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424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424B1
KR101219424B1 KR1020080080495A KR20080080495A KR101219424B1 KR 101219424 B1 KR101219424 B1 KR 101219424B1 KR 1020080080495 A KR1020080080495 A KR 1020080080495A KR 20080080495 A KR20080080495 A KR 20080080495A KR 101219424 B1 KR101219424 B1 KR 101219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center
transfer roller
disposed
print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1857A (ko
Inventor
이선우
정원철
경명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0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424B1/ko
Priority to US12/507,957 priority patent/US8160483B2/en
Publication of KR20100021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9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with means for preconditioning the paper base before the transf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6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 G03G15/16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 G03G15/1685Structure, details of the transfer member, e.g. chemical com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7Feeding path after the transfer point and up to the fixing point, e.g. guides and feeding means for handling copy material carrying an unfused toner im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제전기의 설치 위치를 최적화하여 전류 누수에 기인한 화상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제1 및 제2상담지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상담지체와; 노광유니트와; 현상유니트와; 복수의 전사롤러와, 복수의 전사롤러 각각의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제전기를 구비한 전사유니트와; 정착유니트를 포함하며,
전사롤러는 제1 및 제2상담지체 각각에 대향 배치된 제1 및 제2전사롤러를 구비하며, 복수의 제전기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전기의 단부는 하기의 조건식 1을 만족하는 구간 Z1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건식 1>
D1 ≤ Z1 ≤ D - D3, 4.5mm ≤ D1 < D, 4.5mm ≤ D3 < D, 9.0mm < D
여기서, 제1상담지체와 제1전사롤러 사이에 형성된 제1전사닙의 중심을 N1, 제2상담지체와 제2전사롤러 사이에 형성된 제2전사닙의 중심을 N2라 하고, 중심 N1을 원점으로 할 때, D1은 중심 N1으로부터 중심 N2 방향으로의 거리이고, D는 중심 N1과 중심 N2 사이의 간격이고, D3은 중심 N2로부터 중심 N1 방향으로의 거리이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제전기의 설치 위치를 최적화하여 전류 누수에 기인한 화상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탠덤(tandem)형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요부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현상기(미도시)에 의하여 가시화상이 형성되는 복수의 상담지체(10)와, 상담지체(10) 각각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하는 전사유니트(20)와, 인쇄매체(M) 전사된 미정착 화상을 가열 및 가압에 의하여 정착하는 정착유니트(30)를 포함한다.
전사유니트(20)는 상담지체(10) 각각에 대향 배치되는 복수의 전사롤러(21)와, 상담지체(10)와 전사롤러(21) 사이를 통과하며 인쇄매체(M)를 이송하는 전사벨트(25)를 포함한다. 이 전사유니트(20)는 상담지체(10)에 인가되는 전압과 반대 극성의 전사전압을 전사롤러(21)에 인가하여, 상담지체(10) 상의 토너를 인쇄매체(M)에 직접 전사한다. 이때, 전사롤러(21)에 전사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인쇄매체(M) 에도 전사전압이 인가된다.
이 경우, 인쇄매체(M)가 상담지체(10)와 전사롤러(21) 사이에 형성되는 전사닙을 통과시, 상담지체(10)와 인쇄매체(M) 사이의 전위차에 의하여 전사닙 전,후 특히, 도 1의 A로 표시된 전사닙 전단영역에서 갭 방전(인쇄매체 분리방전)이 발생하여, 토너에 의하여 형성되는 화상의 스캐터링(Scattering)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A 영역에서 갭 방전에 의한 화상 스캐터링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전기(40)를 구비한다. 이 제전기(40)는 인쇄매체(M)에 대전된 전압을 제전하여 상담지체(10)와 인쇄매체(도 1의 M) 사이의 전위차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한 갭 방전을 억제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제전기를 구비한 경우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제전기에서 접지 사이에 흐르는 전류는 0.1 내지 1.0㎂ 미만이다. 그러므로, 제전기를 설치함에 있어서, 전사롤러(21)에 가깝게 배치하는 경우, 소정 조건에서 인쇄매체(M)의 고저항으로 인하여 전사롤러(21)에서 인쇄매체(M) 방향으로 전사전류가 흐르지 못하고 전사벨트(25)를 타고 제전기(40)로 전류의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전기의 설치 위치를 최적화하여 제전기로의 전류 누수에 기인한 화상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구성이 요구된다.
또한,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저습환경의 고저항 인쇄매체 사용시 또는 양면 인쇄시 전사벨트의 저항이 상승된다. 이에 따라 전사벨트에 누적되는 전하량이 급격히 상승하게 된다. 그 결과, 정착유니트(30)를 구성하는 가압롤러(도 1의 35)에 전압을 인가하는 방식만으로는 전계 형성이 어려워져 정전 옵셋이 발생된 다. 따라서, 인쇄매체(M)에 대해 토너의 최종 전사 후, 인쇄매체가 대전된 상태로 정착하는 과정에서 상기한 정전 옵셋에 의한 화상불량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 조건 및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제전기로의 전류 누수에 기인한 화상불량을 방지함과 아울러, 정전 옵셋에 의한 화상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상호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 상호 인접 배치된 제1 및 제2상담지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 각각에 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유니트와; 상기 상담지체 각각에 가시화상을 현상하는 현상유니트와; 상기 가시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시키는 것으로, 상기 상담지체 각각에 대향 배치되어 상기 상담지체와의 사이에서 전사닙을 형성하는 복수의 전사롤러와, 상기 복수의 전사롤러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매체에 형성된 전사전압을 제전하는 복수의 제전기를 구비한 전사유니트와; 상기 인쇄매체에 전사된 가시화상을 상기 인쇄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전사롤러는 상기 제1 및 제2상담지체 각각에 대향 배치된 제1 및 제2전 사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전기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전기는 상기 제1전사롤러와 상기 제2전사롤러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 그 단부는 하기의 조건식 1을 만족하는 구간 Z1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건식 1>
D1 ≤ Z1 ≤ D - D3
4.5mm ≤ D1 < D
4.5mm ≤ D3 < D
9.0mm < D
여기서, 제1상담지체와 상기 제1전사롤러 사이에 형성된 제1전사닙의 중심을 N1, 상기 제2상담지체와 상기 제2전사롤러 사이에 형성된 제2전사닙의 중심을 N2라 하고, 상기 중심 N1을 원점으로 할 때,
D1은 상기 중심 N1으로부터 상기 중심 N2 방향으로의 거리이고, D는 상기 중심 N1과 상기 중심 N2 사이의 간격이고, D3은 상기 중심 N2로부터 상기 중심 N1 방향으로의 거리이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제전기 각각은 판면이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경로에 대해 실질상 수직으로 배치된 수직 제전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직 제전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그 판면이 하기의 조건식 2를 만족하는 영역 Z2 내에 배치된다.
<조건식 2>
R1 + D2 ≤ Z2 ≤ D - (R2 + D4)
1.7mm ≤ D2 < D
1.7mm ≤ D4 < D
여기서, R1은 상기 제1전사롤러의 반경이고, R2는 상기 제2전사롤러의 반경이며, D2는 상기 제1전사롤러의 상기 제2전사롤러 측 외주로부터 상기 제1전사롤러의 반경방향 거리이고, D4는 제2전사롤러의 상기 제1전사롤러 측 외주로부터 상기 제2전사롤러의 반경방향 거리이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전기 각각은 판면이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경로에 마주하게 배치된 수평 제전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사유니트는 상기 복수의 상담지체와 상기 복수의 전사롤러 사이를 통과하며 상기 인쇄매체를 이송하는 전사벨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사유니트는 상기 복수의 전사롤러 중 인쇄매체의 진행방향 상의 최하류에 배치된 전사롤러와 상기 정착유니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매체에 형성된 전사전압을 제전시키는 보조 제전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 제전기의 단부는, 하기의 조건식 3을 만족하는 구간 Z3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건식 3>
D5 ≤ Z3 < DF
4.5mm ≤ D5 < DF
여기서, 상기 정착유니트에 인접하는 상담지체와 전사롤러 사이에 형성된 전사닙의 중심 N3을 원점으로 할 때, D5는 상기 중심 N3로부터 상기 정착유니트의 정착닙의 중심 NF 방향으로의 인쇄매체 이송경로 상의 거리이고, DF는 상기 중심 N3로부터 상기 중심 NF까지의 인쇄매체 이송경로 상의 거리이다.
또한, 상기 보조 제전기는 판면이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경로에 대해 실질상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판면이 하기의 조건식 4를 만족하는 영역 Z4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조건식 4>
R3 + D6 ≤ Z4 ≤ DF - R4
1.7mm ≤ D6 < DF
여기서, R3은 상기 정착유니트에 인접하는 전사롤러의 반경이며, D6은 상기 정착유니트에 인접하는 전사롤러의 상기 정착유니트 측 외주로부터 상기 전사롤러의 반경방향 거리이고, R4는 상기 정착유니트의 가압롤러의 반경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제전기는 판면이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경로에 마 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조건식 1을 만족하는 구간에 제전기의 단부가 위치되도록 하고, 수직 제전 플레이트를 채용시 조건식 1 및 조건식 2를 만족하는 영역 내에 제전기가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전사 과정에서 제전기로의 전류 누수를 예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류 누수에 기인한 화상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사유니트와 정착유니트 사이에 보조 제전기를 포함함과 아울러 조건식 3 및 조건식 4를 만족하는 영역 내에 보조 제전기가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저습환경 및 듀플렉스 인쇄 환경 등에서 인쇄를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정전 옵셋에 기인한 화상불량 초래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각 색상별로 형성된 화상을 싱글 패스 상에서 인쇄매체에 전사하는 탠덤(tandem)형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이다. 이 화상형성장치는 인쇄경로 상에 상호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 각 색상별로 마련된 복수의 상담지체(110)와, 상담지체(110) 각각에 잠 상(latent image)을 형성하는 노광유니트(123)와, 상기 상담지체(110) 각각에 가시화상을 현상하는 현상유니트(125)와, 전사유니트(130) 및 정착유니트(15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담지체(110)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광유니트(123)는 대전기(121)에 의해 대전된 상담지체(110)를 노광하여 잠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인쇄매체에 형성하고자 하는 화상에 대응되는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유니트(LSU)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상유니트(125)는 각 색상별로 구비되는 것으로, 잠상이 형성된 상담지체(110)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상기 상담지체(110)에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상기 전사유니트(130)는 상기 가시화상을 인쇄매체 이송경로를 따라 공급되는 인쇄매체(M)에 전사시키는 것으로, 복수의 전사롤러(131)와, 이웃하는 전사롤러 사이에 배치되어 인쇄매체(M)에 형성된 전사전압을 제전하는 복수의 제전기(140)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전사롤러(131) 각각은 상담지체(110) 각각에 대향 배치되어, 상기 상담지체(110)와의 사이에서 전사닙을 형성한다. 도 3에 있어서, 상기 상담지체(110)는 제1 내지 제4상담지체(110Y, 110M, 110C, 110K)를 포함하며, 복수의 전사롤러(131)는 제1 내지 제4상담지체(110Y, 110M, 110C, 110K) 각각에 대향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전사롤러(131Y, 131M, 131C, 131K)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사유니트(130)는 상기 복수의 상담지체(110)와 상기 복수의 전사롤러(131) 사이를 통과하며 상기 인쇄매체(M)를 이송하는 전사벨트(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전기(140)는 인쇄매체(M)가 상담지체(110)와 전사롤 러(131) 사이에 형성되는 전사닙을 통과시, 상담지체(110)와 인쇄매체(M) 사이의 전위차에 의하여 전사닙 전단영역에서 발생되는 갭 방전에 기인한 화상 스캐터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하여, 복수의 제전기(140)는 제1전사롤러(131Y)와 제2전사롤러(131M) 사이에 배치되는 제1제전기(141Y)와, 제2전사롤러(131M)와 제3전사롤러(131C) 사이에 배치되는 제2제전기(141M) 및 제3전사롤러(131C)와 제4전사롤러(131K) 사이에 배치되는 제3제전기(141C)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제전기(141Y)(141M)(141C) 각각은 판면이 상기 인쇄매체(M)의 이송경로에 대해 실질상 수직으로 배치된 수직 제전 플레이트(1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착유니트(150)는 전사유니트(130)에서 인쇄매체(M)에 전사된 가시화상을 인쇄매체(M)에 정착시키는 것으로서, 열원(151)과, 정착롤러(153)와, 상기 정착롤러(153)를 가압하는 가압롤러(15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전기(140)를 설치함에 있어서, 이웃하는 전사롤러(131)와의 관계에서 갭 방전 방지 효율을 향상시키면서도, 제전기(140)로의 전류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그 배치위치를 최적화한 점에 특징이 있다.
도 4는 도 3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부분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제전기(141Y)는 제1전사롤러(131Y)와 제2전사롤러(131M)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 그 단부(141a)는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구간 Z1 내에 배치된다.
D1 ≤ Z1 ≤ D - D3
4.5mm ≤ D1 < D
4.5mm ≤ D3 < D
9.0mm < D
여기서, D1은 제1전사닙의 중심 N1으로부터 제2전사닙의 중심 N2 방향으로의 거리이고, D는 중심 N1과 중심 N2 사이의 간격이고, D3은 중심 N2로부터 중심 N1 방향으로의 거리이다. 이때, 중심 N1은 제1상담지체(110Y)와 상기 제1전사롤러(131Y) 사이에 형성된 제1전사닙의 중심이고, 중심 N2는 상기 제2상담지체(110M)와 상기 제2전사롤러(131M) 사이에 형성된 제2전사닙의 중심이며, 수학식 1은 중심 N1을 원점으로 하여 표현한 것이다.
수학식 1의 조건 범위는 전사닙으로부터 제전기의 배치 거리에 따른 제전 전류량 및 전사 상태를 고려하여 설정된다.
표 1은 저온저습 환경에서 10㎂의 전사전류를 인가하는 경우의 제1전사닙의 중심 N1으로부터 제전기(141)의 단부(141a) 사이의 간격 변화에 따른 제전전류를 보인 것이다.
T1 3.0mm 3.5mm 4.0mm 4.5mm 5.0mm
제전전류 3.8㎂ 2.2㎂ 1.2㎂ 0.8㎂ 0.8㎂
전사 등급 4 3 2 1 1
표 1에 있어서, 제전전류가 낮을수록 전류 누수가 적은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표 1의 경우 제전전류에 따른 전사등급은 1등급 내지 4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1등급으로 갈수록 제전 특성이 향상됨을 보인 것이다.
표 1을 살펴보면, 전사닙과 제전기의 단부 사이의 간격이 4.5mm 미만인 경우 전사등급이 2 내지 4등급으로 높게 나타나 제전기로의 전류 누수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T1은 4.5mm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1의 제전특성은 제전기와 제2전사롤러 사이의 관계에서도 적용되는 바, 제전기와 제2전사닙 사이의 간격에 있어서도, 4.5mm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제전기(141Y)를 구성하는 수직 제전 플레이트(141)는 그 판면이 수학식 2를 만족하는 영역 Z2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R1 + D2 ≤ Z2 ≤ D - (R2 + D4)
1.7mm ≤ D2 < D
1.7mm ≤ D4 < D
여기서, R1은 상기 제1전사롤러의 반경이고, R2는 상기 제2전사롤러의 반경이며, D2는 상기 제1전사롤러의 상기 제2전사롤러 측 외주로부터 상기 제1전사롤러 의 반경방향 거리이고, D4는 제2전사롤러의 상기 제1전사롤러 측 외주로부터 상기 제2전사롤러의 반경방향 거리이다.
수학식 2의 조건 범위는 전사닙으로부터 제전기의 배치 거리에 따른 제전 전류량 및 전사 상태를 고려하여 설정된다.
표 2는 저온저습 환경에서 10㎂의 전사전류를 인가하는 경우의 제1전사롤러의 외주로부터 수직 제전 플레이트(141) 사이의 간격 변화에 따른 제전전류를 보인 것이다.
T2 0.5mm 0.9mm 1.3mm 1.7mm 2.1mm
제전전류 0.8㎂ 0.6㎂ 0.2㎂ 0.0㎂ 0.0㎂
전사 등급 2 2 2 1 1
표 2를 살펴보면, 제1전사롤러의 외주와 수직 제전 플레이트(141)의 간격이 1.7mm 미만인 경우, 전사등급이 2등급으로 높게 나타나 제전기로의 전류 누수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T2는 1.7mm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2의 제전특성은 제전기와 제2전사롤러 사이의 관계에서도 적용되는 바, 제전기와 제2전사롤러의 외주와의 사이의 간격에 있어서도, 1.7mm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전사롤러와 제2전사롤러 사이에 배치된 제1제전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제2 내지 제3제전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사유니트(130)는 상기 복수의 전사롤러 중 인쇄매체의 진행방향 상의 최하류에 배치된 전사롤러인 제4전사롤러(130K)와 상기 정착유니트(15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매체(M)에 형성된 전사전압을 제전시키는 보조 제전기(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제전기(143)는 인쇄매체(M)에 대해 토너의 최종 전사 후, 대전된 인쇄매체(M)를 제전함으로써, 정전 옵셋의 발생을 억제한다. 그러므로, 정전 옵셋에 의한 화상불량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부분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보조 제전기(143)는 제4전사롤러(131K)와 가압롤러(155)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 그 단부(143a)는 수학식 3을 만족하는 구간 Z3 내에 배치된다.
D5 ≤ Z3 < DF
4.5mm ≤ D5 < DF
여기서, 제4상담지체(110K)와 제4전사롤러(131K) 사이에 형성된 전사닙의 중심 N3을 원점으로 할 때, D5는 상기 중심 N3로부터 상기 정착유니트(150)의 정착닙의 중심 NF 방향으로의 인쇄매체 이송경로 상의 거리이고, DF는 상기 중심 N3로부터 상기 중심 NF까지의 인쇄매체 이송경로 상의 거리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보조 제전기를 배치함으로써,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사등급을 제1등급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사닙의 중심 N3와 보조 제전기(143)의 단부(143a) 사이의 간격이 가깝게 배치됨에 의하여 야기될 수 있는 전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제전기(143)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면이 상기 인쇄매체(M)의 이송경로에 대해 실질상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 제전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보조 제전기(143)의 판면이 다음의 수학식 4의 조건을 만족하는 영역 Z4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R3 + D6 ≤ Z4 ≤ DF - R4
1.7mm ≤ D6 < DF
여기서, R3은 상기 정착유니트(150)에 인접하는 전사롤러의 반경이며, D6은 상기 정착유니트(150)에 인접하는 제4전사롤러(131K)의 상기 정착유니트(150) 측 외주로부터 상기 제4전사롤러(131K)의 반경방향 거리이고, R4는 상기 가압롤러(155)의 반경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보조 제전기를 배치함으로써,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사등급을 제1등급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4전사롤러(131K)와 보조 제전기(143)의 단부(143a) 사이의 간격이 가깝게 배치됨에 의하여 야기될 수 있는 전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각 색상별로 형성된 화상을 싱글 패스 상에서 인쇄매체에 전사하는 탠덤(tandem)형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이다. 이 화상형성장치는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와 비교하여 볼 때, 복수의 제전기(140)의 구성을 변경한 점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그 이외의 구성은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였으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제전기(140)는 제1 내지 제4전사롤러(131Y, 131M, 131C, 131K) 각각의 사이에 배치된 제1 내지 제3제전기(145Y, 145M, 145C)를 포함한다. 이 제1 내지 제3제전기(145Y, 145M, 145C) 각각은 판면이 인쇄매체(M)의 이송 경로에 마주하게 배치된 수평 제전 플레이트(145)를 포함한다.
도 7은 도 6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부분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제전기(145Y)는 제1전사롤러(131Y)와 제2전사롤러(131M)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 앞서 설명된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구간 Z1 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간 Z1 내에 제전기를 배치함으로써,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사등급을 제1등급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사닙의 중심 N1와 제전기(145)의 단부 사이의 간격이 가깝게 배치됨에 의하여 야기될 수 있는 전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제4전사롤러(131K)와 정착유니트(150)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 제전기(1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제전 기(147)는 제1 내지 제3제전기(145Y, 145M, 145C)와 같이 그 판면이 인쇄매체(M)의 이송경로에 마주하게 배치되는 구조의 수평 제전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보조 제전기(147)는 앞서 설명된 수학식 3을 만족하는 구간 Z3 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간 Z3 내에 보조 제전기를 배치함으로써,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사등급을 제1등급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탠덤형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요부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종래의 제전기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요부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4는 도 3의 일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부분 개략도.
도 5는 도 3의 다른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부분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7은 도 6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부분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상담지체 123: 노광유니트
125: 현상유니트 130: 전사유니트
131: 전사롤러 140: 제전기
141: 수직 제전 플레이트 143, 147: 보조 제전기
145: 수평 제전 플레이트 150: 정착유니트

Claims (9)

  1. 상호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 상호 인접 배치된 제1 및 제2상담지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 각각에 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유니트와;
    상기 상담지체 각각에 가시화상을 현상하는 현상유니트와;
    상기 가시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시키는 것으로, 상기 상담지체 각각에 대향 배치되어 상기 상담지체와의 사이에서 전사닙을 형성하는 복수의 전사롤러와, 상기 복수의 전사롤러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매체에 형성된 전사전압을 제전하는 복수의 제전기를 구비한 전사유니트와;
    상기 인쇄매체에 전사된 가시화상을 상기 인쇄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전사롤러는 상기 제1 및 제2상담지체 각각에 대향 배치된 제1 및 제2전사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전기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전기는 상기 제1전사롤러와 상기 제2전사롤러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 그 단부는 하기의 조건식 1을 만족하는 구간 Z1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조건식 1>
    D1 ≤ Z1 ≤ D - D3
    4.5mm ≤ D1 < D
    4.5mm ≤ D3 < D
    9.0mm < D
    여기서, 제1상담지체와 상기 제1전사롤러 사이에 형성된 제1전사닙의 중심을 N1, 상기 제2상담지체와 상기 제2전사롤러 사이에 형성된 제2전사닙의 중심을 N2라 하고, 상기 중심 N1을 원점으로 할 때,
    D1은 상기 중심 N1으로부터 상기 중심 N2 방향으로의 거리이고, D는 상기 중심 N1과 상기 중심 N2 사이의 간격이고, D3은 상기 중심 N2로부터 상기 중심 N1 방향으로의 거리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전기 각각은
    판면이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경로에 대해 실질상 수직으로 배치된 수직 제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제전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그 판면이 하기의 조건식 2를 만족하는 영역 Z2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조건식 2>
    R1 + D2 ≤ Z2 ≤ D - (R2 + D4)
    1.7mm ≤ D2 < D
    1.7mm ≤ D4 < D
    여기서, R1은 상기 제1전사롤러의 반경이고, R2는 상기 제2전사롤러의 반경이며, D2는 상기 제1전사롤러의 상기 제2전사롤러 측 외주로부터 상기 제1전사롤러의 반경방향 거리이고, D4는 제2전사롤러의 상기 제1전사롤러 측 외주로부터 상기 제2전사롤러의 반경방향 거리이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전기 각각은
    판면이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경로에 마주하게 배치된 수평 제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담지체와 상기 복수의 전사롤러 사이를 통과하며 상기 인쇄매체를 이송하는 전사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유니트는,
    상기 복수의 전사롤러 중 인쇄매체의 진행방향 상의 최하류에 배치된 전사롤러와 상기 정착유니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매체에 형성된 전사전압을 제전시키는 보조 제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전기의 단부는,
    하기의 조건식 3을 만족하는 구간 Z3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조건식 3>
    D5 ≤ Z3 < DF
    4.5mm ≤ D5 < DF
    여기서, 상기 정착유니트에 인접하는 상담지체와 전사롤러 사이에 형성된 전사닙의 중심 N3을 원점으로 할 때, D5는 상기 중심 N3로부터 상기 정착유니트의 정착닙의 중심 NF 방향으로의 인쇄매체 이송경로 상의 거리이고, DF는 상기 중심 N3로부터 상기 중심 NF까지의 인쇄매체 이송경로 상의 거리이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전기는 판면이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경로에 대해 실질상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판면이 하기의 조건식 4를 만족하는 영역 Z4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조건식 4>
    R3 + D6 ≤ Z4 ≤ DF - R4
    1.7mm ≤ D6 < DF
    여기서, R3은 상기 정착유니트에 인접하는 전사롤러의 반경이며, D6은 상기 정착유니트에 인접하는 전사롤러의 상기 정착유니트 측 외주로부터 상기 전사롤러의 반경방향 거리이고, R4는 상기 정착유니트의 가압롤러의 반경이다.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전기는 판면이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경로에 마주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80080495A 2008-08-18 2008-08-18 화상형성장치 KR101219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495A KR101219424B1 (ko) 2008-08-18 2008-08-18 화상형성장치
US12/507,957 US8160483B2 (en) 2008-08-18 2009-07-23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can prevent inferior image quality due to current leak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495A KR101219424B1 (ko) 2008-08-18 2008-08-18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857A KR20100021857A (ko) 2010-02-26
KR101219424B1 true KR101219424B1 (ko) 2013-01-11

Family

ID=41681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495A KR101219424B1 (ko) 2008-08-18 2008-08-18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60483B2 (ko)
KR (1) KR1012194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95544B2 (ja) * 2014-09-30 2018-09-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5658A (ja) 2002-02-28 2003-09-10 Mitsubishi Chemicals Corp タンデム型カラー画像形成装置用感光体ドラムとその配設方法およびタンデム型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6062794A (ja) 2004-08-25 2006-03-09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記録方法及び画像記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5202B2 (ja) 1997-04-10 2004-11-0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2072614A (ja) * 2000-09-04 2002-03-12 Oki Data Corp 画像記録装置
JP4467971B2 (ja) * 2003-12-24 2010-05-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5250254A (ja) * 2004-03-05 2005-09-1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5338627A (ja) 2004-05-28 2005-12-08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2006243086A (ja) 2005-03-01 2006-09-14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5658A (ja) 2002-02-28 2003-09-10 Mitsubishi Chemicals Corp タンデム型カラー画像形成装置用感光体ドラムとその配設方法およびタンデム型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6062794A (ja) 2004-08-25 2006-03-09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記録方法及び画像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40396A1 (en) 2010-02-18
US8160483B2 (en) 2012-04-17
KR20100021857A (ko) 201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2391B2 (ja) 画像形成装置
EP2463724B1 (en) 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EP1887441A2 (en) Line hea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9128481A (ja) 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50908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guide unit, transport unit used therein
US5740508A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oner scattering prevention
JP5967060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219424B1 (ko) 화상형성장치
US7050742B2 (en) Hard imaging apparatus charging devices and hard imaging device charging methods
US775643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an imaging member
KR20130030106A (ko)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
US5394226A (en) Method for reducing high quality electrophotographic images
US691777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275299B2 (en) Transfer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US20070172249A1 (en) Cleaning patch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8041263B2 (en) Charging device
JP2014071264A (ja) 転写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4258200A (ja) 画像形成装置
US800540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charge removal member
JP5422339B2 (ja) 画像形成装置
US7761042B2 (e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215103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8096894A (ja) 画像形成装置
US2007004803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3066673A (ja) 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