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8912B1 - 가구힌지의 가구도어 위치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가구힌지의 가구도어 위치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8912B1
KR101268912B1 KR1020120124846A KR20120124846A KR101268912B1 KR 101268912 B1 KR101268912 B1 KR 101268912B1 KR 1020120124846 A KR1020120124846 A KR 1020120124846A KR 20120124846 A KR20120124846 A KR 20120124846A KR 101268912 B1 KR101268912 B1 KR 101268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rotor
furniture door
elliptical ho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4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철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4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9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912B1/ko
Priority to CN201380035239.6A priority patent/CN104411907B/zh
Priority to JP2015540602A priority patent/JP5848497B2/ja
Priority to US14/419,923 priority patent/US9341010B2/en
Priority to PCT/KR2013/009744 priority patent/WO201407381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7/0407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the hinges having two or more pins and being specially adapted for cabinets 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009Adjustable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03Adjustable furniture jointing
    • A47B2230/0014Height or width adjustment using eccenter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7/0415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with adjusting drive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38Cams; 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6Form, shape
    • E05Y2800/268Form, shape cylindrical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벽체와 가구도어의 사이에 장착되어 가구도어의 개폐수단으로 이용하는 가구힌지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부(110)에 형성된 장요공(50)과; 중간판(140)에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완충기능을 수행하는 탄성편(10); 상기 탄성편(10)에 형성된 타원공(20); 상기 타원공(20)에 수용되면서 외주면의 일측부에 걸림돌기(32)가 형성된 회전자(30); 및 상기 장요공(50)에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회전자(30)에 다리부(42)를 통해 결합되어 정/역회전시키는 편심볼트(4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가구힌지의 미세조정이 가능해지고 도어위치의 육안식별이 가능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가구힌지의 가구도어 위치 조절장치{Device for regulating the furniture door of furniture hinge}
본 발명은 가구벽체에 장착되어 가구도어의 개폐수단으로 이용하는 가구힌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가구힌지의 조절기구를 변경하여 상기 가구도어의 위치조절에 따른 각종 편리성을 향상함은 물론 정밀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가구힌지의 가구도어 위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힌지는 장롱이나 싱크대를 포함한 각종 가구의 도어개폐수단으로 이용되는 철구조물로서, 이 가구힌지는 가구도어의 개폐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이나 유동을 최소화함은 물론 가구도어의 위치세팅 시 발생하는 편리성 및 작업성을 향상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여기서, 상기 가구힌지는, 상기 가구벽체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가구도어에 고정되는 회동판을 포함하며, 특히 상기 가구힌지의 몸체부에 볼트 또는 걸림후크를 통해 상기 고정판을 결합함으로써, 상기 몸체부의 위치를 가변하여 상기 가구도어의 개폐위치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가구힌지(100)는,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일단부에 힌지식으로 설치되어 상기 가구도어(D)에 고정되는 회동판(120) 및;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측에 결합되어 상기 가구벽체(B)에 고정되는 고정판(13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10)는 고정볼트(132)가 체결되는 이동공(112) 및 장력볼트(134)가 체결되는 장력공(114)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정판(130)은 상기 고정볼트(132)가 체결되는 볼트공(136) 및 상기 장력볼트(134)가 체결되는 체결공(138)이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구도어(D)를 세팅하려는 경우, 상기 몸체부(110)의 고정볼트(132)를 약간 풀어준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110)를 상기 이동공(112)을 따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볼트(132)를 재체결하면, 상기 가구도어(D)의 위치조절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가구힌지(100)는 상기 가구도어(D)의 세팅과정에서, 상기 가구도어(D)의 자체중량으로 인해, 상기 고정판(130)에 상기 몸체부(110)를 맞대고 고정볼트(132)를 분리 및 체결하는 공정이 매우 힘들고, 이로 인해 두 사람 정도의 작업인력이 필요하여 작업하중이 증대된다.
게다가, 상기 몸체부(110)의 위치를 세팅하는 일련의 작업공정이 작업자의 육감에 의해 상기 이동공(112)을 따라 이동하여 세팅하고 고정볼트(132)를 다시 체결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밖에 없어, 상기 가구도어(D)의 정확한 세팅작업이 어려움은 물론 정밀도가 떨어져 신뢰도가 저하된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가구힌지(100)의 세팅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부(110)의 이동공(112)과 장력공(114)을 대신하여 장요공(116)과 안내공(118)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볼트(132)를 대신하여 다리부(152)를 갖는 편심볼트(150)를 이용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따라서, 상기 가구도어(D)를 세팅하려는 경우, 상기 편심볼트(15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다리부(152)의 편심작용에 의해 상기 몸체부(110)가 전진 또는 후진하는 상태로서, 상기 편심볼트(150)의 회전만으로도 상기 가구도어(D)의 위치를 세팅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편심볼트(150)는 상기 가구도어(D)로부터 가해지는 외부하중을 제어할만한 마땅한 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상태로서, 예컨대 상기 다리부(152)가 도 4의 "a 및 e"에서와 같이 상기 장요공(116)의 양단부에 위치하지 않고 도 4의 "b 내지 c"에서와 같이 중간부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가구도어(D)에 가해지는 외부하중에 의해 상기 편심볼트(150)가 회전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상기 가구도어(D)의 위치가 빈번히 변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가구힌지(100)의 위치조절기구를 개선하여 상기 가구도어(D)의 위치조절에 따른 각종 편리성을 증대하면서도 상기 가구도어(D)에 가해지는 외부하중을 제어할만한 별도의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가구도어(D)의 위치가 변경되는 현상을 원천봉쇄하는 연구가 절실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상기 가구힌지의 조절기구를 변경하여 상기 가구도어의 위치조절에 따른 각종 편리성을 향상함은 물론 정밀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가구힌지의 가구도어 위치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힌지식으로 결합되어 가구도어에 고정되는 회동판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측에 중간판을 통해 결합되어 가구벽체에 고정되는 고정판을 갖는 가구힌지의 가구도어 위치 조절장치로서,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장요공과; 상기 중간판에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완충기능을 수행하는 탄성편; 상기 탄성편에 형성된 타원공; 상기 타원공에 수용되면서 외주면의 일측부에 다수개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회전자; 및 상기 장요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자에 다리부를 통해 결합되어 정/역회전시키는 편심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편심볼트의 정회전 및 역회전과정에서 상기 회전자가 상기 타원공의 내주면에 걸림되거나 또는 상기 타원공의 내주면을 따라 전후진하여 상기 몸체부의 위치를 고정하거나 또는 전후진시키는 구성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기 가구힌지의 위치조절에 따른 일련의 작업과정에서 상기 타원공과 상기 회전자의 상호 작용에 의해 원터치식으로 조절되므로, 상기 가구힌지의 미세조정이 가능해지고 도어위치의 육안식별이 가능해진다.
둘째, 상기 가구힌지의 위치조절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타원공과 상기 회전자의 상호 맞물림작용에 의해 상기 중간판의 위치가 항상 정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세팅되므로, 상기 가구도어의 유동이 방지된다.
셋째, 상기 가구도어에 과중한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타원공과 상기 회전자의 상호 맞물림작용에 의해 상기 가구도어의 위치가 밀려나지 않으므로 상기 가구도어가 항상 정위치에 세팅되어 신뢰성이 증대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가구힌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가구힌지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일 실시예,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가구힌지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이 실시예,
도 4의 (a) 내지 (e)는 도 3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힌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힌지의 위치조절기구를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6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6의 세팅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5 내지 도 8을 참고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디.
본 발명에 의한 가구힌지(1)는,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일단부에 힌지식으로 결합되어 가구도어(D)에 고정되는 회동판(120) 및;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측에 중간판(140)을 통해 결합되어 가구벽체(B)에 고정되는 고정판(130)을 갖는 가구힌지의 가구도어 위치 조절장치로서, 상기 몸체부(110)에 형성된 장요공(50)과; 상기 중간판(140)에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완충기능을 수행하는 탄성편(10); 상기 탄성편(10)에 형성된 타원공(20); 상기 타원공(20)에 수용되면서 외주면의 일측부에 다수개의 걸림돌기(32)가 형성된 회전자(30); 및 상기 장요공(5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자(30)에 다리부(42)를 통해 결합되어 정/역회전시키는 편심볼트(40)를 포함하며, 상기 편심볼트(40)의 정회전 및 역회전과정에서 상기 회전자(30)가 상기 타원공(20)의 내주면에 걸림되거나 또는 상기 타원공(20)의 내주면을 전후진하여 상기 가구도어(D)의 위치를 고정하거나 또는 상기 가구도어(D)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성이다.
먼저, 본 발명의 상기 가구힌지(1)는 상기 타원공(20)에 상기 회전자(30)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편심볼트(40)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자(3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몸체부(110)의 위치를 고정하거나 또는 상기 몸체부(110)의 적정 위치를 조절하는 것에 특징이 있음을 첨언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10)는, 상기 가구힌지(1)의 골격을 유지함은 물론 전체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가구벽체(B)와 상기 가구도어(D)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편심볼트(40)가 체결되는 장요공(50) 및 상기 장력볼트(134)가 체결되는 장력공(114)이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장요공(50)은 상기 몸체부(110)의 폭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편심볼트(40)의 회전방향을 안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력볼트(134) 및 상기 장력공(114)은 상기 가구힌지(1)의 사양이나 크기에 맞추어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가구힌지(1)에 구성되어 상기 가구도어(D)의 장력조절수단으로서 사용하였다면 형상이나 길이와는 무관하게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장력볼트(134)는 상기 장력공(114)에 체결된 상태에서 정회전 및 역회전하는 것으로서, 그 하단부에 상기 중간판(140)의 체결공(145)이 걸림식으로 결합되는 걸림돌기(134-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편심볼트(40)는, 상기 몸체부(110)의 장요공(5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정/역회전하는 것으로서, 상기 장요공(50)의 주변을 이루는 오목부에 맞대어지는 머리부(44) 및, 상기 머리부(44)의 하면중심의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장요공(50)으로 삽입되는 다리부(4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판(120)은, 상기 몸체부(110)의 일단부에 힌지축(125, 도 1 참조)을 통해 결합되어 회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가구도어(D)에 결합된 상태에서 가구도어(D)의 개폐과정에서 동시에 회동한다.
그리고, 상기 중간판(140)은 상기 몸체부(110)의 수용공간에 슬라이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110)의 전진 및 후진을 안내하는 것으로서, 그 몸체상면에 상기 장력조절볼트(134)가 체결되는 체결공(145)이 형성되고, 그 몸체하면에 상기 고정판(130)이 결합되는 걸림기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간판(140)의 상부면에는 완충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탄성편(10)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편(10)에는 이후에 설명하는 상기 회전자(30)가 수용되는 소정크기의 타원공(2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편(10)은 상기 중간판(140)의 몸체상면을 절결한 완충수단을 의미하며, 특히 상기 탄성편(10)을 배제한 상태에서 단지 상기 타원공(20)을 형성하였더라도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된다.
물론, 상기 탄성편(10)은 상기 중간판(140)을 절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상기 중간판(140)에 부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자(30)는 상기 타원공(2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편심볼트(40)에 의해 상기 타원공(20)을 따라 회전 또는 이동하는 것으로서, 그 둘레면에 상기 타원공(20)의 플랜지부에 걸림되어 회전 및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탈방지수단으로 이용되는 지지턱부(3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자(30)의 외주면에 상기 타원공(20)의 내주면에 맞물림되어 결합되는 다수개의 걸림돌기(3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자(30)에 상기 편심볼트(40)의 다리부(42)가 삽입되어 리벳팅을 통해 고정되는 끼움공(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타원공(20)은 상기 탄성편(10)에 길이방향을 따라 약간 타원형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그 일측부에 상기 회전자(30)의 고정공간을 제공하는 소정크기의 공간부가 형성됨은 물론 그 타측부에 상기 회전자(30)의 이동공간을 제공하는 소정크기의 공간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타원공(20)의 내주면 즉, 상기 중간판(140)을 기준으로 선단부와 후단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상기 걸림돌기(32)와 선택적으로 맞물림되어 고정공간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결합홈(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타원공(20)의 내주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홈(22)이 형성된 방향과 반대방향에 상기 걸림돌기(32)와 상기 결합홈(22)의 분리과정에서 상기 회전자(30)의 이동공간을 제공하는 해제틈(2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타원공(20)의 내주면 양측부 즉, 상기 결합홈(22)과 상기 해제틈(24)의 형성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에 상기 회전자(30)의 전후이동을 안내하는 직선형상의 이동라인(2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자(30)의 회전과정에서 상기 걸림돌기(32)의 개수를 상기 타원공(20)의 결합홈(22)에 비해 더 많은 개수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회전자(30)의 걸림범위를 보다 넓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130)은,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측,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간판(140)의 하부측에 길이방향으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걸림공(136-2) 및 걸림홈(138-2)을 통해 후크식으로 결합되며, 그 몸체 양측부에 상기 가구벽체(B)와 결합되는 소정크기의 날개부(139)가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가구힌지(1)를 구성하려는 경우, 일단 상기 중간판(140)의 타원공(20)에 상기 회전자(30)를 수용하고, 상기 장요공(50)에 상기 편심볼트(40)를 삽입하는 과정이 선결되어야 한다.
이렇게 하면, 상기 장요공(50)에 삽입된 상기 편심볼트(40)의 다리부(42)가 상기 회전자(30)의 끼움공(34)에 삽입되므로, 상기 편심볼트(40)에 의해 상기 회전자(30)가 동시에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가구도어(D)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서, 상기 회전자(30)가 상기 이동라인(26)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결합홈(22)과 결합되어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해제틈(24)에 위치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만일, 도 7의 "a"에서와 같이, 상기 가구도어(D)에 하중이 없는 "자연상태"인 경우, 상기 해제틈(24)에 상기 회전자(30)가 위치한 상태이므로, 상기 결합홈(22)과 상기 걸림돌기(32)가 맞물리지 않는다.
반면, 도 7의 "b"에서와 같이, 상기 가구도어(D)에 외부하중이 가해지거나 당겨지는 경우, 상기 회전자(30)가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한 상태이므로, 상기 결합홈(22)에 상기 걸림돌기(32)가 맞물리게 된다.
한편, 도 8의 "b"에서와 같이 상기 타원공(20)의 결합홈(22)과 상기 회전자(30)의 걸림돌기(32)가 맞물리지 않는 경우, 상기 편심볼트(40)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의해 가구도어(D)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편심볼트(4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회전자(30)가 상기 해제틈(24)의 방향으로 약간 밀려서 이동하므로, 상기 회전자(30)의 회전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세팅되는 것이다.
만일, 도 8의 "a"와 같이, 상기 편심볼트(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자(30)가 상기 해제틈(24)으로 밀려 이동하고, 동시에 상기 결합홈(22)에서 분리된 상기 회전자(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반면, 도 8의 "c"와 같이, 상기 편심볼트(4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자(30)가 상기 해제틈(24)으로 밀려 이동하고, 동시에 상기 결합홈(22)에서 분리된 상기 회전자(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 인해, 상기 편심볼트(40)의 회전과정에서, 상기 타원공(20)과 상기 회전자(30)의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편심볼트(40)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의해 상기 몸체부(110)의 위치가 고정되거나 전진 및 후진함으로써, 상기 가구도어(D)에 외부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편심볼트(40)가 회전하지 않고, 이로 인해 상기 가구도어(D)의 개폐과정에서 발생하는 유동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가구힌지 10 : 탄성편
20 : 타원공 22 : 결합홈
24 : 해제틈 26 : 이동라인
30 : 회전자 32 : 걸림돌기
34 : 끼움공 36 : 지지턱부
40 : 편심볼트 42 : 다리부
44 : 머리부 50 : 장요공

Claims (8)

  1. 가구벽체(B)와 가구도어(D)에 배치되는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에 힌지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가구도어(D)에 고정되는 회동판(120) 및; 상기 몸체부(110)에 중간판(140)을 통해 결합되고 상기 가구벽체(B)에 고정되는 고정판(130)을 갖는 가구힌지의 가구도어 위치 조절장치로서,
    상기 몸체부(110)에 형성된 장요공(50)과;
    상기 중간판(140)에 형성되어 완충기능을 수행하는 탄성편(10);
    상기 탄성편(10)에 형성된 타원공(20);
    상기 타원공(20)에 수용되면서 외주면의 일측부에 다수개의 걸림돌기(32)가 형성된 회전자(30); 및
    상기 장요공(5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자(30)에 다리부(42)를 통해 결합되어 정회전 및 역회전시키는 편심볼트(40);
    를 포함하며,
    상기 편심볼트(40)의 정회전 및 역회전과정에서 상기 회전자(30)가 상기 타원공(20)의 내주면에 걸림되거나 또는 상기 타원공(20)의 내주면을 전후진하여 상기 가구도어(D)의 위치를 고정하거나 또는 상기 가구도어(D)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힌지의 가구도어 위치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원공(20)은,
    상기 회전자(30)의 걸림돌기(32)와 상호 맞물림함으로써 상기 몸체부(110)의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가구도어(D)의 위치를 세팅하는 다수개의 결합홈(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힌지의 가구도어 위치 조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30)의 걸림돌기(32)는,
    상기 타원공(20)의 결합홈(22)에 비해 더 많은 개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힌지의 가구도어 위치 조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원공(20)은, 상기 회전자(30)의 정회전 및 역회전과정에서 상기 몸체부(110)의 전진 및 후진을 안내하는 이동라인(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힌지의 가구도어 위치 조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원공(20)은,
    상기 걸림돌기(32)의 분리공간을 제공하는 해제틈(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힌지의 가구도어 위치 조절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요공(50)은,
    상기 몸체부(110)의 상면에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힌지의 가구도어 위치 조절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원공(20)은,
    상기 중간판(140)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힌지의 가구도어 위치 조절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30)는,
    상기 타원공(20)의 플랜지부에 걸림되어 이탈방지수단으로 이용되는 지지턱부(3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힌지의 가구도어 위치 조절장치.
KR1020120124846A 2012-11-06 2012-11-06 가구힌지의 가구도어 위치 조절장치 KR101268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846A KR101268912B1 (ko) 2012-11-06 2012-11-06 가구힌지의 가구도어 위치 조절장치
CN201380035239.6A CN104411907B (zh) 2012-11-06 2013-10-30 家具铰链的家具门位置调节装置
JP2015540602A JP5848497B2 (ja) 2012-11-06 2013-10-30 家具蝶番の家具扉の位置調節装置
US14/419,923 US9341010B2 (en) 2012-11-06 2013-10-30 Furniture door position adjustment device for furniture hinge
PCT/KR2013/009744 WO2014073817A1 (ko) 2012-11-06 2013-10-30 가구힌지의 가구도어 위치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846A KR101268912B1 (ko) 2012-11-06 2012-11-06 가구힌지의 가구도어 위치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8912B1 true KR101268912B1 (ko) 2013-05-29

Family

ID=48667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4846A KR101268912B1 (ko) 2012-11-06 2012-11-06 가구힌지의 가구도어 위치 조절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41010B2 (ko)
JP (1) JP5848497B2 (ko)
KR (1) KR101268912B1 (ko)
CN (1) CN104411907B (ko)
WO (1) WO201407381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774B1 (ko) * 2016-03-07 2018-04-05 임동호 방화문 힌지
KR20200106063A (ko) * 2018-01-12 2020-09-10 헷티히-오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힌지를 가지는 가구 보드 및 가구 보드를 가지는 가구 아이템
KR20220159115A (ko) 2021-05-25 2022-12-02 안광현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33452S1 (en) * 2010-02-09 2015-07-07 Ascion, Llc Adjustable bed
JP6013588B2 (ja) * 2013-11-11 2016-10-25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及びヒンジ装置基部
USD749931S1 (en) * 2014-06-26 2016-02-23 Sugatsune Kogyo Co., Ltd. Hinge for furniture
USD748965S1 (en) * 2014-06-26 2016-02-09 Sugatsune Kogyo Co., Ltd. Hinge for furniture
CN104879006B (zh) * 2015-05-14 2017-10-17 陈明开 一种柜门铰链的改良结构
USD785438S1 (en) * 2015-10-19 2017-05-02 Hardware Resources, Inc. Hinge
US10471749B2 (en) 2015-10-30 2019-11-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inge set
KR101714354B1 (ko) * 2016-07-18 2017-03-09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구도어의 점프거리를 증대하는 가구힌지
JP1589114S (ko) * 2017-05-09 2017-10-23
DE102018103741A1 (de) * 2018-02-20 2019-08-22 Emka Beschlagteile Gmbh & Co. Kg Scharnier und Verfahren zur Einstellung eines Scharniers
WO2020005174A1 (en) * 2018-06-26 2020-01-02 Samet Kalip Ve Madeni̇ Eşya San Ti̇c. A.Ş Hinge for an item of furniture
USD932279S1 (en) * 2020-01-17 2021-10-05 Julius Blum Gmbh Furniture hinge
USD951057S1 (en) * 2021-04-23 2022-05-10 Foshan Fanshun Technology Co., Ltd Face frame cabinet hinge
USD960070S1 (en) * 2021-07-05 2022-08-09 Yongjiang Yang Tailgate hing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5452B2 (en) 2000-11-02 2003-09-09 Grass Gmbh Cabinet hinge
KR100885529B1 (ko) 2008-11-26 2009-02-26 표진호 고정판을 이중 고정한 가구용힌지
WO2009083152A1 (de) 2007-12-21 2009-07-09 Grass Gmbh & Co. Kg Beschlag für bewegbare möbelteile
KR101047855B1 (ko) 2009-10-21 2011-07-08 표진호 고정판을 고정한 가구힌지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53640B (de) * 1973-03-17 1979-11-26 Praemeta Einstellbares scharnier fuer stumpf vor- schlagende tuerfluegel, insbesondere moebel- scharnier
BR7706984A (pt) * 1976-10-22 1978-06-27 Heinze R Dobradica para moveis
JP3669955B2 (ja) * 1994-10-05 2005-07-13 株式会社西製作所 扉用ヒンジ
IT1282620B1 (it) * 1996-02-14 1998-03-31 Franco Ferrari Dispositivo di regolazione a camma per elementi di ferramenta per mobili ed elementi di ferramenta con esso
US5694665A (en) * 1996-03-15 1997-12-09 The Stanley Works Adjustable hinge
US5799370A (en) * 1996-06-12 1998-09-01 The Stanley Works Adjustable hinge
DE29612684U1 (de) * 1996-07-22 1996-09-19 Salice Arturo Spa Verstellbarer Scharnierarm
JP3190286B2 (ja) 1997-05-07 2001-07-23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
DE19920137C2 (de) * 1999-05-03 2002-11-28 Grass Gmbh Hoechst Montageplatte für Möbelscharniere
IT1308737B1 (it) * 1999-06-16 2002-01-10 Savio Spa Cerniera per serramenti apribili
ATE453775T1 (de) * 2001-08-31 2010-01-15 Grass Gmbh Möbelscharnier
AT6962U1 (de) * 2003-02-21 2004-06-25 Blum Gmbh Julius Scharnier
AT6963U1 (de) * 2003-02-21 2004-06-25 Blum Gmbh Julius Scharnier
US6996877B2 (en) * 2003-04-01 2006-02-14 Grass America Inc. Snap-on hinge assembly
CN2739318Y (zh) * 2004-11-19 2005-11-09 伍志勇 可三维调节的家具门暗铰链
US7334293B2 (en) * 2005-02-16 2008-02-26 Newell Operating Company Vertically adjustable hinge
NO20061548L (no) * 2006-04-05 2007-10-08 Frip As Hoydejusteringsanordning for hengsel
US7594300B2 (en) * 2006-06-20 2009-09-29 Hardware Resources, Inc. Adjustable hinge
US7552511B2 (en) * 2006-07-28 2009-06-30 Creative Research & Development, Inc. Adjustable hinge
US20080271291A1 (en) * 2007-05-04 2008-11-06 Ken-Ching Chen Multi-directional adjustment hinge
US7614116B2 (en) * 2007-05-04 2009-11-10 King Slide Works Co., Ltd. Multi-directional adjustment hinge
KR20080101050A (ko) 2007-05-15 2008-11-21 주식회사 미네르바 가구용 댐핑 힌지
JP4723013B2 (ja) * 2009-05-11 2011-07-13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位置調節機能付きカップ埋め込み式ヒンジ装置
CN101858174B (zh) * 2010-04-30 2013-09-11 伍志勇 可调预紧力的家具铰链
KR20120092406A (ko) 2011-02-11 2012-08-21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벽면고정판을 고정한 다관절 가구힌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5452B2 (en) 2000-11-02 2003-09-09 Grass Gmbh Cabinet hinge
WO2009083152A1 (de) 2007-12-21 2009-07-09 Grass Gmbh & Co. Kg Beschlag für bewegbare möbelteile
KR100885529B1 (ko) 2008-11-26 2009-02-26 표진호 고정판을 이중 고정한 가구용힌지
KR101047855B1 (ko) 2009-10-21 2011-07-08 표진호 고정판을 고정한 가구힌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774B1 (ko) * 2016-03-07 2018-04-05 임동호 방화문 힌지
KR20200106063A (ko) * 2018-01-12 2020-09-10 헷티히-오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힌지를 가지는 가구 보드 및 가구 보드를 가지는 가구 아이템
KR102627178B1 (ko) * 2018-01-12 2024-01-19 헷티히-오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힌지를 가지는 가구 보드 및 가구 보드를 가지는 가구 아이템
KR20220159115A (ko) 2021-05-25 2022-12-02 안광현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41010B2 (en) 2016-05-17
JP2015533393A (ja) 2015-11-24
WO2014073817A1 (ko) 2014-05-15
US20150191952A1 (en) 2015-07-09
CN104411907A (zh) 2015-03-11
CN104411907B (zh) 2016-03-16
JP5848497B2 (ja) 2016-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8912B1 (ko) 가구힌지의 가구도어 위치 조절장치
US10920475B2 (en) Sliding-door closer set
EP2380635B1 (en) Sprinkler mounting device
EP3330475B1 (en) Rail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covering
TWI526175B (zh) 固定抽屜於導件之鉤裝置
EP2810593B1 (en) Door assembly
KR20080073770A (ko) 가구 본체에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구 부분을 위한텔레스코픽 가이드
EP2725175A2 (en) Adjustable hinge
EP2742837A1 (en) Shower mounting structure for pivot door
KR20170030547A (ko) 슬라이딩 도어를 위한 피팅
JP6456845B2 (ja) ガイドレールを介して誘導方向に家具部品を誘導するための走行部、および家具用建具
EP2929804B1 (en) Slide rail system and connecting device used for slide rail assembly
JP2016510370A5 (ko)
US11828102B2 (en) Adjustable packer apparatus
EP2937018B1 (en) Slide rail system with connecting device used for slide rail assembly
US10638836B2 (en) Adjustment mechanism
EP1703145B1 (en) Connection device to connect a covering profile and a frame profile in door or window frames and suchlike
JP5427098B2 (ja) レール装置
CN100464672C (zh) 用于将抽屉前面装接于抽屉侧面的固定装置
GB2533463A (en) Shower enclosure frame fixing means and method of use thereof
GB2490139A (en) Door hinge jig
KR101635348B1 (ko) 스탠션 바
TR201807280T4 (tr) Açılmayı sınırlama düzeneği.
GB2092660A (en) Adjustable Hinge
KR102499100B1 (ko) 가이드를 구비한 가구용 경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