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019B1 -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회로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019B1
KR101229019B1 KR1020060060919A KR20060060919A KR101229019B1 KR 101229019 B1 KR101229019 B1 KR 101229019B1 KR 1020060060919 A KR1020060060919 A KR 1020060060919A KR 20060060919 A KR20060060919 A KR 20060060919A KR 101229019 B1 KR101229019 B1 KR 101229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terminal
enabl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0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2233A (ko
Inventor
임경문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0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019B1/ko
Priority to CNB200610165630XA priority patent/CN100538809C/zh
Priority to US11/638,514 priority patent/US7733336B2/en
Priority to TW095149346A priority patent/TWI350508B/zh
Publication of KR20080002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실리콘으로 형성된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패널내에 포토센서를 실장하고, 이를 통해 검출된 외광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의 휘도를 조절하는 포토센서가 내장된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포토센서의 감지결과 출력되는 전류신호를 제어하는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회로{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circuit of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블록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폴리 실리콘 기판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대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a는 도 3의 센서제어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b는 도 3의 센서제어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다른 형태의 회로도이다.
도 4c는 도 3의 센서제어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또 다른 형태의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 : 박막트랜지스터 GL : 게이트라인
DL : 데이터라인 100 : 액정패널
120 : 표시영역 130 : 비표시영역
140 : 게이트드라이버 150 : 포토센서
160 : 데이터드라이버 157 : 센서제어부
170 : 신호처리부 180 : 백라이트유닛
180a : 백라이트램프 180b : 백라이트 제어부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실리콘으로 형성된 액정표시장치와, 이에 구비되는 포토센서를 통해 백라이트 유닛의 휘도를 측정하여 이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디스플레이는 그 산업적 이용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박형화 및 대형화 추세에 있으며 현재 양산중인 평판표시장치 중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등이 각광을 받고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격벽사이와 유리기판사이에 개재된 형광체가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플라즈마 특성으로 빛을 발생하는 것으로 자발광 표시장치에 속한다. 이에 반해 액정표시장치는 백라이트 유닛으로 발생되는 빛을 액정의 셔터기능을 통해 빛의 양을 조절하며 표시하는 장치로 수광 표시장치에 속한다. 플라즈 마 디스플레이 표시장치는 디지털 데이터 전압으로 인해 계조가 표현되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화상을 표현하는 데 있어 문제점이 있으나, 액정표시장치는 아날로그 전압이 액정의 양단에 인가되기 때문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표시장치에 비해 자연스러운 화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의 분야에서는 능동형 액정표시장치(Active 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AMLCD)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이 AMLCD 에서는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하나가 한 개의 화소를 정의하고, 이 하나의 박막트랜지스터가 스위칭 소자로써 화소의 전압레벨을 제어하여 화소의 광 투과율을 변화시켜서 영상을 표시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로써, 다수개의 박막트랜지스터(T)가 매트릭스형태로 구비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1)과, 상기 액정패널(1)에 데이터신호의 입력을 제어하는 게이트드라이버(4)와, 상기 액정패널(1)로 데이터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드라이버(6)와, 상기 각 드라이버(4,6)의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밍컨트롤러(7)와, 상기 액정패널(1)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8)으로 구성되며, 이 백라이트 유닛(8)은 상기 액정패널(1)의 배면에 구성되어 데이터신호의 시각적 표시를 수행하는 백라이트램프(8a)와, 상기 백라이트램프(8a)를 제어하는 백라이트 제어부(8b)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은 각각 구동에 요구되는 적합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9)에 의해 구동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전원공급부(9)는 통상 인쇄회로기판(PCB) 상에 집적되어 구성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백라이트램프(8a)는 하나 이상의 형광램프 또는 복수개의 LED(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TFT의 반도체층은 수소화된 비정질 실리콘(a-Si:H; 이하, 비정질 실리콘)이 주로 이용되는데, 이는 대면적으로 제작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높고, 350℃ 이하의 낮은 기판온도에서 증착이 가능하여 저가의 절연기판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술한 비정질 실리콘은 빛 조사에 의해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TFT의 전기적 특성(낮은 전계효과 이동도: 0.1~1.0㎠/V·s)과 신뢰성 저하로 인해 구동회로에 사용하기 어렵다.
그래서, 비정질 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은 TCP(Tape Carrier Package) 구동 IC(Intergrated Circuit)를 이용하여 절연기판과 PCB(Printed Circuit Board)를 연결하며, 이로 인해 구동IC 및 실장비용이 원가에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더욱이, 액정표시장치용 액정패널의 해상도가 높아지면,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의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을 상기 TCP와 연결하는 기판 외부의 패드 피치(Pitch)가 짧아져 TCP 본딩 자체가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폴리 실리콘(P-si ; Polycrystalline-Silicon, 이하, 폴리 실리콘)을 TFT의 반도체층으로 이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폴리 실리콘은 비정질 실리콘에 비하여 전계효과 이동도가 크기 때문에 기판위에 구동회로를 만들 수 있어, 폴리 실리콘으로 기판에 직접 구동회로를 만들면 구동IC 비용도 줄일 수 있고 실장도 간단해진다. 이로 인해, 시스템 전체를 패널내에 실장(System On Panel, 이하 SOP 방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2는 일반적인 폴리 실리콘 기판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대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로써, 게이트 및 데이터드라이버(14,16)가 실장되는 액정패널(10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액정패널(10)은 2개의 기판이 합착되고,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12)과, 상기 드라이버 및 신호배선이 형성되는 비표시영역(13)으로 구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표시영역(12)에는 다수개의 게이트라인(GL) 및 데이터라인(DL)이 매트릭스 형태로 교차하여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라인(GL)과 데이터라인(DL)이 교차되는 지점에는 TFT가 구비된다.
게이트드라이버(14) 및 데이터드라이버(16)는 외부로부터 주사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게이트라인(GL)과 데이터라인(DL)을 통해 상기 표시영역(2)의 TFT를 제어하여, 액정의 광 투과율을 변화시킨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타이밍컨트롤러, 전원공급부는 별도로 구비되는 PCB기판에 실장되어 상기 액정패널(10)과 이에 실장된 드라이버와 접속되고, 백라이트유닛도 상기 액정패널(10)의 배면에 구비된다.
상술한 비정질 실리콘 또는 폴리 실리콘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에서 발생하는 광이 일정하기 때문에, 외부 휘도 및 조도에 따라 액정표시장치의 휘도 및 조도를 제어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액정표시장치의 휘도 및 조도를 제어하기 위해 백라이트 유닛의 입력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시도가 있으며, 포토센서 등을 이용하여 외부 휘도 및 조도를 측정하고, 이를 피드 백 시켜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램프의 휘도 및 조도를 제어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상기의 포토센서는 일반적으로, 외부 휘도 및 조도에 대응하는 전류신호를 출력하는 형태이며, 따라서 상기 전류신호의 제어가 포토센서를 내장한 액정표시장치의 성능을 좌우하는 관건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실리콘으로 형성된 포토센서를 액정표시장치에 내장하고, 이 포토센서가 감지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의 휘도를 측정하여 이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포토센서의 출력신호인 전류신호를 제어하는 구동회로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회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는,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의 경계부에 구비되는 포토센서와, 상기 포토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포토센서가 감지한 외광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포토센서 및 상기 신호처리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포토센서가 감지한 외광에 대응하여 생성한 신호를 제어하는 센서제어부를 포함하는 액정패널과; 상기 신호처리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액정패널로 조사하는 광의 휘도를 제어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 구동회로는, 포토센서의 전류신호를 제어하며, 인에이블신호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인에이블신호에 의해 동작되고, 가변저항신호단으로부터 입력되는 가변저항신호에 의해 출력단의 신호가 제어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회로에 있어서, 게이트단 및 소스단이 상기 인에이블신호단과 연결되고, 드레인단이 N1노드와 연결되는 제1 트랜지스터와; 게이트단 및 드레인단이 상기 N1노드와 연결되고, 소스단이 상기 인에블신호단과 연결되는 제2 트랜지스터와; 게이트단이 상기 N1노드와 연결되고, 소스단이 상기 N1노드와 연결되고, 드레인단이 출력단과 연결되는 제3 트랜지스터와; 게이트단이 상기 가변저항신호단과 연결되고, 소스단이 상기 출력단과 연결되는 제4 트랜지스터와; 애노드가 상기 접지전압단에 연결되고, 캐소드가 상기 N1노드와 연결되는 포토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트랜지스터는 P-MOS 이고, 제4 트랜지스터는 N-MOS 인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른 형태의 액정표시장치 구동회로는, 게이트단이 상기 인에이블신호단과 연결되고, 소스단이 전원전압단과 연결되고, 드레인단이 N1노드와 연결되는 제1 트랜지스터와; 게이트단 및 드레인단이 상기 N1노드와 연결되고, 소스단이 상기 인에블신호단과 연결되는 제2 트랜지스터와; 게이트단이 상기 N1노드와 연결되고, 소스단이 상기 N1노드와 연결되고, 드레인단이 출력단과 연결되는 제3 트랜지스터와; 게이트단이 상기 가변저항신호단과 연결되고, 소스단이 상기 출력단과 연결되는 제4 트랜지스터와; 애노드가 상기 접지전압단에 연결되고, 캐소드가 상기 N1노드와 연결되는 포토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른 형태의 액정표시장치 구동회로는, 입력단이 인에이블신호단과 연결되고, 출력단이 제1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인버터와; 게이트단이 상기 인버터와 연결되고, 소스단이 전원전압단과 연결되고, 드레인단이 N1노드와 연결되는 제1 트랜지스터와; 게이트단 및 드레인단이 상기 N1노드와 연결되고, 소스단이 상기 인에블신호단과 연결되는 제2 트랜지스터와; 게이트단이 상기 N1노드와 연결되고, 소스단이 상기 N1노드와 연결되고, 드레인단이 출력단과 연결되는 제3 트랜지스터와; 게이트단이 상기 가변저항신호단과 연결되고, 소스단이 상기 출력단과 연결되는 제4 트랜지스터와; 애노드가 상기 접지전압단에 연결되고, 캐소드가 상기 N1노드와 연결되는 포토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트랜지스터는 N-MOS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이트단이 상기 가변저항신호단과 연결되고, 소스단이 접지전압단과 연결되고, 드레인단이 상기 제4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제5 트랜지스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5 트랜지스터는 N-MOS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로써, 도 3을 참조하면, 제1 기판상에 다수개의 박막트랜지스터(T)가 매트릭스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에 데이터신호의 입력을 제어하는 게이트드라이버(140) 및, 데이터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드라이버(160)와, 주변 휘도 및 조도를 감지하는 포토센서(150)와, 상기 포토센서(150)로부터 감지된 휘도 및 조도에 대한 신호를 변환하고, 이를 통해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처리부(170)와, 상기 포토센서(150) 및 상기 신호처리부(170)의 사이에 구비되는 센서제어부(157)가 포함된 액정패널(100)과, 상기 액정패널(100)의 배면으로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180)으로 구성되며, 이 백라이트 유닛(180)은 상기 액정패널(100)의 배면에 구성되어 데이터신호의 시각적 표시를 수행하는 백라이트램프(180a)와, 상기 백라이트램프(180a)를 제어하는 백라이트 제어부(180b)가 포함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백라이트램프(180a)는 하나 이상의 형광램프 또는 복수개의 LED(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구성은 각각 구동에 요구되는 적합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미도시)에 의해 구동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전원공급부(미도시)는 통상 인쇄회로기판(PCB) 상에 집적되어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패널(100)의 표시영역(120)에는 다수개의 게이트라인(GL) 및 데이터라인(DL)이 매트릭스 형태로 교차하여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라인(GL)과 데이터라인(DL)이 교차되는 지점에는 박막트랜지스터(T)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액정패널(100)의 비표시영역(130)에는 외부로부터 주사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게이트라인(GL)과 데이터라인(DL)을 통해 상기 표시영 역(120)의 박막트랜지스터(T)를 제어하는 게이트드라이버(140) 및 데이터드라이버(160)가 실장된다.
상기 액정패널(100)의 하측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포토센서(150)가 구비된다. 이 포토센서(150)는 표시영역(120)과 비표시영역(130)의 경계선에 구비되며, 표시영역(120)내에 구비될 수도 있고, 비표시영역(130)에 구비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포토센서(150)는 액정패널내에 구비되어, 액정표시장치가 적용된 전자기기에서 포토센서를 구비하기 위한 별도의 영역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포토센서(150)는 포토다이오드 혹은 포토트랜지스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비표시영역(130)의 하측단에는 상기 포토센서(150)와 연결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변환하고, 이를 통해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처리부(170)가 구비되고, 이 신호처리부(170)는 액정패널(100)의 배면으로 구비되는 백라이트 유닛(180)의 백라이트 제어부(180b)와 연결된다.
여기서, 포토센서(150)는 포토다이오드 혹은 포토트랜지스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포토센서(150) 및 상기 신호처리부(170)는 박막트랜지스터(T)와 동일한 공정에서 형성되며, 상기 포토센서(150)는 실제로 광에 반응하는 부분은 아모퍼스등으로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폴리 실시콘으로 형성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액정표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액정패널(100)은 다수개의 게이트라인(GL) 및 데이터라인(DL)이 매트릭스 형 태로 교차하여 배치되며, 교차 지점에 박막트랜지스터(T)를 스위칭 소자로써 구비하고 후술하는 드라이버(140, 160)와, 포토센서(150)와, 신호처리부(170)를 포함한다. 이 박막트랜지스터(T)의 스위칭 동작으로 액정물질의 광 투과율을 변화시켜 영상을 표시한다.
게이트드라이버(140)는 타이밍 컨트롤러(미도시)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게이트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게이트라인(GL)을 통해 순차적으로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로 출력한다.
데이터드라이버(160)는 타이밍 컨트롤러(미도시)로부터 제어신호 및 데이터신호에 대응하여, 디지털형태의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영상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데이터라인(DL)을 통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로 출력한다.
포토센서(150)는 외광의 휘도 및 조도를 감지하고, 이에 상응하는 전류신호를 센서제어부(157)로 출력한다.
센서제어부(157)는 상기 포토센서(150)로부터 입력되는 전류신호를 설정자가 미리 설정해놓은 전압신호로 변환하여 신호처리부(170)에 공급한다.
신호처리부(170)는 상기 포토센서(150)로부터 전압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아날로그 형태의 전압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전압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거쳐 변환된 신호를 백라이트 제어부(180b)로 공급한다.
백라이트유닛(180)은 하나이상의 램프로 구성되는 백라이트램프(180a)로 상기 액정패널(100)에 광을 조사한다. 이 백라이트램프(180a)의 휘도는 백라이트 제어부(180b)를 통해 제어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게이트드라이버(140) 및 데이터드라이버(160)로부터 출력되는 게이트구동신호 및 영상신호를 통해 구비되어 있는 박막트랜지스터(T)를 턴-온/오프하여, 액정셀의 광 투과율을 변화시키고, 백라이트 유닛으로 광을 조사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백라이트 제어부(180b)는 상기 신호처리부(170, 157)에서 공급되는 외부 휘도가 기준 휘도에 비해 밝을 경우, 상기 백라이트램프(180a)에 공급되는 전압을 크게 인가하고, 이를 통해 상기 백라이트램프(180a)에서 발생하는 광의 휘도를 크게 발생하여 외부 광에 따른 휘도 및 명암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외부 휘도가 기준 휘도에 비해 어두울 경우 상기 백라이트램프(180a)에 공급되는 전압을 작게 인가하고, 이를 통해 상기 백라이트램프(180a)에서 발생하는 광의 휘도를 작게 발생하여 불필요한 전력소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a는 도 3의 센서제어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회로도로서, 여기서, 포토다이오드(D1)는 도 3의 포토센서(도 3의 150)로서, 일 예를 든 것이다. 또한, 제1 내지 제3 트랜지스터는 P-MOS로 구현되며, 제4, 제5 트랜지스터(T1, T4, T5)는 N-MOS로 구현된다.
구조를 살펴보면, 제1 트랜지스터(T1)는 인에에블신호(EN)를 입력받아, 이 인에이블신호(EN)를 N1노드(N1)로 인가하고, 포토다이오드(D1)는 입사되는 광의 크기에 따라, 상기 N1노드의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고, 이에 따라, 제2 및 제3 트랜지스터(T2 ,T3)를 턴-온/오프 시켜, 상기 인에이블신호(EN)를 출력단(Vout)을 통해 출력하며, 제4 및 제5 트랜지스터(T4, T5)는 가변저항 역할을 하는 구조이다.
이하, 도 4a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 구동회로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게이트단 및 소스단이 인에에블신호(EN) 입력단과 연결되고, 드레인단이 N1노드(N1)와 연결된다.
제2 트랜지스터(T2)는 게이트단 및 드레인단이 상기 N1노드(N1)와 연결되고, 소스단이 상기 인에에블신호(EN) 입력단과 연결된다.
제3 트랜지스터(T3)는 게이트단이 상기 N1노드(N1)와 연결되고, 소스단이 상기 인에이블신호(EN) 입력단과 연결되며, 드레인단이 출력단(Vout)과 연결된다.
제4 트랜지스터(T4)는 게이트단이 가변저항신호(VBIAS)입력단과 연결되고, 드레인단은 상기 출력단(Vout)과 연결된다.
제5 트랜지스터(T5)는 게이트단이 가변저항신호(VBIAS)입력단과 연결되고, 소스단은 접지전압(VSS)단과 연결되며, 드레인단은 상기 제4 트랜지스터(T4)와 연결된다.
포토 다이오드(D1)는 애노드가 접지전압단(VSS)와 연결되고, 캐소드가 상기 N1노드(N1)와 연결된다.
이하, 도 4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 구동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센서제어부(157)에 하이레벨의 인에이블신호(EN)가 인가되고, 포토다이오드(D1)에 광이 입사되어 전류가 흐르면 전류는 애노드에서 캐소드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포토다이오드(D1)의 캐소드에 연결되어 있는 N1노 드(N1)에 흐르는 전류값은 낮아지게 된다. 이때, 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압이 인가되는 것으로 N1노드(N1)의 전압이 제2 트랜지스터(T2)와 제3 트랜지스터(T3)의 게이트에 인가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T2)와 제3 트랜지스터(T3)는 N1노드(N1)전압이 문턱전압(Vth)이하가 되면, 턴-온되어 상기 N1노드(N1)에 흐르는 전류에 대응되는 전압이 트랜지스터(T3)의 드레인단에 연결되어 있는 출력단(Vout)을 통해 출력되게 된다.
이때, 상기 출력단(Vout)에 인가되는 전압은 최종적으로 가변저항신호(VBIAS)의 인가에 따라 결정된다. 즉, 제4 트랜지스터(T4) 및 제5 트랜지스터(T5)의 턴-온/오프에 따라 상기 출력단(Vout)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일부가 접지전압단으로 흐르기 때문에, 가변저항신호(VBIAS)로 출력단(Vout)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제어부(157)에 로우레벨의 인에이블신호(EN)가 인가되면, 상기 제1 트랜지스터(T1)는 턴-온되어, 상기 N1노드(N1)에 흐르는 전류가 인에이블신호(EN)단으로 방전된다. 또한, 상기 제2 트랜지스터(T2)는 게이트단과 드레인단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다이오드 동작을 하며 상기 포토다이오드(D1)와 마주보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상기 N1노드(N1)의 전류의 크기는 상기 포토다이오드(D1)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크기에 영향을 받게 된다. 제3 트랜지스터(T3)는 상기 N1노드(N1)의 전압에 의해, 턴-온되어 출력단(Vout)에 걸리는 전압이 방전한다. 상기 제4 및 제5 트랜지스터(T4, T5)의 동작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4 및 제5 트랜지스터(T4, T5)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변저항소 자의 역할을 하므로, 상황에 따라 하나의 트랜지스터로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포토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른 전류신호를 용이하게 제어가능하여, 포토센서의 신뢰성을 보다 확보할 수 있다.
도 4b는 도 3의 센서제어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다른 형태의 회로도로서, 도 4a에서 제1 트랜지스터(T1)의 소스단이 N1노드(N1)가 아닌 전원전압(VDD)단과 연결되어 형태이며, 그 이외의 소자들 및 이 소자들의 연결형태는 도 4a 와 동일하고, 이하에서는 상기 도 4a에 나타낸 구동회로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b의 구동회로는 N1노드(N1)를 전원전압(VDD)레벨로 설정하기 위한 일 예로서, 하이레벨의 인에이블신호(EN)가 인가되는 경우, 도 4a의 구동회로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며, 로우레벨의 인에에블신호(EN)가 인가되는 경우, 제1 트랜지스터(T1)가 턴-온되어, 소스단에 연결되어 있는 전원전압(VDD)이 N1노드(N1)에 인가된다.
도 4c는 도 3의 센서제어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또 다른 형태의 회로도로서, 도 4a 및 도 4b의 제1 트랜지스터(T1)가 P-MOS가 아닌 N-MOS로 구비되며, 상기 제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단이 인에이블신호(EN)단과 인버터(I1)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고, 소스단이 전원전압(VDD)단에 연결되고, 드레인단은 N1노드(N1)에 연결되는 형태이며, 그 이외의 소자들 및 이 소자들의 연결형태는 도 4a 및 도 4b와 동일하고, 이하에서는 상기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구동회로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c의 구동회로는 N1노드(N1)를 접지전압(VSS)레벨로 설정하기 위한 일 예로서, 하이레벨의 인에이블신호(EN)가 인가되는 경우, 도 4a 및 도 4b의 구동회로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며, 로우레벨의 인에에블신호(EN)가 인가되는 경우, 제1 트랜지스터(T1)가 턴-온되어, 소스단에 연결되어 있는 접지전압(VSS)이 N1노드(N1)에 인가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에에 의한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회로로는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을 외부 휘도의 크기에 따라 제어하여 야외시인성 증가 및 소비전력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 휘도의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포토센서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센서제어부를 통해, 상기 포토센서 동작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제어부를 다양한 설정값을 갖도록 구성가능하다.

Claims (8)

  1. 삭제
  2.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에 빛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과, 외부 광의 밝기를 감지하여 센싱 신호를 생성하는 포토센서와, 상기 센싱 신호를 변환하는 센서제어부와, 상기 센서제어부의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휘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백라이트 유닛에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제어부는,
    각각이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제 1 내지 제 3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3 박막트랜지스터에 연결되는 가변저항소자와;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인에이블 신호 입력단과;
    접지전압을 출력하는 접지전압단과;
    가변저항신호를 상기 가변저항소자에 인가하는 가변저항신호입력단과;
    상기 신호처리부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을 포함하고,
    상기 포토센서는 상기 접지전압단과 상기 제 2 및 제 3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저항소자는 상기 제 3 박막트랜지스터에 병렬 연결되는 제 4 및 제 5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저항신호는 상기 제 4 및 제 5 박막트랜지스터 각각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은 상기 인에이블 신호 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제 2 및 제 3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어 노드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노드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은 상기 인에이블 신호 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 3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은 상기 인에이블 신호 입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 3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출력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박막트랜지스터는 P-MOS 이고, 상기 가변저항소자는 N-MOS 타입의 박막트랜지스터인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제어부는 전원전압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인에이블 신호 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은 상기 전원전압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제 2 및 제 3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어 노드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노드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은 상기 인에이블 신호 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 3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은 상기 인에이블 신호 입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 3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출력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제어부는 전원전압단과, 입력단이 인에이블 신호 입력단과 연결되고, 출력단이 제1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인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인버터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은 상기 전원전압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제 2 및 제 3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어 노드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노드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은 상기 인에이블 신호 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 3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은 상기 인에이블 신호 입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 3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출력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박막트랜지스터는 N-MOS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60060919A 2006-06-30 2006-06-30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회로 KR101229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919A KR101229019B1 (ko) 2006-06-30 2006-06-30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회로
CNB200610165630XA CN100538809C (zh) 2006-06-30 2006-12-08 液晶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US11/638,514 US7733336B2 (en) 2006-06-30 2006-12-14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TW095149346A TWI350508B (en) 2006-06-30 2006-12-27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919A KR101229019B1 (ko) 2006-06-30 2006-06-30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233A KR20080002233A (ko) 2008-01-04
KR101229019B1 true KR101229019B1 (ko) 2013-02-15

Family

ID=38876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0919A KR101229019B1 (ko) 2006-06-30 2006-06-30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33336B2 (ko)
KR (1) KR101229019B1 (ko)
CN (1) CN100538809C (ko)
TW (1) TWI3505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718706D0 (en) 2007-09-25 2007-11-07 Creative Physic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laser speckle
KR100957948B1 (ko) * 2008-02-19 2010-05-1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광센서 및 그를 이용한 평판표시장치
CN101551979A (zh) 2008-04-03 2009-10-07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户外可读液晶显示装置
JP5301294B2 (ja) * 2008-05-30 2013-09-2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表示装置
JP4797189B2 (ja) * 2009-02-09 2011-10-19 奇美電子股▲ふん▼有限公司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電子機器
US11726332B2 (en) 2009-04-27 2023-08-15 Digilens Inc. Diffractive projection apparatus
US9335604B2 (en) 2013-12-11 2016-05-10 Milan Momcilo Popovich Holographic waveguide display
WO2011042711A2 (en) 2009-10-09 2011-04-14 Milan Momcilo Popovich Compact edge illuminated diffractive display
US8885112B2 (en) 2009-10-27 2014-11-11 Sbg Labs, Inc. Compact holographic edge illuminated eyeglass display
TWI426330B (zh) * 2010-07-14 2014-02-11 Chi Lin Optoelectronics Co Ltd A backlight modul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backlight module
WO2012136970A1 (en) 2011-04-07 2012-10-11 Milan Momcilo Popovich Laser despeckler based on angular diversity
US10670876B2 (en) 2011-08-24 2020-06-02 Digilens Inc. Waveguide laser illuminator incorporating a despeckler
EP2995986B1 (en) 2011-08-24 2017-04-12 Rockwell Collins, Inc. Data display
WO2016020630A2 (en) 2014-08-08 2016-02-11 Milan Momcilo Popovich Waveguide laser illuminator incorporating a despeckler
WO2013034879A1 (en) 2011-09-07 2013-03-14 Milan Momcilo Popovich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electro optical arrays
WO2013102759A2 (en) 2012-01-06 2013-07-11 Milan Momcilo Popovich Contact image sensor using switchable bragg gratings
KR101491613B1 (ko) * 2012-02-28 2015-02-16 주식회사 케이티 가청음 출력장치 및 방법, 그리고 위성 신호를 측정하는 위성신호 측정기
EP2862026A1 (en) 2012-06-18 2015-04-22 Milan Momcilo Popovich Apparatus for copying a hologram
US9933684B2 (en) * 2012-11-16 2018-04-03 Rockwell Collins, Inc. Transparent waveguide display providing upper and lower fields of view having a specific light output aperture configuration
US9727772B2 (en) 2013-07-31 2017-08-08 Digile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act image sensing
WO2016020632A1 (en) 2014-08-08 2016-02-11 Milan Momcilo Popovich Method for holographic mastering and replication
WO2016042283A1 (en) 2014-09-19 2016-03-24 Milan Momcilo Popovich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input images for holographic waveguide displays
CN111323867A (zh) 2015-01-12 2020-06-23 迪吉伦斯公司 环境隔离的波导显示器
US9632226B2 (en) 2015-02-12 2017-04-25 Digilens Inc. Waveguide grating device
US10490141B1 (en) * 2015-09-28 2019-11-26 Amazon Technologies, Inc. Reset pulse control to manage flicker of an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EP3359999A1 (en) 2015-10-05 2018-08-15 Popovich, Milan Momcilo Waveguide display
JP6895451B2 (ja) 2016-03-24 2021-06-30 ディジレ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偏光選択ホログラフィー導波管デバイス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6734933B2 (ja) 2016-04-11 2020-08-05 ディジレ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構造化光投影のためのホログラフィック導波管装置
EP3548939A4 (en) 2016-12-02 2020-11-25 DigiLens Inc. UNIFORM OUTPUT LIGHTING WAVEGUIDE DEVICE
US10545346B2 (en) 2017-01-05 2020-01-28 Digilens Inc. Wearable heads up displays
CN116149058A (zh) 2017-10-16 2023-05-23 迪吉伦斯公司 用于倍增像素化显示器的图像分辨率的***和方法
JP7404243B2 (ja) 2018-01-08 2023-12-25 ディジレ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導波管セル内のホログラフィック格子の高スループット記録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19136476A1 (en) 2018-01-08 2019-07-11 Digilens, Inc. Waveguide architectures and related methods of manufacturing
WO2020023779A1 (en) 2018-07-25 2020-01-30 Digile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a multilayer optical structure
WO2020168348A1 (en) 2019-02-15 2020-08-20 Digilens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viding a holographic waveguide display using integrated gratings
CN113728258A (zh) 2019-03-12 2021-11-30 迪吉伦斯公司 全息波导背光及相关制造方法
KR20220016990A (ko) 2019-06-07 2022-02-10 디지렌즈 인코포레이티드. 투과 및 반사 격자를 통합하는 도파관 및 관련 제조 방법
CN114341729A (zh) 2019-07-29 2022-04-12 迪吉伦斯公司 用于使像素化显示器的图像分辨率和视场倍增的方法和设备
WO2021041949A1 (en) 2019-08-29 2021-03-04 Digilens Inc. Evacuating bragg grating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CN111223458B (zh) * 2020-01-06 2022-02-15 昆山龙腾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模组及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1051A (ja) * 2004-09-21 2006-04-06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US20060077169A1 (en) 2004-10-12 2006-04-13 Seiko Epson Corporation Photo detection circuit,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lectro-optical panel,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7703A (en) * 1994-06-07 2000-07-1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hotodetector and photodetection circuit
TW379499B (en) * 1998-05-14 2000-01-11 Ind Tech Res Inst Active pixel sensing cell
US6043478A (en) * 1998-06-25 2000-03-2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Active pixel sensor with shared readout structure
EP1343134A4 (en) * 2000-12-06 2008-07-09 Sony Corp TIME CONTROL GENERATION CIRCUIT FOR A DISPLAY AND DISPLAY THEREOF
FR2820882B1 (fr) * 2001-02-12 2003-06-13 St Microelectronics Sa Photodetecteur a trois transistors
FR2824665B1 (fr) * 2001-05-09 2004-07-23 St Microelectronics Sa Photodetecteur de type cmos
JP2004281922A (ja) 2003-03-18 2004-10-07 Seiko Epson Corp 発光素子の電流制御装置
US6975008B2 (en) * 2003-10-27 2005-12-13 Eastman Kodak Company Circuit for detecting ambient light on a display
JP3691050B2 (ja) * 2003-10-30 2005-08-31 総吉 廣津 半導体撮像素子
JP4706480B2 (ja) * 2003-12-08 2011-06-22 ソニ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20060284824A1 (en) * 2005-06-20 2006-12-21 Yu-Kuang Yeh Luminance auto-adjustment for displays
KR101330817B1 (ko) * 2006-06-30 2013-11-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1051A (ja) * 2004-09-21 2006-04-06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US20060077169A1 (en) 2004-10-12 2006-04-13 Seiko Epson Corporation Photo detection circuit,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lectro-optical panel,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233A (ko) 2008-01-04
US7733336B2 (en) 2010-06-08
TWI350508B (en) 2011-10-11
US20080001909A1 (en) 2008-01-03
CN100538809C (zh) 2009-09-09
CN101097695A (zh) 2008-01-02
TW200802267A (en) 2008-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9019B1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회로
KR101330817B1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US932427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brightness
KR100997977B1 (ko) 광센서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US6885356B2 (en) Active-matrix type display device
TW397965B (en) Pixel circuits, display devices and electronic instruments with current-driven light-emitting elements
US20060082523A1 (en) Active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panel module and driving module thereof
US10891895B2 (en) Light emit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LED display device
KR101457683B1 (ko) 액정표시장치
WO2015000261A1 (zh) 像素电路、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7924262B2 (en) Light source driving apparatus,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driving a light source
US20230024912A1 (en) Display module and driving method of display module
JP2004094014A (ja) 表示装置
KR101325977B1 (ko) 포토센서가 내장된 액정표시장치
KR20170059541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958449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US20100026673A1 (en) Method and control board for eliminating power-off residual images in display and display using the same
US10283046B2 (en) Electro-optical device, driving method for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0662989B1 (ko) 검사회로부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EP4207158A1 (en) Display apparatus
KR102412006B1 (ko) 유기발광표시패널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1712204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019967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구동방법
KR101322151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10071386A (ko) 표시 장치의 포토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