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877B1 -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 Google Patents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1877B1
KR101181877B1 KR1020110076172A KR20110076172A KR101181877B1 KR 101181877 B1 KR101181877 B1 KR 101181877B1 KR 1020110076172 A KR1020110076172 A KR 1020110076172A KR 20110076172 A KR20110076172 A KR 20110076172A KR 101181877 B1 KR101181877 B1 KR 101181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veolar bone
membrane
bone regeneration
ben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6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종훈
정시영
엄태관
최규옥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6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877B1/ko
Priority to CN201280038257.5A priority patent/CN103717173B/zh
Priority to US14/235,623 priority patent/US9339354B2/en
Priority to PCT/KR2012/005794 priority patent/WO2013019007A2/ko
Priority to EP12819865.2A priority patent/EP2737871B1/en
Priority to JP2014522741A priority patent/JP5782189B2/ja
Priority to TW101127281A priority patent/TWI551271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2846Support means for bone substitute or for bone graft implants, e.g. membranes or plates for covering bone de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28Materials for coating prostheses
    • A61L27/30Inorganic materials
    • A61L27/306Other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not covered by A61L27/303 - A61L27/3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12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dental implants or prosthe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조골 결손부위의 열린 벽을 감싸서 치조골 결손부의 치조골재생을 유도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 있어서,
재생되어야 하는 치조골의 최종 형상에 맞게 치조골 방향으로 입체적인 곡면형상으로 미리 포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Membrane for bone-repair}
본 발명은 골 결손 부위에 배치되어 골 재생을 유도하도록 이식재를 덮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트리밍 및 벤딩이 필요없어 국부적으로 과도하게 돌출되는 부위가 없어 시술시간을 단축시키고 제작이 편리하며 시술 성공율을 높일 수 있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GBR(Guided Bone Regeneration) 즉, 골유도 재생술을 위해 비 흡수성 제품 중 사각 티타늄 판재에 구멍을 천공한 제품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시술자는 골 결손(bone defect)이 발생된 위치의 형상을 인지하고 사각 멤브레인을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적합하게 트리밍(Trimming) 한 후 다시 3차원으로 벤딩(bending)을 하여 결손 부위를 덮어(adaptation) 주었고, 최종적으로 멤브레인을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스크류를 사용하여 고정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골 결손의 형상을 인지한 후 필요한 형상으로 트리밍을 해야 되었고, 이를 다시 벤딩함으로서 보다 완벽하게 골 결손 부위를 덮기 힘들었을 뿐 아니라 시술 시간도 늘어나며, 벤딩과정에서 과도하게 우는 현상 즉, 벤딩 부위가 국부적으로 과도하게 돌출되는 현상으로 골 재생 유도 기간 동안 돌출부가 치은을 뚫고 나와 외부로부터 감염이 되어 골 재생을 실패하는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또한 멤브레인을 고정하기 위해 체결한 스크류(screw)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보다 넓은 치은 절개해야 하므로, 시술 시간도 증대될 뿐 아니라 출혈로 인한 부종이 발생되어 환자에게는 고통을 주게 되어 술자나 환자에게 모두 시술에 대한 부담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11671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에서 골 결손 형상을 예측하여 3차원으로 트리밍되어 있으면서 동시에 벤딩이 되어 국부적인 돌출현상이 없는 맞춤화된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시술 시간이 단축되고, 제작이 편리하며, 시술 성공율을 높임과 동시에 환자에게는 부종과 고통을 줄일 수 있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은, 치조골 결손부위의 열린 벽을 감싸서 치조골 결손부의 치조골재생을 유도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 있어서,
재생되어야 하는 치조골의 최종 형상에 맞게 치조골 방향으로 입체적인 곡면형상으로 미리 포밍되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조골 재생용 맴브레인은, 치조골 결손부위의 열린 벽을 감싸서 치조골 결손부의 치조골재생을 유도하는 치조골재생용 멤브레인에 있어서,
치조골 내에 삽입되는 임플란트용 삽입물이 관통될 수 있는 중앙홀이 형성되며 상기 임플란트 삽입물과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어 구부려지되 전체적으로 곡면형상을 이루는 측면절곡부; 및
상기 측면절곡부의 양측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되 치조골 결손부위를 향하여 절곡되어 구부러져 있는 측면커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측면절곡부 및 측면커버부는 재생되어야 하는 치조골의 최종 형상에 맞게 3차원적으로 미리 포밍되어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측면절곡부에는 다수의 제1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커버부에는 다수의 제2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측면절곡부는, 상기 결합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와, 상기 결합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제1절곡부에만 상기 제1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제1절곡부의 최하단의 제1구멍은 오목한 접시형태로 정렬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제1구멍의 직경은 상기 제2구멍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측면절곡부의 제1구멍의 단위면적당 총면적은 상기 측면커버부의 제2구멍의 단위면적당 총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제1구멍의 직경은 0.8 ~ 2.0mm 이고, 상기 제2구멍의 직경은 0.1 ~ 0.7mm 일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측면절곡부의 하단에는 그 측면절곡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하단절곡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하단절곡부에는, 다수의 제3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제3구멍의 직경은 상기 제1구멍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하단절곡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이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하단절곡부는 측면절곡부의 중앙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하단절곡부는, 재생되어야 하는 치조골의 최종 형상에 맞게 3차원적으로 미리 포밍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결합부에는, 다수개의 제4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결합부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되 이식재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있는 결합측면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결합측면부에는 다수개의 제5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결합부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되 이식재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있는 결합상측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결합상측부에는 다수개의 제6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결합상측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이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결합상측부는 결합부의 중앙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결합상측부는, 재생되어야 하는 치조골의 최종 형상에 맞게 3차원적으로 미리 포밍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은, 골 재생 유도가 필요한 경우에서, 시술환경에 3차원적으로 맞춤화되어 미리 성형된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을 제안함으로서, 술자는 쉽고 빠르고 편리하게 시술하므로서 임상적으로도 성공율을 높일 수 있고, 환자는 시술 시간의 단축으로 부종을 줄일수 있을뿐만 아니라 시술에 대한 시간적 부담을 줄일수 있어 술자, 환자 모두에게 만족감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기존의 제품대비 다양한 형태의 골 결손 형상에 대응할 수 있도록 맞춤화되어 3차원 성형된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을 제안하므로서 트리밍과 벤딩 등 추가 작업을 최소화하고, 벤딩으로 인하여 국부적인 돌출현상을 최소화하여 전체적인 시술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의 2차원 평면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3차원 포밍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4은 도 2 및 도 3의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이 시술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의 2차원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5의 3차원 포밍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8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의 2창원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은, 치조골 결손부위의 열린 벽을 감싸서 치조골 결손부에서 치조골 재생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의 2차원 평면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그 형상은 골 결손 형태를 미리 분류하여 이에 맞게 트리밍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미리 트리밍되어 있는 2차원 형태의 골 재생용 맴브레임을 소정의 벤딩기구에 의하여 3차원적으로 벤딩한 모습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은, 시술직전에 시술자가 환자의 형상에 맞게 즉각적으로 트리밍 및 벤딩을 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3차원적으로 소정의 벤딩기를 이용하여 트리밍 및 벤딩을 수행하여 제작되는 것으로서, 재생되어야 하는 치조골의 형상에 맞게 치조골 방향으로 입체적인 곡면형상으로 미리 포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은, 결합부(20), 결합측면부(30), 결합상측부(40), 측면절곡부(50), 측면커버부(60) 및 하단절곡부(7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20)는, 치조골(81) 내에 삽입되는 임플란트용 삽입물(80)이 관통될 수 있는 중앙홀(21)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임플란트 삽입물(80)과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부(20)는 골 결손부위로서 이식재(82)가 쌓여있는 부위의 상측을 덮는 것으로서 대략적으로 편평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홀(21)은 상기 결합부(20)의 중앙부위에 형성되되, 상기 중앙홀(21)의 주변에는 상기 중앙홀(21)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의 형태로 분포되어 있는 다수의 제4구멍(22)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제4구멍(22)은 중앙홀(21)보다는 작은 크기를 가지되, 0.8 ~ 2.0mm 일 수 있다. 상기 제4구멍(22)은 골 결손부위를 채우는 이식재(82)와 주변 골 조직의 혈액 간의 생리반응이 활성화되어 이식재(82)가 주변 골조직과 견고하고 안정되게 골 융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그 크기도 골 융합에 적합한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측면부(30)는, 상기 결합부(20)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것으로서 이식재(82)를 감싸도록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결합측면부(30)는 상기 결합부(20)의 측면 가장자리 중 일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벤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면결합부(20)는 치조골(81)의 상부 안쪽(medial) 또는 바깥쪽(distal)을 덮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측면부(30)에는 다수개의 제5구멍(31)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제5구멍(31)은 상기 제4구멍(22)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있어 좁은 공간에서 보다 많은 구멍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많은 구멍이 형성됨에 따라서 전체적인 유연성이 증가되고 벤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결합상측부(40)는, 상기 결합부(20)의 상단에는 배치되는 것으로서 이식재(82)를 감싸도록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상측부(40)는 재생되어야 할 치조골(81)의 최종 형상에 맞게 3차원적으로 미리 포밍되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결합상측부(40)에는 다수개의 제6구멍(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6구멍(44)을 통하여 혈액이 소통함으로서 골융합이 증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상측부(40)는 재생되어야 할 치조골(81)의 최종 형상에 맞게 3차원적으로 미리 포밍되어 있게 된다.
상기 측면절곡부(50)는, 내부에 이식재(82)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고정결합부(20)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어 구부려지되, 전체적으로 완만한 곡면형상을 이루고 있게 된다. 이러한 측면절곡부(50)에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다수의 제1구멍(5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구멍(53)은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혈액이 소통할 수 있는 통로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절곡부(50)는 상기 결합부(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51)와 상기 결합부(2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52)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절곡부(51)의 제1구멍은 0.8 ~ 2.0 mm 일 수 있으며, 상기 제2절곡부(52)의 제1구멍은 0.1 ~ 0.7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절곡부(51)의 최하단의 제1구멍(53)은 오목한 접시형태로 정렬되어 있게 된다. 즉, 제1구멍(53)의 최하단이 오목라인(lr)을 따라서 정렬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오목한 접시형태로 이루어지는 이유는 벤딩라인을 자연스럽게 형성함으로서 벤딩시 일부 구간에서 국부적인 돌출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2절곡부(52)의 구멍의 크기가 작은 이유는 벤딩과정에서 유연성을 극대화하여 곡률반경이 큰 경우에도 유연하게 벤딩되어 구부려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측면커버부(60)는, 내부에 이식재(82)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측면절곡부(50)의 양측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되 이식재(82)를 향하여 절곡되어 구부러지고 다수의 제2구멍(6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커버부(60)는 골 결손부위의 구강(buccal) 측을 감싸는 것으로서,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갈수록 측면절곡부(50)로부터의 거리가 서서히 증가하다가 중간이후부터는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측면커버부(60)는 측면절곡부(50)의 측면전체에 걸쳐서 단일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게 되어 골 융합이후 골 결손부위로부터 빼내는 경우에 용이하게 빠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측면커버부(60)에는 다수의 제2구멍(61)이 형성되어 있게 되는데, 이러한 제2구멍(61)의 직경은 제1구멍(53)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제2구멍의 직경은 0.1 ~ 0.7mm 일 수 있다. 또한 제2구멍(61)은 제1구멍(53)보다 촘촘하게 배치되어 있어 동일면적 대비로 하여 많은 수의 구멍이 측면커버부(60)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측면커버부(60)의 제2구멍(61)의 단위면적당 구멍의 총면적은 측면절곡부(50)의 제1구멍(53)의 단위면적당 구멍의 총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2구멍(61)이 작은 크기로 촘촘하게 배치되어 있음에 따라서 전체적인 측면커버부(60)의 유연성이 증대되고 추후 치조골(81)로부터 빼내는 과정에서 주변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용이하게 빼내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측면커버부(60)가 유연함에 따라서 벤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단절곡부(70)는 상기 측면절곡부(50)의 하단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하단절곡부(70)에는 다수의 제3구멍(73)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3구멍(73)의 직경은 제1구멍(53)보다 작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충분한 유연성을 확보하고 추후 골융합 이후에 치조골(81)로부터 용이하게 빠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의 표면에는 tin 코팅층 또는 아노다이징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코팅층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멤브레인이 검게 보임에 따라서 심미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은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먼저,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을 부착하기 전에, 임플란트 삽입물(80)을 치조골(81) 내에 삽입하고, 골 결손 부위에 이식재(82)를 채워넣는다. 이후에, 임플란트 삽입물(80)에 대하여 미리 3차원 형상으로 포밍되어 형성된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을 상기 임플란트 삽입물(80)에 결합한다. 구체적으로는 결합부(20)의 중앙홀(21)에 상기 임플란트 삽입물(80)이 끼워지게 하여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이 고정결합된 후에, 치은을 덮고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의 내부에서 이식재(82)가 골융합된 후에는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을 상기 골 결손부위로부터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은, 맞춤화되어 3차원적으로 미리 포밍되어 제작되기 때문에, 시술자가 시술현장에서 최소한의 트리밍 및 벤딩을 수행하거나 또는 트리밍 또는 벤딩없이 그대로 시술할 수 있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이 미리 맞춤화된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시술현장에서 벤딩을 하는 과정 중 국부적으로 일부가 돌출되는 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임플란트 삽입물(80) 상태에 체결될 때 별도의 체결 스크류가 필요없게 될 수 있다.
또한, 구 부분별 구멍의 크기를 달리함으로서 많이 구부려야 하는 부분에서는 유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 벤딩 용이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서, 시술현장에서 국부적인 벤딩이 필요한 경우에도 현장 작업성이 높아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전체적으로 곡면이 골 결손부위에 적합하게 제작되고 별도의 우는 현상이 제거됨에 따라서 재생 유도 기간 중 이식재인 이식재(82)에 완전히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이 밀착될 수 있도록 하고, 안정적인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치은 밖으로 멤브레인(10)이 노출될 위험성도 극소화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측면커버부(60)가 유연성이 높도록 구성됨에 따라서 벤딩의 용이성 이외에 추후 이식재로부터 제거할 때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은 다음과 같이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에서 결합상측부(40)는 2개가 마련되며 결합부(20)의 중앙에 형성된 오목홈(43)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상측부(40)는 벤딩라인이 2개 이상을 될 수 있도록 형상지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모든 결합상측부(40)가 일괄적으로 벤딩될 수 있는 제1벤딩라인(l1)과, 각각의 결합상측부(40)가 개별적으로 벤딩될 수 있는 제2벤딩라인(l2)이 형성될 수 있도록 형상지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결합상측부(40)는, 모든 결합상측부(40)를 함께 포함하고 있는 제1상측부(41)와, 상기 제1상측부(41)로부터 개별적으로 돌출되는 제2상측부(42)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상측부(42)의 사이에는 상기 오목홈(43)이 형성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벤딩시에는 상기 제1상측부(41)의 하단인 제1벤딩라인(l1)을 중심으로 하여 1차적으로 벤딩되고 제2상측부(42)의 하단인 제2벤딩라인(l2)을 중심으로 하여 2차적으로 벤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2차적으로 벤딩이 이루어짐에 따라서 전체적인 벤딩곡선이 완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벤딩시작 부위에서 국부적으로 돌출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하단절곡부(70)는 한 쌍이 등간격으로 배치되되, 각각의 하단절곡부(70)는 측면절곡부(50)의 중앙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하단절곡부(70)는 재생되어야 할 치조골(81)의 형상에 맞게 3차원적으로 미리 포밍되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단절곡부(70)는, 결합상측부(40)와 유사하게 제1하단절곡부(71) 및 제2하단절곡부(7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하단절곡부(71)는 모든 하단절곡부(7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제2하단절곡부(72)는 상기 제1하단절곡부(71)로부터 돌출되어 개별적으로 밴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1하단절곡부(71) 및 제2하단절곡부(72)로 구분됨에 따라서 벤딩라인이 전체적으로 완만해지고 국부적인 돌출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즉, 제1하단절곡부(71)를 중심으로 하는 제3벤딩라인(l3) 및 제2하단절곡부(72)를 중심으로 하는 제4벤딩라인(l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의 구성에서, 제2절곡부(52) 및 하단절곡부(70)에 별도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2절곡부(52) 및 하단절곡부(70)에 별도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서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을 제거할 때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제2절곡부(52) 및 하단절곡부(70)에 별도의 구멍이 형성되지 않으면 혈액이 통과할 곳이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제2절곡부(52) 및 하단절곡부(70)에 혈액의 소통으로 인한 연결조직이 마련되지 않게 되고 이는 추후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을 이식재로부터 제거할 때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구성에서, 제2절곡부(52) 및 하단절곡부(70)에 별도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2절곡부(52) 및 하단절곡부(70)에 별도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서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을 제거할 때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의 구성에서 별도의 결합상측부(40)가 마련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별도의 결합상측부(40)가 마련되지 않는 구조는 혀가 있는 쪽으로의 결손이 없고 입술쪽과 주변 치아방면으로 결손부위가 마련되는 경우에 채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0의 구성에서, 제2절곡부(52) 및 하단절곡부(70)에 별도의 구멍이 형성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멍이 특정부위에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별도의 연결조직이 해당부위에 형성되지 않아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을 제거할 때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구성에서, 별도의 결합상측부(40)가 마련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별도의 결합상측부(40)가 마련되지 않는 구조는 혀가 있는 쪽으로의 결손이 없고 입술쪽과 주변 치아방면으로 결손부위가 마련되는 경우에 채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2의 구성에서 제2절곡부(52) 및 하단절곡부(70)에 별도의 구멍이 형성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멍이 특정부위에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별도의 연결조직이 해당부위에 형성되지 않아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을 제거할 때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의 구성에서 결합측면부(30) 및 결합상측부(40)가 제거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결합측면부(30) 및 결합상측부(40)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구조는, 혀가 있는 쪽 및 주변 치아방면으로 결손부위가 마련되지 않고 입술방면으로만 결손부위가 형성되는 경우에 채용가능하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4의 구성에서 제2절곡부(52) 및 하단절곡부(70)에 별도의 구멍이 형성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멍이 특정부위에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별도의 연결조직이 해당부위에 형성되지 않아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을 제거할 때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4의 구성에서 하단절곡부(70)가 단일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단절곡부(70)가 단일의 형태로 구성되면 커버링할 수 있는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6의 구성에서, 제2절곡부(52) 및 하단절곡부(70)에 별도의 구멍이 형성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멍이 특정부위에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별도의 연결조직이 해당부위에 형성되지 않아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을 제거할 때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합리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범위라면 청구범위가 확대해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20...결합부
21...중앙홀 22...제4구멍
30...결합측면부 31...제5구멍
40...결합상측부 41...제1상측부
42...제2상측부 43...오목홈
44...제6구멍 50...측면절곡부
51...제1절곡부 52...제2절곡부
53...제1구멍 60...측면커버부
61...제2구멍 70...하단절곡부
71...제1하단절곡부 72...제2하단절곡부
73...제3구멍 80...임플란트용 삽입물
81...치조골 82...이식재

Claims (24)

  1. 삭제
  2. 골 결손부위를 채우는 이식재를 덮어 골 재생을 유도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 있어서,
    치조골 내에 삽입되는 임플란트용 삽입물이 관통될 수 있는 중앙홀이 형성되며 상기 임플란트 삽입물과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어 구부려지되 전체적으로 곡면형상을 이루고 다수의 제1구멍이 형성된 측면절곡부; 및
    상기 측면절곡부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되 치조골 결손부위를 향하여 절곡되어 구부러져 있고, 상기 제1구멍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2구멍이 다수 형성되어 상기 측면절곡부보다 절곡이 용이한 측면커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측면절곡부 및 측면커버부는 재생되어야 하는 치조골의 최종 형상에 맞게 3차원적으로 미리 포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3. 골 결손부위를 채우는 이식재를 덮어 골 재생을 유도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 있어서,
    치조골 내에 삽입되는 임플란트용 삽입물이 관통될 수 있는 중앙홀이 형성되며 상기 임플란트 삽입물과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어 구부려지되 전체적으로 곡면형상을 이루고 다수의 제1구멍이 형성된 측면절곡부; 및
    상기 측면절곡부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되 치조골 결손부위를 향하여 절곡되어 구부러져 있고 다수의 제2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2구멍의 단위면적당 총면적은 상기 제1구멍의 단위면적당 총면적보다 커서 상기 측면절곡부보다 절곡이 용이한 측면커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측면절곡부 및 측면커버부는 재생되어야 하는 치조골의 최종 형상에 맞게 3차원적으로 미리 포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절곡부는, 상기 결합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와, 상기 결합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부에만 상기 제1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부의 최하단의 제1구멍은 오목한 접시형태로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멍의 직경은 상기 제2구멍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절곡부의 제1구멍의 단위면적당 총면적은 상기 측면커버부의 제2구멍의 단위면적당 총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9. 제2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멍의 직경은 0.8 ~ 2.0mm 이고, 상기 제2구멍의 직경은 0.1 ~ 0.7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10.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절곡부의 하단에는 그 측면절곡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하단절곡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절곡부에는, 다수의 제3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구멍의 직경은 상기 제1구멍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절곡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이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절곡부는 측면절곡부의 중앙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절곡부는, 재생되어야 하는 치조골의 최종 형상에 맞게 3차원적으로 미리 포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1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다수개의 제4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되 이식재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있는 결합측면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측면부에는 다수개의 제5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19.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되 이식재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있는 결합상측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상측부에는 다수개의 제6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상측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이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상측부는 결합부의 중앙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상측부는, 재생되어야 하는 치조골의 최종 형상에 맞게 3차원적으로 미리 포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2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표면에 티타늄 질화물(Titanium Nitride; TiN) 코팅층 또는 아노다이징(Anodizing)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KR1020110076172A 2011-07-29 2011-07-29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KR101181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172A KR101181877B1 (ko) 2011-07-29 2011-07-29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CN201280038257.5A CN103717173B (zh) 2011-07-29 2012-07-20 用于牙槽骨再生的膜
US14/235,623 US9339354B2 (en) 2011-07-29 2012-07-20 Membrane for alveolar bone regeneration
PCT/KR2012/005794 WO2013019007A2 (ko) 2011-07-29 2012-07-20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EP12819865.2A EP2737871B1 (en) 2011-07-29 2012-07-20 Membrane for alveolar bone regeneration
JP2014522741A JP5782189B2 (ja) 2011-07-29 2012-07-20 歯槽骨再生用メンブレン
TW101127281A TWI551271B (zh) 2011-07-29 2012-07-27 齒槽骨再生用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172A KR101181877B1 (ko) 2011-07-29 2011-07-29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0903A Division KR101182806B1 (ko) 2012-08-20 2012-08-20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1877B1 true KR101181877B1 (ko) 2012-09-11

Family

ID=47074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6172A KR101181877B1 (ko) 2011-07-29 2011-07-29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18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131B1 (ko) 2014-12-03 2016-01-13 이세호 멤브레인 고정기구
WO2017010811A1 (ko) * 2015-07-13 2017-01-1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맞춤형 치조골 조직 및 그 제조 방법
KR101800538B1 (ko) 2016-03-22 2017-11-2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착성 치조골 차폐막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22901A (ko) 2018-08-24 2020-03-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 형상을 갖는 골이식 부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92675A1 (en) * 2004-03-01 2005-09-01 Robinson Dane Q. Device for use in stimulating bone growth
US20100112522A1 (en) 2007-04-17 2010-05-06 Oh Dal Kwon Mesh Plate for Dental Implant and Dental Implant Structure Having the Same
KR100970341B1 (ko) 2008-12-19 2010-07-15 이준호 다목적 스텐트 및 그 제작 방법
JP2010284248A (ja) 2009-06-10 2010-12-24 Platon Japan:Kk インプラント用骨誘導再生補助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92675A1 (en) * 2004-03-01 2005-09-01 Robinson Dane Q. Device for use in stimulating bone growth
US20100112522A1 (en) 2007-04-17 2010-05-06 Oh Dal Kwon Mesh Plate for Dental Implant and Dental Implant Structure Having the Same
KR100970341B1 (ko) 2008-12-19 2010-07-15 이준호 다목적 스텐트 및 그 제작 방법
JP2010284248A (ja) 2009-06-10 2010-12-24 Platon Japan:Kk インプラント用骨誘導再生補助具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131B1 (ko) 2014-12-03 2016-01-13 이세호 멤브레인 고정기구
WO2017010811A1 (ko) * 2015-07-13 2017-01-1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맞춤형 치조골 조직 및 그 제조 방법
US11589960B2 (en) 2015-07-13 2023-02-28 Iucf-Hyu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Customized alveolar bone tissu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KR101800538B1 (ko) 2016-03-22 2017-11-2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착성 치조골 차폐막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22901A (ko) 2018-08-24 2020-03-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 형상을 갖는 골이식 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2189B2 (ja) 歯槽骨再生用メンブレン
KR101182806B1 (ko)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KR101181877B1 (ko)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KR101298249B1 (ko) 치과용 멤브레인
JP5891312B2 (ja) 歯科用メンブレン
KR101128059B1 (ko)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CN208958225U (zh) 一种改进形状的左心耳封堵器
WO2009016265A3 (en) Method of producing a medical implantable device and medical implantable device
WO2004003164A3 (en) Methods of organ regeneration
JP2017087049A (ja) メッシュアセンブリ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30125132A (ko) 치아 교정기
WO2005080428A3 (en) Anti-epcam immunoglobulins
US9510920B2 (en) Method for producing at least one patient-specific modularly composed bracket body and corresponding bracket
CN101584617A (zh) 一种分叉型血管支架
KR101144322B1 (ko) 치과용 멤브레인
KR101437376B1 (ko) 임플란트 시술용 어버트먼트 홀더
US10980620B2 (en) Reinforced resin-retained bridge
KR20180078396A (ko) 치과 임플란트 유닛
KR20130084387A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20100107622A (ko)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
CN213249872U (zh) 一种新型囊肿塞治器
KR102430728B1 (ko) 치조골 재생용 임플란트 유닛
KR101316008B1 (ko)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용 어버트먼트
KR20160024183A (ko) 인공치아 구조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
KR20170032604A (ko) 치조골 재생용 차폐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