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5544B1 - 디본딩 방식을 적용한 프리텐션 피에스씨 i형 거더 - Google Patents

디본딩 방식을 적용한 프리텐션 피에스씨 i형 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5544B1
KR101265544B1 KR1020120051611A KR20120051611A KR101265544B1 KR 101265544 B1 KR101265544 B1 KR 101265544B1 KR 1020120051611 A KR1020120051611 A KR 1020120051611A KR 20120051611 A KR20120051611 A KR 20120051611A KR 101265544 B1 KR101265544 B1 KR 101265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type
steel wire
tension
deb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장헌산업
(주)한맥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장헌산업, (주)한맥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장헌산업
Priority to KR1020120051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55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본딩이 적용된 프리텐션 피에스씨(PSC) I형 거더에 있어서, 상기 거더의 단부와 상기 거더의 중앙부의 높이가 다른 변단면이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포스트텐션용 비부착 단일 강선이 곡선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기존의 디본딩이 적용된 프리텐션 피에스씨(PSC) I형 거더에서 발생되는 구조적 문제점을 합리적이고 경제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본딩 방식을 적용한 프리텐션 피에스씨 I형 거더{PRETENSIONED PSC GIRDER OF I-TYPE USING DEBONDING METHOD}
본 발명은, 디본딩 방식을 적용한 프리텐션 피에스씨(PSC) I형 거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디본딩 방식을 적용한 프리텐션 피에스씨(PSC) I형 거더에서 발생되는 구조적 문제점을 합리적이고 경제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프리텐션 피에스씨(PSC) I형 거더에 관한 것이다.
피에스씨(PSC) I형 거더는 구조적 거동이 우수하고, 시공성이 용이하고 경제성이 우수하여 국내외에서 중소지간(30∼50m)에 다수 적용되고 있는 교량 형식이다. 이러한 PSC I형 거더는 프리스트레싱의 도입 방법에 따라 포스트 텐션 방식(post tension type)과 프리텐션 방식(pretension type)으로 구분된다.
포스트 텐션 방식은 I형 거더 내부에 쉬스관을 두고, 단부에 정착장치를 미리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가 완전히 경화된 후 강선을 삽입하고 프리스트레싱을 도입하는 방식으로서, I형 거더 내부 쉬스관과 I형 거더 단부 정착구가 요구된다. 가설 현장 근처에서 제작될 수 있으며, 50tonf 이상의 중량물 운반이 불가능한 현장, 즉 일반적인 건설현장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포스트 텐션 방식은 정착구, 쉬스관 및 그라우팅 등 PS 작업이 많아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현장 제작으로 품질관리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지만 가설현장 근처로 운반이 용이한 이점은 있다.
이에 비해, 프리텐션 방식은 반력대를 이용하여 미리 강선을 긴장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 강선을 절단하여 프리스트레싱을 도입하는 방식으로서, 콘크리트 경화 전 PS를 도입할 수 있는 반력대가 요구된다. 반력대 시설이 있는 공장에서 제작될 수 있으며, 공장으로부터 40tonf 이상의 중량물 운반이 가능한 현장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프리텐션 방식은 별도의 정착장치 등이 필요 없기 때문에 경제성이 우수하고 공장 제작으로 품질이 우수하지만 공장에서 현장으로의 운반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리텐션 방식은 반력대 등 고정시설을 갖추어야 하고, 제작장으로부터 가설 현장까지 중량물 운반이 가능하여야 하는 등 제약이 있다.
따라서 적정한 운반 설비를 갖출 경우 중량물 운반이 80tonf 정도까지 가능한 외국에서는 프리텐션 방식을 많이 적용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중량물 운반을40tonf 이하로 제한하고 있는 실정으로서 운반상의 문제로 경제성 및 품질 등 장점이 큰 프리텐션 방식보다는 포스트 텐션 방식을 주로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포스트 텐션 방식에 비하여 장점이 많은 프리텐션 방식의 확대적용과 프리텐션 방식에 있어서도 경제성 및 시공성을 증진시키고자, 국내외에서 많은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데, 이를 간략하게 살펴본다.
우선, 고정 반력대 방식이다. 이 방식은 PSC 거더의 구조 거동에 맞추어 강선을 절곡배치한 것으로서 직선배치된 강선은 반력대에만 정착되나, 절곡배치된 강선은 절곡부에 강선을 지지하는 홀드다운장치(Hold Down Device)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고정 반력대 방식의 경우, 절곡배치된 강선의 영향으로 반력대의 규모가 커질 수 있고, 고가의 홀드다운장치가 거더에 매립되기 때문에 경제성은 불리하지만 강선 배치가 구조거동과 일치하므로 구조적 안전성은 우수하다.
다음으로, 디본딩(debonding) 방식이다. 이 방식은 제작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강선을 직선배치한 것으로서, 강선에 의한 모멘트가 필요 없는 단부에 PVC 또는 쉬스관을 이용하여 반드시 강선을 디본딩(debonding)시킬 필요성 있다. 이러한 디본딩 방식의 경우, 강선이 직선배치되므로 반력대 규모가 축소될수 있어 이동식 반력대 사용이 가능하고, 별도의 홀드다운장치 등이 불필요하여 경제성은 우수하지만 강선 배치가 구조거동과 불일치하여 구조 보강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것을 종합해보면, 프리텐션 공법의 경우, 운반조건이 양호한 해외의 경우는 고정 반력대가 설치된 공장에서 제작하여 운반 가설하는 것이 구조적, 경제적 측면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중량물 운반 조건이 까다로우므로 이동식 반력대를 적용할 수 있는 디본딩 방식이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디본딩 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작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강선을 직선배치함으로써 별도로 구조물을 보강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이로 인한 공사비의 증대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디본딩 방식을 적용한 프리텐션 피에스씨(PSC) I형 거더에서 발생되는 구조적 문제점을 합리적이고 경제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3-006192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8-002578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0-0054545호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디본딩 방식을 적용한 프리텐션 피에스씨(PSC) I형 거더에서 발생되는 구조적 문제점을 합리적이고 경제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프리텐션 피에스씨(PSC) I형 거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프리텐션 피에스씨(PSC) I형 거더에 있어서, 상기 거더의 단부와 상기 거더의 중앙부의 높이가 다른 변단면이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본딩 방식을 적용한 프리텐션 피에스씨(PSC) I형 거더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거더는 그 단부의 높이가 높고 상기 중앙부의 높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더는 양단부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더는 교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부 플랜지의 하면이 곡선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거더의 전 구간에 걸쳐 프리텐션 강선이 직선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부 플랜지의 상면이 직선을 형성할 수 있다.
또다른 해결 방법은 디본딩을 적용한 프리텐션 I형 거더에 있어서, 비부착 단일 강선(Unbonded mono strand)을 곡선으로 배치한 포스트텐션 방식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거더의 단면 모서리 부분에 곡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디본딩을 적용한 프리텐션 피에스씨(PSC) I형 거더에서 발생되는 구조적 문제점을 합리적이고 경제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강선의 절곡배치에 따라 단면력의 변화를 단경간 교량을 통해 검토한 도면이다.
도 2는 강선의 직선배치에 따라 단면력의 변화를 단경간 교량을 통해 검토한 도면이다.
도 3은 강선을 직선으로 배치하고 디본딩(debonding)을 시행하여 단면력의 변화를 단경간 교량을 통해 검토한 도면이다.
도 4는 거더의 단부 상연에 많은 철근 또는 강연선을 배치하여 응력을 조절한 경우에 대한 구조도이다.
도 5는 거더의 높이를 일률적으로 높인 경우에 대한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본딩 방식을 적용한 프리텐션 피에스씨(PSC) I형 거더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에 따른 단면 구조도이다.
도 8은 도 6의 B-B선에 따른 단면 구조도이다.
도 9는 포스트 텐션 강선과 프리텐션 강선이 배치된 상태의 구조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종단면 구조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강선의 절곡배치에 따른 단면력을 단경간 교량을 통해 검토한 도면, 도 2는 강선의 직선배치에 따른 단면력을 단경간 교량을 통해 검토한 도면, 도 3은 강선을 직선으로 배치하고 디본딩(debonding)을 시행할때 단면력을 단경간 교량을 통해 검토한 도면, 도 4는 거더의 단부 상연에 많은 철근 또는 강연선을 배치하여 응력을 조절한 경우에 대한 구조도, 그리고 도 5는 단부의 응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거더의 높이를 증가시킨 경우에 대한 구조도이다.
PSC I형 거더는 강선의 배치에 따라 그 거동이 상이하다. 따라서 강선을 절곡배치한 기존 방식과 직선배치하고 디본딩(debonding) 방식을 적용한 경우의 거동에 대하여 면밀히 분석하고 그에 대한 적절한 대책을 수립하여야만 최적의 경제성 및 시공성을 갖는 PSC I형 거더의 단면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세한 설명에 앞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강선의 절곡배치와 직선배치에 따라 단면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단경간 교량을 통하여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같이 강선을 절곡배치한 경우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중 및 고정하중 등 외력에 의한 모멘트는 지점부는 0이고 중앙부에서 최대정모멘트를 발생시키는 곡선 분포를 갖는다. 또한 강선의 프리스트레스 효과에 의한 모멘트는 지점부는 0이고 강선의 절곡부까지는 절곡된 강선으로 인하여 강선의 편심효과가 적어져 프리스트레스가 적게 도입되므로 절곡점까지 직선으로 부모멘트가 증가되는 직선 분포를 갖게 된다. 따라서 모든 하중이 작용하는 최종상태에서는 외력과 프리스트레스가 상쇄되어 거의 모든 구간에서 일정한 허용응력 이내의 응력만 남게 된다.
이와는 상이하게 강선을 직선으로 배치할 경우 단면력은 도 2와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중 및 고정하중 등 외력에 의한 모멘트는 강선의 배치와 상관없이 절곡배치와 동일하게 지점부는 0이고 중앙부에서 최대정모멘트를 발생시키는 곡선 분포를 갖는다. 강선이 직선배치 되어 있으므로 강선의 편심 효과가 전구간에 걸쳐 동일하므로 강선의 프리스트레스 효과에 의한 모멘트는 거의 전 구간에 동일한 부모멘트가 발생하게 된다. 다만 강선이 콘크리트와 완전히 부착이 되지 않는 구간(대략 단부에서 1m 내외 구간)만 도 2와 같은 직선 분포를 갖게 된다. 따라서 모든 하중이 작용하는 최종상태에서 중앙부에서는 외력과 프리스트레스가 상쇄되어 발생모멘트가 0에 근접하게 되는데 반하여, 단부에서는 외력에 의한 모멘트가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결과적으로 큰 부모멘트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부모멘트는 PSC I형 거더의 상부에 큰 인장응력을 발생시키고 이 응력으로 말미암아 상연에는 균열 등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PSC I형 거더의 단부에 PVC 또는 쉬스관 등을 사용하여 일부 강선을 디본딩(debonding)하여 단부에 크게 발생하는 부모멘트를 완화하여 구조적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 3은 강선을 직선으로 배치하고 디본딩(debonding)을 시행할 때 단면력을 단경간 교량을 통해 검토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중 및 고정하중 등 외력에 의한 모멘트는 강선배치와 상관없이 모든 경우가 동일하다.
강선의 프리스트레스 효과에 의한 모멘트는 강선의 디본딩(debonding)에 따라 단부로부터 계단식으로 변화하는 직선 분포를 갖는다.
따라서 강선의 디본딩(debonding) 개수를 잘 조정한다면 모든 하중이 작용하는 최종상태에서는 외력과 프리스트레스가 상쇄되어 거의 모든 구간에서 일정한 허용응력 이내의 응력만 남게 되어 구조적으로 바람직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국내외의 설계기준은 디본딩(debonding)을 사용한 PSC 구조에서는 복부의 전단문제 및 파괴시 강선의 슬립으로 인한 급격한 취성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강선의 디본딩(debonding)량을 전체 강선의 25% 이하로 제한하고 있다.
전체 강선의 25% 정도의 디본딩(debonding)량을 PSC I형 거더에 적용할 경우, 단부 상연에 발생하는 인장응력을 허용응력 이내로 조절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해외에서는 도 4처럼 단부 상연에 많은 철근을 배치하거나 또는 강연선을 배치하여 응력을 조절하고 있기도 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철근을 배치할 경우 응력은 조절이 가능하나 균열 발생문제는 상존하여 내구성이 떨어진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PSC I형 거더를 연속교에 적용할 경우, 부모멘트 구간에서는 보다 큰 인장응력이 발생하게 되어 많은 철근 배근으로 인한 시공성 및 경제성이 저하할 우려가 높다.
그리고 도 4처럼 거더 상연에 직선으로 강연선을 배치할 경우 거더 중앙부에서는 상하연에 동시에 강연선이 배치되어 프리스트레싱 효과가 떨어지게 되어 중앙부 하연에 보다 많은 강연선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도 4의 강연선 보강구조 또한 시공성 및 경제성을 저하하는 요인이 된다.
이와는 다른 방법으로 도 5처럼 단부의 허용 인장응력에 맞도록 필요 이상으로 단면의 형고를 높이는 방법을 일부에서 적용하고도 있지만 이러한 방법은 프리텐션 PSC I형 거더의 경제성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면 보다 경제성이 우수한 디본딩 방식을 적용한 프리텐션 PSC I형 거더를 제작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본딩 방식을 적용한 프리텐션 피에스씨(PSC) I형 거더의 구조도, 도 7은 도 6의 A-A선에 따른 단면 구조도, 도 8은 도 6의 B-B선에 따른 단면 구조도, 도 9는 포스트 텐션 강선과 프리텐션 강선이 배치된 상태의 구조도, 그리고 도 10은 도 9의 종단면 구조도이다.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프리텐션 PSC I형 거더는 포스트 텐션 방식에 비하여 정착구, 쉬스관, 그라우팅 등이 없어 경제적이고 시공성이 우수하고, 쉬스관 설치를 위한 두꺼운 복부와 정착구 설치를 위한 정착단부가 필요 없어 단면이 작아질 수 있으므로 경제성 및 시공성이 우수하다.
다만 이러한 프리텐션 PSC I형 거더는 구조 거동에 맞추어 강선을 절곡배치하므로 큰 규모의 반력대 및 고가의 홀드다운장치(Hold down device) 등을 필요로 하게 되어 운반이 까다로운 국내에서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근래 들어 강선을 직선으로 배치하는 디본딩(debonding) 방식을 사용하면서 반력대의 규모가 작아져서 현장에서 프리텐션을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 연구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디본딩(debonding) 방식의 프리텐션 PSC I형 거더는 구조물의 급작스런 파괴 등을 예방하고자 디본딩(debonding)강선의 개수를 제한하는 설계기준으로 인하여 단부 상연에 큰 인장응력을 발생시키는 구조적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적용하면 이러한 구조적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디본딩(debonding) 방식의 프리텐션 거더의 장점을 모두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디본딩 방식을 적용한 프리텐션 PSC I형 거더(110)는 단부 상연에 과도하게 발생하는 인장력을 어떻게 경제적이고 합리적으로 처리하는가가 문제의 핵심이 될 수 있는데, 가장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방안은 단부의 형고를 높이는 방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6처럼 거더(110)의 단부(110a)와 거더(110)의 중앙부(110b)의 높이가 다른 변단면이 적용된 거더(110)를 제안하고 있다.
이때, 거더(110)는 그 단부(110a)의 높이가 높고, 중앙부(110b)의 높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거더(110)는 양단부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가 적용되면 단부(110a)의 상연에 과도하게 발생되는 인장력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부연 설명하면, 도 7 및 도 8과 같이, 본 발명처럼 프리텐션 PSC I형 거더(110)에 변단면을 적용하면 동일한 높이의 단면을 적용할 때보다 단부(110a) 상연의 인장응력 저감효과는 다음의 [수학식 1]로 알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2038873680-pat00001
P : 프리스트레싱력 A : 거더 단면적
Z : 거더 단면계수 e : 강선 편심
M : 외력에 의한 모멘트
여기서, P와 M은 단면 변화와 상관없는 인자이므로 동일한 값을 갖는다. 이에 반하여, 거더 단면적 A와 거더 단면계수 Z값은 단면의 높이가 높아지면 그 값이 커지게 되고, 상기 [수학식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모두 분모에 들어가는 값이므로 값이 커지면 응력이 감소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강선의 편심은 도 7 및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형고가 높이지면 편심이 적어지게 되므로 강선의 편심이 적어지게 된다. 또한 강선의 편심은 상기 [수학식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분자에 위치하므로 편심이 적어질수록 응력은 적어지게 된다. 따라서 도 7 및 도 8과 같은 변단면을 적용하게 되면 PSC I형 거더(110)의 단부(110a) 상연에 발생하는 과도한 인장력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방법이 구조적, 경관적, 시공적 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많으나, 교량을 가설하는 지역의 사정상 부득이하게 교량형고를 높일 수 없는 지역이 있을 수도 있다.
예컨대, 하천의 홍수위가 높은 지역 또는 도심지에서 통과높이의 제약이 있는 곳 등에서는 상기와 같은 방법을 적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와 같은 지역에 적용하기 위하여서는 단부(110a)의 형고를 높이지 않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경제성 있는 방안이 필요할 수도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서는 강선의 절곡배치 방안을 응용하면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방안이 효율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참고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강선의 절곡배치는 구조적으로는 유리하나, 반력대 규모의 증대 및 긴장 시 절곡부에서 강선의 부상 방지를 위한 홀드다운장치(Hold down Device) 등이 경제성 및 시공성을 악화시키는 요인이다. 따라서 절곡배치된 강선만을 프리텐션 방식이 아닌 포스트 텐션 방식(post tension type)으로 적용하면 해결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본딩 방식을 적용한 프리텐션 피에스씨(PSC) I형 거더(110)는 거더(110)의 단부에 디본딩(debonding)을 적용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거더(110)는 교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부 플랜지의 하면이 곡선을 형성할 수 있으며, 거더(110)의 전 구간에 걸쳐 프리텐션 강선(도 9 참조)이 직선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부 플랜지의 상면이 직선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본딩 방식을 적용한 프리텐션 피에스씨(PSC) I형 거더(110)에는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비부착 단일 강선(Unbonded mono strand, 120)이 곡선으로 배치될 수 있다. 비부착 단일 강선(Unbonded mono strand, 120)들의 외측에는 피복재(HDPE 또는 PVC, 130)가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절곡배치된 강선에 일반적인 포스트 텐션을 적용하게 되면, 거더 복부로 쉬스관이 통과하여야 하므로 복부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단부의 정착부도 단면이 커져야 하는 등 전체적인 수량의 증가로 인하여 경제성이 떨어지고 시공도 어려워지게 된다. 또한 쉬스관 설치, 그라우팅 등 많은 작업을 필요로 함으로서 이 또한 경제성 및 시공성 저하에 큰 영향을 준다.
따라서 절곡배치되는 강선의 개수가 많지 않은 점을 고려할 때 본 발명처럼 쉬스관 배치 및 그라우팅 등이 필요 없는 비부착 단일 강선(Unbonded mono strand, 120)을 적용하면 기존 포스트 텐션 방식의 문제점을 손쉽게 해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본딩 방식을 적용한 프리텐션 피에스씨(PSC) I형 거더(110)는 기본적인 구조적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 이외에 부수적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첫째, 현재 알려지고 있는 일반적인 PSC I형 거더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거더(110)의 단부와 중앙부의 높이 차이에 의한 곡면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교량의 경관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더(110) 단면의 모서리 부분을 곡면으로 처리함으로써 미관이 증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거더(110)의 단면 모서리 부분에 곡면부(110c)가 형성되면 하중이 작용할 경우 응력완화의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거더(110)는 그 단부(110a)의 높이가 높고, 중앙부(110b)의 높이가 낮게 형성되기 때문에, 거더 전체의 형고를 높이는 것보다 부분적인 단면 증대로 수량증가를 적게 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이 우수하다.
셋째, 거더(110) 전체의 형고를 높이는 것보다 자중이 축소되어 가설이 용이하다.
이상과 같은 방식은 가설지역의 여건이 교량 형하공간에 제약이 있는 경우에 적합한 공법이라 할 수 있으며, 기존 디본딩(debonding)을 이용한 프리텐션 PSC I형 거더의 구조적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그 장점을 그대로 취할 수 있는 공법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피에스씨(PSC) I형 거더에서 발생되는 구조적 문제점을 합리적이고 경제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거더
110a : 단부
110b : 중앙부
110c : 곡면부
120 : 비부착 단일 강선

Claims (5)

  1. 프리텐션 피에스씨(PSC) I형 거더에 있어서,
    상기 거더는 그 단부의 높이가 높고 중앙의 높이가 낮게 형성되되 상기 거더는 양단부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거더는 교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부 플랜지의 하면이 곡선을 형성하며,
    상기 거더의 전 구간에 걸쳐 프리텐션 강선이 직선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부 플랜지의 상면이 직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본딩 방식을 적용한 프리텐션 피에스씨(PSC) I형 거더.
  2. 삭제
  3. 삭제
  4. 프리텐션 피에스씨(PSC) I형 거더에 있어서,
    포스트 텐션용 비부착 단일 강선(Unbonded mono strand)이 곡선으로 배치되며,
    상기 거더의 단면 모서리 부분에 곡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본딩 방식을 적용한 프리텐션 피에스씨(PSC) I형 거더.
  5. 삭제
KR1020120051611A 2012-05-15 2012-05-15 디본딩 방식을 적용한 프리텐션 피에스씨 i형 거더 KR101265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611A KR101265544B1 (ko) 2012-05-15 2012-05-15 디본딩 방식을 적용한 프리텐션 피에스씨 i형 거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611A KR101265544B1 (ko) 2012-05-15 2012-05-15 디본딩 방식을 적용한 프리텐션 피에스씨 i형 거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5544B1 true KR101265544B1 (ko) 2013-05-20

Family

ID=48666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611A KR101265544B1 (ko) 2012-05-15 2012-05-15 디본딩 방식을 적용한 프리텐션 피에스씨 i형 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55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802A (ko) * 2016-12-06 2018-06-15 홍주이엔씨(주) 가변형 바닥몰드를 구비한 fslm 거더용 몰드
CN111636286A (zh) * 2020-05-12 2020-09-08 济南市市政工程设计研究院(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先张法折线预应力工字梁桥及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1431B1 (ko) 1998-11-07 2001-10-29 박상일 긴장력조정이가능한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거더
KR100511216B1 (ko) 2005-02-23 2005-08-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아치형상의 콘크리트 충전 강재 합성거더와 긴장재로 이루어진 복합거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1431B1 (ko) 1998-11-07 2001-10-29 박상일 긴장력조정이가능한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거더
KR100511216B1 (ko) 2005-02-23 2005-08-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아치형상의 콘크리트 충전 강재 합성거더와 긴장재로 이루어진 복합거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802A (ko) * 2016-12-06 2018-06-15 홍주이엔씨(주) 가변형 바닥몰드를 구비한 fslm 거더용 몰드
KR101956696B1 (ko) * 2016-12-06 2019-03-12 홍주이엔씨(주) 가변형 바닥몰드를 구비한 fslm 거더용 몰드
CN111636286A (zh) * 2020-05-12 2020-09-08 济南市市政工程设计研究院(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先张法折线预应力工字梁桥及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5615B2 (en) Prestressed composite truss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Sulaiman et al. A review on bond and anchorage of confined high-strength concrete
US6247279B1 (en) Retrofitting existing concrete columns by external prestressing
CN107407100A (zh) 通过sma张力元件产生预应力结构和结构部件的方法,以及配备sma张力元件的结构和结构部件
CN108252203A (zh) 一种混合配置frp筋与普通钢筋的拼装混凝土墩体系
CN110206143A (zh) 一种后张法预应力装配混凝土框架结构的施工方法
Morcous et al. Use of 0.7-in.-diameter strands in pretensioned bridge girders.
KR20130100681A (ko) 3조각 하이브리드 빔 및 그 제작방법
CN201133085Y (zh) 一种提高体外预应力效应的结构
KR101152444B1 (ko)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및 그 제조방법
CN105544415A (zh) 混凝土桥梁加固方法及加固结构
KR101265544B1 (ko) 디본딩 방식을 적용한 프리텐션 피에스씨 i형 거더
KR101248564B1 (ko) 프리텐션 방식의 피에스씨거더 긴장재 배치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피에스씨 거더
JP2014227754A (ja) 橋桁および橋桁の施工方法
KR101812020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KR20180008206A (ko) 횡단면 압축 좌굴이 보강된 프리캐스트 바닥판
Hwang et al. Structural capacity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s with U-shaped transverse bars
KR102077385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
KR20130127305A (ko) 조인트 하이브리드 보강 교량용 거더
CN102619338A (zh) 超长环梁的预应力筋的施工方法
Ruangrassamee et al. Seismic enhancement of reinforced-concrete columns by rebar-restraining collars
KR20060057233A (ko) 슬래브 단부 보강이 용이하고 유지보수시 재긴장이 가능한피에스씨 아이빔 및 그 피에스씨 아이빔을 이용한 교량시공·보수 방법
EP3964661A1 (en) Post-tensioned concrete with fibers for slabs on supports
KR102396913B1 (ko) 중공형 강재를 활용한 거더 및 이의 시공방법
CN220665951U (zh) 一种基于cfrp预应力筋的uhpc-nc组合梁体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