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693B1 - 절단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절단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693B1
KR101310693B1 KR1020050131829A KR20050131829A KR101310693B1 KR 101310693 B1 KR101310693 B1 KR 101310693B1 KR 1020050131829 A KR1020050131829 A KR 1020050131829A KR 20050131829 A KR20050131829 A KR 20050131829A KR 101310693 B1 KR101310693 B1 KR 101310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cutting
workpiece holder
stripper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1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9749A (ko
Inventor
마사토 후쿠시마
토시카즈 타나카
?스케 야마다
히로유키 키타하라
Original Assignee
유에이치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에이치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에이치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79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9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12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characterised by drives or gear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02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having both upper and lower moving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3/00Accessorie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 B23D33/08Press-pads; Counter-bases; Hold-dow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Nonmetal Cutting Devi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Shearing Machines (AREA)

Abstract

상부 절단날의 커트(풀커트 또는 하프커트)시의 상부 절단날에 의한 공작물의 내리누름에 의한 변형을 방지해서, 커트 정밀도가 향상되는 절단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박육의 공작물 홀더용 시트(WH)에 개공(開孔)되는 구멍(W1)에 삽입되는 공작물(W)을, 하프커트하는 상하의 절단날(C1, C2)에 접촉하지 않도록 공작물(W) 두께의 중간영역에 위치시켜서 그 공작물 홀더용 시트(WH)에 가고정한다. 공작물(W)의 전체 폭보다 길고 공작물 홀더용 시트(WH)보다 짧은 소정 길이의 상하 절단날(C1, C2)로 공작물 홀더용 시트(WH)를 절단하는 일 없이 공작물(W)을 전체 폭에 걸쳐 분담해서 하프커트한다. 하프커트시의 상부 절단날(C1)에 의한 공작물(W)의 내리누름을 절단가공기(1)의 테이블면 높이에 고정적으로 설치한 하부 스트리퍼(ST2)로, 또한 하부 절단날(C2)에 의한 공작물(W)의 밀어올림을 상부 스트리퍼(ST1)로 각각 방지한다.

Description

절단가공장치{CUT WORKING APPARATUS}
도 1은, 제1의 실시형태의 절단가공장치의 측면단면도이고, 대기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동 횡단평면도이다.
도 3은, 이동장치, 클램퍼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일부 절결해서 나타낸다.
도 4는, 공작물을 절단가공기에 소정 피치당 이동시켜서 절단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절단가공장치의 측면단면도이다.
도 5는, 절단가공기의 종단면도에서 확대하여 나타내고, 좌반부는 커트(하프커트) 전의 상태를, 우반부는 커트(하프커트)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출입하는 마크위치 검출수단이고 공작물에 붙어 있는 마크를 촬상하는 상태를 확대해서 나타낸다.
도 7은, 공작물 지지구조와 공작물 접촉면, 상부 스트리퍼의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단면도이고 커트(하프커트)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바둑판 눈금 형상으로 커트(하프커트)된 공작물 지지구조의 평면도 이다.
도 9는, 제2의 실시형태의 절단가공장치에 있어서 공작물 지지구조의 클램프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 10은, 제3의 실시형태의 절단가공장치에 있어서의 공작물 지지구조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1은, 제4의 실시형태의 절단가공장치에 있어서의 공작물 지지구조의 클램프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 12는, 제 5의 실시형태의 절단가공장치에 있어서의 공작물 지지구조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3은, 커트(하프커트) 상태를 나타내는 공작물 지지구조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4는, 제6의 실시형태의 절단가공장치에 있어서의 공작물 지지구조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5는, 커트(풀커트) 상태를 나타내는 공작물 지지구조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6은, 제7의 실시형태의 절단가공장치에 있어서의 공작물 홀더용 시트의 사시도이고, 가장자리 부재로 보강하지 않은 공작물 홀더용 시트를 나타낸다.
도 17은, 동 공작물 홀더용 시트의 변형예이고 개공된 구멍 코너에 공작물 적재단차부를 형성했을 경우를 나타낸다.
도 18은, 동 공작물 홀더용 시트의 변형예이고 도 7에서 사용되는 가장자리 부재로 보강한 공작물 홀더용 시트를 나타낸다.
도 19는, 동 공작물 홀더용 시트의 변형예이고 도 11에서 사용되는 가장자리 부재로 보강한 공작물 홀더용 시트를 나타낸다.
도 20은, 제8의 실시형태의 절단가공장치에 있어서의 공작물 홀더, 공작물, 상하 스트리퍼의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절단가공장치 1 : 절단가공기
WH : 공작물 홀더용 시트 W : 공작물
W1 : 구멍 W2 : 가고정수단(테이프)
C1, C2 : 상하 절단날 2 : 이동장치
32 : 클램퍼 T : 테이블
ST1 : 상부 스트리퍼 ST2 : 공작물 접촉면(하부 스트리퍼)
3 : 인덱스 테이블 WM : 마크
5 : 마크위치 검출수단 4 : 가장자리 부재
24 : 가장자리체 34 : 본체
W' : 환상판부 WH1 : 공작물 홀더
t : 테이블면 D1 : 제1 날끝검출수단
D2 : 제2 날끝검출수단 61 : 세트 포스트 구멍
51 : 세트 포스트 31, 41 : 램(상부 Z축선 램, 하부 Z축선 램)
CH : 커터 홀더
본 발명은, 공작물(예를 들면 배선기판, 패키지 기판, 콘덴서, 인덕터, 저항체, 자성체 등의 적층기판, 적층형 전자부품)의 절단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절단가공장치에는 진공식 인덱스 테이블로 공작물을 흡착해서, 90° 회전시킬 때마다 상부 절단날을 구비하는 절단가공기로 소정 피치당 그 공작물을 커트해서, 공작물을 칩형상으로 성형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이 특허문헌1에서는, 공작물이 가요성을 가져서 취급이 번거롭기 때문에, 금속제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공작물 홀더에 그 공작물을 테이프 등의 접착제로 가고정하여, 그것에 의해 공작물의 절단가공장치로의 로더 등으로의 세팅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특허문헌2 등이 그 공지예이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1,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풀커트는 아니지만, 상하의 커터 홀더에 탄기(彈機)를 통해서 상하의 스트리퍼를 지지하여, 공작물 홀더로 지지되는 공작물을 그 상하의 절단날로 공작물을 소정 깊이 분담해서 자르고, 소성 후 절단 숫돌로 남겨지는 이음부를 분단하는 공작물 커트용 절단가공장치도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3).
그런데, 일반적으로 공작물은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공작물 홀더 상면에 둘레 가장자리가 적재된 상태에서 테이프 등으로 가고정되므로, 절단가공기의 기준면이 되는 테이블면이나 스트리퍼와의 사이에 공작물 홀더 두께 정도의 간극을 형 성한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2의 절단가공시에는, 미크로적이지만 상부 절단날 날끝으로 그 간극을 이용해서 공작물을 내리 누르면서 풀커트하므로, 소정 피치로써 정밀도 좋게 절단되지 않는 가공정밀도상의 문제를 남겨두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3에서는, 상하의 절단날이 동시에 커팅되는 것이어도, 하부 스트리퍼가 공작물 이면에 간극을 통해서 배치되므로, 공작물이 하방으로 내리눌리면서 전연(展延)하여 하프커트되고, 마찬가지로 소정의 피치에서의 절단정밀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공작물 홀더를 사용하면 그 공작물 홀더와의 충돌에 의한 칩핑을 피하기 위해 공작물 홀더의 평행하는 프레임체 사이보다 짧은 절단날로 공작물을 풀커트, 하프커트하고 있으므로, 공작물 전체를 이용할 수 없고, 자투리가 생겨 수율을 나쁘게 한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 제 2988621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 특허공개 2001-113520호 공보
[특허문헌3] 일본 특허공개 2004-34319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종래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상부 절단날의 커트(풀커트 또는 하프커트)시에 상부 절단날에 의한 공작물의 내리누름에 의한 변형을 방지해서, 커트 정밀도가 향상되는 절단가공장치 및 그 장치에 사용하는 공작물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다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공작물을 상하 절단날로 커트(하프커트 또는 풀커트)할 때에 공작물이 전연되지 않고 커트 정밀도가 향상되는 절단가공장치 및 그 장치에 사용하는 공작물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다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공작물 홀더 수단으로 지지되는 공작물을 전체 폭에 걸쳐서 커트(하프커트 또는 풀커트)하여, 자투리를 생성하지 않는 절단가공장치 및 그 장치에 사용하는 공작물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그리고, 또 다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공작물을 전체 폭에 걸쳐서 하프커트해도 절단되지 않고 내용기간까지 이용할 수 있는 절단가공장치에 사용되는 최적의 공작물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구한 기술적 수단은, 첫째로는, 공작물을 착탈할 수 있게 지지하는 공작물 홀더와, 상기 공작물 홀더 클램프해서 소정 피치씩 이동시키는 이동장치와, 상부 절단날과 하부 절단날을 구비한 절단가공기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공작물 홀더를 소정 피치씩 이동시킬 때에 상기 상부 절단날과 상기 하부 절단날로 공작물을 하프커트하는 절단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단가공기는, 상기 상부 절단날의 절입 위치 주위에서 공작물의 표면에 접근 또는 접촉하는 상부 스트리퍼와, 상기 상부 스트리퍼와 대응하여 상기 공작물의 이면측의 접촉면으로 되는 하부 스트리퍼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스트리퍼를 상기 상부 절단날과는 독립하여 상하 높이 제어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공작물 홀더를 공작물의 두께보다도 박육인 공작물 홀더용 시트로 구성하고,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는, 공작물의 외형과 동형 혹은 합치하는 형상의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의 구멍에 공작물을 삽입해서 상기 공작물을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에 가고정하고, 상기 상부 절단날과 상기 하부 절단날로 공작물을 하프커트할 때에 상기 상부 절단날과 상기 하부 절단날의 양쪽이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를 공작물 두께의 중간 영역에 위치시키고 있으며,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를 클램프하여 이동시킬 때에 상기 절단가공기의 테이블면에 공작물 이면 전체면이 미끄럼 접촉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하부 스트리퍼를 상기 절단가공기의 테이블면 높이에 고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둘째로는, 공작물을 착탈할 수 있게 지지하는 공작물 홀더와, 상기 공작물 홀더 클램프해서 소정 피치씩 이동시키는 이동장치와, 상부 절단날과 하부 절단날을 구비한 절단가공기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공작물 홀더를 소정 피치씩 이동시킬 때에 상기 상부 절단날과 상기 하부 절단날로 분담해서 공작물을 풀커트하는 절단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단가공기는, 상기 상부 절단날의 절입 위치 주위에서 공작물의 표면에 접근 또는 접촉하는 상부 스트리퍼와, 상기 상부 스트리퍼와 대응하여 상기 공작물의 이면측의 접촉면으로 되는 하부 스트리퍼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스트리퍼를 상기 상부 절단날과는 독립하여 상하 높이 제어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공작물 홀더를 공작물의 두께보다도 박육인 공작물 홀더용 시트로 구성하고,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는, 공작물의 외형과 동형 혹은 합치하는 형상의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의 구멍에 공작물을 삽입해서 상기 공작물을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에 가고정하고, 상기 상부 절단날과 상기 하부 절단날로 분담해서 공작물을 풀커트하고,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를 클램프하여 이동시킬 때에 상기 절단가공기의 테이블면에 공작물 이면 전체면이 미끄럼 접촉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하부 스트리퍼를 상기 절단가공기의 테이블면 높이에 고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절단가공장치를 이용한 방법으로서는, 절단가공기에, 테이블면 측에 절단날 또는 테이블면을 사이에 두고 한쌍의 절단날을 구비하고, 공작물을 착탈할 수 있게 지지하는 공작물 홀더를 이동장치로 클램프해서 절단가공기의 테이블면에 소정 피치씩 이동시켜서 테이블면 측의 절단날를 절입시에, 공작물 표면에 스트리퍼를 접근 혹은 접촉시킴과 아울러, 절단날 바로 아래 부근의 공작물 부분의 공작물 이면 높이에 공작물 접촉면을 배치하여, 상기 절입시의 절단날의 절단날에 의한 공작물의 내리누름을 공작물 접촉면으로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상하 절단날을 구비하는 절단가공기는, 그 상하의 절단날로 분담하여 공작물을 하프커트하는 가공기 또는 동일하게 분담하여 풀커트하는 가공기이다.
이상의 수단에 의하면, 절입시에 테이블면측의 절단날에 의한 내리누르는 힘을 공작물에 작용시키지 않고 커트한다.
그리고, 공작물 접촉면을 상하 높이 제어 가능하게 하여, 상기 테이블면측의 절단날 절입시에 그 절단날 바로 아래 부근의 공작물 부분의 공작물 이면 높이로 그 공작물 접촉면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그 절입을 실행할 수 있다.
이상의 수단에 의하면, 이동장치의 클램퍼로 클램프해서 공작물을 절단가공기에 이동시킬 때에 그 공작물 접촉면을 공작물 홀더에 간섭하지 않도록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공작물을 착탈할 수 있게 지지하는 공작물 홀더를 이동장치로 클램프해서, 테이블면을 사이에 두고 상하 절단날을 구비하는 절단가공기에 소정 피치당 이동시켜서 공작물을 하프커트하는 절단가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 홀더를 박육의 공작물 홀더용 시트로 구성하여, 그 공작물 홀더용 시트에 공작물의 외형과 동형 혹은 합치하는 형상의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의 그 구멍에 공작물을 삽입해서, 공작물을 둘러싸는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의 환상판부에 공작물의 가장자리 부분을 착탈 가능한 가고정수단으로 가고정하여, 상하 절단날로 공작물을 전체 폭, 또는 평행하는 가장자리부에 비절단부를 남겨서 하프커트할 때에,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를 상하 절단날에 접촉하지 않도록 공작물 두께의 중간영역에 위치시키고, 상기 이동장치로 클램프시켜서 절단가공기에 이동시킬 때, 공작물이 절단가공기의 테이블면을 미끄럼 접촉하도록 구성하여, 상부 스트리퍼를 상부 절단날과는 독립해서 상하 높이 제어 가능하게 하고, 하부 스트리퍼를 절단가공기의 테이블면 높이에 고정적으로 설치해서, 상부 절단날 절입시의 상부 절단날에 의한 공작물의 내리누름을 방지하고, 하부 절단날 절입시의 하부 절단날에 의한 공작물의 밀어올림을 공작물의 표면에 접근 또는 접촉하도록 제어 이동시킨 상부 스트리퍼로 방지할 수 있다.
가고정수단의 일례로서는, 박리 가능한 점착부재(테이프 형상물)를 들 수 있다.
이상의 수단에 의하면, 박육의 공작물 홀더용 시트에 개공되는 구멍에 삽입하는 공작물을, 하프커트하는 절단날에 접촉하지 않도록 공작물 두께의 중간영역에 위치시켜서 그 공작물 홀더용 시트에 가고정해서, 공작물의 폭보다 긴 소정 길이의 상하의 절단날로 공작물 홀더용 시트를 절단하는 일 없이 공작물을 전체 폭에 걸쳐서 하프커트하거나, 공작물의 폭보다 짧은 상하 절단날로 평행하는 가장자리부에 비절단부를 남겨서 공작물을 하프커트하거나 할 수 있다.
그리고, 하프커트시의 상부 절단날에 의한 공작물의 내리누름을 절단가공기의 테이블면 높이에 고정적으로 설치한 하부 스트리퍼로, 또한 하부 절단날에 의한 공작물의 밀어올림을 상부 스트리퍼로 각각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공작물 홀더를 절단 가능한 박육의 공작물 홀더용 시트로 구성하여, 그 공작물 홀더용 시트에 공작물의 외형과 동형 혹은 합치하는 형상의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의 그 구멍에 그 공작물을 삽입해서 공작물을 둘러싸는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의 환상판부에 가고정수단으로 착탈 가능하게 가고정하며, 이동장치로 클램프시켜서 절단가공기에 이동시킬 때, 공작물이 절단가공기의 테이블면을 미끄럼 접촉하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공작물을 상하 절단날로 분담해서 전체 폭, 또는 평행하는 가장자리부에 비절단부를 남겨서 풀커트 가능하게 하고, 상부 스트리퍼를 상부 절단날과는 독립해서 상하 높이 제어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하부 스트리퍼를 절단가공기의 테이블면 높이에 고정적으로 설치해서, 상부 절단날 절입시의 상부 절단날에 의한 공작물의 내리누름을 그 하부 스트리퍼로 방지하고, 하부 절단날 절입시의 하부 절단날에 의한 공작물의 밀어올림을 공작물의 표면에 접근 또는 접촉하도록 제어 이동시킨 상부 스트리퍼로 방지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상의 수단에 의하면, 공작물을 가고정하는 박육의 공작물 홀더용 시트에 있어서 공작물을 둘러싸는 환상판부에 절개선을 넣는 길이의 절단날로 공작물을 전체 폭에 걸쳐서 풀커트할 수 있다.
그리고, 풀커트시의 상부 절단날에 의한 공작물의 내리누름을 절단가공기의 테이블면 높이에 고정적으로 설치한 하부 스트리퍼로, 또한 하부 스트리퍼에 의한 공작물의 밀어올림을 상부 스트리퍼로 각각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작물의 폭보다 짧은 상하의 절단날로 평행하는 가장자리부에 비절단부를 남겨서 공작물을 풀커트할 수 있다.
또한, 장치로서는 공작물을 착탈할 수 있게 지지하는 공작물 홀더를 이동장치로 클램프해서 절단가공기에 소정 피치당 이동시킬 때마다 상하 절단날로 상기 공작물을 하프커트하는 절단가공장치에 있어서, 상부 스트리퍼와 함께 하부 스트리퍼를 상하 절단날과는 독립해서 상하 높이 제어 가능하게 구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절단날의 절입은 하부 스트리퍼를 공작물 이면 높이 위치에 제어 이동시키고, 하부 절단날의 절입은 상부 스트리퍼를 공작물의 표면에 접근 혹은 접촉하는 높이 위치에 제어 이동시켜서 행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공작물 홀더를 이동장치로 클램프해서 상하 절단날을 구비하는 절단가공기에 소정 피치당 이동시킬 때마다 상하 절단날로 분담해서 상기 공작물을 풀커트하는 절단가공장치에 있어서는 상부 스트리퍼, 하부 스트리퍼를 상하 절단날과는 독립해서 상하 높이 제어 가능하게 구성하여, 상기 상부 절단날의 절입은 하부 스트리퍼를 공작물 이면 높이로 제어 이동시키고, 하부 절단날의 절입은 상부 스트리퍼를 공작물의 표면에 접근 혹은 접촉하는 높이 위치에 제어 이동시켜서 행할 수 있다.
그리고, 공작물을 착탈할 수 있게 지지하는 공작물 홀더를 이동장치에 클램프해서 절단가공기에 소정 피치당 이동시킬 때마다 상하 절단날로 상기 공작물을 하프커트하는 절단가공장치에 있어서, 상부 스트리퍼를 상부 절단날과는 독립해서 상하 높이 제어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공작물 홀더를 박육의 공작물 홀더용 시트로 구성하여,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는, 공작물의 외형과 동형 혹은 합치하는 형상의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의 그 구멍에 공작물을 삽입해서 공작물을 둘러싸는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의 환상판부에 공작물의 가장자리 부분을 착탈 가능한 가고정수단으로 가고정하며, 상하 절단날로 공작물을 전체 폭, 또는 평행하는 가장자리부에 비절단부를 남겨서 하프커트 가능하게 하도록 공작물 홀더용 시트를, 공작물을 하프커트하는 상하 절단날에 접촉하지 않도록 공작물 두께의 중간영역에 위치시키고, 상기 이동장치에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를 클램프해서 이동시킬 때, 절단가공기의 테이블면에 공작물 이면 전체면이 미끄럼 접촉하도록 구성하여, 하부 스트리퍼를 절단가공기의 테이블면 높이로 고정하고 있으면 바람직한 것이다.
이상의 수단에 의하면, 공작물의 폭보다 긴 소정 길이의 상하 절단날로 공작물 홀더용 시트를 절단하는 일 없이 공작물을 전체 폭에 걸쳐서 하프커트하거나, 공작물의 폭보다 짧은 상하 절단날로 평행하는 가장자리부에 비절단부를 남겨서 공작물을 하프커트하거나 할 수 있다.
그리고, 하프커트시의 상하 절단날에 의한 공작물의 내리누름을 절단가공기의 테이블면 높이에 고정적으로 설치한 하부 스트리퍼로 방지하고, 또한 하부 절단날에 의한 공작물의 밀어올림을 상부 스트리퍼로 각각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작물을 착탈할 수 있게 지지하는 공작물 홀더를 이동장치에 클램프해서 상하 절단날을 구비하는 절단가공기에 소정 피치당 이동시킬 때마다 상하 절단날로 분담해서 상기 공작물을 풀커트로 하는 절단가공장치로서, 상부 스트리퍼를 상부 절단날과는 독립해서 상하 높이 제어 가능하게 하고, 상기 공작물 홀더를 박육의 절단 가능한 공작물 홀더용 시트로 형성하며,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는 공작물의 외형과 동형 혹은 합치하는 형상의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의 그 구멍에 공작물을 삽입해서 공작물을 둘러싸는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의 환상판부에 공작물의 가장자리 부분을 착탈 가능한 가고정수단으로 가고정하고, 공작물을 상하 절단날로 분담해서 전체 폭, 또는 평행하는 가장자리부에 비절단부를 남겨서 풀커트 가능하게 하며, 상기 이동장치에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를 클램프해서 이동시킬 때, 절단가공기의 테이블면에 공작 이면 전체면이 미끄럼 접촉하도록 구성하여, 하부 스트리퍼를 절단가공기의 테이블면 높이에 고정하고 있으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공작물 홀더용 시트를 클램프해서 이동시킬 때, 절단가공기의 테이블면에 공작물 이면 전체면이 미끄럼 접촉하도록 구성한다. 이것은, 예를 들면 절단가공기의 테이블을 공작물보다 넓은 폭이고 공작물 홀더용 시트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하여, 평면에서 볼 때에 테이블로부터 양측으로 돌출되는 공작물 홀더용 시트 부분을 이동장치의 클램퍼로 클램프해서, 절단가공기에 이동시킬 때에 클램퍼가 테이블에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제안할 수 있다.
이상의 수단에 의하면, 공작물 홀더용 시트에 있어서 공작물을 둘러싸는 환상판부에 절개선을 넣는 길이의 절단날로 공작물을 전체 폭에 걸쳐서 풀커트하거나, 공작물의 폭보다 짧은 상하 절단날로 평행하는 가장자리부에 비절단부를 남겨서 공작물을 풀커트하거나 할 수 있다.
그리고, 풀커트시의 상부 절단날에 의한 공작물의 내리누름을 절단가공기의 테이블면 높이에 고정적으로 설치한 하부 스트리퍼로 방지하고, 또한 하부 절단날에 의한 공작물의 밀어올림을 상부 스트리퍼로 각각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절단가공기가 공작물에 소정 간격을 두고 붙어 있는 마크를 검출하는 마크위치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절단가공기에 이동장치로 소정 피치당 이동시킬 때마다 그 마크의 위치 어긋남을 상기 마크위치 검출수단으로 검출해서, 이동장치를 절단가공기로의 이동방향인 Y축선방향, θ방향 또는 Y축선방향, θ방향, X축선방향으로 보정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면, 이송오차 등을 보정해서 커트하는 것에 있어서 바람직한 것이다.
공작물을 전체 폭에 걸쳐서 풀커트 또는 하프커트할 경우에는, 이동장치를 절단가공기로의 이동방향인 Y축선방향, θ방향으로 보정 이동할 수 있게 하지만, 공작물을 평행하는 가장자리부에 비절단부를 남겨서 공작물을 풀커트 또는 하프커트할 경우에, 공작물을 절단날의 길이에 대응시키기 위해, 또한 X축선방향으로도 보정 이동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에 가장자리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가장자리 부재는 공작물 홀더용 시트의 가장자리에 설치한 가장자리체와, 이동장치의 클램퍼로 클램프되는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 상기 가장자리체를 높이 조정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으면 클램퍼로 클램프되는 본체를 변경하는 일 없이 공작물 두께변화에 대응해서 공작물을 절단가공기의 테이블면에 미끄럼 접촉시킨다.
또한, 이동장치의 클램퍼 또는 테이블면을 높이 조정가능하게 구성하면, 두께에 맞춰서 공작물을 높이 조정해서 그 이면 전체면을 테이블면에 미끄럼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단가공기의 테이블면 또는 하부 스트리퍼 표면 혹은 테이블면과 하부 스트리퍼 표면을 가열수단으로 가열하도록 구성하면 절단대상인 공작물을 이동시키면서 가열하여 부드럽게 해서 커트(하프커트 또는 풀커트)하기 쉽게 된다.
또한, 절단가공기는 커터 홀더에 설치한 세트 포스트 구멍에 Z축선방향으로 제어 이동되는 램의 세트 포스트에 고정밀도로 끼워 맞추어 다이세트를 구성하고 있으면, 절단날의 세트를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절단가공기가 상하 절단날 날끝 상호의 날 폭방향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1 날끝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면, 상하 절단날의 날끝 상호의 날 폭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수정할 수 있고, 절단가공기는 절단날의 날 길이방향의 경사상태를 검출하는 제2 날끝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면, 날끝의 수평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동장치로 클램프되는 공작물의 지지구조로서, 박육의 공작물 홀더용 시트에 공작물의 외형과 동형 혹은 합치하는 형상의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의 그 구멍에 공작물을 삽입해서, 공작물을 둘러싸는 그 공작물 홀더용 시트의 환상판부에 공작물의 가장자리 부분을 착탈 가능한 가고정수단으로 가고정하고,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를, 공작물을 하프커트하는 절단날에 접촉하지 않도록 공작물 두께의 중간영역에 위치시킨 공작물 지지구조이거나(청구항 17), 이동장치로 클램프되는 공작물의 지지구조로서, 박육의 절단 가능한 공작물 홀더용 시트에 공작물의 외형과 동형 혹은 합치하는 형상의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의 그 구멍에 공작물을 삽입해서 공작물을 둘러싸는 그 공작물 홀더용 시트의 환상판부에 공작물의 가장자리 부분을 착탈 가능한 가고정수단으로 가고정해서,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를 공작물과 함께 풀커트할 수 있게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지지구조이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절단가공방법을 실시하는 절단가공장치의 제1의 실시형태를 도 1~도 8에, 동 제2의 실시형태를 도 9에, 동 제3의 실시형태를 도 10, 동 제4의 실시형태를 도 11, 동 제 5의 실시형태를 도 12, 도 13에, 동 제 6의 실시형태를 도 14, 도 15에, 동 제 7의 실시형태를 도 16~도 19에, 동 제 8의 실시형태를 도 20에 각각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 1~제 8의 실시형태에서는 상면에 둘레 가장자리를 적재해서 공작물을 테이프 등의 가고정수단으로 착탈 가능하게 가고정한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공작물 홀더가 아니라, 박육의 공작물 홀더용 시트를 사용해서 공작물을 전체 폭에 걸쳐서 하프커트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절단가공장치의 제1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면, 부호 A는 절단가공장치, WH는 공작물 홀더를 구성하는 공작물 홀더용 시트, 1은 절단가공기이다.
[실시예1]
절단가공장치(A)는 도 1, 도 2,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대(B)의 Y축선방향의 전방측에 절단가공기(1) 및 테이블면(t)을 기준면으로 하는 테이블(T)을 설치하고, 지지대(B)에 공작물(W)을 해제할 수 있게 클램프하는 이동장치(2)를 Y·X축선방향으로 제어 이동할 수 있고 또한 θ방향으로 보정 이동할 수 있게 설치하며, 또한 이동장치(2)의 대기위치에 인덱스 테이블(3)을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B)는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가공기 방향으로 평행한 가이드 레일(GL)을 세워 설치해서, 그 가이드 레일(GL)로 이동장치(2)를 Y축 선방향으로 제어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상기 이동장치(2)는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레일(GL)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문형체(12)와, 그 문형체(12)에 Y축선방향으로 제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θ방향으로도 제어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지지부(22)와, 그 지지부(22)에 X축선방향으로 제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클램퍼(3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문형체(12)는 그 천판부(12a)로부터 하방으로 늘어뜨려 설치한 나사결합용 암(12b)에, 상기 지지대(B)에 설치한 서보모터(M1)를 구동원으로 해서 축받이된 볼 나사(m)를 비틀어 끼워서, 지지부(22)와 함께 클램퍼(32)를 Y축선방향으로 제어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2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에 역L형상을 보이는 지지체(22a)와, 마찬가지로 정면에서 볼 때에 역L형상을 보이는 중간 지지체(22b)와, 클램퍼 지지체(22c)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지체(22a)는 그 수평판부(22a')를 상기 문형체(12)의 천판부(12a)에 θ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축고정하여, 그 수평판부(22a')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는 팔부(22a'-1)를 서보모터(M2)로 눌러 움직여서 θ방향의 회전량을 제어할 수 있게 하고, 수직판부(22a") 표면에 가이드 레일(GL)을 세로로 설치하고 있다.
중간 지지체(22b)는 수직면부(22b') 이면에 설치한 돌기(22b'-1)를 상기 세로로 설치된 가이드 레일(GL)에 결합함과 아울러 수평면부(22b")에 하단이 지지체(22a)의 수평판부(22a')에 상면에 닿는 높이 조정 나사(100)를 나사결합하여 상기 지지체(22a)에 대해서 높이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클램퍼 지지체(22c)에는 가이드 레일(GL, GL)을 좌우로 한 쌍 간격을 두고 옆으로 설치하고, 그 가이드 레일(GL, GL)에 상기 중간 지지체(22b)의 수직면부(22b')에 돌출하여 형성된 돌출부(22b'-2)가 X축선방향으로 제어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중간 지지체(22b)의 끝면에 설치한 엑츄에이터(M3)로 X축선방향으로 제어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클램퍼(3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하는 클램퍼 지지체(22c)의 선단 좌우끝으로부터 Y축선방향, 즉 절단가공기 방향을 향해서 클램퍼체(32a, 32a)를 연장하여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WH)는 도 7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판, 플라스틱판, 종이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한 합성지 등 절단 가능, 절단 불가능을 불문하고 0.1~0.3㎜ 정도의 박육의 소정의 평면적(직사각형상(바람직하게는 정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공작물(W)인 생소지(生素地)단계(세라믹스 그린 시트 사이에 소정의 전극 등의 도체층을 인쇄해서 다층형상으로 적층했다)의 각종 적층기판의 외형과 동형 혹은 합치하는 형상의 면적의 구멍(W1)을 형성한 구멍면적을 다르게 하는 복수 타입이 제작 준비되어 있다.
또한, 생고무, 합성고무 등의 탄성이 있는 막판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은 것이지만, 신장이 적고 탄성이 있는 재료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공작물(W)에는 그 표면이나 끝면 등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 피치로 마크(WM)가 부착되어 있고, 해당하는 면적의 구멍(W1)을 형성하여 공작물 홀더용 시트(WH)의 그 구멍(W1)에 삽입한 후, 코너 등을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WH)에 박리 가능한 테이프(가고정수단)(W2)로 가고정되어 있다.
이 공작물(W)이 가고정되는 공작물 홀더용 시트(WH)는, 이 공작물(W)을 사이에 두고 동축상에 설치하는 상하 한 쌍의 각각의 절단날(C1, C2)로 하프커트할 때, 각각의 절단날(C1, C2)에 접촉하지 않도록 공작물(W) 두께의 중간영역(바람직하게는 중간)에 위치하도록 가고정되어서 공작물 지지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WH)에는 가고정된 공작물(W) 주위에 소정 폭 치수의 환상판부(W')를 남겨서 그 가장자리에 내강도를 부여하기 위해서 가장자리 부재(4)가 설치되고, 그 가장자리 부재(4)를 이동장치(2) 선단의 클램퍼(32)로 해제할 수 있게 클램프해서, 그 이동장치(2)의 기능으로 하프커트 대상이 되는 공작물(W)을 제어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공작물(W)의 이면은 공작물 홀더용 시트(WH)에 가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가장자리 부재(4)의 하면과 동일 높이 혹은 그것보다 약간 낮은 높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클램퍼체(32a)는 도 3, 도 7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판부(32a'-1)를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WH)의 가장자리 부재(4)에 있어서의 좌우의 프레임체(14, 14) 외반부용 적재지지편으로 하는 L형편(32a')과 그 L형편(32a')의 기립편부(32a'-2)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축고정한 회전편(32a")으로 좌우의 프레임체(14, 14)를 끼울 수 있게 하여, 그 회전편(32a")에 개폐용 액츄에이터(M4)를 연락해서 클램프를 해제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가공기(1)의 테이블(T)의 바로 앞 위치인 대기시의 공작물(W) 바로 아래에는 인덱스 테이블(3)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인덱스 테이블(3)은 상기 이동장치(2)의 클램퍼(32)로 해제 가능하게 클램프되는 대기상태의 공작물(W)을 유지하는 공작물 홀더용 시트(WH)의 가장자리 부재(4)에 있어서의 전후의 프레임체(14, 14)를 적재하는 높이 위치에서 소정 높이까지 상승하여, 그 상승 높이 위치에서 90°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테이블 상하용 실린더와 회전 모터로 이루어지는 액츄에이터(M5)를 작동시켜서 상기 회전편(32a")을 상방으로 회전시킨 클램프 해제상태에서 이동장치(2)에 간섭하지 않도록 공작물(W)을 상방으로 상승시키고, 그 높이 위치에서 공작물(W)을 90° 회전시키며, 다시 하강시켜서 다시 좌우의 프레임체(14, 14)를 이동장치(2)에 클램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테이블(T)은 도 1, 도 4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대기상태의 공작물(W)의 Y축선방향 전방위치에 인덱스 테이블(3)과 동일 높이위치에 가장자리 부재(4)에 있어서의 좌우의 프레임체(14, 14)의 내반부 하면 사이의 가로 폭 치수를 가져서 수평형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서보모터(M1)를 구동시켜서 이동장치(2)를 Y축선방향으로 전진시키면 인덱스 테이블(3)로부터 공작물(W) 이면 전체면이 미끄럼 접촉하도록 옮겨가게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높이 조정 나사(100)의 진퇴로, 중간 지지체(22b), 클램퍼 지지체(22c), 클램퍼(32)와 함께 공작물(W)이 높이 조정 가능하므로 공작물(W)의 두 께에 따라서 높이 조정해서, 공작물(W) 이면 전체면을 테이블면(t)에 미끄럼 접촉하도록 옮겨가게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절단가공기(1)는 도 1, 도 2, 도 4, 도 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1)의 좌우 프레임(11a, 11a) 내면의 상반부, 하반부에 외측 가이드 레일(GL, GL) 각각을 세로로 설치하여, 본체 프레임(11)의 상부 프레임(11b)과 하부 프레임(11c)에 각각 개별로 설치한 서보모터(M6, M6)를 구동원으로 하는 볼 나사(m)로 연결되는 상부 Z축선 새들(21), 하부 Z축선 램(31)을 상부 프레임(11b)의 바로 아래, 하부 프레임(11c)의 바로 위에 각각 설치하며, 상부 Z축선 새들(21), 하부 Z축선 램(31)의 양단에 상기 가이드 레일(GL, GL)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외측에 끼워 맞추는 안내부(21a, 31a)를 돌출하여 설치해서 상부 Z축선 새들(21), 하부 Z축선 램(31)을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고, 상부 Z축선 새들(21)을 하면을 개방한 내부 중공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그 하단에 상부 스트리퍼(ST1)를 설치하고, 상부 Z축선 새들(21) 내면에 설치한 가이드 레일(GL, GL)에 상부 Z축선 램(41)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함과 아울러 상부 Z축선 새들(21)의 상단에 설치된 서보모터(M7)에 그 상부 Z축선 램(41)에 연결하며, 상기 상부 Z축선 램(41)에 커터 홀더(CH)를 개재해서 상부 절단날(C1)을, 또한 하부 Z축선 램(31)에 커터 홀더(CH)를 개재해서 하부 절단날(C2)을 각각 부착하며, 또한 본체 프레임(11)에 있어서의 좌우 프레임(11a, 11a)의 도중에 공작물(W)의 표면 가장자리에 소정 피치마다 실시한 마크(WM)를 촬상하는 마크위치 검출수단(5)인 카메라를 출입할 수 있게 설치하고, 또한 그 테이블(T)에 있어서 상부 스트리퍼(ST1)와 대응해서 공작물 접촉면인 하부 스트리퍼(ST2)를 테이블(T)과 동일 높이로 이동할 수 없게 고정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또한, 절단가공기(1)는 상하 절단날(C1, C2) 상호의 날 폭방향으로 위치 어긋남을 검출하는 제1 날끝검출수단(D1)과, 절단날(C1, C2)의 날 길이방향의 경사상태를 검출하는 제2 날끝검출수단(D2)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1 날끝검출수단(D1)은 절단가공작업의 전단계에서 서보모터(M6, M6, M7)를 제어해서, 날끝끼리를 접근 혹은 접촉관계로 한 상태의 양 날끝을 촬상하여, 화상회절에 의해서 위치 어긋남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마크위치 검출수단(5)인 카메라를 사용해서, 양 날끝의 날 폭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마크위치 검출수단(5)인 카메라를 상하 회전 가능하게 하여, 상방에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서 양 날끝을 촬상하도록 되어 있다.
제2 날끝검출수단(D2)은 도 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블(T)에 설치한 광 센서나 카메라이고, X축선방향으로 주행해서 테이블면(t)이나 스트리퍼(ST1, ST2)에 대한 날끝의 평행도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검출결과로 커터 홀더(CH)에 대한 절단날(C1, C2)의 부착이 미세조정된다.
또한, 상기 절단가공기(1)는 상부 Z축선 램(41), 하부 Z축선 램(31)에 설치한 세트 포스트(51)를 커터 홀더(CH)에도 개공된 세트 포스트 구멍(61)에 빈틈없이 끼워 맞추어 다이세트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테이블면(t) 또는 하부 스트리퍼(ST2) 표면, 혹은 그 테이블면(t)과 하부 스트리퍼(ST2) 표면을 가열수단(도시생략)으로 가열해서, 하프커트 대상인 공작물(W)을 가열하여 부드럽게 해서 절단하기 쉽게 하고 있다.
상기 상하 한 쌍의 절단날(C1, C2)은 상기 가장 대형인 구멍(W1)에 가고정되는 공작물(W)의 폭 치수보다 길지만 평행하는 프레임체(14, 14) 사이보다 짧은 소정 길이 날 길이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는 절단가공장치(A)는, 도 1에 나타내는 이동장치(2) 선단의 클램퍼(32)로 공작물 홀더용 시트(WH) 둘레 가장자리의 가장자리 부재(4)의 좌우 프레임체(14, 14) 외반부를 해제할 수 있게 클램프하고 있는 대기상태에서 서보모터(M1)를 작동시켜서, 테이블(T) 위를 공작물(W)이 미끄럼 접촉하도록 소정 이송 피치, 즉 마크(WM)의 피치로써 공작물 홀더용 시트(WH)를 Y축선방향으로 제어 이동할 때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입하는 마크위치 검출수단(카메라)(5)으로 표면의 평행 가장자리부 동일 위치에 존재하는 마크(WM)를 촬상하고, 화상처리해서 각각의 마크(WM)의 기억좌표값(X0-Y0, X0-Y0)과, 실측좌표값(X1-Y1, X1-Y1)을 비교연산해서 얻어진 이송오차의 수정 데이터로써 이동장치(2), 즉 공작물 홀더용 시트(WH)를 Y축선방향, θ방향으로 제어해서 이송오차에 의한 마크(WM)의 위치를 보정하고 나서, 마크위치 검출수단(카메라)(5)을 후퇴시키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스트리퍼(ST1)를 공작물(W)의 표면에 접근 혹은 접촉하도록 제어에 의해 하강시키고 나서, 상하 절단날(C1, C2)을 공작물(W)의 표면 동일 위치로 부터 절입량(V1, V1)을 분담하도록 동기하여 제어 이동시켜서, 공작물 홀더용 시트(WH)의 표면, 이면에 접촉하기 직전까지 동시 또는 시간차를 두고 커팅을 한다.
예를 들면, 공작물(W)의 두께가 0.4㎜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두께를 0.1㎜ 정도로 하는 공작물 홀더용 시트(WH)를 사용하고, 또한 공작물(W)의 두께를 1㎜~5㎜로 하는 것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두께를 0.3㎜ 정도의 공작물 홀더용 시트(WH)를 사용해서, 상하 한 쌍의 절단날(C1, C2)의 절입분담량을 상하 절단날(C1)의 날끝이 공작물 홀더용 시트(WH)의 표면에, 또한 하부 절단날(C2)의 날끝이 공작물 홀더용 시트(WH)의 이면에 각각 접촉하기 직전으로 설정해서, 상기와 같이 절입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마크위치 검출수단(5)에서의 마크(WM)의 촬상, θ방향으로의 제어 이동, 마크위치 검출수단(5)의 소정 위치로의 복귀, 상부 스트리퍼(ST2)의 소정 높이 위치까지의 하강, 절입을 마크피치에서의 마크 홀더용 시트(WH)의 Y축선방향으로의 제어 이동시에 행한다.
그리고 좌우의 프레임체(14, 14)가 인덱스 테이블(3)에 적재지지되도록 Y축선방향으로 후퇴시킨 후, 클램퍼(32)를 해제하고 나서 인덱스 테이블(3)을 상승시켜 90° 회전하여 하강시켜서 다시 공작물 홀더용 시트(WH) 둘레 가장자리의 좌우의 프레임체(14, 14) 외반부를 끼워 지지시키고나서 상술과 같이 소정 이송 피치, 즉 마크(WM)의 피치로써 공작물 홀더용 시트(WH)를 Y축선방향으로 제어 이동할 때마다, 마크위치 검출수단(5)에서의 마크(WM)의 촬상, θ방향으로의 제어 이동, 마크위치 검출수단(5)의 소정 위치로의 복귀, 상부 스트리퍼(ST1)의 소정 높이 위치까지의 하강, 절입을 마크 피치에서의 마크 홀더용 시트(WH)의 Y축선방향으로의 제어 이동시에 행해서, 공작물(W)을, 자투리를 만들어 내지 않고 바둑판 눈금 형상으로 하프커트한다(도 8 참조).
상부 절단날(C1)을 공작물(W)로부터 빼낼 때까지 상부 스트리퍼(ST1)는 공작물(W)의 표면에 접근 또는 접촉시켜서 사용하는 것이 당연하다.
또한, 상기 가고정수단인 테이프(W2)를 박리하면, 공작물 홀더용 시트(WH)는 내용기간까지 사용 가능하게 바둑판 눈금 형상으로 하프커트된 공작물(W)로부터 분리된다.
바둑판 눈금 형상으로 하프커트된 공작물(W)은 소성 후에 그 절입 부분으로부터 절단 숫돌(도시생략)로 분단해서,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상의 적층기판이나 적층형 전자부품으로 이루어지는 칩형상물을 얻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1의 실시형태에서는 공작물을 하프커트할 때의 상부 절단날(C1)이 내리누르는 힘을 받아서 공작물(W)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공작물 홀더용 시트(WH)를 절단하는 일 없이 공작물(W)을 전체 폭에 걸쳐서 하프커트할 수 있다.
[실시예2]
다음에, 절단가공방법을 실시하는 절단가공장치의 제2의 실시형태를 도 9에 기초해서 설명하면, 이 실시형태의 클램퍼(32)는 가장자리 부재(14)에 있어서의 Y축선방향 전후의 프레임체(14, 14)를 해제 가능하게 클램프한 것이다.
클램퍼(32)는, 상세하게는 상기 클램프 지지체(22c)에 각 Y축선방향으로 평 행한 구성편(32b')을 평판형상으로 하고, 그 구성편(32b') 양단 사이를 연결하여 설치하는 구성편(32b")을 L형상으로 하는 직사각형 프레임(32b)을 절단가공기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하며, 그 전후의 구성편(32b")에 회전체(32a")를 축고정하는 한편, 그 전후의 구성편(32b")의 수평편부(32b"-1)에 대응해서 그 수평편부(32b"-1)를 수용하는 오목부(14a)를 가장자리 부재(4)에 있어서의 상기 전후의 프레임체(14, 14)에 오목하게 형성해서, 전후의 구성편(32b", 32b")과, 그 회전체(32a", 32a")로 전후의 클램퍼체(32a, 32a)를 구성하여, 전후의 구성편(32b", 32b")에 있어서의 수평판부(32b"-1, 32b"-1)를 각각 오목부(14a, 14a)에 수용한 상태에서, 전후의 수평편부(32b"-1, 32b"-1)와 그 회전체(32a", 32a")로 전후의 프레임체(14, 14)를 끼워 지지할 수 있게 해서, 공작물(W)의 이면과 동일 높이 위치 또는 그것보다 높은 위치에 상기하는 전후의 구성편(32b")의 수평편부(32b"-1)가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공작물(W)의 이면은 상기 제1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공작물 홀더용 시트(WH)에 가고정한 상태에서 가장자리 부재(4)의 하면과 동일 높이 혹은 그것보다 약간 낮은 높이가 되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제1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이동장치(2)를 Y축선방향으로 전진시키면, 인덱스 테이블(3)로부터 공작물(W) 이면 전체면이 미끄럼 접촉하도록 테이블(T)에 옮기게 되어 있다.
[실시예3]
다음에, 절단가공방법을 실시하는 절단가공장치의 제3의 실시형태를 도 10에 기초해서 설명하면, 이 실시형태는 공작물 지지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는 공작물 홀더용 시트(WH)를 탄성변형을 허용하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성형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공작물 홀더용 시트(WH)를 탄성변형을 허용하는 합성수지재로 성형했을 경우에는, 그 탄성변형기능으로 공작물(W) 이면이 테이블면(t)에 대해서 완전하게 미끄럼 접촉하는 관계로 되어 있지 않을 경우라도 공작물(W) 자중으로 탄성변형하여 테이블면(t)에 미끄럼 접촉할 수 있게 되어, 공작물 홀더용 시트(WH)의 공작물(W)에 대한 부착위치에 고정밀도를 요구하지 않게 된다.
[실시예4]
다음에, 절단가공방법을 실시하는 절단가공장치의 제4의 실시형태를 도 11에 기초해서 설명하면, 이 실시형태는 공작물(W) 두께의 증감에 관계없이 클램퍼(32)를 공용할 수 있는 공작물 지지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공작물 홀더용 시트(WH)의 가장자리 부재(4)는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WH)의 가장자리에 설치한 가장자리체(24)와, 이동장치(2)의 클램퍼(32)로 공작물(W)을 간접적으로 클램프하는 본체(34)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34)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장치(2)의 클램퍼(32)로 해제 가능하게 클램프되는 직사각형부(34a)의 내단 상부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암 판부(34b)를 돌출하여 설치해서 암 판부(34b) 하방에 공간(S)을 확보하고, 그 암 판부(34b)에 적절한 간격을 두어서 오목부(34b')를 설치하고, 상기 오목부(34b') 바닥에 통과구멍을 개공하고 있다.
한편, 상기 암 판부(34b)에 대응하는 좌우의 가장자리체(24, 24) 부분에는 나사구멍(24a)을 개공하고, 상기 오목부(34b')에 머리부가 수용되는 나사(6)의 축부를 그 나사구멍(24a)에 비틀어 끼워서, 나사(6)의 회전으로 상기 공간(S)을 이용해서 공작물(W)의 높이를 조정하고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하면, 절단대상이 되는 공작물(W) 두께가 변화되어도, 클램퍼(32) 위치를 변화시키지 않고 공작물(W)을 절단가공기(1)의 테이블면을 기준면으로 하는 테이블에 미끄럼 접촉시킬 수 있다.
[실시예5]
다음에 도 12, 도 13에 나타내는 제5의 실시형태를 설명하면, 이 실시형태는 상기 가장자리 부재(4)로 둘레 가장자리를 보강하는 일 없이 이동장치(2)의 클램퍼(32)로 공작물 홀더용 시트(WH)를 직접 해제할 수 있게 클램프하는 공작물 지지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6]
또한 도 14, 도 15에 나타내는 제6의 실시형태를 설명하면, 공작물(W)을 전체 폭에 걸쳐서 풀커트할 경우의 공작물 지지구조를 나타내고, 공작물 홀더용 시트(WH)를 절단할 수 있는 재료(예를 들면 합성지(종이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한))로 성형한 점 이외에는 상기하는 제1의 실시형태와 같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동장치(2)의 클램퍼(32)로 해제 가능하게 클램프함과 아울러 상하 한 쌍의 절단날(C1, C2) 양 끝부가 환상판부(W')의 상방에 임하는 형태로 해서, 공작물(W)을 수평방향으로 소정 피치당 이동시켜서 그 상하 한 쌍의 절 단날(C1, C2)로 공작물(W)과 함께 공작물 홀더용 시트(WH)를 완전 절단(풀커트)하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상기하는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자투리를 만들어내는 일 없이 공작물(W)을 전체 폭에 걸쳐서 바둑판 눈금 형상으로 풀커트해서 칩형상물을 얻은 후, 그 공작물 홀더용 시트(WH)는 폐기된다.
또한, 공작물(W)을 수평으로 이동시켜서 공작물을 90°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전, 90°회전시킨 후에 그 절단날(C1, C2)을 작동시켜서 절단하는 것이 상기하는 실시형태와 같다.
또한, 도면에서는 공작물 홀더용 시트(WH)를 클램퍼(32)로 직접 클램프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7]
도 16~도 19는 공작물 홀더용 시트의 예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16은 직접 클램프하는 예, 도 17은 직접 클램프하는 공작물 홀더용 시트(WH)에 개공된 구멍(W1)의 코너에 공작물 적재단차부(W1')를 단설(段設) 형성해서, 그 공작물 적재단차부(W1')에 공작물(W)을 박리할 수 있게 적재하는 예를, 도 18은 도 6이나 도 7에 나타내는 예를, 도 19는 도 11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8]
또한, 도 20은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공작물 홀더(WH1)의 상면에 둘레 가장자리부를 적재해서 테이프 등의 가고정수단(W2)으로 공작물(W)을 착탈할 수 있게 유지한 공작물 지지구조를 사용해서 상하 절단날(C1, C2)로 분담하여 풀커트 또는 하프커트하는 절단가공방법을 실시하는 절단가공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20은 그 절단가공시의 상태를 부분적으로 확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20은, 상기 제1의 실시형태의 절단가공기에 있어서 공작물 접촉면인 하부 스트리퍼(ST2)를, 테이블(T)를 도려내어 관통해서 하부 절단날(C2)과 독립해서 상하 높이 제어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테이블(T) 위를 소정 피치당 이동할 때에 공작물 홀더(WH1)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그 하부 스트리퍼(ST2)를 제어 이동시켜서, 하위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공작물 커트시에 하부 스트리퍼(ST2)를 공작물(W) 이면 높이 위치까지 제어 이동시켜서, 상부 절단날(C1) 절입시의 상부 절단날(C1)에 의한 공작물(W)의 내리누름을 하부 스트리퍼(ST2)로 방지하고, 그리고 하부 절단날(C2) 절입시의 하부 절단날(C2)에 의한 공작물(W)의 밀어올림을 공작물(W)의 표면에 접근 또는 접촉하도록 제어 이동시킨 상부 스트리퍼(ST1)로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부 절단날(C1)을 공작물(W)로부터 빼낼 때까지 상부 스트리퍼(ST1)는 공작물(W)의 표면에 접근 또는 접촉시키고, 하부 절단날(C2)을 공작물(W)로부터 빼낼 때에도 하부 스트리퍼(ST2)는 공작물(W)의 이면의 높이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상기 제1의 실시형태와 같다.
또한, 도 20에서 나타내는 실시형태는 상하 절단날(C1, C2)을 동시에 절입하거나, 시간차를 두고 절입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하면 하기의 이점이 있다.
테이블면 측에 절단날 커팅시에 그 절단날이 내리누르는 힘을 받아서 공작물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공작물을 소정의 피치에서 고정밀도로 커트할 수 있다.
또한, 공작물이 공작물 홀더의 상면에 가고정되는 지지구조이어도, 공작물 접촉면을 상하 높이 제어 이동 가능하게 해서 절단가공기에 이동시킬 때에 공작물 홀더와의 간섭을 회피하여, 상부 절단날의 절입시에 공작물 이면높이로 제어 이동해서, 상부 절단날이 내리누르는 힘을 받아서 공작물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하 절단날을 사용해서 공작물을 하프커트나 풀커트할 때에 하부 스트리퍼를 절단가공기의 테이블면과 같은 높이에 고정적으로 설치해 두면 좋고, 하부 스트리퍼의 상하 높이 조정을 기다리지 않고, 연속해서 커트 작업을 실행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작물을, 자투리를 생기게 하는 일 없이 전체 폭에 걸쳐서 하프커트할 수 있고, 또한 공작물 홀더용 시트를 절단시키지 않고 내용기간까지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공작물을 자투리를 발생시키지 않고 전체 폭에 걸쳐서 풀커프할 수 있다.
상부 스트리퍼를, 하부 절단날 절입할 때의 공작물의 밀어올림을 방지하는 스토퍼, 하부 스트리퍼를, 상부 절단날 절입할 때의 공작물의 내리누름을 방지하는 스토퍼로서 겸무할 수 있어 보다 고정밀도의 커트를 행할 수 있고, 상하 스트리퍼를 상하 높이 제어 이동 가능하게 하고 있으므로 상하 절단날로 분담해서 하프커트, 풀커트할 때에 하부 스트리퍼의 공작물 홀더와의 간섭을 방지해서 상부 절단날의 절입시에 공작물 이면높이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스트리퍼가 절단가공기의 테이블면과 같은 높이에 고정되는 구성이므로, 높이제어수단이 불필요해서 설치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공작물 홀더로 지지되는 공작물 이면에 접촉하도록 공작물 접촉면을 상하 높이제어 가능하게 했을 경우와 같이, 공작물의 크기에 따라서 길이 치수가 다른 공작물 접촉면을 제작 준비할 필요가 없어서, 장치비용을 저감할 수 있으며 교환작업도 불필요하다.
공작물 홀더용 시트를 절단하는 일 없이 하프커트하므로, 자투리를 발생시키지 않고 공작물을 구석구석까지 유효하게 활용하고, 또한 공작물 홀더용 시트를 내용기간까지 반복사용시키므로 경제적 효과가 크다.
공작물을, 자투리를 발생시키지 않고 전체 폭에 걸쳐서 하프커트하여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프커트 또는 풀커트 대상이 되는 공작물의 두께가 변화되는 일이 있어도, 이동장치의 클램퍼로 클램프되는 본체가 변경되지 않고 그 클램퍼 기구를 공작물의 두께에 대응해서 교환할 필요가 없다.
하부 스트리퍼 표면, 테이블면은 상하 이동되지 않으므로 가열수단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되고, 절단날 바로 아래에 이동시키는 공작물을 직접 가열해서 부드럽게 하여 절단을 보조하는 보조장치로서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커터 홀더가, 구동원에 연락하여 Z축선방향으로 제어 이동되는 램으로 다이세트를 구성하고 있고, 재현성을 가져서 절단날을 소정위치에 고정밀도로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하 절단날 날끝 상호의 날 폭방향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1 날끝검출수단이나, 절단날의 날 길이방향의 경사상태를 검출하는 제2 날끝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하의 절단날을 사용해서 커트(하프커트, 풀커트)할 때의 날끝끼리의 위치 어긋남이나, 날 길이방향의 경사이동오차를 검출할 수 있어, 날끝이 파손되거나, 커트가 불완전하거나, 고정밀도의 커트를 불가능하게 하는 일이 없다.
자투리를 만들어내는 일 없이 공작물을 전체 폭에 걸쳐서 하프커트, 풀커트할 수 있는 절단가공방법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공작물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공작물을 착탈할 수 있게 지지하는 공작물 홀더와, 상기 공작물 홀더를 클램프해서 소정 피치씩 이동시키는 이동장치와, 상부 절단날과 하부 절단날을 구비한 절단가공기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공작물 홀더를 소정 피치씩 이동시킬 때에 상기 상부 절단날과 상기 하부 절단날로 공작물을 하프커트하는 절단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단가공기는, 상기 상부 절단날의 절입 위치 주위에서 공작물의 표면에 접근 또는 접촉하는 상부 스트리퍼와, 상기 상부 스트리퍼와 대응하여 상기 공작물의 이면측의 접촉면으로 되는 하부 스트리퍼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스트리퍼를 상기 상부 절단날과는 독립하여 상하 높이 제어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공작물 홀더를 공작물의 두께보다도 박육인 공작물 홀더용 시트로 구성하고,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는, 공작물의 외형과 동형 혹은 합치하는 형상의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의 구멍에 공작물을 삽입해서 상기 공작물을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에 가고정하고, 상기 상부 절단날과 상기 하부 절단날로 공작물을 하프커트할 때에 상기 상부 절단날과 상기 하부 절단날의 양쪽이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를 공작물 두께의 중간 영역에 위치시키고 있으며,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를 클램프하여 이동시킬 때에 상기 절단가공기의 테이블면에 공작물 이면 전체면이 미끄럼 접촉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하부 스트리퍼를 상기 절단가공기의 테이블면 높이에 고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가공장치.
  8. 공작물을 착탈할 수 있게 지지하는 공작물 홀더와, 상기 공작물 홀더를 클램프해서 소정 피치씩 이동시키는 이동장치와, 상부 절단날과 하부 절단날을 구비한 절단가공기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공작물 홀더를 소정 피치씩 이동시킬 때에 상기 상부 절단날과 상기 하부 절단날로 분담해서 공작물을 풀커트하는 절단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단가공기는, 상기 상부 절단날의 절입 위치 주위에서 공작물의 표면에 접근 또는 접촉하는 상부 스트리퍼와, 상기 상부 스트리퍼와 대응하여 상기 공작물의 이면측의 접촉면으로 되는 하부 스트리퍼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스트리퍼를 상기 상부 절단날과는 독립하여 상하 높이 제어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공작물 홀더를 공작물의 두께보다도 박육인 공작물 홀더용 시트로 구성하고,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는, 공작물의 외형과 동형 혹은 합치하는 형상의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의 구멍에 공작물을 삽입해서 상기 공작물을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에 가고정하고, 상기 상부 절단날과 상기 하부 절단날로 분담해서 공작물을 풀커트하고,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를 클램프하여 이동시킬 때에 상기 절단가공기의 테이블면에 공작물 이면 전체면이 미끄럼 접촉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하부 스트리퍼를 상기 절단가공기의 테이블면 높이에 고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가공장치.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가공기는, 공작물에 소정 간격을 두고 붙어 있는 마크를 검출하는 마크위치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장치가 공작물을 소정 피치씩 이동시킬 때에, 상기 마크의 위치 어긋남을 상기 마크위치 검출수단으로 검출해서, 상기 이동장치를 절단가공기로의 이동방향인 Y축선방향, θ방향 또는 Y축선방향, θ방향, X축선방향으로 보정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가공장치.
  10. 삭제
  11.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의 클램퍼 또는 테이블면을 높 이 조정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가공장치.
  12.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 홀더용 시트에 가장자리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가장자리 부재는 공작물 홀더용 시트의 가장자리에 설치한 가장자리체와, 상기 이동장치의 클램퍼로 공작물이 간접적으로 클램프되는 본체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에 상기 가장자리체를 높이 조정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가공장치.
  13.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가공기의 테이블면 또는 상기 하부 스트리퍼 표면 혹은 상기 테이블면과 상기 하부 스트리퍼 표면을 가열수단으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가공장치.
  14.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가공기는 커터 홀더에 형성된 세트 포스트 구멍에 Z축선방향으로 제어 이동되는 램의 세트 포스트를 고정밀도로 끼워 맞추어 다이세트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가공장치.
  15.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가공기는 상부 절단날과 하부 절단날의 날끝 상호의 날 폭방향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1 날끝검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가공장치.
  16.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가공기는 상부 절단날과 하부 절단날의 날 길이방향의 경사상태를 검출하는 제2 날끝검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가공장치.
  17. 삭제
  18. 삭제
KR1020050131829A 2004-12-28 2005-12-28 절단가공장치 KR1013106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80812 2004-12-28
JP2004380812A JP4780752B2 (ja) 2004-12-28 2004-12-28 切断加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749A KR20060079749A (ko) 2006-07-06
KR101310693B1 true KR101310693B1 (ko) 2013-09-25

Family

ID=36735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1829A KR101310693B1 (ko) 2004-12-28 2005-12-28 절단가공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780752B2 (ko)
KR (1) KR101310693B1 (ko)
CN (1) CN1796062B (ko)
TW (1) TW20063572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08258A1 (de) * 2007-02-20 2008-08-21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Nickbreaker
DE102007061427B4 (de) * 2007-12-20 2009-11-12 Airbus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zum Zuschneiden und Handhaben eines im Wesentlichen flächenhaften Zuschnittes aus einem CFK-Halbzeug und Verfahren
JP5563752B2 (ja) * 2008-06-26 2014-07-30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JP5791926B2 (ja) * 2011-03-16 2015-10-07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カッティング装置及びカットデータ生成プログラム
JP5197870B1 (ja) * 2012-02-11 2013-05-15 株式会社メイク・ア・ボックス 打抜機のバランス補正シートの作製方法、打抜機のバランス補正型、並びに打抜機のバランス補正方法、及び打抜機のバランス補正シート
CN102773547A (zh) * 2012-07-23 2012-11-14 陈道宝 一种z型工件剪切机压紧装置
ITMI20130113A1 (it) * 2013-01-25 2014-07-26 Comelz Spa Dispositivo di trattenimento di materiali sintetici multistrati su tavoli di taglio e simili.
CN104608162B (zh) * 2014-12-30 2016-08-17 东莞理工学院 一种数控卷料振动刀切割设备
CN105690483A (zh) * 2016-03-29 2016-06-22 江苏通用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裁切保护功能的成型机超声波裁刀装置
CN105750614B (zh) * 2016-04-25 2018-02-23 华中科技大学 一种脉冲电磁剪切装置
CN107042534A (zh) * 2017-06-14 2017-08-15 苏州宇希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用保温板降尘切除装置
CN110576215B (zh) * 2018-07-23 2024-07-19 蓝思精密(泰州)有限公司 管材切割设备及切割方法
CN109082875A (zh) * 2018-10-26 2018-12-25 江苏四方纺线有限责任公司 一种纺织布料生产用裁边装置
CN111778706B (zh) * 2020-08-24 2022-03-18 安徽优优时尚科技有限公司 一种裁床布料用一体式导送裁剪装置
CN112958821A (zh) * 2021-02-04 2021-06-15 深圳德龙激光智能有限公司 一种电芯极耳裁切装置
CN113172269B (zh) * 2021-04-26 2023-12-19 江苏立讯机器人有限公司 一种裁切装置
CN115723260A (zh) * 2022-10-28 2023-03-03 江苏维福特科技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蓝宝石多工位切割机
CN116213818B (zh) * 2023-03-02 2024-07-12 江苏新正创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冷弯型材端面几何角度的仿形剪切装置
KR102575676B1 (ko) * 2023-05-24 2023-09-06 권상현 시트지 절취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9229A (ja) * 1991-03-05 1992-10-05 Murata Mach Ltd 板材加工機のワーク送り装置
JPH10328886A (ja) * 1997-05-29 1998-12-15 Sumitomo Heavy Ind Ltd 薄板シートの加工用保持装置及び保持方法
JP2002307384A (ja) * 2001-04-13 2002-10-23 Uht Corp ワークホルダへのワークの保持構造及びそのワークホルダへのワークの保持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4034319A (ja) * 2002-06-28 2004-02-05 Uht Corp 積層板の切断方法及びその切断方法に使用するハーフカッ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1425A (en) * 1979-03-24 1980-10-13 Murata Mach Ltd Work processing in shearing machine
JP2608969B2 (ja) * 1990-05-31 1997-05-14 ユーエイチティー株式会社 スルーホール成形におけるワーク制御方法
CN1022550C (zh) * 1990-09-01 1993-10-27 杭州橡胶总厂 轮胎胎面切割装置
CN2141755Y (zh) * 1992-12-10 1993-09-08 陈明湖 切断机
US5542325A (en) * 1994-08-30 1996-08-06 Bane, Iii; Wiliam W. Sheet cutting apparatus
JP3201516B2 (ja) * 1997-07-18 2001-08-20 ユーエイチティー株式会社 穿孔装置
JP2002326184A (ja) * 2001-05-01 2002-11-12 Kyodo Seiki:Kk 断裁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9229A (ja) * 1991-03-05 1992-10-05 Murata Mach Ltd 板材加工機のワーク送り装置
JPH10328886A (ja) * 1997-05-29 1998-12-15 Sumitomo Heavy Ind Ltd 薄板シートの加工用保持装置及び保持方法
JP2002307384A (ja) * 2001-04-13 2002-10-23 Uht Corp ワークホルダへのワークの保持構造及びそのワークホルダへのワークの保持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4034319A (ja) * 2002-06-28 2004-02-05 Uht Corp 積層板の切断方法及びその切断方法に使用するハーフカッ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749A (ko) 2006-07-06
CN1796062A (zh) 2006-07-05
TWI308516B (ko) 2009-04-11
TW200635727A (en) 2006-10-16
JP2006181704A (ja) 2006-07-13
CN1796062B (zh) 2010-07-07
JP4780752B2 (ja) 201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693B1 (ko) 절단가공장치
KR100621453B1 (ko) 적층판의 절단방법 및 그 절단방법에 사용하는 하프커트장치
CN103713409A (zh) 一种液晶面板切割装置及切割方法
CN100491045C (zh) 薄板激光切割焊接机
CN106961785B (zh) 一种fpc补强板的全自动冲制贴合机
CN1203979C (zh) 热融接塑料物体并去除凸边的装置
CN217373304U (zh) 剪胶装置
CN217648015U (zh) 一种用于数控切割机的导向机构
CN214779045U (zh) 一种石墨片进料机构
CN211993640U (zh) 一种半导体单晶硅片金刚线切割用晶向修正夹具及应用其的切割装置
CN112440399B (zh) 晶棒固定治具
JP4051422B2 (ja) 基板分断方法および基板分断装置
JP3890992B2 (ja) マザーガラス基板の切断用溝形成方法及びその装置
CN219352010U (zh) 一种新型fpc视觉全自动贴合机
CN218801961U (zh) 用于耳机壳装带pin针压感片的装置
CN211680187U (zh) 一种pcb板铣板机
CN221363739U (zh) 一种便于快速换型的滑板加工工装
CN213320378U (zh) 一种纸板印刷用定距切边机
CN109580311B (zh) 制样机及制样机的使用方法
CN218659303U (zh) 一种切刀机构及电芯切边设备
CN212570947U (zh) 切割分离装置
CN219254722U (zh) 一种电路设计电子元器件定位工装
CN211518833U (zh) 一种移印机定位机构
CN219216754U (zh) 定位移料装置和移料加工设备
CN218310330U (zh) 一种用于霍尔传感器外壳的加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