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8249B1 - 치과용 멤브레인 - Google Patents

치과용 멤브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8249B1
KR101298249B1 KR1020120003854A KR20120003854A KR101298249B1 KR 101298249 B1 KR101298249 B1 KR 101298249B1 KR 1020120003854 A KR1020120003854 A KR 1020120003854A KR 20120003854 A KR20120003854 A KR 20120003854A KR 101298249 B1 KR101298249 B1 KR 101298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membrane
alveolar bone
papilla
bone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3204A (ko
Inventor
문종훈
정시영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3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8249B1/ko
Priority to PCT/KR2012/011387 priority patent/WO2013095077A1/ko
Priority to US14/368,037 priority patent/US10105198B2/en
Priority to JP2014548689A priority patent/JP5891312B2/ja
Priority to EP12860152.3A priority patent/EP2796109B1/en
Priority to CN201280070577.9A priority patent/CN104135963B/zh
Priority to TW101149624A priority patent/TWI532469B/zh
Publication of KR20130083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8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8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2846Support means for bone substitute or for bone graft implants, e.g. membranes or plates for covering bone de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02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reconstruction of bones; weight-bearing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12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dental implants or prosthe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멤브레인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조골의 결손부위에 배치되어 치조골이 재생될 공간을 형성시켜 주거나 골 이식재를 감싸는 치과용 멤브레인으로서, 상기 치조골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임플란트용 삽입물에 의하여 위치고정되는 치과용 멤브레인에 있어서,
골이식재가 채워진 치조골 결손부위의 상면을 감싸는 상측부와, 상기 상측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며 골이식재가 채워진 치조골 결손부위의 측면을 감싸는 측면절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측부는, 임플란트용 삽입물이 삽입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이 결합되는 중앙홀이 형성되어 있는 중앙부분; 및 상기 중앙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중앙부분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재생되는 치조골에 볼록하게 상향돌출된 파필라가 형성되도록 유도하는 파필라 형성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과용 멤브레인{Dental membrane}
본 발명은 골 결손 부위에 배치되어 골 재생을 유도하도록 골이식재를 덮는 치과용 멤브레인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생되는 치조골에 파필라가 형성되도록 유도하는 치과용 멤브레인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임플란트 시술에서 치조골의 일부가 결손되어 잔존하는 치조골만으로는 인공치근으로 사용되는 임플란트용 삽입물을 충분하게 지지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결손된 부분에 자가골 또는 인조골과 같은 골이식재를 채운 후에 그 골이식재가 새로운 치조골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술을 시행하게 된다. 즉, 결손된 만큼 부족한 치조골을 만드는 시술을 시행하게 되는데, 이를 골유도 재생술(GBR; Guidded Bone regeneration)이라 한다.
골 유도 재생술을 시술하기 위해서는, 결손된 부위에 인조골 또는 자가골과 같은 골이식재(Bone Graft)를 채운 후에, 채워진 골이식재가 필요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치과용 멤브레인을 덮는다. 이때 사용되는 멤브레인은, 흡수성 또는 비 흡수성 소재가 사용 되어져 왔다.
이 중 비 흡수성 소재인 티타늄은 다른 소재에 비해서 골 결손이 발생한 부위의 공간형성(space making) 즉, 수직적, 수평적으로 골 증대는 용이했었다. 그러나, 전치부와 같이 심미성이 요구되는 부위에서는 단순히 골 증대뿐만 아니라, 골 증대의 형상도 중요시 된다. 즉, 전치부의 심미를 위해서는 치은의 파필라(papilla; '골유두'라고도 하며 치아와 치아 사이 또는 치아주변에 형성된 볼록하게 돌출된 부분) 형성이 필요로 하게 되는데, 기존의 멤브레인을 이용할 경우 시술자가 현장에서 수행하는 벤딩과 트리밍만으로는 파필라 형상을 구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다시 말해, 만족스러운 골 증대 효과를 얻고도, 파필라(papilla) 형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치조골을 갈아내거나 깍아내는 추가의 과정이 필요했었고 이러한 시술 과정은 구현하기가 쉽지 않을뿐만 아니라 환자와 시술자에게 시간적, 비용적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었다.
미국등록특허 제6,171,10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조골 재생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파필라가 동시에 형성하도록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에 대한 것이다.
특히, 시술자가 현장에서 멤브레인의 벤딩과 트리밍 또는 치조골을 갈아내거나 깍아내는 추가의 과정이 없이 용이하게 파필라 형상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에 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과용 멤브레인은, 치조골의 결손부위에 배치되어 치조골이 재생될 공간을 형성시켜 주거나 골 이식재를 감싸는 치과용 멤브레인으로서, 상기 치조골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임플란트용 삽입물에 의하여 위치고정되는 치과용 멤브레인에 있어서,
골이식재가 채워진 치조골 결손부위의 상면을 감싸는 상측부와,
상기 상측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며 골이식재가 채워진 치조골 결손부위의 측면을 감싸는 측면절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측부는,
임플란트용 삽입물이 삽입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이 결합되는 중앙홀이 형성되어 있는 중앙부분; 및
상기 중앙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중앙부분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재생되는 치조골에 볼록하게 상향돌출된 파필라가 형성되도록 유도하는 파필라 형성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파필라 형성부분은, 중앙부분을 둘러싸도록 고리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파필라 형성부분은, 혀측, 입술측 또는 인접한 치아측 중 어느 한 부분에 국부적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중앙부분으로부터 상기 파필라 형성부분의 최상단까지의 수직거리는 0.1 ~ 3mm 일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파필라 형성부분은 상기 중앙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중앙홀로부터 상기 파필라 형성부분까지의 최단거리는 1mm ~ 10mm 일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중앙부분은 평평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상측부에는 상기 중앙홀보다 작은 다수의 제1미세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절곡부에는 다수의 제2미세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상측부에는 상기 측면절곡부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하측으로 절곡되는 상측연장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상측연장부에는 다수의 제3미세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상측부에는,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하측으로 절곡되는 상측날개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상측날개부에는 다수의 제4미세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측면절곡부에는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내측으로 절곡된 측면날개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측면날개부에는 다수의 제5미세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측면절곡부의 하단에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절곡되는 측면연장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측면날개부에는 다수의 제6미세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상측부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과용 멤브레인은, 치조골의 결손부위에 배치되어 치조골이 재생될 공간을 형성시켜 주거나 골 이식재를 감싸는 치과용 멤브레인으로서,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용 나사에 의하여 위치고정되는 치과용 멤브레인에 있어서,
골이식재가 채워진 치조골 결손부위의 상면을 감싸는 상측부와,
상기 상측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며 골이식재가 채워진 치조골 결손부위의 측면을 감싸는 측면절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측부는,
다수의 미세구멍이 형성되는 중앙부분; 및
상기 중앙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중앙부분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재생되는 치조골에 볼록하게 상향돌출된 파필라가 형성되도록 유도하는 파필라 형성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파필라 형성부분은, 중앙부분을 둘러싸도록 고리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파필라 형성부분은, 혀측, 입술측 또는 인접한 치아측 중 어느 한 부분에 국부적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중앙부분으로부터 상기 파필라 형성부분의 최상단까지의 수직거리는 0.1 ~ 3mm 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과용 멤브레인은, 치조골의 결손부위에 배치되어 치조골이 재생될 공간을 형성시켜 주거나 골 이식재를 감싸는 치과용 멤브레인으로서, 상기 치조골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임플란트용 삽입물에 의하여 위치고정되는 치과용 멤브레인에 있어서,
골이식재가 채워진 치조골 결손부위의 상면을 감싸는 상측부와,
상기 상측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측부는,
임플란트용 삽입물이 삽입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이 결합되는 중앙홀이 형성되어 있는 중앙부분; 및
상기 중앙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중앙부분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재생되는 치조골에 볼록하게 상향돌출된 파필라가 형성되도록 유도하는 파필라 형성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파필라 형성부분은, 중앙부분을 둘러싸도록 고리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파필라 형성부분은, 혀측, 입술측 또는 인접한 치아측 중 어느 한 부분에 국부적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중앙부분으로부터 상기 파필라 형성부분의 최상단까지의 수직거리는 0.1 ~ 3mm 일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파필라 형성부분은 상기 중앙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중앙홀로부터 상기 파필라 형성부분까지의 최단거리는 1mm ~ 10mm 일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수평연장부는 재생되어야 할 치조골의 형상에 맞게 곡면형상으로 포밍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과용 멤브레인은, 치조골의 결손부위에 배치되어 치조골이 재생될 공간을 형성시켜 주거나 골 이식재를 감싸는 치과용 멤브레인으로서,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용 나사에 의하여 위치고정되는 치과용 멤브레인에 있어서,
골이식재가 채워진 치조골 결손부위의 상면을 감싸는 상측부와,
상기 상측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측부는,
다수의 미세구멍이 형성되는 중앙부분; 및
상기 중앙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중앙부분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재생되는 치조골에 볼록하게 상향돌출된 파필라가 형성되도록 유도하는 파필라 형성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파필라 형성부분은, 중앙부분을 둘러싸도록 고리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파필라 형성부분은, 혀측, 입술측 또는 인접한 치아측 중 어느 한 부분에 국부적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중앙부분으로부터 상기 파필라 형성부분의 최상단까지의 수직거리는 0.1 ~ 3mm 일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수평연장부는 재생되어야 할 치조골의 형상에 맞게 곡면형상으로 포밍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은, 재생되어야 할 치조골에서 파필라 형상이 구현될 수 있는 파필라 형성부분이 마련되어 있어 파필라 형성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은, 시술자가 현장에서 멤브레인의 벤딩과 트리밍을 할 필요가 없으며, 생성된 치조골을 갈아내거나 깍아내는 추가의 과정이 없이 용이하게 파필라 형상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시술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을 평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시술조건에 맞게 도 1의 치과용 멤브레인을 3차원적으로 포밍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는 도 2의 치과용 멤브레인이 치조골 재생을 위하여 설치된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2의 치과용 멤브레인이 치조골 재생을 위하여 설치된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을 평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의 치과용 멤브레인을 3차원적으로 포밍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8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을 평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10의 치과용 멤브레인을 3차원적으로 포밍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
도 12는 도 11의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을 평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도 13의 치과용 멤브레인을 3차원적으로 포밍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도 14의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을 평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도 16의 치과용 멤브레인을 3차원적으로 포밍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도 17의 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의 사시도.
도 20은 도 19의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의 사시도.
도 22는 도 21의 평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의 사시도.
도 24는 도 23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의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10)은, 치조골(80) 결손부위에 채워진 골이식재(82)를 감싸서 치조골(80) 재생을 유도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치과용 멤브레인(10)은, 결손된 치조골(80)의 열린 부위에 채워진 자가골 또는 인조골과 같은 골이식재(82)를 덮어 상기 골이식재(82)가 골 재생과정에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내부에 배치된 골이식재의 동요도를 없애서 안정적으로 치조골(80) 재생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치과용 멤브레인(10)의 2차원 평면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그 형상은 골 결손 형태를 미리 분류하여 이에 맞게 트리밍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미리 트리밍되어 있는 2차원 형태의 골 재생용 맴브레임을 소정의 벤딩기구에 의하여 3차원적으로 벤딩한 모습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10)은, 시술직전에 시술자가 환자의 형상에 맞게 즉각적으로 트리밍 및 벤딩을 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3차원적으로 소정의 벤딩기를 이용하여 트리밍 및 벤딩을 수행하여 제작되는 것으로서, 재생되어야 하는 치조골(80)의 형상에 맞게 치조골(80) 방향으로 입체적인 곡면형상으로 미리 포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10)은, 상측부(20), 측면절곡부(30), 상측연장부(40), 상측날개부(50), 측면날개부(60), 측면연장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측부(20)는, 치조골(80) 결손부위로서 골이식재(82)가 쌓여있는 부위의 상면을 덮는 것으로서 중앙부분(21)과 파필라 형성부분(2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중앙부분(21)은 임플란트용 삽입물이 삽입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이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중앙부분(21)에는 임플란트용 삽입물이 통과하여 삽입되는 중앙홀(211)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파필라 형성부분(22)은, 중앙부분(21)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중앙부분(21)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재생되는 치조골(80)에 볼록하게 상향돌출되는 파필라가 형성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이러한 파필라 형성부분(22)의 단면은 대략 아치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필라 형성부분(22)은, 중앙부분(21)을 둘러싸고 전체적으로 고리형상을 가지도록 중앙부분(21)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때, 중앙부분(21)으로부터 상기 파필라 형성부분(22)의 최상단까지의 거리(h)는 대략 0.1 ~ 3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파필라 형성부분(22)이 상기 범위보다 큰 경우에는 생성되는 치조골(80)의 파필라 부분이 지나치게 높게 돌출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파필라 형성부분(22)이 상기 범위보다 낮은 경우에는 돌출되는 부분의 높이가 낮아서 심미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재생 후에 쉽게 붕괴될 염려가 있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중앙홀(211)으로부터 상기 파필라 형성부분(22)은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중앙홀(211)과 파필라 형성부분(22)간의 최단거리는 1mm ~ 10mm 인 것이 좋다. 이때, 최단거리란 중앙홀에서 파필라 형성부분과 가장 인접한 부분으로부터 상기 돌출되는 파필라 형성부분의 시작부분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이와 같이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음에 따라서 파필라의 형성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상측부(20)에는 다수의 제1미세구멍(23)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제1미세구멍(23)은 중앙홀(211)에 비하여 다소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0.1 ~ 2.0 mm 의 범위를 가지는 것이 좋다. 이러한 제1미세구멍(23)은 골 결손부위를 채우는 골이식재(82)와 주변 골 조직간의 혈액 간 생리반응을 활성화시키는 것으로서, 골이식재(82)가 주변 골조직과 견고하고 안정되게 골 융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미세구멍(23)이 상기 범위를 가짐에 따라서 혈액의 소통이 유리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측면절곡부(30)는, 상기 상측부(20)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어 골이식재(82)가 채워진 치조골(80) 결손부위의 측면을 감싸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절곡부(30)는 "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상측부(20)로부터 절곡되어 구성되며 다수의 제2미세구멍(3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측면절곡부(30)는, 상기 상측부(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31)와 상기 상측부(2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32)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절곡부(31)의 제2미세구멍(33)은 0.8 ~ 2.0 mm 일 수 있으며, 상기 제2절곡부(32)의 제2미세구멍(33)은 0.1 ~ 0.7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절곡부(31)의 최하단의 제1구멍은 초승달 또는 반달형태로 정렬되어 있게 된다. 즉, 제1구멍의 최하단이 오목라인을 따라서 정렬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오목한 접시형태로 이루어지는 이유는 벤딩라인을 자연스럽게 형성함으로서 벤딩시 일부 구간에서 국부적인 돌출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2절곡부(32)의 구멍의 크기가 작은 이유는 벤딩과정에서 유연성을 극대화하여 곡률반경이 큰 경우에도 유연하게 벤딩되어 구부려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측연장부(40)는 상기 상측부(20)로부터 연장되어 골이식재(82)를 감싸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측면절곡부(30)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하측으로 절곡되는 것이다. 상기 상측연장부(40)에는 다수의 제3미세구멍(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3미세구멍(41)을 통해 혈액이 소통함으로서 골융합이 증진될 수 있다. 이러한 상측연장부(40)는 재생되어야 할 치조골(80)의 최종 형상에 맞게 3차원적으로 미리 포밍되어 있게 된다.
상기 상측날개부(50)는, 상기 상측부(20)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되는 것으로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측날개부(50)는 골이식재(82)를 감싸도록 하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상기 상측날개부(50)는 상기 상측의 측면 가장자리 중 일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벤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면결합부는 치조골(80)의 상부 안쪽(medial) 또는 바깥쪽(distal)을 덮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측날개부(50)에는 다수의 제4미세구멍(5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많은 미세구멍이 형성됨에 따라서 전체적인 유연성이 증가되고 벤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측면날개부(60)는, 측면절곡부(30)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내측으로 절곡된 것이다. 내부에 골 이식재(82)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측면절곡부(30)의 양측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되 골 이식재(82)를 향하여 절곡되어 구부러지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날개부(60)는 골 결손부위의 구강(buccal) 측을 감싸는 것으로서,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갈수록 측면절곡부(30)로부터의 거리가 서서히 증가하다가 중간이후부터는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측면날개부(60)는 측면절곡부(30)의 측면전체에 걸쳐서 단일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게 되어 골 융합이후 골 결손부위로부터 빼내는 경우에 용이하게 빠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측면날개부(60)에는 다수의 제5미세구멍(61)이 형성되어 있게 되는데, 이러한 제5미세구멍(61)의 직경은 제2미세구멍(33)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5미세구멍(61)의 직경은 0.1 ~ 0.7mm 일 수 있다. 또한 제5미세구멍(61)은 제2미세구멍(33)보다 촘촘하게 배치되어 있어 동일면적 대비로 하여 많은 수의 구멍이 측면날개부(60)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측면날개부(60)의 단위면적당 총면적은 측면절곡부(30)의 제2구멍의 단위면적당 총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5미세구멍(61)이 작은 크기로 촘촘하게 배치되어 있음에 따라서 전체적인 측면날개부(60)의 유연성이 증대되고 추후 치조골(80)로부터 빼내는 과정에서 주변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용이하게 빼내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측면날개부(60)가 유연함에 따라서 벤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측면연장부(70)는 상기 측면절곡부(3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내측으로 절곡되는 것이다. 상기 하단절곡부에는 다수의 제6미세구멍(71)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6미세구멍(71)의 직경은 제2미세구멍(33)보다 작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충분한 유연성을 확보하고 추후 골융합 이후에 치조골(80)로부터 용이하게 빠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트리밍과정에서 표면이 날카롭게 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주변 치은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치과용 멤브레인(10)의 표면에는 tin 코팅층 또는 아노다이징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코팅층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멤브레인이 검게 보임에 따라서 심미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10)은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먼저, 치과용 멤브레인(10)을 부착하기 전에, 픽스쳐(91)와 어버트먼트(92)로 이루어진 임플란트 삽입물(90)을 치조골(80) 내에 삽입하고, 골 결손 부위에 골이식재(82)를 채워넣는다. 이후에, 임플란트 삽입물(90)에 대하여 미리 3차원 형상으로 포밍되어 형성된 치과용 멤브레인(10)을 상기 임플란트 삽입물에 결합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측부(20)의 중앙홀(211)에 상기 임플란트 삽입물이 끼워지게 하여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치과용 멤브레인(10)이 임플란트 삽입물에 결합시킨 후에 별도의 멤브레인 고정용 덮개를 이용하여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10)이 골이식재(82)의 상측에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에,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10)의 위에 치은(81)을 덮은 후에 상기 치은(81)을 봉합한다. 봉합후 모습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후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 치과용 멤브레인(10)의 내부에서 골이식재(82)가 골융합된 후에는 봉합된 치은(81)을 열고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10)을 상기 골 결손부위로부터 제거하게 된다.
한편,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10)에는, 파필라 형성부분(22)이 형성되어 있어 재생되는 치조골(80)에는 상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부분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그 위에 덮히는 치은(81)도 상기 치조골(80)의 형상에 맞게 볼록하게 상측으로 돌출되어 원하는 심미감을 가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은, 치조골 형성과정에서 파필라가 구현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서 시술자가 불필요하게 치조골을 잘라내거나 삭제함으로서 별도로 파필라를 구현토록 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과용 멤브레인은, 맞춤화되어 3차원적으로 미리 포밍되어 제작되기 때문에, 시술자가 시술현장에서 최소한의 트리밍 및 벤딩을 수행하거나 또는 트리밍 또는 벤딩없이 그대로 시술할 수 있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치과용 멤브레인은 국부적으로 접혀 돌출된 부분이 없도록 미리 맞춤화된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시술현장에서 벤딩을 하는 과정 중 국부적으로 일부가 돌출되는 우는 현상(예컨데, 구김 및 주름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임플란트 삽입물 상태에 체결될 때 별도의 체결 스크류가 필요없게 될 수 있다.
또한, 부분별 미세구멍의 크기를 달리함으로서 많이 구부려야 하는 부분에서는 유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 벤딩 용이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서, 시술현장에서 국부적인 벤딩이 필요한 경우에도 현장 작업성이 높아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측면날개부가 유연성이 높도록 구성됨에 따라서 벤딩의 용이성 이외에 추후 이식재로부터 제거할 때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은 다음과 같이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상술한 도 5에서는 임플란트용 이식물(90)로서, 픽스쳐(91)와 어버트먼트(92)를 포함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임플란트 이식물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쳐(91)와 어버트먼트(92)가 서로 일체로 결합된 어버트먼트 일체형 픽스쳐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치과용 멤브레인의 중앙홀이 상기 어버트먼트 일체형 픽스쳐의 상단에 결합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임플란트용 이식물(90)이 픽스쳐만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측부(20), 측면절곡부(30), 상측연장부(40), 상측날개부(50), 측면날개부(60), 측면연장부(70)가 마련되는 치과용 멤브레인을 설시하였으나,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연장부(40)가 없이 상측부(20), 측면절곡부(30), 상측날개부(50), 측면날개부(60), 측면연장부(70)만으로 구성된 치과용 멤브레인도 가능하다. 이러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치과용 멤브레인은, 치조골 결손부위가 상면과 일측면인 경우에 사용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도 7 내지 9 의 실시예에서는 상측부(20), 측면절곡부(30), 상측날개부(50), 측면날개부(60), 측면연장부(70)를 포함한 치과용 멤브레인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부(20)에 별도의 상측날개부(50)가 마련됨이 없이 상측부(20)의 폭을 확대시켜 치조골의 상면을 전체적으로 덮도록 사각형상의 평판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에 측면날개부(60)도 없이 측면절곡부(30)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도 7 내지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상측부(20), 측면절곡부(30), 상측날개부(50), 측면날개부(60), 측면연장부(70)를 포함한 치과용 멤브레인을 도시하였으나, 이외에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부(20), 측면절곡부(30), 측면날개부(60) 및 측면연장부(70)로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상측부(20)의 파필라 형성부분은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입술측을 향하여도록 국부적을 돌출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는 주로 치조골 결손부가 일측면에 한정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치조골 치과용 멤브레인은, 상측부(20), 측면절곡부(30), 측면날개부(60) 및 측면연장부(70)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부(20), 측면절곡부(30) 및 측면연장부(70)로 구성된 치과용 멤브레인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도 주로 치조골 결손부가 일측면에 한정된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상측부(20)에 중앙홀이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9 및 도 20에 개시된 바와 같이 중앙홀이 형성됨이 없이 다수의 제1미세구멍만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측부(20), 측면절곡부(30), 상측연장부(40), 상측날개부(50), 측면날개부(60), 측면연장부(70)가 마련된 상태에서, 중앙홀만이 개시됨이 없이 제작될 수 있다. 이때, 멤브레인의 고정은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용 나사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고정용 나사는 작은 나사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측연장부(40)의 양단 및 측면연장부(70)의 양단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이식재가 채워진 치조골 결손부위의 상면을 감싸는 상측부(10')와, 상기 상측부(10')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측부(10')는, 임플란트용 픽스쳐가 삽입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이 결합되는 중앙홀(211')이 형성되어 있는 중앙부분(21'); 및 상기 중앙부분(21')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중앙부분(21')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재생되는 치조골에 볼록하게 상향돌출된 파필라가 형성되도록 유도하는 파필라 형성부분(22')을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술한 형태와 달리 전체적으로 사각평면 형태로 구성되되, 중앙부분(21')의 주변에 파필라 형성부분(22')이 마련되도록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도 21 및 도 22에 개시된 치과용 멤브레인(10')은 시술현장에서 별도의 벤딩이나 트리밍 없이 치조골 재생에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나, 필요에 따라 소정의 형상으로 벤딩 또는 트리밍하여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21 및 도 22의 실시예와 달리 소정의 형태로 벤딩하여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수평연장부(30')를 하측으로 구부려 전체적으로 곡면형상으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25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골이식재가 채워진 치조골 결손부위의 상면을 감싸는 상측부(10')와, 상기 상측부(10')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측부(10')는, 다수의 미세구멍이 형성되는 중앙부분(21'); 및 상기 중앙부분(21')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중앙부분(21')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재생되는 치조골에 볼록하게 상향돌출된 파필라가 형성되도록 유도하는 파필라 형성부분(22')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21 및 도 22의 실시예와 달리 중앙홀(211')이 별도로 마련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치과용 멤브레인(10')은 가장자리 모서리에 배치되는 다수의 고정용 나사에 의하여 치조골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25의 실시예와 달리 도 26에 개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형태로 벤딩하여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수평연장부(30')를 하측으로 구부려 전체적으로 곡면형상으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합리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범위라면 청구범위가 확대해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치과용 멤브레인 20...상측부
21...중앙부분 211...중앙홀
22...파필라 형성부분 23...제1미세구멍
30...측면절곡부 31...제1절곡부
32...제2절곡부 33...제2미세구멍
40...상측연장부 41...제3미세구멍
50...상측날개부 51...제4미세구멍
60...측면날개부 61...제5미세구멍
70...측면연장부 71...제6미세구멍
80...치조골 81...치은
82...골 이식재 90...임플란트용 삽입물
91...픽스쳐 92...어버트먼트
93...고정용 덮개 94...일체형 임플란트

Claims (33)

  1. 치조골의 결손부위에 배치되어 치조골이 재생될 공간을 형성시켜 주거나 골 이식재를 감싸는 치과용 멤브레인으로서, 상기 치조골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임플란트용 삽입물에 의하여 위치고정되는 치과용 멤브레인에 있어서,
    골이식재가 채워진 치조골 결손부위의 상면을 감싸는 상측부와,
    상기 상측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며 골이식재가 채워진 치조골 결손부위의 측면을 감싸는 측면절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측부는,
    임플란트용 삽입물이 삽입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이 결합되는 중앙홀이 형성되어 있는 중앙부분; 및
    상기 중앙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중앙부분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재생되는 치조골에 볼록하게 상향돌출된 파필라가 형성되도록 유도하는 파필라 형성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필라 형성부분은, 중앙부분을 둘러싸도록 고리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필라 형성부분은, 혀측, 입술측 또는 인접한 치아측 중 어느 한 부분에 국부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분으로부터 상기 파필라 형성부분의 최상단까지의 수직거리는 0.1 ~ 3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필라 형성부분은 상기 중앙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홀로부터 상기 파필라 형성부분까지의 최단거리는 1mm ~ 1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분은 평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부에는 상기 중앙홀보다 작은 다수의 제1미세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절곡부에는 다수의 제2미세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부에는 상기 측면절곡부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하측으로 절곡되는 상측연장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연장부에는 다수의 제3미세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부에는,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하측으로 절곡되는 상측날개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날개부에는 다수의 제4미세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절곡부에는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내측으로 절곡된 측면날개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날개부에는 다수의 제5미세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절곡부의 하단에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절곡되는 측면연장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연장부에는 다수의 제6미세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부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18. 치조골의 결손부위에 배치되어 치조골이 재생될 공간을 형성시켜 주거나 골 이식재를 감싸는 치과용 멤브레인으로서,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용 나사에 의하여 위치고정되는 치과용 멤브레인에 있어서,
    골이식재가 채워진 치조골 결손부위의 상면을 감싸는 상측부와,
    상기 상측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며 골이식재가 채워진 치조골 결손부위의 측면을 감싸는 측면절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측부는,
    다수의 미세구멍이 형성되는 중앙부분; 및
    상기 중앙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중앙부분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재생되는 치조골에 볼록하게 상향돌출된 파필라가 형성되도록 유도하는 파필라 형성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파필라 형성부분은, 중앙부분을 둘러싸도록 고리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파필라 형성부분은, 혀측, 입술측 또는 인접한 치아측 중 어느 한 부분에 국부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분으로부터 상기 파필라 형성부분의 최상단까지의 수직거리는 0.1 ~ 3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22. 치조골의 결손부위에 배치되어 치조골이 재생될 공간을 형성시켜 주거나 골 이식재를 감싸는 치과용 멤브레인으로서, 상기 치조골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임플란트용 삽입물에 의하여 위치고정되는 치과용 멤브레인에 있어서,
    골이식재가 채워진 치조골 결손부위의 상면을 감싸는 상측부와,
    상기 상측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측부는,
    임플란트용 삽입물이 삽입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이 결합되는 중앙홀이 형성되어 있는 중앙부분; 및
    상기 중앙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중앙부분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재생되는 치조골에 볼록하게 상향돌출된 파필라가 형성되도록 유도하는 파필라 형성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파필라 형성부분은, 중앙부분을 둘러싸도록 고리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파필라 형성부분은, 혀측, 입술측 또는 인접한 치아측 중 어느 한 부분에 국부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분으로부터 상기 파필라 형성부분의 최상단까지의 수직거리는 0.1 ~ 3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파필라 형성부분은 상기 중앙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홀로부터 상기 파필라 형성부분까지의 최단거리는 1mm ~ 1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연장부는 재생되어야 할 치조골의 형상에 맞게 곡면형상으로 포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29. 치조골의 결손부위에 배치되어 치조골이 재생될 공간을 형성시켜 주거나 골 이식재를 감싸는 치과용 멤브레인으로서,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용 나사에 의하여 위치고정되는 치과용 멤브레인에 있어서,
    골이식재가 채워진 치조골 결손부위의 상면을 감싸는 상측부와,
    상기 상측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측부는,
    다수의 미세구멍이 형성되는 중앙부분; 및
    상기 중앙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중앙부분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재생되는 치조골에 볼록하게 상향돌출된 파필라가 형성되도록 유도하는 파필라 형성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파필라 형성부분은, 중앙부분을 둘러싸도록 고리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파필라 형성부분은, 혀측, 입술측 또는 인접한 치아측 중 어느 한 부분에 국부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분으로부터 상기 파필라 형성부분의 최상단까지의 수직거리는 0.1 ~ 3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연장부는 재생되어야 할 치조골의 형상에 맞게 곡면형상으로 포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KR1020120003854A 2011-12-23 2012-01-12 치과용 멤브레인 KR101298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854A KR101298249B1 (ko) 2012-01-12 2012-01-12 치과용 멤브레인
PCT/KR2012/011387 WO2013095077A1 (ko) 2011-12-23 2012-12-24 치과용 멤브레인
US14/368,037 US10105198B2 (en) 2011-12-23 2012-12-24 Dental membrane
JP2014548689A JP5891312B2 (ja) 2011-12-23 2012-12-24 歯科用メンブレン
EP12860152.3A EP2796109B1 (en) 2011-12-23 2012-12-24 Dental membrane
CN201280070577.9A CN104135963B (zh) 2011-12-23 2012-12-24 牙膜
TW101149624A TWI532469B (zh) 2011-12-23 2012-12-24 牙槽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854A KR101298249B1 (ko) 2012-01-12 2012-01-12 치과용 멤브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204A KR20130083204A (ko) 2013-07-22
KR101298249B1 true KR101298249B1 (ko) 2013-08-22

Family

ID=48994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854A KR101298249B1 (ko) 2011-12-23 2012-01-12 치과용 멤브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82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1195A (ko) * 2015-01-23 2016-08-02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흡수성 치주조직 재생막 및 이를 보관하는 앰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6846A1 (ko) * 2014-06-02 2015-12-10 장재우 골이식용 이식물 및 이를 이용한 골이식 방법
KR101721095B1 (ko) * 2015-08-27 2017-03-29 주식회사 덴티스 임플란트 시술용 와이어 메시
KR101686221B1 (ko) * 2016-03-10 2016-12-13 안필호 임플란트 시술용 날개형 멤브레인
KR101636988B1 (ko) * 2016-03-10 2016-07-07 안필호 임플란트 시술용 포켓형 멤브레인
KR101892448B1 (ko) * 2016-07-04 2018-08-28 한국전기연구원 임플란트용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AU2017353846A1 (en) * 2016-11-03 2019-05-16 DePuy Synthes Products, Inc. Fold-up containment device for bone defects
KR101998847B1 (ko) 2018-08-08 2019-07-11 (주) 코웰메디 치주조직 재생용 차폐막
KR200495602Y1 (ko) * 2020-04-29 2022-07-06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차폐막 및 그를 포함하는 치과용 차폐막 세트
CN113813063B (zh) * 2020-11-25 2023-05-09 广州市弘健生物医用制品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萎缩牙槽骨修复的支架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1106B1 (en) * 1919-09-14 2001-01-09 Gc Corporation Cover screw for dental impla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1106B1 (en) * 1919-09-14 2001-01-09 Gc Corporation Cover screw for dental impla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1195A (ko) * 2015-01-23 2016-08-02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흡수성 치주조직 재생막 및 이를 보관하는 앰플
KR101649120B1 (ko) * 2015-01-23 2016-08-1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흡수성 치주조직 재생막 및 이를 보관하는 앰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204A (ko) 2013-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8249B1 (ko) 치과용 멤브레인
EP2796109B1 (en) Dental membrane
EP2737871B1 (en) Membrane for alveolar bone regeneration
KR101296741B1 (ko) 힐링 어버트먼트
CN109640884A (zh) ***治疗装置
JP6450712B2 (ja) 抜歯部位歯槽ケージ
MX2007013295A (es) Soporte de tejido blando.
EA030388B1 (ru) Пористый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т
JP5518780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治療の骨造成術において使用する保護デバイス
CN203226912U (zh) 一种人工植牙结构
KR101182806B1 (ko)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KR200471683Y1 (ko) 치과용 차폐막
KR101128059B1 (ko)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KR101144322B1 (ko) 치과용 멤브레인
KR101181877B1 (ko)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KR101636988B1 (ko) 임플란트 시술용 포켓형 멤브레인
KR20150041596A (ko)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
KR101699498B1 (ko)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67278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1405839B1 (ko) 치조골 재생용 차폐막
KR101316008B1 (ko)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용 어버트먼트
KR20200008768A (ko) 환자의 치아원형을 본 뜬 맞춤형 치아임플란트 및 이의 제작방법
KR20160003973A (ko) 절단 안내선을 구비하는 범용 어버트먼트 및 이를 이용한 보철물 제조방법
KR101027331B1 (ko) 치조골 재생 장치
WO2019016803A2 (en) DENTAL IM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