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5869A - 생체 신호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및 이의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생체 신호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및 이의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5869A
KR20090065869A KR1020070133396A KR20070133396A KR20090065869A KR 20090065869 A KR20090065869 A KR 20090065869A KR 1020070133396 A KR1020070133396 A KR 1020070133396A KR 20070133396 A KR20070133396 A KR 20070133396A KR 20090065869 A KR20090065869 A KR 20090065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ing
health care
biosignal
information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3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미옥
고은정
이전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33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5869A/ko
Publication of KR20090065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58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 신호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의사나 환자가 원하는 서비스와 환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직접 모니터링 모드와 시간, 주기 등을 설정하여 서비스를 제공한 후 모니터링 모드, 시간, 주기 등을 직접 재설정하는 종래 방법과는 달리, 건강 관리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설정 등록한 후 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건강 관리 서버와, 상기 전송된 모니터링 정보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계획을 작성하며, 그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시간에 따라 상기 생체 신호의 전송을 요청하고, 모니터링 지속 시간에 따라 이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에, 상기 생체 신호의 위험도 분석을 통해 상기 모니터링 계획을 선택 재작성하여 건강 관리 서비스를 수행하는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와, 상기 생체 신호의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생체 신호를 상기 모니터링 지속 시간 동안 측정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에 전송하는 생체 신호 계측 장치를 포함하는 생체 신호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모니터링 정보를 설정하여 생체 신호 검출을 통한 건강 관리 서비스를 자동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것이다.
Figure P1020070133396
생체 신호, 건강 관리 시스템

Description

생체 신호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모니터링 방법{BIO-SIGNAL DETECTION BASED HEALTH MANAGEMENT SERVICE SYSTEM AND ITS MONITERING METHOD}
본 발명은 생체 신호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체 신호를 검출하여 제공되는 건강 관리 서비스를 모니터링하는데 적합한 생체 신호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5-S-069-03, 과제명: 생체정보 처리기반 웨어러블 시스템 기술 개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고령화 시대가 도래하면서 U-헬스(유비쿼터스 헬스케어) 관련 분야가 미래 성장 동력으로 인식되고 있는데, 60세 이상의 고령자들은 대부분 고혈압, 당뇨병, 기관지 천식, 치매 등 만성 질환을 한두가지씩 가지고 있고, 중.장년층 역시 서구식 식습관과 운동부족 등의 원인으로 만성질환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대부분 거동이 불편하거나 직장생활 등으로 자주 의료 기관을 방문하여 진 료를 받기가 어렵다. 이에 따라, 원격 진료 혹은 원격 건강 모니터링에 관련된 기술과 산업이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특히, 혈압, 맥박, 체온 등과 같은 생체 신호 수집 센서를 이동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하여 건강 정보를 서비스하는 기술이 주요 통신회사와 의료 정보 업체들을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와 생체 신호 수집 센서를 이용한 건강 모니터링 기술은 초기에는 사용자가 오프라인 혹은 온라인으로 측정한 생체 신호 정보를 휴대폰이나 PDA 등 휴대용 통신 장비를 이용하여 건강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그러나, 부지불식간에 발생하는 응급 환자 판별, 만성 질환자들을 대상으로한 무자각적이고 지속적인 건강 모니터링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신체 착용형 센서를 이용한 건강 모니터링 기술에 대한 연구가 점차 활발해지고 있다.
한편, 건강 모니터링 기술을 통해 제공하는 주요 서비스로는 자가 진단 서비스, 원격 모니터링 서비스, 응급 알림 서비스 등이 있는데, 자가 진단 서비스는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휴대용 건강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혈압, 맥박, 체온 등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건강 상태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서버에 저장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또한, 원격 모니터링 서비스는 원격에서 인터넷 등에 연결된 포털 서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모니터링 할 시간이나 주기를 미리 등록해 놓고, 해당 시점에 모니터링 서비스를 구동시키고, 생체 신호를 측정 및 분석하여, 그 결과를 건강 관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의사나 환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이며, 응급 알림 서비스는 신체에 부착된 센서로부터 실시간으로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미리 약속된 응급 상황 대처 시나리오를 구동시키는 서비스이다.
특히, 응급 알림 서비스와 같은 실시간 연속 모니터링은 고령자나 만성질환자와 같은 고위험군 환자에게 매우 유용한 서비스이지만 센서와 휴대용 건강 관리 시스템의 과다한 전력 소모로 배터리를 자주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기존의 생체 신호 모니터링 시스템에서는 작동 모드를 실시간 모드와 일반 모드로 구분하여, 자가 진단 서비스나 원격 모니터링 서비스만 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일반 모드로 설정하여 사용하고, 응급 알림 서비스까지 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실시간 모드로 설정하여 사용해야 한다. 여기서 실시간 모드란 부착된 센서로부터 연속적으로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모드이고, 일반 모드는 부착된 센서를 활성화 시켰을 때에만 생체 신호를 받아들이는 모드이다.
하지만, 종래의 생체 신호 모니터링 기술에서는 의사나 환자가 원하는 서비스와 환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직접 모니터링 모드와 시간, 주기 등을 설정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환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변화를 환자 자신이나 의사가 판단하여 모니터링 모드, 시간, 주기 등을 직접 재설정해야 하지만, 일반적으로 한 명의 의사가 관리해야 하는 환자 수는 수 백명 내지 수 천명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각 환자의 건강 상태를 수시로 모니터링해서 재설정하기란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으며, 환자도 자신의 건강 상태 변화를 인식하고, 판단해서 모니터링 시간이나 주기를 매번 변경하는 것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건강 관리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건강 관리 서비스 중에 검출된 생체 신호의 위험도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생체 신호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관점에서 본 발명은, 생체 신호의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으로서, 건강 관리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설정 등록한 후 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건강 관리 서버와, 상기 전송된 모니터링 정보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계획을 작성하며, 그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시간에 따라 상기 생체 신호의 전송을 요청하고, 모니터링 지속 시간에 따라 이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에, 상기 생 체 신호의 위험도 분석을 통해 상기 모니터링 계획을 선택 재작성하여 건강 관리 서비스를 수행하는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와, 상기 생체 신호의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생체 신호를 상기 모니터링 지속 시간 동안 측정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에 전송하는 생체 신호 계측 장치를 포함하는 생체 신호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생체 신호의 검출을 기반으로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설정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에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작성된 모니터링 계획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시간이 되면, 생체 신호 계측 장치로 상기 생체 신호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생체 신호를 측정하여 이를 상기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에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되는 생체 신호를 저장한 후, 이에 대한 위험도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위험도 분석에 대한 결과에 따라 상기 모니터링 계획을 선택적으로 재작성하여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체 신호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의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의사나 환자가 원하는 서비스와 환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직접 모니터링 모드와 시간, 주기 등을 설정하여 서비스를 제공한 후 모니터링 모드, 시간, 주기 등을 직접 재설정하는 종래 방법과는 달리, 건강 관리 서비스에 대한 모 니터링 정보를 설정 등록한 후에 이를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에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여 저장하고, 이러한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작성된 모니터링 계획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시간이 되면, 생체 신호 계측 장치로 생체 신호의 전송을 요청하며, 생체 신호를 측정하여 이를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에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하고, 전송되는 생체 신호를 저장한 후, 이에 대한 위험도 분석을 수행하며, 그 결과에 따라 모니터링 계획을 선택적으로 재작성하여 건강 관리 서비스를 수행함으로써, 다양한 모니터링 정보를 설정하여 생체 신호 검출을 통한 건강 관리 서비스를 자동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건강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동 모니터링 정보 설정에서와 같이 위험도 분석을 통해 위험도가 높아질수록 모니터링 주기를 짧게 하거나 모니터링 지속 시간을 길게 재설정하여 효과적인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요지는, 특정 대상에 대한 건강 관리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설정 등록해 두고, 이에 따라 생체 신호를 검출하여 그에 대응하는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에, 검출된 생체 신호의 위험도 분석을 통해 모니터링 계획을 재작성한 후, 재작성된 모니터링 계획에 따라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이며, 이러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검출된 생체 정보의 위험도 분석을 통해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적합한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구성도로서, 생체 신호 계측 장치(100),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 및 건강 관리 서버(30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생체 신호 계측 장치(100)는 제 1 제어부(102), 센싱부(104) 및 제 1 근거리 무선 통신부(106)를 포함하고,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는 제 2 제어부(202), 인터페이스부(204), 제 1 무선 통신부(206), 저장부(208), 제 2 근거리 무선 통신부(210) 및 분석부(212)를 포함하며, 건강 관리 서버(300)는 제 3 제어부(302), 제 2 무선 통신부(304) 및 건강 정보 데이터베이스(306)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생체 신호 계측 장치(100)는 시계, 반지, 목걸이 등과 같은 액세서리 형태를 가지며, 혈압, 맥박, 체온 등과 같은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 생체 신호 검출 센서를 포함하는 것으로, 전원이 온(on)되면 대기 모드(sleep mode)로 동작하고,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로부터 생체 신호 전송이 요청되면 활성화 모드(active mode)로 동작한 후에 생체 신호 검출 센서를 통해 생체 신호를 측정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측정된 생체 신호를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로 전송한다.
한편, 생체 신호 계측 장치(100)의 제 1 제어부(102)는 생체 신호 계측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여 생체 신호 검출 센서를 통한 센싱을 제어하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것으로, 전원이 온(on)되면, 생체 신호 계측 장치(100)를 대기 모드로 동작시키고, 이 후 제 1 근 거리 무선 통신부(106)를 통해 생체 정보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이에 따라 생체 신호 검출 센서를 통한 센싱 제어신호를 센싱부(102)로 제공하며, 센싱부(104)로부터 전달되는 센싱 정보(예를 들면, 맥박, 혈압, 체온 등의 생체 정보)를 제 1 근거리 무선 통신부(106)를 통해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생체 신호 계측 장치(100)의 센싱부(104)는 예를 들면, 혈압, 맥박, 체온 등과 같은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 생체 신호 검출 센서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 1 제어부(102)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제어신호에 따라 생체 신호 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생체 신호를 측정한 후, 그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를 제 1 제어부(102)로 전달한다.
다음에, 생체 신호 계측 장치(100)의 제 1 근거리 무선 통신부(106)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예를 들면, 블루투스(Bluetooth),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Zigbee, 무선랜(Wireless LAN)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생체 신호 계측 장치(100)와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간의 무선 데이터 통신(예를 들면, 생체 정보 전송 요청 수신, 생체 정보 전송, 생체 정보 전송 중단 요청 수신 등)을 수행한다.
한편,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는 휴대용 이동 통신 단말기, PDA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건강 관리 서버(300)로부터 무선 통신망을 통해 모니터링 정보가 있음을 알리는 모니터링 프로파일 정보가 전송되면, 이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하도록 요청하고, 건강 관리 서버(300)로부터 모니터링 정보(예를 들면, 장치 식별 번호, 모니터링 시간, 모니터링 지속 시간, 모니터링 조건 등)가 전송되면 해당 모니터링 정보를 저장한 후에, 그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계획을 작성한 후, 해당 모니터링 시간이 되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생체 신호 계측 장치(100)에 생체 정보 전송을 요청한다.
또한,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는 생체 신호 계측 장치(100)로부터 생체 정보(예를 들면, 맥박, 혈압, 체온 등)가 전송되면, 이러한 생체 정보를 저장한 후에, 모니터링 정보에 대응하는 지속 시간동안 생체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여 수신 및 저장한 후, 지속 시간이 경과하면, 해당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위험도를 분석하며, 이러한 분석 결과에 따라 모니터링 계획을 선택적으로 재작성하여 건강 관리 서비스를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이 때,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는 생체 신호 계측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생체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또는 위험도 분석을 수행한 후에 해당 생체 정보, 위험도 분석 결과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건강 관리 서버(300)에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모니터링 계획은, 생체 정보 전송 요청 및 중단을 제어하는 모든 정보를 의미한다.
한편,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의 제 2 제어부(202)는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여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건강 관리 서비스 등을 제어하는 것으로, 건강 관리 서버(300)로부터 모니터링 프로파일 정보가 전송되면, 이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정보의 전송을 제 1 무선 통신부(206)를 통해 요청하고, 제 1 무선 통신부(206)를 통해 수신되는 모니터링 정보를 저장부(208)에 저장한 후에, 해당 모니터링 정보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계획을 작성하 고, 작성된 모니터링 계획에 따라 모니터링 시간이 되면 제 2 근거리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생체 신호 계측 장치(100)로 생체 정보의 전송을 요청한다. 여기에서, 모니터링 프로파일 정보는 사용자가 설정한 모니터링 정보에 대한 내용을 기술한 문서를 포함하여 해당 장치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가 존재함을 통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 2 제어부(202)는 제 2 근거리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전송되는 생체 정보를 저장부(208)에 저장하고, 모니터링 정보에 따른 지속 시간을 체크하여 지속 시간이 경과하면, 제 2 근거리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생체 신호 전송의 중단을 생체 신호 계측 장치(100)로 요청하며, 저장된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정보에 따른 위험도를 분석부(212)를 통해 분석한 후, 그 생체 정보 및 위험도 분석 결과를 제 1 무선 통신부(206)를 통해 건강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며, 해당 위험도 분석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인터페이스부(204)를 제어하고, 이러한 위험도 분석 결과에 따라 모니터링 계획을 선택적으로 재작성하며, 재작성된 모니터링 계획에 따라 건강 관리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의 인터페이스부(204)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는 것으로, 제 2 제어부(202)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메뉴 화면을 통해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제 2 제어부(202)로부터 제공되는 모니터링 정보, 생체 정보, 위험도 분석 결과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의 제 1 무선 통신부(206)는 이동 통신망 등과 같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를 접속시켜 외부 서버와의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와 건강 관리 서버(300)간의 무선 데이터 통신(예를 들면, 모니터링 프로파일 정보 수신, 모니터링 정보 전송 요청, 모니터링 정보 수신, 건강 관리 정보 전송 등)을 수행한다.
다음에,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의 저장부(208)는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의 각종 응용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는 것으로, 제 2 제어부(202)로부터 전달되는 모니터링 정보, 모니터링 계획, 생체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이들은 필요에 따라 추출되어 제 2 제어부(202)로 제공된다.
그리고,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의 제 2 근거리 무선 통신부(21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예를 들면, 블루투스(Bluetooth),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Zigbee, 무선랜(Wireless LAN)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생체 신호 계측 장치(100)와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간의 무선 데이터 통신(예를 들면, 생체 정보 전송 요청, 생체 정보 수신, 생체 정보 전송 중단 요청 등)을 수행한다.
한편,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의 분석부(212)는 저장부(208)에서 모니터링 정보를 추출하고, 이에 따라 제 2 제어부(202)로부터 전달되는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그 위험도를 분석한 후, 그 분석 결과를 저장부(208)에 저장하며, 이러한 위험도 분석 결과를 제 2 제어부(202)로 전달한다.
다음에, 건강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별 건강 관리 서비스를 위한 모니터링 정보를 설정 등록하는 서버로서, 웹 페이지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니터링 정보(예를 들면, 장치 식별 번호, 모니터링 조건, 모니터링 시간, 모니터링 지속 시간 등)가 설정 등록되면, 해당 모니터링 정보를 저장함과 동시에 해당 장치에 대한 모니터링 프로파일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로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며,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로부터 모니터링 프로파일 정보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정보가 요청되면, 해당 모니터링 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로 전송한다.
또한, 건강 관리 서버(300)에서는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로부터 건강 관리 서비스 중에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각종 생체 정보, 위험도 분석 결과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해당 장치에 대응하는 건강 관리 정보로서 저장 관리한다.
한편, 건강 관리 서버(300)의 제 3 제어부(302)는 건강 관리 서버(300)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사용자별 모니터링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설정된 모니터링 정보를 건강 정보 데이터베이스(306)에 저장함과 동시에 해당 장치별 모니터링 프로파일 정보를 생성하고, 이러한 모니터링 프로파일 정보를 제 2 무선 통신부(304)를 통해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건강 관리 서버(300)에서 모니터링 프로파일 정보를 전송한 후에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에서 이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정보의 전송을 요청 및 수신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모니터링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모니터링 정보를 건강 관 리 서버(300)에서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일 예로서,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라 건강 관리 서비스를 위한 모니터링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으로,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간 모니터링을 온(ON) 또는 오프(OFF)하여 설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시간에 따라 모니터링 정보를 설정하거나 주기적인 모니터링 정보를 설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체 정보의 위험도에 따라 정상, 주의, 위험, 경고, 응급 등의 5단계의 위험도별 모니터링 주기 및 지속 시간을 선택 설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제 3 제어부(302)는 제 2 무선 통신부(304)를 통해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로부터 생체 정보, 위험도 분석 결과를 포함하는 각종 건강 관리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건강 정보 데이터베이스(306)에 저장 관리한다.
그리고, 건강 관리 서버(300)의 제 2 무선 통신부(302)는 이동 통신망과 같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무선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와 건강 관리 서버(300)간의 무선 데이터 통신(예를 들면, 모니터링 프로파일 정보 전송, 모니터링 정보 전송 요청 수신, 모니터링 정보 전송, 건강 관리 정보 수신 등)을 수행한다.
한편, 건강 관리 서버(300)의 건강 정보 데이터베이스(306)는 장치별 건강 관리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제 3 제어부(302)로부터 전달되는 모니터링 정보 및 건강 관리 정보를 저장하며, 이들은 필요에 따라 추출되어 제 3 제어부(302)로 제공된다.
일 예로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생체 신호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의 환경을 예시한 도면으로, 시계, 반지, 운동화 등을 포함하는 생체 신호 계측 장치와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PDA를 포함하는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와 건강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근거리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건강 관리 시스템에서 모니터링 정보를 설정 등록한 후에 이를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로 전송하고,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를 통해 모니터링 정보에 따른 모니터링 계획을 작성한 후 이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시간에 생체 신호 계측 장치로부터 생체 정보를 수신하여 그 위험도 분석을 수행한 후에 그 위험도 분석 결과에 따라 모니터링 계획을 선택적으로 재작성하여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검출된 생체 정보의 위험도 분석을 통해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건강 관리 서버(300)의 제 3 제어부(302)에서는 사용자가 웹 페이지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건강 관리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키를 입력할 경우 이에 따른 모니터링 정보 설정 웹 페이지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모니터링 정보가 설정되면, 이러한 모니터링 정보를 건강 정보 데이터베이스(306)에 등록 저장한다(단계402).
일 예로서,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간 모니터링을 온(ON) 또는 오프(OFF)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시간에 따라 모 니터링 시간 및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설정할 수 있고,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시간과 주기 및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모리터링 정보를 설정할 수 있으며,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험도에 따라 정상, 주의, 위험, 경고, 응급 등의 5단계로 주기 및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자동 모니터링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모니터링 정보는 장치 식별 번호, 예를 들면,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의 단말기 번호 등을 함께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건강 관리 서버(300)의 제 3 제어부(302)는 모니터링 정보가 존재함을 통보하기 위해 모니터링 정보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프로파일 정보를 생성하며(단계404), 이러한 모니터링 프로파일 정보를 제 2 무선 통신부(304)를 통해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로 전송한다(단계406).
다음에,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의 제 2 제어부(202)에서는 제 1 무선 통신부(206)를 통해 모니터링 프로파일 정보가 수신되면, 이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정보의 전송을 제 1 무선 통신부(206)를 통해 건강 관리 서버(300)로 요청한다(단계408). 이 때, 제 2 제어부(202)에서는 해당 모니터링 정보의 전송을 요청할 때,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의 장치 식별 번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건강 관리 서버(300)의 제 3 제어부(302)에서는 제 2 무선 통신부(304)를 통해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로부터 모니터링 정보의 전송이 요청되면, 건강 정보 데이터베이스(306)에서 해당 장치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추출한 후에(단계410), 이러한 모니터링 정보를 제 2 무선 통신부(304)를 통해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로 전송한다(단계412). 한편, 본 발명에서는 건강 관리 서 버(300)에서 모니터링 프로파일 정보를 전송한 후에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에서 이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정보의 전송을 요청 및 수신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모니터링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모니터링 정보를 건강 관리 서버(300)에서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다음에,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의 제 2 제어부(202)에서는 제 1 무선 통신부(206)를 통해 수신되는 모니터링 정보를 저장부(208)에 저장한 후에, 이러한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모니터링 계획을 작성한다(단계414, 416). 여기에서, 모니터링 계획은 생체 정보 전송 요청 및 중단을 제어하는 모든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제 2 제어부(202)에서는 모니터링 정보 및 모니터링 계획에 따라 모니터링 시간이 되면, 제 2 근거리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생체 신호 계측 장치(100)로 생체 정보 전송을 요청한다(단계418).
한편, 생체 신호 계측 장치(100)의 제 1 제어부(102)에서는 제 1 근거리 무선 통신부(106)를 통해 생체 정보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대기 모드(sleep mode)에서 활성화 모드(active mode)로 동작시킨 후에, 혈압, 맥박, 체온 등과 같은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 생체 신호 검출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104)를 통해 생체 신호를 검출하며(단계420), 이러한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를 제 1 근거리 무선 통신부(106)를 통해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로 전송한다(단계422).
그리고,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의 제 2 제어부(202)에서는 제 2 근거리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전송되는 생체 정보를 저장부(208)에 저장하고(단계424), 모니터링 정보의 지속 시간 동안 생체 신호 계측 장치(100)로부터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418 내지 단계424의 과정을 지속적으로 수행한 후에 지속 시간이 경과하면, 제 2 제어부(202)에서는 수신 저장된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생체 정보별로 정상 범위에 대비하여 위험도 분석을 수행한다(단계426).
이와 함께, 제 2 제어부(202)에서는 제 2 근거리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생체 신호 계측 장치(100)로 생체 정보 전송의 중단을 요청한다(단계428). 이 후, 생체 신호 계측 장치(100)의 제 1 제어부(102)에서는 제 1 근거리 무선 통신부(106)를 통해 생체 정보 전송 중단 요청이 수신되면 이에 따라 생체 신호 검출을 중지하도록 센싱부(104)를 제어하며, 대기 모드(sleep mode)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단계430).
한편, 제 2 제어부(202)에서는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수신 저장된 생체 정보 및 이를 이용한 위험도 분석 결과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정보를 제 1 무선 통신부(206)를 통해 건강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단계432). 이 후, 건강 관리 서버(300)의 제 3 제어부(302)에서는 제 2 무선 통신부(304)를 통해 전송되는 건강 관리 정보를 해당 장치별로 건강 정보 데이터베이스(306)에 저장 관리한다(단계434).
그리고,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200)의 제 2 제어부(202)에서는 정상 범위에 대비하여 분석한 위험도 분석 결과에 따라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자동 모니터링 정보 설정과 같이 위험도에 따른 모니터링 계획을 선택적으로 재작성한다(단계436).
이어서, 제 2 제어부(202)에서는 재작성된 모니터링 계획에 따라 건강 관리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수행한다(단계438).
따라서, 건강 관리 시스템에서 설정 등록된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에 생체 정보를 수신한 후, 이에 대한 위험도 분석을 통해 모니터링 계획을 재작성하여 그에 대응하는 건강 관리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검출된 생체 정보의 위험도 분석을 통해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적합한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생체 신호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의 환경을 예시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라 건강 관리 서비스를 위한 모니터링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검출된 생체 정보의 위험도 분석을 통해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생체 신호 계측 장치 102 : 제 1 제어부
104 : 센싱부 106 : 제 1 근거리 무선 통신부
200 :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 202 : 제 2 제어부
204 : 인터페이스부 206 : 제 1 무선 통신부
208 : 저장부 210 : 제 2 근거리 무선 통신부
212 : 분석부 300 : 건강 관리 서버
302 : 제 3 제어부 304 : 제 2 무선 통신부
306 : 건강 정보 데이터베이스

Claims (11)

  1. 생체 신호의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으로서,
    건강 관리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설정 등록한 후 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건강 관리 서버와,
    상기 전송된 모니터링 정보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계획을 작성하며, 그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시간에 따라 상기 생체 신호의 전송을 요청하고, 모니터링 지속 시간에 따라 이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에, 상기 생체 신호의 위험도 분석을 통해 상기 모니터링 계획을 선택 재작성하여 건강 관리 서비스를 수행하는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와,
    상기 생체 신호의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생체 신호를 상기 모니터링 지속 시간 동안 측정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에 전송하는 생체 신호 계측 장치
    를 포함하는 생체 신호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관리 서버는,
    상기 모니터링 정보의 설정 등록과 그 전송을 제어하는 제 3 제어부와,
    상기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제 2 무선 통신부와,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건강 정보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는,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모니터링 계획을 작성하고, 이에 따라 상기 생체 신호의 전송과 수신, 이에 대한 상기 위험도 분석, 상기 모니터링 계획의 선택 재작성을 제어하는 제 2 제어부와,
    상기 건강 관리 서버와의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무선 통신부와,
    상기 생체 신호 계측 장치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 2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상기 생체 신호에 대한 상기 위험도 분석을 수행하는 분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는,
    상기 모니터링 정보와, 상기 모니터링 계획, 상기 위험도 분석에 대한 결과 를 저장 관리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수신된 상기 생체 정보와 상기 위험도 분석에 대한 결과를 상기 건강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신호 계측 장치는,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전송 요청된 상기 생체 신호의 측정과 그 전송을 제어하는 제 1 제어부와,
    상기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와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상기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센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정보는, 장치 식별 번호와, 상기 모니터링 시간과, 상기 모니터링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8. 생체 신호의 검출을 기반으로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설정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에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작성된 모니터링 계획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시간이 되면, 생체 신호 계측 장치로 상기 생체 신호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생체 신호를 측정하여 이를 상기 휴대용 건강 관리 장치에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되는 생체 신호를 저장한 후, 이에 대한 위험도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위험도 분석에 대한 결과에 따라 상기 모니터링 계획을 선택적으로 재작성하여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생체 신호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의 모니터링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요청된 상기 생체 신호와 상기 위험도 분석에 대한 결과를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건강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의 모니터링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도 분석은,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수신된 상기 생체 신호를 각각의 정상 범위와 대비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의 모니터링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계획은, 상기 위험도 분석에 대한 결과에 따라 상기 모니터링 주기와 상기 모니터링 시간을 선택 변경하여 재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신호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의 모니터링 방법.
KR1020070133396A 2007-12-18 2007-12-18 생체 신호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및 이의 모니터링 방법 KR200900658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396A KR20090065869A (ko) 2007-12-18 2007-12-18 생체 신호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및 이의 모니터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396A KR20090065869A (ko) 2007-12-18 2007-12-18 생체 신호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및 이의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869A true KR20090065869A (ko) 2009-06-23

Family

ID=40994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3396A KR20090065869A (ko) 2007-12-18 2007-12-18 생체 신호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및 이의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5869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0551A1 (ko) * 2012-06-01 2013-12-05 노슨(Nohsn) 의료기기 안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WO2017007187A1 (ko) * 2015-07-03 2017-01-12 전주비전대학교산학협력단 피에조 센서를 이용한 귀 삽입형 건강 모니터링 장치
KR20190059437A (ko) 2017-11-23 2019-05-31 주식회사 라온즈 생체신호수집과 통신망 기반의 야외활동인원의 생활활력징후 정보제공 및 응급상황 운용 시스템 및 운용 방법
KR20200056651A (ko) 2018-11-15 2020-05-25 주식회사 라온즈 개인화된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방법 및 개인맞춤형 생활활력징후 제공 시스템
KR20200134384A (ko) 2019-05-21 2020-12-02 주식회사 케즈 바이오 센싱을 통한 지능형 위급상황 알림 스마트밴드
KR20230026695A (ko) 2021-08-18 2023-02-27 주식회사 케즈 해양 레포츠용 스마트 밴드 장치
KR20230034123A (ko) 2021-09-01 2023-03-09 주식회사 뉴로웰니스 전자침술을 이용한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608866B1 (ko) * 2022-06-07 2023-12-01 주식회사 올라운드닥터스 항암 치료 순응도 개선을 위한 디지털 치료제 및 이를 제공하는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0551A1 (ko) * 2012-06-01 2013-12-05 노슨(Nohsn) 의료기기 안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WO2017007187A1 (ko) * 2015-07-03 2017-01-12 전주비전대학교산학협력단 피에조 센서를 이용한 귀 삽입형 건강 모니터링 장치
KR20190059437A (ko) 2017-11-23 2019-05-31 주식회사 라온즈 생체신호수집과 통신망 기반의 야외활동인원의 생활활력징후 정보제공 및 응급상황 운용 시스템 및 운용 방법
KR20200056651A (ko) 2018-11-15 2020-05-25 주식회사 라온즈 개인화된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방법 및 개인맞춤형 생활활력징후 제공 시스템
KR20200134384A (ko) 2019-05-21 2020-12-02 주식회사 케즈 바이오 센싱을 통한 지능형 위급상황 알림 스마트밴드
KR20230026695A (ko) 2021-08-18 2023-02-27 주식회사 케즈 해양 레포츠용 스마트 밴드 장치
KR20230034123A (ko) 2021-09-01 2023-03-09 주식회사 뉴로웰니스 전자침술을 이용한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608866B1 (ko) * 2022-06-07 2023-12-01 주식회사 올라운드닥터스 항암 치료 순응도 개선을 위한 디지털 치료제 및 이를 제공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ur et al. Health monitoring based on IoT using Raspberry PI
US20160012199A1 (en) Health care network system using smart communicator and method thereof
KR20090065869A (ko) 생체 신호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및 이의 모니터링 방법
KR100813166B1 (ko)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0024954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hysiological Data Acquired from an Ambulatory Physiological Monitoring Unit
JP4796097B2 (ja) 生体信号測定装置の相互協働方法及びシステム
KR20090060696A (ko)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서비스방법
KR20060124082A (ko) 건강 측정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CN204091964U (zh) 健康管理数据监测仪
CN103371807A (zh) 确定参考体温的方法和设备
Geman et al. Ubiquitous healthcare system based on the sensors network and android internet of things gateway
US20120101350A1 (en) Personal Health Monitoring Device
EP3189774A1 (en) Medical sensor as well as using method therefor and operating device thereof
JP2019508118A (ja) 電動ベッド
KR101986088B1 (ko) 비정상 생체 신호 감지를 위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07945A (ko)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
CN206214100U (zh) 一种人体智能监控***
Karunanithi et al. An innovative technology to support independent living: the smarter safer homes platform
CN101795296A (zh) 基于gprs网络的远程医疗服务***及其方法
JP2011142966A (ja) 測定装置、中継装置、遠隔制御システムおよび測定方法
KR20170121617A (ko) 사물인터넷 기반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KR101810996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한 응급 문자 전송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US20120157790A1 (en) Physical examination method using mobile terminal, and gateway and mobile terminal for physical examination
US20150227709A1 (en) Network-based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TWI433663B (zh) 具有近距離無線傳輸功能之生醫裝置及其使用者辨識、生醫資料量測、生醫資料上傳/下載、生醫資料管理、與遠端醫療看護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