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2876B1 - 하체 재활훈련 장치 - Google Patents

하체 재활훈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2876B1
KR101262876B1 KR1020100134476A KR20100134476A KR101262876B1 KR 101262876 B1 KR101262876 B1 KR 101262876B1 KR 1020100134476 A KR1020100134476 A KR 1020100134476A KR 20100134476 A KR20100134476 A KR 20100134476A KR 101262876 B1 KR101262876 B1 KR 101262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body
load
user
scaffol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4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2631A (ko
Inventor
박형기
정광욱
Original Assignee
(주)맨엔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맨엔텔 filed Critical (주)맨엔텔
Priority to KR1020100134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876B1/ko
Publication of KR20120072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2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7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secured to the patient, e.g. with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61H2201/5046Touch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8Audio interfaces, e.g. voice or music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62Posture
    • A61H2230/625Posture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80Weight
    • A61H2230/805Weight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63B2024/0012Comparing movements or motion sequences with a registered reference
    • A63B2024/0015Comparing movements or motion sequences with computerised simulations of movements or motion sequences, e.g. for generating an ideal template as reference to be achieved by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체 재활훈련 장치에 관한 것으로, 체중의 변화 및 관절 각도의 변화를 변수로 하는 편마비 상태를 측정하고 재활훈련시 이러한 측정값을 디스플레이하는 하체 재활훈련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상면에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하는 교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교정부에 연동하여 하체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 측정부가 내장된 발판부; 하체 기울기를 측정하는 틸트 센서; 상기 발판부의 일측 중앙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며, 상기 하중 측정 정보 및 훈련 정보를 제공하는 본체; 상기 발판부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대의 양측 및 상기 발판부의 타측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상기 발판부 일측의 상기 연장부의 상측과 상기 발판부 타측의 상기 연장부의 상측을 각각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발판부 일측의 상기 연장부의 중앙부와 상기 발판부 타측의 상기 연장부의 중앙부를 각각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안정봉; 및 및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전벨트;를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재활훈련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발하는 동시에 재활훈련시의 하체 하중 및 기울기를 실시간으로 확인 및 비교할 수 있어 하체 편미비에 대한 재활훈련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체 재활훈련 장치{Apparatus for rehabilitation training}
본 발명은 하체 재활훈련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체중의 변화 및 관절 각도의 변화를 변수로 하는 편마비 상태를 측정하고 재활훈련시 이러한 측정값을 디스플레이하는 하체 재활훈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마비는 한측이 필요한 근력을 내지 못하는 상태로서,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또는 뇌성 마비 등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편마비 환자를 치료하기 위하여 근력 강화 훈련, 근육조절 훈련, 스트레칭, 균형 훈련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편마비 환자는 의도적으로 정상적인 하체를 의지하여 움직이려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편마비 하체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더욱 근력을 잃게 된다. 따라서 편마비에 대한 재활방법은 편마비 하체를 의도적 또는 강제적으로 사용하여 근력을 강화시키도록 하는 방법이 가장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종래의 하체 재활훈련을 위한 다양한 방법 및 장치가 제안되고 있는데, 환자의 자세에 따른 하중 및 무릎 관절 기울기를 측정하는 것에 불과하여 실질적으로 근력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이나 방법이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과 의지에 의해 능동적으로 재활훈련을 유도할 수 있는 하체 재활훈련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면에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하는 교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교정부에 연동하여 하체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 측정부가 내장된 발판부; 하체 기울기를 측정하는 틸트 센서; 상기 발판부의 일측 중앙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며, 상기 하중 측정 정보 및 훈련 정보를 제공하는 본체; 상기 발판부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대의 양측 및 상기 발판부의 타측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상기 발판부 일측의 상기 연장부의 상측과 상기 발판부 타측의 상기 연장부의 상측을 각각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발판부 일측의 상기 연장부의 중앙부와 상기 발판부 타측의 상기 연장부의 중앙부를 각각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안정봉; 및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전벨트;를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정부는 상기 발판부의 상면에 발 형상의 음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정부는 상기 발판부의 일측 상에 형성되는 고정 가이드, 상기 고정 가이드의 좌우측에 형성되며 상기 발판부에 형성되는 슬롯을 따라 이동가능한 한쌍의 이동 가이드, 및 상기 이동 가이드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가이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정부는 상기 발판부의 상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착용가능한 샌들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는 하측 다수의 개소에 상기 안전 벨트가 고정되는 연결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전벨트는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벨트, 상기 벨트를 상기 고정부에 연결하는 안전띠, 및 상기 벨트의 다수 개소에 형성된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벨트와 상기 안전띠를 연결하고 상기 연결고리에 상기 안전띠를 연결하는 연결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상기 측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선택이 입력되는 터치 스크린, 상기 하중 측정부 및 상기 틸트 센서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하중 데이터 및 하중 밸런스 데이터를 산출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측정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상기 하중 측정값 및 상기 기울기 측정값을 기준점으로 설정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상기 측정 정보 및 상기 훈련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중 측정부로부터 좌측 하중과 우측 하중을 입력받아 전체 하중을 연산하고, 상기 측정값 및 연산값을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매 측정시마다 상기 좌측 하중 및 우측 하중을 누적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누적 저장 정보를 기초로 좌우 균형 차트를 생성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목표 훈련 횟수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하체의 굽히기/펴기 1회 실시할 때마다 사용자의 하체 하중 및 하체 기울기를 측정하며, 상기 1회 실시에 따른 하체 하중 및 하체 기울기에 대응하는 도형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체 재활훈련 장치는 체중의 변화 및 관절 각도의 변화를 변수로 하는 편마비 상태를 측정하고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선택과 의지에 의해 능동적으로 재활훈련을 유도함으로써, 하체 편마비에 대한 재활훈련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하는 안전 벨트 및 좌우측의 안전봉 등을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재활훈련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활훈련시 측정되는 하중 및 기울기 정보를 훈련 횟수와 함께 도식화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발하는 동시에 재활훈련시의 하체 하중 및 기울기를 실시간으로 확인 및 비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체 재활훈련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발판부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체 재활훈련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4는 하체 하중에 대한 측정값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하체 좌우 균형 차트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하체 훈련시 측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기준점 설정 방법을 설명한 순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체 재활훈련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하체 재활훈련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체 재활훈련 장치의 사시도이다.
하체 재활훈련 장치(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본체(100), 본체(100)를 지지하는 지지대(200), 지지대(200)가 수직 연결되는 발판부(300), 발판부(300)로부터 수직 형성되는 안전 가이드(400) 및 안전 가이드(400)에 연결 고정되고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전 벨트(5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지지대(200)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발목에 착용되는 틸트 센서(120) 및 발판부(300)에 내장되는 하중 측정부(130)에서 측정된 하중 측정, 기울기 정보 및 훈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하중은 사용자의 체중에 대응하며 기울기는 무릎의 기울기로서 관절의 각도에 대응한다. 이러한 본체(100)는 "ㄴ"자 형상의 케이스를 포함하며, 그 중앙부에 터치 스크린(110)이 배치되고, 지지대(200)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밑판은 사용자가 훈련시 또는 터치 스크린(110) 입력시 지지할 수 있도록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원 스위치 등의 입력 스위치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대(200)는 발판부(300)의 일측 중앙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며, 본체(100)를 지지한다. 지지대(200)는 사용자의 허리와 가슴 정도에 위치하도록 하는 높이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판부(300)는 사각형상의 판 형상을 이루며, 중앙 상면에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하는 교정부(310)가 형성되고, 교정부(310)에 연동하여 사용자의 하체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 측정부(130)가 내장된다. 교정부(310)는 발 형상의 음각으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측정시 또는 훈련시 올바른 자세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예를 들면, 사용자가 하체중 어느 쪽이 불편한 편마비의 경우, 발의 자세가 똑바로 서지 못하고 어느 한쪽 발의 각도가 벌어짐을 교정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교정부(310)는 발바닥이 어느 정도 안착될 수 있도록 일정 깊이로 형성된다.
도 2는 도 1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발판부의 평면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정부(310)는 가이드(320)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가이드(320)는 발판부(300)의 일측 상에 형성되는 고정 가이드(322), 고정 가이드(322)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한쌍의 이동 가이드(326) 및 이동 가이드(326)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328)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 가이드(322)는 발판부(300)에 고정 형성되며, 발판부(300)에는 슬롯(324)이 형성되고, 이동 가이드(326)는 슬롯(324)을 따라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가이드(326)가 양측 모두 이동 가능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어느 하나의 이동 가이드(326)는 발판부(300)에 고정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가이드(320)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의 발 크기에 맞추어 하체 재활훈련 장치(10)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정부(310)는 샌들(330)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샌들(330)은 사용자가 착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발판부(300)에 부착 된다. 예를 들면, 샌들(330)은 전면에 개방부(322)를 형성하고 중앙부에 발고정부(334)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교정용 샌들(330)이 전면이 개방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면 전체에 걸쳐 발고정부(334)가 형성될 수도 있다.
안전 가이드(400)는 상단에 형성되는 고정부(410), 고정부(410)에 수직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420) 및 발판부(300)의 양측에 형성되는 안전봉(430)을 포함한다.
고정부(410)는 발판부(300)와 수평을 이루도록 연장부(420)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며, 하측 다수의 개소에 안전 벨트(500)가 고정되는 연결 고리(412)가 형성된다. 여기서 연결 고리(412)는 안전 벨트(500)의 형성에 따라 형성 개수가 결정되며, 바람직하게는 4개소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부(420)는 고정부(410)와 발판부(300) 사이를 수직 연장하며, 지지대(200)의 양측에 형성된다.
안전봉(430)은 연장부(420)의 외곽부에 형성되며, 발판부(300)로부터 수직방향으로 "∩"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안전봉(430)은 발판부(300)의 일측 및 타측에서 수직 형성되고, 일정 높이에서 서로 수평하게 연장 형성된다. 안전봉(430)의 수평 연장부는 사용자가 훈련시 지지하는 기능을 가지며, 사용자의 허리 정도의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 벨트(500)는 하체 재활훈련시 사용자가 허리에 착용하여 쓰러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며, 고정부(410)에 연결된다. 이러한 안전 벨트(500)는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벨트(510), 벨트(510)를 고정부(410)에 연결하는 안전띠(520) 및 벨트(510)와 안전띠(520)를 연결하고 안전띠(520)와 고정부(410)를 연결하는 연결 클립(530)을 포함한다. 벨트(510)는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하여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며, 구체적인 모양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일정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측의 다수 개소에 연결 클립(530)이 연결되는 연결부(512)가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부(512)는 벨트(510) 후방 중앙 및 전방 양측의 3개소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띠(520)는 길이 조정이 가능하며, 안정성을 위하여 일정 폭으로 형성된다. 연결 클립(530)은 안전띠(520)의 일측 및 타측에 삽입되며 고정부(410)의 연결 고리(412) 및 벨트(510)의 연결부(512)에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 클립(530)은 연결 고리(412), 안전띠(520) 및 연결부(512)에 탈착 가능한 형태이면 그 모양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하체 재활훈련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체 재활훈련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4는 하체 하중에 대한 측정값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하체 좌우 균형 차트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하체 훈련시 측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하체 재활훈련 장치(10)는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선택이 입력되는 터치 스크린(110), 사용자의 하체 기울기를 측정하는 틸트 센서(120), 사용자의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 측정부(130), 측정 정보를 기초로 각종 데이터를 산출하고 훈련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40), 각종 정보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 출력부(150) 및 측정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160)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10)은 디스플레이 기능 및 사용자 선택 입력 기능이 동시에 구비되며, 본체(100)의 중앙부에 설치된다. 틸트 센서(120)는 사용자의 발목에 착용되어 무릎 관절 각도에 대응하는 하체 기울기를 측정하는데, 사용자의 발목 바깥측에 착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중 측정부(130)는 발판부(300)의 교정부(310)에 대응하여 발판부(300)에 내장되며, 하체 하중을 측정한다.
제어부(140)는 하중 측정부(130) 및 틸트 센서(120)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하중 데이터 및 하중 밸런스 데이터를 산출하여 터치 스크린(11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하체 재활훈련 장치(10)를 이용한 재활훈련을 시작하는 경우, 사용자가 기준점을 설정하는데, 이때,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하체 하중의 측정값 및 하체 기울기의 측정값을 기준점으로 설정하여 저장부(160)에 저장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터치 스크린(110)을 통하여 양측 발모양(112)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중 측정을 위한 자세를 설정한 후 측정을 선택하면 하중 측정부(130)에서 측정된 양측 하체에 대한 하중 측정값을 좌측 측정값(114)과 우측 측정값(116)으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좌우측 하중 측정값을 합산하여 전체 하중을 연산하고 연산된 전체 하중(118)을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일측 하체가 불편한 편마비 사용자의 경우, 좌우측 하중이 다르며 재활 훈련에 따라 변화되는데, 하체 재활훈련 장치(10)는 이와 같은 상태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좌우 균형 차트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매 측정시마다 좌측 하중 및 우측 하중을 누적하여 저장부(160)에 저장하고, 누적 정보를 기초로 좌우 균형 차트를 생성하여 터치 스크린(11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좌우 균형 차트에 사용되는 좌우측 하중은 기준점 설정시의 측정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좌우 균형 차트를 통하여 일측 하체가 불편한 편마비 사용자는 정상 하체에 비교하여 불편한 하체의 상태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하체 재활훈련을 지루하지 않게 수행하거나 목표를 가지고 지속할 수 있도록 훈련 상태를 디스플레이하여 훈련에 따른 집중도 및 그에 따른 상태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체 재활훈련 장치(10)는 목표 훈련 횟수(720)를 터치 스크린(110)에 디스플레이하고 훈련을 진행함에 따른 훈련 횟수 및 훈련 상태를 도식화(710)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하체의 굽히기/펴기를 1회 실시할 때마다 제어부(140)는 사각형 블록(710)을 하나씩 형성하여 목표 훈련 횟수만큼 블록을 쌓도록 터치 패드(110)에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사각형 블록(710)은 1회 실시에 따른 하체 하중 및 하체 기울기에 따라 크기가 형성되며, 예를 들면 블록(710)의 세로 길이는 하체 기울기의 크기이고 가로 길이는 하체 하중의 크기로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훈련횐수 및 훈련 상태의 도식화(710)가 사각형 블록인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하체 하중 및 하체 기울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내포하는 임의의 도형일 수도 있다.
음성 출력부(150)는 틸트 센서(120) 및 하중 측정부(130)에서 측정된 측정 정보, 제어부(140)에서 연산된 데이터, 훈련 관련 정보 등 터치 스크린(110)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며, 예를 들면, 본체(100)의 하부에 내장되는 스피커 일 수 있다.
저장부(160)는 측정 정보를 기초로 제어부(140)에서 산출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며, 본체(100)에 내장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체 재활훈련 장치(10)의 기준점 설정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기준점 설정 방법을 설명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체 재활훈련 장치(10)의 기준점 설정 방법은 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단계 S701), 사용자의 측정자세를 안내하는 단계(단계 S702), 기준점 설정을 선택하는 단계(단계 S703), 좌우측 하체의 하중을 측정하는 단계(단계 S704), 및 기준점을 연산하여 저장하는 단계(단계 S705)를 포함한다.
먼저, 사용자가 재활 훈련 시작시 현재 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기준점 설정 메뉴를 선택하면, 하체 재활훈련 장치(10)는 기준점 설정 메뉴를 터치 스크린(110)에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701).
이때, 하체 재활훈련 장치(10)는 터치 스크린(110)을 통하여 기준점 측정을 위한 간단한 안내를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면, 무릎을 바르게 편 상태에서 자세를 최대한 편하게 하도록 안내를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702).
이와 같은 안내에 따라 사용자가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기준점을 설정하도록 기준 설정 버튼을 입력한다(단계 S703).
틸트 센서(120) 및 하중 측정부(130)가 설정 버튼 입력시의 사용자 하체의 하중과 무릎의 기울기를 측정한다(단계 S704). 이때, 제어부(140)는 측정된 하체 하중을 좌우측으로 구분하여 각각 디스플레이하고 전체 하중을 연산하여 함께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140)는 틸트 센서(120) 및 하중 측정부(130)에서 측정된 하체 하중 및 하체 기울기를 기준점으로 설정하여 저장부(160)에 저장한다(단계 S705). 이후에 진행되는 재활훈련시 기설정된 기준점 정보를 측정값 및 훈련 정보가 산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체 재활훈련 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발목에 발판부(300)의 교정부(310)에 발을 위치시키고 틸트 센서(120)를 발목에 착용한다. 이때, 틸트 센서(120)는 사용자의 좌우 하체중 재활훈련이 요구되는 하체에 착용한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허리에 안전 벨트(500)를 착용하고, 안전띠(520)를 연결 클립(530)을 통하여 고정부(410)의 연결 고리(412)에 연결한다.
이와 같이 재활훈련이 준비된 상태에서, 전원이 온되면, 제어부(140)는 터치 스크린(110)에 틸트 센서(120)를 부착한 위치를 선택하도록 양발 모양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제어부(140)는 선택된 발이 훈련이 요구되는 것으로 인식한다.
사용자가 올바른 자세로 선 상태에서 측정을 선택하면, 좌우측 하체에 대한 하중이 측정되어 디스플레이되며, 이때 제어부(140)는 하중 측정부(130)에서 측정한 좌우측 하중을 합산하여 전체 하중을 산출하여 좌우측 하중과 함께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140)는 훈련이 요구되는 훈련량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다리 굽히기/펴기를 1회 반복하는 동안 하중 측정부(130) 및 틸트 센서(120)는 각 하체 하중 및 하체 기울기를 측정하고, 제어부(140)는 하체 하중 및 기울기에 대응하는 도형을 1개 형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이 반복 횟수에 만큼의 도형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훈련상태를 확인하는 동시에, 각 횟수에 대한 하체 하중 및 하체 기울기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 및 동작에 의해 하체 재활훈련 장치(10)는 재활훈련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발하는 동시에 재활훈련시의 하체 하중 및 기울기를 실시간으로 확인 및 비교할 수 있어 하체 편미비에 대한 재활훈련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체 재활훈련 장치의 사시도이다.
하체 재활훈련 장치(80)는 본체(101), 지지대(201) 및 발판부(300)에 수직 형성되는 안전 가이드(800)를 제외한 구성이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하체 재활훈련 장치(80)는 연장부(820)의 상단에 형성되는 고정부(810), 발판부(300)에 수직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820) 및 연장부(82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안전봉(830)을 포함한다.
고정부(810)는 발판부(300)의 일측 전면에 형성되는 연장부(820)의 상측과 발판부(300)의 타 후면에 형성되는 연장부(820)의 상측을 각각 연장하도록 형성되며, 하측 다수의 개소에 안전 벨트(500)가 고정되는 연결 고리(512)가 형성된다. 여기서 연결 고리(812)는 안전 벨트(500)의 형성에 따라 형성 개수가 결정되며, 바람직하게는 양측에 2개소씩 총 4개소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부(820)는 발판부(300)의 일측 전면에서 지지대(200)의 양측 및 발판부(300)의 타측 후면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적으로 발판부(300)의 네모서리에 형성된다.
안전봉(830)은 발판부(300) 일측 전면의 연장부(820)의 중앙부와 발판부(300) 타측 후면의 연장부(820)의 중앙부를 각각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안정봉(830)은 사용자가 훈련시 지지하는 기능을 가지며, 사용자의 허리 정도의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1)는 사각형상의 케이스를 포함하며, 그 중앙부에 터치 스크린(110)이 배치되고, 사용자의 시야각을 고려하여 앞쪽으로 약간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대(201)는 발판부(300)의 일측 중앙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며, 본체(101)를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대(201)는 본체(101) 중앙이 사용자의 눈 정도에 위치하도록 하는 높이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하체 재활훈련 장치(80)는 사용자가 직립 상태를 유지하면서 시야를 하측으로 옮기지 않고도 재활훈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재활훈련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 하체 재활훈련 장치 100 : 본체
110 : 터치 스크린 120 : 틸트 센서
130 : 하중 측정부 140 : 제어부
150 : 음성 출력부 160 : 저장부
200 : 지지대 300 : 발판부
310 : 교정부 400 : 안전 가이드
410 : 고정부 412 : 연결 고리
420 : 연장부 430 : 안전봉
500 : 안전 벨트 510 : 벨트
512 : 연결부 520 : 안전띠
530 : 연결 클립

Claims (12)

  1. 삭제
  2. 상면에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하는 교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교정부에 연동하여 하체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 측정부가 내장된 발판부;
    하체 기울기를 측정하는 틸트 센서;
    상기 발판부의 일측 중앙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며, 상기 하중 측정 정보 및 훈련 정보를 제공하는 본체;
    상기 발판부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대의 양측 및 상기 발판부의 타측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상기 발판부 일측의 상기 연장부의 상측과 상기 발판부 타측의 상기 연장부의 상측을 각각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발판부 일측의 상기 연장부의 중앙부와 상기 발판부 타측의 상기 연장부의 중앙부를 각각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안정봉; 및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전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교정부는 상기 발판부의 상면에 발 형상의 음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재활훈련 장치.
  3. 상면에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하는 교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교정부에 연동하여 하체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 측정부가 내장된 발판부;
    하체 기울기를 측정하는 틸트 센서;
    상기 발판부의 일측 중앙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며, 상기 하중 측정 정보 및 훈련 정보를 제공하는 본체;
    상기 발판부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대의 양측 및 상기 발판부의 타측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상기 발판부 일측의 상기 연장부의 상측과 상기 발판부 타측의 상기 연장부의 상측을 각각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발판부 일측의 상기 연장부의 중앙부와 상기 발판부 타측의 상기 연장부의 중앙부를 각각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안정봉; 및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전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교정부는 상기 발판부의 일측 상에 형성되는 고정 가이드, 상기 고정 가이드의 좌우측에 형성되며 상기 발판부에 형성되는 슬롯을 따라 이동가능한 한쌍의 이동 가이드, 및 상기 이동 가이드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재활훈련 장치.
  4. 상면에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하는 교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교정부에 연동하여 하체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 측정부가 내장된 발판부;
    하체 기울기를 측정하는 틸트 센서;
    상기 발판부의 일측 중앙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며, 상기 하중 측정 정보 및 훈련 정보를 제공하는 본체;
    상기 발판부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대의 양측 및 상기 발판부의 타측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상기 발판부 일측의 상기 연장부의 상측과 상기 발판부 타측의 상기 연장부의 상측을 각각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발판부 일측의 상기 연장부의 중앙부와 상기 발판부 타측의 상기 연장부의 중앙부를 각각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안정봉; 및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전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교정부는 상기 발판부의 상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착용가능한 샌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재활훈련 장치.
  5. 상면에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하는 교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교정부에 연동하여 하체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 측정부가 내장된 발판부;
    하체 기울기를 측정하는 틸트 센서;
    상기 발판부의 일측 중앙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며, 상기 하중 측정 정보 및 훈련 정보를 제공하는 본체;
    상기 발판부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대의 양측 및 상기 발판부의 타측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상기 발판부 일측의 상기 연장부의 상측과 상기 발판부 타측의 상기 연장부의 상측을 각각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발판부 일측의 상기 연장부의 중앙부와 상기 발판부 타측의 상기 연장부의 중앙부를 각각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안정봉; 및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전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하측 다수의 개소에 상기 안전 벨트가 고정되는 연결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재활훈련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는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벨트, 상기 벨트를 상기 고정부에 연결하는 안전띠, 및 상기 벨트의 다수 개소에 형성된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벨트와 상기 안전띠를 연결하고 상기 연결고리에 상기 안전띠를 연결하는 연결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재활훈련 장치.
  7. 상면에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하는 교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교정부에 연동하여 하체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 측정부가 내장된 발판부;
    하체 기울기를 측정하는 틸트 센서;
    상기 발판부의 일측 중앙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며, 상기 하중 측정 정보 및 훈련 정보를 제공하는 본체;
    상기 발판부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대의 양측 및 상기 발판부의 타측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상기 발판부 일측의 상기 연장부의 상측과 상기 발판부 타측의 상기 연장부의 상측을 각각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발판부 일측의 상기 연장부의 중앙부와 상기 발판부 타측의 상기 연장부의 중앙부를 각각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안정봉; 및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전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측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선택이 입력되는 터치 스크린, 상기 하중 측정부 및 상기 틸트 센서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하중 데이터 및 하중 밸런스 데이터를 산출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측정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재활훈련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상기 하중 측정값 및 상기 기울기 측정값을 기준점으로 설정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재활훈련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측정 정보 및 상기 훈련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재활훈련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중 측정부로부터 좌측 하중과 우측 하중을 입력받아 전체 하중을 연산하고, 상기 측정값 및 연산값을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재활훈련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매 측정시마다 상기 좌측 하중 및 우측 하중을 누적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누적 저장 정보를 기초로 좌우 균형 차트를 생성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재활훈련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목표 훈련 횟수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하체의 굽히기/펴기 1회 실시할 때마다 사용자의 하체 하중 및 하체 기울기를 측정하며, 상기 1회 실시에 따른 하체 하중 및 하체 기울기에 대응하는 도형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재활훈련 장치.
KR1020100134476A 2010-12-24 2010-12-24 하체 재활훈련 장치 KR101262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476A KR101262876B1 (ko) 2010-12-24 2010-12-24 하체 재활훈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476A KR101262876B1 (ko) 2010-12-24 2010-12-24 하체 재활훈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631A KR20120072631A (ko) 2012-07-04
KR101262876B1 true KR101262876B1 (ko) 2013-05-09

Family

ID=46707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4476A KR101262876B1 (ko) 2010-12-24 2010-12-24 하체 재활훈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28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6420A (ko) * 2018-08-31 2020-03-11 (주)맨엔텔 재활훈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활훈련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91827B (zh) * 2018-09-11 2020-09-11 苏州市立医院(苏州市妇幼保健院、苏州市中心体检站、苏州市公惠医院、苏州市立医院司法鉴定所、苏州市肿瘤诊疗中心) 偏瘫康复用姿势平衡训练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9108A (ja) 1999-02-10 2000-08-22 Senoh Corp 歩行訓練装置
KR200267994Y1 (ko) 2001-09-15 2002-03-15 정대진 실내용 다리 운동기구
KR100795195B1 (ko) * 2006-09-20 2008-01-1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편마비 환자의 보행훈련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9108A (ja) 1999-02-10 2000-08-22 Senoh Corp 歩行訓練装置
KR200267994Y1 (ko) 2001-09-15 2002-03-15 정대진 실내용 다리 운동기구
KR100795195B1 (ko) * 2006-09-20 2008-01-1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편마비 환자의 보행훈련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6420A (ko) * 2018-08-31 2020-03-11 (주)맨엔텔 재활훈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활훈련 방법
KR102113221B1 (ko) * 2018-08-31 2020-05-22 (주)맨엔텔 재활훈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활훈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631A (ko)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8369B2 (ja) バランスの取れた二足姿勢を検出するための動的姿勢器具
KR101138012B1 (ko) 복수 개의 측정 자세에서 사용자의 균형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4990719B2 (ja) 健康測定装置
US20080312040A1 (en) Exercise Aid Device
KR102012348B1 (ko) 병렬 로봇을 이용한 체간 재활 장치
JP6871576B2 (ja) センサの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この方法に用いるための椅子及び、この方法を実行する歩行動作計測システム
US20230149777A1 (en) Processing system,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KR20150113671A (ko) 자세 교정 장치 및 그의 운용방법
US20230149776A1 (en) Processing system,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JP2016019720A (ja) 運動補助装置
JP6218307B2 (ja) 起立動作誘導システム
JP6281876B2 (ja) 運動器評価システム及び運動器評価方法
JP2021019852A (ja) 下肢筋力トレーニング装置
KR101262876B1 (ko) 하체 재활훈련 장치
JP2014207957A (ja) 運動補助装置
KR20210047236A (ko) 균형 훈련 장치
US20140200733A1 (en) Support apparatus and support method
KR101262875B1 (ko) 측정 정보를 통한 하체 재활훈련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51451A (ko) 압력발판 및 손잡이를 이용한 신체 자세 측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신체 자세 측정방법
KR20190104085A (ko) 자세 측정에 기반한 걸음 제안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60026373A (ko) 스쿼트 운동기구
KR101302980B1 (ko) 게임을 통한 하체 재활훈련 장치 및 그 방법
KR101989822B1 (ko) 균형훈련과 체중지지훈련을 보조하는 재활 시스템
JP2011024911A (ja) 下肢訓練装置
JP2015080618A (ja) 運動補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