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2737B1 - 고속자동문의 가요성시트 개폐용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고속자동문의 가요성시트 개폐용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2737B1
KR101232737B1 KR1020110005882A KR20110005882A KR101232737B1 KR 101232737 B1 KR101232737 B1 KR 101232737B1 KR 1020110005882 A KR1020110005882 A KR 1020110005882A KR 20110005882 A KR20110005882 A KR 20110005882A KR 101232737 B1 KR101232737 B1 KR 101232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sheet
ring
fastening
opening
out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5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4487A (ko
Inventor
권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테크
Priority to KR1020110005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2737B1/ko
Publication of KR20120084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4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48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having teet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가요성시트를 상하로 이동하여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하는 고속자동문 개폐장치의 안내롤러로 한쪽 끝에 구비하여 개폐롤러에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여 개폐되는 가요성시트의 상하 행정거리를 감지하고 규제하여 가요성시트가 안전하게 상하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고속자동문의 가요성시트 개폐용 제어장치 관한 것이다.
즉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결합공(12)을 형성한 원통(11) 한쪽 측면 외경부에 다수의 체결홀(14)을 구비한 기준환(13)을 형성한 제어본체(10)와, 중심부에 결착공(22)을 관통시키고 결착공(22)을 중심으로 다수의 체결공(24)을 구비한 원형판(21)의 외경 한쪽 면 둘레에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는 체결환(23)을 돌출형성시킨 다수의 결착구(20)와, 중심부에 걸림공(32)을 관통시킨 원판(31) 외경 한쪽면에 돌출하는 돌기(33)를 구비한 다수의 걸림환(30)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걸림환(30)의 걸림공(32)에 원형판(21)을 삽입하여 결합한 각각의 결착구(20)를 제어본체(10)의 원통(11) 외경에 순차적으로 안착시킨 다음 각각의 걸림환(30)이 인접한 체결환(23)이 서로 밀착하는 밀착력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속자동문의 가요성시트 개폐용 제어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고속자동문의 가요성시트 개폐용 제어장치{High-speed automatic door of a flexible seat opening and shutting control device}
본 고안은 고속자동문의 가요성시트 개폐용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요성시트를 상하로 이동하여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하는 고속자동문 개폐장치의 안내롤러로 한쪽 끝에 구비하여 개폐롤러에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여 개폐되는 가요성시트의 상하 행정거리를 감지하고 규제하여 가요성시트가 안전하게 상하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고속자동문의 가요성시트 개폐용 제어장치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의 물품을 대량으로 보관하기 위한 대형 물류창고의 출입구는 보관물품의 출입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물류차량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시로 출입하도록 고속자동문을 구비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때, 자동문의 개폐장치의 오작동으로 자동문의 개폐가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이 출입하게 되면 차량이나 출입문이 손상되거나 파손되어 이를 복구하기 위한 경제적인 손실은 물론 출입문이 손상될 경우 복구시점까지 물류창고의 기능이 마비되는 등의 이차적인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최근에는 출입구에 구성하는 자동문을 외부 충격에도 자체변형으로 파손되지 않는 가요성시트로 형성한 고속자동문으로 구성하고 있다.
통상적인 고속자동문은 가요성시트를 개폐수단으로 하여 물류창고와 같은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하여 각종 센서를 통해 자동으로 개폐하는 자동문으로서, 물류차량이 고속자동문 근처에 접근하면 자동감지하여 개폐 롤러를 회전시켜서 가요성시트가 개폐 롤러 외경에 감기면서 상부로 이동하여 출입문을 개방한 후 물류차량의 출입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감지하여 개폐 롤러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가요성시트가 하부로 이동하여 출입문을 닫도록 하는 출입문의 개폐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출입문이 닫힌 상태에서 차량이나 물품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요성시트에 충격이나 압력을 가하더라고 가요성시트가 출입구에서 이탈할 뿐 손상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하여 출입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정확한 위치에 가요성시트가 정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통상의 개폐장치는 개폐문의 상하에 각종 센스를 부착하여 가요성시트의 개폐여부를 확인하고 있으나 센스의 전기/전자적 작동의 오류로 인한 개폐의 오작동으로 인해 가요성시트의 개폐여부가 확인되지 않아 가요성시트나 권취장치가 손상 또는 파손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어 고속자동문 자체의 품질을 저하시켜서 고속자동문의 보급이 확대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에 최근에는 정확한 위치에 가요성시트가 정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동일 발명자에 의해 선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0432750호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통상의 개폐장치에 안내롤러과 엔코더를 구비하여 안내롤러의 회전수를 엔코더로 감지하는 것으로 안내롤러의 양측부 외경에 구비한 스프라켓이 가요성시트의 양 측면에 구비한 투스의 이동에 따라 정확하게 회전하게 되므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권취롤러로 구성하는 권취수단의 권취롤러 외경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이동하는 가요성시트의 상하 이동량에 따라 안내롤러의 회전량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이루어지므로 안내롤러의 한쪽 끝단에 구비한 엔코더로 안내롤러의 회전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엔코더 또한 전기/전자적인 작용에 의해 작동하는 장치로서 장시간 사용시나 고속자동문 자체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이나 전기적인 충격으로 인해 엔코더의 오작동이 발생하거나 엔코더 한쪽에 구성한 제어장치의 구성에 변화가 발생하는 등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일소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가요성시트가 이동하는 이동거리를 안내롤러의 회전거리로 측정하고 제어하는 가요성시트 개폐용 제어장치의 구성을 자동문에 설치된 가요성시트의 상, 하 이동거리만큼 안내롤러의 회전수를 설정하여 가요성시트의 개폐지점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장치를 정지수단과 감속수단으로 구분하여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기구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전기/전자적인 오작동을 예방함은 물론 가요성시트가 완전히 감겼을 때와 풀렸을 때 정확한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완전개폐 직전에 일정거리를 두고 감속구간에서부터 가요성시트의 이동 속도를 저속으로 설정하여 더욱 정확한 위치에서 가요성시트가 정지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빠른 속도로 가요성시트를 이동하면서도 개폐위치를 정밀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속자동문의 가요성시트 개폐용 제어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위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쪽 끝단에 체결된 권취모터(M)에 의해 회전하되 외경에 가요성시트(2)를 감고 푸는 작업으로 가요성시트(2)가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하는 권취롤러(3)와, 권취롤러(3)와 평행을 유지하되 양측 외경에 회전체(4a)를 구비한 안내롤러(4)와, 하단부가 개방되는 케이스(5)를 구성하되 케이스(5) 내부에 권취롤러(3)와 안내롤러(4)를 구성하여 권취롤러(3)의 회전방향에 따라 개폐되는 가요성시트(2)의 양측부에 구성한 투스(2a)와 연결되는 회전체(4a)로 인해 안내롤러(4)가 가요성시트(2)의 개폐방향과 개폐속도와 동일하게 회전하도록 구성한 고속자동문의 가요성시트 개폐장치(100)의 안내롤러(4) 한쪽 끝단에 구성하여 안내롤러(4)의 회전방향과 회전거리를 측정하고 제어하는 고속자동문의 가요성시트 개폐용 제어장치에 있어서;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결합공(12)을 형성한 원통(11) 한쪽 측면 외경부에 다수의 체결홀(14)을 구비한 기준환(13)을 형성한 제어본체(10)와;
중심부에 결착공(22)을 관통시키고 결착공(22)을 중심으로 다수의 체결공(24)을 구비한 원형판(21)의 외경 한쪽 면 둘레에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는 체결환(23)을 돌출형성시킨 다수의 결착구(20)와;
중심부에 걸림공(32)을 관통시킨 원판(31) 외경 한쪽면에 돌출하는 돌기(33)를 구비한 다수의 걸림환(30)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걸림환(30)의 걸림공(32)에 원형판(21)을 삽입하여 결합한 각각의 결착구(20)를 제어본체(10)의 원통(11) 외경에 순차적으로 안착시킨 다음 체결공(24)에 체결구(40)를 삽입하여 체결홀(14)에 체결하여 각각의 걸림환(30)이 기준환(13)과 체결환(23) 또는 체결환(23)과 인접한 체결환(23)이 서로 밀착하는 밀착력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속자동문의 가요성시트 개폐용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때, 순차적으로 원통(11)에 안착하는 걸림환(30) 중 기준환(13)에 인접한 복수의 걸림환(30)을 상단걸림수단(1a)으로 하고 나머지 복수의 걸림환(30)을 하단걸림수단(1b)으로 구분하여 개별적으로 체결고정할 수 있도록 하단걸림수단(1b)을 고정하는 결착구(20)에 구성되는 다수의 체결공(24) 중 일부의 직경을 확장시킨 관통공(25)을 형성하여 체결구(40)의 헤드가 삽입되도록 구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속자동문의 가요성시트 개폐용 제어장치는 제어장치를 기구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전기/전자적인 오작동을 예방하여 오작동으로 인한 장비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인적, 물적 자원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가요성시트가 완전히 감겼을 때와 풀렸을 때 정확한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완전개폐 직전에 일정거리를 두고 감속구간에서부터 가요성시트의 이동 속도를 저속으로 설정하여 더욱 정확한 위치에서 가요성시트가 정지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빠른 속도로 가요성시트를 이동하면서도 개폐위치를 정밀하게 설정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바가 매우 많고 큰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결합상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감속장치에 장착된 상태를 일실시 예로 도시한 단면구성도.
도 5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작동상태로서 걸림환의 회전방향에 따른 측면도와 단면도의 구성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이 장착된 바람직한 고속자동문의 사용상태 구성도.
도 8은 통상적인 고속자동문의 개폐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고속자동문의 구성은 통상적으로 출입이 가능한 개구부를 개폐하는 가요성시트(2)와, 한쪽 끝단에 체결된 권취모터(M)에 의해 회전하되 외경에 가요성시트(2)를 감고 푸는 작업으로 가요성시트(2)가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하는 권취롤러(3)와, 권취롤러(3)와 평행을 유지하되 양측 외경에 회전체(4a)를 구비한 안내롤러(4)와, 하단부가 개방되는 케이스(5)로 이루어지며, 케이스(5) 내부에 권취롤러(3)와 안내롤러(4)가 평행을 유지하도록 구성하여 권취롤러(3)의 회전방향에 따라 개폐되는 가요성시트(2)의 양측부에 구성한 투스(2a)와 연결되는 회전체(4a)로 인해 안내롤러(4)가 가요성시트(2)의 개폐방향과 개폐속도와 동일하게 회전하도록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통상의 고속자동문의 가요성시트 개폐장치의 안내롤러(4) 한쪽 끝단에 구성하여 안내롤러(4)의 회전방향과 회전거리를 측정하고 제어하는 고속자동문의 가요성시트 개폐용 제어장치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결합공(12)을 형성한 원통(11) 한쪽 측면 외경부에 다수의 체결홀(14)을 구비한 기준환(13)을 형성한 제어본체(10)와, 중심부에 결착공(22)을 관통시키고 결착공(22)을 중심으로 다수의 체결공(24)을 구비한 원형판(21)의 외경 한쪽 면 둘레에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는 체결환(23)을 돌출형성시킨 다수의 결착구(20)와, 중십부에 걸림공(32)을 관통시킨 원판(31) 외경 한쪽면에 돌출하는 돌기(33)를 구비한 다수의 걸림환(30)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걸림환(30)의 걸림공(32)에 원형판(21)을 삽입하여 결합한 각각의 결착구(20)를 제어본체(10)의 원통(11) 외경에 순차적으로 안착시킨 다음 체결공(24)에 체결구(40)를 삽입하여 체결홀(14)에 체결하여 각각의 걸림환(30)이 기준환(13)과 체결환(23) 또는 체결환(23)과 인접한 체결환(23)이 서로 밀착하는 밀착력으로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도 4에 구성된 바와 같이 감속장치(6)의 종동축(62)이 결합공(12)에 삽입되도록 하여 안내롤러(4)의 한쪽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감속장치(6)의 구동축(61)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전달하는 종동축(62)의 회전속도에 따라 제어장치(1)가 회전하도록 하며, 제어장치(1) 상측에 각각의 걸림환(30) 외경에 돌출되는 돌기(33)와 접촉하는 버튼(71)을 유지하는 감지스위치(7)를 각각 구비하여 각각의 걸림환(30) 회전위치에 따라 각각의 감지스위치(7)가 개별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가요성시트(2)의 하부 끝단 위치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한 가요성시트 개폐장치(100)의 구성으로 인해, 권취모터(M)에 의해 회전하는 권취롤러(3)의 회전방향에 따라 권취롤러(3)의 외경에 감기고 풀리는 가요성시트(2)의 양측에 구성된 투스(2a)가 가요성시트(2)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투스(2a)와 결합된 회전체(4a)로 인해 안내롤러(4)가 권취롤러(3)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권취롤러(3)의 회전속도를 동일하게 유지하여도 권취롤러(3) 외경에 감기는 가요성시트(2)의 감김 양에 따라 가속자동문의 개구부에서 이동하는 가요성시트의 속도와 이동거리가 변화하게 되므로 이를 보완하고자 가요성시트(2)의 양측에 투스(2a)를 구비하고 이와 인접하는 곳에 회전체(4a)를 장착한 안내롤러(4)를 구성하여 투스(2a)가 회전체(4a)에 안착된 상태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서, 권취롤러(3) 외경에 감기는 가요성시트(2)의 감긴 횟수와 무관하게 상하로 이동하는 가요성시트(2)의 이송거리를 안내롤러(4)의 회전수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하는 고속자동문의 개폐장치(100)로 인해 고속자동문이 설치되는 개구부의 높이에 맞게 가요성시트(2)의 상하 이동을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개폐장치(100)의 한쪽에 구성한 본 발명의 제어장치(1)로 보다 정밀하고 신속하게 가요성시트(2)의 상하 이동거리와 이동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제어장치(1)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롤러(4)의 한쪽 끝단이 돌출된 측의 케이스(5) 외측에 장착 구성되는 감속장치(6)의 구동축(61)에 연결 고정되어 회전하도록 함에 따라 구동기어(61g)와 종동기어(62g) 및 연결기어(63g)가 감속케이스(60)에 연결 구성되는 감속장치(6)의 구성으로 인해 안내롤러(4)가 회전하는 회전 방향과 회전속도에 따라 감속장치(6)의 구동축(61)이 회전하면서 구동기어(61g)와 다수의 연결기어(63g)를 거쳐서 최종적으로 종동기어(62g)가 구성된 종동축(62)으로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전달하게 됨에 따라 종동축(62)의 회전속도가 본 발명의 제어장치(1)의 회전속도가 되어 회전하면서 걸림환(30)의 외경에 돌출된 돌기(33)가 감속장치(6)에 의해 제어장치(1) 상단에 구성된 감지스위치(7)의 버튼(7a)을 눌러서 제어장치(1)의 작동상태를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감속장치(6) 한 쪽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제어장치(1)는 결합구성상 감속장치(6)로부터 회전력이 감소한 종동축(62)의 회전속도가 제어장치(1) 자체의 회전속도가 되므로 안내롤러(4)의 회전속도를 감속장치(6)로 최소화하여 출입구를 상하로 이동하면서 개폐하는 가요성시트(2)의 끝단이 출입구의 상단부와 하단부로 이동하는 거리가 걸림환(30)의 외경에 돌출된 돌기(33)와 돌기 사이의 회전각의 거리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원통(11)에 안착하는 걸림환(30) 중 기준환(13)에 인접한 복수의 걸림환(30)을 상단걸림수단(1a)으로 하고 나머지 복수의 걸림환(30)을 하단걸림수단(1b)으로 구분하며, 상기 상단걸림수단(1a)의 돌기(33) 중 기준환(13) 측에 형성한 것을 상단정지돌기(33a)로 하고 내부에 형성한 것을 상단준비돌기(33b)로 함과 동시에 상기 하단걸림수단(1b)의 돌기(33) 중 외측에 형성한 것을 하단정지돌기(33d)로 하고 내부에 형성하는 것을 하단준비돌기(33c)로 세분화하여 도 5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정지돌기(33a)와 하단정지돌기(33d) 사이의 회전거리를 전체이동거리(A)로 하고 상단준비돌기(33b)와 하단준비돌기(33c) 사이의 회전거리를 고속이동거리(B)로 하며, 상단정지돌기(33a)와 상단준비돌기(33b) 사이의 회전거리를 상단저속거리(C)로 하고 하단준비돌기(33c)와 하단정지돌기(33d) 사이의 회전거리를 하단저속거리(D)로 지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어장치(1)는 통상의 고속자동문에 적용하여 고속자동문을 개방할 때와 닫을 때로 구분하여 제어장치(1)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닫힌 상태의 고속자동문을 개방할 때의 제어장치 작동 일실시 예 -
우선 권취모터(M)를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권취롤러(3)를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가요성시트(2)의 끝단이 출입문 상부로 상승하면 투스(2a)가 회전체(4a)를 회전시키면서 안내롤러(4)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제어장치(1)를 작동하게 되는 것으로서, 도 6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정지돌기(33d)가 감지스위치(7)의 버튼(71)을 눌러 감지스위치(7)가 감지되도록 한 상태를 고속자동문에서 가요성시트(2) 끝단이 출입문의 최하단에 유지하여 고속자동문이 닫히도록 한 상태에서 권취롤러(3)를 저속으로 회전시켜서 가요성시트(2)가 상승하도록 하면 가요성시트(2)의 이동거리만큼 안내롤러(4)가 회전하면서 제어장치(1)를 감속장치(6)로 감속한 만큼 저속으로 회전하도록 하게 되며, 도 6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준비돌기(33c)가 감지스위치(7)의 버튼(7a)을 눌러 감지스위치(7)가 감지되도록 하면 권취롤러(3)를 고속으로 회전하여 가요성시트(2)의 상승속도가 빠르게 진행되도록 하며, 도 6의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준비돌기(33b)가 감지스위치(7)의 버튼(7a)을 눌러 감지스위치(7)가 감지되도록 하면 권취롤러(3)의 회전속도를 저속으로 회전하여 가요성시트(2)의 상승속도가 천천히 진행되도록 한 상태에서 도 6의 (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정지돌기(33a)가 감지스위치(7)의 버튼(7a)을 눌러 가요성시트(2)를 정지시킨 상태를 유지하여 고속자동문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 열린 상태의 고속자동문을 닫을 때의 제어장치 작동 일실시 예 -
또한 권취모터(M)를 정방향으로 구동하여 권취롤러(3)를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가요성시트(2)의 끝단이 출입문 하부로 하강하면 투스(2a)가 회전체(4a)를 회전시키면서 안내롤러(4)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제어장치(1)를 작동하게 되는 것으로서, 도 6의 (라)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롤러(3)를 저속으로 회전시켜서 상단정지돌기(33a)가 감지스위치(7)의 버튼(7a)을 눌러 가요성시트(2)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제어장치(1)가 정방향으로 저속회전하면서 감지스위치(7)의 버튼(7a)을 해지하도록 한 다음 도 6의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준비돌기(33b)가 감지스위치(7)의 버튼(7a)을 눌러 감지스위치(7)가 감지되도록 하면 권취롤러(3)의 회전속도를 고속으로 회전하여 가요성시트(2)의 하강속도가 도 6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속으로 진행되도록 하며, 하단준비돌기(33c)가 감지스위치(7)의 버튼(7a)을 눌러 감지스위치(7)가 감지되도록 하면 권취롤러(3)를 저속으로 회전하여 가요성시트(2)의 하강속도가 느리게 진행되도록 하여 도 6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정지돌기(33d)가 감지스위치(7)의 버튼(71)을 눌러 감지스위치(7)가 감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가요성시트(2)가 하강이 완료되도록 하여 고속자동문이 닫힘 상태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작동 일실시 예를 통해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어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 걸림환(30)에 돌출된 돌기(33)의 위치에 따라 전체이동거리(A)와 고속이동거리(B)는 물론 상단저속거리(C) 및 하단저속거리(D)가 각각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원통(11)에 안착하는 걸림환(30) 중 기준환(13)에 인접한 복수의 걸림환(30)을 상단걸림수단(1a)으로 하고 나머지 복수의 걸림환(30)을 하단걸림수단(1b)으로 구분하여 구성하고자 하단걸림수단(1b) 측의 결착구(20)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24) 중 일부를 확대한 관통공(25)을 형성하여 제어본체(10)에 결착구(20)를 체결구(40)로 체결 고정할 때 일부의 체결구(40) 헤드가 관통공(25) 내부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체결구(40)의 체결만으로도 상단걸림수단(1a)과 하단걸림수단(1b)이 확연히 구분되어 각각의 돌기(33)의 위치를 미세하게 지정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가 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기준환(13)에 형성하는 다수의 체결홀(14)을 기준환(13)의 외경과 중심부 사이에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체결공(24) 또한, 원형판(21)의 외경과 결착공(22) 사이에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체결구(40)가 용이하게 체결홀(13)과 체결공(24)에 삽입하게 되는 구조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전체이동거리(A)를 기준으로 할 때, 상단저속거리(C) 및 하단저속거리(D)의 비율이 낮게 유지될수록 가요성시트(2)의 전체 행정에서 저속운행거리가 적어지므로 고속자동문의 고속운행이 용이하게 되면서도 안정되게 진행됨을 알 수 있으며, 아울러 전체이동거리(A)와 고속이동거리(B)의 유지 각을 적당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제어장치(1)가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가요성시트(2)의 개폐위치를 미세하게 설정하여 정확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용이함을 알 수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용하는 본 발명의 고속자동문의 가요성시트 개폐용 제어장치는 기구적인 작동만으로 가요성시트의 개폐범위를 정밀하고 안전하게 지정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장기간 무한반복적으로 사용하더라도 전기적인 저항이나 오류를 방지함은 물론 기구적인 구성이 외부의 압력으로 변형되더라도 용이하게 복구하거나 재설정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사용상의 편의성과 관리효율이 높은 매우 유익한 발명이다.
1: 제어장치 1a: 상단걸림수단
1b: 하단걸림수단 2: 가요성시트
3: 권취롤러 4: 안내롤러
5: 케이스 6: 감속장치
7: 감지스위치 10: 제어본체
11: 원통 12: 결합공
13: 기준환 14: 체결홀
20: 결착구 21: 원형판
22: 결착공 23: 체결환
24: 체결공 30: 걸림환
31: 원판 32: 걸림공
33: 돌기 33a: 상단정지돌기
33b: 상단준비돌기 33c: 하단준비돌기
33d: 하단정지돌기 40: 체결구
71: 버튼

Claims (3)

  1. 한쪽 끝단에 체결된 권취모터(M)에 의해 회전하되 외경에 가요성시트(2)를 감고 푸는 작업으로 가요성시트(2)가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하는 권취롤러(3)와, 권취롤러(3)와 평행을 유지하되 양측 외경에 회전체(4a)를 구비한 안내롤러(4)와, 하단부가 개방되는 케이스(5)를 구성하되 케이스(5) 내부에 권취롤러(3)와 안내롤러(4)를 구성하여 권취롤러(3)의 회전방향에 따라 개폐되는 가요성시트(2)의 양측부에 구성한 투스(2a)와 연결되는 회전체(4a)로 인해 안내롤러(4)가 가요성시트(2)의 개폐방향과 개폐속도와 동일하게 회전하도록 구성한 고속자동문의 가요성시트 개폐장치(100)의 안내롤러(4) 한쪽 끝단에 구성하여 안내롤러(4)의 회전방향과 회전거리를 측정하고 제어하는 고속자동문의 가요성시트 개폐용 제어장치에 있어서;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결합공(12)을 형성한 원통(11) 한쪽 측면 외경부에 다수의 체결홀(14)을 구비한 기준환(13)을 형성한 제어본체(10)와;
    중심부에 결착공(22)을 관통시키고 결착공(22)을 중심으로 다수의 체결공(24)을 구비한 원형판(21)의 외경 한쪽 면 둘레에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는 체결환(23)을 돌출형성시킨 다수의 결착구(20)와;
    중심부에 걸림공(32)을 관통시킨 원판(31) 외경 한쪽 면에 돌출하는 돌기(33)를 구비한 다수의 걸림환(30)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걸림환(30)의 걸림공(32)에 원형판(21)을 삽입하여 결합한 각각의 결착구(20)를 제어본체(10)의 원통(11) 외경에 순차적으로 안착시킨 다음 체결공(24)에 체결구(40)를 삽입하여 체결홀(14)에 체결하여 각각의 걸림환(30)이 기준환(13)과 체결환(23) 또는 체결환(23)과 인접한 체결환(23)이 서로 밀착하는 밀착력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자동문의 가요성시트 개폐용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11)에 순차적으로 안착하는 걸림환(30)중 기준환(13)에 인접한 복수의 걸림환(30)을 상단걸림수단(1a)으로 하고 나머지 복수의 걸림환(30)을 하단걸림수단(1b)으로 구분하여 개별적으로 체결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자동문의 가요성시트 개폐용 제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걸림수단(1a)의 돌기(33) 중 기준환(13) 측에 형성한 것을 상단정지돌기(33a)고 하고 내부에 형성한 것을 상단준비돌기(33b)로 함과 동시에 상기 하단걸림수단(1b)의 돌기(33) 중 외측에 형성한 것을 하단정지돌기(33d)로 하고 내부에 형성하는 것을 하단준비돌기(33c)로 세분화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자동문의 가요성시트 개폐용 제어장치.
KR1020110005882A 2011-01-20 2011-01-20 고속자동문의 가요성시트 개폐용 제어장치 KR101232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882A KR101232737B1 (ko) 2011-01-20 2011-01-20 고속자동문의 가요성시트 개폐용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882A KR101232737B1 (ko) 2011-01-20 2011-01-20 고속자동문의 가요성시트 개폐용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487A KR20120084487A (ko) 2012-07-30
KR101232737B1 true KR101232737B1 (ko) 2013-02-13

Family

ID=46715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882A KR101232737B1 (ko) 2011-01-20 2011-01-20 고속자동문의 가요성시트 개폐용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27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9892A (ko) * 2004-12-06 2005-08-11 정상기 자동문의 본체프레임
JP2006307442A (ja) 2005-04-26 2006-11-09 Tostem Suzuki Shutter Mfg Co Ltd シャッター
KR20090102458A (ko) * 2008-03-26 2009-09-30 곽병철 과다상승 방지수단이 구비된 출입구 개폐용 천막샷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9892A (ko) * 2004-12-06 2005-08-11 정상기 자동문의 본체프레임
JP2006307442A (ja) 2005-04-26 2006-11-09 Tostem Suzuki Shutter Mfg Co Ltd シャッター
KR20090102458A (ko) * 2008-03-26 2009-09-30 곽병철 과다상승 방지수단이 구비된 출입구 개폐용 천막샷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487A (ko) 2012-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12374B1 (en) Dual mode architectural structure covering
KR102221180B1 (ko) 건축물 개구부 덮개 조립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5789887A (en) Automatic door
US9061865B2 (en) Elevator cage departure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JP5743023B2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
EP2773832B1 (en) Overhead roll-up door having at least two motors
KR20140043882A (ko) 건축물 개방부 덮개 조립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BR112015025717B1 (pt) Sistemas e métodos para reter e realimentar cortinas de porta
SE532298C2 (sv) Låsanordning
CN103958811A (zh) 电动安全帘
EP3628624A2 (en) Sensor-based shutdown detection of elevator system
WO2007066375A1 (ja) エレベータのドア安全装置
US20120186158A1 (en) Door drive device having traction means monitoring and door provided therewith
KR101232737B1 (ko) 고속자동문의 가요성시트 개폐용 제어장치
JP7021220B2 (ja) 崩落防止機構を有するゲート及び崩落防止機構をトリガする方法
JP2005120760A (ja) 開閉体制御装置
JP2009208856A (ja) エレベータのかご位置固定装置
JP4344075B2 (ja) 閉鎖装置
EP3040506B1 (en) Monitoring device with a laser sensor for motorized doors
KR100759712B1 (ko) 복수의 방화문을 동시에 폐쇄하는 방화문 동시 폐쇄시스템.
JP5158831B2 (ja) 電動シャッター
JP7463152B2 (ja) 建築用電動シャッター装置
JP2006028784A (ja) 開閉体制御システム
JP4216983B2 (ja) 閉鎖装置
KR100817210B1 (ko)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개폐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