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0023B1 - 토사 침전조 - Google Patents

토사 침전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0023B1
KR101270023B1 KR1020110115142A KR20110115142A KR101270023B1 KR 101270023 B1 KR101270023 B1 KR 101270023B1 KR 1020110115142 A KR1020110115142 A KR 1020110115142A KR 20110115142 A KR20110115142 A KR 20110115142A KR 101270023 B1 KR101270023 B1 KR 101270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dimentation tank
soil
sedimentation
moving
inflow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5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0020A (ko
Inventor
이명훈
최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Priority to KR1020110115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023B1/ko
Publication of KR20130050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0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01D21/2455Convey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9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 B01D21/0042Baffles or guide p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1/007Processes including a sedimenta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침전조는 토사와 유입수를 분리하는 다수개의 격벽을 구비하며, 침전된 토사를 퇴적부로 이동시키는 제1 컨베이어 벨트를 침전조 하부에 구비한 제1 토사 침전조와, 유입수로부터 토석류를 1차 분리하는 타공판을 입수구에 하단에 구비하며, 상기 타공판을 통과한 유입수에서 토사를 2차 분리하는 다수개의 경사판을 내부공간에 구비하고, 배수구에 장착되어 토사와 분리된 유입수를 정수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여과부재를 구비하는 제2 토사 침전조, 이중관의 형태로써, 창천(蒼天)시 유입되는 유입수를 상기 제1 토사 침전조으로 이동시키는 반원형태의 내측관과, 강우가 시작되어 상기 내측관을 넘치는 대량의 유입수가 발생하면, 발생된 유입수를 상기 제2 토사 침전조로 이동시키는 외측관으로 이루어지는 유입관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하천으로 유입되는 토사를 침전조에서 쉽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하천에서 토사를 제거하는 것보다 소요되는 비용 및 인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점오염물질을 포함된 강수를 1차 정화함으로써, 정수에 필요한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2개의 침전조를 사용하여 강수량의 증가시 유연하게 대처함으로써, 수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토사 침전조{Sand Settling Tank}
본 발명은 토사 침전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격벽 및 경사판을 구비한 토사 침전조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급격한 산업화로 인하여 많은 공장이 세워지고, 도시화에 따른 인구집중 현상으로 인하여 많은 폐수를 발생하게 되었다. 그러나 자연정화가 한계점에 다다르자 수질오염이 심각하게 됐다. 그래서 정부는 환경에 대한 중요성, 특히 수질오염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법을 제정하여 하수처리장 확충 등의 수질개선을 위해 많은 노력하고 있으며, 크고 작은 하천을 정비하여 수질오염 개선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하천에 토사가 쌓이는 경우 중장비를 이용하여 하천의 토사를 퍼내어 하천의 깊이를 유지하고 하천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하천에서 직접 토사를 제거하는 방식은 큰 하천의 경우 많은 시간 및 경비가 소모되어 왔다. 이에 하천으로의 토사 유입을 미연에 방지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종래의 발명(등록번호 10-0646704)으로부터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전조에 대한 측면 단면 구조도이다. 도1을 종래발명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경사판 침전조는 경사판을 형성시키는 파형 경사판(10)이 적층되는 프레임(25)에 상기 파형 경사판(10)의 적층 경사를 안내하는 적층 가이드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 수단은 침전조 저부에 형성된 톱니형 프레임(25)이다. 상기 침전조(20)의 저부에 상기 파형 경사판(10)을 지지하기 위해 세워지는 프레임을 톱니형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톱니형 프레임(25)의 각 톱니산 당 하나의 파형 경사판(10)이 거치 되도록 한다. 상기 톱니형 프레임(25)에 의하여 상기 파형 경사판을 각 톱니산에 거치하는 것만으로도 자연스럽게 경사 적층이 이루어지므로, 경사판의 조립이 용이하고 보수시 교환이 쉬워진다. 상기 톱니형 프레임은 경사판 내부에서 유수의 흐름에 방해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위와 같이 종래의 발명은 강수량이 많을 경우 침전조 내부에서 오버플로우(overflow)가 발생되어 그 본래의 목적을 행할 수가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경사판을 통하여 고액분리는 효율적이나 침전된 토사를 제거하기 위하여 경사판을 해체 후 토사 제거 작업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종래의 발명은 강수량이 많은 경우 오버플로우(overflow)되는 경우 침전조의 역할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토사 제거시 경사판을 해체해야 하기 때문에 토사 제거시 작업이 번거롭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강수시 이중관을 이용하여 오버플로우된 강수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토사 침전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사 침전조 내부에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하여 침전된 토사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토사 침전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토사와 유입수를 분리하는 다수개의 격벽을 구비하며, 침전된 토사를 퇴적부로 이동시키는 제1 컨베이어 벨트를 침전조 하부에 구비한 제1 토사 침전조와, 유입수로부터 토석류를 1차 분리하는 타공판을 입수구에 하단에 구비하며, 상기 타공판을 통과한 유입수에서 토사를 2차 분리하는 다수개의 경사판을 내부공간에 구비하고, 배수구에 장착되어 토사와 분리된 유입수를 정수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여과부재를 구비하는 제2 토사 침전조, 이중관의 형태로써, 창천(蒼天)시 유입되는 유입수를 상기 제1 토사 침전조으로 이동시키는 반원형태의 내측관과, 강우가 시작되어 상기 내측관을 넘치는 대량의 유입수가 발생하면, 발생된 유입수를 상기 제2 토사 침전조로 이동시키는 외측관으로 이루어지는 유입관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토사 침전조는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시키는 제1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토사 침전조는 침전된 토사를 퇴적부로 이동시키는 제2 컨베이어 벨트를 침전조 하부에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토사 침전조는 침전조 하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시키는 제2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경사판은 지그재그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하천으로 유입되는 토사를 침전조에서 쉽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하천에서 토사를 제거하는 것보다 소요되는 비용 및 인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점오염물질을 포함된 강수를 1차 정화함으로써, 정수에 필요한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2개의 침전조를 사용하여 강수량의 증가시 유연하게 대처함으로써, 수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경사판 침전조에 대한 측면 단면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침전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토사 침전조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토사 침전조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입관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토사 침전조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침전조(10)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침전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토사 침전조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토사 침전조의 B-B'선 단면도이다.
도2, 도3,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사 침전조(10)는 토사와 유입수를 분리하는 다수개의 격벽(113)을 구비하며, 침전된 토사를 퇴적부(117)로 이동시키는 제1 컨베이어 벨트(110)를 침전조 하부에 구비한 제1 토사 침전조(100)와, 유입수로부터 토석류를 1차 분리하는 타공판(390)을 입수구에 하단에 구비하며, 상기 타공판(390)을 통과한 유입수에서 토사를 2차 분리하는 다수개의 경사판(215)을 내부공간에 구비하고, 배수구에 장착되어 토사와 분리된 유입수를 정수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여과부재(213)를 구비하는 제2 토사 침전조(200), 이중관의 형태로써, 창천(蒼天)시 유입되는 유입수를 상기 제1 토사 침전조(100)으로 이동시키는 반원형태의 내측관(310)과, 강우가 시작되어 상기 내측관(310)을 넘치는 대량의 유입수가 발생하면, 발생된 유입수를 상기 제2 토사 침전조(200)로 이동시키는 외측관(330)으로 이루어지는 유입관로(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토사 침전조(100)의 일측에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110)를 구동시키는 제1 모터(21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 토사 침전조(200)는 침전된 토사를 퇴적부(217)로 이동시키는 제2 컨베이어 벨트(210)를 침전조 하부에 구비하고 있으며, 제2 토사 침전조(200) 일측에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210)를 구동시키는 제2 모터(211)가 설치된다.
상기 제1, 제2모터(111, 211)는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한 3상모터이다.
도3,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 제1, 제2 컨베이어 벨트(110, 210)는 침전된 토사를 효율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벨트에 돌기(119, 219)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119, 219)는 벨트 회전운동시 바닥을 쓰는 역할을 하여 침전조 바닥에 퇴적된 토사를 상기 퇴적부(117, 217)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2 토사 침전조(200)는 상기 타공판(390)을 구비하여 유입수와 섞인 자갈 또는 암석을 유입수와 1차 분리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격벽(113)은 상·하부가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좌·우로 꺾여져 있으며, 상기 경사판(215)은 지그재그 형태를 가짐으로써 토사 침전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제1, 제2 토사 침전조(110, 210) 내벽에는 사다리(400)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제2 토사 침전조(110, 210)에 작업자가 퇴적물 처리시 상기 침전조 내부에서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2 토사 침전조(210)는 유입수가 많을 때 즉, 빗물의 양이 많을 때 비점오염물질이 상기 제2 토사 침전조(210)에 유입되기 때문에 비점오염물질을 정화하기 위한 여과부재(213)를 구비한다.
상기 여과부재(213)는 탈·부착이 가능하며, 오염원의 종류에 따라 상기 여과부재(213)의 여재를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입관로의 단면도이다.
도2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유입관로(300)의 내측관(310)은 상기 제1 토사 침전조(100)와 연결되어 있으며, 평상시의 유량을 상기 제1 토사 침전조(100)로 이동시킨다. 그러나 유량이 많아져(장마시) 유입수가 상기 내측관(310)을 넘어 오버플로우(overflow)된 경우, 오버플로우된 유입수는 외측관(330)을 통하여 상기 제2 토사 침전조(200)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내측관(310)과 외측관(330) 사이에 지지대(350)를 구비하여 상기 내측관(310)을 외측관(330) 내부에서 지지되도록 하였다.
상기 유입관로(300)는 유량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초당, 분당 또는 시간당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는 통신부(미도시)를 통하여 센터로 전송된다. 전송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유입수와 혼합된 토사의 양을 예측할 수 있으며, 침전조에 퇴적되는 토사의 두께를 예측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토사 침전조는 유량에 따라 제1 토사 침전조(100)와 제2 토사 침전조(200)를 구비하며, 유량이 상기 내측관(310)을 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토사 침전조(100)만을 사용하게 되고, 유량이 상기 내측관(310)을 넘을 경우 상기 제1 토사 침전조(100)와 제2 토사 침전조(200)를 모두 사용하게 된다.
제어부(미도시)는 센터로(미도시)부터의 명령에 따라 제1, 제2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침전조 내부에 흩어져 퇴적된 퇴적물을 상기 퇴적부(117, 217)로 이동시킨다.
도6은 본 발명의 토사 침전조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사 침전조(10)는 도로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관로(300)는 상부 중앙에 유입홀(370)을 구비되어 있다. 유입수(빗물) 발생시 상기 유입홀(370)에 흘러들어가며, 이때 흘러들어간 유입수는 상기 내측관(310)을 타고 상기 제1 토사 침전조(100)로 이동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산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경 및 개량 형태 또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 토사 침전조
100 : 제1 토사 침전조
110 : 제1 컨베이어 벨트 111 : 제1 모터
113 : 격벽 117, 217 : 퇴적부
119, 219 : 돌기
200 : 제2 토사 침전조
210 : 제2 컨베이어 벨트 211 : 제2 모터
213 : 여과부재 215 : 경사판
300 : 유입관로
310 : 내측관 330 : 외측관
350 : 지지대 370 : 유입홀
390 : 타공판
400 : 사다리

Claims (5)

  1. 토사와 유입수를 분리하는 다수개의 격벽을 구비하며, 침전된 토사를 퇴적부로 이동시키는 제1 컨베이어 벨트를 침전조 하부에 구비한 제1 토사 침전조와;
    유입수로부터 토석류를 1차 분리하는 타공판을 입수구에 하단에 구비하며, 상기 타공판을 통과한 유입수에서 토사를 2차 분리하는 다수개의 경사판을 내부공간에 구비하고, 배수구에 장착되어 토사와 분리된 유입수를 정수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여과부재를 구비하는 제2 토사 침전조;
    이중관의 형태로써, 창천(蒼天)시 유입되는 유입수를 상기 제1 토사 침전조으로 이동시키는 반원형태의 내측관과, 강우가 시작되어 상기 내측관을 넘치는 대량의 유입수가 발생하면, 발생된 유입수를 상기 제2 토사 침전조로 이동시키는 외측관으로 이루어지는 유입관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침전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사 침전조는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시키는 제1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침전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토사 침전조는
    침전된 토사를 퇴적부로 이동시키는 제2 컨베이어 벨트를 침전조 하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침전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토사 침전조는
    침전조 하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시키는 제2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침전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은
    지그재그의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 침전조.
KR1020110115142A 2011-11-07 2011-11-07 토사 침전조 KR101270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142A KR101270023B1 (ko) 2011-11-07 2011-11-07 토사 침전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142A KR101270023B1 (ko) 2011-11-07 2011-11-07 토사 침전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020A KR20130050020A (ko) 2013-05-15
KR101270023B1 true KR101270023B1 (ko) 2013-05-31

Family

ID=48660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5142A KR101270023B1 (ko) 2011-11-07 2011-11-07 토사 침전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00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05449A (zh) * 2014-06-12 2014-08-27 山东建筑大学 一种移动式可调节去藻除砂取水装置
CN109467282B (zh) * 2018-12-25 2023-09-12 湖南智水环境科技有限公司 适用于单户生活污水处理的污水处理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9306B2 (ja) 1999-03-23 2001-01-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湯沸かし器
KR100752787B1 (ko) 2007-02-13 2007-08-29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초기우수 처리시설
KR100897258B1 (ko) 2008-11-05 2009-05-15 대일산업(주)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 처리 장치
KR100905693B1 (ko) 2008-12-30 2009-07-03 (주)낙동수환경방재기술원 초기 우수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9306B2 (ja) 1999-03-23 2001-01-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湯沸かし器
KR100752787B1 (ko) 2007-02-13 2007-08-29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초기우수 처리시설
KR100897258B1 (ko) 2008-11-05 2009-05-15 대일산업(주)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 처리 장치
KR100905693B1 (ko) 2008-12-30 2009-07-03 (주)낙동수환경방재기술원 초기 우수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020A (ko) 201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36731B (zh) 自行凝集功能的长方形沉淀***
KR100904177B1 (ko) 초기우수에 의한 오염을 정화시키는 장치 및 방법
KR100987316B1 (ko) 유수분리 및 상향여과 복합방식의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및 정화 방법
KR101196653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US8623203B2 (en) Stormwater treatment system
KR20090033663A (ko) 수직형 초기 우수 정화장치
KR101656664B1 (ko) 카트리지 모듈식 침투도랑 전처리조, 이를 이용한 카트리지 모듈식 침투도랑 여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우수의 여과 방법
JP2013036181A (ja) 路面排水処理装置
KR101479462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0799251B1 (ko) 우수배수로용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KR101270023B1 (ko) 토사 침전조
KR100807192B1 (ko) 와류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US20080260465A1 (en) Filer for the purification of contaminated water
KR101083647B1 (ko) 하상에 설치되는 다단계 수질 정화장치
DK157249B (da) Udskiller fortrinsvis til udskillelse af olie og sand fra afloebsvand
KR101785445B1 (ko) 수두경사를 이용한 무동력 비점오염물 처리용 맨홀
KR101143866B1 (ko)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US20150258472A1 (en) Partitioned Separator Water Treatment System with Upflow Filter
KR101749320B1 (ko) 스크린 장치
KR101052546B1 (ko) 측구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CN205216392U (zh) 石墨烯污水净化装置
KR20090067441A (ko) 우수받이용 맨홀트랩
KR20110024784A (ko) 비점오염물질 정화 장치
KR100499612B1 (ko) 스크린 수로를 이용한 고형물 분리와 여과수 확보방법 및장치
KR101010054B1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