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462B1 - 위치 정보를 이용한 응급상황알림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치 정보를 이용한 응급상황알림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462B1
KR101220462B1 KR1020100081480A KR20100081480A KR101220462B1 KR 101220462 B1 KR101220462 B1 KR 101220462B1 KR 1020100081480 A KR1020100081480 A KR 1020100081480A KR 20100081480 A KR20100081480 A KR 20100081480A KR 101220462 B1 KR101220462 B1 KR 101220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terminal
diagnostic
medic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1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8557A (ko
Inventor
박세훈
Original Assignee
박세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세훈 filed Critical 박세훈
Priority to KR1020100081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462B1/ko
Publication of KR20120018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1
    • G06F2203/011Emotion or mood input determined on the basis of sensed human body parameters such as pulse, heart rate or beat, temperature of skin, facial expressions, iris, voice pitch, brain activity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Nursing (AREA)
  • Neurosurge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Neur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ritical Car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응급상황알림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응급상황알림시스템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생체정보센싱부로부터 의료단말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응급상황중계서버로 전송하는 의료단말; 상기 의료단말로부터 상기 생체정보가 수신되면 진단단말을 선정하여 선정된 진단단말로 상기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진단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진단단말로부터 응급정보가 수신되면 응급단말을 선정하여 상기 응급정보 및 의료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응급출동요청을 전송하는 응급상황중계서버; 상기 진단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진단요청을 출력하고, 상기 응급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응급상황중계서버로 상기 응급정보를 전송하는 진단단말; 및 상기 응급상황중계서버로부터 상기 응급출동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응급출동요청을 출력하는 응급단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일상 생활을 하던 중에 순간적으로 응급 상황(예를 들어, 심정지, 무호흡 등)에 노출된 경우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에서 가장 인접한 응급센터에 연락하여 응급 사태를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위치 정보를 이용한 응급상황알림시스템{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using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긴급을 요하는 응급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수집한 단말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의료진에게 제공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신속하게 체크하고, 단말기 사용자가 응급상황에 노출된 경우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에서 가장 인접한 응급센터에 알려 응급상황을 신속하게 해결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령화 사회로 진입됨에 따라 노인 인구의 증가로 인해 의료 수요가 증가하고, 사회 전체적으로 의료 정보의 획득과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인식 변화에 힘입어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시스템과 장비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이동 통신 단말기 시장의 확대와 더불어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진단, 생체정보의 수집 등 다양한 부가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다. 다만, 최근에 제공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환자가 병원에 가지 않더라도 원거리에서 진단을 받을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고 있지만, 예상치 못한 시기에 응급한 상황에 노출될 수 있는 만성질환자나 노인들에 대한 신속한 응급처치까지 해결해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순간적으로 응급 상황(예를 들어, 심정지, 무호흡 등)에 노출된 경우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에서 가장 인접한 응급센터에 연락하여 응급 사태를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응급상황알림시스템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생체정보센싱부로부터 의료단말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응급상황중계서버로 전송하는 의료단말; 상기 의료단말로부터 상기 생체정보가 수신되면 진단단말을 선정하여 선정된 진단단말로 상기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진단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진단단말로부터 응급정보가 수신되면 응급단말을 선정하여 상기 응급정보 및 의료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응급출동요청을 전송하는 응급상황중계서버; 상기 진단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진단요청을 출력하고, 상기 응급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응급상황중계서버로 상기 응급정보를 전송하는 진단단말; 및 상기 응급상황중계서버로부터 상기 응급출동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응급출동요청을 출력하는 응급단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응급상황알림시스템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생체정보센싱부로부터 의료단말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응급상황중계서버로 전송하는 의료단말; 상기 의료단말로부터 상기 생체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의료단말사용자에게 이상징후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의료단말사용자에게 이상징후가 있으면 응급정보를 생성한 후, 응급단말을 선정하여 상기 응급정보 및 의료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응급출동요청을 전송하는 응급상황중계서버; 및 상기 응급상황중계서버로부터 상기 응급출동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응급출동요청을 출력하는 응급단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응급상황알림시스템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생체정보센싱부로부터 의료단말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의료단말사용자에게 이상징후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의료단말사용자에게 이상징후가 있으면 응급정보를 생성한 후, 응급단말을 선정하여 상기 응급정보 및 의료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응급출동요청을 전송하는 의료단말; 및 상기 의료단말로부터 상기 응급출동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응급출동요청을 출력하는 응급단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르면, 응급상황알림시스템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생체정보센싱부로부터 의료단말사용자의 생체정보가 수신되면 진단단말을 선정하여 선정된 진단단말로 상기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진단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진단단말로부터 응급정보가 수신되면 응급단말을 선정하여 선정된 응급단말로 상기 응급정보 및 의료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응급출동요청을 전송하는 의료단말; 상기 진단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진단요청을 출력하고, 상기 응급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의료단말로 상기 응급정보를 전송하는 진단단말; 및 상기 의료단말로부터 상기 응급출동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응급출동요청을 출력하는 응급단말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선정되는 응급단말은 상기 의료단말의 위치에서 가장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정되는 진단단말은 의료단말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단말이거나, 상기 의료단말의 위치에서 가장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응급상황중계서버는 상기 의료단말의 위치정보를 상기 의료단말로부터 수신하거나, 위치정보제공서버로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일상 생활을 하던 중에 순간적으로 응급 상황(예를 들어, 심정지, 무호흡 등)에 노출된 경우 단말기 사용자의 보호자 혹은 당시 상황의 목격자의 유무 또는 그들의 신고 유무와 상관없이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에서 가장 인접한 응급센터에 연락하여 응급 사태를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상황알림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응급상황알림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응급상황알림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응급상황알림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응급상황알림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상황알림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급상황알림시스템(10)은 의료단말(100), 응급상황중계서버(200), 진단단말(300), 및 응급단말(4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단말(100)에서 수집된 의료단말사용자의 생체정보가 진단단말사용자에게 제공되면, 진단단말사용자는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의료단말사용자에게 이상징후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의료단말사용자에게 이상징후가 있으면, 진단단말사용자는 의료단말사용자에게 이상징후가 있음을 알리는 정보(이하, 응급정보라 칭함)를 응급단말(400)을 통해 응급의료진에게 제공한다. 응급정보를 제공 받은 응급의료진은 즉시 의료단말사용자가 있는 장소로 출동하여 의료단말사용자를 응급 처치하게 된다. 이하 응급상황알림시스템(10)의 구성요소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단말(100)은 의료단말사용자(예를 들어, 만성질환자, 노인 등)의 생체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생체정보를 응급상황중계서버(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의료단말(100)이 GPS 수신기를 구비한 경우, 의료단말(100)은 생체정보뿐만 아니라 의료단말(100)의 위치정보 역시 전송할 수 있다. 의료단말(100)은 생체정보센싱부(15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생체정보센싱부(150)에서 수집된 의료단말사용자의 생체정보는 의료단말(100)로 전달된다. 여기서, 생체정보는 심전도, 산화포화도, 체온, 혈압, 혈당 등을 말한다. 생체정보센싱부(150)가 의료단말(100)과 유선으로 연결된 경우, 생체정보센싱부(150)는 RS232와 같은 시리얼 통신을 이용하여 수집된 생체정보를 의료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생체정보센싱부(150)가 의료단말(100)과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 생체정보센싱부(150)는 근거리 무선통신(예를 들어, ZigBee, 블루투스 등)을 이용하여 수집된 생체정보를 의료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의료단말(100)은 의료단말사용자의 휴대성을 고려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폰 등의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응급환자용으로 개발된 이동 통신 단말기 등)임이 바람직할 것이다. 생체정보센싱부(150)는 의료단말사용자의 몸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또는 생체정보센싱부(150)는 의료단말사용자의 옷(예를 들어, 속옷 등)에 부착될 수 있고, 이때 의료단말사용자가 옷을 착용하면 생체정보센싱부(150)는 의료단말자용자의 신체에 접촉하여 의료단말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응급상황중계서버(200)는 의료단말(100), 진단단말(300), 및 응급단말(400)이 송수신하는 정보(예를 들어, 생체정보, 응급정보, 위치정보 등)를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응급상황중계서버(200)는 의료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생체정보를 진단단말(300)로 전송한다. 이때, 의료단말사용자의 건강이력정보 및 의료단말사용자의 위치정보(즉, 의료단말(100)의 위치정보)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진단단말(300)은 미리 지정된 것일 수 있다. 즉, 진단단말(300)은 의료단말사용자의 주치의가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응급상황중계서버(200)는 의료단말사용자의 등록정보를 조회하여 의료단말사용자가 미리 지정된 진단단말(300)이 존재하는 경우, 미리 지정된 진단단말(300)로 생체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진단단말(300)은 의료단말(10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선별된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진단단말(300)이 선별되는 기준은 의료단말(100)의 위치정보일 수 있다. 즉, 응급상황중계서버(200)는 의료단말(100)이 존재하는 위치에서 가장 인접한 진단단말(300)을 선별하여, 선별된 진단단말(300)로 생체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선별되는 진단단말(300)의 개수는 복수일 수 있다.
진단단말(300)은 생체정보를 바탕으로 의료단말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자(즉, 진단단말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을 말한다. 진단단말(300)은 수신된 생체정보를 진단단말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 여기서, 진단단말사용자는 일반병원 응급실의 의사, 의료단말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의사 등 환자의 생체정보를 바탕으로 환자의 이상징후를 판단할 수 있는 자격을 가진 자를 말한다. 진단단말사용자는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의료단말사용자에게 이상징후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징후가 있으면 응급정보를 진단단말(300)에 입력한다. 이때, 입력된 응급정보는 최종적으로 응급의료진에게 제공된다.
응급단말(400)은 응급센터에 설치되어 있는 단말을 말하며, 응급단말사용자는 응급센터에서 근무하는 응급의료진(예를 들어, 119 구급대원, 응급의학의사 등)을 말한다. 응급단말(400)은 응급정보가 수신되면, 응급단말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 이때, 의료단말사용자의 위치정보도 함께 출력되어, 응급단말사용자는 이상징후가 있는 의료단말사용자가 있는 위치로 신속하게 출동하여 응급처치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응급단말(400)은 의료단말(100)이 위치하는 곳에서 가장 인접한 응급센터(병원의 응급실, 또는 119센터 등, 이하 응급센터라 통칭 함)에 설치되어 있는 단말임이 바람직할 것이다. 응급단말(400)의 선별은 실시예에 따라 의료단말(100)이나 응급상황중계서버(20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의료단말(100)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성되는 심전도분석진단부(102), 혈압분석진단부(106), 디바이스인증부(114), 위치인식부(110), 센서통신부(104), 유저인터페이스부(108), WCDMA통신부(112)를 포함한다. 또한, 의료단말(100)은 하드웨어 모듈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118), USIM칩(120), Zigbee코디네이터(122), GPS수신기(124), RS232통신부(126), WCDMA인터페이스(128),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의료단말(100)은 상기한 서로 다른 기종의 하드웨어나 프로토콜, 통신환경 등을 연결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환경 간에 원만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면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을 서로 연결해 상호 간에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게 해주는 미들웨어(Middle Ware, 116)를 포함한다.
심전도분석진단부(102)는 생체정보센싱부(15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의료단말사용자의 심전도를 분석 및 진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혈압분석진단부(106)는 생체정보센싱부(15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의료단말사용자의 혈압을 분석하고 상태를 진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심전도분석진단부(102) 및 혈압분석진단부(106)는 의료단말사용자의 생체정보 중 일부를 분석 및 진단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성요소를 추가하여 의료단말사용자의 생체정보를 분석 및 진단할 수 있다.
디바이스인증부(114)는 생체정보센싱부(150)가 최초로 통신이 연결될 경우 생체정보센싱부(150), 더욱 상세하게는 생체정보센싱부(150)를 구성하는 상세 모듈(예를 들어, 혈압측정모듈 등)을 인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디바이스인증부(114)는 생체정보센싱부(150), 더욱 상세하게는 생체정보센싱부(150)의 상세 모듈이 정상 등록되고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등을 체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위치인식부(110)는 GPS수신기(124)가 수신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의료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의료단말(100)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센서통신부(104)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생체정보센싱부(15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한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유저인터페이스부(108)는 의료단말(100)의 동작 상황 및 의료단말(100)에 수신된 의료 정보 데이터의 값과 분석 결과 및 응급단말(400)로부터 수신되는 지시 사항 등 의료단말사용자에게 필요한 각종 정보를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18)에 사용자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WCDMA통신부(112)는 의료단말(100)과 외부 시스템(예를 들어, 이통통신시스템 등)간에 WCDMA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통신 모듈(WCDMA망에서 GPS를 지원하는 경우 WCDMA 통신 모듈이 GPS모듈을 포함하는 GPS 통합형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 인증 및 사용자 정보를 내장한 USIM칩(120) 및 WCDMA인터페이스(128)와 연동하여 WCDMA 통신을 수행한다. USIM칩(120)은 사용자의 USIM 인증을 통해 개별적인 맞춤형 분석/진단 프로그램을 수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즉, 의료단말사용자가 타인의 의료단말(100)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자신의 USIM칩(120)을 통한 USIM 인증을 통해 자신에게 맞추어진 분석/진단 프로그램을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ZigBee코디네이터(122)는 의료단말(100)과 생체정보센싱부(150)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며, 생체정보센싱부(150)에는 ZigBee코디네이터(122)와 통신을 할 수 있도록 ZigBee통신모듈이 제공된다. 물론, 의료단말(100)과 생체정보센싱부(150)의 무선데이터 연결 방식에는 ZigBee 외에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예를 들어, 블루투스, WiFi 등)도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의료단말(100)과 생체정보센싱부(150)가 유선으로 연결된 경우, 의료단말(100)에는 RS232C통신부(126)가 제공되고 생체정보센싱부(150)에는 RS232C 통신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응급상황알림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305에서, 의료단말(100)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생체정보센싱부(150)로부터 의료단말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한다. 이미 살펴본 바와 같이 생체정보는 심전도, 혈압, 산소포화도 등 센서를 이용하여 인간의 신체에서 수집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종류에 있어서는 제한이 없다. 생체정보센싱부(150)는 배터리 상태 등을 고려하여 휴면 상태와 활성화 상태를 반복하면서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생체정보를 의료단말사용자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생체정보센싱부(150)는 생체정보 수집 시 자체에 독자적인 프로세스를 가지고 동작할 수도 있고, 의료단말(100)의 지시에 따라 의료단말(100)의 명령이 있는 경우 생체정보를 수집하여 의료단말(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단계 S310에서, 의료단말(100)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응급상황중계서버(200)로 수신된 생체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서 의료단말(100)은 의료단말(100)의 위치정보를 생체정보와 함께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단계 S315에서, 응급상황중계서버(200)는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의료단말사용자의 이상징후를 판단할 진단단말(300)을 선정하게 된다. 이때, 의료단말사용자의 이상징후를 판단하게 되는 것은 진단단말(300)을 이용하는 진단단말사용자가 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정되는 진단단말(300)은 미리 지정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단단말(300)은 의료단말사용자의 주치의가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즉, 응급상황중계서버(200)는 의료단말사용자의 등록정보를 조사하여 생체정보를 수신할 진단단말(300)이 미리 지정되어 있는 경우, 지정된 진단단말(300)로 수신한 생체정보를 전송한다. 또는, 진단단말(300)는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단단말(300)은 의료단말(100)의 위치정보를 상응하여 선정되는 단말일 수 있다. 즉, 응급상황중계서버(200)는 의료단말(100)의 위치정보를 획득한 후, 의료단말(100)의 위치에서 가장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진단단말(300)를 선정하여, 선정된 진단단말(300)로 생체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응급상황중계서버(200)는 진단단말(300)로 진단요청을 전송한다. 여기서, 진단요청은 의료단말사용자의 생체정보, 건강이력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진단요청은 의료단말(100)의 위치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25에서, 진단단말(300)은 진단단말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의료단말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진단요청을 출력한다. 이때, 진단단말사용자는 의료단말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의료단말사용자에게 건강상의 이상징후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보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생체정보뿐만 아니라 건강이력정보도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진단단말사용자는 의료단말사용자가 응급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응급정보를 진단단말(300)에 입력하여 응급상황중계서버(200)로 전송한다(S330).
단계 S335에서, 응급상황중계서버(200)는 응급정보를 수신할 응급단말(400)을 선정한다. 즉, 응급상황중계서버(200)는 의료단말사용자를 응급처치 하게 될 응급단말사용자를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응급단말(400)의 선정은 의료단말(10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의료단말(100)에서 가장 인접한 응급센터에 설치되어 있는 응급단말(400)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임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단계 S340에서, 응급상황중계서버(200)는 선정된 응급단말(400)로 응급출동요청을 전송한다. 여기서, 응급출동요청은 응급정보 및 의료단말(100)의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응급단말(400)은 응급출동요청을 수신하면, 응급의료진이 시청할 수 있도록 출력하고, 이에 따라 응급의료진은 의료단말사용자가 있는 위치로 출동하여 응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응급상황알림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핵심적인 차이점은 의료단말사용자의 이상징후 판단을 진단단말사용자가 아닌 응급상황중계서버(200)에서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자동적으로 판단하고, 의료단말사용자에게 이상징후가 있다면 응급상황중계서버(200)가 응급단말(400)로 응급출동요청을 전송한다는 것이다. 이하, 도 4의 설명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응급상황중계서버(200)는 의료단말(100)로부터 의료단말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한다(S405, S410). 응급상황중계서버(200)는 의료단말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의료단말사용자가 응급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15). 예를 들어, 응급상황중계서버(200)는 건강한 사람의 평상 시의 생체정보와 수신된 생체정보를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수치 이상의 차이가 보이는 경우 의료단말사용자가 응급상태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보다 정확한 판단을 위해 의료단말사용자의 건강이력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즉, 의료단말사용자의 평상 시의 건강이력정보와 수신된 생체정보를 비교함으로써 판단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건강이력정보는 응급상황중계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미리 저장되어 있음이 바람직할 것이다. 판단 결과, 의료단말사용자에게 이상징후가 있으면 응급상황중계서버(200)는 응급단말(400)을 선정한다. 선정 기준은 앞서 도 3에 설명한 바와 같이, 의료단말(100)에서 가장 인접한 응급센터에 설치되어 있는 응급단말(400)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응급상황중계서버(200)는 의료단말(100)의 위치정보를 의료단말(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응급상황중계서버(200)는 의료단말(100)의 식별정보(예를 들어, 의료단말(100)의 전화번호 등)를 이용하여 이동통신시스템에 존재하는 위치정보제공서버(미도시)에 요청하여 획득할 수도 있다. 단계 S440에서, 응급상황중계서버(200)는 선정된 응급단말(400)로 응급출동요청을 하게 되고, 이후의 과정은 도 3에 도시된 내용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응급상황알림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핵심적인 차이점은 의료단말사용자의 이상징후 판단을 응급상황중계서버(200)가 아닌 의료단말(100)이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자동적으로 판단하고, 의료단말사용자에게 이상징후가 있다면 의료단말(100)이 응급단말(400)로 응급출동요청을 전송한다는 것이다.
즉, 의료단말(100)은 의료단말사용자의 생체정보가 수신되면(S505), 미리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 의료단말사용자(100)에게 이상징후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5). 여기서, 의료단말(100) 역시 의료단말사용자의 이상징후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의료단말사용자의 건강이력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의료단말사용자에게 이상징후가 있으면, 의료단말(100)은 응급단말(400)을 선정하여(S535), 선정된 응급단말(400)로 응급출동요청(S540)을 전송한다. 응급단말(400)의 선정 방법 이후의 과정은 도 3 및 도 4의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응급상황알림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 예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예에서는 응급상황중계서버(200)가 의료단말(100), 진단단말(300), 및 응급단말(400)을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하지만, 도 6에 도시된 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응급상황중계서버(200)가 제거되고, 응급상황중계서버(200)의 역할을 모두 의료단말(100)이 수행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605에서 의료단말(100)은 의료단말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단계 S615를 진행하여 진단단말(300)를 선정한다. 이때, 선정되는 진단단말(300)은 미리 지정되어 있거나, 또는 의료단말(10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의료단말(100)과 가장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일 수 있다.
단계 S620에서, 의료단말(100)은 진단단말(300)로 진단요청을 전송하고, 진단단말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응급정보가 수신되면(S630), 응급단말(400)을 선정한다(S635). 이후, 의료단말(100)은 의료단말(100)과 가장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응급단말(400)을 선정하여, 선정된 응급단말(400)로 응급출동요청을 전송한다(S64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응급상황알림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과 같이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의료단말
200 : 응급상황중계서버
300 : 진단단말
400 : 응급단말

Claims (7)

  1.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생체정보센싱부로부터 의료단말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응급상황중계서버로 전송하는 의료단말;
    상기 의료단말로부터 상기 생체정보가 수신되면 진단단말로 상기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진단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진단단말로부터 응급정보가 수신되면 응급단말을 선정하여 상기 응급정보 및 의료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응급출동요청을 전송하는 응급상황중계서버;
    상기 진단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진단요청을 출력하고, 진단단말사용자로부터 상기 응급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응급상황중계서버로 상기 응급정보를 전송하는 진단단말; 및
    상기 응급상황중계서버로부터 상기 응급출동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응급출동요청을 출력하는 응급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진단단말은 상기 의료단말사용자의 주치의가 사용하는 단말이고, 상기 선정되는 응급단말은 상기 의료단말의 위치에서 가장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상황알림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생체정보센싱부로부터 의료단말사용자의 생체정보가 수신되면 진단단말로 상기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진단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진단단말로부터 응급정보가 수신되면 응급단말을 선정하여 선정된 응급단말로 상기 응급정보 및 의료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응급출동요청을 전송하는 의료단말;
    상기 진단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진단요청을 출력하고, 진단단말사용자로부터 상기 응급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의료단말로 상기 응급정보를 전송하는 진단단말; 및
    상기 의료단말로부터 상기 응급출동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응급출동요청을 출력하는 응급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진단단말은 상기 의료단말사용자의 주치의가 사용하는 단말이고, 상기 선정되는 응급단말은 상기 의료단말의 위치에서 가장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상황알림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00081480A 2010-08-23 2010-08-23 위치 정보를 이용한 응급상황알림시스템 KR101220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480A KR101220462B1 (ko) 2010-08-23 2010-08-23 위치 정보를 이용한 응급상황알림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480A KR101220462B1 (ko) 2010-08-23 2010-08-23 위치 정보를 이용한 응급상황알림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557A KR20120018557A (ko) 2012-03-05
KR101220462B1 true KR101220462B1 (ko) 2013-01-10

Family

ID=46127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480A KR101220462B1 (ko) 2010-08-23 2010-08-23 위치 정보를 이용한 응급상황알림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04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6787B1 (ko) * 2016-02-25 2017-07-11 정영재 심정지 응급구조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333A (ko) * 2001-06-11 2002-12-18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긴급 호출 장치와 이를 이용한 긴급 구조 서비스 장치 및긴급 구조 서비스 방법
KR20030084001A (ko) * 2002-04-24 2003-11-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사태 경보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333A (ko) * 2001-06-11 2002-12-18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긴급 호출 장치와 이를 이용한 긴급 구조 서비스 장치 및긴급 구조 서비스 방법
KR20030084001A (ko) * 2002-04-24 2003-11-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사태 경보 서비스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6787B1 (ko) * 2016-02-25 2017-07-11 정영재 심정지 응급구조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557A (ko) 2012-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4954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hysiological Data Acquired from an Ambulatory Physiological Monitoring Unit
US20050080322A1 (en) Monitoring method and monitoring system for asses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a subject
JP4633745B2 (ja) 測定システム及び測定方法
JP4796097B2 (ja) 生体信号測定装置の相互協働方法及びシステム
CN102038548A (zh) 一种无线医疗监护方法和***
KR100938506B1 (ko)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생체정보 전달 시스템
KR20070050549A (ko) 휴대폰을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03248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모바일 단말을 연동한 독거노인 응급구조 시스템
KR20090065869A (ko) 생체 신호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및 이의 모니터링 방법
US2013003560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digital health screening form
KR20140065710A (ko) 임산부 및 태아 상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03299624A (ja) 遠隔診断支援システム
CN101161195A (zh) 收集生理参数的信息采集装置及其方法
JP2016122372A (ja) 在宅医療支援システム
KR20130062464A (ko) 생체신호수집을 위한 usn 기반의 통합의료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14481A (ko)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8242502A (ja) 総合医療支援システム
WO2017175548A1 (ja) 端末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
US20120157790A1 (en) Physical examination method using mobile terminal, and gateway and mobile terminal for physical examination
KR101220462B1 (ko) 위치 정보를 이용한 응급상황알림시스템
KR20100048768A (ko) 재택 건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4092945A (ja) 身体状況判定システム及び身体状況判定方法
KR20010097151A (ko) 원격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3278893U (zh) 一种基于多屏互动的医疗***
KR101148424B1 (ko)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헬스 케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