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718B1 - 접철식 들것 - Google Patents

접철식 들것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718B1
KR101315718B1 KR1020120074409A KR20120074409A KR101315718B1 KR 101315718 B1 KR101315718 B1 KR 101315718B1 KR 1020120074409 A KR1020120074409 A KR 1020120074409A KR 20120074409 A KR20120074409 A KR 20120074409A KR 101315718 B1 KR101315718 B1 KR 101315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r
hinged
stretch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텍
Priority to KR1020120074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7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13Stretchers foldable or collapsi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17Stretchers convertible into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2Stretchers with wheels
    • A61G1/0287Stretchers with wheels having brakes, e.g. slowing down and/or hol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를 실고 구급차에 탑승 또는 하차할 수 있게 구성된 들것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들것의 매트에 누운 환자가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며 추락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등받이 프레임과 시트 프레임 및 레그 프레임이 힌지 결합되며 등받이 프레임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침대 형태 및 의자 형태로 변형되며 접철 가능한 복수의 기둥들이 연결되어 구급차에 탑재될 때에는 기둥들이 접철되고 이동 시에는 기둥들이 펼쳐져 기둥들의 하단에 장착된 바퀴에 의해 이동 가능한 들것으로서, 등받이 프레임의 폭 양측에 평행하게 위치하고 길이 중간이 등받이 프레임과 힌지 결합되며 일단은 시트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는 슬라이드 바퀴가 장착된 받침프레임과, 시트 프레임의 폭 양측에 시트 프레임과 평행하게 위치하며 일단부는 받침프레임의 길이 중간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에 외측으로 고정핀이 형성된 지지대와, 받침프레임의 끝단에 고정된 브래킷에 힌지결합되고 지지대의 고정핀이 삽입되어 받침프레임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걸림홈들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에 형성된 기울기조절레버와, 받침프레임에 장착되어 슬라이드 바퀴를 제동시키거나 제동해제하는 핸드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철식 들것{Folding Stretcher}
본 발명은 환자를 실고 구급차에 탑승 또는 하차할 수 있게 구성된 들것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들것에 누운 환자가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동 중에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들것이란 환자나 부상자를 나르는 운반구로서, 환자가 들것에 실린 상태로 들것을 구급차에 밀어 넣어 환자를 탑승시킨다.
종래의 들것은 구급대원이 들것의 전방과 후방에서 들어올려 이동하는 구조로서, 들것에 실린 환자를 구급대원이 들고 이동함에 따라 환자가 불편하며 구급대원 또한 피로가 누적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엘리베이터를 통해 환자를 이송할 경우 들것의 길이가 너무 길어 엘리베이터에 진입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개발된 들것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제10-1083662호(공고일 2011.11.16)에 기술되어 있다.
선행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제10-1083662호(공고일 2011.11.16)에 기술된 들것은 접철식으로서, 환자의 등받이 프레임, 시트 프레임, 레그 프레임이 등받이 프레임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접철되는 구조이다. 즉, 등받이 프레임, 시트 프레임, 레그 프레임이 펼쳐진 침대 형태와 접철된 상태의 의자 형태로 변형된다.
따라서 상기 선행문헌에 기술된 들것은 엘리베이터와 같이 좁은 공간으로 이동할 경우에, 의자 형태로 변형하여 엘리베이터로 진입하고 진출 후에는 침대 형태로 변형하여 환자를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들것은 침대 또는 의자 형태로만 변형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들것에 실려 이동하는 환자가 들것 밖으로 추락하거나 구급차의 주행 중에 들것이 이동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제10-1083662호(공고일 2011.11.16)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구급차의 주행 중에 들것이 구급차 내부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바퀴에 제동을 걸 수 있게 구성한 접철식 들것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들것에 실린 환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 접철식 들것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들것에 실린 환자가 상반신을 세우고 다리는 뻗은 상태로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접철식 들것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등받이 프레임과 시트 프레임 및 레그 프레임이 힌지 결합되며 등받이 프레임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침대 형태 및 의자 형태로 변형되며 접철 가능한 복수의 바퀴 달린 기둥들이 연결되어 구급차에 탑재될 때에는 기둥들이 접철되고 이동 시에는 기둥들이 펼쳐져 기둥들의 하단에 장착된 바퀴에 의해 이동 가능한 들것으로서, 등받이 프레임의 폭 양측에 평행하게 위치하고 길이 중간이 등받이 프레임과 힌지 결합되며 일단은 시트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는 슬라이드 바퀴가 장착된 받침프레임과, 시트 프레임의 폭 양측에 시트 프레임과 평행하게 위치하며 일단부는 받침프레임의 길이 중간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에 외측으로 고정핀이 형성된 지지대와, 받침프레임의 끝단에 고정된 고정브래킷에 힌지결합되고 지지대의 고정핀이 삽입되어 받침프레임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걸림홈들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기울기조절레버와, 받침프레임에 장착되어 슬라이드 바퀴를 제동시키거나 제동해제하는 핸드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핸드브레이크는 받침프레임에 장착된 제동박스와, 상기 제동박스를 관통하며 슬라이드 바퀴를 향해 위치하는 제동 바와, 제동박스의 내부에 위치하며 제동 바의 둘레를 감싸고 제동 바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턱에 접하여 제동 바가 슬라이드 바퀴 쪽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과, 제동 바의 끝단에 결합되며 받침프레임을 관통해 위치하는 선회 바를 포함하며, 받침프레임에는 선회 바가 관통하는 장공이 형성되고 장공의 양단에는 슬라이드 바퀴를 향해 형성된 장홈과 단홈이 형성되며, 선회 바가 장홈에 끼워져 위치하며 제동 바가 코일스프링에 의해 슬라이드 바퀴 쪽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드 바퀴를 가압하고, 단홈에 삽입되면 제동 바가 슬라이드 바퀴와 이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울기조절레버는 그 길이 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고, 장공에는 복수의 걸림홈들이 형성되며, 고정핀이 장공을 따라 이동하다가 어느 한 걸림홈에 삽입되어 기울기조절레버의 기울기를 유지하며, 기울기조절레버의 기울기에 의해 힌지 결합된 받침프레임 및 등받이 프레임의 기울기가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프레임과 기울기조절레버의 힌지 결합된 부위에는 토션스프링이 장착되며, 토션스프링은 장공에 위치한 고정핀이 걸림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등받이 프레임의 폭 양측에 위치한 받침프레임을 연결하는 고정축들에는 2개의 기둥들이 고정축의 양단에 힌지 결합되고, 고정축의 중간에는 쇼크업쇼바의 하단이 힌지 결합되며 쇼크업쇼바의 상단은 등받이 프레임과 연결되어 쇼크업쇼바의 신축에 따라 받침프레임을 기준으로 등받이 프레임의 기울기가 조절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대에는 접철되는 사이드 암이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드 암은 지지대에 힌지 결합된 기둥 바들과, 기둥 바들의 상단에 힌지결합된 손잡이 바를 포함하며, 손잡이 바의 아래에는 기둥 바의 회전을 잠금하는 레버가 힌지 결합되며, 기둥 바의 상단에는 상향으로 돌기가 형성되고, 레버의 단부에는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돌기가 삽입홈에 삽입되거나 이탈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들것은 환자가 들것에 누운 상태에서 환자의 상반신만을 세울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들것에 비해 환자가 더욱 편안한 자세로 이송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들것은 시트 프레임의 측부에 접철식 손잡이를 구성함으로써, 환자를 이송하는 중에 환자가 들것 밖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환자가 손잡이를 파지하고 앉거나 일어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들것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철식 들것이 의자 형태로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접철식 들것이 구급차에 탑재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접철식 들것의 기울기조절레버와 받침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기울기조절레버의 작동에 의한 등받이 프레임의 기울기 변형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받침프레임에 장착된 핸드 브레이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쇼크업쇼바를 이용한 등받이 프레임의 기울기 변형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8은 사이드 암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들것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들것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철식 들것이 의자 형태로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접철식 들것이 구급차에 탑재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접철식 들것의 기울기조절레버와 받침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기울기조절레버의 작동에 의한 등받이 프레임의 기울기 변형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받침프레임에 장착된 핸드 브레이크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쇼크업쇼바를 이용한 등받이 프레임의 기울기 변형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8은 사이드 암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들것(100)은 등받이 프레임(110), 시트 프레임(120), 레그 프레임(130)을 포함하며, 등받이 프레임(110), 시트 프레임(120), 레그 프레임(130)은 순차적으로 상호 힌지 결합되어 등받이 프레임(110), 시트 프레임(120) 및 레그 프레임(130)이 의자 형태로 변형하거나 일렬로 펼쳐져 침대 형태로 변형된다. 여기에서 등받이 프레임(110), 시트 프레임(120), 레그 프레임(130)의 힌지 결합구조, 그리고 의자 및 침대 형태의 변형은 종래 선행기술 문헌에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따라서 변형의 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시트 프레임(120)의 폭 방향 양측에는 지지대(140)가 위치하고, 지지대(140)의 일측단부는 등받이 프레임(110)에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대(140)의 일측단은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지지대(140)의 일측단에는 기울기조절레버(150)와 연결된다. 여기에서 지지대(140)와 기울기조절레버(150)의 결합관계는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아래에서는 들것(100)의 주요 프레임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지지대(140)의 타단에는 레그 프레임(130)의 단부가 힌지 결합되며, 시트 프레임(120)의 타단은 레그 프레임(130)에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지지대(140), 시트 프레임(120), 등받이 프레임(110) 및 지지대(140)는 평행사변형꼴을 형성하게 되고, 등받이 프레임(110)이 후방으로 넘어가면서 기울기가 낮아지면 지지대(140)는 등받이 프레임(110)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고 시트 프레임(120)은 반대로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레그 프레임 또한 등받이 프레임(110)의 기울기 변형과 비례하여 낮아지게 된다. 즉 등받이 프레임(110)이 후방으로 기울어지면서 등받이 프레임(110), 시트 프레임(120) 및 레그 프레임(130)이 펼쳐져 침대의 형태로 변형되고, 반대로 등받이 프레임(110)이 전방으로 세워지면 등받이 프레임(110), 시트 프레임(120), 레그 프레임(130)의 의자 형태로 변형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지지대(140)의 경사진 일단에는 고정핀(141)이 외측방향으로 형성되고, 기울기조절레버(150)의 단부는 받침프레임(160)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브래킷(161)에 힌지결합되며 기울기조절레버(150)는 등받이 프레임(110)의 아래에 위치한다. 여기에서 받침프레임(160)은 등받이 프레임(110)의 폭 양측 각각에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며, 받침프레임(160)의 한 쪽 단부는 시트 프레임(120)에 힌지 결합되고 길이 중간은 지지대(140)와 힌지 결합되며 받침프레임(160)의 다른 쪽 단부에는 슬라이드 바퀴(167)가 장착된다.
또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기조절레버(150)는 그 길이방향으로 장공(151)이 형성되고, 장공(151)에서 하향으로 5개의 걸림홈(153)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지지대(140)에 형성된 고정핀(141)은 장공(151)에 삽입된 상태로 장공(151)을 따라 이동하며, 5개의 걸림홈(153) 중 어느 한 걸림홈(153)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된다. 한편, 기울기조절레버(150)의 단부가 힌지 결합된 고정브래킷(161)에는 토션스프링(157)이 장착되고, 토션스프링(157)은 기울기조절레버(150)가 상향으로 선회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토션스프링(157)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핀(141)이 걸림홈(153)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기울기조절레버(150)를 하향으로 강제 선회시키지 않고서는 기울기조절레버(150)가 하향으로 선회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등받이 프레임(110) 또한 고정핀(141)이 걸림홈(153)에 정합된 상태의 기울기를 유지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등받이 프레임(110)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들것(100)이 침대 형태 또는 의자 형태로 변형되는데, 등받이 프레임(110)의 기울기가 고정핀(141)과 걸림홈(153)의 정합에 의해 유지됨으로써, 들것(100)의 등받이 프레임(110)의 기울기는 5단계로 기울어지면서 침대에서 의자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기울기조절레버(150)의 단부에는 후크(155)가 형성되며, 후크(155)는 등받이 프레임(110)이 침대 형태로 눕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대(140)의 외측에 형성된 돌기(143)에 정합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눕혀진 등받이 프레임(110)을 세우기 위해 기울기조절레버(150)를 하향으로 가압하여 누르면 기울기조절레버(150)가 선회하면서 후크(155)가 돌기(143)에서 이탈하게 되고, 고정핀(141) 또한 걸림홈(153)에서 이탈하여 장공(151) 내에 위치하면서 기울기조절레버(15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기울기조절레버(150)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토션스프링(157)의 탄성력보다 큰 힘으로 기울기조절레버(150)는 눌러 기울기를 조절하여야 하며, 기울기가 조절된 상태에서 기울기조절레버(150)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토션스프링(157)의 탄성력에 의해 기울기조절레버(150)가 상향으로 이동하면서 고정핀(141)이 어느 한 걸림홈(153)에 끼워져 등받이 프레임(110)의 기울기가 유지된다.
그리고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들것(100)을 이송하기 위한 앞 기둥(181)의 상단은 받침프레임(160)에 하향으로 고정된 브래킷(162)에 고정된 고정축(163)에 힌지 결합되고, 뒷 기둥(183)은 지지대(140)의 후단에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앞 기둥(181)과 뒷 기둥(183)의 사이에 트러스 바(187)가 위치하며 트러스 바(187)는 길이 중간이 힌지 결합되어 앞 기둥(181)과 뒷 기둥(183)이 등받이 프레임(110)의 방향으로 접어질 때에 트러스 바(187) 또한 힌지 결합된 길이 중간이 접어지면서 앞 기둥(181)과 뒷 기둥(183)이 시트 프레임(120)의 아래에 접혀진다. 이와 같은 기둥(181, 183)들의 접이 방식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제10-1083662호(공고일 2011.11.16)에 기술된 내용과 동일하다.
한편, 등받이 프레임(110), 시트 프레임(120), 레그 프레임(130)이 침대 형태로 펼쳐진 상태에서 들것(100)을 구급차에 밀어 넣음에 있어서 앞 기둥(181)과 뒷 기둥(183)은 구급차의 범퍼에 간섭되어 접혀진다. 그러면 받침프레임(160)의 단부에 장착된 슬라이드 바퀴(167)가 구급차의 바닥에 접하고, 이때 구급대원이 들것(100)을 구급차의 내부로 밀어 넣게 되면 슬라이드 바퀴(167)가 회전하면서 등받이 프레임(110)이 먼저 구급차의 내부로 진입해 들어가고 이후 앞 기둥(181)의 바퀴(185)가 구급차의 바닥에 접하면서 들것(100)이 구급차의 내부로 미끄러져 들어간다.
한편, 들것(100)에 누운 환자가 구급차에 탑승된 상태에서 구급차가 주행하는데, 경사로를 주행할 경우 슬라이드 바퀴(167)가 구급차의 기울기에 의해 구급차 내에서 미끄러져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환자는 들것(100)에서 추락할 수 있으며 구급대원은 들것에 부딪히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받침프레임(160)에는 슬라이드 바퀴(167)를 제동하는 핸드 브레이크(170)가 장착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 브레이크(170)는 받침프레임(160)에 설치되며 받침프레임(160)의 끝단에 장착된 슬라이드 바퀴(167)를 가압하여 제동하거나 가압 해제하여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핸드 브레이크(170)는 받침프레임(160)의 측면에 고정된 제동박스(171)와, 선단은 슬라이드 바퀴(167)를 향해 위치하며 제동박스(171)를 관통해 위치하는 제동 바(173)와, 제동박스(171)의 내부에 위치하며 제동 바(173)의 둘레를 감싸고 제동 바(173)에 형성된 걸림턱(173S)에 접하며 후단은 제동박스(171)의 내측에 접하여 제동 바(173)가 슬라이드 바퀴(167) 쪽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175)과, 제동 바(173)의 후단에 수직하게 결합되며 받침프레임(160)을 관통해 위치하는 선회 바(177)를 포함한다. 그리고 받침프레임(160)에는 선회 바(177)가 관통하는 장공(169)이 형성되며 장공(169)의 양단에는 슬라이드 바퀴(167)를 향한 2개의 홈(169L, 169S)이 형성되는데, 한 쪽은 장홈(169L)이고 다른 한 쪽은 단홈(169S)이다. 장홈(169L)과 단홈(169S)에 있어서 선회 바(177)가 장홈(169L)에 끼워져 위치하며 제동 바(173)가 코일스프링(175)에 의해 슬라이드 바퀴(167) 쪽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드 바퀴(167)를 가압하여 제동을 걸고, 반대로 단홈(169S) 쪽으로 선회 바(177)를 이동시키면 제동 바(173)가 슬라이드 바퀴(167)와 이격되어 제동이 해제된다. 단홈(169S)에 위치한 선회 바(177)는 단홈(169S) 내에 위치하면서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선회 바(177)를 이동시키지 않는 이상 단홈(169S)의 내부에 위치하여 슬라이드 바퀴(167)의 자유로운 회전을 유지한다.
따라서 접혀진 들것(100)을 구급차의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구급대원이 핸드 브레이크(170)의 선회 바(177)를 회전시켜 장홈(169L) 쪽에 위치시키면 슬라이드 바퀴(167)가 제동되며, 들것(100)을 구급차에서 하차시키기 위해서는 구급대원이 선회 바(177)를 단홈(169S) 쪽으로 이동시켜 제동해제한 후에 들것(100)을 구급차에서 하차시킨다. 이와 같이 핸드 브레이크(170)로 슬라이드 바퀴(167)를 가압하여 제동을 걸어 줌으로써, 구급차가 주행하더라도 구급차 내부에서 들것이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들것(100)은 앞 기둥(181)과 뒷 기둥(183)이 수직하게 펼쳐지고, 침대 형태로 등받이 프레임(110), 시트 프레임(120) 및 레그 프레임(130)이 펼쳐진 상태에서 등받이 프레임(11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앞에서는 등받이 프레임(110)의 기울기를 기울기조절레버(150)로 조절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기울기조절레버(150)로 등받이 프레임(110)의 기울기를 조절할 경우 의자형태로 등받이 프레임(110), 시트 프레임(120) 및 레그 프레임(130)이 변형되기 때문에,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상반신만을 들어올릴 수 없게 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받침프레임(160)의 브래킷(162)에 고정된 고정축(163)의 길이 중간에 쇼크업쇼바(165)의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쇼크업쇼바(165)의 타단이 등받이 프레임(110)에 고정된다.
그리고 쇼크업쇼바(165)의 스트로크가 신장되면 받침프레임(160)은 지지대(14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등받이 프레임(110)이 세워지면서 환자의 상반신이 세워지게 된다. 이때 쇼크업쇼바(165)에 의해 등받이 프레임(110)만 기울기가 변형되며, 지지대(140) 및 시트 프레임(120)은 고정핀(141)이 걸림홈(153)에 정합되어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시트 프레임(120)과 레그 프레임(130)은 위치가 고정된다. 즉, 시트 프레임(120)과 레그 프레임(130)에 올려진 환자는 다리를 뻗은 상태에서 등받이 프레임(110)을 쇼크업쇼바(165)로 세움으로써, 상반신만 세울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들것(100)은 환자가 들것에 누운 상태에서 등받이 프레임(110)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상반신만을 세울 수 있어 환자의 상태에 따라 환자를 편안한 자세로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쇼크업쇼바(165)는 실린더(165S)와 상기 실린더(165S)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져 이동하는 피스톤(165P)과, 피스톤(165P)의 단부에 장착되어 쇼크업쇼바(165) 내부의 오리피스 개도를 제어하는 레버(165L)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레버(165L)를 통해 오리피스의 개도를 제어함으로써, 쇼크업쇼바(165)의 스트로크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레버(165L)를 놓으면 오리피스가 폐쇄되고 피스톤(165P)의 이동이 제한되어 쇼크업쇼바(165)의 길이가 고정되고, 반대로 레버(165L)를 파지하여 선회시키면 오리피스가 개방되어 피스톤(165P)이 이동 가능하게 되어 쇼크업쇼바(165)의 길이를 신축된다. 따라서 받침프레임(160)을 기준으로 레버(165L)를 파지하고 등받이 프레임(110)을 세우거나 눕히면 등받이 프레임(110)의 기울기가 변하게 되고, 등받이 프레임(110)의 기울기가 변화된 상태에서 레버(165L)를 놓으면 쇼크업쇼바(165)의 길이가 고정되면서 등받이 프레임(110)의 기울기가 고정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들것(100)은 지지대(140)의 상부로 사이드 암(190)이 장착된다. 사이드 암(190)은 지지대(140)에 힌지 결합된 기둥 바(191)와, 기둥 바(191)의 상단에 힌지결합된 손잡이 바(193)를 포함하며, 손잡이 바(193)의 내부에는 기둥 바(191)의 회전을 잠금하는 레버(165L)가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기둥 바(191)의 상단에는 상향으로 돌기(191P)가 형성되고, 손잡이 바(193)에는 레버(195)가 힌지 결합되는데, 레버(195)의 단부에는 돌기(191P)가 삽입되는 삽입홈(195H)이 형성된다. 따라서 기둥 바(191)가 지지대(140)에 대해 수직하게 세워지면 기둥 바(191)의 돌기(191P)가 레버(195)의 삽입홈(195H)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 경우 기둥 바(191)와 손잡이 바(193)는 직각으로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환자가 레버(195)를 파지하여 삽입홈(195H)을 상향으로 선회시켜 돌기(191P)가 삽입홈(195H)에서 이탈하게 되면 손잡이 바(193)와 기둥 바(191)의 잠금이 해제되어 기둥 바(191)는 지지대(140)와 평행하게 눕혀지며 따라서 손잡이 바(193) 또한 지지대(140)와 평행하게 눕혀져 사이드 암(190)의 높이가 낮아진다. 사이드 암(190)의 높이가 낮아지면 구급대원들은 환자를 들것(100)에 용이하게 실거나 내릴 수 있으며, 환자가 들것(100)에 실린 상태에서 손잡이 바(193)를 들어올려 기둥 바(191)가 세워지도록 하면 레버(195)의 삽입홈(195H)에 돌기(191P)가 삽입되어 사이드 암(190)을 세워진다.
사이드 암(190)이 세워지면 환자의 추락을 방지하며 또한 환자가 사이드 암(190)을 파지하고 상체를 세울 수 있다.
100 : 들것
110 : 등받이 프레임
120 : 시트 프레임
130 : 레그 프레임
140 : 지지대
141 : 고정핀
143 : 돌기
150 : 기울기조절레버
151 : 장공
153 : 걸림홈
155 : 후크
157 : 토션스프링
160 : 받침프레임
161 : 고정브래킷
162 : 브래킷
163 : 고정축
165 : 쇼크업쇼바
167 : 슬라이드 바퀴
170 : 핸드 브레이크
181 : 앞 기둥
183 : 뒷 기둥
185 : 바퀴
187 : 트러스 바
190 : 사이드 암
191 : 기둥 바
193 : 손잡이 바
195 : 레버

Claims (7)

  1. 등받이 프레임과 시트 프레임 및 레그 프레임이 힌지 결합되며 등받이 프레임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침대 형태 및 의자 형태로 변형되며 접철 가능한 복수의 바퀴 달린 기둥들이 연결되어 구급차에 탑재될 때에는 기둥들이 접철되고 이동 시에는 기둥들이 펼쳐져 기둥들의 하단에 장착된 바퀴에 의해 이동 가능한 들것으로서,
    등받이 프레임의 폭 양측에 평행하게 위치하고 길이 중간이 등받이 프레임과 힌지 결합되며 일단은 시트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는 슬라이드 바퀴가 장착된 받침프레임과,
    시트 프레임의 폭 양측에 시트 프레임과 평행하게 위치하며 일단부는 받침프레임의 길이 중간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에 외측으로 고정핀이 형성된 지지대와,
    받침프레임의 끝단에 고정된 고정브래킷에 힌지결합되고 지지대의 고정핀이 삽입되어 받침프레임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걸림홈들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기울기조절레버와,
    받침프레임에 장착되어 슬라이드 바퀴를 제동시키거나 제동해제하는 핸드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들것.
  2. 제1항에 있어서,
    핸드브레이크는 받침프레임에 장착된 제동박스와, 상기 제동박스를 관통하며 슬라이드 바퀴를 향해 위치하는 제동 바와, 제동박스의 내부에 위치하며 제동 바의 둘레를 감싸고 제동 바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턱에 접하여 제동 바가 슬라이드 바퀴 쪽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과, 제동 바의 끝단에 결합되며 받침프레임을 관통해 위치하는 선회 바를 포함하며,
    받침프레임에는 선회 바가 관통하는 장공이 형성되고 장공의 양단에는 슬라이드 바퀴를 향해 형성된 장홈과 단홈이 형성되며, 선회 바가 장홈에 끼워져 위치하며 제동 바가 코일스프링에 의해 슬라이드 바퀴 쪽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드 바퀴를 가압하고, 단홈에 삽입되면 제동 바가 슬라이드 바퀴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들것.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기울기조절레버는 그 길이 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고, 장공에는 복수의 걸림홈들이 형성되며, 고정핀이 장공을 따라 이동하다가 어느 한 걸림홈에 삽입되어 기울기조절레버의 기울기를 유지하며, 기울기조절레버의 기울기에 의해 힌지 결합된 받침프레임 및 등받이 프레임의 기울기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들것.
  4. 제3항에 있어서,
    받침프레임과 기울기조절레버의 힌지 결합된 부위에는 토션스프링이 장착되며, 토션스프링은 장공에 위치한 고정핀이 걸림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들것.
  5. 제1항에 있어서,
    등받이 프레임의 폭 양측에 위치한 받침프레임을 연결하는 고정축들에는 2개의 기둥들이 고정축의 양단에 힌지 결합되고, 고정축의 중간에는 쇼크업쇼바의 하단이 힌지 결합되며 쇼크업쇼바의 상단은 등받이 프레임과 연결되어 쇼크업쇼바의 신축에 따라 받침프레임을 기준으로 등받이 프레임의 기울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들것.
  6. 제1항에 있어서,
    지지대에는 접철되는 사이드 암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들것.
  7. 제6항에 있어서,
    사이드 암은 지지대에 힌지 결합된 기둥 바들과, 기둥 바들의 상단에 힌지결합된 손잡이 바를 포함하며, 손잡이 바의 아래에는 기둥 바의 회전을 잠금하는 레버가 힌지 결합되며,
    기둥 바의 상단에는 상향으로 돌기가 형성되고, 레버의 단부에는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돌기가 삽입홈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들것.
KR1020120074409A 2012-07-09 2012-07-09 접철식 들것 KR101315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409A KR101315718B1 (ko) 2012-07-09 2012-07-09 접철식 들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409A KR101315718B1 (ko) 2012-07-09 2012-07-09 접철식 들것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5718B1 true KR101315718B1 (ko) 2013-10-08

Family

ID=49637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409A KR101315718B1 (ko) 2012-07-09 2012-07-09 접철식 들것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71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74415A (zh) * 2017-06-16 2017-09-19 李广 多功能担架车
CN107260411A (zh) * 2017-06-30 2017-10-20 陕西科技大学 一种多功能担架车
CN107961118A (zh) * 2018-01-05 2018-04-27 中进医疗器材泰州有限公司 一种悬臂式担架车
CN110251323A (zh) * 2019-07-26 2019-09-20 龚勤峰 医疗用铲式担架轮椅
CN111109927A (zh) * 2020-01-23 2020-05-08 佛山市石井旅游制品有限公司 一种便携式多用途折叠床
KR20220028477A (ko) * 2020-08-28 2022-03-08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이동용 접이식 슬라이드
IT202100016928A1 (it) * 2021-06-28 2022-12-28 Spencer Italia Srl Barell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0662A (ja) 2000-06-20 2002-01-08 Takada Shatai Kk ストレッチャーにおける可変台傾斜角度調節装置
KR100721998B1 (ko) 2006-01-23 2007-05-28 오근제 하지 거상수단이 구비된 구급차용 스트레쳐
KR101083662B1 (ko) 2009-07-17 2011-11-16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하 양방향 접철식 들것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0662A (ja) 2000-06-20 2002-01-08 Takada Shatai Kk ストレッチャーにおける可変台傾斜角度調節装置
KR100721998B1 (ko) 2006-01-23 2007-05-28 오근제 하지 거상수단이 구비된 구급차용 스트레쳐
KR101083662B1 (ko) 2009-07-17 2011-11-16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하 양방향 접철식 들것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74415A (zh) * 2017-06-16 2017-09-19 李广 多功能担架车
CN107260411A (zh) * 2017-06-30 2017-10-20 陕西科技大学 一种多功能担架车
CN107961118A (zh) * 2018-01-05 2018-04-27 中进医疗器材泰州有限公司 一种悬臂式担架车
CN110251323A (zh) * 2019-07-26 2019-09-20 龚勤峰 医疗用铲式担架轮椅
CN110251323B (zh) * 2019-07-26 2024-03-19 龚勤峰 医疗用铲式担架轮椅
CN111109927A (zh) * 2020-01-23 2020-05-08 佛山市石井旅游制品有限公司 一种便携式多用途折叠床
KR20220028477A (ko) * 2020-08-28 2022-03-08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이동용 접이식 슬라이드
KR102513944B1 (ko) 2020-08-28 2023-03-27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이동용 접이식 슬라이드
IT202100016928A1 (it) * 2021-06-28 2022-12-28 Spencer Italia Srl Barell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718B1 (ko) 접철식 들것
KR101289000B1 (ko) 운송수단에 배치되는 스트레쳐 및 스트레쳐 픽스츄어
US11633321B2 (en) Collapsible walking device
KR100721998B1 (ko) 하지 거상수단이 구비된 구급차용 스트레쳐
EP2550947B1 (en) Foldable, stair-climbing wheelchair for transporting patients with manual and / or pedal device for simultaneously braking the back wheels and with automatic closure device
US20140083476A1 (en) Physical assistance device configurable into a walker/rollator, seat or transport chair
US7988172B2 (en) Power-supplemented manual height-adjusting wheelchair
WO1995031954A1 (en) Rollable walker
KR20100105873A (ko) 간이 침대용 레그 해제 조립체
US8302974B2 (en) Adaptable mobility aid device for level and inclined walkways and for stairs
US9107503B2 (en) Segmented adaptable mobility aid device for level and inclined walkaways and for stairs
JP5804413B2 (ja) 歩行補助車
US20160128482A1 (en) Booster seat for a barber chair
US11491061B2 (en) Transfer device
CN114072116B (zh) 移乘装置
TWI471191B (zh) 用於支撐工具機之支撐架
AU7200700A (en) A height adjustable stretcher undercarriage
KR101856076B1 (ko) 스탠드 테이블
JP2005313796A (ja) 手押し車
WO2018172912A1 (en) Folding frame for strollers, baby carriages or the like
US11794798B2 (en) Mechanical hand trucks with enhanced stair climbing and descending capability
JP6021295B2 (ja) シルバーカー及びキャリーバッグのスライド式ハンドル
JP2012065977A (ja) キャリーバッグ及びシルバーカーのハンドル持ち手
KR200224270Y1 (ko) 이동식 침대
JP6457869B2 (ja) 車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