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2264B1 - 차량용 클러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클러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2264B1
KR101292264B1 KR1020110025882A KR20110025882A KR101292264B1 KR 101292264 B1 KR101292264 B1 KR 101292264B1 KR 1020110025882 A KR1020110025882 A KR 1020110025882A KR 20110025882 A KR20110025882 A KR 20110025882A KR 101292264 B1 KR101292264 B1 KR 101292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clutch arm
elastic
body portion
pres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8231A (ko
Inventor
조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진
Priority to KR1020110025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2264B1/ko
Publication of KR20120108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Abstract

차량용 클러치에 있어서, 클러치 아암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누름부재; 및 상기 클러치 아암이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미리 설정된 지점으로부터 최후 위치 사이에 위치할 때, 상기 누름부재에 의해 눌림으로써 상기 클러치 아암에 상기 타방향으로 탄성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부재는,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은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을 제외하고는 막혀있으며 대략 원통형상을 가지고 상기 페달 마운팅 브라켓에 고정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에서 슬라이드이동가능하며 일부가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노출되어 상기 누름부재와 접촉할 수 있는 슬라이더;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수단; 및 상기 슬라이더를 누름부재측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며, 일단은 상기 덮개수단과 접촉하며 타단은 상기 슬라이더와 접촉하는 탄성바이어스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클러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클러치{Clutch for car}
본 발명은 클러치 아암의 복귀력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탄성력을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차량용 클러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동형 방식의 자동차에는 기어 변속을 위해 클러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 차량용 클러치의 일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종래 클러치는 도1 및 도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 마운팅 브라켓(10), 클러치 아암(20), 클러치복귀수단(30), 및 턴오버 스프링(40)을 구비한다.
상기 페달 마운팅 브라켓(10)은 차체(100)에 설치되며, 상기 클러치 아암(20)의 상단부는 페달 마운팅 브라켓(10)에 제1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클러치 아암(20)에는 운전자에 밟히는 클러치 페달(2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복귀수단(30)은 클러치 아암(20)이 운전자에 의해 클러치 페달(22)이 밟혀 회전되기 전의 원위치(a)로 복귀되도록, 운전자에 의해 클러치 페달(22)을 밟는 방향(이하, 일방향(A)이라 함)과 반대반향으로 클러치 아암(20)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마련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공압 또는 유압의 실린더가 사용된다. 상기 턴오버 스프링(40)은, 클러치 아암(20)이 운전자에 의해 클러치 페달(22)이 밟혀 회전되기 전인 원위치(a)와, 턴오버 스프링(40)이 최대로 압축되는 미리 설정된 지점(b) 사이에 위치하는 때에는, 상기 클러치 아암(20)에 운전자에 의해 클러치 페달(22)이 밟히는 방향과 반대방향(이하, 타방향(B)이라 함)으로 탄성가압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클러치 아암(20)이 상기 미리 설정된 지점(b)과, 운전자에 의해 클러치 페달(22)이 밟혀 최대로 회전된 최후 위치(c) 사이에 위치하는 때에는, 상기 턴오버 스프링(40)은 클러치 아암(20)에 일방향(A)으로 탄성가압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클러치 아암(20)이 일방향(A)으로 회전되면, 미리 설정된 지점(b)까지는 클러치 아암(20)의 하단부에 결합된 지지부재(41)가 당겨지게 되어 턴오버 스프링(40)이 압축되며, 이때 턴오버 스프링(40)의 탄성가압력은 클러치 아암(20)을 타방향(B)으로 회전시키도록 작용한다. 그 후, 클러치 아암(20)이 그 미리 설정된 지점(b)을 통과하여 일방향(A)으로 회전하면, 상기 지지부재(41)의 하단부가 제2 회전축(42) 중심에서 멀어지게 되어 턴오버 스프링(40)은 인장되게 된다. 턴오버 스프링(40)이 인장되는 동안의 탄성가압력은 클러치 아암(20)을 일방향(A)으로 회전시키도록 작용한다. 클러치 아암(20)이 그 미리 설정된 지점(b)을 통과하여 최후 위치(c)에 도달할 때까지, 턴오버 스프링(40)은 클러치 아암(20)을 일방향(A)으로 회전시키도록 회전력을 제공한다.
상기 클러치 아암(20)이 일방향(A)으로 회전되는 도중에, 클러치 아암(20)이 스위치(70)를 누르게 되고, 스위치는 엔진의 동력이 기어(미도시)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시키도록 동작하여, 운전자는 기어를 변속할 수 있게 된다. 운전자에 의한 기어변속 완료 후에, 상기 클러치복귀수단(30)은 클러치 아암(20)을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원위치(a)로 클러치 아암(20)을 복귀시킨다.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22)을 다시 밟기 전까지는 상기 클러치 아암(20)은 스토퍼(160)에 걸려서 멈춘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종래 클러치는, 턴오버 스프링(40)을 구비함으로써, 운전자에 의해 클러치 아암(20)의 원위치(a)로부터 미리 설정된 지점(b)까지 클러치 아암에 제공되어야 하는 힘은 다소 증가되나, 상기 미리 설정된 지점(b)으로부터 최후 위치(c)까지 턴오버 스프링에 의해 일방향으로의 탄성가압력이 제공되어 운전자가 클러치 아암에 가해야 하는 힘이 줄어들게 된다. 상기 미리 설정된 지점(b)까지 운전자에 의해 클러치 아암(20)에 더 제공되어야 하는 힘은, 상기 클러치 아암(20)이 상기 미리 설정된 지점을 통과한 후, 턴오버 스프링(40)에 의해 클러치 아암(20)에 제공되는 힘보다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전체적으로 운전자가 기어 변속을 위해 빈번히 클러치 페달(22)을 밟을 때 느끼는 피로감을 줄일 수 있다.
최근 신차들은 엔진출력이 높아짐에 따라서 클러치 페달을 운전자가 밟을 때 필요한 힘이 증가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해서 최근 신차들에서는 턴오버 스프링의 탄성력을 증대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턴오버 스프링의 탄성력을 증대시키는 경우에는 클러치 아암이 원래 위치로 쉽게 복귀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턴오버 스프링의 탄성력이 증대되면 그에 따라서 클러치 아암을 타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클러치복귀수단의 복귀력도 증대해야 하지만 클러치복귀수단의 복귀력은 쉽게 변화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하여 등록된 등록특허 910652호에 의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 아암이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미리 설정된 지점으로부터 최후 위치 사이에 위치할 때 클러치 아암에 의하여 눌림으로서 클러치 아암에 상기 타방향으로 탄성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배치하고 있도록 하여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나,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 설치된 후에는 그 교체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리벳등으로 페달 마운팅 브라켓에 고정설치된 후에 상기 탄성부재를 교체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특히 장기간 사용한 후에 교체를 하기 위해서는 리벳을 제거하는 등 불편한 공정을 수행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탄성부재는 일단 설치된 후에는 탄성력을 조절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즉, 필요한 탄성부재의 탄성력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재를 교체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탄성부재는 판스프링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급작스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부러져버릴 염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클러치복귀수단과 함께 사용되어 클러치 아암을 용이하게 복귀될 수 있도록 하며 탄성력을 조정이 용이한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클러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클러치는, 차체에 설치되는 페달 마운팅 브라켓; 하단부에 운전자에 의해 밟히는 클러치 페달이 마련되며, 상기 운전자에 의해 상기 클러치 페달이 밟혀 일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단부가 상기 페달 마운팅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러치 아암; 상기 클러치 아암에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인 타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클러치복귀수단; 상기 클러치 아암이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되기 전의 원위치와, 미리 설정된 지점 사이에 위치하는 때에는, 상기 클러치 아암에 상기 타방향으로 탄성가압력을 제공하며, 상기 클러치 아암이 상기 미리 설정된 지점과, 상기 클러치 아암이 상기 일방향으로 최대로 회전된 최후 위치 사이에 위치하는 때에는, 상기 클러치 아암에 상기 일방향으로 탄성가압력을 제공하는 턴오버 스프링;을 구비하는 차량용 클러치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아암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누름부재; 및
상기 클러치 아암이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미리 설정된 지점으로부터 상기 최후 위치 사이에 위치할 때, 상기 누름부재에 의해 눌림으로써 상기 클러치 아암에 상기 타방향으로 탄성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부재는,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은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을 제외하고는 막혀있으며 대략 원통형상을 가지고 상기 페달 마운팅 브라켓에 고정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에서 슬라이드이동가능하며 일부가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노출되어 상기 누름부재와 접촉할 수 있는 슬라이더;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수단; 및
상기 슬라이더를 누름부재측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며, 일단은 상기 덮개수단과 접촉하며 타단은 상기 슬라이더와 접촉하는 탄성바이어스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차량용 클러치에서,
상기 덮개수단은 탄성바이어스수단의 탄성력을 조절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량용 클러치에서,
상기 몸체부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수단은,
상기 몸체부에서 개방된 일측을 폐쇄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나사결합되되, 상기 몸체부의 나사산의 나선방향을 따라서 회전함에 따라서 상승 또는 하강함으로서 상기 탄성바이어스부재의 탄성력을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량용 클러치에서,
상기 덮개수단은,
전체적으로 원판형태로 이루어지되, 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패여진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탄성바이어스부재가 안착되어 접촉되고 상기 안착홈의 측면에는 상기 몸체부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량용 클러치에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원판형태의 상부머리와, 상기 상부머리의 중앙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핀부로 이루어지되, 탄력성 있는 고무소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차량용 클러치는, 클러치복귀수단과 함께 사용되어 클러치 아암에 타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가압부재의 탄성력을 용이하게 조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차량용 클러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3은 종래기술의 또 따른 차량용 클러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클러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Ⅴ-Ⅴ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의 가압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는, 페달 마운팅 브라켓(10)과, 클러치 아암(20)과, 클러치복귀수단(30)과, 턴오버 스프링(40), 누름부재(150) 및 가압부재(160)를 포함한다.
상기 페달 마운팅 브라켓(10)은 차체(100)에 설치된다.
상기 클러치 아암(20)은 하단부에 운전자에 의해 밟히는 클러치 페달(22)이 마련되며, 클러치 아암(20)은 상기 운전자에 의해 상기 클러치 페달(22)이 밟혀 일방향(A)으로 제1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단부가 상기 페달 마운팅 브라켓(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클러치복귀수단(30)은 상기 클러치 아암(20)에 상기 일방향(A)과 반대방향인 타방향(B)으로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차체(100)에 설치되는 공압 또는 유압의 실린더가 구비되어 있다. 이 실린더는 상기 클러치 아암(20)에 연결되어, 운전자에 의해 밟힌 클러치 아암(20)이 일방향(A)으로 회전되는 동안에 압축되고, 클러치 아암(20)에 가해지는 운전자의 힘이 제거되면 상기 압축된 실린더가 다시 복원되면서 상기 클러치 아암(20)을 타방향(B)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턴오버 스프링(40)은 상기 클러치 아암(20)이 상기 일방향(A)으로 회전되기 전의 원위치(a)와, 턴오버 스프링(40)이 최대로 압축되는 미리 설정된 지점(b) 사이에 위치하는 때에는, 상기 클러치 아암(20)에 상기 타방향(B)으로 탄성가압력을 제공하며, 상기 클러치 아암(20)이 상기 미리 설정된 지점(b)과, 상기 클러치 아암(20)이 상기 일방향(A)으로 최대로 회전된 최후 위치(c) 사이에 위치하는 때에는, 상기 클러치 아암(20)에 상기 일방향(A)으로 탄성가압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턴오버 스프링(4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41)의 상단부는 상기 페달 마운팅 브라켓(10)에 제2 회전축(4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단부는 상기 클러치 아암(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턴오버 스프링(40)의 양 말단은 상기 지지부재(41)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41)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끼워져 있다.
상기 누름부재(150)는 상기 클러치 아암(20)의 제1회전축(21)과, 클러치복귀수단(30)이 상기 클러치 아암(20)과 결합되는 부분 사이에 배치되되, 그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누름부재(150)는 클러치 아암(20)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부측이 절곡되어 있게 되는데 전체적으로 수직으로 자른 단면이 "ㄱ"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누름부재(150)는 상부측 절곡된 부분이 후술하는 가압부재의 슬라이더(162)와 접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압부재(160)는, 상기 클러치 아암(20)이 상기 일방향에서 회전되어 미리 설정된 지점으로부터 최후 위치 사이에 위치할 때, 상기 누름부재(150)에 의하여 눌림으로서 상기 클러치 아암(20)에 상기 타방향으로 탄성가압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압부재(160)는, 몸체부(161), 슬라이더(162), 덮개수단(163) 및 탄성바이어스수단(164)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61)는,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은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을 제외하고는 막혀있으며 대략 원통형상을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몸체부(161)는 상기 페달 마운팅 브라켓(1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몸체부(16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몸체부는 그 몸체부(16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하부너트(165) 및 덮개수단(163)에 의하여 상기 페달 마운팅 브라켓(1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너트(165)와 덮개수단(163)은 중간에 페달 마운팅 브라켓(10)을 사이에 두고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미리 하부너트(165)가 몸체부(161)에 끼워진 후에 덮개수단(163)이 장착됨으로서 상기 몸체부(161)가 페달 마운팅 브라켓(10)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162)는 상기 몸체부(161)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며 일부가 관통공을 통하여 노출되어 상기 누름부재(150)와 접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슬라이더(162)는 상기 몸체부(161)의 내부에 삽입되는 원판형태의 상부머리(162a)와, 상기 상부머리(162a)의 중앙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핀부(162b)로 이루어지되, 탄력성 있는 고무소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슬라이더(162)는 상기 핀부(162b)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음에 따라서 상기 누름부재(150)가 상기 핀부(162b)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덮개수단(163)은, 상기 몸체부(161)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하도록 상기 몸체부(16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전체적으로 원판형태로 이루어지되, 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패여진 안착홈(163a)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163a)에는 상기 탄성바이어스수단(164)이 안착되어 접촉되고 상기 안착홈(163a)의 측면에는 상기 몸체부(161)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덮개수단(163)은 그 하면이 상기 페달 마운팅 브라켓(10)에 접촉하여 상기 가압부재(160)가 상기 페달 마운팅 브라켓(10)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함께 덮개수단(163)은 상기 탄성바이어스수단(164)을 지지하는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탄성바이어스수단(164)은 상기 슬라이더(162)를 누름부재(150) 측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것으로서, 일단은 상기 덮개수단(163)과 접촉하며 타단은 상기 슬라이더(162)와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바이어스수단(164)으로는 압축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압축과 팽창을 반복하는 구성이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바이어스수단(164)은, 상기 덮개수단(163)과 상기 슬라이더(16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 상기 슬라이더(162)를 상기 덮개수단(16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먼저, 수동형 차량의 운행 중에 기어 변속이 필요한 경우에, 운전자는 클러치 페달(22)을 밟아, 클러치 아암(20)을 회전시키도록 힘을 가한다. 그러면, 운전자에 의해 힘을 받은 클러치 아암(20)은 제1 회전축(21)을 중심으로 일방향(A)으로 회전한다.
상기 클러치 아암(20)이 일방향(A)으로 회전되면, 상기 스프링(4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41)의 타단부가 상기 클러치 아암(2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지지부재(41)의 타단부도 함께 일방향(A)으로 회전되며, 이때, 상기 지지부재(41)의 일단부는 페달 마운팅 브라켓(10)의 제2 회전축(4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클러치 아암(20)이 제1 회전축(21)을 중심으로 일방향(A)으로 회전하는 동안에, 상기 지지부재(41)는 제2 회전축(42)을 중심으로 일방향(A)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41)가 미리 설정된 지점(b)을 통과하여 회전하게 되면, 상기 클러치 아암(20)이 회전되는 일방향(A)으로 상기 턴오버 스프링(40)이 탄성가압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클러치 아암(20)이 일방향(A)으로 회전하는 도중에, 상기 클러치 아암(20)과 결합되어 누름부재(150)는 가압부재(160)의 슬라이더(162)를 상측으로 누른다. 구체적으로 상기 누름부재(150)가 회전하면서 상기 슬라이더(162)를 상기 몸체부(161)의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밀어넣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162)가 눌려서 탄성바이어스수단(164)이 탄성 변형되면, 상기 탄성바이어스수단(164)은 상기 클러치 아암(20)을 타방향(B)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클러치 아암(20)에 탄성가압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클러치 아암(20)이 미리 설정된 지점(b)을 통과하여 일방향(A)으로 더 회전되면, 상기 턴오버 스프링(40)이 클러치 아암(20)에 일방향(A)으로의 회전력을 제공하므로, 클러치 아암(20)이 일방향(A)으로 더 원활히 회전가능하게 된다. 클러치 아암(20)이 좀 더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클러치 아암(20)과 결합된 누름부재(150)가 슬라이더(162)를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상승하는 슬라이더(162)에 의하여 탄성바이어스수단(164)은 탄성변형되어 복원력을 지니게 된다.
한편, 상기 클러치 아암(20)이 일방향(A)으로 회전하는 중에, 클러치 아암(20)이 스위치(70)를 누르게 되고, 스위치(70)는 엔진의 동력이 기어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시키도록 작동하여, 운전자가 기어를 변속할 수 있게 된다.
운전자에 의한 기어 변속이 완료되어,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22)에 가하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클러치복귀수단(30)은 클러치 아암(20)을 타방향(B)으로 회전시켜 원위치(a)로 클러치 아암(20)을 복귀시킨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변형되어 있던 탄성바이어스수단(164)은 다시 복원되면서 상기 클러치 아암(20)이 용이하게 원위치(a)로 복귀되도록, 상기 클러치 아암(20)에 타방향으로 탄성가압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는, 상기 클러치 아암(20)을 타방향(B)으로 회전시키도록 탄성가압력을 제공하므로, 운전자에 의해 클러치 아암(20)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어 다시 원위치(a)로 클러치 아암(20)을 복귀시킬 때, 종래에 클러치 아암(20)을 타방향(B)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힘보다 작은 힘으로 상기 클러치 아암(20)을 복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는 몸체부(161)에 체결되어 있는 덮개부재를 손쉽게 나선방향으로 돌림에 의하여 상기 몸체부(161)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제거된 후에는 스프링을 원하는 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프링의 교체는 노후화된 스프링을 새로운 스프링으로 교환하는데 필요하거나, 또는 기 설치된 스프링이 원하는 탄성력을 가지도록 용이하게 교환하는데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차량용 클러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덮개수단(163)이 탄성바이어스수단(164)의 탄성력을 조절가능한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덮개수단(163)은, 상기 몸체부(161)에서 개방된 일측을 폐쇄하도록 상기 몸체부(161)에 나사결합되되, 상기 몸체부(161)의 나사산의 나선방향을 따라서 회전함에 따라서 상승 또는 하강함으로서 상기 탄성바이어스수단(164)의 탄성력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가압수단과 차이점은 상기 도 7의 덮개수단(163)에서는 상기 덮개수단(163)이 몸체부(161)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하여 탄성바이어스수단(164)을 지지함과 동시에 몸체부(161)가 하부너트(165)와 함께 상기 몸체부(161)를 페달 마운팅 브라켓(10)에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했지만, 상기 하부너트(165)와 함께 몸체부(161)를 고정하는 기능을 별도의 상부너트(166)가 수행하고 상기 덮개수단(163)은 상기 상부너트(166)의 상측에서 나선방향을 따라 회전함으로서 몸체부(161)에 대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덮개수단(163)이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서 그 내부에 배치된 스프링인 탄성바이어스수단(164)은 탄성력이 증가 또는 저하됨으로서 적절한 탄성가압력을 가지도록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부재의 탄성력이 크게 요구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덮개수단(163)은 충분히 회전시켜 상기 덮개수단(163)은 하강함으로서 상기 탄성바이어스수단(164)가 탄성력을 충분히 가질 수 있도록 하며, 가압부재의 탄성력이 약하게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기 덮개수단(163)을 상승시킴으로서 상기 탄성바이어스수단(164)이 약한 탄성력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가압부재의 탄성력을 용이하게 변경함에 따라서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서 상기 가압부재의 탄성력이 저하되는 경우에는 상기 덮개수단(163)을 하측을 이동함으로서 그 탄성력을 초기와 같은 정도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10...페달 마운팅 브라켓 20...클러치 아암
21...제1회전축 30...클러치 복귀수단
40...턴오버 스프링 41...지지부재
42...제2회전축 50...누름부재
60...가압부재 61...몸체부
62...슬라이더 63...덮개수단
64...탄성바이어스수단 65...하부너트
66...상부너트

Claims (5)

  1. 차체에 설치되는 페달 마운팅 브라켓; 하단부에 운전자에 의해 밟히는 클러치 페달이 마련되며, 상기 운전자에 의해 상기 클러치 페달이 밟혀 일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단부가 상기 페달 마운팅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러치 아암; 상기 클러치 아암에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인 타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클러치복귀수단; 상기 클러치 아암이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되기 전의 원위치와, 미리 설정된 지점 사이에 위치하는 때에는, 상기 클러치 아암에 상기 타방향으로 탄성가압력을 제공하며, 상기 클러치 아암이 상기 미리 설정된 지점과, 상기 클러치 아암이 상기 일방향으로 최대로 회전된 최후 위치 사이에 위치하는 때에는, 상기 클러치 아암에 상기 일방향으로 탄성가압력을 제공하는 턴오버 스프링;을 구비하는 차량용 클러치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아암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누름부재; 및
    상기 클러치 아암이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미리 설정된 지점으로부터 상기 최후 위치 사이에 위치할 때, 상기 누름부재에 의해 눌림으로써 상기 클러치 아암에 상기 타방향으로 탄성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부재는,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은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을 제외하고는 막혀있으며 원통형상을 가지고 상기 페달 마운팅 브라켓에 고정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에서 슬라이드이동가능하며 일부가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노출되어 상기 누름부재와 접촉할 수 있는 슬라이더;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수단; 및
    상기 슬라이더를 누름부재측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며, 일단은 상기 덮개수단과 접촉하며 타단은 상기 슬라이더와 접촉하는 탄성바이어스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러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수단은 탄성바이어스수단의 탄성력을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러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수단은,
    상기 몸체부에서 개방된 일측을 폐쇄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나사결합되되, 상기 몸체부의 나사산의 나선방향을 따라서 회전함에 따라서 상승 또는 하강함으로서 상기 탄성바이어스수단의 탄성력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러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수단은,
    원판형태로 이루어지되, 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패여진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탄성바이어스수단이 안착되어 접촉되고 상기 안착홈의 측면에는 상기 몸체부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러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원판형태의 상부머리와, 상기 상부머리의 중앙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핀부로 이루어지되, 탄력성 있는 고무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러치.
KR1020110025882A 2011-03-23 2011-03-23 차량용 클러치 KR101292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882A KR101292264B1 (ko) 2011-03-23 2011-03-23 차량용 클러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882A KR101292264B1 (ko) 2011-03-23 2011-03-23 차량용 클러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231A KR20120108231A (ko) 2012-10-05
KR101292264B1 true KR101292264B1 (ko) 2013-08-01

Family

ID=47279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882A KR101292264B1 (ko) 2011-03-23 2011-03-23 차량용 클러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22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119B1 (ko) 2014-09-18 2015-09-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클러치
KR102105849B1 (ko) * 2014-11-19 2020-05-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클러치 페달 답력 저감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1014B1 (ko) 1996-03-27 1999-06-15 권오민 자동차 가속 페달 안전장치 시스템
KR100283334B1 (ko) 1997-12-31 2001-03-02 정몽규 클러치페달의 복귀력 향상장치
JP2001120005A (ja) 1999-10-25 2001-05-08 Toru Matsuura 土壌改良用エアレーション機械のサイドオープンタインとホールドピンの連結構造
KR20090072421A (ko) * 2007-12-28 2009-07-02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차량용 클러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1014B1 (ko) 1996-03-27 1999-06-15 권오민 자동차 가속 페달 안전장치 시스템
KR100283334B1 (ko) 1997-12-31 2001-03-02 정몽규 클러치페달의 복귀력 향상장치
JP2001120005A (ja) 1999-10-25 2001-05-08 Toru Matsuura 土壌改良用エアレーション機械のサイドオープンタインとホールドピンの連結構造
KR20090072421A (ko) * 2007-12-28 2009-07-02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차량용 클러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231A (ko) 201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08188B (zh) 转向柱组件
US8789441B2 (en) Pedal feel simulation system
US20130098719A1 (en) Brake device
KR101292264B1 (ko) 차량용 클러치
US20150097063A1 (en) Ice shaver structure
CN104228574A (zh) 加速踏板的踏板力调整装置
WO2007148882A1 (en) Shock absorber
JPH064479B2 (ja) ジヤツキ
CN201771953U (zh) 枢纽器
CN107489762B (zh) 换挡手柄总成和车辆
KR101414167B1 (ko) 덴트 복원장치
JP3934635B2 (ja) 衝撃緩和装置
CN204898790U (zh) 一种可调的花洒固定装置
CN204701651U (zh) 车辆的转向装置
KR100910652B1 (ko) 차량용 클러치
EP3447340A1 (en) A damping mechanism for a shift selector assembly and a shift selector assembly comprising said damping mechanism
CN108213913A (zh) 一种汽车悬架控制臂衬套压入装置
JP5064781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CN102555701A (zh) 将轮胎的胎圈分离的装置
CN206309931U (zh) 无级可调换挡力的换挡器
KR101326949B1 (ko) 차량용 페달의 답력 조절장치
EP2537613A1 (en) Oil supply device for hole cutting apparatus
EP1074420A2 (de) Fahrpedalmodul
CN210265813U (zh) 一种汽车变速操纵机构的换挡手柄
CN220104678U (zh) 一种机床零部件强度检测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