구현된 실시예로서 모든 박스(22,24,32,34,36)가 겹쳐진 형상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의 의하면, 전단화물칸하우스를 구성하는 전단상부박스 및 전단연결박스가 서로 겹쳐져서 적재부피가 최소화된 전단화물칸조립체(902)가 형성되고, 후단화물칸하우스(903)를 구성하는 후단상부박스, 후단연결박스 및 후단하부박스가 서로 겹쳐져서 적재부피가 최소화된 후단화물칸조립체(903)가 형성되고, 상기 후단화물칸조립체(903)가 상기 전단화물칸조립체(902)의 내부에 완전히 만입되어 안착됨으로써, 적재부피가 최소화된 화물칸조립체(300)가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후단화물칸조립체가 전단화물칸조립체의 내부에 완전히 인입되므로, 화물칸조립체의 적재량이 매우 감소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단상부박스의 외측규격은 상기 차량의 화물칸(TR)의 내측규격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단화물칸조립체와 상기 후단화물칸조립체의 조립체인 화물칸조립체(300)가 상기 차량의 화물칸에 완전히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화물칸조립체가 화물칸의 내부에 완전히 인입되므로, 화물칸조립체의 상기 차량으로의 적재가 매우 용이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박스들을 구성하는 판넬의 두께는 보통 5mm 정도로 형성된다. 따라서, 겹침구성으로 인해 발생하거나 구현오차에 의해 발생가능한 판넬사이의 공간은 주거공간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크게 문제가 될 수준은 아니다. 더욱이 만약 문제가 된다고 하더라도, 이는 별도의 차폐물 혹은 커버등의 추가로 얼마든지 보완가능하다. 이러한 차폐물 혹은 커버등은 당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다.
10는 후단화물칸하우스에서 확장베이스판넬(38)이 확장레일(39)에 의해 지지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
일 실시예에서, 확장베이스판넬(38)의 하부면에는 상기 확장레일(39)의 연장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레일형상의 부재인 확장레일지지가이드(381)를 더 포함하며, 확장레일지지가이드(381)에는 상기 확장레일을 대향하는 방향에 홈형상의 가이드홈(38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확장레일(39)은 상기 가이드홈(382)의 내부에 안착된 채 상기 차량의 후단방향으로 연장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확장레일지지가이드(381)가 상기 확장레일(39)을 가로방향으로 지지해줌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확장레일의 확장베이스판넬의 지지가 가능하다. 특히 확장베이스판넬은 차량의 화물칸을 지나쳐 후단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확장베이스판넬이 제공하는 주거공간은 사용자의 하중이 많이 실리는 곳이므로, 이러한 지지력의 보충이 더욱더 효과를 발휘한다.
한편,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확장레일(39)의 단면은 여러가지 형상으로 실시가능하다. 이러한 형상은 원형단면, 요철단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확장레일(39)과 상기 확장베이스판넬(38)의 확장레일가이드의 관계 및 적용은 상기 루프레일(16)과 루프베이스판넬(18)에도 적용가능하다. 동일한 형상과 구조를 가지기 때문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승차칸하우스 20: 전단화물칸하우스
30: 후단화물칸하우스 40: 하우스지지부
12: 루프하우징 14: 루프벽체
16: 루프레일 18: 루프베이스판넬
22: 전단상부박스 24: 전단연결박스
32: 후단상부박스 34: 후단연결박스
36: 후단하부박스 38: 확장베이스판넬
39: 확장레일 41: 루프레일지지폴
42: 루프하우징지지폴 43: 중간지지폴
44: 전단화물칸지지폴 45: 후단화물칸지지폴
46: 확장레일지지폴

Claims (9)

  1.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정지시에는 주거공간을 제공하는 제1용도 및 차량이동시에는 루프상에 조립되어 이동되는 제2용도로 사용되는 차량 적재용 이동식 하우 스(100)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승차칸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우스형상의 부재인 승차칸하우스 (10);
    상기 차량의 화물칸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우스형상의 부재인 전단화물칸하우스 (20);
    상기 차량의 화물칸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우스형상의 부재인 후단화물칸하우스 (30); 및
    상기 승차칸하우스, 전단화물칸하우스 및 후단화물칸하우스를 지지하는 막대형상의 부재인 하우스지지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승차칸하우스(10)는, 하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의 부재인 루프하우징 (12), 상기 루프하우징의 측벽에서 힌지연결되는 판넬형상의 부재인 루프벽 체(14), 레일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차량의 승차칸의 상부면에서 상기 차량의 전단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어 위치하는 루프레일(16) 및 상기 루프레일의 상부에서 상기 차량의 앞뒤방향으로 활주하는 판넬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루프하우징 및 루프벽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루프베이스판넬(18)을 포함하고,
    상기 전단화물칸하우스(20)는, 하부 및 후단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의 부재인 전단상부박스(22) 및 상부,하부 및 후단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전단상부박스의 측벽을 따라 상기 전단상부박스의 하부에 위치하는 전단연결박스(24)를 포함하고,
    상기 후단화물칸하우스(30)는, 하부 및 전단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의 부재인 후단상부박스(32), 및 상부,하부 및 전단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후단상부박스의 측벽을 따라 상기 후단상부박스의 하부에 위치하는 후단연결박스(34), 상부 및 전단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후단연결박스의 측벽을 따라 상기 후단연결박스의 하부에 위치하는 후단하부박스 (36), 레일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차량의 화물칸 바닥에서 상기 차량의 후단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어 위치하는 확장레일(39) 및 상기 확장레일의 상부에서 상기 차량의 앞뒤방향으로 활주하는 판넬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후단하부박스의 하부에 위치하는 확장베이스판넬(38)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스지지부(40)는, 막대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루프레일의 전단말단의 하부와 상기 차량의 전단측 견인고정쇠사이에 위치하는 루프레일지지폴 (41), 막대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루프레일의 중앙부의 상부와 상기 루프하우징의 전단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루프하우징지지폴 (42), 막대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차량의 화물칸바닦의 전단상부와 상기 루프하우징의 후단하부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지지폴 (43), 막대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차량의 화물칸바닦의 후단상부와 상기 전단상부박스의 후단하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전단화물칸지지폴 (44), 및 막대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확장레일 후단상부와 상기 후단상부박스의 후단하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후단화물칸지 지폴(45) 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하우징의 후단과 상기 전단상부박스의 전단은 서로 겹쳐지도록 위치하여 상기 중간지지폴에 의해 함께 지지되고, 상기 전단상부박스의 후단과 상기 후단상부박스의 전단은 서로 겹쳐지도록 위치하여 상기 중간지지폴에 의해 함께 지지됨으로써,
    상기 승차칸하우스, 전단화물칸하우스 및 후단화물칸하우스는 상기 차량의 이동시에는 상기 하우스지지부와 분리되었다가 상기 차량의 정지시에 상기 하우스지지부와 연결되어 이동식하우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용 이동식 하우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칸하우스(10)는,
    상기 루프벽체의 상부말단과 상기 승차칸하우스의 측벽하부가 힌지연결되고,
    상기 루프벽체는 상부에 위치하는 판넬형상의 부재인 제1루프벽체(141)와 상기 제1루프벽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루프벽체(142)가 힌지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차량의 정지시에는 힌지열림됨으로써 상기 제1루프벽체 및 제2루프벽체가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루프하우징의 하부의 벽체를 형성하며, 상기 차량의 이동시에는 상기 제1루프벽체 및 제2루프벽체가 힌지닫힘됨으로써 상기 루프하우징의 하측내부에 만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용 이동식 하우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화물칸하우스의 외측규격은 상기 전단화물칸하우스의 내측규격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차량의 이동시에 후단화물칸하우스가 상기 전단화물칸하우스의 내부에 포함되도록 패키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용 이동식 하우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연결박스(24)의 외측규격은 상기 전단상부박스(22)의 내측규격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후단상부박스(32)의 외측규격은 상기 전단연결박스(24)의 내측규격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후단연결박스(34)의 외측규격은 상기 후단상부박스(32)의 내측규격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후단하부박스(36)의 외측규격은 상기 후단연결박스(34)의 내측규격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단연결박스가 상기 전단상부박스에 포함되도록 패키징되며,
    상기 후단연결박스 및 후단하부박스가 상기 후단상부박스에 포함되도록 패키징되며,
    상기 패키징된 후단상부박스, 후단연결박스 및 후단하부박스의 조립체인 후단화물칸조립체( 903)가 상기 패키징된 전단상부박스와 전단연결박스의 조립체인 전단화물칸조립체( 902)의 내부에 포함되도록 패키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용 이동식 하우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상부박스의 외측규격은 상기 차량의 화물칸의 내측규격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단화물칸조립체와 후단화물칸조립체의 조립체인 화물칸조립체(300)가 상기 화물칸의 내부에 완전히 포함되도록 패키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용 이동식 하우스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지폴(43)의 상단에는 가로방향으로 연장돌출된 형상의 지지머리(431)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머리(431)에는 공동형상의 지지머리연결공(432)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머리연결공에 볼트형상의 지지머리연결부재(434)가 상기 루프하우징의 후단부 및 상기 전단상부박스의 전단부에 동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용 이동식 하우스.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스지지부를 구성하는 막대형상의 부재(41,42,43,44,45)는 적어도 2개의 막대형상의 부재가 서로 활주하는 방식으로 결합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용 이동식 하우스.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베이스판넬(18) 및 확장베이스판넬(38)을 구성하는 판넬형상의부재는 적어도 2개의 판넬형상의 부재가 서로 활주하는 방식으로 결합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용 이동식 하우스.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스지지부(40)는, 막대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확장레일 후단하부와 지면상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확장레일지지폴 (46)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용 이동식 하우스.
KR1020130049324A 2013-05-02 2013-05-02 차량 적재용 이동식 하우스 KR101321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324A KR101321739B1 (ko) 2013-05-02 2013-05-02 차량 적재용 이동식 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324A KR101321739B1 (ko) 2013-05-02 2013-05-02 차량 적재용 이동식 하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1739B1 true KR101321739B1 (ko) 2013-11-04

Family

ID=49856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9324A KR101321739B1 (ko) 2013-05-02 2013-05-02 차량 적재용 이동식 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17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15997A (zh) * 2018-02-06 2018-06-29 田嘉 一种乘用车
KR20190070013A (ko) * 2017-12-12 2019-06-20 최용석 접이식 건축 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6250A (en) 1975-01-27 1976-06-29 Winskas Andrew B Enclosing structure for the load bed of a pickup truck
KR960021843A (ko) * 1994-12-31 1996-07-18 문양숙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컨테이너
JPH11115619A (ja) * 1997-10-21 1999-04-27 Nissan Shatai Co Ltd ポップアップキャンピングシェル構造
JP2004058712A (ja) 2002-07-25 2004-02-26 Wood One:Kk 車の後部延長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6250A (en) 1975-01-27 1976-06-29 Winskas Andrew B Enclosing structure for the load bed of a pickup truck
KR960021843A (ko) * 1994-12-31 1996-07-18 문양숙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컨테이너
JPH11115619A (ja) * 1997-10-21 1999-04-27 Nissan Shatai Co Ltd ポップアップキャンピングシェル構造
JP2004058712A (ja) 2002-07-25 2004-02-26 Wood One:Kk 車の後部延長構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0013A (ko) * 2017-12-12 2019-06-20 최용석 접이식 건축 구조물
KR102046342B1 (ko) * 2017-12-12 2019-11-19 최용석 접이식 건축 구조물
CN108215997A (zh) * 2018-02-06 2018-06-29 田嘉 一种乘用车
CN108215997B (zh) * 2018-02-06 2024-04-19 田嘉一 一种乘用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1036B2 (en) Portable recreation system for motorized vehicles
KR101618011B1 (ko) 탈착형 캠핑카 지지장치
US7967369B2 (en) Fold-out trailer
CA3043706C (en) Automotive vehicle body
US20160236724A1 (en) Tailgate with load area extender for utility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KR102105303B1 (ko) 공간 확장형 카라반
KR200409079Y1 (ko) 슬라이딩 컨테이너
US20150048129A1 (en) Modular truck bed storage system
US20060158004A1 (en) Recreational vehicle with enhanced hauling capability
KR101321739B1 (ko) 차량 적재용 이동식 하우스
KR100794475B1 (ko)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탑재되는 캠핑하우스
KR101540776B1 (ko) 차량용 캠핑 하우스
KR20060022899A (ko) 캠핑카
CN108909605A (zh) 一种充气复合板、可折叠的箱体和房车
US8794641B2 (en) Multi use recreational utility vehicle
CN102059974A (zh) 一种拖挂式野营房车
KR101224555B1 (ko) 다용도 차량
US9233635B2 (en) Mobile accommodation arrangement
KR101998039B1 (ko) 공간 가변형 캠핑카용 화장실
KR101242459B1 (ko) 팝업 루프를 가진 차량
KR200368382Y1 (ko) 캠핑카
JP7478295B1 (ja) 車両用テラス収納装置
KR20160145290A (ko) 자바라형 텐트가 구성된 푸드 및 캠핑트럭
KR102568509B1 (ko) 트래블 트레일러
KR20180089262A (ko) 내부 확장형 캠핑 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