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1495B1 - 접착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접착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1495B1
KR101231495B1 KR1020100133765A KR20100133765A KR101231495B1 KR 101231495 B1 KR101231495 B1 KR 101231495B1 KR 1020100133765 A KR1020100133765 A KR 1020100133765A KR 20100133765 A KR20100133765 A KR 20100133765A KR 101231495 B1 KR101231495 B1 KR 101231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esin composition
methyl acrylate
glycidyl meth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3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2004A (ko
Inventor
최창휴
김덕호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3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1495B1/ko
Publication of KR20120072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2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4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09J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J159/00 - C09J18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1/00Adhesive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51/003Adhesive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성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올레핀계 화합물;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glycidyl methacrylate) 1~50중량부; 및 유기 과산화물 개시제 0.001~5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올레핀계 화합물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50~100중량부,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ethylene-methyl acrylate) 50~100중량부 및 메틸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1~3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 폴리에스테르 류와의 접착이 가능한 접착성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고, 제조시 반응압출법을 사용하여 기존 중합법에 비하여 제조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접착성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착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ADHESIVE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접착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 폴리에스테르와의 접착이 가능한 접착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가벼운 무게, 저렴한 가격, 우수한 제반 물성을 가지고 있어 산업적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무극성 성질을 띄고 있어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극성 소재와의 상용성 내지 접착성이 미흡하여 그 사용이 제한적인 실정이다.
한편, 종래 사용되고 있는 접착성 수지로서 폴리올레핀 변성 무수말레인산(polyolefin grafted maleic anhydride; PO-g-MAH)은, 나일론,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OH) 등과 폴리올레핀 사이에서 강한 접착력 및 상용성을 보여주지만,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류에는 접착력이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glycidyl methacrylate)기를 도입하여 폴리에스테르 류의 접착에 사용하고 있으나, 제조시 중합법을 이용하고 있어 제조단가의 부담이 되고 대량생산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국제공개특허출원 제WO2007/135340호는, 기존 폴리에틸렌 변성 무수말레인산 수지와 달리, 알킬아크릴레이트(alkyl acrylate) 및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glycidyl methacrylate)를 공중합하여 3량체(terpolymer)를 제조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에 직접 접착할 수 있는 수지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역시 중합법을 사용하여 3량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제조단가에 부담이 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폴리에스테르와의 접착력이 우수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단가 측면에서 경쟁력 있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삭제
삭제
삭제
삭제
(5) 용융흐름지수(melt flow index)가 1~20g/10min이고, 메틸아크릴레이트 함량이 1~50중량%인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ethylene-methyl acrylate)로 이루어진 공중합체 50~100중량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glycidyl methacrylate) 1~50중량부; 및 과산화물을 1~20중량% 함유한 폴리프로필렌과 과산화물의 혼합물 0.001~5중량부;로 구성된 반응물이 용융압출되어, 상기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ethylene-methyl acrylate) 공중합체 사슬에 상기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glycidyl methacrylate)가 그라프트되어 형성된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6) 상기 (5)에 있어서,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대한 접착강도가 2~3kg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삭제
(8) 용융흐름지수(melt flow index)가 1~20g/10min이고, 메틸아크릴레이트 함량이 1~50중량%인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ethylene-methyl acrylate)로 이루어진 공중합체 50~100중량부; 및 과산화물을 1~20중량% 함유한 폴리프로필렌과 과산화물의 혼합물 0.001~5중량부;를 내부 혼합기(internal mixer)에 투입하여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반응물을 2축 압출기(twin screw extruder)로 이송하여 반응온도 160~220℃에서 용융압출하는 단계; 및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glycidyl methacrylate) 1~50중량부를 상기 2축 압출기에 구비된 side feeder에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ethylene-methyl acrylate) 공중합체 사슬에 상기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glycidyl methacrylate)가 그라프트되어 형성된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 폴리에스테르 류와의 접착이 가능한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고, 제조시 반응압출법을 사용하여 기존 중합법에 비하여 제조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수지 조성물의 각 구성 성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50~100중량부,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ethylene-methyl acrylate) 공중합체 50~100중량부 및 메틸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공중합체 1~3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화합물;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glycidyl methacrylate) 1~50중량부; 및 폴리프로필렌과 과산화물의 혼합물 0.001~5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에틸렌은, 폴리올레핀 필름층,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필름층과의 접착시 친화력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 50~100중량부 포함된다. 상기 폴리에틸렌 함량이 50중량부 미만일 경우 미반응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가 많아질 수 있고, 10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폴리에틸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용융흐름지수(melt flow index)가 1~20g/10min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20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융흐름지수가 1g/10min 미만이거나 20g/10min을 초과하는 경우 가공성이 좋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미만일 경우는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200,000을 초과하는 경우 제품 가공성이 좋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폴리에틸렌 필름층과 친화력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접착능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50~100중량부 포함된다. 상기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함량이 50중량부 미만일 경우 미반응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가 많아질 수 있고, 10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접착력이 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용융흐름지수(melt flow index)가 1~20g/10min이고, 상기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메틸아크릴레이트 1~50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융흐름지수가 1g/10min 미만이거나, 20g/10min을 초과하는 경우 가공성이 좋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틸아크릴레이트 함량이 1중량% 미만일 경우는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고, 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폴리에틸렌 필름층과의 친화력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상기 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폴리에스테르에 대한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1~30중량부 포함된다. 상기 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일 경우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고, 3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미반응물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는 폴리에스테르에 대한 접착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1~50중량부 포함된다. 상기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일 경우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고, 5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미반응물이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상기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는 그 순도가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순도가 90% 미만일 경우 부반응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상기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순도가 90% 미만일 경우 역시 부반응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과 과산화물의 혼합물은 상기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를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ethylene-methyl acrylate) 공중합체 또는 메틸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공중합체 사슬에 붙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0.001~5중량부 포함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과 과산화물의 혼합물 함량이 0.001중량부 미만일 경우 미반응물이 과도하게 발생할 수 있고, 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가교 또는 β-Scission 현상이 발생해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폴리올레핀 필름층,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필름층과 친화력을 갖게 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과산화물은 반응의 개시제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과산화물 함량은 상기 폴리프로필렌과 과산화물의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1~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산화물 함량이 1중량% 미만일 경우 미반응물이 생성되고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고, 2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가교 또는 β-Scission 현상이 발생해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류에 우수한 접착성 및 상용성을 보이게 되며,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대한 접착강도의 경우 1~3kgf/㎠로서 우수한 접착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50~100중량부, 용융흐름지수(melt flow index)가 1~20g/10min이고, 메틸아크릴레이트 함량이 1~50중량%인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ethylene-methyl acrylate) 공중합체 50~100중량부 및 메틸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공중합체 1~3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화합물; 및 과산화물을 1~20중량% 함유한 폴리프로필렌과 과산화물의 혼합물 0.001~5중량부;를 내부 혼합기(internal mixer)에 투입하여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반응물을 2축 압출기(twin screw extruder)로 이송하여 반응온도 160~220℃에서 용융압출하는 단계; 및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glycidyl methacrylate) 1~50중량부를 상기 2축 압출기에 구비된 side feeder에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ethylene-methyl acrylate) 공중합체 사슬에 상기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glycidyl methacrylate)가 그라프트되어 형성된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은 종래 폴리에스테르 류와 폴리올레핀 류와의 접착성을 위해 중합법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과 달리, 반응압출법(reactive extrusion process)을 이용하여, 공정을 단순화하고 원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하면서도 폴리에스테르 류에 우수한 접착성을 갖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상기 반응압출법에 따라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내부 혼합기 및 압출기(extruder)가 사용된다.
상기 내부 혼합기에 폴리에틸렌,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폴리프로필렌과 과산화물의 혼합물을 투입하여 혼합한 후 압출기로 이송한 후, 상기 압출기에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를 추가 투입하고 용융압출하는 공정을 거쳐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내부 혼합기는 밴버리 믹서(banbury mixer) 또는 니더 믹서(kneader mixer)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출기는 충분한 혼합 및 반응을 위해 L/D가 32 이상인 2축 압출기(twin screw extruder)가 사용된다. 이때, 상기 2축 압출기의 L/D가 32 미만일 경우 미반응된 반응물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혼합 및 용융압출이 160~220℃의 반응온도에서 수행되어진다. 상기 반응온도가 160℃ 미만일 경우 반응율이 저하될 수 있고, 220℃를 초과하는 경우 수지열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액상 성분인 상기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투입은, 투입시 작업성 향상을 위해 다른 원료와 함께 믹서에 혼합시키지 않고, 압출기에서 추가 투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2축 압출기에 1 이상의 side feeder를 구비하여 상기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를 상기 side feeder에 투입할 수 있다.
실시예 1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93중량부(메틸아크릴레이트 함량 24중량%) 및 폴리프로필렌과 과산화물의 혼합물(상기 과산화물 함량이 10중량%) 1중량부를 밴버리 믹서에 투입하여 혼합한다. 상기 혼합된 반응물을 L/D=40인 2축 압출기로 이송하여 180~200℃의 반응온도에서 용융압출 시킨다. 이후,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6중량부를 side feeder에 투입한다. 제조된 수지 조성물로 하기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여 접착력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90중량부(메틸아크릴레이트 함량 24중량%) 및 폴리프로필렌과 과산화물의 혼합물(상기 과산화물 함량이 10중량%) 1중량부를 밴버리 믹서에 투입하여 혼합한다. 상기 혼합된 반응물을 L/D=40인 2축 압출기로 이송하여 180~200℃의 반응온도에서 용융압출 시킨다. 이후,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9중량부를 을 side feeder에 투입한다. 제조된 수지 조성물로 하기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여 접착력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88중량부(메틸아크릴레이트 함량 24중량%) 및 폴리프로필렌과 과산화물의 혼합물(상기 과산화물 함량이 10중량%) 1중량부를 밴버리 믹서에 투입하여 혼합한다. 상기 혼합된 반응물을 L/D=40인 2축 압출기로 이송하여 180~200℃의 반응온도에서 용융압출 시킨다. 이후,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11중량부를 side feeder에 투입한다. 제조된 수지 조성물로 하기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여 접착력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폴리에틸렌 83중량부, 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8중량부 및 폴리프로필렌과 과산화물의 혼합물(상기 과산화물 함량이 10중량%) 1중량부를 밴버리 믹서에 투입하여 혼합한다. 상기 혼합된 반응물을 L/D=40인 2축 압출기로 이송하여 180~200℃의 반응온도에서 용융압출 시킨다. 이후,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8중량부를 side feeder에 투입한다. 제조된 수지 조성물로 하기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여 접착력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폴리에틸렌 79중량부, 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12중량부 및 폴리프로필렌과 과산화물의 혼합물(상기 과산화물 함량이 10중량%) 1중량부를 밴버리 믹서에 투입하여 혼합한다. 상기 혼합된 반응물을 L/D=40인 2축 압출기로 이송하여 180~200℃의 반응온도에서 용융압출 시킨다. 이후,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8중량부를 side feeder에 투입한다. 제조된 수지 조성물로 하기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여 접착력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폴리에틸렌 76중량부, 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15중량부 및 폴리프로필렌과 과산화물의 혼합물(상기 과산화물 함량이 10중량%) 1중량부를 밴버리 믹서에 투입하여 혼합한다. 상기 혼합된 반응물을 L/D=40인 2축 압출기로 이송하여 180~200℃의 반응온도에서 용융압출 시킨다. 이후,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8중량부를 side feeder에 투입한다. 제조된 수지 조성물로 하기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하여 접착력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 방법
1) 시편 제작
용융압출된 수지 조성물을 압축기로 고온(140~210℃)에서 압력(50~200bar)을 가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접착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2) 접착강도 측정
제작된 시편을 2㎝×10㎝ 크기로 잘라서 만능인장시험기를 사용하여 부하(load)값을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4 실시예 5 실시예 6
EMA 93 90 88 - - -
PE - - - 83 79 76
MA - - - 8 12 15
GMA 6 9 11 8 8 8
과산화물개시제 1 1 1 1 1 1
GMA 그라프트율
(중량%)
7 10 12 7 7 7
접착강도
(kgf/㎠)
2 2~3 2~3 0.3 1 1
* 주
- EMA: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 PE: 폴리에틸렌
- MA: 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 GMA: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기존 상용 접착성 수지에 비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류에 대한 접착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3, 실시예 5 및 6의 경우 접착강도가 1~3kgf/㎠로 우수하여, 기존 접착성 수지에서의 무수말레인산과 달리 극성기를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로 도입하고 경제적인 제조방법을 사용하면서도, 폴리에스테르 류에 대한 접착력이 뛰어난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용융흐름지수(melt flow index)가 1~20g/10min이고, 메틸아크릴레이트 함량이 1~50중량%인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ethylene-methyl acrylate)로 이루어진 공중합체 50~100중량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glycidyl methacrylate) 1~50중량부; 및 과산화물을 1~20중량% 함유한 폴리프로필렌과 과산화물의 혼합물 0.001~5중량부;로 구성된 반응물이 용융압출되어, 상기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ethylene-methyl acrylate) 공중합체 사슬에 상기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glycidyl methacrylate)가 그라프트되어 형성된 접착성 수지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대한 접착강도가 2~3kg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
  7. 삭제
  8. 용융흐름지수(melt flow index)가 1~20g/10min이고, 메틸아크릴레이트 함량이 1~50중량%인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ethylene-methyl acrylate)로 이루어진 공중합체 50~100중량부; 및 과산화물을 1~20중량% 함유한 폴리프로필렌과 과산화물의 혼합물 0.001~5중량부;를 내부 혼합기(internal mixer)에 투입하여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반응물을 2축 압출기(twin screw extruder)로 이송하여 반응온도 160~220℃에서 용융압출하는 단계; 및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glycidyl methacrylate) 1~50중량부를 상기 2축 압출기에 구비된 side feeder에 투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상기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ethylene-methyl acrylate) 공중합체 사슬에 상기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glycidyl methacrylate)가 그라프트되어 형성된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100133765A 2010-12-23 2010-12-23 접착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31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765A KR101231495B1 (ko) 2010-12-23 2010-12-23 접착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765A KR101231495B1 (ko) 2010-12-23 2010-12-23 접착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004A KR20120072004A (ko) 2012-07-03
KR101231495B1 true KR101231495B1 (ko) 2013-02-07

Family

ID=46706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3765A KR101231495B1 (ko) 2010-12-23 2010-12-23 접착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14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917B1 (ko) * 2021-06-16 2023-01-09 (주)동해플라스틱 접착성 코팅액 조성물 및 이를 도포하여 제조된 건축용시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8428A (ko) * 1993-01-20 1994-08-18 김항덕 열접착성 폴리올레핀수지 조성물
KR0127292B1 (ko) * 1991-08-01 1998-04-01 김항덕 반응성 저분자 화합물을 함유한 폴리올레핀계 불균일계 혼합물의 제조방법
KR20010041901A (ko) * 1998-03-19 2001-05-25 고사이 아끼오 접착성 조성물, 접착성 적층체, 접착성 적층체의 제조방법 및 다층 적층체
KR100638293B1 (ko) * 2002-03-18 2006-10-26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액정 폴리머용 접착 수지 및 접착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292B1 (ko) * 1991-08-01 1998-04-01 김항덕 반응성 저분자 화합물을 함유한 폴리올레핀계 불균일계 혼합물의 제조방법
KR940018428A (ko) * 1993-01-20 1994-08-18 김항덕 열접착성 폴리올레핀수지 조성물
KR20010041901A (ko) * 1998-03-19 2001-05-25 고사이 아끼오 접착성 조성물, 접착성 적층체, 접착성 적층체의 제조방법 및 다층 적층체
KR100638293B1 (ko) * 2002-03-18 2006-10-26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액정 폴리머용 접착 수지 및 접착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004A (ko) 2012-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76381B1 (en) Bamboo fibers reinforced polypropylene compositions
KR101491440B1 (ko)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및 폴리올레핀 기반의 혼합 조성물
CN1467247A (zh) 具有抗冲击和抗擦伤性能的汽车车门装饰用聚丙烯树脂组合物
WO2006118272A1 (ja) 酸変性ポリプロピレン樹脂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樹脂組成物
US5643997A (en) Polyethylenic resin composition
JP2006328388A (ja) 酸変性ポリプロピレン樹脂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樹脂組成物
US10889707B2 (en) Glass fiber composite material composition having improved impact strength
CN101735398A (zh) 一种木塑复合材料用界面相容剂及其制备方法
US3853808A (en) Reinforced polypropylene composition
KR101701554B1 (ko) 열가소성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231495B1 (ko) 접착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S5966448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1063712B1 (ko) 내스크래치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 방법
US6476145B1 (en) Schockproof polyester-injected parts
KR101135699B1 (ko) 고용융장력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20170084466A (ko) 저온 내충격성이 우수한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KR101594850B1 (ko) 복합소재 스크랩의 재사용을 위한 복합소재 수지 조성물
KR101234782B1 (ko) 폴리유산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KR940011408B1 (ko) 유리섬유 강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533542B1 (ko)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JPH03197561A (ja) ポリフェニ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
JPH0474377B2 (ko)
KR20040088662A (ko)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올레핀의 블렌드 조성물
KR20040089206A (ko) 고압 파이프용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KR20240071543A (ko) 저온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