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9747B1 - 대소변 감지기능 갖는 기능성 기저귀 - Google Patents

대소변 감지기능 갖는 기능성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9747B1
KR101289747B1 KR1020100032316A KR20100032316A KR101289747B1 KR 101289747 B1 KR101289747 B1 KR 101289747B1 KR 1020100032316 A KR1020100032316 A KR 1020100032316A KR 20100032316 A KR20100032316 A KR 20100032316A KR 101289747 B1 KR101289747 B1 KR 101289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diaper
urine
thin film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2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3008A (ko
Inventor
유경수
Original Assignee
(주)피앤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앤폴 filed Critical (주)피앤폴
Priority to KR1020100032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9747B1/ko
Publication of KR20110113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61F2013/42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having an electronic dev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대소변 감지기능 갖는 기능성 기저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상세하게는 환자, 장애인, 유아 등과 같이 배뇨의 처리를 스스로 할 수 없는 사람을 위하여 대소변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원격지에 위치한 보호자에게 대소변 상태를 알려주고, 기저귀로 인하여 엉덩이 부분이 진무르지 않도록 구성하며, 밀폐성이 대단히 향상되어 후각에 의하여 파악할 있도록 구성한 대소변 감지기능 갖는 기능성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소변 감지기능 갖는 기능성 기저귀{Excrements detector for diaper}
본 발명의 대소변 감지기능 갖는 기능성 기저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상세하게는 환자, 장애인, 유아 등과 같이 배뇨의 처리를 스스로 할 수 없는 사람을 위하여 대소변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원격지에 위치한 보호자에게 대소변 상태를 알려주고, 기저귀로 인하여 엉덩이 부분이 진무르지 않도록 구성하며, 밀폐성이 대단히 향상되어 후각에 의하여 파악할 있도록 구성한 대소변 감지기능 갖는 기능성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용변을 가리지 못하는 4세이하의 유아들은 상시 기저귀를 착용하게 된다. 근자에 들어 기저귀는 대소변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밀폐성이 대단히 향상되어 있다. 그러나, 분명한 의사표시를 하는 것이 불가능한 유아의 대변배설 상태를 파악하는 유일한 방법은 후각에 의하여 유아의 대변배설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나, 이와같이 근래의 기저귀들은 밀폐성이 대단히 향상되어 후각에 의하여 이를 파악하는 것도 용이하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유아들은 대변을 배설한 상태로 수시간 이상을 있게되는 일이 빈번하므로 유아들이 항문이나 사타구니가 헐게되어 유아들의 건강을 해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저귀를 자주 점검해 볼수도 있으나 이 또한 대단히 번거롭고 귀찮은 일이라 할 것이다.
다음, 다른 종래의 기술은 배뇨의 처리를 스스로 처리할 수 없거나 신체 기능의 이상으로 배뇨 상태를 감지할 수 없는 사람은 보호자의 도움으로 대소변을 처리하고 있다. 최근에 환자 등이 대소변을 했을 경우에 대소변 상태를 감지하고, 보호자에게 신호를 송출하여 기저귀의 교환시기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등이 제안되고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57941호(등록일자 2001.12.06)에 대변과 소변을 구분 감지하여 알려주고 재사용 가능한 기저귀용 분뇨 자동 감지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기저귀용 분뇨 자동 감지기는 대소변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부착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가 부착되는 기저귀와 상기 지지체에 전기적 접속을 이루는 송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상에 부착된 센서는 대변을 검지할 수 있는 제1센서와 소변을 검지할 수 있는 제2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제1센서 및 제2센서의 신호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출된 제1센서 및 제2센서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핸드폰, 휴대전화, 포켓 벨, 컴퓨터 등의 수신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저귀용 분뇨 자동 감지기는 제1센서와 제2센서의 구성이 복잡하고, 신호선이 3가닥이 필요하며, 휴대전화와 같이 일반적으로 상용화된 이동통신 기기는 기저귀용 분뇨 자동 감지기의 송신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없으며, 이러한 송신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휴대전화에 구현하는 것도 비용면에서 어려운 일이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027806호(공개일자: 2004.04.01)에 개시된 도 5의 소변감지센서(71)는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박막의 실리콘 재질의 시트(72)와, 상기 시트(72)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띠형태로 코팅되어 소변과의 접촉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알람장치(80)에 소변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제1 내지 제4전극필름(74a~74d)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제3전극필름(74a)(74c)의 끝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알람장치 (80)와 연결되는 제1단자부(75a)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제4전극필름(74b)(74d)의 끝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알람장치(80)와 연결되는 제2단자부(75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대소변감지 알람장치의 신뢰성을 높이고 저가에 보급할 수 있는 기저귀에 부착되는 소변감지센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대변과 소변을 구분하여 감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고, 환자 등의 피부와 접촉할 때 바람직하지 않은 전류의 흐름을 야기할 수 있으며, 원격지에 위치하는 보호자에게 환자 등의 대소변 상태를 알릴 수 있는 수단이 미흡한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현재 많은 흡수 의류가 통기성 외부 커버 재료를 사용한다. 통기성 외부 커버 재료는 액체에 대해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이지만, 수증기에 대해서는 투과성을 갖는다. 통기성 외부 커버 재료는 수증기가 흡수 의류로부터 빠져나가게 함으로써, 의류 착용시 편한 느낌을 증가시키고 수증기가 의류 내에 유지되고 착용자의 신체에 의해 가열될 때 발생하는 피부 발진 및 다른 자극을 감소시킨다. 현재 많은 흡수 의류가 착용자에게 최대한 편한 느낌을 줄 만큼 높은 통기성을 갖는다.
통기성 흡수 제품의 한 단점은 의류의 외부, 즉 외부 커버의 외부 상에서 종종 일어나는 차고 축축하고 끈적끈적한 감촉이다. 흡수 코어 내의 액상 물이 증발하여 미세다공성 외부 커버 재료를 통과할 때, 관련된 증발성 냉각이 흡수 코어 및
인접한 외부 커버 재료의 온도를 낮춤으로써, 끈적끈적하고 축축한 감촉의 외부 커버를 초래한다. 또한, 외부 커버를 통한 높은 수분 흐름은 외부 커버 표면 근처의 공기가 포화 상태 또는 포화에 가까운 상태에 이르게 한다. 습한 공기는 손가락이 느낄 수 있을 정도로 건조 공기보다 더 높은 열 전도성을 가지고 있어서, 축축한 감촉을 더 악화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아이 및 착용자에게 유해하지 않으며, 대변과 소변을 구분하여 알려 줄 수 있는 대소변 감지기능 갖는 기능성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원격지에 위치한 보호자에게 환자 등의 대변과 소변 상태를 구분하여 알려 줄 수 있으며, 기저귀내와 외부로 공기가 통하도록 자동으로 열리는 도어를 구성한 대소변 감지기능 갖는 기능성 기저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기저귀에 접착 가능한 절연 지지부재; 상기 절연 지지부재에 일정 간격을 두고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도전선을 포함하는 대소변 감지기능 갖는 기능성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도전선은 도전분말을 잉크젯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의 도전선을 인쇄하여 구성하거나 또는 박막의 전극필름를 구성한 절연지지부재; 상기 절연지지부재의 끝단에 도전선과 연결할 수 있도록 전극돌기를 형성하고 결합할 수 있는 구성한 연결판; 상기 연결판의 전극돌기와 연결될 수 있도록 전극홈이 형성되고, 내부면에는 도전선부재상에 형성된 감지에 의해 검출된 배뇨정보를 입력받아 연산처리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의 제어신호를 받아 배뇨정보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배뇨정보 송신부와 상기 마이콤에 동작전압을 제공하는 전원부로 구성된 배뇨정보 검출/송신부를 포함한 본체; 상기 배뇨정보 송신부를 통해 무선 송신되는 배뇨정보를 수신받아 주파수별로 필터링하는 밴드패스필터와, 상기 밴드패스필터를 통해 주파수별로 선별된 배뇨정보를 입력받아 처리 및 저장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신호를 받아 각각의 배뇨정보 검출/송신부의 배뇨정보를 음성 또는 음악으로 들려주도록 구성한 디스플레이부를 제공하여 달성하였다.
본 발명은 탄력적이고, 부드럽고, 용수철과 같은 표면 감촉을 갖는 흡수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이다., 전원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필요시에만 압력스위치를 통해 전원상태를 점검할 수 있도록 전원표시부를 구비하고, 박막 저항을 이용하여 전류 흐름을 적게 함으로써 환자 등의 피부와 접촉할 때 유해한 전류의 흐름을 방지할 수 있으며, 2개의 도전선만으로 구조를 간단하여 대변, 소변 또는 대변 및 소변을 구분하여 감지하는 기저귀에 탈부착 가능한 대소변 감지기와 대소변 감지기에 연결된 송신기의 카킷 연결 단자에 접속된 상용화된 이동통신 기기를 이용하여 원격지에 위치한 보호자에게 환자 등의 대변과 소변 상태를 구분하여 알려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대소변 감지기능 갖는 기능성 기저귀를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대소변 감지기능 갖는 기능성 기저귀를 도시한 결합부분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절연지지부재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절연지지부재의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의 절연지지부재를 도시한 또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대소변 감지기능 갖는 기능성 기저귀를 도시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대소변 감지기능 갖는 기능성 기저귀를 도시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열린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닫힌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대소변 감지기능 갖는 기능성 기저귀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내지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의 대소변 감지기능 갖는 기능성 기저귀는 기저귀에 접착 가능한 절연지지부재; 상기 절연 지지부재에 일정 간격을 두고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도전선을 포함하는 대소변 감지기능 갖는 기능성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도전선(20,40)은 도전분말을 잉크젯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의 도전선을 인쇄하여 구성하거나 또는 박막의 전극필름를 구성한 절연지지부재(50); 상기 절연지지부재의 끝단에 도전선과 연결할 수 있도록 전극돌기(10)를 형성하고 결합할 수 있는 구성한 연결판(20); 상기 연결판의 전극돌기와 연결될 수 있도록 전극잭(220)이 형성되고, 내부면에는 도전선부재상에 형성된 감지에 의해 검출된 배뇨정보를 입력받아 연산처리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의 제어신호를 받아 배뇨정보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배뇨정보 송신부와 상기 마이콤에 동작전압을 제공하는 전원부로 구성된 배뇨정보 검출/송신부(70)를 포함한 본체(100); 상기 배뇨정보 송신부를 통해 무선 송신되는 배뇨정보를 수신받아 주파수별로 필터링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통해 주파수별로 선별된 배뇨정보를 입력받아 처리 및 저장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신호를 받아 각각의 배뇨정보 검출/송신부의 배뇨정보를 음성 또는 음악으로 들려주도록 구성한 디스플레이부(400)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도 1내지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기저귀에 접착 가능한 절연지지부재(50)는 두 줄 또는 3줄, 4줄로 구성이 가능하다. 도 3에 도시한 2줄인 경우에는 도전선1(30)과 도전선2(40)로 배열되고, 3줄인 경우에는 중앙에 도전선2을 형성하고, 양측면에는 도전선1을 각각 배열하여 구성하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4줄인 경우에는 도전선1(30)과 도전선2(40)와 도전선 1과 도전선2를 교대하여 배열하여 구성한다. 도 5에 도시한 경우는 도전선1(30)과 도전선2(40)를 지그제그로 설치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용도와 크기에 따라 도전선의 배열을 다양하게 배열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도전선(30,40)은 도전분말을 잉크젯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의 도전선을 인쇄하여 구성하거나 또는 박막의 전극필름을 구성한 절연지지부재를 구성하였다.
상기 절연지지부재(50)의 끝단에 도전선(30,40)과 연결할 수 있도록 전극돌기(10)를 형성하고 결합할 수 있도록 연결판(20)을 구성하여 도전선을 연결판을 통하여 본체(100)와 결합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본체(100)는 연결판(20)의 전극돌기(1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전극잭(220)이 형성되고, 내부면에는 도전선부재상에 형성된 감지에 의해 검출된 배뇨정보를 입력받아 연산처리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의 제어신호를 받아 배뇨정보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배뇨정보 송신부와 상기 마이콤에 동작전압을 제공하는 전원부로 구성된 배뇨정보 검출/송신부(180)를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배뇨정보 검출/송신기는 도전선1,2(30,40)의 감지에 의해 검출된 배뇨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연산처리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의 제어신호를 받아 배뇨정보를 무선으로 송출할수 있는 배뇨정보 송신부와 상기 마이콤 등에 동작전압을 제공하는 전원부(170)로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00)는 배뇨정보 검출/송신부(180)를 통해 무선 송신되는 배뇨정보를 수신받아 주파수별로 필터링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통해 주파수별로 선별된 배뇨정보를 입력받아 처리 및 저장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신호를 받아 각각의 배뇨정보 검출/송신부의 배뇨정보를 음성 또는 음악으로 들려주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00)는 무선 송신되는 배뇨정보를 수신받아와 기입력된 음성, 음악, 엄마의 신장박동 등을 스피커로 들려주게 되며, 아이는 그 소리에 놀라거나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고 엄마 또는 보호자에게 알려주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도 6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는 대변과 소변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전선부재의 대변감지부는 도전선1(30)과 도전선2(40)를 구성하고, 상기 도전선1(30)에는 병렬로 연결된 박막저항1(30-1), 상기 박막저항1(30-1)의 끝단에 감지도선(30-3)을 구성하였다.
소변감지부는 도전선1(30)과 병렬로 연결되며 박막저항1의 저항값과 다른 저항값을 갖는 박막저항2(30-3)과, 상기 박막저항1의 끝단에 도전선2(40)와 인접하게 형성된 감지도선(30-3)을 구성하였다.
대변감지부와 소변감지부를 개방하며 상기 절연 지지부재에 부착되어 연결판(20)에 의해 도전선1,2(30,40)에 연결된 배뇨정보 검출/송신부(180)와 박막저항1의 저항값과 박막저항2의 저항값은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갖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대소변 감지하기 위해서는 절연지지부재에 일정 간격을 두고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도전선1 과 도전선2을 구성하였다. 상기 도전선1과 병렬로 연결된 박막저항2와, 상기 박막저항2의 끝단에 도전선2와 인접하게 형성된 감지도선(30-3)으로 이루어진 대변감지부를 구성하였다.
상기 도전선1과 병렬로 연결된 박막저항1과 박막저항1의 끝단에 도전선2과 인접하게 형성된 감지도선(30-3)으로 이루어진 소변을 감지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감지선과 도전선2가 접점이 떨어진 상태로 되어 있다가 대변이 발생하면, 대변에 의하여 감지선과 도전선2이 SHORT된 상태로 되어 상기 대변감지부에 도전선1, 박막저항2, 감지선 및 도전선2이 전기적 회로를 형성하여 전기가 흐르게 되고, 동일한 작용으로 소변감지부에 소변이 발생하면 도전선1, 박막저항1, 감지부 및 도전선2이 전기적 회로를 형성하여 전기가 흐르게 된다.
이때, 도전선1,2의 양단간에 인가되는 전압을 V라 하고, 박막저항1 및 박막저항2의 저항값을 각각 R1, R2라고 하면, 소변에 의하여 전기적 회로가 형성될 때 흐르는 전류는 Ⅰ1=V/R1이 되고, 대변에 의하여 전기적회로가 형성될 때 흐르는 전류는 I2=V/R2가 되므로, R1값과 R2값을 다르게 하면 도전선1 및 도전선2에 연결된 송신기의 내부 회로에서 대변과 소변을 구분하여 판단할 수 있다.
도 7내지 도 9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는 기저귀내와 외부가 소통할 수 있도록 개폐도어를 구성하여 소변이나 대변을 보았을 경우에 도 8과 같이 개폐도어부의 회전도어(130)가 회전하여 열리도록 구성하고, 도 9와 같이 평상시에는 닫힌 상태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본체 구성은
절연지지부재(50)를 관통하여 관통구를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에 도전선1,2(30,40)를 연결할 수 있도록 외부연결캡(120)과 내부연결캡(110)으로 끼워서 구성된다.
상기 내부연결캡(110)의측면에 도전선1,2와 연결되도록 전극이 형성되고, 내외부연결캡(110,120)의 중앙에는 관통구가 형성되어 외부와 개폐되도록 고정도어(140)와 회전도어(130)가 구성된 개폐도어부를 구성하였다.
상기 개폐도어부에 구성된 회전도어(130)가 개폐하도록 회전축(150)과 모터(160)를 구성하고, 상기 절연지지부재에 도전선1,2에서 감지한 배뇨신호에 의해 모터(160)가 작동하여 회전도어(130)가 회전되며, 기저귀내로 공기가 통하도록 구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여 기저귀내로 공기가 통하도록 구성하고, 또한 소변 및 대변의 냄새가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하여 후각으로도 냄새를 맡을 수 있도록 구성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송신기는 대소변 상태를 외부에 표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동통신 장치의 원격지에 위치한 보호자에게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일반적인 상용화된 이동통신 기기는 외부에서의 밧데리 충전과 외부 기기와의 데이터 전송 및 연구개발 시에 이동통신 기기의 연겨라여 이용할 수 있다.
이동통신 기기에 블루투스방식을 적용하여 본체와 디스플레이부간에 연동하여 원격지에 위치하는 보호자의 이동통신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상용화된 이동통신 기기를 이용하여 원격지에 위치하는 보호자에게 아이, 환자 등의 대소변 상태를 알릴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모양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돌기전극 20 : 연결판
30 : 도전선1 40 : 도전선2
50 : 절연지지부재 60 : 흡수층
70 : 배뇨정보검출/송신부 100 : 본체
110 : 내부연결캡 120 : 외부연결캡
130 : 고정도어 140 : 회전도어
150 : 회전축 160 : 모터
170 : 전원부 180 : 배뇨정보검출/송신부
300 : 기저귀 400 : 디스플레이부

Claims (5)

  1. 기저귀에 접착 가능한 절연 지지부재; 상기 절연 지지부재에 일정 간격을 두고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도전선을 포함하는 대소변 감지기능 갖는 기능성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도전선은 도전분말을 잉크젯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의 도전선을 인쇄하여 구성하거나 또는 박막의 전극필름을 구성한 절연지지부재;
    상기 절연지지부재의 끝단에 도전선과 연결할 수 있도록 전극돌기를 형성하고 결합할 수 있는 구성한 연결판;
    상기 연결판의 전극돌기와 연결될 수 있도록 전극홈이 형성되고, 내부면에는
    도전선부재에 감지된 신호에 의해 검출된 배뇨정보를 입력받아 연산처리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의 제어신호를 받아 배뇨정보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배뇨정보 송신부와 상기 마이콤에 동작전압을 제공하는 전원부로 구성된 배뇨정보 검출/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지지부재를 관통하여 관통구를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에 도전선1,2를 연결할 수 있도록 외부연결캡과 내부연결캡으로 끼워서 구성되고, 상기 내부연결캡의 측면에 도전선1,2와 연결되도록 전극이 형성되고, 내외부연결캡의 중앙에는 관통구가 형성되어 외부와 개폐되도록 고정도어와 회전도어가 구성된 개폐도어부와, 상기 개폐도어에 구성된 회전도어가 개폐하도록 축과 모터를 구성하고, 상기 절연지지부재에 도전선1,2에서 감지한 배뇨신호에 의해 모터가 작동하여 회전도어가 회전되며, 기저귀내로 공기가 통하도록 구성한 본체;
    상기 배뇨정보 송신부를 통해 무선 송신되는 배뇨정보를 수신받아 주파수별로 필터링하는 밴드패스필터와, 상기 밴드패스필터를 통해 주파수별로 선별된 배뇨정보를 입력받아 처리 및 저장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신호를 받아 각각의 배뇨정보 검출/송신부의 배뇨정보를 음성 또는 음악으로 들려주도록 구성한 디스플레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기능 갖는 기능성 기저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선부재는
    도전선1과 도전선2을 구성하고, 상기 도전선 1에는 병렬로 연결된 박막 저항1과 상기 박막저항1의 끝단에 감지도선을 구성하여 형성된 대변감지부;
    상기 도전선1과 병렬로 연결되며 박막저항1의 저항값과 다른 저항값을 갖는 박막저항2와 상기 박막저항1의 끝단에 도전선2와 인접하게 형성된 감지도선으로 이루어진 소변감지부;
    상기 대변감지부와 소변감지부를 개방하며 상기 절연 지지부재에 부착되어 연결판에 의해 도전선1,2에 연결된 배뇨정보 검출/송신부;
    상기 박막저항1의 저항값과 상기 박막저항2의 저항값은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기능 갖는 기능성 기저귀.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00032316A 2010-04-08 2010-04-08 대소변 감지기능 갖는 기능성 기저귀 KR101289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316A KR101289747B1 (ko) 2010-04-08 2010-04-08 대소변 감지기능 갖는 기능성 기저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316A KR101289747B1 (ko) 2010-04-08 2010-04-08 대소변 감지기능 갖는 기능성 기저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008A KR20110113008A (ko) 2011-10-14
KR101289747B1 true KR101289747B1 (ko) 2013-07-26

Family

ID=45028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2316A KR101289747B1 (ko) 2010-04-08 2010-04-08 대소변 감지기능 갖는 기능성 기저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97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5854A1 (ko) * 2018-05-24 2019-11-2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소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및 용변 감지 장치
KR20190134462A (ko) * 2018-05-24 2019-12-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소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및 용변 감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08224C (en) 2015-12-22 2020-03-24 Sca Hygiene Products Ab Wearable absorbent art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7716A (ko) * 2001-04-02 2002-10-14 일렉트로넷 (주) 용변 자동 감지장치
KR20040049693A (ko) * 2002-12-06 2004-06-12 손계중 다중 무선방식을 이용한 기저귀 교체시기 표시장치
KR100949929B1 (ko) 2007-10-23 2010-03-30 고대환 기저귀에 탈부착 가능한 대소변 감지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7716A (ko) * 2001-04-02 2002-10-14 일렉트로넷 (주) 용변 자동 감지장치
KR20040049693A (ko) * 2002-12-06 2004-06-12 손계중 다중 무선방식을 이용한 기저귀 교체시기 표시장치
KR100949929B1 (ko) 2007-10-23 2010-03-30 고대환 기저귀에 탈부착 가능한 대소변 감지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5854A1 (ko) * 2018-05-24 2019-11-2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소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및 용변 감지 장치
KR20190134462A (ko) * 2018-05-24 2019-12-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소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및 용변 감지 장치
KR102252697B1 (ko) 2018-05-24 2021-05-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소변 감지 기능을 갖는 기저귀, 기저귀용 용변 감지 시트 및 용변 감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008A (ko) 2011-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85811B1 (en) Urine-detection device with adhesive tape and emitter sensor
EP2944299B1 (en) A sensor, an incontinence garment, and a method for activating an incontinence garment
CN106510960B (zh) 智能护理耗材及具有其的生理监控装置
US6097297A (en) Wetness awareness training device
JP6545673B2 (ja) おむつ内の尿の量を測定し、存在する大便を検出するためのシステム
EP2451413B1 (en) An ostomy appliance with a leakage indicator
KR101681514B1 (ko) 기저귀 알람 및 아기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JP2007501664A (ja) 人体の状態を監視するための装置
TW201130468A (en) Defecation and urination discrimination device
WO2011030114A1 (en) Garment with moisture triggered alarm
CN101336857A (zh) 一次性电子感湿尿布及可分离再用的尿湿报警器装置
US10928344B2 (en) Slotted sensor for detection of moisture in a diaper
CN204169990U (zh) 用于尿裤环境温湿度及尿湿检测的智能设备
KR101557692B1 (ko) 기저귀 알람 시스템
EP3143975B1 (en) Smart nursing consumable, rollable sensor module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4091418B (zh) 一种婴儿尿湿检测提醒***
KR101289747B1 (ko) 대소변 감지기능 갖는 기능성 기저귀
KR100949929B1 (ko) 기저귀에 탈부착 가능한 대소변 감지기
KR101125370B1 (ko) 대소변 배출 표시 기능이 구비된 일회용 기저귀
JP3178797U (ja) 使い捨ておむつの排便、排尿検知装置
KR20160022183A (ko) 흡수용품의 실시간 누설 감지장치 및 실시간 누설 감지방법
KR101640877B1 (ko) 다수의 접촉 위치를 감지하는 대소변 감지 센서
WO2019216500A1 (ko) 전기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대소변 감지 기저귀 및 대소변 감지 시스템
CN105326607A (zh) 用于尿裤环境温湿度及尿湿检测的智能设备和方法
CN207118966U (zh) 一种尿布更换提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