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133B1 - 틸트기구 및 슬라이드장치 - Google Patents

틸트기구 및 슬라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133B1
KR101303133B1 KR1020117028740A KR20117028740A KR101303133B1 KR 101303133 B1 KR101303133 B1 KR 101303133B1 KR 1020117028740 A KR1020117028740 A KR 1020117028740A KR 20117028740 A KR20117028740 A KR 20117028740A KR 101303133 B1 KR101303133 B1 KR 101303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base
slide plate
respect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8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8318A (ko
Inventor
야스히로 미츠이
테츠야 카츠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8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틸트기구는 베이스; 베이스에 대해 요동가능하게 장착된 요동프레임; 요동프레임에 장착되고 회전함으로써 요동프레임에 대해 승강동작을 하는 승강부재; 베이스에 형성된 개구의 내벽에 형성된 캠부; 및 승강부재에 외측을 향해 돌출형성됨과 동시에 캠부와 체결하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승강부재의 회전에 수반하여 베이스에 대해 승강부재를 경사시키도록 힘을 가하는 캠기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틸트기구 및 슬라이드장치{TILTING MECHANISM AND SLIDING DEVICE}
본발명은 틸트기구 및 슬라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장치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틸트기구 및 슬라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장치의 일종으로서 숫자패드 등이 배설된 제 1 케이싱에 대해 액정표시장치 등이 배설된 제 2 케이싱이 슬라이드가능하게 구성된 휴대전화기가 제공된다. 이러한 종류의 휴대전화기에는 케이싱의 슬라이드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슬라이드기구가 내설된다. 이러한 종류의 슬라이드기구로서는, 예를 들어, 아래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구가 알려져 있다.
한편, 최근에는 휴대전화기의 다기능화가 도모되고 있어 휴대전화기에 구비된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하여 텔레비젼 방송을 수신해 표시하는 것이 제공된다. 이와 같이, 액정표시장치에 표시되는 화상을 비교적 장시간에 걸쳐 보는 경우, 제 1 케이싱에 대해 제 2 케이싱을 단순히 수평으로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기구에서는 액정표시장치에 대한 시인성이 낮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아래의 특허문헌 2나 특허문헌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 1 케이싱에 대해 액정표시장치가 배설된 제 2 케이싱을 기울이는 틸트기구를 형성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의 시인성을 향상시킨 휴대전화기가 제공된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5-210649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9-071511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9-027520호
그러나, 종래의 틸트기구는 조작자가 수동으로 제 1 케이싱에 대해 제 2 케이싱을 회전운동시켜 제 1 케이싱에 대해 제 2 케이싱을 틸트시키는(경사시키는) 구성이므로 조작성이 나쁘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틸트기구는 제 1 케이싱에 대해 제 2 케이싱을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기구와 제 1 케이싱에 대해 제 2 케이싱을 틸트시키는 틸트기구를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부품수가 증가함과 함께 각 기구를 형성한 휴대전화기가 대형화되어 버린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조작성의 향상과 기구의 간단화를 가능하게 하는 틸트기구 및 슬라이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발명의 틸트기구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대해 요동가능하게 장착된 요동프레임; 상기 요동프레임에 장착되고 회전함으로써 상기 요동프레임에 대해 승강동작을 실시하는 승강부재;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개구의 내벽에 형성된 캠부; 및 상기 승강부재에 외측을 향해 돌출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캠부와 체결하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부재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기 승강부재를 경사시키도록 힘을 가하는 캠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발명의 슬라이드장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슬라이드플레이트에 힘을 가하는 스프링부재 및 틸트기구를 갖는 슬라이드장치로서, 상기 틸트기구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대해 요동가능하게 장착된 요동프레임; 상기 요동프레임에 장착되고 회전함으로써 상기 요동프레임에 대해 승강동작을 실시하는 승강부재;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개구의 내벽에 형성된 캠부; 및 상기 승강부재에 외측을 향해 돌출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캠부와 체결하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부재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기 승강부재를 경사시키도록 힘을 가하는 캠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상기 틸트기구에 장착하고, 상기 슬라이드플레이트와 상기 틸트기구의 상기 승강부재와의 사이에 연결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슬라이드플레이트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슬라이드함으로써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연결부재를 통하여 회전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상기 틸트기구에 의해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의 틸트기구 및 슬라이드장치에 의하면 승강부재의 회전에 수반하여 승강부재는 승강동작과 틸트동작을 동시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A는 본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슬라이드장치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슬라이드장치의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슬라이드장치를 적용한 휴대단말장치의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슬라이드장치를 적용한 휴대단말장치의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A에 나타낸 슬라이드장치의 스프링부재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나타낸 스프링부재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발명의 일실시형태의 틸트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4에 나타낸 틸트기구의 틸트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B는 도 4에 나타낸 틸트기구의 틸트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낸 틸트기구의 베이스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나타낸 틸트기구의 베이스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낸다 분해사시도이다.
도 8A는 도 4에 나타낸 틸트기구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B는 도 4에 나타낸 틸트기구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A는 도 4에 나타낸 틸트기구가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의 중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B는 도 4에 나타낸 틸트기구의 중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A는 도 4에 나타낸 틸트기구의 중간 상태로부터 더 슬라이드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B는 도 4에 나타낸 틸트기구의 중간 상태로부터 더 슬라이드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A는 도 4에 나타낸 틸트기구의 열린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B는 도 4에 나타낸 틸트기구의 열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A는 도 1A에 나타낸 슬라이드장치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B는 도 1A에 나타낸 슬라이드장치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2C는 도 1A에 나타낸 슬라이드장치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A는 도 1A에 나타낸 슬라이드장치의 중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B는 도 1A에 나타낸 슬라이드장치의 중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3C는 도 1A에 나타낸 슬라이드장치의 중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4A는 도 1A에 나타낸 슬라이드장치의 열린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B는 도 1A에 나타낸 슬라이드장치의 열린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4C는 도 1A에 나타낸 슬라이드장치의 열린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5A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슬라이드장치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B는 도 15A에 나타낸 슬라이드장치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5C는 도 15A에 나타낸 슬라이드장치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6A는 도 15A에 나타낸 슬라이드장치의 중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6B는 도 15A에 나타낸 슬라이드장치의 중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6C는 도 15A에 나타낸 슬라이드장치의 중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7A는 도 15A에 나타낸 슬라이드장치의 열린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7B는 도 15A에 나타낸 슬라이드장치의 열린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7C는 도 15A에 나타낸 슬라이드장치의 열린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본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와 도 1B는 본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슬라이드장치(10A)를 나타낸다.
슬라이드장치(10A)는 베이스플레이트(11), 슬라이드플레이트(12), 스프링부재(13A, 13B) 및 틸트기구(40A, 40B) 등을 구비한다. 슬라이드장치(10A)는 베이스플레이트(11)에 대해 슬라이드플레이트(12)를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화살표 X1, X2의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기능과 함께 슬라이드플레이트(12)를 X1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슬라이드플레이트(12)를 수평방향(X1, X2 방향)에 대해 각도(θ)만큼 상방으로 틸트하는(경사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2A와 도 2B는 슬라이드장치(10A)를 적용한 휴대단말장치(1)를 나타낸다. 휴대단말장치(1)는 본체부(2)와 덮개체부(3)를 구비하고 덮개체부(3)에는 액정표시장치(4)가 배설된다. 슬라이드장치(10A)의 베이스플레이트(11)는 본체부(2)에 고정되고, 슬라이드플레이트(12)는 덮개체부(3)에 고정된다.
도 2A는 휴대시의 휴대단말장치(1)를 나타낸다. 휴대시에는 슬라이드플레이트(12)는 베이스플레이트(11)에 대해 화살표 X2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덮개체부(3)는 본체부(2)의 상부에 포개어져 휴대성이 향상된다.
한편, 휴대단말장치(1)의 사용시에는 본체부(2)에 대해 덮개체부(3)를 화살표 X1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이로써 덮개체부(3)에 고정된 슬라이드플레이트(12)는 본체부(2)에 고정된 베이스플레이트(11)에 대해 화살표 X1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실시형태의 슬라이드장치(10A)는 슬라이드플레이트(12)를 X1 방향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슬라이드플레이트(12)를 수평방향에 대해 각도(θ)만큼 상방으로 틸트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덮개체부(3)를 X1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부(3)는 본체부(2)에 대해 각도(θ)만큼 상방으로 틸트한다. 이와 같이 액정표시장치(4)가 형성된 덮개체부(3)가 틸트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4)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슬라이드플레이트(12)가 베이스플레이트(11)에 대해 X2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경사지지 않은 상태)를 「닫힌 상태」라고 하고, 슬라이드플레이트(12)가 베이스플레이트(11)에 대해 X1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경사진 상태)를 「열린 상태」라고 하고, 나아가 슬라이드플레이트(12)가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의 중간에 위치한 상태를 「중간 상태」라고 한다.
도 1A와 도 1B에 나타낸 슬라이드장치(10A)에서 베이스플레이트(11)는 금속제의 판상부재이고, 그 양단부는 접어 구부러져 슬라이드 가이드부(16A, 16B)가 형성된다. 베이스플레이트(11)의 슬라이드 가이드부(16A, 16B)는 슬라이드플레이트(12)의 가이드레일부(18A, 18B)와 각각 체결한다. 따라서, 슬라이드플레이트(12)는 슬라이드 가이드부(16A, 16B)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베이스플레이트(11)에 대해 도 1A와 도 1B의 화살표 X1, X2 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지지된다.
베이스플레이트(11)는 후술할 틸트기구(40)의 샤프트부(70, 도 4 참조)의 선단부에 장착된다. 이로써 베이스플레이트(11)는 샤프트부(70)와 일체화되고 수직방향에 대한 샤프트부(70)의 축방향의 경사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11)가 경사(틸트)지는 구성을 갖는다(후술함).
슬라이드플레이트(12)는 본실시형태에서는 직사각형상의 금속평판을 이용하고 있다. 슬라이드플레이트(12)의 양측 테두리에는 베이스플레이트(11)의 슬라이드 가이드부(16A, 16B)와 각각 체결하는 가이드레일부(18A, 18B)가 형성된다.
슬라이드 가이드부(16A, 16B)는 슬라이드플레이트(12)의 양측 테두리를 대략 Z형상으로 접어 구부려 형성한 것이다(도 12B참조). 슬라이드 가이드부(16A, 16B)는 슬라이드 방향(화살표 X1, X2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드플레이트(12)의 가이드레일부(18A, 18B)의 내측 위치에는 슬라이드 방향(화살표 X1, X2 방향)으로 연장하는 장공(19A, 19B)이 형성된다.
샤프트부(70A, 70B)를 구비한 틸트기구(40A, 40B)는 베이스플레이트(11)의 하면측에 배치되고, 슬라이드플레이트(12)는 틸트기구(40A, 40B)의 상면측에 배치된다. 그러나 샤프트부(70A, 70B)는 슬라이드플레이트(12)에 형성된 장공(19A, 19B)을 관통하여 슬라이드플레이트(12)의 상면에 이르고 샤프트부(70A, 70B)의 각 선단부에 베이스플레이트(11)가 장착된다. 장공(19A, 19B)의 X1, X2 방향의 길이는 베이스플레이트(11)에 대한 슬라이드플레이트(12)의 슬라이드 거리에 대응하여 설정된다.
따라서, 베이스플레이트(11), 슬라이드플레이트(12) 및 틸트기구(40A, 40B)를 상술한 바와 같이 배치 형성한 슬라이드장치(10A)에서 샤프트부(70A, 70B)가 슬라이드플레이트(12)의 슬라이드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다. 즉, 슬라이드플레이트(12)가 베이스플레이트(11)에 대해 슬라이드할 때에 샤프트부(70A, 70B)는 상대적으로 장공(19A, 19B)내를 이동한다.
또한, 슬라이드플레이트(12)는 그 상변측 및 하변측에 각각 배치 형성한 1쌍의 스토퍼(20A) 및 1쌍의 스토퍼(20B)를 구비한다. 1쌍의 스토퍼(20A)는 슬라이드플레이트(12)의 X1 방향측의 상변 근방 위치에 배설된다. 또한, 1쌍의 스토퍼(20B)는 슬라이드플레이트(12)의 X2 방향측의 하변 근방 위치에 배설된다. 도 1A에 나타낸 닫힌 상태에서 스프링부재(13A, 13B)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플레이트(12)는 베이스플레이트(11)에 대해 X2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그러나 스토퍼(20A)가 베이스플레이트(11)와 맞닿음으로써 슬라이드플레이트(12)가 이 맞닿음 위치를 넘어 X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1B에 나타낸 열린 상태에서 스프링부재(13A, 13B)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플레이트(12)는 베이스플레이트(11)에 대해 X1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그러나 스토퍼(20B)가 베이스플레이트(11)와 맞닿음으로써 슬라이드플레이트(12)가 이 맞닿음 위치를 넘어 X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 다음으로 스프링부재(13A, 13B)에 대해 설명한다. 스프링부재(13A, 13B)는 베이스플레이트(11)에 대해 슬라이드플레이트(12)를 슬라이드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으로서의 기능과 슬라이드플레이트(12)와 틸트기구(40A, 40B)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서의 기능을 제공한다. 스프링부재(13A)의 일단부는 슬라이드플레이트(12)에 형성된 지지축(21A)에 장착되고 타단부는 틸트기구(40A)의 승강부재(43, 도 4 참조)에 장착된다. 또한, 스프링부재(13B)의 일단부는 슬라이드플레이트(12)에 형성된 지지축(21B)에 장착되고 타단부는 틸트기구(40B)의 승강부재(43)에 장착된다.
도 3A와 도 3B는 스프링부재(13)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스프링부재(13)의 조립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스프링부재(13)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스프링부재(13A, 13B)는 서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스프링부재(13A, 13B)에 공통되는 설명으로서 도 3A와 도 3B를 이용하여 스프링부재(13)의 구성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한다.
스프링부재(13)는 메인링크(23), 서브링크(24), 코일스프링(25) 및 스프링가이드케이스(26)를 구비한다. 메인링크(23) 및 서브링크(24)는 수지성형품이다. 메인링크(23)는 틸트기구(40A, 40B)에 장착되는 부재이며, 메인링크(23)에는 슬라이드편(23a), 스프링장착부(23b) 및 구멍(30)이 형성된다. 또한, 서브링크(24)는 지지축(21A, 21B)에 장착하는 부재이며, 서브링크(24)에는 슬라이드편(24a), 스프링장착부(24b) 및 구멍(31)이 형성된다.
메인링크(23)와 서브링크(24)는 슬라이드편(23a)과 슬라이드편(24a)이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슬라이드편(23a)은 메인링크(23)에 1개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드편(24a)은 서브링크(24)에 2개 형성된다. 슬라이드편(23a)은 1쌍의 스프링장착부(24b)의 사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걸어맞춰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스프링부재(13)는 슬라이드편(23a)과 스프링장착부(24b)가 상대적으로 도 3A와 도 3B의 화살표 B1, B2방향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그 전체 길이를 신축할 수 있다.
코일스프링(25)은 본실시형태에서는 4개가 배설된다. 각 코일스프링(25)의 화살표 B1방향측의 단부는 메인링크(23)의 스프링장착부(23b)에 장착되고, B2방향측의 단부는 서브링크(24)의 스프링장착부(24b)에 장착된다. 각 코일스프링(25)은 메인링크(23)와 서브링크(24)를 서로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스프링가이드케이스(26)는 직사각형상의 금속판의 양측부를 내측을 향해 접어 구부려 스프링 가이드부(32)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스프링부재(13)가 조립된 상태에서 코일스프링(25)은 스프링가이드케이스(26)의 스프링 가이드부(32)내에 수납된다. 이로써 B1, B2방향으로 비교적 긴 코일스프링(25)를 이용하여도 슬라이드 방향(B1, B2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코일스프링(25)이 휘어지는 것(buckling)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가이드케이스(26)는 메인링크(23) 및 서브링크(24)가 슬라이드 방향(B1, B2방향)과 상이한 방향(예를 들어, 도 3A의 화살표 C로 나타낸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메인링크(23)와 서브링크(24)의 슬라이드 동작을 정확하고 원활히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프링가이드케이스(26)는 단부(33)를 서브링크(24)에 끼움으로써 서브링크(24)에 고정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링크(23)에 형성된 구멍(30)에는 틸트기구(40A, 40B)의 샤프트부(70A, 70B)가 장착된다. 또한, 서브링크(24)에 형성된 구멍(31)에는 지지축(21A, 21B)이 삽입통과된다. 스프링부재(13)(13A, 13B)는 지지축(21A, 21B)에 의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그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11B를 이용하여 틸트기구(40A, 40B)에 대해 설명한다. 틸트기구(40A, 40B)는 서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틸트기구(40A, 40B)에 공통되는 설명으로서 도 4 내지 도 11B를 이용하여 틸트기구(4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도 5A 및 도 5B는 틸트기구(40)을 나타낸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도 6, 도 7A 및 도 7B는 베이스(41)을 떼어낸 상태의 틸트기구(40)를 나타낸 사시도와 분해사시도이다. 또, 도 8A 내지 도 11B는 틸트기구(4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틸트기구(40)는 베이스(41), 요동프레임(42), 승강부재(43) 및 캠기구(44) 등을 구비한다.
베이스(41)는 틸트기구(40)가 장착되는 휴대단말장치(1)의 본체부(2)에 고정된다. 베이스(41)는 금속판재를 접어 구부려 가공하여 형성되고, 고정부(46), 테이블부(47), 측면부(48)를 갖는다.
고정부(46)는 본체부(2)에 직접 고정되는 부재이며 나사고정용 구멍이 형성된다. 측면부(48)는 고정부(46)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고 후술할 지지축(54, 55)이 지지되는 축구멍(51A, 51B)(도 8A참조)이 측면부(48)에 형성된다. 테이블부(47)는 측면부(48)의 상부에 형성된다. 테이블부(47)는 고정부(46)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테이블부(47)의 대략 중앙위치에는 후술하는 캠돌기부(65, 66)와 캠기구(44)의 일부를 구성하는 캠구멍(50)이 형성된다.
도 8A를 이용하여 캠구멍(50)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도 8A는 도 4에 나타낸 틸트기구(40)의 닫힌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캠구멍(50)은 대략 원형상이고 X1, X2 방향에 대한 내경(dX)와 Y1, Y2방향에 대한 내경(dY)는 동일한 치수이다(dX=dY). 그러나 Y1, Y2방향에 대한 내경(dY)의 중심위치(도면에서 O1로 나타낸다)와 X1, X2 방향에 대한 내경(dX)의 중심위치(도면에서 O2로 나타낸다)는 서로 어긋나게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본실시형태에서는 캠구멍(50)의 X2 방향의 내주 가장자리에 오목부(50a)가 형성되고, 캠구멍(50)의 X1 방향의 내주 가장자리에는 볼록부(50b)가 형성된다. 본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50a)의 오목한 정도과 볼록부(50b)의 돌출한 정도는 동일하게 설정된다. 오목부(50a)의 오목한 정도 및 볼록부(50b)의 돌출한 정도를 ΔX로 나타내면 X1, X2 방향에 대한 내경(dX)의 중심위치(O2)는 Y1, Y2방향에 대한 내경(DY)의 중심위치(O1) 에 대해 X2 방향으로 ΔX만큼 어긋나도록 설정된다.
요동프레임(42)은 수지성형품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동프레임(42)은 프레임본체(52), 암나사부(53), 지지축(54, 55) 및 아암부(56, 57)를 일체적으로 형성한 구성이다. 암나사부(53)는 프레임본체(52)의 중앙에 형성된다. 후술할 승강부재(43)는 요동프레임(42)의 프레임본체(52)의 암나사부(53)에 나사체결된다.
프레임본체(52)의 일단부에는 아암부(56)가 형성되고, 아암부(56)에는 지지축(54)이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본체(52)의 타단부에는 1쌍의 아암부(57)가 형성되고, 1쌍의 아암부(57)의 중앙에는 지지축(55)이 형성된다.
승강부재(43)는 본체부(60)와 샤프트부(70)를 구비한다. 본체부(60)는 수지성형품이며 대직경부(61)와 소직경부(62)가 동일한 축으로 일체로 성형된 구성이다. 대직경부(61)의 외주부에는 수나사부(64)가 형성된다. 승강부재(43)의 수나사부(64)는 요동프레임(42)에 형성된 암나사부(53)와 나사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소직경부(62)는 대직경부(61)의 상부에 형성된다. 소직경부(62)의 중앙에는 샤프트장착구멍(63)(도 7 참조)이 형성된다. 또한, 소직경부(62)의 외주에는 외측을 향해 돌출한 캠돌기부(65, 66)와 백래쉬방지레버(67)가 형성된다.
캠돌기부(65, 66)는 상기 캠구멍(50)과 함께 캠기구(44)를 구성한다. 캠돌기부(65, 66)는 소직경부(62)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캠돌기부(65, 66)는 샤프트장착구멍(63)의 축주위에 서로 180도 이간하여 배치된다. 또한, 캠돌기부(65, 66)의 어느 하나의 선단부로부터 다른 하나의 선단부까지의 이간거리(d)(도 7에 화살표로 나타냄)는 상기 캠구멍(50)의 X1, X2 방향에 대한 내경(dX) 및 Y1, Y2방향에 대한 내경(dY)에 대해 약간 크게 설정된다(d>dX, d>dY). 캠돌기부(65, 66)는 승강부재(43)의 회전에 수반하여 캠돌기부(65, 66)가 캠구멍(50)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백래쉬방지레버(67)는 소직경부(62)로부터 캠돌기부(65, 66)의 돌출방향(도 7의 화살표 E1, E2 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도 7의 화살표 F1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백래쉬방지레버(67)는 닫힌 상태에서 베이스(41)에 형성되는 백래쉬방지부재(68, 도 4와 도 6 참조)와 걸어맞춰지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닫힌 상태에서 요동프레임(42)과 승강부재(43)의 사이에 백래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샤프트부(70)는 금속제의 파이프형상 부재이다. 샤프트부(70)는 소직경부(62)에 형성된 샤프트장착구멍(63)에 고정된다. 샤프트부(70)의 샤프트장착구멍(63)에 대한 고정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압입이나 접착을 이용해 고정하거나 혹은 본체부(60)에 인서트형성함으로써 고정시켜도 된다. 샤프트부(70)와 본체부(60)는 일체로 회전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샤프트부(70)의 외주에 롤렛가공을 하여 샤프트부(70)가 샤프트장착구멍(63)의 내벽에 박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샤프트부(70)와 본체부(60)는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틸트기구(40)의 조립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틸트기구(40)의 조립시에는 먼저 베이스(41)에 백래쉬방지부재(68)를 장착한다. 백래쉬방지부재(68)는 수지성형품이며 베이스(41)에 접착 혹은 나사고정 등에 의해 고정한다. 이 때 백래쉬방지부재(68)에 형성된 회전방지돌기(69)는 베이스(41)에 형성된 구멍(49)에 체결된다. 이로써 백래쉬방지레버(67)가 백래쉬방지부재(68)에 체결될 때에 백래쉬방지부재(68)가 베이스(41)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승강부재(43)는 본체부(60)(소직경부(62))의 샤프트장착구멍(63)에 샤프트부(70)를 고정하여 형성된다. 승강부재(43)는 요동프레임(42)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승강부재(43)에 형성된 수나사부(64)를 요동프레임(42)에 형성된 암나사부(53)에 나사체결함으로써 승강부재(43)는 요동프레임(42)에 장착된다. 따라서, 요동프레임(42)에 대해 승강부재(43)가 회전하면 승강부재(43)는 요동프레임(42)에 대해 승강한다.
승강부재(43)가 요동프레임(42)에 장착된 상태에서 요동프레임(42)이 베이스(41)에 장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요동프레임(42)에는 지지축(54, 55)이 형성되어 있고, 지지축(54)은 베이스(41)에 형성된 축구멍(51A)에 삽입되고 지지축(55)은 축구멍(51B)에 삽입된다. 이로써 요동프레임(42)은 베이스(41)에 의해 지지되어 요동프레임(42)은 베이스(41)에 대해 요동가능한 구성이 된다.
또한, 요동프레임(42)이 베이스(41)에 장착된 상태에서 승강부재(43)에 형성된 캠돌기부(65, 66)는 캠구멍(50)내에 삽입된 상태이다(도 4 참조). 캠구멍(50)내에서 캠돌기부(65, 66)가 회전함으로써 캠돌기부(65, 66)는 캠구멍(50)의 내벽에 탄성지지된다. 이로써, 요동프레임(42)과 승강부재(43)는 도 5A에 나타낸 베이스(41)에 대해 수직으로 직립한 상태와 도 5B에 나타낸 경사진 상태(각도(θ)만큼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냄)의 사이에서 이동한다. 이상의 작업으로 틸트기구(40)를 조립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A과 도 12A를 이용하여 슬라이드장치(10A)의 조립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슬라이드장치(10A)를 조립할 때에는 미리 가이드레일부(18A, 18B), 장공(19A, 19B) 및 스토퍼(20A, 20B)가 형성된 슬라이드플레이트(12)에 스프링부재(13A, 13B)를 장착한다. 구체적으로는 스프링부재(13A, 13B)의 각 서브링크(24)에 형성된 구멍(31, 도 3A참조)에 지지축(21A, 21B)를 삽입하고, 지지축(21A, 21B)을 슬라이드플레이트(12)에 형성된 소정의 장착위치에 고정시킨다. 이 때 스프링부재(13A, 13B)의 각 서브링크(24)는 지지축(21A, 21B)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또한, 도 5A 및 도 5B에 P로 나타낸 위치는 지지축(21A, 21B)의 회전중심(즉, 요동프레임(42)와 승강부재(43)의 회전중심)이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틸트기구(40A, 40B)를 준비하고 틸트기구(40A, 40B)의 샤프트부(70A, 70B)를 장공(19A, 19B)에 삽입한다. 나아가 슬라이드플레이트(12)의 표면측에 돌출한 상태의 샤프트부(70A, 70B)에 스프링부재(13A, 13B)를 장착한다.
구체적으로는, 스프링부재(13A, 13B)의 각 메인링크(23)에 형성된 각 구멍(30, 도 3A참조)에 샤프트부(70A, 70B)를 삽입통과시키고 각 메인링크(23)를 샤프트부(70A, 70B)에 고정시키다. 이 때 샤프트부(70A, 70B)에 대해 스프링부재(13A, 13B)가 회전하지 않도록 각 메인링크(23)를 샤프트부(70A, 70B)에 단단히 고정시키다. 이로써, 틸트기구(40A, 40B)(샤프트부(70A, 70B))와 슬라이드플레이트(12)는 스프링부재(13A, 13B)에 의해 연결된 구성이 된다.
다음으로, 슬라이드플레이트(12)에 베이스플레이트(11)를 장착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이드레일부(18A, 18B)에 슬라이드 가이드부(16A, 16B)를 체결시킨 상태로 슬라이드플레이트(12)에 대해 베이스플레이트(11)를 슬라이드 장착한다. 베이스플레이트(11)에 형성된 소정의 샤프트 고정위치와 샤프트부(70A, 70B)를 위치결정한 후 샤프트부(70A, 70B)의 각 선단부에 베이스플레이트(11)을 장착한다.
이와 같이 샤프트부(70A, 70B)에 베이스플레이트(11)가 고정됨으로써 베이스(41)에 대해 승강부재(43)가 경사지면 이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11)도 경사진다. 나아가, 슬라이드플레이트(12)는 베이스플레이트(11)에 형성된 슬라이드 가이드부(16A, 16B)에 의해 안내되어 슬라이드된다. 이 때문에 베이스플레이트(11)가 경사지면 이에 따라 슬라이드플레이트(12)도 경사진다. 이상의 작업에 의해 슬라이드장치(10A)를 조립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A 내지 도 11B과 도 12A 내지 도 14C를 이용하여 틸트기구(40)(40A, 40B)와 슬라이드장치(10A)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11B는 틸트기구(40)의 동작을 나타내고, 도 12A 내지 도 14C는 슬라이드장치(10A)의 동작을 나타낸다. 이하에서 슬라이드장치(10A)의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까지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슬라이드장치(10A)의 열린 상태로부터 닫힌 상태까지의 동작은 이하에 설명하는 동작과 반대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8A와 도 12A는 닫힌 상태의 틸트기구(40)(40A, 40B)와 닫힌 상태의 슬라이드장치(10A)를 나타낸다.
닫힌 상태에서는 슬라이드플레이트(12)는 베이스플레이트(11)에 대해 X2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스프링부재(13A, 13B)는 신장하도록 탄성력을 가한다. 이 때문에 슬라이드플레이트(12)는 스프링부재(13A, 13B)에 의해 화살표 X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힘이 가해진다.
그러나, 슬라이드플레이트(12)에 형성된 스토퍼(20A)가 베이스플레이트(11)에 맞닿음에 의해 그 이상의 슬라이드 동작은 규제된다. 이로써, 슬라이드플레이트(12)는 베이스플레이트(11)에 걸려 고정된 상태이다. 또한, 닫힌 상태에서는 샤프트부(70A, 70B)의 각 중심을 지나 Y1, Y2방향과 평행한 선분을 상정하면 스프링부재(13A, 13B)는 각 선분에 대해 하방향으로 45° 기울어진 상태이다.
한편,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닫힌 상태에서는 캠돌기부(66, 65)는 캠구멍(50)내에서 화살표 Y1, Y2방향을 향한 상태이다. 따라서, 샤프트부(70)의 중심위치는 캠구멍(50)의 Y1, Y2방향에 대한 내경(dY)의 중심위치(O1)에 배치된다. 이 닫힌 상태에서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동프레임(42) 및 승강부재(43)는 수직으로 직립한 상태(즉, X-Y 좌표면에 대해 직각인 방향을 향한 상태)이다. 또한 도 8B, 도 9B, 도 10B, 도 11B에서 우측을 향한 방향이 수직으로 직립한 방향이다. 이 때문에 베이스플레이트(11) 및 슬라이드플레이트(12)는 경사져 있지 않다.
또한, 닫힌 상태에서는 소직경부(62)의 외주에 설치된 백래쉬방지레버(67)는 베이스(41)에 형성된 백래쉬방지부재(68)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1쌍의 캠돌기부(65, 66)의 각 선단부간 이간거리(d)는 상기 캠구멍(50)의 Y1, Y2방향에 대한 내경(dY)에 대해 약간 크도록 설정된다(d>dY).
따라서, 캠구멍(50)의 내주면과 캠돌기부(65, 66)의 사이에는 클리어런스가 존재하고 이 때문에 캠구멍(50)과 캠돌기부(65, 66)의 사이에 백래쉬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실시형태에서는 닫힌 상태에서 백래쉬방지레버(67)가 백래쉬방지부재(68)에 체결되기 때문에 상기 클리어런스가 존재하여도 캠구멍(50)과 캠돌기부(65, 66)의 사이에 백래쉬가 발생하지 않는다.
상술한 닫힌 상태에서 슬라이드플레이트(12)를 화살표 X1 방향을 향해 슬라이드시킨다. 슬라이드플레이트(12)가 X1 방향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지지축(21A, 21B)도 X1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스프링부재(13A, 13B)는 샤프트부(70A), 샤프트부(70B)의 각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구체적으로는, 스프링부재(13A)는 샤프트부(70A)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스프링부재(13B)는 샤프트부(70B)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9A와 도 13A는 스프링부재(13A, 13B)가 Y1, Y2방향으로 일직선상이 되는 위치까지 슬라이드플레이트(12)가 슬라이드한 상태(중간 상태)를 나타낸다.
이 중간 상태에서 스프링부재(13A, 13B)는 도 12A에 나타낸 닫힌 상태보다45° 회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부재(13A, 13B)는 샤프트부(70A, 70B)에 연결되므로 스프링부재(13A, 13B)가 회전함으로써 승강부재(43)도 회전한다.
승강부재(43)는 요동프레임(42)에 나사체결된다. 따라서, 승강부재(43)이 요동프레임(42)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나사전진하고, 승강부재(43)는 요동프레임(42)에 대해 도 9B의 화살표 D방향으로 상승한다. 본실시형태에서는 스프링부재(13A, 13B)가 45° 회전함으로써 승강부재(43)는 닫힌 상태(도 9B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낸다)에 비해 ΔD만큼 상승한다(도 9B참조).
또한, 캠구멍(50)의 형상은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까지 캠돌기부(65, 66)가 회전할 때에 그 회전중심이 중심위치(O1)가 되도록 형성된다. 이 때문에 슬라이드플레이트(12)의 슬라이드에 수반하여 스프링부재(13A, 13B)가 회전하여도 수직으로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고고, 베이스플레이트(11)와 슬라이드플레이트(12)는 경사지지 않는다. 중간 상태에서 스프링부재(13A, 13B)가 Y1, Y2방향으로 일직선상이 되므로 순간적으로 스프링부재(13A, 13B)의 탄성력이 슬라이드플레이트(12)에 작용하지 않는다.
도 10A와 도 10B는 중간 상태보다 슬라이드플레이트(12)를 더욱 X1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중간 상태보다 슬라이드플레이트(12)를 X1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슬라이드플레이트(12)에 대한 스프링부재(13A, 13B)에 의한 탄성력이 가해지는 방향은 반전한다. 이로써 조작자가 슬라이드플레이트(12)를 누르지 않아도 슬라이드플레이트(12)는 스프링부재(13A, 13B)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X1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또한, 캠구멍(50)의 내벽에서 캠돌기부(66)가 중간 위치로부터 열린 위치까지 회전하는 영역에는 점차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캠구멍(50)의 내벽에서 캠돌기부(65)가 중간 위치로부터 열린 위치까지 회전하는 영역은 점차 외측을 향해 오목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플레이트(12)가 중간 상태보다 더 X1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이에 수반하여 스프링부재(13A, 13B)에 의해 승강부재(43)가 회전하면, 캠돌기부(66)는 캠구멍(50)의 내측을 향해 돌출한 위치와 슬라이딩 접촉하고, 캠돌기부(65)는 캠구멍(50)의 외측에 오목한 위치와 슬라이딩 접촉한다. 이로써 승강부재(43)는 캠구멍(50)과 캠돌기부(65, 66)에 의해 구성되는 캠기구(44)에 의하여 도 10A의 화살표 X2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부재(43)는 베이스(41)에 요동가능하게 장착된 요동프레임(42)에 장착된다. 이 때문에 승강부재(43)가 X2 방향으로 힘이 가해짐으로써 요동프레임(42)은 요동한다. 따라서, 샤프트부(70)에 장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11)는 승강부재(43)의 요동에 수반하여 경사지기 시작한다. 이 때 스프링부재(13A, 13B)는 계속 회전하므로 승강부재(43)의 요동프레임(42)에 대한 상승동작(화살표 D방향의 이동)도 계속하여 이루어진다.
도 11A와 도 14A는 열린 상태의 틸트기구(40)(40A, 40B)와 열린 상태의 슬라이드장치(10A)를 나타낸다.
열린 상태에서는 슬라이드플레이트(12)는 베이스플레이트(11)에 대해 화살표 X1 방향으로 슬라이드한 상태이다. 또한, 중간 상태를 초과하면 스프링부재(13A, 13B)의 탄성력의 작용방향이 반전하고, 열린 상태에서는 스프링부재(13A, 13B)는 슬라이드플레이트(12)를 화살표 X1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그러나, 스토퍼(20B)가 베이스플레이트(11)에 맞닿음으로써 슬라이드플레이트(12)는 맞닿음 위치에서 베이스플레이트(11)에 걸려 고정된 상태가 된다.
또한, 샤프트부(70A, 70B)의 각 중심을 통과하여 화살표 Y1, Y2방향으로 평행한 선분을 상정하면, 닫힌 상태에서는 스프링부재(13A, 13B)는 각 선분에 대해 상방향으로 45°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드플레이트(12)가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스프링부재(13A, 13B)는 각각 90°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린 상태에서는 캠돌기부(66, 65)는 캠구멍(50)내에서 화살표 X1, X2 방향을 향한 위치에 있다. 이 때 샤프트부(70)의 중심위치는 캠구멍(50)의 X1, X2 방향에 대한 내경(dX)의 중심위치(O2)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캠구멍(50)의 X2 방향의 내주 가장자리에 오목부(50a)가 형성되고 캠구멍(50)의 X1 방향의 내주 가장자리에 볼록부(50b)가 형성된다. 열린 상태에서는 캠돌기부(65)는 오목부(50a)와 체결하고, 캠돌기부(66)는 볼록부(50b)와 체결한 상태이다.
따라서, 열린 상태에서의 샤프트부(70)의 중심위치는 X1, X2 방향에 대한 내경(dX)의 중심위치(O2)에 있다. 이 열린 상태에서의 샤프트부(70)의 중심위치(O2)는 도 8A에 나타낸 닫힌 상태에서의 샤프트부(70)의 중심위치(O1)에 비해 도 11A의 화살표 X2 방향으로 ΔX만큼 어긋나 있다.
이와 같이 샤프트부(70)의 중심이 X2 방향으로 ΔX만큼 어긋남으로써 샤프트부(70)가 장착된 승강부재(43)도 X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힘이 가해진다. 이로써,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부재(43)(샤프트부(70))는 요동프레임(42)의 회전중심(P)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여 경사진 상태에 있다.
또한, 샤프트부(70)에는 베이스플레이트(11)가 장착된다. 따라서, 샤프트부(70)가 경사짐으로써 베이스플레이트(11) 및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드플레이트(12)도 경사진다. 이로써, 도 1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플레이트(12)는 수평방향(X1, X2 방향)에 대해 각도(θ)만큼 경사진 상태에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장치(10A)를 휴대단말장치(1)에 적용한 경우에는 덮개체부(3)가 경사짐으로써 액정표시장치(4)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도 2B참조).
또한, 본실시형태에서는 수평방향에 대해 각도(θ)만큼 경사진 예를 나타낸다(이하, 이 각도(θ)를 틸트각이라고 한다). 이 틸트각(θ)은 스프링부재(13A, 13B)의 회전각도(본실시형태에서는 90°), 캠구멍(50)에서의 오목부(50a)의 오목한 정도 및 볼록부(50b)의 돌출한 정도, 요동프레임(42)의 회전중심(P)와 캠돌기부(65, 66)이 캠구멍(50)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위치까지의 거리 등을 적절히 선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열린 상태에서는 백래쉬방지레버(67)는 백래쉬방지부재(68)으로부터 이간한 상태에 있다. 닫힌 상태에서는 승강부재(43)가 수직으로 직립한 상태이기 때문에 캠구멍(50)과 캠돌기부(65, 66)의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생긴다. 이에 기인한 백래쉬를 방지하기 위하여 백래쉬방지레버(67)를 백래쉬방지부재(68)에 체결하는 구성을 채용했다.
그러나, 열린 상태에서는 승강부재(43)는 경사진 상태이므로,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쌍의 캠돌기부(65, 66)의 이간거리(d)보다도 경사진 승강부재(43)가 캠구멍(50)의 내벽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슬라이딩 접촉위치간 거리(dL)가 커진다(dL>d). 이 때문에 백래쉬방지레버(67) 및 백래쉬방지부재(68)를 설치하지 않아도 캠돌기부(65, 66)는 캠구멍(50)의 내벽에 강하게 슬라이딩 접촉하므로 백래쉬가 발생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실시형태의 틸트기구(40)(40A, 40B) 및 슬라이드장치(10A)에 의하면, 슬라이드플레이트(12)의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틸트기구(40A, 40B)에 의해 슬라이드플레이트(12)는 자동적으로 틸트동작을 실시한다. 이 때문에 조작자의 손에 의해 틸트동작을 실시하는 구성에 비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틸트기구(40A, 40B)는 슬라이드플레이트(12)와 연결된 스프링부재(13A, 13B)의 회전에 의해 승강부재(43)가 회전하는 구성이므로 슬라이드플레이트(12)의 슬라이드 동작과 슬라이드플레이트(12)의 틸트동작을 높은 정밀도로 동기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실시형태의 틸트기구(40A, 40B)는 승강부재(43)가 베이스(41)에 대해 상승하면서 틸트동작을 실시하므로 승강부재(43)의 회전각도가 작아도(본실시형태에서는 90°) 슬라이드플레이트(12)를 확실하게 경사시킬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7C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슬라이드장치(10B)를 나타낸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닫힌 상태의 슬라이드장치(10B)를 나타낸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중간 상태의 슬라이드장치(10B)를 나타낸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열린 상태의 슬라이드장치(10B)를 나타낸다. 또한, 도 15A 내지 도 17C에서 도 1A 내지 도 14C에 나타낸 상술한 실시형태의 구성과 대응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교부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A에 나타낸 상술한 실시형태의 슬라이드장치(10A)는 베이스플레이트(11)에 대해 슬라이드플레이트(12)에 탄성력을 가하는 부재로서 스프링부재(13A, 13B)를 사용하였다. 스프링부재(13A, 13B)는 베이스플레이트(11)에 대해 슬라이드플레이트(12)를 슬라이드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으로서의 기능과 슬라이드플레이트(12)와 틸트기구(40A, 40B)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제공한다.
그러나, 스프링으로서의 기능과 연결부재로서의 기능을 반드시 하나의 부재가 가질 필요는 없고 각각 별도의 부재에 의해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실시형태의 슬라이드장치(10B)는 스프링으로서의 기능을 토션코일스프링(Torsion Coil Spring)(80A, 80B)에 의해 실현하고, 연결부재로서의 기능을 연결아암(81A, 81B)에 의해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토션코일스프링(80A, 80B)은 일단이 슬라이드플레이트(12)의 지지축(21A, 21B)에 고정됨과 동시에 타단이 베이스플레이트(11)의 소정 위치(본실시형태에서는 샤프트부(70A, 70B)가 베이스플레이트(11)에 장착되는 위치)에 고정된다. 각각의 토션코일스프링(80A, 80B)은 닫힌 상태에서 슬라이드플레이트(12)가 화살표 X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가한다.
또한, 토션코일스프링(80A, 80B)의 단부의 고정위치는 본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일단부가 슬라이드플레이트(12)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베이스플레이트(11)에 고정되는 구성이면 다른 위치에 고정시킨 구성이어도 된다. 다만, 토션코일스프링(80A, 80B)은 중간 상태를 경계로 하여 닫힌 상태에서는 슬라이드플레이트(12)에 대해 X2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열린 상태에서는 슬라이드플레이트(12)에 대해 X1 방향으로 힘을 가할 필요가 있다.
한편, 연결아암(81A, 81B)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장공(82A, 82B)이 형성된다. 지지축(21A, 21B)은 장공(82A, 82B)을 삽입통과하고 슬라이드플레이트(12)에 설치된다. 따라서, 연결아암(81A, 81B)은 그 일단부가 지지축(21A, 21B)에 지지됨과 동시에, 지지축(21A, 21B)은 장공(82A, 82B)내를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구성을 가진다.
또한, 연결아암(81A, 81B)의 타단부는 틸트기구(40A, 40B)에 형성된 샤프트부(70A, 70B)에 고정된다. 따라서, 연결아암(81A, 81B)이 회전함으로써 샤프트부(70A, 70B)를 통하여 승강부재(43)는 회전된다. 따라서, 연결아암(81A, 81B)을 회전시킴으로써 틸트기구(40A, 40B)에 의한 틸트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슬라이드장치(10B)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A 내지 도 15C에 나타낸 닫힌 상태에서는 슬라이드플레이트(12)를 화살표 X1 방향을 향해 슬라이드시키면 지지축(21A, 21B)도 X1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지지축(21A, 21B)은 장공(82A, 82B)내를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연결아암(81A, 81B)을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연결아암(81A)은 샤프트부(70A)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연결아암(81B)은 샤프트부(70B)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16A 내지 도 16C은 연결아암(81A, 81B)이 Y1, Y2방향으로 일직선상이 되는 위치까지 슬라이드플레이트(12)가 슬라이드한 중간 상태를 나타낸다. 이 중간 상태보다 슬라이드플레이트(12)를 더욱 X1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슬라이드플레이트(12)에 대한 토션코일스프링(80A, 80B)에 의해 탄성력이 가해지는 방향이 반전한다. 이로써 본실시형태에서도 조작자가 슬라이드플레이트(12)를 누르지 않아도 슬라이드플레이트(12)는 토션코일스프링(80A, 80B)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X1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열린 상태의 슬라이드장치(10B)를 나타낸다. 열린 상태에서는 슬라이드플레이트(12)는 베이스플레이트(11)에 대해 X1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본실시형태에서도 슬라이드플레이트(12)가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연결아암(81A, 81B)은 각각 90°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승강부재(43)(샤프트부(70))는 요동프레임(42)의 회전중심(P)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여 경사진 상태에 있고, 도 1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플레이트(12)는 수평방향(X1, X2 방향)에 대해 경사진 상태에 있다.
따라서, 본실시형태의 슬라이드장치(10B)를 휴대단말장치(1)에 적용한 경우에도 덮개체부(3)가 경사짐으로써 액정표시장치(4)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도 2B참조). 또한, 슬라이드플레이트(12)가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틸트기구(40A, 40B)에 의해 슬라이드플레이트(12)는 자동적으로 틸트동작을 실시한다. 이 때문에 조작자의 손에 의해 틸트동작을 실시하는 구성에 비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틸트기구(40A, 40B)는 슬라이드플레이트(12)로 연결된 연결아암(81A, 81B)의 회전에 의해 승강부재(43)가 회전하므로 슬라이드플레이트(12)의 슬라이드 동작과 슬라이드플레이트(12)의 틸트동작을 높은 정밀도로 동기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지만 본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발명의 요지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변경이 가능하다.
본국제출원은 2009년 6월 4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09-134996호에 근거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상기 일본특허출원 제2009-134996호의 모든 내용을 본국제출원에 원용한다.

Claims (4)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대해 일정 축을 중심으로 한정된 각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요동프레임;
    상기 요동프레임에 장착되고 회전함으로써 상기 요동프레임에 대해 승강동작을 하는 승강부재; 및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개구의 내벽에 형성된 캠부 및 상기 승강부재에 외측을 향해 돌출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캠부와 체결하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부재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기 승강부재를 경사시키도록 힘을 가하는 캠기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요동프레임에 나사체결됨으로써 상기 승강부재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요동프레임에 대해 상기 승강부재가 승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기구.
  3.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슬라이드플레이트에 힘을 가하는 스프링부재 및 틸트기구를 구비하는 슬라이드장치로서,
    상기 틸트기구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대해 일정 축을 중심으로 한정된 각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요동프레임;
    상기 요동프레임에 장착되고 회전함으로써 상기 요동프레임에 대해 승강동작을 실시하는 승강부재;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개구의 내벽에 형성된 캠부 및 상기 승강부재에 외측을 향해 돌출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캠부와 체결하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부재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기 승강부재를 경사시키도록 힘을 가하는 캠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상기 틸트기구에 장착하고, 상기 슬라이드플레이트와 상기 틸트기구의 상기 승강부재와의 사이에 연결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슬라이드플레이트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슬라이드함으로써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연결부재를 통하여 회전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상기 틸트기구에 의해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드플레이트에 고정된 토션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장치.
KR1020117028740A 2009-06-04 2010-05-21 틸트기구 및 슬라이드장치 KR1013031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34996 2009-06-04
JP2009134996A JP4948568B2 (ja) 2009-06-04 2009-06-04 チルト機構及びスライド装置
PCT/JP2010/058645 WO2010140494A1 (ja) 2009-06-04 2010-05-21 チルト機構及びスライ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318A KR20120028318A (ko) 2012-03-22
KR101303133B1 true KR101303133B1 (ko) 2013-09-09

Family

ID=43297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8740A KR101303133B1 (ko) 2009-06-04 2010-05-21 틸트기구 및 슬라이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439912B1 (ko)
JP (1) JP4948568B2 (ko)
KR (1) KR101303133B1 (ko)
CN (1) CN102461131B (ko)
WO (1) WO20101404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51060B1 (en) 2015-10-15 2016-09-20 Civiq Smartscapes, Llc Technique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ccess to components of a personal communication structure (PCS)
US10270918B2 (en) 2015-10-15 2019-04-23 Civiq Smartscap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and temperature control of compartments within a personal communication structure (PCS)
US20170140344A1 (en) * 2015-11-16 2017-05-18 Civiq Smartscap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field replacement of serviceable units
WO2017087496A1 (en) 2015-11-16 2017-05-26 Civiq Smartscapes, Llc Systems and techniques for vandalism detection in a personal communication structure (pcs)
CN109892959B (zh) * 2019-04-19 2024-01-26 广州陈扬枝科技有限责任公司 炒菜机及平台升降机构
CN115529776A (zh) 2021-06-25 2022-12-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滑轨机构、伸缩屏结构及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7520A (ja) 2007-07-20 2009-02-05 Panasonic Corp 携帯端末
JP2009071511A (ja) 2007-09-12 2009-04-02 Panasonic Corp 携帯端末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4395B2 (ja) * 2003-03-10 2008-12-10 京セラ株式会社 連結装置
JP2005210649A (ja) 2004-01-26 2005-08-04 Kato Electrical Mach Co Ltd 携帯端末のスライド機構
EP1722538A1 (en) * 2005-05-13 2006-11-15 High Tech Computer Corp. Sliding-type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dual operation mode and two keyboards
JP2007049650A (ja) * 2005-08-12 2007-02-22 Strawberry Corporation スライド装置並びにスライド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4378333B2 (ja) * 2005-09-07 2009-12-02 株式会社ストロベリーコーポレーション スライド装置並びにスライド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4555203B2 (ja) * 2005-09-27 2010-09-29 三菱製鋼株式会社 ワンプッシュヒンジ装置
JP2007148817A (ja) * 2005-11-28 2007-06-14 Kato Electrical Mach Co Ltd 携帯機器
JP4845558B2 (ja) * 2006-03-29 2011-12-28 加藤電機株式会社 携帯機器
DE602006009817D1 (de) * 2006-10-25 2009-11-26 Htc Corp Elektronische Vorrichtungen mit verschiebbaren und schwenkbaren Mechanismen
JP4733678B2 (ja) * 2007-09-27 2011-07-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機器
JP2009134996A (ja) 2007-11-30 2009-06-18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
JP5015226B2 (ja) * 2008-12-18 2012-08-29 株式会社ストロベリーコーポレーション スライド装置並びにスライド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7520A (ja) 2007-07-20 2009-02-05 Panasonic Corp 携帯端末
JP2009071511A (ja) 2007-09-12 2009-04-02 Panasonic Corp 携帯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40494A1 (ja) 2010-12-09
CN102461131A (zh) 2012-05-16
EP2439912A4 (en) 2012-11-07
JP2010283578A (ja) 2010-12-16
EP2439912A1 (en) 2012-04-11
KR20120028318A (ko) 2012-03-22
EP2439912B1 (en) 2014-03-12
JP4948568B2 (ja) 2012-06-06
CN102461131B (zh) 201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3758B2 (en) Opening/closing device
KR101303133B1 (ko) 틸트기구 및 슬라이드장치
US9091105B2 (en) Opening/closing device
JP5149264B2 (ja) スライドチルト機構
US9094490B2 (en) Cover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101530937B1 (ko) 개폐장치
US7851741B2 (en) Height adjustment device having a screw axially moveable relative to a rotary plate adapted in a projection apparatus and projec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KR101517238B1 (ko) 휴대용 전자 기기의 거치 장치
JP5991928B2 (ja) 開閉装置
TWM575953U (zh) Bending mechanism and flexible screen display device
JP5420486B2 (ja) 開閉装置
JP3157566U (ja) チルト機構
JP5469234B2 (ja) スライドチルト機構
JP4917517B2 (ja) スライド回転取付ユニット及び携帯電話機
US8407858B2 (en) Swing hinge module
KR200402929Y1 (ko) 핸드폰용 힌지
JP4642434B2 (ja) カメラ付き携帯型電子機器
JP6156021B2 (ja) 回動部材の回動状態検出機構、及び電子機器
JP2014075641A (ja) エリア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