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4753B1 - 배터리 수납 구조체 - Google Patents

배터리 수납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4753B1
KR101294753B1 KR1020070054073A KR20070054073A KR101294753B1 KR 101294753 B1 KR101294753 B1 KR 101294753B1 KR 1020070054073 A KR1020070054073 A KR 1020070054073A KR 20070054073 A KR20070054073 A KR 20070054073A KR 101294753 B1 KR101294753 B1 KR 101294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ase
moving plate
pressed
accommoda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4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5904A (ko
Inventor
배금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4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4753B1/ko
Publication of KR20080105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4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4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7Protection against reversal of polar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배터리 수납 구조체는, 요홈들과 단자부를 구비하는 배터리와,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접속 단자가 형성되어 내부에 배터리를 수용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타측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케이스에 설치되어 배터리가 케이스에 정방향으로 삽입되면 일단이 배터리의 일측 면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하고 배터리가 케이스에 역방향으로 삽입되면 일단이 요홈에 삽입되어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가압핀과, 관통공을 구비하며 가압핀에 의해 가압되어 배터리의 삽입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케이스의 타측에 설치되는 이동판과, 관통공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이동판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배터리의 일측 면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판에 접촉됨으로써 배터리의 이동판을 향한 이동을 제한하고 이동판이 슬라이딩 이동하면 돌출부가 관통공을 통과하여 배터리의 단자부와 접속 단자의 접촉을 허용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수납 구조체{Battery holding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배터리 수납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 수납 구조체의 구성 요소들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터리 수납 구조체에 배터리가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배터리 수납 구조체에 배터리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배터리 수납 구조체의 상면 모습을 도시하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배터리 수납 구조체의 상면 모습을 도시하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배터리 수납 구조체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배터리 수납 구조체에 배터리가 정방향으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배터리 수납 구조체에 배터리가 역방향으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배터리 수납 구조체의 개구부를 도시하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배터리 수납 구조체에 배터리가 정방향으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배터리 수납 구조체에 배터리가 역방향으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배터리 32: 경사면
11: 요홈 40: 이동판
12: 단자부 41: 경사부
20: 케이스 42: 관통공
21: 개구부 43, 44: 안내 경사부
22: 접속 단자 45: 탄성 지지부
23: 접속부 50: 스토퍼
24: 챔버 51, 52: 돌출부
25: 접속용 개구부 53, 54: 안내 경사면
27: 안내부 60: 레버
28: 지지 벽부 61: 회동핀
29: 스프링 111: 요홈
30: 가압핀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 기기의 배터리 수납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가 역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스토퍼를 구비하여 배터리의 역방향 삽입으로 인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접속 단자의 손상이나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배터리 수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널리 이용되는 디지털 카메라, 피엠피(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노트북 PC, 휴대 전화 등의 휴대용 전자 기기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가 장착된다. 이와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들은 그 휴대가 간편하여야 하므로, 배터리는 휴대용 전자 기기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야 할뿐만 아니라 배터리가 휴대용 전자 기기에 장착된 상태도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휴대용 전자 기기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배터리는 전원의 극성이 반대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배터리를 휴대용 전자 기기에 삽입할 때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일반적인 휴대용 전자 기기에서는 배터리의 전원 극성이 반대되게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터리에 형성되는 전극 단자들이 비대칭적으로 배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배터리의 전극 단자들이 비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도 배터리가 역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 이유는 휴대용 전자 기기에서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 챔버의 내부에는 배터리의 전극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단자가 설치되는데, 배터리가 역방향으로 삽입됨으로 인해 접속 단자의 손상이나 변형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제조사들은 사용자들에게 올바른 배터리 장착 방향을 안내하기 위해 휴대용 전자 기기에 안내용 문구나 그림 등을 표시하고 있지만, 이들 안내 용 표시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사용자들이 배터리를 역방향으로 삽입함으로써 접속 단자가 손상되거나 변형되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
배터리가 역방향으로 삽입된 이후에는 배터리와 연결되는 접속 단자가 손상되어 배터리가 정방향으로 삽입되어도 배터리와 접속 단자의 사이에 채터링(chatter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채터링 현상은 배터리와 접속 단자의 접촉 지점에서 발생하는 급격한 전압 요동을 말하는데, 채터링 현상은 전류의 공급 및 차단이 마이크로 초 수준의 주기로 급격하게 변화하는 현상을 수반한다. 이와 같은 채터링 현상으로 인해 CPU가 비정상적으로 작동되어 화면이 백색으로 표시되는 백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고, CPU의 정상적인 초기화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전원이 갑자기 꺼지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배터리가 역방향으로 삽입되는 작동을 원천적으로 봉쇄하기 위하여 배터리 챔버 내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배터리에는 돌출부에 대응되는 홈을 형성하는 기술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배터리가 배터리 챔버에 정상적으로 삽입될 때에만 돌출부가 홈에 삽입되며, 배터리가 역방향으로 삽입될 때에는 돌출부에 의해 배터리의 삽입 작동이 차단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배터리의 구조를 변형하여야 하므로 비용 증가를 수반하고, 일반적인 배터리를 채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휴대용 전자 기기에서 배터리를 수용하는 챔버에 돌출부 등을 형성시켜야 하므로 휴대용 전자 기기의 디자인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전자 기기에 배터리가 역방향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배터리 수납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가 역방향으로 삽입되어도 배터리와 접속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접속 단자가 손상되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터리를 수납하는 챔버나 배터리의 형상을 크게변형하지 않고도 배터리의 역방향 삽입으로 인한 접속 단자의 손상과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표준적인 배터리를 수납할 수 있는 배터리 수납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배터리가 정상적으로 삽입되는 경우에는 배터리의 삽입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배터리의 삽입을 허용하고, 배터리가 역방향으로 삽입되는 경우에는 고정되어 배터리의 삽입을 차단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배터리 수납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배터리 수납 구조체는, 일측 면에 복수 개의 요홈들이 형성되고 요홈들의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단자부를 구비하는 배터리와, 일측에 배터리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단자부와 접속되는 접속 단자가 형성되어 내부에 배터리를 수용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타측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케이스에 설치되어 배터리가 케이스에 정방향으로 삽입되면 일단이 배터리의 일측 면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하고 배터리가 케이스에 역방향으로 삽입되면 일단이 요홈에 삽입되어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가압핀과, 관통공을 구비하며 가압핀에 의해 가압되어 배터리의 삽입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케이스의 타측에 설치되는 이동판과, 관통공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이동판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배터리의 일측 면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판에 접촉됨으로써 배터리의 이동판을 향한 이동을 제한하고 이동판이 슬라이딩 이동하면 돌출부가 관통공을 통과하여 배터리의 단자부와 접속 단자의 접촉을 허용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압핀의 이동판을 대향하는 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이동판에는 경사면에 대응되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가압핀이 배터리에 의해 가압되면 경사면이 경사부를 가압함으로써 이동판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경사부는 이동판의 일부분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케이스의 타측의 내부에는 개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터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케이스의 타측에는 지지 벽부가 형성되고, 이동판의 일단에는 이동판을 지지 벽부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탄성 지지부는 이동판의 일단이 굽힘 가공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케이스의 일측에는 개구부를 향하여 회동 가능한 레버가 설치되어 케이스 내로 삽입된 배터리의 타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한 배터리 수납 구조체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배터리 수납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터리 수납 구조체의 구성 요소들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배터리 수납 구조체는 디지털 카메라, 피엠피(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노트북 PC, 휴대 전화 등의 휴대용 전자 기기에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이다. 배터리 수납 구조체는 배터리(10)와, 배터리(10)를 수용하는 케이스(20)와, 케이스(20)에 설치되는 가압핀(30), 이동판(40) 및 스토퍼(50)를 포함한다.
케이스(20)는 내부에는 배터리(10)를 수용하는 챔버(24)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배터리(10)가 삽입되는 개구부(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스(20)의 타측에는 접속부(23)가 형성된다. 접속부(23)는 케이스(20)의 타측에 형성되는 접속용 개구부(25)와, 배터리(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복수 개의 접속 단자(22)들을 포함한다.
배터리(10)의 일측 면(13)에는 복수 개의 요홈들(11)이 형성되고, 요홈들(11)의 적어도 하나에는 단자부(12)가 배치된다. 배터리(10)가 케이스(20)의 개구부(21)를 통해 삽입되어 케이스(20)의 챔버(24)에 수용되면 케이스(20)의 접속 단자(22)가 배터리(10)의 단자부(12)에 접속됨으로써, 배터리(10)의 전원이 휴대용 전자 기기에 공급될 수 있다.
케이스(20)의 타측에는 가압핀(30)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압핀(30)은 케이스(20)의 타측에서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배터리(10)가 케이스(20)에 정방향으로 삽입되면, 가압핀(30)의 일단(31)이 배터리(10)의 일측 면(13)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이동하여 케이스(20)의 타측에서 외부를 향해 돌출된다. 배터리(10)가 케이스(20)에 역방향으로 삽입되면, 가압핀(30)의 일단은 배터리(10)의 요홈(11)에 삽입됨으로써 케이스(20)에 대하여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케이스(20)의 타측에는 이동판(40)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동판(40)은 배터리(10)가 삽입되는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동판(40)은 가압핀(30)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동판(40)에는 케이스(20)의 접속 단자(22)들이 케이스(2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관통공(42)이 형성된다.
이동판(40)과 가압핀(30)의 상호 작용을 위해, 가압핀(30)의 이동판(40)을 대향하는 면에는 경사면(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동판(40)에는 일부분이 절곡됨으로써 경사부(41)가 형성된다. 가압핀(30)의 일단(31)이 배터리(10)에 의해 가압되면, 가압핀(30)의 경사면(32)이 이동판(40)의 경사부(41)를 가압함으로써 이동판(40)이 슬라이딩 이동을 한다.
케이스(20)의 타측의 내부에는 스토퍼(50)가 이동판(40)을 향하여 이동 가능 하도록 설치된다. 스토퍼(50)는 케이스(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안내부(27)에 삽입되므로, 배터리(10)의 일측 면(13)에 의해 가압되면 안내부(27)를 따라 케이스(20)의 타측에서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스토퍼(50)에는 이동판(40)의 관통공(42)에 대응되는 돌출부(51, 52)가 구비된다. 그러므로 이동판(40)의 위치에 따라 돌출부(51, 52)가 스토퍼(50)가 안내부(27)를 따라 이동하여 관통공(42)을 통과하기도 하고, 돌출부(51, 52)의 이동이 이동판(40)에 의해 차단되기도 한다.
스토퍼(50)의 돌출부(51, 52)에는 각각 안내 경사면(53, 54)이 형성되고, 이동판(40)에는 안내 경사면(53, 54)에 대응되는 안내 경사부(43, 44)가 형성된다. 이동판(40)이 슬라이딩 이동하면 돌출부(51, 52)의 안내 경사면(53, 54)이 이동판(40)의 안내 경사부(43, 44)와 접촉하며 슬라이딩 이동하여, 스토퍼(50)가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이동판(40)의 일단에는 탄성 지지부(45)가 형성된다. 탄성 지지부(45)는 이동판(40)의 일단이 굽힘 가공됨으로써 형성된다. 탄성 지지부(45)에 대응되는 케이스(20)의 타측에는 지지 벽부(28)가 형성된다. 탄성 지지부(45)는 지지 벽부(28)에 접함으로써 이동판(40)을 지지 벽부(28)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탄성 지지부(45)의 구성으로 인해 이동판(40)은 타단을 향하여 가압되는 상태를 유지하며, 가압핀(30)에 의해 이동판(40)이 가압되면 이동판(40)의 탄성 지지부(45)가 압축됨으로써 이동판(40)이 일단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케이스(20)의 타측의 내부에는 개구부(21)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터리(1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수단인 스프링(29)이 배치된다. 스프링(29)은 케이스(20)의 챔버(24)에 수용된 배터리를 개구부(21)를 향해 가압하므로, 사용자가 레버(60)를 조작하면 배터리(10)는 스프링(29)의 힘에 의해 케이스(20)의 외부로 돌출된다.
케이스(20)의 일측에는 개구부(21)를 향하여 회동 가능한 레버(60)가 설치된다. 레버(60)는 회동핀(61)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회동하므로, 사용자가 배터리 수납 구조체에 배터리(10)를 삽입하거나 빼낼 때 레버(60)를 조작할 수 있다. 레버(60)는 케이스(20) 내로 삽입된 배터리(10)의 타측 면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배터리 수납 구조체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1의 배터리 수납 구조체에 배터리가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배터리 수납 구조체에 배터리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배터리 수납 구조체의 상면 모습을 도시하는 일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배터리 수납 구조체의 상면 모습을 도시하는 일부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3의 배터리 수납 구조체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배터리 수납 구조체에 배터리가 정방향으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3,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상태는 이동판(40)이 탄성 지지부(45)에 의해 지지 벽부(28)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된 상태이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가압 핀(30)이 이동판(40)의 경사부(41)에 의해 가압되어 케이스(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스토퍼(50)의 돌출부(51, 52)가 이동판(40)에 접촉하므로, 스토퍼(50)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케이스(20)의 개구부(21)를 통해 배터리(10)가 정방향으로 삽입되면, 도 4에서와 같이 배터리(10)가 챔버(24) 내에 수용된다. 배터리(10)가 챔버(24) 내로 완전히 삽입되면, 케이스(20)의 레버(60)가 개구부(21)를 향하여 회전함으로써 배터리(10)의 타측 면을 지지한다. 배터리(10)는 레버(60)의 작용으로 인해 케이스(20)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배터리(10)가 정방향으로 삽입된다는 것은 배터리(10)에 형성된 단자부(12)의 극성이 맞도록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의미하며, 역방향으로 삽입된다는 것은 미리 정해진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배터리 수납 구조체는 배터리(10)가 케이스(20)에 정방향으로 삽입될 때에만 케이스(20)의 내부에 배터리(10)가 수용되도록 하고, 배터리(10)가 역방향으로 삽입될 때에는 배터리(10)가 케이스(20)의 내부에 수용되지 않도록 한다.
배터리(10)가 정방향으로 케이스(20)에 삽입되면,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가압핀(30)이 이동판(40)을 가압함으로써 이동판(40)이 지지 벽부(28)를 향하여 예정된 간격만큼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 때의 각 구성 요소들의 작용은 도 8을 통해 명확히 이해될 수 있다.
배터리(10)가 정방향으로 케이스(20)에 삽입되면, 배터리(10)의 일측 면(13) 이 가압핀(30)의 일단을 가압한다. 이로 인해 가압핀(30)의 경사면(32)이 이동판(40)의 경사부(41)를 가압함으로써 이동판(40)의 탄성 지지부(45)가 지지 벽부(28)를 향하여 압축된다. 이동판(40)은 고정되어 있는 케이스(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즉 이동판(40)은 도 8에서 우측을 향해 예정된 거리만큼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동판(40)이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 스토퍼(50)의 돌출부(51, 52)의 각각이 이동판(40)의 관통공(42)을 통해 케이스(20)의 타측의 외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이 때에는 스토퍼(50)의 안내 경사면(53, 54)이 이동판(40)의 안내 경사부(43, 44)와 접하여 미끄러짐으로서 돌출부(51, 52)가 이동판(40)의 관통공(42)을 통과하는 작용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스토퍼(50)의 돌출부(51, 52)가 관통공(42)을 통과하면, 배터리(10)의 단자부(12)가 접속 단자(22)와 접촉된다. 이로써 배터리(10)의 전원이 휴대용 전자 기기에 공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배터리(10)가 역방향으로 케이스(20)에 삽입되는 경우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도 9는 도 8의 배터리 수납 구조체에 배터리가 역방향으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배터리 수납 구조체의 개구부를 도시하는 작동 상태도이다.
배터리(10)가 역방향으로 케이스(20)에 삽입되면, 배터리(10)의 단자부(12)가 형성된 요홈(11)의 하나가 가압핀(30)의 위치에 대응된다. 따라서 도 8에서는 배터리(10)의 일측 면(13)이 가압핀(30)의 일단을 가압하던 것과는 달리, 도 9에서는 가압핀(30)의 일단이 배터리(10)의 요홈(11)에 삽입되어 가압핀(30)이 배터리(10)에 의해 이동판(40)을 향하여 가압되는 작용이 일어나지 않는다.
가압핀(30)이 가압되지 않으면 이동판(40)도 이동하지 않고, 탄성 지지부(45)에 의해 도 9에서 좌측을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이 때에는 사용자가 배터리(10)를 케이스(20) 내로 계속 밀어 넣는 가압력을 가하더라도 배터리(10)의 일측 면(13)에 의해 가압되는 스토퍼(50)가 이동판(40)에 의해 그 움직임이 차단된다. 즉 이동판(40)이 이동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이동판(40)의 관통공(42)의 위치가 스토퍼(50)의 돌출부(51, 52)의 위치에 대응되지 않는다. 따라서 스토퍼(30)의 돌출부(51, 52)가 이동판(40)에 접촉됨으로써 스토퍼(50)가 배터리(10)의 이동판(40)을 향한 이동을 제한한다.
이와 같이 배터리(10)가 역방향으로 케이스(20)에 삽입되면, 사용자가 강제적인 힘을 배터리(10)에 가하더라도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터리(10)의 타측 면이 케이스(20) 내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는 배터리(10)를 고정하기 위하여 레버(60)를 회동시킬 수도 없다.
또한 배터리(10)가 역방향으로 삽입될 때에는 스토퍼(50)의 이동이 이동판(40)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배터리(10)의 이동판(40)을 향한 이동이 제한되므로, 배터리(10)의 일측 면(13)이 접속 단자(22)들과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배터리(10)가 역방향으로 삽입될 때에도 접속 단자(22)가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배터리 수납 구조체에 배터리가 정방향으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배터리 수납 구조체에 배터리가 역방향으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배터리 수납 구조체는 상술한 실시예에 관한 배터리 수납 구조체와 전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유사하지만, 배터리(10)가 역방향으로 삽입될 때 가압핀(30)이 삽입되는 요홈(111)의 구성이 변형되었다.
즉 도 9에 나타난 실시예에서는 배터리(10)가 역방향으로 삽입될 때 가압핀(30)의 일단은 배터리(10)의 단자부(12)가 배치되는 요홈(11)으로 삽입되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배터리 수납 구조체에서는 배터리(10)가 역방향으로 삽입될 때 단자부(12)가 배치되지 않은 별도의 요홈(111)에 가압핀(30)의 일단이 삽입됨으로써 가압핀(30)이 케이스(20)에 대하여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도 11에서와 같이, 배터리(10)가 정방향으로 삽입될 때에는 배터리(10)의 일측 면(13)에 의해 가압핀(30)의 일단이 가압된다. 그래서 가압핀(30)에 의해 이동판(40)이 슬라이딩 이동하고, 스토퍼(50)의 돌출부가 이동판(40)의 관통공을 통과한다. 이로 인해 배터리(10)가 이동판(40)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어서, 배터리(10)의 단자부(12)와 접속 단자(22)의 접속이 이루어진다.
도 12에서와 같이, 배터리(10)가 역방향으로 삽입될 때에는 배터리(10)의 요홈(111)에 가압핀(30)의 일단이 삽입되므로, 가압핀(30)은 케이스(20)에 대하여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판(40)을 가압하지 않는다. 이동판(40)은 탄성 지지 부(45)의 작용으로 인해 지지 벽부(28)에 대해 도 12에서 좌측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스토퍼(50)는 이동판(40)에 의해 그 이동이 차단되므로, 스토퍼(50)의 후방을 가압하는 배터리(10)의 이동도 제한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이 상태에서 강제적인 힘을 배터리(10)에 가하더라도 배터리(10)는 더 이상 이동할 수 없어서 배터리(10)의 단자부(12)와 접속 단자(22)는 서로 접촉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배터리 수납 구조체는 배터리가 역방향으로 삽입되는 경우에는 고정되어 배터리의 삽입을 차단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므로, 배터리가 역방향으로 삽입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가 배터리를 강제적으로 역방향으로 삽입하기 위해 힘을 가하여도, 배터리의 이동이 스토퍼에 의해 제한되므로 배터리와 접속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접속 단자가 손상되거나 변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 수납 구조체는 배터리를 수납하는 챔버와 배터리의 형상을 크게 변형하지 않고도 배터리의 역방향 삽입으로 인한 접속 단자의 손상과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표준적인 배터리를 수납할 수 있다.

Claims (7)

  1. 일측 면에 복수 개의 요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들의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단자부를 구비하는 배터리;
    일측에 상기 배터리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단자부와 접속되는 접속 단자가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배터리를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기 타측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가 상기 케이스에 정방향으로 삽입되면 일단이 상기 배터리의 상기 일측 면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하고, 상기 배터리가 상기 케이스에 역방향으로 삽입되면 상기 일단이 상기 요홈에 삽입되어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가압핀;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가압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배터리의 삽입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설치되는 이동판; 및
    상기 관통공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판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의 상기 일측 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이동판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배터리의 상기 이동판을 향한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이동판이 슬라이딩 이동하면 상기 돌출부가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배터리의 상기 단자부와 상기 접속 단자의 접촉을 허용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배터리 수납 구조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핀의 상기 이동판을 대향하는 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판에는 상기 경사면에 대응되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압핀이 상기 배터리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경사면이 상기 경사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이동판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배터리 수납 구조체.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이동판의 일부분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배터리 수납 구조체.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타측의 내부에는 상기 개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배터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수단이 배치되는 배터리 수납 구조체.
  5.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타측에는 지지 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판의 일단에는 상기 이동판을 상기 지지 벽부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가 형성되는 배터리 수납 구조체.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이동판의 일단이 굽힘 가공됨으로써 형성되는 배터리 수납 구조체.
  7.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일측에는 상기 개구부를 향하여 회동 가능한 레버가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로 삽입된 상기 배터리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배터리 수납 구조체.
KR1020070054073A 2007-06-01 2007-06-01 배터리 수납 구조체 KR101294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073A KR101294753B1 (ko) 2007-06-01 2007-06-01 배터리 수납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073A KR101294753B1 (ko) 2007-06-01 2007-06-01 배터리 수납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904A KR20080105904A (ko) 2008-12-04
KR101294753B1 true KR101294753B1 (ko) 2013-08-08

Family

ID=40367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4073A KR101294753B1 (ko) 2007-06-01 2007-06-01 배터리 수납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47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7033A (ja) 2004-01-05 2005-07-21 Sony Corp 電池収納装置
JP2006040793A (ja) 2004-07-29 2006-02-09 Olympus Corp 電池誤挿入阻止機構及び電池誤挿入阻止機構を備えた電子機器
KR20070086713A (ko) * 2004-12-28 2007-08-2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배터리의 착탈 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7033A (ja) 2004-01-05 2005-07-21 Sony Corp 電池収納装置
JP2006040793A (ja) 2004-07-29 2006-02-09 Olympus Corp 電池誤挿入阻止機構及び電池誤挿入阻止機構を備えた電子機器
KR20070086713A (ko) * 2004-12-28 2007-08-2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배터리의 착탈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904A (ko) 200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0404B1 (en) Slot assembly and workpiece
US8100705B2 (en) Safety door for a rotatable power supply socket
US9304548B2 (en) Docking station of electronic device
KR100414847B1 (ko) 배출 장치를 구비한 카드 커넥터
JP2009032098A (ja) スライド機構、電子機器及び携帯装置
JP2006196285A (ja) カードコネクタ
JPWO2006126359A1 (ja) コネクタ
US9583286B2 (en) Switch carrier with one contact point with a switch including second contact point
JP2010093791A (ja) スライド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用いる携帯式電子装置
CN111262601B (zh) 电子设备
JP4365877B2 (ja) 接触ピン
JP2008130461A (ja) カード装着装置
TWI272469B (en) Mobile device
JP4218546B2 (ja) メモリカード着脱機構付き装置
US20090316342A1 (en) Accessory holding mechanism used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1294753B1 (ko) 배터리 수납 구조체
US20110192709A1 (en) Control key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JP5082962B2 (ja) コネクタ
JP2011086430A (ja) 電子機器の電池保持構造
JP2008300229A (ja)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及び該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を備えた携帯端末。
KR20100003357U (ko) 배터리 접속단자
TWI402021B (zh) 殼體組件
CN108879203B (zh) 一种接口及电子设备
WO2020024124A1 (zh) 插座结构
JP4418378B2 (ja) ポインティ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