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1316B1 - Camera module with function of autofocus - Google Patents

Camera module with function of autofoc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1316B1
KR101221316B1 KR1020110051691A KR20110051691A KR101221316B1 KR 101221316 B1 KR101221316 B1 KR 101221316B1 KR 1020110051691 A KR1020110051691 A KR 1020110051691A KR 20110051691 A KR20110051691 A KR 20110051691A KR 101221316 B1 KR101221316 B1 KR 101221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elastic body
case
magnet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16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33161A (en
Inventor
임장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씨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씨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씨넥스
Priority to KR1020110051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1316B1/en
Publication of KR20120133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1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3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02K41/0356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은 내부 공간을 갖고 상부가 개구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장착한 캐리어와, 케이스와 캐리어 중 어느 한쪽에 지지되는 마그네트와 다른 쪽에 마그네트의 자기장이 미치는 영역과 대응되게 지지되는 코일을 구비하는 구동수단과, 캐리어의 상측 둘레를 따라 지지되는 안쪽부위가 케이스의 내측 둘레를 따라 지지되는 바깥부위보다 높게 단차지도록 탄성 변형되어 캐리어에 예압을 가하는 제1 탄성체, 및 캐리어의 하측 둘레를 따라 지지되는 안쪽부위가 케이스의 내측 둘레를 따라 지지되는 바깥부위보다 높게 단차지도록 탄성 변형되어 캐리어에 예압을 가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탄성체의 단차와 제2 탄성체의 단차는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지며, 제1 탄성체의 탄성 변형부위와 제2 탄성체의 탄성 변형부위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It relates to a camera module having an autofocus function. The camera module has an inner space and an open upper portion, a carrier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and equipped with at least one lens, a magnet supported on either of the case and the carrier, and an area in which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 is applied to the other side. A first elastic body for applying a preload to the carrier by elastically deforming the driving means having a coil supported correspondingly to the step, and an inner part supported along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carrier to be higher than an outer part support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ase; And a second elastic body elastically deformed to apply a preload to the carrier so that the inner portion supported along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carrier is stepped higher than the outer portion support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ase. The step of the first elastic body and the step of the second elastic body are made of the same height, and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of the first elastic body and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of the second elastic body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Description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with function of autofocus}Camera module with function of autofocus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 등에 탑재되며 피사체를 향해 자동으로 초점이 맞춰지는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mera module mounted on a terminal or the like and having a function of automatically focusing toward a subject.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 휴대폰 등과 같은 소형 단말기에 탑재되는 카메라 모듈은,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과 같은 이미지 센서를 채용하여,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바꾸는 방식으로 화상을 구현한다. In general, a camera module mounted in a small terminal such as a digital camera or a mobile phone employs an image sensor such as a charge coupled device (CCD) or a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to convert an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Implement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에 초점이 자동으로 맞춰지는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경우, 이미지 센서에 대한 렌즈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자동초점 구동수단, 예컨대 VCM(Voice Coil Motor) 방식의 자동초점 구동수단을 구비한다. When the camera module has an autofocus function for automatically focusing on a subject, the camera module includes autofocus driving means capable of varying the position of the lens with respect to the image sensor, for example, autofocus driving means of a VCM (Voice Coil Motor) method. do.

VCM 방식의 자동초점 구동수단은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를 전류 공급되는 코일과 마주하도록 배치하고 렌즈를 장착한 캐리어를 마그네트 또는 코일에 결합시킨다. 마그네트와 코일은 자기장과 전류에 수직으로 발생하는 로렌츠 힘에 의해 상대 이동하여 캐리어를 가동시킴으로써 렌즈의 위치를 가변시키게 된다. The VCM type autofocus driving means arranges a magnet generating a magnetic field so as to face a coil supplied with current, and couples a carrier equipped with a lens to the magnet or coil. The magnet and the coil move relative to each other by Lorentz force generated perpendicular to the magnetic field and the current, there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lens.

이러한 VCM 방식의 자동초점 구동수단은 캐리어를 비접촉 방식으로 가동시키므로, 카메라 모듈의 자세에 따라 캐리어가 중력에 의해 처지거나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은 전술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필요로 한다. Since the VCM-type autofocus driving means operates the carrier in a non-contact manner, the carrier may be sag or tilted by gravity depending on the posture of the camera module. Therefore, the camera module needs a means for prevent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

본 발명의 과제는 캐리어가 중력에 의해 처지거나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캐리어가 기준 광축 방향에 대해 틀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mera module having an autofocus function capable of increasing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carrier from sagging or tilting due to gravity and preventing the carrier from being distorted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optical axis direction.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은, 내부 공간을 갖고 상부가 개구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장착한 캐리어; 상기 케이스와 상기 캐리어 중 어느 한쪽에 지지되는 마그네트와 다른 쪽에 상기 마그네트의 자기장이 미치는 영역과 대응되게 지지되는 코일을 구비하는 구동수단; 상기 캐리어의 상측 둘레를 따라 지지되는 안쪽부위가 상기 케이스의 내측 둘레를 따라 지지되는 바깥부위보다 높게 단차지도록 탄성 변형되어 상기 캐리어에 예압을 가하는 제1 탄성체; 및 상기 캐리어의 하측 둘레를 따라 지지되는 안쪽부위가 상기 케이스의 내측 둘레를 따라 지지되는 바깥부위보다 높게 단차지도록 탄성 변형되어 상기 캐리어에 예압을 가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탄성체의 단차와 상기 제2 탄성체의 단차는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탄성체의 탄성 변형부위와 상기 제2 탄성체의 탄성 변형부위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Camera module having an autofocus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ase having an inner space and the upper opening; A carrier accommodated in an inner space of the case and equipped with at least one lens; Drive means including a magnet supported on one of the case and the carrier and a coil supported on the other side to correspond to a region of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 A first elastic body elastically deformed to apply a preload to the carrier so that an inner portion supported along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carrier is stepped higher than an outer portion support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ase; And a second elastic body elastically deformed to step higher than an outer portion support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ase so that the inner portion supported along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carrier exerts a preload on the carrier, and the step of the first elastic body And the step of the second elastic body has the same height, and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of the first elastic body and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of the second elastic body have the same shape.

본 발명에 따르면, 캐리어가 상측과 하측 모두에서 예압을 받으므로, 카메라 모듈이 어떠한 자세를 취하더라도 중력에 의해 처지거나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arrier is preloaded from both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the camera module may be prevented from sagging or tilting due to gravity regardless of the posture.

본 발명에 따르면, 캐리어가 구동수단으로부터 힘을 받아서 기준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캐리어의 상측과 하측에 동일한 탄성력이 작용함과 아울러 제1,2 탄성체에 동일한 형태의 탄성 변형이 발생됨으로써, 캐리어가 기준 광축 방향에 대해 틀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rrier is moved from the driving means along the reference optical axis direction, the same elastic force acts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carrier, and the same type of elastic deformation is generated on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odies, whereby the carri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torted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optical axis dir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에 대한 측단면도.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1의 B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도 2에 있어서, 제1 탄성체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2에 있어서, 제2 탄성체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2에 있어서, 헤드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2에 있어서, 요크 삽입 홈에 요크가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amera module having an autofocus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3 is an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rea A of FIG. 1;
4 is an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 of region B of FIG. 1;
FIG.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elastic body in FIG. 2; FIG.
FIG.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elastic body in FIG. 2;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side of the head in FIG. 2;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erting a yoke into the yoke insertion groove of FIG. 2.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의 B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amera module having an autofocus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3 is an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 of region A of FIG. 1. 4 is an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 of region B of FIG. 1.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00)은 케이스(110)와, 캐리어(120)와, 구동수단(130)과, 제1 탄성체(140), 및 제2 탄성체(150)를 포함한다. 1 to 4, the camera module 100 includes a case 110, a carrier 120, a driving means 130, a first elastic body 140, and a second elastic body 150. do.

케이스(110)는 내부 공간을 갖고 상부가 개구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캐리어(120)는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적어도 하나의 렌즈(101)를 장착한다. 렌즈(101)는 피사체의 광학적 상을 맺게 한다. 캐리어(120)의 상부는 렌즈(101)로 빛이 들어오도록 개구된다. 캐리어(120)의 하부는 렌즈(101)를 통과한 빛이 렌즈(101)의 하측에 설치되는 이미지 센서(102) 측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개구된다. 여기서, 이미지 센서(102)는 렌즈(101)의 의해 맺힌 광학적 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것으로, CCD, CMOS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02)는 인쇄회로기판(103)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03)은 렌즈(101)의 초점 조절을 위한 제어 전류를 코일(132)로 공급하며, 인쇄회로기판(103)은 케이스(110)의 하부 개구에 설치될 수 있다. The case 110 has an internal space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n upper portion thereof is opened. The carrier 120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10 and mounts at least one lens 101. The lens 101 forms an optical image of the subject. The upper portion of the carrier 120 is opened so that light enters the lens 101. The lower part of the carrier 120 is opened so that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 101 can be transmitted to the image sensor 102 installed under the lens 101. Here, the image sensor 102 converts the optical image formed by the lens 101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may be configured as a CCD, a CMOS, or the like. The image sensor 102 may be install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03. The printed circuit board 103 supplies a control current for adjusting the focus of the lens 101 to the coil 132,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103 may be installed in the lower opening of the case 110.

구동수단(130)은 케이스(110)와 캐리어(120) 중 어느 한쪽에 지지되는 마그네트(131)와, 다른 쪽에 마그네트(131)의 자기장이 미치는 영역과 대응되게 지지되는 코일(132)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마그네트(131)는 케이스(110)에 고정되어 지지되고, 코일(132)은 캐리어(120)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다. 코일(132)에 인쇄회로기판(103)으로부터 제어 전류가 공급되면, 마그네트(131)의 자기장 내에 있는 코일(132)은 로렌츠 힘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함에 따라, 캐리어(120)를 광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킨다. 따라서, 캐리어(120)에 장착된 렌즈(101)의 위치가 이미지 센서(102)에 대해 가변되어, 초점이 자동으로 맞춰질 수 있다. The driving means 130 includes a magnet 131 supported on one of the case 110 and the carrier 120, and a coil 132 supported on the other side corresponding to the region of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 131. . For example, the magnet 131 may be fixed to the case 110 and supported, and the coil 132 may be fixed to the carrier 120. When the control current is supplied to the coil 132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103, the coil 132 in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 131 linearly move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by the Lorentz force, thereby moving the carrier 12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Move straight with. Thus, the position of the lens 101 mounted on the carrier 120 is varied relative to the image sensor 102, so that the focus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제1 탄성체(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120)의 상측 둘레를 따라 지지되는 안쪽부위가 케이스(110)의 내측 둘레를 따라 지지되는 바깥부위보다 높게 단차지도록 탄성 변형되어 캐리어(120)에 예압(pre-load)을 가한다. 제1 탄성체(140)에는 바깥부위가 안쪽부위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복귀하려는 힘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힘이 예압으로 작용하게 된다. 캐리어(120)는 제1 탄성체(140)로부터 예압을 받게 되면, 카메라 모듈(100)이 어떠한 자세를 취하더라도 중력에 의해 처지거나 기울어지지 않을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first elastic body 140 is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an inner portion supported along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carrier 120 is stepped higher than an outer portion support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ase 110. Pre-load is applied to 120. In the first elastic body 140, a force is generated to return the outer portion to the same height as the inner portion, and this force acts as a preload. When the carrier 120 receives the preload from the first elastic body 140, the carrier 120 may not sag or tilt due to gravity, regardless of the posture of the camera module 100.

제2 탄성체(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120)의 하측 둘레를 따라 지지되는 안쪽부위가 케이스(110)의 내측 둘레를 따라 지지되는 바깥부위보다 높게 단차지도록 탄성 변형되어 캐리어(120)에 예압을 가한다. 제2 탄성체(150)에는 바깥부위가 안쪽부위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복귀하려는 힘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힘이 예압으로 작용하게 된다. 캐리어(120)는 제1 탄성체(140)뿐 아니라 제2 탄성체(150)로부터 예압을 받게 되므로, 중력에 의해 처지거나 기울어지지 않는 효과가 배가될 수 있다. 전술한 기능 외에, 구동수단(130)으로부터 캐리어(120)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제1,2 탄성체(140)(150)는 복원력에 의해 캐리어(120)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게 한다. As shown in FIG. 4, the second elastic body 150 is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inner portion supported along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carrier 120 is stepped higher than the outer portion support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ase 110. Preload is applied to 120. In the second elastic body 150, a force is generated to return the outer portion to the same height as the inner portion, and this force acts as a preload. Since the carrier 120 receives the preload from the second elastic body 150 as well as the first elastic body 140, the effect of not sagging or tilting due to gravity may be doubled.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function,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carrier 120 from the drive means 130 is removed,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odies 140 and 150 enable the carrier 120 to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제2 탄성체(150)가 단차를 갖도록 케이스(110)의 안쪽 바닥에 캐리어(120)를 받치기 위한 받침 블록(111)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탄성체(150)는 바깥부위가 받침 블록(111)보다 낮은 케이스(110)의 안쪽 바닥에 고정되고, 안쪽부위가 캐리어(120)의 바닥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2 탄성체(150)는 받침 블록(111)의 높이에 해당하는 단차를 가질 수 있다. A support block 111 for supporting the carrier 120 may protrude from the inner bottom of the case 110 so that the second elastic body 150 has a step. The second elastic body 150 is fixed to the inner bottom of the case 110, the outer portion is lower than the support block 111, the inner portion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carrier 120. Therefore, the second elastic body 150 may have a step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support block 111.

제1 탄성체(140)는 캐리어(120)가 받침 블록(111)에 놓인 상태에서 안쪽부위가 캐리어(120)의 상측 둘레에 지지되고 바깥부위가 안쪽부위보다 낮은 케이스(110) 부위에 지지됨으로써 단차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탄성체(140)의 단차 높이(H1)는 제2 탄성체(150)의 단차 높이(H2)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제1 탄성체(140)의 탄성 변형부위는 제2 탄성체(150)의 탄성 변형부위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The first elastic body 140 is stepped by being supported by the inner portion of the case 110, the inner portion is supported around the upper side of the carrier 120 and the outer portion is lower than the inner por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carrier 120 is placed on the support block 111 It can have At this time, the step height H1 of the first elastic body 140 is the same as the step height H2 of the second elastic body 150. In addition,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of the first elastic body 140 has the same shape as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of the second elastic body 150.

따라서, 캐리어(120)가 구동수단(130)으로부터 힘을 받아서 기준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캐리어(120)의 상측과 하측에 동일한 탄성력이 작용함과 아울러 제1,2 탄성체(140)(150)에 동일한 형태의 탄성 변형이 발생됨으로써, 캐리어(120)가 기준 광축 방향에 대해 틀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carrier 120 moves along the reference optical axis direction by receiving a force from the driving means 130, the same elastic force acts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carrier 120 and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odies 140 and 150. By the same type of elastic deformation is generated, the carrier 1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torted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optical axis direction.

한편, 제1 탄성체(140)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그 일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측 프레임(141)과, 제1 외측 프레임(142), 및 복수의 제1 탄성 변형부(143)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측 프레임(141)은 캐리어(120)의 상측 둘레를 따라 지지된다. 제1 외측 프레임(142)은 제1 내측 프레임(141)의 바깥쪽에서 제1 내측 프레임(141)과 이격되어 케이스(110)의 내측 둘레를 따라 지지된다. Meanwhile, the first elastic body 140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6, the first inner frame 141, the first outer frame 142, and the plurality of first ones are illustrated. The elastic deformation parts 143 may be included. The first inner frame 141 is supported along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carrier 120. The first outer frame 142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nner frame 141 at the outside of the first inner frame 141 and is support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ase 110.

제1 탄성 변형부(143)들은 제1 내측 프레임(141)과 제1 외측 프레임(142) 사이에서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다. 제1 탄성 변형부(143)들은 각 일단이 제1 내측 프레임(141)에 연결되고, 각 타단이 제1 외측 프레임(142)에 연결된다. 제1 탄성체(140)는 외력을 받지 않을 때, 제1 내측 프레임(141)과 제1 외측 프레임(142) 및 제1 탄성 변형부(143)들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탄성 변형부(143)들은 미앤더(meander) 형태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탄성 변형부(143)는 반복 동작에도 강건할 수 있다. 제1 탄성 변형부(143)는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first elastic deformation parts 143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first inner frame 141 and the first outer frame 142. Each of the first elastic deformation parts 143 is connected to the first inner frame 141,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er frame 142. When the first elastic body 140 is not subjected to an external force, the first inner frame 141, the first outer frame 142, and the first elastic deformation parts 143 are formed on the same plane. The first elastic deformation parts 143 may be formed in a meander shape, respectively. Therefore, the first elastic deformation part 143 can be robust to the repeated operation. The first elastic deformation unit 143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xample, of course,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제2 탄성체(1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내측 프레임(151)과, 제2 외측 프레임(152), 및 복수의 제2 탄성 변형부(153)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내측 프레임(151)은 캐리어(120)의 하측 둘레를 따라 지지된다. 제2 외측 프레임(152)은 제2 내측 프레임(151)의 바깥쪽에서 제2 내측 프레임(151)과 이격되어 케이스(110)의 내측 둘레를 따라 지지된다. As illustrated in FIG. 6, the second elastic body 150 may include a second inner frame 151, a second outer frame 152, and a plurality of second elastic deformation parts 153. The second inner frame 151 is supported along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carrier 120. The second outer frame 152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inner frame 151 at the outside of the second inner frame 151 and is support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ase 110.

제2 탄성 변형부(153)들은 제2 내측 프레임(151)과 제2 외측 프레임(152) 사이에서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다. 제2 탄성 변형부(153)들은 각 일단이 제2 내측 프레임(151)에 연결되고, 각 타단이 제2 외측 프레임(152)에 연결된다. 제2 탄성 변형부(153)는 제1 탄성 변형부(143)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 탄성체(150)는 외력을 받지 않을 때, 제2 내측 프레임(151)과 제2 외측 프레임(152) 및 제2 탄성 변형부(153)들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 탄성 변형부(153)는 제1 탄성 변형부(143)와 마찬가지로 미앤더 형태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elastic deformation parts 153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second inner frame 151 and the second outer frame 152. One end of each of the second elastic deformation parts 153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ner frame 151,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er frame 152. The second elastic deformation portion 153 has the same shape as the first elastic deformation portion 143. When the second elastic body 150 is not subjected to an external force, the second inner frame 151, the second outer frame 152, and the second elastic deformation parts 153 are formed on the same plane. Like the first elastic deformation portion 143, the second elastic deformation portion 153 may be formed in a meander shape, respectively.

제2 탄성체(150)는 2개로 분할된 형태로 이루어져, 분할된 부분들이 코일(132)의 2개 배선단자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탄성체(150)의 분할된 부분들은 쇼트가 생기지 않도록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다. 제2 탄성체(150)의 분할된 부분들은 각각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져 한 쌍을 이룰 수 있다. 제2 탄성체(150)의 분할된 부분들은 인쇄회로기판(103)의 2개 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코일(132)과 인쇄회로기판(103)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매개 전극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The second elastic body 150 is divided into two forms, and the divided portion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wo wiring terminals of the coil 132, respectively. Here, the divided portions of the second elastic body 150 are spaced at regular intervals so as not to cause a short. The divided portions of the second elastic body 150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nd form a pair. The divided portions of the second elastic body 15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wo terminal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03, thereby functioning as intermediate 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il 132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103. Can be.

한편, 캐리어(120)는 배럴(121)과 보빈(122)을 포함할 수 있다. 배럴(121)은 렌즈(101)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갖고, 상하부가 개구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보빈(122)은 중공을 갖고 둘레에 코일(132)을 권취한다. 보빈(122)은 배럴(121) 둘레에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배럴(121)은 보빈(122)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정,역 회전함에 따라 광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렌즈(101)의 영점 조정 등을 위한 미세 초점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Meanwhile, the carrier 120 may include a barrel 121 and a bobbin 122. The barrel 121 has an internal space for accommodating the lens 101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opened. The bobbin 122 has a hollow and winds the coil 132 around. The bobbin 122 is screwed around the barrel 121. Accordingly, the barrel 121 may linearly mov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s it rotates forward and reverse in a state in which the barrel 121 is screwed to the bobbin 122. In this process, fine focus adjustment for zero adjustment of the lens 101 can be performed.

케이스(110)는 헤드(112) 및 베이스(115)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112)는 베이스(115)의 상측에서 베이스(115)와 결합된다. 이 경우, 제1 탄성체(140)는 바깥부위가 헤드(112)에 지지되고, 제2 탄성체(150)는 바깥부위가 베이스(115)에 지지된다. 제1 탄성체(140)는 제1 외측 프레임(142)이 헤드(112)에 접착되어 지지될 수 있고, 제1 내측 프레임(141)이 보빈(122) 상단 둘레에 얹혀져 지지될 수 있다. 제2 탄성체(150)는 제2 외측 프레임(152)이 베이스(115)에 접착되어 지지될 수 있고, 제2 내측 프레임(151)이 보빈(122) 하단 둘레에 접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전술한 구조를 갖는 케이스(110)는 내부에 제1,2 탄성체(140)(150)와 캐리어(12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e case 110 may include a head 112 and a base 115. The head 112 is coupled with the base 115 above the base 115. In this case, the outer side of the first elastic body 140 is supported by the head 112, and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elastic body 150 is supported by the base 115. The first elastic body 140 may be supported by the first outer frame 142 attached to the head 112, the first inner frame 141 may be supported by being mounted around the top of the bobbin 122. The second elastic body 150 may be supported by the second outer frame 152 adhered to the base 115, and the second inner frame 151 may be adhered around the bottom of the bobbin 122. The case 11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may facilitate assembly of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bodies 140 and 150 and the carrier 120 therein.

마그네트(131)는 적어도 한 쌍으로 이루어져 케이스(110)에 지지되고, 코일(132)은 캐리어(120)에 지지될 수 있다. 마그네트(131)들은 평판 형상으로 각각 이루어지며, 캐리어(1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마그네트(131)들은 마주보는 각각의 극성이 동일한 극성으로 설정된다. 예컨대, 마그네트(131)들의 각 안쪽이 N극으로 설정된다면, 마그네트(131)들의 각 바깥쪽이 S극으로 설정될 수 있다. 마그네트(131)들의 각 바깥 면에 요크(133)가 부착될 수 있다. 각각의 요크(133)는 마그네트(131)보다 넓은 면적의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요크(133)는 마그네트(131)에서 발생되는 자속을 코일(132)로 집중 유도하고 순환시킬 수 있게 한다. The magnet 131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pair and supported by the case 110, and the coil 132 may be supported by the carrier 120. The magnets 131 are each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nd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carrier 120 interposed therebetween. The magnets 131 are set to the same polarity of each opposite polarity. For example, if each inside of the magnets 131 is set to the N pole, each outside of the magnets 131 may be set to the S pole. The yoke 133 may be attached to each outer surface of the magnets 131. Each yoke 133 may have a flat plate shape having a larger area than the magnet 131. The yoke 133 allows the magnetic flux generated in the magnet 131 to be concentrated and guided to the coil 132.

헤드(112)는 마그네트(131)들을 각각 삽입시키는 헤드 절개 홈(113)들을 갖는다. 마그네트(131)가 4개인 경우, 헤드(112)는 내부 공간을 갖고 상하부가 개구된 육면체 형상에서 4개의 측부마다 헤드 절개 홈(113)이 하나씩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4 코너들에 하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헤드 돌출부(114)들을 갖는다. The head 112 has head cutouts 113 for inserting the magnets 131, respectively. When the four magnets 131 are four, the head 112 has a structure in which a head incision groove 113 is formed at each of four sides in an hexahedral shape having an inner space and an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and protrudes downward at four corners, respectively. Head projections 114.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절개 홈(113)들의 각 안쪽에는 기준 면(161)들 및 지지 면(162)들이 형성될 수 있다. 기준 면(161)들은 헤드 절개 홈(113)의 안쪽에서 마그네트(131)에서 캐리어(120)를 향한 면으로 각각 돌출되어 마그네트(131)를 정렬할 수 있게 한다. 기준 면(161)들은 헤드(112)에 대해 마그네트(131)가 정렬되는 기준 위치를 제공한다. As shown in FIG. 7, reference surfaces 161 and support surfaces 162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head cutting grooves 113. The reference faces 161 protrude from the magnet 131 toward the carrier 120 at the inside of the head incision groove 113 so as to align the magnets 131. Reference planes 161 provide a reference position at which the magnet 131 is aligned with respect to the head 112.

즉, 헤드(112)의 중앙 공간에 자성체를 놓아둔 상태에서, 마그네트(131)들을 헤드 절개 홈(113)들에 각각 대응되게 두면, 마그네트(131)들은 자력에 의해 자성체 쪽으로 각각 이동하려 한다. 이때, 마그네트(131)들은 기준 면(161)들에 맞닿아 정렬될 수 있다. 도면을 기준으로, 마그네트(131)에서 캐리어(120)를 향한 면을 안쪽 면이라고 한다면, 기준 면(161)들은 마그네트(131)의 좌우 가장자리 안쪽 면에 각각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기준 면(161)들은 마그네트(131)의 상하 가장자리 안쪽 면에 각각 맞닿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magnetic body is placed in the central space of the head 112, when the magnets 131 are respectively corresponded to the head cutting grooves 113, the magnets 131 try to move toward the magnetic body by magnetic force,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magnets 131 may be aligned to abut the reference surfaces 161. Based on the drawings, if the surface toward the carrier 120 in the magnet 131 is called the inner surface, the reference surface 161 may be formed to abu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magnet 131, respectively. As another example, the reference surfaces 161 may be formed to abut on inner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magnet 131, but are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xample.

지지 면(162)들은 헤드 절개 홈(113)의 안쪽에서 마그네트(131)의 측면들로 각각 돌출되어 마그네트(131)를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도면을 기준으로, 지지 면(162)들은 마그네트(131)의 좌우 측면에 맞닿도록 마그네트(131)의 좌우 측면들로 각각 돌출되어 마그네트(131)를 지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지지 면(162)들은 마그네트(131)의 상하 측면에 맞닿도록 마그네트(131)의 상하 측면으로 각각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The support surfaces 162 protrude from the inner side of the head incision groove 113 to the sides of the magnet 131 so as to support the magnet 131. Based on the drawings, the support surfaces 162 may protrude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gnet 131 to contac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gnet 131 to support the magnet 131. As another example, the support surfaces 162 may protrude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gnet 131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gnet 13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xample.

마그네트(131)들은 헤드 절개 홈(113)들에 각각 정렬된 상태에서 접착제 등에 의해 헤드(112)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준 면(161)과 지지 면(162) 사이에는 마그네트(131)를 헤드(112)에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가 주입되는 마그네트 접착용 홈(163)이 형성될 수 있다. The magnets 131 may be fixed to the head 112 by an adhesive or the like in a state in which the magnets 131 are aligned with the head cutting grooves 113, respectively. To this end, a magnet bonding groove 163 may be formed between the reference surface 161 and the support surface 162 to inject an adhesive for bonding the magnet 131 to the head 112.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5)는 헤드(112)와 결합된 상태에서 요크(133)들이 삽입되도록 헤드 절개 홈(113)들과 함께 요크 삽입 홀(171)들을 각각 한정하는 베이스 절개 홈(116)들을 갖는다. 베이스(115)는 내부 공간을 갖고 상하부가 개구된 육면체 형상에서 4개의 측부마다 베이스 절개 홈(116)이 하나씩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4 코너들에 상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베이스 돌출부(117)들을 갖는다. 베이스 돌출부(117)들은 헤드 돌출부(114)들과 각각 대응된다. 인쇄회로기판(103)은 베이스(115)의 하부 개구에 고정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the base 115 cuts the bases respectively defining the yoke insertion holes 171 together with the head cutting grooves 113 so that the yokes 133 are inser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base 115 is engaged. With grooves 116. The base 115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base cutting groove 116 is formed at every four sides in an hexahedral shape having an inner space and an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and having base protrusions 117 protruding upward at four corners. The base protrusions 117 correspond to the head protrusions 114, respectively. The printed circuit board 103 may be fixed to the lower opening of the base 115.

요크(133)를 요크 삽입 홀(171)에 대응되게 두면, 요크(133)는 마그네트(131)의 자력에 의해 당겨지면서 요크 삽입 홀(171)을 통해 삽입된 후 마그네트(131)의 바깥 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요크(133)는 기준 면(161)들에 의해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요크(133)의 정렬 및 조립이 손쉽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When the yoke 133 is placed to correspond to the yoke insertion hole 171, the yoke 133 is pull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131, is inserted through the yoke insertion hole 171, and then the outer surface of the magnet 131. Can be attached. In this case, the yoke 133 may be aligned by the reference surfaces 161. Therefore, the alignment and assembly of the yoke 133 can be made easily and simply.

헤드 돌출부(114)와 베이스 돌출부(117)는 접착제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헤드 돌출부(114)의 하단과 베이스 돌출부(117)의 상단은 바깥 가장자리 부위가 서로 접촉되며, 안쪽 부위가 서로 이격되어 이격된 갭에 접착제가 채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구조의 헤드 돌출부(114)와 베이스 돌출부(117)는 헤드(112)와 베이스(115)가 서로 정렬되면서 결합될 수 있게 한다. The head protrusion 114 and the base protrusion 117 may be fixed to each other by an adhesive. To this end, the lower end of the head protrusion 114 and the upper end of the base protrusion 117 may be formed such that the outer edge portion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inner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ill the adhesive spaced gap. The head protrusion 114 and the base protrusion 117 of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llow the head 112 and the base 115 to be coupled while being aligned with each other.

요크(133)는 마그네트(131)에 부착된 상태에서 접착제에 의해 헤드(112) 및 베이스(115)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헤드 절개 홈(113)과 베이스 절개 홈(116)의 각 안쪽에는 연장 턱(172)이 형성될 수 있다. 연장 턱(172)들은 요크(133)의 가장자리 앞면으로부터 일정 갭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갭은 연장 턱(172)들과 요크(133) 사이로 접착제가 주입된 후 경화되어, 요크(133)가 연장 턱(172)들에 고정될 수 있게 한다. The yoke 133 may be fixed to the head 112 and the base 115 by an adhesive in a state in which the yoke 133 is attached to the magnet 131. To this end, an extension jaw 172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head cutting groove 113 and the base cutting groove 116. The extending jaws 172 are formed to have a gap from the front edge of the yoke 133. The gap is cured after adhesive is injected between the extension jaws 172 and the yoke 133, allowing the yoke 133 to be secured to the extension jaws 172.

요크 삽입 홀(171)의 안쪽에는 요크(133)와 연장 턱(172)들 사이의 갭으로 접착제를 주입하기 위한 접착제 주입 홈(173)들이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 주입 홈(173)들은 요크 삽입 홀(171)의 양 옆으로 헤드(112)와 베이스(115)에 걸쳐 절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요크(133)의 양측에는 요크 절개 홈(134)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요크 절개 홈(134)은 접착제 주입 홈(173)의 입구와 마주하는 입구를 갖도록 절개된다. 요크 절개 홈(134)은 요크(133)와 연장 턱(172)들 사이의 갭으로 접착제가 보다 용이하게 흘러 들어갈 수 있게 한다. Adhesive injection grooves 173 may be formed in the yoke insertion hole 171 to inject the adhesive into the gap between the yoke 133 and the extension jaws 172. Adhesive injection grooves 173 are formed by cutting across the head 112 and the base 115 to both sides of the yoke insertion hole 171. In addition, yoke cutting grooves 134 may b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yoke 133. The yoke cut groove 134 is cut to have an inlet facing the inlet of the adhesive inject groove 173. The yoke cut groove 134 allows the adhesive to flow more easily into the gap between the yoke 133 and the extending jaws 172.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may be made therein. It will be possibl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10..케이스 112..헤드
115..베이스 120..캐리어
130..구동수단 131..마그네트
132..코일 140..제1 탄성체
150..제2 탄성체 161..기준 면
162..지지 면
110. Case 112. Head
115..base 120..carrier
130. Driving means 131. Magnet
132. Coil 140. First elastomer
150. Second elastic body 161 .. Reference plane
162 .. Supporting surface

Claims (7)

내부 공간을 갖고 상부가 개구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장착한 캐리어;
상기 케이스와 상기 캐리어 중 어느 한쪽에 지지되는 마그네트와 다른 쪽에 상기 마그네트의 자기장이 미치는 영역과 대응되게 지지되는 코일을 구비하여 상기 캐리어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캐리어의 상측 둘레를 따라 지지되는 안쪽부위가 상기 케이스의 내측 둘레를 따라 지지되는 바깥부위보다 높게 단차지도록 탄성 변형되어 복원력에 의해 상기 캐리어에 예압을 가하는 제1 탄성체; 및
상기 캐리어의 하측 둘레를 따라 지지되는 안쪽부위가 상기 케이스의 내측 둘레를 따라 지지되는 바깥부위보다 높게 단차지도록 탄성 변형되어 복원력에 의해 상기 캐리어에 예압을 가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탄성체의 단차와 상기 제2 탄성체의 단차는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탄성체의 탄성 변형부위와 상기 제2 탄성체의 탄성 변형부위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A case having an inner space and an upper portion thereof opened;
A carrier accommodated in an inner space of the case and equipped with at least one lens;
Drive means for moving the carrier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by having a magnet supported on one of the case and the carrier and a coil supported on the other side to correspond to an area exerted by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
A first elastic body elastically deformed to be stepped higher than an outer part support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ase so as to be preloaded by the restoring force; And
A second elastic body elastically deformed to be stepped higher than an outer part support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ase so as to preload the carrier by a restoring force,
The step of the first elastic body and the step of the second elastic body is made of the same height, the auto-focus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of the first elastic body and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of the second elastic body are the same shape. Having a camera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체는,
상기 캐리어의 상측 둘레를 따라 지지되는 제1 내측 프레임과, 상기 제1 내측 프레임의 바깥쪽에서 상기 제1 내측 프레임과 이격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측 둘레를 따라 지지되는 제1 외측 프레임, 및 상기 제1 내측 프레임과 제1 외측 프레임 사이에서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고 각 일단이 상기 제1 내측 프레임에 연결되며 각 타단이 상기 제1 외측 프레임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1 탄성 변형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탄성체는,
상기 캐리어의 하측 둘레를 따라 지지되는 제2 내측 프레임과, 상기 제2 내측 프레임의 바깥쪽에서 상기 제2 내측 프레임과 이격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측 둘레를 따라 지지되는 제2 외측 프레임, 및 상기 제2 내측 프레임과 제2 외측 프레임 사이에서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고 각 일단이 상기 제2 내측 프레임에 연결되며 각 타단이 상기 제2 외측 프레임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2 탄성 변형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elastic body,
A first inner frame supported along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carrier, a first outer fram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nner frame at an outer side of the first inner frame and support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ase, and the first inner frame A plurality of first elastic deformation part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frame and the first outer frame,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inner fram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er frame;
The second elastic body,
A second inner frame supported along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carrier, a second outer fram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inner frame at an outer side of the second inner frame and support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ase, and the second inner frame And a plurality of second elastic deformation part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frame and the second outer frame, each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ner fram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er frame. Camera module with focus fun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체는,
2개로 분할된 형태로 이루어져 분할된 부분들이 상기 코일의 2개 배선단자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elastic body,
The camera module having an autofocus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divided into two divided form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wo wiring terminals of the coi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탄성 변형부는,
미앤더(meander) 형태로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deformation parts,
Camera module having an autofocus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each formed in the form of a meander (mean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배럴, 및 상기 코일을 권취하고 상기 배럴 둘레에 나사 결합되는 보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carrier,
And a bobbin accommodating the lens, and a bobbin winding the coil and screwed around the barr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헤드 및 상기 헤드와 결합되는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탄성체는 바깥부위가 상기 헤드에 고정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2 탄성체는 바깥부위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case includes a head and a base coupled with the head;
The first elastic body is supported by the outer portion is fixed to the head,
The second elastic body is a camera module having an autofocus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portion is fixed to the base is support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적어도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에 지지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캐리어에 지지되며;
상기 헤드는,
상기 마그네트들을 각각 삽입시키는 헤드 절개 홈들과,
상기 헤드 절개 홈들의 각 안쪽에서 상기 마그네트의 상기 캐리어를 향한 면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마그네트를 정렬하는 기준 면들, 및
상기 헤드 절개 홈들의 각 안쪽에서 상기 마그네트의 측면들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지지 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magnet is formed in at least one pair to be supported by the case, and the coil is supported by the carrier;
The head is
Head cutting grooves for inserting the magnets, respectively;
Reference planes each protruding from each inside of the head incision grooves toward the carrier of the magnet to align the magnet, and
And a support surface protruding from each of the head incision grooves to the sides of the magnet to support the magnet.
KR1020110051691A 2011-05-30 2011-05-30 Camera module with function of autofocus KR1012213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691A KR101221316B1 (en) 2011-05-30 2011-05-30 Camera module with function of autofoc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691A KR101221316B1 (en) 2011-05-30 2011-05-30 Camera module with function of autofoc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161A KR20120133161A (en) 2012-12-10
KR101221316B1 true KR101221316B1 (en) 2013-02-12

Family

ID=47516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1691A KR101221316B1 (en) 2011-05-30 2011-05-30 Camera module with function of autofoc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131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429B1 (en) * 2012-12-12 2020-03-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KR102128502B1 (en) * 2013-07-04 2020-06-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KR102256722B1 (en) * 2013-12-03 2021-05-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Actuator for actuating lens
KR102195681B1 (en) * 2014-01-02 2020-12-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KR102275089B1 (en) * 2014-01-02 2021-07-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KR102178915B1 (en) * 2014-01-02 2020-11-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KR102189910B1 (en) * 2014-01-29 2020-12-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559545B1 (en) 2015-08-06 2023-07-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A lens moving unit
CN112379503B (en) 2015-08-31 2023-10-10 Lg伊诺特有限公司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instrument
KR20190136269A (en) * 2018-05-30 2019-12-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A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instrument including the same
KR102507394B1 (en) * 2020-05-25 2023-03-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Actuator for actuating lens
KR102323623B1 (en) * 2020-06-24 2021-11-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KR102482965B1 (en) * 2021-03-02 2022-12-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KR102224317B1 (en) * 2020-06-24 2021-03-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116B1 (en) * 2008-05-19 2009-09-25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Auto-focusing lens assembly with enhanced driving power for mobile apparatus
KR20090131925A (en) * 2008-06-19 2009-12-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KR101005772B1 (en) * 2009-05-18 2011-01-06 주식회사 하이소닉 Compact camera modu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116B1 (en) * 2008-05-19 2009-09-25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Auto-focusing lens assembly with enhanced driving power for mobile apparatus
KR20090131925A (en) * 2008-06-19 2009-12-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KR101005772B1 (en) * 2009-05-18 2011-01-06 주식회사 하이소닉 Compact camera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161A (en) 2012-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1316B1 (en) Camera module with function of autofocus
KR102601677B1 (en) Lens moving apparatus
CN112034585B (en) Lens moving device
KR101825731B1 (en) Camera lens module with structure for optical image stabilization
EP2983026B1 (en)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CN111913269B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KR101206716B1 (en) Camera module with function of autofocus
KR102159746B1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CN111880277B (en) Lens moving device
JP6634383B2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equipment
KR102230966B1 (en) Lens moving apparatus
CN108369365B (en) Lens driving device and image pickup device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150104388A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CN112363295A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30174203A (en)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190106145A (en) Actuator for camera
KR20210134263A (en) Lens driving device, dual camera module
KR20200111657A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KR20170052233A (en)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JP6919009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drive device, camera module, electronic device and drive device
KR20200139109A (en)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491693B1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CN113574852B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KR20210034563A (en) Lens mov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