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9286B1 -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조립형 지지모듈 - Google Patents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조립형 지지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9286B1
KR101249286B1 KR1020100122068A KR20100122068A KR101249286B1 KR 101249286 B1 KR101249286 B1 KR 101249286B1 KR 1020100122068 A KR1020100122068 A KR 1020100122068A KR 20100122068 A KR20100122068 A KR 20100122068A KR 101249286 B1 KR101249286 B1 KR 101249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late
sleeve
transmission line
bending deg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2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0527A (ko
Inventor
신무현
박진웅
Original Assignee
신무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무현 filed Critical 신무현
Priority to KR1020100122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9286B1/ko
Publication of KR20120060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28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연성을 갖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에 형성된 복수의 수용공간들 중 일부에 삽입되어 상기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처짐을 방지하는 지지모듈에 있어서, 유연성을 구비한 평판; 및 상기 평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열되도록 상기 평판에 결합되는 복수의 단위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블록은, 상기 평판의 상면에 결합되는 처짐방지블록; 상기 평판의 하면에 결합되는 굽힘정도 제한블록; 및 상기 처짐방지블록 및 굽힘정도 제한블록을 상기 평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블록에 포함된 처짐방지블록과 상기 단위블록에 이웃하여 위치하는 이웃단위블록에 포함된 처짐방지블록은 펴진 평판의 처짐을 상호 접촉을 통해 방지하고, 상기 단위블록에 포함된 굽힘정도 제한블록과 상기 이웃단위블록에 포함된 굽힘정도 제한블록은 굽혀진 평판의 굽힘정도를 상호 접촉을 통해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조립형 지지모듈{ASSEMBLED-TYPE MODULE FOR SUPPORTING TRANSMIOOSIN LINE SLEEVE}
본 발명은 전송라인용 슬리브, 즉 분진과 소음의 발생 없이 케이블, 에어호스 등의 전송라인을 보호하면서 굽힘과 펴짐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슬리브의 처짐을 방지하는 지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현재, 반도체 장비, 크린룸 설비, 로봇 등과 같은 각종 산업기계에는 에너지 공급 또는 신호 전송을 위해 케이블, 에어호스 등과 같은 전송라인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송라인을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이동시키기 위해 전송라인 베이어(transmission line veyor)가 사용되고 있다. 전송라인 베이어는 케이블 베이어(cable veyor)라 칭해지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전송라인 베이어는 일렬로 나열된 복수의 단위블록과, 상기 복수의 단위블록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한다. 연결부는 전송라인 베이어의 굽힘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단위블록을 연결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전송라인 베이어에 따르면, 굽힘과 펴짐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서로 이웃하여 위치하는 단위블록들 간 마찰, 단위블록들과 전송라인 간 마찰이 수반된다. 따라서, 상기 전송라인 베이어에 의하면, 굽힘과 펴짐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소음과 분진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소음은 작업 환경의 열악화를 초래하고, 상기 분진은 산업기계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유연성을 갖는 슬리브(sleeve)는 이러한 개선책의 일환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도 1은 전송라인용 슬리브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전송라인용 슬리브(10)는 산업기계의 고정부에 고정되는 일단(12)과 산업기계의 이동부에 고정되어 이동부와 함께 왕복운동을 수행하는 반대단(14)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스리브(10)는 유연성을 갖는 상부부재(20)와 유연성을 갖는 하부부재(4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부재(20)의 일부와 하부부재(40)의 일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부착되고, 부착되지 않은 상부부재(20)의 부위와 하부부재(40)의 부위 사이의 수용공간(50)에는 전송라인(16)이 삽입된다.
상기 슬리브(10)에 의하면, 관절의 부재로 인해 굽힘과 펴짐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분진 및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슬리브(10)의 길이가 길고 전송라인(16)이 무거운 경우, 슬리브(10)에는 전송라인(16)의 자중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짐이 발생한다. 따라서, 슬리브(10)의 수용공간(50) 중 최외곽에 위치하는 2개의 수용공간에는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모듈이 삽입된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지지모듈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종래의 슬리브 지지모듈(6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성을 구비한 평판(62)과, 상기 평판(62)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열되도록 상기 평판(62)에 고정된 복수의 처짐방지블록(64)을 포함한다. 평판(62)은 처짐방지블록(64)의 하단부위를 관통하면서 연장하고, 이로써 평판(62)과 처짐방지블록(64) 간 고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평판(62)이 굽혀지면 이웃하는 처짐방지블록(64)들은 서로 이격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평판(62)이 펴졌을 경우에는 이웃하여 위치하는 처짐방지블록(64)들은 서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모듈(60)이 전송라인용 슬리브(10)의 수용공간(50)에 삽입되면 슬리브(10)의 처짐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지지모듈(60)에 의하면 굽혀진 평판(62)의 곡률반경(R)이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지지모듈(60)이 도 3과 같이 굽혀진 상태에서 힘을 받으면, 평판(62)의 부위 중 굽혀진 부위(62a)가 꺾이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지지모듈(60)에 의하면, 평판(62)이 처짐방지블록(64)의 하단부위를 관통하면서 연장하고 이로써 처짐방지블록(64)이 평판(62)에 고정된다. 따라서, 복수의 처짐방지블록(64)들 중 일부만을 교체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곡률반경이 제한되면서 굽혀질 수 있고, 처짐방지블록들 중 일부만의 교체를 가능케 하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연성을 갖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에 형성된 복수의 수용공간들 중 일부에 삽입되어 상기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처짐을 방지하는 지지모듈에 있어서, 유연성을 구비한 평판; 및 상기 평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열되도록 상기 평판에 결합되는 복수의 단위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블록은, 상기 평판의 상면에 결합되는 처짐방지블록; 상기 평판의 하면에 결합되는 굽힘정도 제한블록; 및 상기 처짐방지블록 및 굽힘정도 제한블록을 상기 평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블록에 포함된 처짐방지블록과 상기 단위블록에 이웃하여 위치하는 이웃단위블록에 포함된 처짐방지블록은 펴진 평판의 처짐을 상호 접촉을 통해 방지하고, 상기 단위블록에 포함된 굽힘정도 제한블록과 상기 이웃단위블록에 포함된 굽힘정도 제한블록은 굽혀진 평판의 굽힘정도를 상호 접촉을 통해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굽힘정도 제한블록의 측면들 중 상기 평판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측면에는 상기 평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굽힘정도 제한블록의 측면들 중 상기 평판과 마주하는 측면에는 상기 평판과 상기 굽힘정도 제한블록을 서로 이격시키는 이격판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이격판의 길이는 상기 굽힘정도 제한블록의 길이보다 작게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굽힘정도 제한블록의 측면들 중 상기 평판과 마주하는 측면의 양단에는 상기 평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처짐방지블록의 측면들 중 상기 평판과 마주하는 측면의 양단에는 상기 평판을 관통하지 않으면서 상기 안착홈에 안착하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처짐방지블록을 관통하도록 그리고 외부로 돌출하지 않도록 상기 처짐방지블록에 안착하는 너트; 및 외부로 돌출하지 않도록 상기 굽힘정도 제한블록에 안착하는 볼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볼트는 상기 굽힘정도 제한블록 및 상기 평판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상기 너트와 결합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모듈은 상기 슬리브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단위블록이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마감수단은, 상기 슬리브의 상부시트의 외면과 하부시트의 외면을 각각 가압하는 상부블록 및 하부블록; 상기 상부블록, 상기 상부시트, 상기 평판, 상기 하부시트 및 상기 하부블록을 관통하는 볼트; 및 상기 하부블록에 안착되어 상기 볼트와 결합하는 너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블록 및 하부블록 각각의 일측면에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단위블록들 중 최외곽에 위치하는 단위블록의 처짐방지블록 및 굽힘정도 제한블록이 삽입되기 위한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굽혀진 지지모듈의 곡률반경이 제한될 수 있고, 지지모듈에 포함된 단위블록들이 개별적으로 교체될 수 있다.
또한, 평판의 굽힘 부위가 자연스러운 곡면을 이룰 수 있고, 단위블록과 평판의 결합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처짐방지블록과 굽힘정도 제한블록의 정렬이 평판 상에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송라인용 슬리브에 수용된 지지모듈이 전송라인용 슬리브에 고정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지지모듈이 의도하지 않게 수용공간으로부터 인출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도 1은 전송라인용 슬리브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조립형 지지모듈에 의해 지지되는 전송라인용 슬리브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C-C'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조립형 지지모듈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단위블록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단위블록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D-D' 및 E-E'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지지모듈의 마감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마감수단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조립형 지지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모듈(200)에 의해 지지되는 전송라인용 슬리브(100)는 반도체 장비, 크린룸 설비, 로봇 등과 같은 각종 산업기계의 고정부에 고정되는 일단(102)과, 상기 산업기계의 이동부에 고정되는 반대단(104)을 구비한다. 전송라인용 슬리브(100)는 상기 일단(102)으로부터 반대단(104)까지 연속적으로 연장하기 때문에 관절을 구비하지 않는다.
전송라인용 슬리브(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에어호스 등과 같은 전송라인(106)을 수용하기 위해 수용공간(150)을 구비한다. 상기 수용공간(150)은 슬리브(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폭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나열된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150)은 상부시트(120)와 하부시트(140)에 의해 형성된다. 이때, 슬리브(100)의 굽힘 및 펴짐이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시트(120) 및 하부시트(140)는 유연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모듈(200)은 위와 같이 이루어진 유연성을 갖는 슬리브(100)에 형성된 복수의 수용공간(150)들 중 일부, 예컨대 도 6에서 최외곽에 위치하는 2개의 수용공간(150)에 삽입되어 슬리브(10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210)과 복수의 단위블록(220)을 포함한다.
상기 평판(210)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지고, 유연성을 보유할 정도의 두께로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단위블록(220)은 평판(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열되도록 평판(210)에 결합된다.
각각의 단위블록(22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210)의 상면에 결합되는 처짐방지블록(230), 평판(210)의 하면에 결합되는 굽힘정도 제한블록(260) 및 처짐방지블록(230)과 굽힘정도 제한블록(260)을 평판(2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처짐방지블록(230)은 앞면(234) 및 뒷면(236)을 구비한 몸체(232)를 포함한다. 상기 앞면(234)에는 돌기(235)가 형성되고 상기 뒷면(236)에는 돌기 삽입홈(237)이 형성된다. 상기 돌기(235)는 상기 단위블록(220)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단위블록의 처짐방지블록에 구비된 돌기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돌기 삽입홈(237)에는 상기 단위블록(220)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단위블록의 처짐방지블록에 구비된 돌기가 삽입된다. 평판(210)이 펴져 있을 경우, 상기 앞면(234)은 상기 전방단위블록의 처짐방지블록에 구비된 뒷면과 면접하고, 상기 뒷면(236)은 상기 후방단위블록의 처짐방지블록에 구비된 앞면과 면접한다. 따라서, 펴진 평판(210)의 처짐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몸체(232)의 하면 양단에는 아래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238)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238)는, 단위블록(220)이 평판(210)에 결합되었을 때, 평판(210)을 관통하지 않으면서 굽힘정도 제한블록(260)에 구비된 안착홈(268)에 안착한다.
상기 굽힘정도 제한블록(260)은 앞면(264) 및 뒷면(266)을 구비한 몸체(262)를 포함한다. 상기 앞면(264)에는 돌기(265)가 형성되고 상기 뒷면(266)에는 돌기 삽입홈(267)이 형성된다. 상기 돌기(265)는 상기 전방단위블록의 굽힘정도 제한블록에 구비된 돌기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돌기 삽입홈(267)에는 상기 후방단위블록의 굽힘정도 제한블록에 구비된 돌기가 삽입된다.
굽힘정도 제한블록(260)의 뒷면(266)은 평판(21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앞면(264)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앞면(264)은 평판(21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뒷면(266)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돌기(265)의 앞면(265b)은 평판(21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앞면(264)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평판(210)이 굽혀져 있을 경우, 상기 뒷면(266)은 상기 후방단위블록의 굽힘정도 제한블록에 구비된 앞면과 면접촉하고, 상기 앞면(264)은 상기 전방단위블록의 굽힘정도 제한블록에 구비된 뒷면과 면접촉하며, 상기 돌기(265)의 앞면(265b)은 전방단위블록의 굽힘정도 제한블록에 구비된 돌기 삽입홈(267)의 앞면과 면접촉한다. 따라서, 평판(210)에 굽힘이 발생하더라도 평판(210)의 곡률반경이 제한될 수 있다.
평판(210)이 처짐방지블록(230)의 하면 전부 및 굽힘정도 제한블록(260)의 상면 전부와 면접하게 되면, 처짐방지블록(230)과 굽힘정도 제한블록(260) 사이에 위치하는 평판(210)의 부위는 평판(210)의 굽힘 여부와 무관하게 항상 직선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평판(210)의 굽힘 부위가 자연스러운 곡면을 이루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상기 굽힘정도 제한블록(260)의 상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210)과 굽힘정도 제한블록(260)을 서로 이격시키는 이격판(263)이 형성되고, 상기 이격판(263)의 길이는 굽힘정도 제한블록(260)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평판(210)의 굽힘 부위가 보다 자연스러운 곡면을 이룰 수 있도록 돌기(265)의 상면(265a)은 앞면(264)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평판(2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몸체(262)의 상면 양단에는 평판(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안착홈(268)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268)에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처짐방지블록(230)에 구비된 돌출부(238)가 안착된다. 상기 돌출부(238)와 안착홈(268)으로 인해 처짐방지블록(230)과 굽힘정도 제한블록(260)의 정렬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은 헤드(242) 및 몸체(244)를 포함하는 너트(240)와, 헤드(272) 및 몸체(274)를 포함하는 볼드(270)를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너트(240)의 몸체(244)는 처짐방지블록(230)을 관통하여 평판(210)과 맞닿고, 너트(240)의 헤드(242)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처짐방지블록(230)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270)의 몸체(274)는 굽힘정도 제한블록(260) 및 평판(21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너트(240)와 결합하고, 볼트(270)의 헤드(272)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굽힘정도 제한블록(260)에 안착된다. 너트(240)의 헤드(24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처짐방지블록(230)에 안착되고 볼트(270)의 헤드(27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굽힘정도 제한블록(260)에 안착됨으로 인해, 상기 지지모듈(200)이 슬리브(100)의 수용공간(150)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수용공간(150)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지지모듈(200)은 마감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감수단은 평판(210)의 양단 및 슬리브(100)의 양단에 결합되어 단위블록(220)이 전송라인 베이어(100)의 수용공간(150)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블록(310)과, 하부블록(330)과,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마감수단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부블록(310)은 상부시트(120)를 가압하면서 그 외면과 면접하고, 하부블록(330)은 하부시트(140)를 가압하면서 그 외면과 면접한다. 상부블록(310)의 하면 및 하부블록(330)의 상면 각각에는 홈(316, 336)이 형성되는데, 상기 홈(316, 336)으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짐방지블록(230) 및 굽힘정도 제한블록(260)이 각각 삽입된다. 상기 하부블록(330)의 상면에는 한 쌍의 결합돌기(334)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블록(310)의 하면에는 한 쌍의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된다. 마감수단의 결합 시, 상기 한 쌍의 결합돌기(334)는 상부시트(120) 및 하부시트(140)에 형성된 홀(126)을 관통한 후 상기 한 쌍의 결합홈에 삽입된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부블록(310) 및 하부블록(330)을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볼트(350a) 및 너트(350b)를 포함한다. 마감수단의 결합 시, 볼트(350a)는 상부시트(120)에 형성된 홀(122), 평판(210)에 형성된 홀(212), 하부시트(140)에 형성된 홀(미도시) 및 하부블록(330)에 형성된 홀(332)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하부블록(330)에 안착된 너트(350b)와 결합한다.
한편, 상기 상부시트(120)에는 마감수단의 결합이 완료된 후 상부시트(120)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주름방지용 홀(124)이 형성된다. 상기 주름방지용 홀(124)은 하부시트(140)에도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전송라인용 슬리브 106 : 전송라인
150 : 수용공간 200 : 지지모듈
210 : 평판 220 : 단위블록
230 : 처짐방지블록 260 : 굽힘정도 제한블록
262 : 몸체 263 : 이격판
310 : 상부블록 330 : 하부블록

Claims (8)

  1. 유연성을 갖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에 형성된 복수의 수용공간들 중 일부에 삽입되어 상기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처짐을 방지하는 지지모듈에 있어서,
    유연성을 구비한 평판;
    상기 평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열되도록 상기 평판에 결합되고, 펴진 평판의 처짐 방지 및 굽혀진 평판의 굽힘정도 제한을 상호 접촉을 통해 수행하는 복수의 단위블록; 및
    상기 슬리브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단위블록이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블록은,
    상기 평판의 상면에 결합되는 처짐방지블록;
    상기 평판의 하면에 결합되는 굽힘정도 제한블록; 및
    상기 처짐방지블록 및 굽힘정도 제한블록을 상기 평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조립형 지지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정도 제한블록의 측면들 중 상기 평판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측면에는 상기 평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조립형 지지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정도 제한블록의 측면들 중 상기 평판과 마주하는 측면에는 상기 평판과 상기 굽힘정도 제한블록을 서로 이격시키는 이격판이 형성되고, 상기 이격판의 길이는 상기 굽힘정도 제한블록의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조립형 지지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정도 제한블록의 측면들 중 상기 평판과 마주하는 측면의 양단에는 상기 평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처짐방지블록의 측면들 중 상기 평판과 마주하는 측면의 양단에는 상기 평판을 관통하지 않으면서 상기 안착홈에 안착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조립형 지지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처짐방지블록을 관통하도록 그리고 외부로 돌출하지 않도록 상기 처짐방지블록에 안착하는 너트; 및
    외부로 돌출하지 않도록 상기 굽힘정도 제한블록에 안착하는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는 상기 굽힘정도 제한블록 및 상기 평판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상기 너트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조립형 지지모듈.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수단은,
    상기 슬리브의 상부시트의 외면과 하부시트의 외면을 각각 가압하는 상부블록 및 하부블록;
    상기 상부블록, 상기 상부시트, 상기 평판, 상기 하부시트 및 상기 하부블록을 관통하는 볼트; 및
    상기 하부블록에 안착되어 상기 볼트와 결합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조립형 지지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블록 및 하부블록 각각의 일측면에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단위블록들 중 최외곽에 위치하는 단위블록의 처짐방지블록 및 굽힘정도 제한블록이 삽입되기 위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조립형 지지모듈.
KR1020100122068A 2010-12-02 2010-12-02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조립형 지지모듈 KR101249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068A KR101249286B1 (ko) 2010-12-02 2010-12-02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조립형 지지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068A KR101249286B1 (ko) 2010-12-02 2010-12-02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조립형 지지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527A KR20120060527A (ko) 2012-06-12
KR101249286B1 true KR101249286B1 (ko) 2013-04-01

Family

ID=46611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2068A KR101249286B1 (ko) 2010-12-02 2010-12-02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조립형 지지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92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304A (ko) 2016-06-27 2018-01-04 신무현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관절형 지지모듈
KR102054135B1 (ko) 2018-07-09 2019-12-10 신무현 전송라인용 다층 슬리브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922B1 (ko) * 2016-06-24 2017-08-30 박선화 케이블 지지 가이드
KR102272965B1 (ko) * 2019-01-16 2021-07-05 윤종철 케이블 지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유닛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9870A (ja) * 2002-06-19 2004-01-22 Toray Eng Co Ltd 塗布装置
US6858797B2 (en) * 2002-11-22 2005-02-22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Support member for an assembly
JP2006166640A (ja) * 2004-12-08 2006-06-22 Hirata Corp ケーブル保護カバ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9870A (ja) * 2002-06-19 2004-01-22 Toray Eng Co Ltd 塗布装置
US6858797B2 (en) * 2002-11-22 2005-02-22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Support member for an assembly
JP2006166640A (ja) * 2004-12-08 2006-06-22 Hirata Corp ケーブル保護カバ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304A (ko) 2016-06-27 2018-01-04 신무현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관절형 지지모듈
KR102054135B1 (ko) 2018-07-09 2019-12-10 신무현 전송라인용 다층 슬리브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527A (ko) 201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0676B1 (ko)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JP5618933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US10311999B2 (en) Cable having multipurpose space area
KR101249286B1 (ko)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조립형 지지모듈
KR101743953B1 (ko) 다관절형 지지부재를 포함한 케이블 및 적층형 케이블
KR20070006562A (ko) 케이블류 보호 안내장치용 스케이트 유닛
KR101216117B1 (ko)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JP5789717B2 (ja) 伝送ライン用スリーブの支持モジュール
KR20190052532A (ko) 케이블 트레이
TWI585318B (zh) 長條物之導引裝置
KR100982873B1 (ko)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용 스케이트 유니트
TW201344079A (zh) 動力導引鏈條
JP2008133905A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3717168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101300068B1 (ko)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KR100716775B1 (ko) 케이블트레이의 결합구조
TWI682109B (zh) 長條物之導引裝置
KR101192804B1 (ko) 전송라인용 슬리브
TW202137659A (zh) 長條物之導引裝置
KR101216118B1 (ko)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KR101192299B1 (ko)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일체형 지지모듈
KR100752606B1 (ko) 케이블 체인
KR20120060528A (ko) 전송라인을 위한 조립형 슬리브
EP3352314A1 (en) Cables and stacked cables including multi-joint supporting member
KR101860825B1 (ko) 케이블 체인의 이동 가이드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