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197B1 -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 - Google Patents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197B1
KR101274197B1 KR1020110006175A KR20110006175A KR101274197B1 KR 101274197 B1 KR101274197 B1 KR 101274197B1 KR 1020110006175 A KR1020110006175 A KR 1020110006175A KR 20110006175 A KR20110006175 A KR 20110006175A KR 101274197 B1 KR101274197 B1 KR 101274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ope
driving
housing
emergency esc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6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4876A (ko
Inventor
왕종문
Original Assignee
왕종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종문 filed Critical 왕종문
Priority to KR1020110006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4197B1/ko
Publication of KR20120084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4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4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s sliding on the ro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08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 A62B1/1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mechanically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6Life-saving ropes or bel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상탈출용 완강기에 있어서, 로프가 삽입되어 상하이동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로프와 밀착되는 롤러부; 상기 롤러부의 반대편에 구비되어 상기 로프와 밀착되는 구동부; 상기 롤러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로프와 이격 및 밀착하도록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구동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완강기의 하강속도를 제어하는 브레이크부;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는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비된 손잡이부; 및 상기 구동부 및 브레이크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이 로프를 타고 상승할 있도록 하는 상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Decending life line for emergency escape}
본 발명은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옥상에서 지상으로 늘어진 로프에 장착하여 비상시, 상승 및 강하를 통해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상탈출용 완강기는 다층으로 이루어진 건물에서 화재 등과 같은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건물 내부에 있는 사람이 건물 외부로 신속히 탈출하기 위한 기구이다.
종래의 비상탈출용 완강기는 화재 및 기타 비상시에 건물 창문의 상부 내벽에 구비된 걸고리에 완강기 본체를 고정시키고, 완강기 본체 내에 감겨진 와이어의 단부에 구비된 밸트를 사용자가 허리에 착용하고 창문으로 빠져나와 공중에 매달리면 사용자의 무게 하중에 의해 완강기 본체에 감겨진 와이어가 풀리면서 하강하여 위험으로부터 탈출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비상탈출용 완강기는 하강을 통해 위험으로부터 탈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지만, 건물의 중간층에 화재가 발생하여 창문을 통해 건물 외벽으로 불길이 오르고 있는 경우에는 건물의 고층에 위치한 사람은 완강기를 이용하여 탈출할 수 없는 상황이 된다.
이때, 고층에 위치한 사람은 완강기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완강기를 이용하여 다른 층으로 탈출을 할 경우, 완강기의 이용도중 멈출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하강속도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건물의 옥상에서 지상으로 늘어진 로프에 장착하여 비상시 상승 및 강하를 통해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완강기를 통해 건물의 외부로 탈출하여 하강하는 도중에 하강속도를 조절하고 멈출 수 있도록 하는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비상탈출용 완강기에 있어서, 로프가 삽입되어 상하이동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로프와 밀착되는 롤러부; 상기 롤러부의 반대편에 구비되어 상기 로프와 밀착되는 구동부; 상기 롤러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로프와 이격 및 밀착하도록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구동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완강기의 하강속도를 제어하는 브레이크부;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는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구동부 및 브레이크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이 로프를 타고 상승할 있도록 하는 상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롤러부는 일측이 개구되어 개구부가 형성된 롤러하우징; 상기 개구부의 외부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로프와 밀착되는 롤러; 및 상기 롤러하우징의 일측에 돌출되어 일단이 상기 조절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외주면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회전 가능한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의 양측에 구비되어 회전 가능한 지지롤러; 상기 결합홈과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롤러와 지지롤러의 외주면을 감싸며 일체로 회전하는 체인; 및 상기 구동롤러의 중심부는 상기 상승부재가 결합되도록 하는 제1구동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롤러부의 연결부와 연결되도록 양측에 연결공이 형성된 연결핀; 상기 연결공과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레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부는 상기 구동부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기어; 상기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에 구비되어 드럼의 회전에 발생하는 원심력에 드럼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패드; 및 상기 드럼의 중심부는 상기 상승부재가 결합되도록 하는 제2구동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일측에 형성되어 상하 회전 가능한 제1손잡이; 상기 제1손잡이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고정되는 제2손잡이; 상기 제1손잡이와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하여 로프를 압박하는 압박부가 형성된 압박부재; 및 상기 압박부재 반대편에 구비되어 압박되는 로프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승부재는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되어 회전하는 톱니부; 상기 톱니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톱니부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스톱퍼; 상기 톱니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구동바; 및 상기 톱니부와 구동바를 회전시키는 구동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건물의 옥상에서 지상으로 늘어진 로프에 장착하여 비상시 강하를 통해 탈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물의 저층에서 고층으로 상승하여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의 외부로 탈출하여 하강하는 도중에 하강속도를 조절 및 일정속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탈출 중간에 멈출 수 있어 탈출하고자 하는 장소로 안전하게 탈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의 정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의 사용예에 따른 정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의 체인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의 브레이크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의 상승부재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의 정면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의 사용예에 따른 정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의 체인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의 브레이크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의 상승부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옥상에서 지상으로 늘어진 로프(R)가 중앙측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하우징(100), 하우징(100)의 내부 일측에 로프(R)의 일면을 지지하도록 밀착 구비된 롤러부(110), 롤러부(110)가 로프(R)와 이격되거나 밀착되도록 조절하는 조절부(150), 롤러부(110)의 반대편에 구비되며 로프(R)와 밀착되어 회전하는 구동부(120), 구동부(120)와 연결되어 구동부(120)의 회전속도를 제한하는 브레이크부(160), 브레이크부(160)와 연결되어 구동부(120)의 회전을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여 완강기가 상승할 수 있도록 하는 상승부재(180) 및 하우징(100)의 하단에 구비되어 손으로 잡고 탈출할 수 있는 손잡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00)는 중심부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되어 로프(R)가 구비되도록 형성된 관통부(102)와,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롤러부(110)와 결합되도록 돌출형성된 가이드(104)와, 하우징(100)의 일측 외벽에 조절부(150)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회전부(108) 및 하우징(100)의 하측에는 관통부(102)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손잡이부(170)가 일체로 형성된다.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로프(R)를 중심으로 그 일측에는 롤러부(110)가 구비되고, 롤러부(110)와 대향하는 타측에는 구동부(120)가 구비된다.
롤러부(110)는 일측이 개구되어 개구부(119)가 형성된 롤러하우징(112)와, 개구부(119)의 외부로 돌출되며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롤러(114)와, 개구부(119)의 이면에는 후술할 조절부(150)와 연결되는 연결부(116) 및 하우징(100)의 가이드(104)가 삽입되어 하우징(100)에 고정되는 삽입홈(118)이 형성된다.
롤러부(110)의 롤러(114)는 하우징(100)의 관통부(102)에 삽입된 로프(R)와 밀착되어 완강기가 상하이동시 회전하는 것으로, 이러한 롤러(114)는 상하방향으로 다수개가 일직선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로프(R)와 맞닿는 롤러(114)의 외주면은 롤러(114)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로프(R)를 감싸듯 밀착함으로써, 로프(R)와 롤러(114)간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롤러부(110)의 삽입홈(118)와 가이드(104) 사이에는 일단이 하우징(100)의 내벽에 밀착되고, 타단이 삽입홈(118)의 단부에 밀착되어 탄성력에 의해 롤러(118)를 로프(R)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106)가 구비된다.
조절부(150)는 상하회전 가능하며 일측에 레버(152)가 돌출형성되고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부재(151)와, 회전부재(151)의 일측에 하우징(100)의 회전부(108)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끼움부(153)와, 회전부재(151)와 롤러부(110)에 구성된 연결부(116)를 연결하는 연결핀(154) 및 회전부재(151)와 연결부(116)가 연결핀(15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재(156)가 구성된다.
이와 같은 조절부(150)는 연결핀(154)의 양측에 결합부재(156)가 관통하는 연결공(158)이 형성되고, 이 연결핀(154)의 일측 연결공(158)은 회전부재(151)에 형성된 결합공(111)과 동일 중심선상에 의치하며, 연결핀(154)의 타측 연결공(158)은 연결부(116)에 형성된 결합공(111)과 동일 중심선상에 위치하여 각각 결합부재(156)가 삽입되며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조절부(150)는 레버(152)를 상방으로 회전시, 회전부재(151)의 끼움부(153)를 기준으로 회전하며, 롤러부(110)는 하향이동하는 연결핀(154)과의 링크작동에 의해 하우징(100)의 중심부로부터 하우징(100)의 측면으로 후퇴하며 롤러(114)와 로프(R)는 이격되고, 탄성부재(106)는 수축된다.
롤러부(110)가 후퇴한 상태에서, 로프(R)는 하우징(100)의 관통부(102)에 삽입되어 롤러부(110)와 구동부(120)의 사이에 위치하고, 레버(152)를 하방으로 회전시켜 내리면 롤러부(110)는 연결핀(154)과의 링크작동과 수축하였다가 팽창하는 탄성부재(106)의 팽창력에 의해 롤러부(110)는 하우징(100)의 측면에서 중심부로 이동되고 롤러(114)는 로프(R)와 밀착된다.
구동부(120)는 로프(R)를 중심으로 롤러부(110)의 반대편에 구비되는 것으로, 회전가능한 구동롤러(140)와, 구동롤러(140)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위치하는 지지롤러(146) 및 구동롤러(140)와 지지롤러(146)를 감싸며 함께 회전하는 체인(130)으로 구성된다.
구동롤러(140)의 중심부에는 구동롤러(140)를 외력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도록 후술할 상승부재(180)의 구동바(188)와 결합되는 제1구동공(142) 및 체인(130)에 형성된 결합부(134)와 결합되는 결합홈(144)으로 구성된다.
제1구동공(142)은 상승부재(180)의 구동바(188)와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 형성되어 구동바(188)의 회전에 의해 구동롤러(140)가 회전하는 것으로, 제1구동공(142)과 구동바(188)는 4각형으로 이루어지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홈(144)은 구동롤러(140)의 외주면에 내입되며 형성되고, 체인(130)의 결합부(134)와 결합되어 체인(13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한다.
지지롤러(146)는 체인(13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며, 구동롤러(140)의 양측에 구비되어 체인(130)을 지지하는 것으로, 지지롤러(146)의 외주면은 체인(130)의 내주면과 맞닿게 될 때, 체인(130)의 결합부(134)에 걸림 없이 회전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체인(130)은 로프(R)와 밀착되도록 체인(130)의 외주면은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체인(130)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돌기(132)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돌기(132)는 완강기를 타고 하강하면서 로프(R)와 체인(130) 사이에 발생하는 미끄럼(슬립)현상으로 줄여 안전하게 하강하기 위한 것이다.
브레이크부(160)는 구동롤러(140)와 결합되어 구동롤러(14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기어(166)와, 기어(166)와 맞물려 회전하는 드럼기어(161)와 회전결합되며 하우징(100)에 고정결합되는 드럼(162)과, 드럼(162)의 내부에는 드럼기어(161)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체(163)와, 회전체(163)의 양측에 구비되어 회전체(163)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드럼(162)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패드(164) 및 회전체(163)의 중심부에는 후술할 상승부재(180)의 구동바(188)와 결합하는 제2구동공(168)으로 구성된다.
즉, 로프(R)와 결합된 완강기를 타고 하강하면, 로프(R)와 밀착된 체인(130)은 회전하고, 체인(130)의 회전에 따라 구동롤러(140), 기어(166), 드럼기어(161) 및 회전체(163)가 함께 회전한다. 이때, 완강기의 하강속도가 빨라져 일정속도 이상이 되면, 회전체(163)의 양측에 구비된 패드(164)는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드럼(162)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마찰을 발생시키고, 이 마찰로 인해 완강기는 일정한 하강속도를 유지하며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는 것이다.
손잡이부(170)는 하우징(100)의 하단에 구비되어 로프(R)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제1손잡이(172) 및 제2손잡이(174)와, 제1손잡이(172)와 연결부재(178)로 연결되어 제1손잡이(172)가 상하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는 압박부재(176)와, 압박부재(176)가 회전하며 로프(R)를 압박하도록 압박부재(176)의 일측에 돌출형성된 압박부(171), 압박부재(176)가 압박하는 로프(R)를 지지하는 지지부(173) 및 엑스반도(미도시)를 걸 수 있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는 걸이부(175)로 구성된다.
제1손잡이(172) 상방으로 올리면, 연결부재(178)에 의해 압박부재(176)는 회전하고, 압박부재(176)는 회전하며 압박부(171)는 로프(R)를 압박한다. 압박되는 로프(R)는 지지부(173)에 의해 지지되면서 압박부(171)에 압박되어 더 이상 완강기가 하강하지 못하고, 로프(R)의 중간에 정지한다.
또한, 완강기를 이용하여 탈출하는 이용자는 제1손잡이(172)와 제2손잡이(174)를 잡게 될 때, 손으로 쥐는 악력에 따라 제1손잡이(172)와 제2손잡이(174)는 로프(R)를 압박하여 완강기의 하강속도를 임의로 조절을 할 수 있다.
상승부재(180)는 구동롤러(140)와 드럼(162)에 구비되어 완강기가 로프(R)를 타고 상승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구동롤러(140)의 제1구동공(142) 및 드럼(162)의 제2구동공(168)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동바(188)와, 구동바(188)와 함께 회전하며 외주면에 다수개의 톱니(184)가 형성되는 톱니부(182)와, 톱니(184)와 톱니(184) 사이에 삽입되어 톱니부(182)가 일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스톱퍼(186) 및 구동바(188)와 톱니부(182)를 회전시키는 구동로프(189)로 구성된다.
즉, 구동로프(189)를 잡아당기면 톱니부(182)와 구동바(188)는 회전하고, 회전하는 톱니부(182)는 톱니(184)와 톱니(184) 사이에 스톱퍼(186)가 삽입되어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인 역방향으로는 회전하지 못한다. 이로써, 구동로프(1898)를 일측에서만 잡아당길 수 있으며, 구동로프(189)가 잡아 당겨지면, 톱니부(182) 및 구동바(188)는 일방향으로만 회전한다.
한편, 상승부재(180)가 구동롤러(140) 및 회전체(163)와 결합되어 구동로프(189)를 잡아당기면, 구동롤러(140) 및 회전체(163)는 회전하고, 이 회전에 의해 체인(130)도 회전하여 완강기는 로프를 타고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상승부재(180)가 구동롤러(140)와 결합하면 구동롤러(140)를 직접 회전시키는 것으로 완강기의 무게를 들어올리는 힘과 같은 힘을 가해야 하고, 상승부재(180)가 회전체(163)와 결합하면 구동롤러(140)는 기어로 결합되어 회전하기 때문에 기어비에 의해 약 1/5의 힘을 가해 완강기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완강기를 손잡이부(170)의 제1손잡이(172)를 상방으로 올려 완강기를 로프(R)의 중간에 중지시키고, 상승부재(180)를 구동롤러(140) 및 회전체(163)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동로프(189)를 잡아당기면 체인(130), 구동롤러(140), 드럼기어(161), 회전체(163) 및 기어(166)는 완강기가 하강할 때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완강기는 상승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하우징 102: 관통부
104: 가이드 106: 탄성부재
108: 회전부 110: 롤러부
112: 롤러하우징 114: 롤러
116: 연결부 118: 삽입홈
120: 구동부 130: 체인
132: 돌기 134: 결합부
140: 구동롤러 142: 제1구동공
144: 결합홈 146:지지롤러
150: 조절부 151: 회전부재
152: 레버 153: 끼움부
154: 연결핀 156: 결합재
158: 연결공 160: 브레이크부
161: 드럼기어 162: 드럼
163: 회전체 164: 패드
166: 기어 168: 제2구동공
170:손잡이부 171: 압박부
172: 제1손잡이 173: 지지부
174: 제2손잡이 176: 압박부재
180: 상승부재 182: 톱니부
184: 톱니 186: 스톱퍼
188: 구동바 189: 구동로프

Claims (11)

  1. 비상탈출용 완강기에 있어서,
    로프가 삽입되어 상하이동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로프와 밀착되는 롤러부; 상기 롤러부의 반대편에 구비되어 상기 로프와 밀착되는 구동부; 상기 롤러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로프와 이격 및 밀착하도록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구동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완강기의 하강속도를 제어하는 브레이크부;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는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구동부 및 브레이크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이 로프를 타고 상승할 있도록 하는 상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는
    일측이 개구되어 개구부가 형성된 롤러하우징;
    상기 개구부의 외부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로프와 밀착되며, 로프와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롤러의 외주면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내입형성된 롤러;
    상기 롤러하우징의 일측에 돌출되어 일단이 상기 조절부와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롤러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탄성력에 의해 롤러하우징을 가압하여 로프와 롤러를 서로 밀착시키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외주면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회전 가능한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의 양측에 구비되어 회전 가능한 지지롤러;
    상기 결합홈과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롤러와 지지롤러의 외주면을 감싸며 일체로 회전하는 체인; 및
    상기 구동롤러의 중심부는 상기 상승부재가 결합되도록 하는 제1구동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의 외주면에는 상기 로프와 밀착될 때, 미끄럼 현상을 방지하도록 다수개의 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롤러부의 연결부와 연결되도록 양측에 연결공이 형성된 연결핀;
    상기 연결공과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레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를 상향회전시키면 롤러부의 연결핀의 링크작동에 의해 로프와 이격되고, 하향회전시키면 롤러부는 로프와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부는
    상기 구동부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기어;
    상기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에 구비되어 드럼의 회전에 발생하는 원심력에 드럼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패드; 및
    상기 드럼의 중심부는 상기 상승부재가 결합되도록 하는 제2구동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일측에 형성되어 상하 회전 가능한 제1손잡이;
    상기 제1손잡이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고정되는 제2손잡이;
    상기 제1손잡이와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하여 로프를 압박하는 압박부가 형성된 압박부재; 및
    상기 압박부재 반대편에 구비되어 압박되는 로프를 지지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부재는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되어 회전하는 톱니부;
    상기 톱니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톱니부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스톱퍼;
    상기 톱니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구동바; 및
    상기 톱니부와 구동바를 회전시키는 구동로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
KR1020110006175A 2011-01-21 2011-01-21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 KR101274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175A KR101274197B1 (ko) 2011-01-21 2011-01-21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175A KR101274197B1 (ko) 2011-01-21 2011-01-21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876A KR20120084876A (ko) 2012-07-31
KR101274197B1 true KR101274197B1 (ko) 2013-06-18

Family

ID=46715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6175A KR101274197B1 (ko) 2011-01-21 2011-01-21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41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47714A (zh) * 2014-06-23 2014-11-19 张立春 楼房火灾地震救生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36453A (zh) * 2013-09-22 2015-03-25 黄明良 自控刹车缓降逃生器
CN110236243B (zh) * 2019-06-18 2020-11-06 长沙宁湖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设置加压装置和气囊点火装置的安全马甲
CN110279950B (zh) * 2019-07-26 2024-04-26 王守正 一种高空可控速缓速下降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583A (ko) * 2001-06-21 2002-12-31 김만국 피난장치
US20030079939A1 (en) * 2001-10-31 2003-05-01 Xiaoling Wang Easy and safe descending device
KR20040062907A (ko) * 2004-05-25 2004-07-09 고재원 이중 브레이크장치를 장착한 안전 로프용 하강기
KR100851027B1 (ko) * 2007-08-02 2008-08-12 왕종문 비상탈출용 완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583A (ko) * 2001-06-21 2002-12-31 김만국 피난장치
US20030079939A1 (en) * 2001-10-31 2003-05-01 Xiaoling Wang Easy and safe descending device
KR20040062907A (ko) * 2004-05-25 2004-07-09 고재원 이중 브레이크장치를 장착한 안전 로프용 하강기
KR100851027B1 (ko) * 2007-08-02 2008-08-12 왕종문 비상탈출용 완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47714A (zh) * 2014-06-23 2014-11-19 张立春 楼房火灾地震救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876A (ko) 2012-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4197B1 (ko) 상하이동이 가능한 비상탈출용 완강기
KR100851027B1 (ko) 비상탈출용 완강기
KR101117277B1 (ko) 비상탈출장치
ES2655249T3 (es) Dispositivo para evacuación de individuos
KR101032877B1 (ko) 비상탈출장치
KR200455932Y1 (ko) 체중에 따른 하강속도를 자동 조절하는 완강기
JP2006241693A (ja) ブラインド
KR101026277B1 (ko) 고층건물용 비상 완강장치
KR101700447B1 (ko) 건축용 소방용 완강기 거치대 절첩장치
EP0876987A1 (en) Outside up-down elevator
KR20090089943A (ko) 완강기 및 이를 구비하는 비상탈출장치
KR102321581B1 (ko) 발판의 추락 방지를 제공하는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CN210472816U (zh) 火灾用逃生缓降器
KR20170089692A (ko) 전동식 건물 비상 탈출 장치
CN101966371B (zh) 机械缓降器
CN212642555U (zh) 一种带有快速升降机构的消防梯
KR102205499B1 (ko)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KR20060114874A (ko) 완강기
KR102020219B1 (ko) 스윙-아웃-다운 방식 비상탈출장치
CN208229228U (zh) 一种高楼层快速逃生设备
KR101355074B1 (ko)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CN112370670A (zh) 一种火灾救生用高楼火灾救生机的辅助安装装置
KR200391146Y1 (ko) 완강기
KR101059416B1 (ko) 블라인드 승강 구동장치
KR200258475Y1 (ko) 보조레일이 구비된 사다리 소방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