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8278B1 - 신호 배선 및 이를 갖는 표시 기판 - Google Patents

신호 배선 및 이를 갖는 표시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8278B1
KR101298278B1 KR1020060048418A KR20060048418A KR101298278B1 KR 101298278 B1 KR101298278 B1 KR 101298278B1 KR 1020060048418 A KR1020060048418 A KR 1020060048418A KR 20060048418 A KR20060048418 A KR 20060048418A KR 101298278 B1 KR101298278 B1 KR 101298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ine
signal
extension
opening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8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4863A (ko
Inventor
공민석
한순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8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8278B1/ko
Publication of KR20070114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4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8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8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2Antistatic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신호 배선 및 이를 갖는 표시 기판이 개시되어 있다. 표시 기판은 기판에 제1 방향으로 배치되며 제1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제1 신호선, 제1 신호선과 절연되며 제1 신호선과 교차하고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2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제2 신호선, 제1 및 제2 신호선들의 교차부 부분에 배치되며 제1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제2 구동신호를 화소전극으로 출력하는 스위칭 소자 및 제2 신호선 중 제1 신호선과 교차되는 부분에 배치되며, 제2 신호선의 제1 폭보다 넓은 제2 폭을 갖는 제1 확장부를 포함한다. 이로써,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선의 일부를 확장하고, 확장된 확장부에 개구를 형성하여 정전기에 의하여 신호선이 파손 또는 완전히 단선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신호선, 구동 신호, 스위칭 소자, 화소 전극

Description

신호 배선 및 이를 갖는 표시 기판{SIGNAL WIRE AND DISPLAY SUBSTRATE HAVING THE SIGNAL WIR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신호 배선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신호 배선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신호 배선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II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표시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표시기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1 신호선 20: 제2 신호선
25: 절연층 30: 제2 신호선
본 발명은 신호 배선 및 이를 갖는 표시 기판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 로, 본 발명은 정전기에 의한 단선을 방지할 수 있는 신호 배선 및 이를 갖는 표시 기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반도체 소자 제조 기술의 개발에 따라 다량의 정보를 단 시간내 처리할 수 있는 정보처리장치(information processing device)가 개발되고 있다. 이에 더하여 최근에는 정보처리장치에서 처리된 전기적 신호 포맷 형태의 데이터를 영상으로 변경하는 표시장치(display device)의 개발도 함께 진행되고 있다.
표시장치는 아날로그 표시장치 및 디지털 표시장치로 구분할 수 있다. 아날로그 표시장치는 음극선관 방식 표시장치(Cathod Ray Tube type display device, CRT)가 대표적이고, 디지털 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유기 광발생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이 대표적이다.
음극선관 방식 표시장치는 전자총으로부터 발생된 전자를 형광면에 주사하여 영상을 표시하고, 디지털 방식 표시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신호선(signal wire)들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특히, 디지털 방식 표시장치들은 공통적으로 기판상에 배치된 구동 신호선들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구동 신호선들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구동 신호가 인가되며, 대체적으로 디지털 방식 표시장치들의 구동 신호선들은 기판상에 격자 형상으로 배치되고, 구동 신호선들에 의하여 형성된 기판의 격자 사이에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소 전극이 배치된다.
그러나, 디지털 방식 표시장치들에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기판 상에 배치 된 구동 신호선들은 매우 미세한 배선 폭을 갖고 있어, 표시장치의 외부에서 인가된 정전기 또는 표시장치 내부에서 발생된 정전기에 의하여 구동 신호선이 단선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정전기 등에 의한 파손 및 손상을 억제한 신호 배선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신호 배선을 포함하는 표시 기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신호 배선은 제1 신호가 인가되는 제1 신호선 및 제2 신호가 인가되며 제1 신호선과 교차하는 제2 신호선을 포함하며, 제2 신호선 중 제1 신호선과 교차되는 부분에 배치되며, 제2 신호선의 제1 폭보다 넓은 제2 폭을 갖는 제1 확장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표시 기판은 기판에 제1 방향으로 배치되며 제1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제1 신호선, 제1 신호선과 절연되며 제1 신호선과 교차하고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2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제2 신호선, 제1 및 제2 신호선들의 교차부 부분에 배치되며 제1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제2 구동신호를 화소전극으로 출력하는 스위칭 소자 및 제2 신호선 중 제1 신호선과 교차되는 부분에 배치되며, 제2 신호선의 제1 폭보다 넓은 제2 폭을 갖는 제1 확장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신호 배선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제1 신호선, 제2 신호선, 스위칭 소자, 제1 확장부, 제2 확장부, 제1 개구, 제2 개구, 제1 내지 제4 폭들 및 기타 구조물들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신호선, 제2 신호선, 스위칭 소자, 제1 확장부, 제2 확장부, 제1 개구, 제2 개구, 제1 내지 제4 폭들 및 기타 구조물들이 "상에", "상부에"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에는 제1 신호선, 제2 신호선, 스위칭 소자, 제1 확장부, 제2 확장부, 제1 개구, 제2 개구, 제1 내지 제4 폭들 및 기타 구조물들이 직접 제1 신호선, 제2 신호선, 스위칭 소자, 제1 확장부, 제2 확장부, 제1 개구, 제2 개구, 제1 내지 제4 폭들 및 기타 구조물들 위에 형성되거나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거나, 다른 제1 신호선, 제2 신호선, 스위칭 소자, 제1 확장부, 제2 확장부, 제1 개구, 제2 개구, 제1 내지 제4 폭들 및 기타 구조물들이 기판상에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신호선, 제2 신호선, 스위칭 소자, 제1 확장부, 제2 확장부, 제1 개구, 제2 개구, 제1 내지 제4 폭들 및 기타 구조물들이, 예를 들어, "제1", "제2"," 제3" 및/또는 "제4" 등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이러한 부재들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단지 제1 신호선, 제2 신호선, 스위칭 소자, 제1 확장부, 제2 확장부, 제1 개구, 제2 개구, 제1 내지 제4 폭들 및 기타 구조물들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1", "제2", "제3" 및/또는 "제4"와 같은 기재는 제1 신호선, 제2 신호선, 스위칭 소자, 제1 확장부, 제2 확장부, 제1 개구, 제2 개구, 제1 내지 제4 폭들 및 기타 구조물들에 대하여 각기 선택적으로 또는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신호 배선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신호 배선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신호 배선(100)은 제1 신호선(10), 제2 신호선(20) 및 확장부(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신호 배선(100)은 기판(1) 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기판(1)은, 예를 들어, 유리 기판과 같은 투명한 기판일 수 있다.
기판(1) 상에 형성된 신호 배선(100)의 제1 신호선(10)은 제1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제1 신호선(10)은, 기판(1)의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제1 폭(W1)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신호선(10)을 이루는 물질의 예로서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신호선(10)으로 인가되는 제1 신호는, 예를 들면,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의 게이트 전극으로 인가되는 게이트 구동 신호일 수 있다.
제2 신호선(20)은 제1 신호선(10)의 상부에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 제2 신호선(20)은 제1 신호선(10)과 교차한다. 예를 들어, 제2 신호선(20)은 제1 신호선(10)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제2 신호선(20)은, 기판(1)의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제2 폭(W2)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신호선(20)을 이루는 물질의 예로서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신호선(20)으로 인가되는 제2 신호는, 예를 들면,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의 소오스 전극으로 인가되는 데이터 구동 신호일 수 있다.
제1 신호선(10) 및 제2 신호선(20)의 사이에는 절연층(25)이 개재되고, 절연층(25)은 제1 신호선(10)으로부터 제2 신호선(20)을 절연한다.
이와 같이 제1 신호선(10) 및 제2 신호선(20)이 교차되어 형성된 교차부로는 정전기에 빈번하게 인가되며, 인가된 고압 정전기에 의하여 제1 신호선(10) 및/또는 제2 신호선(20)이 단선 또는 손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신호선(10) 및 제2 신호선(20)이 단선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1 신호선(10) 및 제2 신호선(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1 확장부(3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확장부(30)는, 예를 들어, 제1 신호선(10) 및 제2 신호선(20) 중 제2 신호선(20)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확장부(30)는 제2 신호선(20) 중 제1 신호선(10)과 교차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제1 확장부(30)는, 예를 들어,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제2 폭(W2)보다 넓은 제3 폭(W3)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신호선(20)에 제1 확장부(30)를 형성함으로써 제1 신호선(10) 및 제2 신호선(20)의 교차부에서 빈번하게 인가되는 정전기에 의해 제2 신호선(20)이 단선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신호 배선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신호 배선은 제1 개구를 제외하면 앞서 설명한 실시예 1의 신호 배선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신호 배선(100)은 제1 신호선(10), 제2 신호선(20) 및 제1 개구(32)를 갖는 제1 확장부(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개구(32)는, 기판(1)의 상부에서 보았을 때, 제1 확장부(30)상에 형성되며, 제1 개구(32)는 제1 확장부(3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개구(32)는, 예를 들어, 장공 형상을 갖고, 제1 개구(32)의 장축은 제2 신호선(20)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확장부(30)에 형성된 제1 개구(32)에 의하여 제1 확장부(30)는 적어도 두 부분으로 구분되고, 이로 인해 정전기에 의하여 적어도 두 부분으로 구분된 제1 확장부(30) 중 어느 한쪽이 단선 또는 손상되더라도 제2 신호는 제1 확장부(30)의 나머지 한쪽을 통해 지정된 위치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신호선(20)이 정전기에 의하여 완전히 단선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확장부(30)의 제1 개구(32)는, 기판(1)의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제1 확장부(30)의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개구(32)는 제1 확장부(30)의 상기 중앙 부분에 대하여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곳에 편심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개구(32)는 제1 확장부(30)에 적어도 2 개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개구(32)의 사이즈에 의하여 제2 신호선(20)을 통과하는 제2 신호의 흐름 및 레벨을 왜곡하지 않도록 제1 개구(32)의 사이즈는 정밀하게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개구(32)의 형상은 장공 형상 이외에 여러 가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1 개구(32)의 위치 역시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다.
실시예 3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신호 배선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II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신호 배선은 제1 신호선의 제2 확장부 및 제2 개구를 제외하면 앞서 설명한 제2 실시예의 신호 배선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신호 배선(100)은 제2 확장부(15)를 갖는 제1 신호선(10), 제1 확장부(30)를 갖는 제2 신호선(20)을 포함한다.
제2 확장부(15)는, 예를 들어, 제1 신호선(10) 중 제2 신호선(20)과 교차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제2 확장부(15)는, 예를 들어,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제1 폭(W1)보다 넓은 제4 폭(W4)을 갖는다. 제1 신호선(10)에 제2 확장부(15)를 형성함으로써 제1 신호선(10) 및 제2 신호선(20)의 교차부에서 빈번하게 인가되는 정전기에 의해 제1 신호선(10)이 단선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확장부(15)의 내부에는 제2 개구(12)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개구(12)는, 기판(1)의 상부에서 보았을 때, 제2 확장부(15)상에 형성되며, 제2 개구(12)는 제2 확장부(15)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개구(12)는, 예를 들어, 장공 형상을 갖고, 제2 개구(12)의 장축은 제1 신호선(10)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개구(12)에 의하여 제2 확장부(15)는 적어도 2 부분으로 구분되고, 이로 인해 정전기에 의하여 적어도 두 부분으로 구분된 제1 확장부(15) 중 어느 한쪽이 단선 또는 손상되더라도 제1 신호는 제2 확장부(15)의 나머지 한쪽을 통해 지정된 곳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신호선(10)이 정전기에 의하여 완전히 단선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확장부(15)의 제2 개구(12)는, 기판(1)의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제2 확장부(15)의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2 개구(12)는 제2 확장부(15)의 상기 중앙 부분에 대하여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곳에 편심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2 개구(12)는 제1 확장부(15)에 적어도 2 개가 형성되어 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개구(12)의 사이즈는 제1 신호선(10)을 통과하는 제1 신호의 흐름 및 레벨을 왜곡하지 않도록 정밀하게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개구(12)는 장공 형상 이외에 여러 가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기판
실시예 4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표시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기판(200)은 기판(100), 제1 신호선(110), 제2 신호선(120), 스위칭 소자(130), 화소전극(135) 및 제1 확장부(140)를 포함한다.
제1 신호선(110), 제2 신호선(120), 스위칭 소자(130), 화소전극(135) 및 제1 확장부(140)들은 기판(100) 상에 형성된다. 기판(100)은, 예를 들어, 유리 기판과 같은 투명 기판일 수 있다.
라인 형상을 갖는 제1 신호선(110)은 기판(110)상에 배치되며, 예를 들어, 제1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신호선(110)은 제1 신호, 예를 들면, 후술될 박막 트랜지스터인 스위칭 소자(130)의 반도체층을 부도체에서 도체로 턴-온 시키기에 충분한 전압 레벨을 갖는 게이트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게이트 라인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신호선(120)은 제1 신호선(1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2 신호선(120)은 제1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한 제2 방향과 평 행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신호선(120)은 제1 신호, 예를 들면, 후술될 박막 트랜지스터인 스위칭 소자의 소오스 전극에 연결되며 영상을 표시하기에 적합한 데이터 라인일 수 있다.
한편, 제2 신호선(120) 및 제1 신호선(110)의 사이에는 절연층(미도시)이 개재된다. 절연층은 제1 신호선(110)으로부터 제2 신호선(120)을 절연한다.
스위칭 소자(130)는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제1 신호선(110) 및 제2 신호선(120)의 교차부 부분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칭 소자(130)는 박막 트랜지스터로, 스위칭 소자(130)는 절연층 아래에 배치된 게이트 전극(132), 게이트 전극(132)과 마주보도록 절연층 상에 배치된 반도체층(133), 반도체층(133)에 연결된 소오스 전극(135) 및 반도체층(135)에 연결되며 소오스 전극(135)과 이격된 드레인 전극(137)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칭 소자(130)의 게이트 전극(133)은 제1 신호선(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스위칭 소자(130)의 소오스 전극(135)은 제2 신호선(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화소전극(135)은 스위칭 소자(130)의 드레인 전극(13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화소 전극(135)은 투명하면서 도전성인 물질을 포함한다. 화소 전극(135)을 이루는 물질의 예로서는 산화 주석 인듐(Indium Tin Oxide, ITO), 산화 아연 인듐(Indium Zinc Oxide, IZO) 및 아몰퍼스 산화 주석 인듐(amorphous Indium Tin Oxide, a-ITO) 등을 들 수 있다.
제1 확장부(130)는, 예를 들어, 제1 신호선(110) 및 제2 신호선(120) 중 제2 신호선(120)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확장부(130)는 제2 신호선(120) 중 제1 신호선(110)과 교차되는 부분마다 형성된다. 제1 확장부(130)는, 예를 들어, 기판(100)의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제1 신호선(110)의 폭보다 확장된 폭을 갖는다. 제2 신호선(120)에 제1 확장부(130)를 형성함으로써 제1 신호선(110) 및 제2 신호선(120)의 교차부에서 빈번하게 인가되는 정전기에 의해 제2 신호선(120)이 단선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1 확장부(130)는 제1 개구(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132)는 제1 확장부(13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개구(132)는 장공 형상을 갖고, 제1 개구(132)의 장축은 제2 신호선(120)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개구(132)에 의하여 제1 확장부(130)는 적어도 2 부분으로 구분되고, 이로 인해 정전기에 의하여 적어도 두 부분으로 구분된 제1 확장부(130) 중 어느 한쪽이 단선 또는 손상되더라도 제2 신호는 제1 확장부(130)의 나머지 한쪽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신호선(120)이 정전기에 의하여 완전히 단선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확장부(130)의 제1 개구(132)는, 기판(100)의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제1 확장부(130)의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개구(132)는 제1 확장부(130)의 상기 중앙 부분에 대하여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곳에 편심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개구(132)는 제1 확장부(130)에 적어도 2 개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실시예 5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표시기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표시기판은 제1 신호선의 제2 확장부 및 제2 개구를 제외하면 앞서 설명한 제4 실시예의 표시기판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표시기판(200)의 제2 신호선(110)은 제2 확장부(15)를 갖는다.
제2 확장부(115)는, 예를 들어, 제1 신호선(110) 중 제2 신호선(120)과 교차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제2 확장부(115)는, 예를 들어,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제1 신호선(110)의 폭보다 다소 넓은 폭을 갖는다. 제1 신호선(110)에 제2 확장부(115)를 형성함으로써 제1 신호선(110) 및 제2 신호선(120)의 교차부에서 빈번하게 인가되는 정전기에 의해 제1 신호선(110)이 단선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확장부(115)의 내부에는 제2 개구(112)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개구(112)는, 기판(100)의 상부에서 보았을 때, 제2 확장부(115)의 내부에 형성되며, 제2 개구(112)는 제2 확장부(115)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개구(112)는, 예를 들어, 장공 형상을 갖고, 제2 개구(112)의 장축은 제1 신호선(110)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개구(112)에 의하여 제2 확장부(115)는 적어도 2 부분으로 구분되고, 이로 인해 정전기에 의하여 적어도 두 부분으로 구분된 제1 확장부(115) 중 어느 한쪽이 단선 또는 손상되 더라도 제1 신호는 제2 확장부(115)의 나머지 한쪽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신호선(110)이 정전기에 의하여 완전히 단선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확장부(115)의 제2 개구(112)는, 기판(100)의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제2 확장부(115)의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2 개구(112)는 제2 확장부(115)의 상기 중앙 부분에 대하여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곳에 편심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2 개구(112)는 제1 확장부(115)에 적어도 2 개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 및 제5 실시예는 바람직하게, 영상이 표시되는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 내의 게이트 라인 및/또는 데이터 라인의 교차부에 제1 확장부 및/또는 제2 확장부를 형성한 기술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지만, 이와 다르게, 제1 확장부 및 제2 확장부는 유효 디스플레이 영여과 인접한 게이트 구동 신호 발생 영역에 포함된 복수개의 박막 트랜지스터들에 연결된 신호선들의 교차점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선의 일부를 확장하고, 확장된 확장부에 개구를 형성하여 정전기에 의하여 신호선이 파손 또는 완전히 단선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 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제1 신호가 인가되는 제1 신호선 및 제2 신호가 인가되며 상기 제1 신호선과 교차하는 제2 신호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신호선 중 상기 제1 신호선과 교차되는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신호선의 제1 폭보다 넓은 제2 폭을 갖는 제1 확장부를 갖고,
    상기 제1 신호선은 상기 제2 신호선의 상기 제1 확장부와 대응하는 곳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신호선의 제2 폭보다 넓은 제3 폭을 갖는 제2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확장부는 상기 제1 확장부를 관통하는 제1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확장부는 상기 제2 확장부를 관통하는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의 길이는 제2 확장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2 개구의 길이는 제1 확장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배선.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제1 확장부의 중앙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된 곳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배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제1 확장부에 복수개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배선.
  5. 삭제
  6. 삭제
  7. 기판에 제1 방향으로 배치되며 제1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제1 신호선;
    상기 제1 신호선과 절연되며 상기 제1 신호선과 교차하고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2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제2 신호선;
    상기 제1 및 제2 신호선들의 교차부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구동신호를 화소전극으로 출력하는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2 신호선 중 상기 제1 신호선과 교차되는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신호선의 제1 폭보다 넓은 제2 폭을 갖는 제1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선은 상기 제2 신호선의 상기 제1 확장부와 대응하는 곳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신호선의 제2 폭보다 넓은 제3 폭을 갖는 제2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확장부는 상기 제1 확장부를 관통하는 제1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확장부는 상기 제2 확장부를 관통하는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의 길이는 제2 확장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2 개구의 길이는 제1 확장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판.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제1 확장부의 표면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확장부의 중앙으로부터 편심된 곳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판.
  10. 삭제
  11. 삭제
KR1020060048418A 2006-05-30 2006-05-30 신호 배선 및 이를 갖는 표시 기판 KR101298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418A KR101298278B1 (ko) 2006-05-30 2006-05-30 신호 배선 및 이를 갖는 표시 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418A KR101298278B1 (ko) 2006-05-30 2006-05-30 신호 배선 및 이를 갖는 표시 기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4863A KR20070114863A (ko) 2007-12-05
KR101298278B1 true KR101298278B1 (ko) 2013-08-20

Family

ID=39141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8418A KR101298278B1 (ko) 2006-05-30 2006-05-30 신호 배선 및 이를 갖는 표시 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82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84411B (zh) * 2008-10-07 2014-04-09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以及有源矩阵基板
KR102514409B1 (ko) * 2015-09-15 2023-03-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6243A (ko) * 1999-12-31 2001-07-11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액정 표시장치
KR20030052026A (ko) * 2001-12-20 2003-06-2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JP2003302654A (ja) * 2002-04-12 2003-10-24 Hitachi Ltd 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6243A (ko) * 1999-12-31 2001-07-11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액정 표시장치
KR20030052026A (ko) * 2001-12-20 2003-06-2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JP2003302654A (ja) * 2002-04-12 2003-10-24 Hitachi Ltd 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4863A (ko) 200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7463B2 (en) Display device
US10409121B2 (en) Arr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5917694B2 (ja) 表示装置
JP6776060B2 (ja) 表示装置
EP1898389A1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KR20090038670A (ko)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방법
US8637867B2 (en) Electrostatic discharge devic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799515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substrate using a laser to remove test lines from the substrate without cutting the substrate
KR101298278B1 (ko) 신호 배선 및 이를 갖는 표시 기판
KR20070071324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20200117312A1 (en) Touch screen including an inspection line and a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0824037B2 (en) Array substr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182302B1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675703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60103652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513388B1 (ko) 협 베젤 구조를 갖는 평판 표시 장치
CN114843283A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140147494A (ko) 가요성 표시장치
KR101374111B1 (ko) 박막 트랜지스터의 정전기 방지회로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70060977A (ko) 전극 접속부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US20240188354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2139974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118460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040767A (ko)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전계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0535351B1 (ko)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