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6306B1 -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또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또는 이소앙구스톤 a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또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또는 이소앙구스톤 a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6306B1
KR101276306B1 KR1020120087736A KR20120087736A KR101276306B1 KR 101276306 B1 KR101276306 B1 KR 101276306B1 KR 1020120087736 A KR1020120087736 A KR 1020120087736A KR 20120087736 A KR20120087736 A KR 20120087736A KR 101276306 B1 KR101276306 B1 KR 101276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hydrogliasperin
dehydroglyasperin
skin whitening
isoangustone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7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원
강남주
김영아
김지혜
임순성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87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63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또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또는 이소앙구스톤 A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인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억제하고, 멜라닌 생성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므로,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또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또는 이소앙구스톤 A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Skin whitening composition containing dehydroglyasperin C, dehydroglyasperin D or isoangustone A}
본 발명은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dehydroglyasperin) C 또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dehydroglyasperin) D 또는 이소앙구스톤(isoangustone) A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삶의 질이 향상되고 평균 수명이 늘어나면서 아름답게 나이를 먹는 것에 대한 욕구가 강해졌으며, 외적 요인이 사회생활의 중요한 경쟁력으로 인식되면서 피부에 대한 관심도 증대되었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기능성 화장품 분야의 시장 규모도 확대되고 있는데, 특히 천연물을 활용한 기능성 화장품 연구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백옥같은 얼굴은 오래전부터 미의 기준으로 간주되어 왔으며, 피부 미용에 있어 '미백'은 많은 여성들이 가장 신경 쓰는 부분 중 하나이다.
인체의 피부색은 일반적으로 멜라닌, 산화-환원 헤모글로빈, 카로틴, 멜라노이드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 중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멜라닌이다. 멜라닌은 표피의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노사이트(melanocyte) 내 멜라노좀(melanosome)에서 만들어진다. 피부가 자외선을 받게 되면 티로신(tyrosine)이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라는 효소에 의해 산화되어 도파(DOPA, 3,4-dihydro xyphenylalanine)가 생성된다. 이것이 다시 산화되어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전환되고, 도파퀴논은 비효소적인 산화반응을 거쳐 피부색소 침착 현상의 원인이 되는 멜라닌을 형성한다.
멜라닌은 자외선을 차단하여 진피 이하의 피부 기관을 보호해 주는 동시에, 피부 생체 내에 생겨난 자유 라디칼 등에 의한 피부 내 단백질과 유전자들의 손상을 보호해 주는 유용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멜라닌이 필요 이상으로 많이 생기게 되면 피부 노화나 기미, 주근깨 등과 같은 과색소침착증을 유발하며 피부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미용욕구 충족뿐만 아니라 피부 건강 유지 및 피부 질환 치료를 위해서도 과도한 멜라닌의 생성은 억제되어야 한다.
멜라닌의 합성을 억제하는 방법으로는 적절한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한 화장료를 사용하여 자외선에 대한 노출을 방지 또는 감소시키거나, 멜라닌 합성 세포인 멜라노사이트의 세포활성을 저해시키는 방법,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는 방법 등이 있다. 하지만, 현재 티로시나아제의 억제제로 개발되어 있는 알부틴(arbutin), 코직산(5-hydroxy-2-hydormethyl-v-pyrone),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등의 물질들은 낮은 저해활성 및 물질 자체의 불안정성, 그리고 피부에 대한 독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피부 독성이 없고 안정하며 멜라닌 생성억제효과가 높은 천연의 저해물질이 필요한 실정이다.
최근에는 천연물, 특히 식물 중에서 미백 활성 성분을 찾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며, 다수의 식물 추출물 및 생약재 추출물 등이 티로시나제에 작용하여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러나, 이들 역시 안전성, 변색 가능성 등의 측면에서 화장품 또는 의약품에 유효 농도 이상으로 첨가하는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활성 유효 성분 및 이들의 효능이 명확히 규명되어 있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감초 추출물의 유효 성분에 대해 연구하던 중, 감초 추출물에서 분리한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또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또는 이소앙구스톤 A가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고 멜라닌 생성을 저해한다는 사실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4-352697호 (공개일자: 2004. 12. 16)에는, "티로시나제 발현 억제제"로서, "죽순 또는 감초 뿌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티로시나제 발현 억제제"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피부 미백 효과가 있는 천연활성물질을 새롭게 발굴하여, 이를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로 개발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제1형태로,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64127748-pat00001
또한, 본 발명은 제2형태로,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2]
Figure 112012064127748-pat00002
또한, 본 발명은 제3형태로, 하기 화학식 3의 구조를 갖는 이소앙구스톤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3]
Figure 112012064127748-pat00003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제1형태 내지 제3형태에 있어서, 상기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또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또는 이소앙구스톤 A는, 일 예로 감초 유래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제1형태 내지 제3형태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 미백 효과가 있는 생리활성물질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감초에 함유되어 있는 파이토케미칼(phytochemical)인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또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또는 이소앙구스톤 A에 주목하게 되었다.
플라보노이드(flavonoid)는 꽃, 잎, 줄기 또는 과실 등 식물의 여러 부위에 함유되어 있는 천연의 항균 물질로서, 외부 자극으로부터 식물을 보호하고 색소를 형성하게 하는 등의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사람에게 있어 항산화성, 항균성, 항바이러스성, 항암성과 같은 생리 활성을 나타낸다(Havsteen,B.H. (2002) The biochemistry and medical significance of the flavonoids. Parmacol Ther 96, 67-202.). 감초는 이러한 플라보노이드(flavonoid)계 화합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데, 그 함량은 약 5.5% 정도이고(Kim,E.Y. et al .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감초에 존재하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이소앙구스톤 A는 프레닐화된 플라보노이드(prenylated flavonoid)로, 플라보노이드의 하위에 속한다. 이소프렌(isopren) 구조를 포함한 프레닐화된 플라보노이드는 식물성 에스트로젠으로 작용하거나 항산화성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Dufall,K.G. et al . (2003) Antioxidant activity of prenylated flavonoids from the West African medicinal plant Dorstenia mannii. J Ethnopharmacol. 67-72.).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이소앙구스톤 A는 건조된 감초 뿌리를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를 용매로 하여 추출한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해 분리 및 정제할 수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이소앙구스톤 A의 주된 생리기능은 항당뇨작용으로, 마우스에서 PPAR-(peroxisome proliferation activated receptor)의 경로를 활성화하여 내당능을 향상시키고 혈당 수치를 낮추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uroda,M. et al . (2003) Phenolics with PPAR-gamma ligand-binding activity obtained from licorice (Glycyrrhiza uralensis roots) and ameliorative effects of glycyrin on genetically diabetic KK-A(y) mice. Bioorg Med Chem Lett. 4267-72.). 하지만, 이 등의 논문에서는, 혈액 중의 포도당(glucose)을 솔비톨(sorbitol)로 전환하는 효소인 알도스 리덕타제(aldose reductase)를 저해하는 데에는 낮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Lee,Y.S. et al . (2010) Aldose Reductase Inhibitory Compounds from Glycyrrhiza uralensis. Biol. Pharm. Bull. 917-921.).
한편, 이소앙구스톤 A의 경우, 전립선 암세포인 DU145와 유방암 세포인 4T1의 세포주기를 차단하고 세포자가사멸(apoptosis)의 특징적인 현상인 DNA 응축을 증가시키며, 세포자가사멸(apoptosis) 관련 단백질인 Fas, TRAIL, Mel-1S와 카스파라아제(Caspase)-8, -9, -3, -7, 폴리(ADP-리보오스) 폴리머라아제(PARP)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세포주기 관련 단백질인 CDK2, CDK4, 사이클린(cyclin) A, 사이클린(cyclin) D1의 발현과 CDK2의 활성을 감소시켜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Seon,M.R, et al . (2012) Hexane/ethanol extract of Glycyrrhiza uralensis and its active compound isoangustone A induce G1 cycle arrest in DU145 human prostate and 4T1 murine mammary cancer cells, J Nutr Biochem. 85-92.).
한편, 본 발명에서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이소앙구스톤 A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와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는데, 천연 티로시나아제 억제제인 알부틴과 비교했을 때, 더 낮은 농도에서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고, 멜라닌 생성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발명은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또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또는 이소앙구스톤 A를 미백능 발휘를 위한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최근 먹는 화장품이 크게 유행하고 있는데, 먹는 화장품이란 기존에 피부에 바르는 화장품 형태를 넓게 확장시켜 새롭게 정립한 용어으로서, 피부에 좋은 기능성 성분을 피부에 바르는 것에 만족하지 않고, 음식처럼 먹음으로써, 피부에 특정 기능성을 발휘하게 하는 식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육류, 곡류, 카페인 음료, 일반음료, 초콜렛, 빵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젤리,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성 음료, 술, 비타민 복합제 및 그 밖의 건강보조식품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것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식품 중에 첨가되는 양은 미백능 발휘를 위해 첨가되는 통상의 정도이면 좋다.
한편, 본 발명은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또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또는 이소앙구스톤 A를 미백능 발휘를 위한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장료 조성물은 특정의 제형으로 반드시 국한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고, 화장품으로 사용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제형을 다 포함하는데, 그 예로는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으로 이루어진 기초화장료 제형, 수중유형 또는 유중수형의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새도, 치크칼라 및 아이브로우펜슬류로 이루어진 색조화장료 제형 등이 있다. 화장품 중에 첨가되는 양은 미백능을 발휘하기 위해 첨가되는 통상의 정도이면 좋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또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또는 이소앙구스톤 A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인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며, 특히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의 경우, 티로시나아제 억제제인 천연 미백원료 알부틴에 비해 200배 이상의 효능을 나타내므로 피부 미백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멜라닌 생성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므로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레인 1은 무처리 대조군, 레인 2는 알부틴 200 μM 처리군, 레인 3은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0.5 μM 처리군, 레인 4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1 μM 처리군, 레인 5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0.5 μM 처리군, 레인 6은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1 μM 처리군, 레인 7은 이소앙구스톤 A 0.5 μM 처리군, 레인 8은 이소앙구스톤 A 1 μM 처리군이다.
도 2는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무처리 대조군, b는 α-MSH 처리군, c는 α-MSH와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0.5 μM 처리군, d는 α-MSH와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1 μM 처리군, e는 α-MSH와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0.5 μM 처리군, f는 α-MSH와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1 μM 처리군, g는 α-MSH와 이소앙구스톤 A 0.5 μM 처리군, i는 α-MSH와 알부틴 200 μM 처리군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에 대해 하기 실험예 및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 실험예 1: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 측정]
실험예 1에서는 멜라닌 생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티로시나아제를 이용하여 본 발명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및 이소앙구스톤 A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하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이소앙구스톤 A는 건조된 감초의 뿌리로부터 추출한 것을 사용하였다.
먼저,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제1인산칼륨(potassium phosphate monobasic)과 제2인산칼륨(potassium phosphate dibasic)을 증류수(D.W.)에 녹여 0.1 M 인산 칼륨 완충용액(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6.8)를 제조하였다. 티로시나아제에 대한 반응기질로 사용하기 위하여 L-티로신(tyrosine, Sigma, USA)을 증류수(D.W.)에 녹여 1 mM L-티로신 용액을 제조하였고, 반응 효소로 작용하는 티로시나아제(Sigma, USA)는 0.1 M 인산 칼륨 완충용액에 녹여 2,000 Unit/mL로 준비하였다.
550 μL 기준, 0.1 M 인산 칼륨 완충용액 250 μL, 티로시나아제 25 μL, 시료 25 μL, 증류수(D.W.) 225 μL를 24-웰 프레이트(well plate)에 넣고 25℃에서 10분간 혼합한 후, 1 mM L-티로신 용액을 250 μL을 첨가하여 25℃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을 정지시킨 후 반응혼합물을 96-웰 프레이트(well plate)에 150 μL씩 옮겨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 Sunrise-Basic Tecan, Austria)를 이용하여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무처리 대조군의 경우, 시료 대신 증류수를 넣어주었다. 티로시나아제 활성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 1로부터 계산하였다.
[수학식 1]
Figure 112012064127748-pat00004
측정결과 (도1),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와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가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가장 잘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소앙구스톤 A 또한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의 경우, 티로시나아제 억제제인 천연 미백원료 알부틴에 비해 200배 이상의 효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2: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측정]
실험예 2에서는 본 발명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및 이소앙구스톤 A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람 유래 멜라닌 생성 세포를 이용하여 폰타나-마손 스테이닝(Fontana-Masson staining)을 수행하였다.
감초 추출물 조성물이 α-MSH에 의한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사람 유래 멜라닌 생성 세포인 HEM-MP세포(Cascade Biologics Inc., USA)를 24-웰 프레이트(well plate)에 시딩(seeding)하고, 사람 유래 멜라닌 생성 세포 성장 보충제(Human Melanocyte Growth Supplement) 5 mL이 첨가된 미디움(Medium) 254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의 조건하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0.5, 1 μM의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이소앙구스톤 A과 200 μM의 알부틴을 함유한 배지로 교체하였고, 1시간 후 α-MSH(Sigma, USA)를 최종 농도가 100 nM이 되도록 하여 세포 배양배지에 첨가하였다. 그리고 나서 동일한 조건하에서 세포가 웰의 바닥에 약 80% 이상 찰 때까지 배양하였다. 이때, 시료와 α-MSH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를 무처리 대조군, α-MSH만 처리한 세포를 양성 대조군, α-MSH와 알부틴을 처리한 세포를 음성 대조군으로 하였다.
총 4일간 배양하여 멜라닌 생성이 완료된 시점에 배양액을 제거하고 HEM-MP세포에 함유된 멜라닌을 염색하였다. 이를 위해 PBS로 1번 세척한 후, 무수 에탄올(absolute ethanol)을 500 μL 넣어 30분간 고정시킨 다음 무수 에탄올을 제거하고 암모니아성 은 용액(ammoiacal silver solution)을 넣었다. 이를 60℃에서 30분간 염색시킨 다음, 용액을 제거하고 증류수(D.W.)로 1번 세척하였다. 0.1% 염화금(gold chloride)과 5% 티오황산나트륨(sodium thiosulfate), 핵 고속 적색 염색(nuclear fast red stain) 용액을 이용하여 한 번씩 헹궈준 후 무수 에탄올을 이용하여 탈수하였다. 탈수과정을 거친 후 현미경용 슬라이드와 커버글라스, 봉입제로 표본을 제작하였고 현미경을 이용하여 사진을 찍었다.
측정결과(도 2), 사람 유래 멜라닌 생성 세포에서,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이소앙구스톤 A에 의해, 멜라닌 생성이 저해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시예 1: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 제조]
실시예 1에서는 하기와 같이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 선식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메쉬의 분말로 준비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및 들깨 각각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후 배전 및 분쇄하여 입도 60메쉬의 분말로 준비하였다. 이후, 현미 30중량%, 율무 15중량%, 보리 20중량%, 찹쌀 9중량%, 들깨 7중량%, 검정콩 8중량%, 검정깨 7중량%,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또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또는 이소앙구스톤 A 3중량%, 영지 0.5중량% 및 지황 0.5중량%을 혼합하여 선식을 제조하였다.
(2) 츄잉껌 제조
껌 베이스 20중량%, 설탕 76.9중량%, 향료 1중량%, 물 2중량%,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또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또는 이소앙구스톤 A 0.1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츄잉껌을 제조하였다.
(3) 캔디 제조
설탕 60중량%, 물엿 39.8중량%, 향료 0.1중량%,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또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또는 이소앙구스톤 A 0.1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캔디를 제조하였다.
(4) 비스킷 제조
박력 1급 25.59중량%, 중력 1급 22.22중량%, 정백당 4.80중량%, 식염 0.73중량%, 포도당 0.78중량%, 팜쇼트닝 11.78중량%, 암모니움 1.54중량%, 중조 0.17중량%, 중아황산나트륨 0.16중량%, 쌀가루 1.45중량%, 비타민 B₁0.0001중량%, 비타민 B₂0.0001중량%, 밀크향 0.04중량%, 물 20.6998중량%, 전지분유 1.16중량%, 대용분유 0.29중량%, 제일인산칼슘 0.03중량%, 살포염 0.29중량%, 분무유 7.27중량%와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또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또는 이소앙구스톤 A 1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비스킷을 제조하였다.
(5) 건강음료 제조
꿀 0.26중량%, 치옥토산아미드 0.0002중량%, 니코틴산아미드 0.0004중량%,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0.0001중량%, 염산피리독신 0.0001중량%, 이노시톨 0.001중량%, 오르트산 0.002중량%, 물 98.7362중량%,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또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또는 이소앙구스톤 A 1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건강 음료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
실시예 2에서는 하기와 같이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 화장수의 제조
95% 에탄올 8 kg에 폴리피로리돈 0.05 kg, 올리엘알콜 0.1 kg, 폴리옥시에틸렌모노올레이트 0.2 kg, 향료 0.2 kg,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에스테르 0.1 kg, 소량의 산화방지제, 소량의 색소를 혼합 용해하였다.
한편,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또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또는 이소앙구스톤 A 0.05 kg, 글리세린 5 kg을 정제수 85.33 kg에 용해한 후, 상기에서 제조한 혼합액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2) 에센스의 제조
정제수 적당량에 산탄검 0.1 kg과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7 kg를 가하고 충분히 분산시켜 완전히 용해시킨 후, 여기에 글리세린 10.0 kg, 1,3-부틸렌글리콜 3.5 kg, 알란토인 0.05 kg, DL-판테놀 0.15 kg, 세로마틴 0.05 kg, 벤조페논-9 0.05 kg, 세라마이드 0.02 kg,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또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또는 이소앙구스톤 A 0.03 kg을 혼합하여 수상을 만들었다.
한편, 에탄올(95%) 9.0 kg에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1 kg,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0.45 kg, 초산토코페롤 0.2 kg, 메칠페닐폴리실록산 0.2 kg, 트리에탄올아민 0.17 kg, 향 0.08 kg, 색소 0.0002 kg을 모두 혼합하고 용해시켜서 알코올상을 만들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수상에 알코올상을 서서히 가하면서 아지믹서로 균일하게 교반하여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8)

  1.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3003858934-pat00005

  2.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13003858934-pat00006

  3. 하기 화학식 3의 구조를 갖는 이소앙구스톤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3]
    Figure 112013003858934-pat00007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또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또는 이소앙구스톤 A는,
    감초 유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5.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3003858934-pat00010

  6.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13003858934-pat00011

  7. 하기 화학식 3의 구조를 갖는 이소앙구스톤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
    [화학식 3]
    Figure 112013003858934-pat00012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또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또는 이소앙구스톤 A는,
    감초 유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
KR1020120087736A 2012-08-10 2012-08-10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또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또는 이소앙구스톤 a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276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736A KR101276306B1 (ko) 2012-08-10 2012-08-10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또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또는 이소앙구스톤 a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736A KR101276306B1 (ko) 2012-08-10 2012-08-10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또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또는 이소앙구스톤 a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6306B1 true KR101276306B1 (ko) 2013-06-18

Family

ID=48867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7736A KR101276306B1 (ko) 2012-08-10 2012-08-10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또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또는 이소앙구스톤 a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630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0767A (ko) * 2008-11-06 2010-05-1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데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nad(p)h:퀴논 산화환원효소 유도용 조성물 및 그 용도
KR101101296B1 (ko) 2009-11-09 2012-01-04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초로부터 항산화 물질의 분리방법
KR20120092474A (ko) * 2011-02-11 2012-08-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데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디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0767A (ko) * 2008-11-06 2010-05-1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데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nad(p)h:퀴논 산화환원효소 유도용 조성물 및 그 용도
KR101101296B1 (ko) 2009-11-09 2012-01-04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초로부터 항산화 물질의 분리방법
KR20120092474A (ko) * 2011-02-11 2012-08-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데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디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Separation Science, Vol. 33(4-5), pp. 664-671 (2010.1.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532560A (ja) 鉄皮石斛(デンドロビウム・カンディダム)花の抽出物を含む化粧料組成物
KR20150139688A (ko) 미백 활성을 갖는 당유자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36294B1 (ko) 애기수영 또는 산수국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또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824770B1 (ko) 적하수오 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957847B1 (ko) 흑노호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60110716A (ko) 멜라닌 합성 촉진용 조성물
KR101851284B1 (ko) 들깻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JP2007261987A (ja) チロシナーゼ阻害剤、その製法およびその応用
KR101111533B1 (ko) 보이차 추출물, 흑마늘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76670B1 (ko)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85292A (ko) 덩굴차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지페노사이드를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또는 발모제 조성물
KR101705847B1 (ko) 보리 추출물 또는 에리오딕티올을 포함하는 콜라겐 분해 방지 또는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
KR100959393B1 (ko) 오가피로부터 추출된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45529A (ko) 대추씨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2612017B1 (ko)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56059B1 (ko) 자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11916B1 (ko)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76306B1 (ko)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c 또는 디하이드로글리아스페린 d 또는 이소앙구스톤 a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093901B1 (ko) 조직배양한 금선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조직배양한 금선련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7013740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924446B1 (ko) 포제를 이용한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973860B1 (ko) 발아 메밀의 루틴 함량 증진 방법
KR102489463B1 (ko) 마이크로파 처리된 황칠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695781B1 (ko) 층꽃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190120860A (ko) 무화과잎 주정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