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9634B1 - 전자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9634B1
KR101239634B1 KR1020110095480A KR20110095480A KR101239634B1 KR 101239634 B1 KR101239634 B1 KR 101239634B1 KR 1020110095480 A KR1020110095480 A KR 1020110095480A KR 20110095480 A KR20110095480 A KR 20110095480A KR 101239634 B1 KR101239634 B1 KR 101239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fixed
movable
housing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9462A (ko
Inventor
임수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39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9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9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9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30Mechanic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 or shock, e.g. by balancing of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6Contact arrangements for contactors having bridg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4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wherein the break is in g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Conta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이격 배치되는 고정접점; 상기 고정접점에 동시에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접점; 및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접점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접점 중 어느 하나는 전원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부하에 연결되고, 상기 각 고정접점은 상기 가동접점의 이동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가동접점은 상기 고정접점에 비해 상기 구동부로부터 더 멀리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는,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 상기 코일의 내측에 배치되는 고정코어; 상기 고정코어에 접근 및 이격되게 배치되는 가동코어; 일 측은 상기 가동코어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가동접점에 연결되는 작용로드; 상기 가동코어가 상기 고정코어로부터 이격되게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가동접점은 상기 코일의 전원 차단시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접점과 접촉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외관 크기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개폐장치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
본 발명은, 전자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외관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전자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전자 개폐장치는 전류를 공급하거나 중지하는 전기적인 접점 개폐 장치의 일종이다.
이러한 전자 개폐장치는, 각종 산업용 설비, 기계 및 차량 등에 이용될 수 있다.
통상, 전자 개폐장치는, 고정접점 및 가동접점과, 상기 가동접점을 구동시키는 전기 액츄에이터(electric actuator)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전자 개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개폐장치(100)는, 소호부(110) 및 구동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소호부(110)에는 고정접점(111) 및 가동접점(11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접점(111) 및 가동접점(112)의 외측에는 하우징(11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20)는, 코일(121)과, 서로 접근 및 이격되게 배치되는 고정코어(122) 및 가동코어(1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코일(121)은 전원 인가 시 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코일(121)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코어(122) 및 가동코어(12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동코어(123)에는 작용로드(125)의 일 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작용로드(125)의 타 단부는 상기 고정코어(122)를 관통하여 상기 가동접점(11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코어(122)의 중앙에는 상기 작용로드(125)가 통과할 수 있게 관통공(124)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작용로드(125)에는 상기 가동접점(112)이 상기 고정접점(111)과 소정의 접압력을 가지고 접촉될 수 있게 접압스프링(11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일(121)의 주변에는 상기 고정코어(122) 및 가동코어(123)와 함께 자로(磁路)를 형성하는 요크플레이트(127) 및 요크바디(12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코어(122)와 상기 가동코어(123) 사이에는 스프링(126)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가동코어(123)가 상기 고정코어(122)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하, 종래 전자 개폐장치(100)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상기 코일(121)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코일(121)은 자기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가동코어(123)는 상기 고정코어(122)와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가동코어(123)의 이동과 동시에 상기 작용로드(125)가 이동하고, 상기 가동접점(112)이 상기 고정접점(111)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작용로드(125)는 상기 가동접점(112)이 상기 고정접점(111)에 접촉된 후에도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을 계속할 수 있다. 상기 작용로드(125)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접압스프링(113)은 압축되고, 상기 가동접점(112)이 상기 고정접점(111)과 소정의 접압력을 가지고 접촉되게 가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112)과 상기 고정접점(111)의 접촉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일(121)의 전원 공급을 중지하면, 자기력 발생이 중지될 수 있다. 상기 코일(121)의 전원 공급 중지시, 상기 가동코어(123)는 상기 스프링(12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코어(122)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112)이 상기 고정접점(11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전자 개폐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고정접점(111)이 상기 가동접점(112)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114)에 결합되어 있어, 일 측방향, 예를 들면 상기 가동접점(112)의 이동방향을 따른 외관 크기(또는 하우징(114)의 높이)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접점(111)이 상기 가동접점(112)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114)에 결합되어 있어 상기 가동접점(112)이 반복적으로 상기 고정접점(111)과 접촉(충격적 접촉)될 경우 상기 고정접점(111)의 유격이 발생되거나, 상기 하우징(114)으로부터 상기 고정접점(111)이 분리되는 등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관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전자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품의 유격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전자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하우징;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이격 배치되는 고정접점; 상기 고정접점에 동시에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접점; 및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접점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접점 중 어느 하나는 전원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부하에 연결되고, 상기 각 고정접점은 상기 가동접점의 이동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가동접점은 상기 고정접점에 비해 상기 구동부로부터 더 멀리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는,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 상기 코일의 내측에 배치되는 고정코어; 상기 고정코어에 접근 및 이격되게 배치되는 가동코어; 일 측은 상기 가동코어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가동접점에 연결되는 작용로드; 상기 가동코어가 상기 고정코어로부터 이격되게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가동접점은 상기 코일의 전원 차단시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접점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접점은 상기 하우징의 일 측벽에 서로 이격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의 두 측벽에 서로 이격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접점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접점부; 및 상기 접점부의 일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구동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구동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구동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되고 다시 상기 접점부와 나란하게 외측으로 연장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절연성 가스가 구비되게 구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접점을 가동접점의 이동방향에 수직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외관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고정접점을 가동접점의 이동방향에 수직하게 하우징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고정접점과 하우징 사이의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고정접점이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접점의 측방에서 가동접점이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접점과 상기 가동접점의 접촉시 충격적 소음 발생을 완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전자 개폐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개폐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2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고정접점의 변형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개폐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개폐장치의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5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개폐장치(200)는, 하우징(114)과, 상기 하우징(114)에 배치되는 고정접점(211)과, 상기 고정접점(211)에 접촉 및 분리되게 배치되는 가동접점(112)과, 상기 하우징(114)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접점(112)을 구동시키는 구동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4)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114)은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4)의 내부에는 고정접점(211)과 가동접점(112)이 상호 접촉 및 분리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4)의 내부에는 절연성 가스(미도시)가 충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고정접점(211) 및 가동접점(112)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가 신속하게 소호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4)의 일 측(도면상 하측)에는 상기 구동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4)에는 고정접점(21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접점(211)은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접점(211)이 한 쌍으로 구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114)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접점(211)과 접촉 및 분리될 수 있게 가동접점(11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접점(211)은 상기 가동접점(112)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접점(211)은 상기 하우징(114)의 측면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4)에는 상기 고정접점(211)이 결합될 수 있게 고정접점결합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접점(211)과 상기 하우징(114)은 인서트(insert) 사출 성형의 방법으로 일체로 결합(성형)되거나, 상기 고정접점(211)과 상기 하우징(114)은 상호 별개로 형성된 후 상호 조립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동접점(112)은 상기 하우징(114)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고정접점(211)은 상기 가동접점(112)의 이동방향에 수직방향인 상기 하우징(114)의 좌우방향(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자 개폐장치(200)는 상기 고정접점(211)이 상기 하우징(114)의 이동방향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가동접점(112)의 이동방향을 따른 외관 크기(도면상 하우징(114)의 높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접점(211)은 상기 가동접점(112)의 이동방향과 수직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114)에 결합 또는 배치됨으로써 상기 가동접점(112)과 고정접점(211)이 반복적으로 접촉되어도 상기 고정접점(211)과 상기 하우징(114) 사이의 유격 발생이 억제될 수 있고 상기 고정접점(211)이 상기 하우징(114)으로부터 분리될 염려가 없다.
또한, 가동접점(112)의 접촉시 고정접점(211)의 탄성변형(작용)이 발생됨으로써 충격력이 완화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112)의 접촉시 충격적 소음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고정접점(21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4)의 서로 대향된 두 측면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접점(211)은 상기 하우징(114)의 일 측면부에 서로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접점(211)의 일 측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후술할 구동부(120)의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는 코일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접점(211)은, 상기 하우징(114)의 내부에 배치되는 접점부(213)와, 상기 접점부(213)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114)의 외부에 배치되는 연결부(215)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접점(211) 중 어느 하나에는 전원이 연결되고, 상기 고정접점(211) 중 다른 하나에는 부하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고정접점(211)은 상기 가동접점(112)의 이동방향을 따른 크기를 증가시키지 아니하고 상기 고정접점(211)의 접점부(213)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112)과의 접촉시 발생한 상기 고정접점(211)의 진동이 상기 하우징(114)의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부(215)는 상기 구동부(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예를 들면 도면의 상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점(112)은 막대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점(112)은 양 단부가 상기 고정접점(211)의 접점부(213)와 각각 접촉될 수 있게 상기 고정접점(211)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동접점(112)은 상기 고정접점(211)에 비해 상기 구동부(120)로부터 더 먼 쪽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동접점(112)이 도면상 상기 고정접점(211)의 상측에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120)는 전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전기 액츄에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120)는,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121); 상기 코일(121)의 내측에 배치되는 고정코어(122); 상기 고정코어(122)에 접근 및 이격되게 배치되는 가동코어(123); 일 측은 상기 가동코어(123)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가동접점(112)에 연결되는 작용로드(125); 상기 가동코어(123)가 상기 고정코어(122)로부터 이격되게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126);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121)은 보빈(130)의 둘레에 권선될 수 있다.
상기 보빈(130)은 원통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보빈(130)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코어(12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코어(122)의 일 단부(도면상 상단부)는 상기 보빈(13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고정코어(122)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코어(122)와 자로를 구성하는 요크플레이트(127)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요크플레이트(127)에는 자로를 구성하는 요크바디(128)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요크바디(128)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보빈(130)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코어(122)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게 가동코어(1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동코어(123)는 상기 요크플레이트(127), 상기 요크바디(128), 상기 고정코어(122)와 함께 자로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가동코어(123)에는 상기 작용로드(125)의 일 단부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작용로드(125)의 타 단부는 상기 고정코어(122)를 관통하여 상기 가동접점(11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코어(122)의 축심에는 상기 작용로드(125)가 삽입되는 관통공(124)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점(112)의 일 측에는 상기 가동접점(112)이 상기 고정접점(211)과 소정의 접압력을 가지고 접촉되게 하는 접압스프링(2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압스프링(221)은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코어(122)와 상기 가동코어(123) 사이에는 스프링(12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26)은 상기 가동코어(123)의 이동방향을 따라 신축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26)은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126)은 상기 접압스프링(221)의 탄성력보다 큰 탄성력을 가지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코일(121)의 전원 차단시, 상기 스프링(12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접압스프링(221)이 압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가동접점(112)이 상기 고정접점(211)에 소정의 접압력을 가지고 접촉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코어(122) 및 가동코어(123)의 외측에는 캔(12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캔(129)은 내부와 외부가 밀봉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구동부(120)의 코일(121)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가동코어(123)는 자기저항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고정코어(122)에 접근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112)이 상기 고정접점(21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부하와 전원이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일(121)의 전원 공급을 중지하면 상기 압축된 스프링(12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동코어(123)가 상기 고정코어(122)로부터 신속하게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가동코어(123)가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작용로드(125)가 이동되고, 상기 가동접점(112)은 상기 고정접점(211)과 접촉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부하가 전원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작용로드(125)가 이동을 계속하면 상기 접압스프링(221)은 소정 압축되어 상기 가동접점(112)이 상기 고정접점(211)측으로 이동되게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112)과 상기 고정접점(211)이 소정의 접압력을 가지고 접촉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개폐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일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개폐장치(400)는, 하우징(114)과, 상기 하우징(114)에 배치되는 고정접점(411)과, 상기 고정접점(411)에 접촉 및 분리되게 배치되는 가동접점(112)과, 상기 하우징(114)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접점(112)을 구동시키는 구동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4)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된 대략 직육면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4)의 측면부에는 고정접점(41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접점(411)은 상기 하우징(114)의 서로 대향된 두 측면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고정접점(411)이 상기 하우징(114)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접점(411)이 상기 가동접점(112)의 이동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고정접점(411)과 상기 하우징(114) 사이의 유격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접점(411)이 상기 가동접점(112)과 반복적으로 접촉시 작용하는 충격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114)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접점(411)은, 상기 가동접점(112)의 이동방향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접점(411)은 상기 하우징(114)의 측방에서 각각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4)의 측면부에는 상기 고정접점(411)이 삽입될 수 있게 결합공이 각각 관통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접점(411)은, 상기 하우징(114)의 내부에 배치되는 접점부(413)와, 상기 접점부(413)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114)의 외측에 배치되는 연결부(415)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점부(413)는 상기 가동접점(112)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점부(413)는 상기 가동접점(112)이 상기 하우징(114)의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하우징(114)의 좌우방향(또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15)는 상기 구동부(120)측으로 절곡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415)는 도면의 하측 방향으로 절곡되게 구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114)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접점(411)과 접촉 및 분리 될 수 있게 가동접점(11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점(112)은 상기 고정접점(411)에 비해 상기 구동부(120)측에 더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20)는, 코일(121)과, 요크플레이트(127), 고정코어(122), 가동코어(123), 작용로드(125) 및 스프링(126)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120)는 상기 코일(121)의 전원 인가시 상기 가동접점(112)이 상기 고정접점(411)에 접촉되도록 상기 가동접점(112)을 구동시킬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일(121)의 전원 공급 중지시 상기 가동코어(123)는 상기 스프링(12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코어(122)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작용로드(125)는 상기 가동접점(112)이 상기 고정접점(411)으로부터 분리되어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작용로드(125)에는 상기 가동접점(112)을 상기 고정접점(411)측으로 가압하는 접압스프링(223)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112)과 상기 고정접점(411)의 접촉시 소정의 접압력을 가지고 상기 가동접점(112)이 상기 고정접점(411)과 접촉됨으로써 접촉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접압스프링(223)은 상기 가동접점(112)의 일 측,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동접점(112)의 구동부(120)측(또는 상기 가동접점(11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압스프링(223)은 상기 가동접점(112)이 상기 고정접점(411)에 접촉된 후 상기 가동접점(112)을 상기 고정접점(411)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가동접점(112)이 상기 고정접점(411)에 소정의 가압력을 가지고 탄성 접촉되게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코일(121)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가동코어(123)는 상기 고정코어(122)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가동코어(123)가 이동되면 동시에 상기 가동접점(112)이 이동하여 상기 가동접점(112)이 상기 고정접점(411)과 접촉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부하와 전원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일(121)의 전원 공급을 중지하면, 상기 압축된 스프링(12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동코어(123)는 상기 고정코어(122)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접점(112)이 상기 고정접점(41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개폐장치(600)는, 하우징(114)과, 상기 하우징(114)에 배치되는 고정접점(611)과, 상기 고정접점(611)에 접촉 및 분리되게 배치되는 가동접점(112)과, 상기 하우징(114)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접점(112)을 구동시키는 구동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4)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대략 직육면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4)에는 고정접점(61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접점(611)은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접점(611)은 상기 하우징(114)의 일 측면부 또는 서로 대향된 두 측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접점(611)은 상기 가동접점(112)의 이동방향에 수직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112)의 이동방향을 따른 전자 개폐장치의 외관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접점(112)의 반복적 작용(충격)에 의해 상기 하우징(114)과 상기 고정접점(611) 사이에 유격(틈새)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4)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아니하고 상기 가동접점(112)과 접촉되는 상기 고정접점(611)의 접점부(613)를 길게 할 수 있어 상기 가동접점(112)의 접촉시 충격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접점(611)은, 상기 하우징(114)의 내부에 배치되는 접점부(613)와, 상기 접점부(613)의 일 측에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114)의 외측에 배치되는 연결부(61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점부(613)의 일 단부는 상기 하우징(114)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접점부(613)와 상기 연결부(617) 사이에는 절곡부(6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615)는 상기 접점부(613)의 단부로부터 상기 하우징(114)의 하측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617)는 상기 절곡부(615)의 단부로부터 상기 하우징(114)의 외측으로 절곡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4)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접점(611)과 접촉 및 분리될 수 있게 가동접점(11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점(112)은 상기 고정접점(611)에 비해 상기 구동부(120)측에 더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20)는, 코일(121)과, 요크플레이트(127), 고정코어(122), 가동코어(123), 작용로드(125) 및 스프링(126)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120)는 상기 코일(121)의 전원 인가시 상기 가동접점(112)이 상기 고정접점(611)에 접촉되게 상기 가동접점(112)을 구동시킬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일(121)의 전원 공급 중지시 상기 가동코어(123)는 상기 스프링(12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코어(122)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작용로드(125)는 상기 가동접점(112)이 상기 고정접점(611)으로부터 분리되어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작용로드(125)에는 상기 가동접점(112)을 상기 고정접점(611)측으로 가압하는 접압스프링(223)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112)과 상기 고정접점(611)의 접촉시 소정의 접압력을 가지고 상기 가동접점(112)이 상기 고정접점(611)과 접촉됨으로써 접촉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접압스프링(223)은 상기 가동접점(112)의 일 측,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120)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코일(121)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가동코어(123)는 상기 고정코어(122)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가동코어(123)가 이동되면 동시에 상기 가동접점(112)이 이동하여 상기 가동접점(112)이 상기 고정접점(611)과 접촉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부하와 전원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일(121)의 전원 공급을 중지하면, 상기 압축된 스프링(12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동코어(123)는 상기 고정코어(122)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접점(112)이 상기 고정접점(61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114 : 하우징 112 : 가동접점
120 : 구동부 121 : 코일
122 : 고정코어 123 : 가동코어
124 : 관통공 125 : 작용로드
126 : 스프링 127 : 요크플레이트
128 : 요크바디 129 : 캔
211 : 고정접점 213 : 접점부
215 : 연결부 221 : 접압스프링

Claims (11)

  1. 하우징;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이격 배치되는 고정접점;
    상기 고정접점에 동시에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접점; 및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접점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접점 중 어느 하나는 전원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부하에 연결되고,
    상기 각 고정접점은 상기 가동접점의 이동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가동접점은 상기 고정접점에 비해 상기 구동부로부터 더 멀리 배치되며,
    상기 구동부는,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 상기 코일의 내측에 배치되는 고정코어; 상기 고정코어에 접근 및 이격되게 배치되는 가동코어; 일 측은 상기 가동코어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가동접점에 연결되는 작용로드; 상기 가동코어가 상기 고정코어로부터 이격되게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가동접점은 상기 코일의 전원 차단시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접점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은 상기 하우징의 일 측벽에 서로 이격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의 두 측벽에 서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접점부; 및 상기 접점부의 일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전자 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구동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개폐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구동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개폐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구동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되고 다시 상기 접점부와 나란하게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개폐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절연성 가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개폐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10095480A 2010-10-15 2011-09-21 전자 개폐장치 KR1012396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00887 2010-10-15
KR1020100100887 2010-10-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462A KR20120039462A (ko) 2012-04-25
KR101239634B1 true KR101239634B1 (ko) 2013-03-11

Family

ID=44785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480A KR101239634B1 (ko) 2010-10-15 2011-09-21 전자 개폐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61950B2 (ko)
EP (1) EP2442344B1 (ko)
JP (1) JP2012089485A (ko)
KR (1) KR101239634B1 (ko)
CN (1) CN102456512B (ko)
ES (1) ES2623154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84034B2 (ja) * 2011-03-22 2016-03-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接点装置
KR101354806B1 (ko) 2012-06-14 2014-01-2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개폐장치
KR20140097871A (ko) * 2013-01-30 2014-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배터리 릴레이 구조
CN105359243B (zh) 2013-06-28 2018-06-05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触点装置以及搭载有该触点装置的电磁继电器
CN104299852A (zh) * 2014-08-25 2015-01-21 深圳市品川新智科技发展有限公司 高压直流接触器
WO2017036380A1 (en) * 2015-08-31 2017-03-09 Byd Company Limited Relay
KR101943365B1 (ko) * 2015-10-14 2019-01-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직류 릴레이
JP6536472B2 (ja) * 2016-04-28 2019-07-03 株式会社デンソー ソレノイド
JP6260677B1 (ja) * 2016-12-02 2018-01-17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電磁接触器
CN110192261B (zh) 2017-01-11 2021-08-17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触点装置、电磁继电器、电设备
CN108315894A (zh) * 2018-04-08 2018-07-24 苏州胜璟电磁科技有限公司 一种摆针电磁铁
CN108592461A (zh) * 2018-05-31 2018-09-28 山前(珠海)科技有限公司 一种超低温冷凝富集***
JP7035879B2 (ja) * 2018-07-24 2022-03-15 株式会社Soken 接点装置および電磁継電器
JP7293598B2 (ja) * 2018-10-10 2023-06-20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7115303B2 (ja) * 2018-12-28 2022-08-09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7390791B2 (ja) * 2019-01-18 2023-12-04 オムロン株式会社 リレー
JP2021048092A (ja) * 2019-09-19 2021-03-25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WO2021187527A1 (ja) * 2020-03-18 2021-09-23 ショット日本株式会社 気密端子およびその気密端子を用いた接点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6061A (en) * 1994-02-22 1996-08-13 Nippondenso Co., Ltd. Plunger type electromagnetic relay with arc extinguishing structure
US5679935A (en) * 1994-12-13 1997-10-2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hange-over switch
US6700466B1 (en) * 1999-10-14 2004-03-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Contactor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49521A (en) * 1950-04-13 1953-08-18 Furnas Electric Co Magnetic switch
US2692314A (en) * 1952-06-16 1954-10-19 Allen Bradley Co Electromagnetic actuator
US2951133A (en) * 1954-01-11 1960-08-30 Cutler Hammer Inc Hermetically sealed electromagnetic contactors and the like
US2794093A (en) * 1954-01-28 1957-05-28 Morschel Franz Multi-pole relay switches
US2851646A (en) * 1956-03-07 1958-09-09 Westinghouse Electric Corp Reversing relay for electric motors
US2855482A (en) * 1956-04-16 1958-10-07 Furnas Electric Co Magnetic switch
US2844682A (en) * 1957-07-08 1958-07-22 Furnas Electric Co Overload relay and magnetic switch assembly
US2933573A (en) * 1958-12-19 1960-04-19 Pierce W Strider Electric switch
US3076075A (en) * 1960-03-14 1963-01-29 Gen Motors Corp Series-parallel magnetic switch
GB1051895A (ko) * 1963-08-05
US3194920A (en) * 1964-06-23 1965-07-13 Ward Leonard Electric Co Electrical contactor
US3354415A (en) * 1965-07-20 1967-11-21 Square D Co Multiple contact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switch and accessories therefor
US3334319A (en) * 1965-08-20 1967-08-01 Ite Circuit Breaker Ltd Electro-magnetic contactor
JPS459239Y1 (ko) 1967-01-23 1970-04-30
US3781500A (en) 1972-10-02 1973-12-25 Westinghouse Electric Corp Gas cooled electrical contactor
US4213108A (en) * 1978-07-10 1980-07-15 Gross Harry R Switch structure having parts embedded in plastic
DE3211685C2 (de) * 1982-03-30 1984-02-09 Mannesmann AG, 4000 Düsseldorf Schütze zur Steuerung von Elektromotoren
KR920000337B1 (ko) * 1987-10-01 1992-01-11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동축형 스타터 장치
JPH02250228A (ja) * 1989-03-24 1990-10-08 Mitsubishi Electric Corp 電磁スイッチ装置
JPH02260347A (ja) * 1989-03-30 1990-10-23 Mitsubishi Electric Corp コアおよび接点集合体
JPH0412427A (ja) 1990-04-27 1992-01-17 Mitsubishi Electric Corp 電磁スイッチ装置
US5844457A (en) * 1996-11-25 1998-12-01 Eaton Corporation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electric switching apparatus
US5917394A (en) * 1998-12-01 1999-06-29 Fuchs; Michael J Solenoid switch modified for higher current passage
US6563409B2 (en) 2001-03-26 2003-05-13 Klaus A. Gruner Latching magnetic relay assembly
JP3885582B2 (ja) * 2001-12-25 2007-02-21 松下電工株式会社 封止接点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6061A (en) * 1994-02-22 1996-08-13 Nippondenso Co., Ltd. Plunger type electromagnetic relay with arc extinguishing structure
US5679935A (en) * 1994-12-13 1997-10-2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hange-over switch
US6700466B1 (en) * 1999-10-14 2004-03-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Conta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42344A1 (en) 2012-04-18
US8461950B2 (en) 2013-06-11
CN102456512B (zh) 2015-06-03
EP2442344B1 (en) 2017-01-25
US20120092095A1 (en) 2012-04-19
JP2012089485A (ja) 2012-05-10
CN102456512A (zh) 2012-05-16
ES2623154T3 (es) 2017-07-10
KR20120039462A (ko) 201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9634B1 (ko) 전자 개폐장치
KR101239635B1 (ko) 전자개폐장치
US9384927B2 (en) Electric vehicle relay
KR101846224B1 (ko) 전자 개폐기
JP6228162B2 (ja) リレー
EP3157038A1 (en) Direct current relay
KR101598421B1 (ko) 전자접촉기
US20120092100A1 (en) Electromagnetic switching apparatus
JP2012089491A (ja) 電磁開閉装置
JP2012199117A (ja) 接点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磁開閉装置
JP2012199126A (ja) 接点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磁開閉装置
KR102606007B1 (ko) 직류 릴레이
US2012009016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magnetic switch
KR102097642B1 (ko) 직류 릴레이
JP6213818B2 (ja) 電磁継電器
KR101697577B1 (ko) 전자개폐장치
KR200457597Y1 (ko) 전자개폐장치
KR101142199B1 (ko) 전자개폐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073109B1 (ko) 전자개폐장치
KR200468514Y1 (ko) 전자 접촉기의 보조 접점 유닛
KR101142200B1 (ko) 전자 개폐장치
KR101116378B1 (ko) 전자 개폐장치
JP2018107045A (ja) 接点装置
KR20130007161U (ko) 전기기계식 릴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