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102B1 - 유골분 자동 밀봉 장치 - Google Patents

유골분 자동 밀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102B1
KR101219102B1 KR1020090097869A KR20090097869A KR101219102B1 KR 101219102 B1 KR101219102 B1 KR 101219102B1 KR 1020090097869 A KR1020090097869 A KR 1020090097869A KR 20090097869 A KR20090097869 A KR 20090097869A KR 101219102 B1 KR101219102 B1 KR 101219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turntable
ashes
cap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0553A (ko
Inventor
황노연
이현수
박선화
황정진
Original Assignee
황노연
황정진
박선화
이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노연, 황정진, 박선화, 이현수 filed Critical 황노연
Priority to KR1020090097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102B1/ko
Publication of KR20110040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소화된 자동화 공정에 의해 유골분을 기밀용기에 봉입시켜 밀봉하도록 한 유골분 자동 밀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골분 자동 밀봉장치는 유골분을 유골용기에 봉입하는 유골분 자동 밀봉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골분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홀이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기 투입홀을 덮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골용기; 분리된 상태의 상기 베이스와 상기 캡을 이송하는 용기이송장치; 상기 용기이송장치로부터의 상기 베이스에 상기 유골분을 투입하고, 상기 캡을 상기 베이스에 접합하는 밀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밀봉장치는, 메인테이블; 상기 메인테이블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가 안착되는 반구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스테이홈이 형성된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에 인접하게 상기 메인테이블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유골분이 저장되는 호퍼, 상기 호퍼 내의 상기 유골분을 낙하시키기 위한 진동기 및 상기 유골분을 상기 베이스의 상기 투입홀을 통해 주입하기 위한 실린더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주입장치; 상기 용기이송장치 상의 상기 베이스를 상기 스테이홈에 이송하고, 상기 유골분이 주입된 상기 베이스 상에 상기 캡을 이송하는 이송기; 및 상기 유골분이 주입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캡을 초음파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융착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골, 화장, 밀봉, 유골함

Description

유골분 자동 밀봉 장치{Pulverized Bones Automatic Packing Device}
본 발명은 유골분 자동 밀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소화된 자동화 공정에 의해 유골분을 기밀용기에 봉입시켜 밀봉하도록 한 유골분 자동 밀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장래 풍속의 변화로 인해 화장을 통한 장례의 처리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화장에 의한 장례는 시신을 화장한 후 남은 유골을 분쇄하여 납골함에 넣고 납골당 또는 납골묘 또는 가정에 모시거나, 수목장, 산골장과 같은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 중 납골당, 납골묘 또는 가정에 두는 경우 유골분을 도자기와 같은 유골함에 담아 보관하게 된다. 이러한 유골함을 이용한 유골분을 장기 보관하는 경우, 부패, 악취발생, 벌레 유인, 용기 손상에 따른 유골분 유출과 같은 문제들로 인해 보관 유지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이와 같은 문제는 종래의 유골함이 유골분이 직접 담기는 용기와 이를 덮는 형태의 뚜껑만으로 이루어져 있어, 뚜껑과 용기와의 기밀한 밀폐가 어려우며, 별도의 내부 밀봉용 용기를 마련하지 않아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유골분을 일정량씩 수납하여 유골 함 내에 수용할 수 있는 형태의 유골 밀봉 수단이 많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일례로 한국등록특허 제10-0827926호(등록일 : 2008년 4월 29일)인 "유골 밀봉 포장장치(이하 "인용문헌"이라 함)"의 경우, 꼬깔 형태의 유골분 용기와 이에 열 접합되는 뚜껑 형태의 밀봉용 용기와, 이 밀봉용 용기에 유골분을 투입하여 밀봉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인용문헌의 경우 유골분을 자동으로 별도의 밀봉용 용기에 봉입함으로써 유골을 장시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고, 유골분 포장 작업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하지만, 인용문헌에 개시된 장치의 경우 여전히 많은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인용문헌의 경우 유골분이 담기는 용기가 밀봉방법으로 인해 심한 형태적 제약이 생긴다. 인용문헌은 뚜껑과 용기를 열접합에 의해 밀봉하며, 이를 위해 가열부가 접촉되는 접합부가 용기와 뚜껑에 마련되어야 하며, 밀봉 후에도 접합부의 형태가 유지되는 단점이 있다. 때문에 인용문헌의 유골용기의 자유로운 디자인 적용이 어려우며, 미적인 부분에서 품질이 저하될 우려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인용문헌의 경우 원형 테이블에 8곳의 용기 안착부를 마련하고 대략 7개의 과정을 진행하여 유골분을 봉입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용기공급, 유골투입, 청소, 뚜껑 공급, 뚜껑 결합, 뚜껑 접합 및 배출의 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를 위해 테이블을 중심에 두고 상기 과정을 수행하는 장치들이 테이블의 주변에 배치되게 된다. 이러한 인용문헌에 개시된 장치의 경우 7개의 공정을 수행하는 장치들이 긴밀하게 배치됨으로 인해, 기계적 복잡도가 증가하며, 이로 인해 밀봉 장치의 가격 상승 및 유지, 관리에 소요되는 노력과 경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때문에 본 발명의 목적은 간소화된 자동화 공정에 의해 유골분을 기밀용기에 봉입시켜 밀봉하도록 한 유골분 자동 밀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초음파 접합을 이용하여 접합부가 불필요하며, 밀봉된 기밀용기의 모양이 구슬 모양이 되도록 하여, 기밀용기의 미관을 좋게 한 기밀용기를 이용하는 자동 밀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골분 자동 밀봉장치는 유골분을 유골용기에 봉입하는 유골분 자동 밀봉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골분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홀이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기 투입홀을 덮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골용기; 분리된 상태의 상기 베이스와 상기 캡을 이송하는 용기이송장치; 상기 용기이송장치로부터의 상기 베이스에 상기 유골분을 투입하고, 상기 캡을 상기 베이스에 접합하는 밀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밀봉장치는, 메인테이블; 상기 메인테이블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가 안착되는 반구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스테이홈이 형성된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에 인접하게 상기 메인테이블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유골분이 저장되는 호퍼, 상기 호퍼 내의 상기 유골분을 낙하시키기 위한 진동기 및 상기 유골분을 상기 베이스의 상기 투입홀을 통해 주입하기 위한 실린더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주입장치; 상기 용기이송장치 상의 상기 베이스를 상기 스테이홈에 이송하고, 상기 유골분이 주입된 상기 베이스 상에 상기 캡을 이송하는 이송기; 및 상기 유골분이 주입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캡을 초음파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융착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테이홈의 바닥에는 상기 바닥으로부터 상기 턴테이블의 배면으로 관통되는 배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턴테이블의 상기 배면에는 상기 스테이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출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배출장치는, 상기 턴테이블의 배면에 결합되는 힌지, 일측 종단이 상기 힌지를 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힌지와 결합되는 제1가압체, 상기 배출홀 방향으로 기립되도록 상기 제1가압체의 타측 종단에 결합되며, 상기 배출홀에 비해 작은 외경을 가지는 제2가압체, 및 상기 제1가압체와 상기 턴테이블의 배면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제1가압체가 상기 배면으로부터 일정거리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테이홈의 바닥에는 상기 바닥으로부터 상기 턴테이블의 배면으로 관통되는 배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턴테이블의 상기 배면에는 상기 스테이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출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배출장치는, 곡면을 가지는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평면인 상면이 상기 턴테이블의 하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1가압체, 상기 제1가압체의 상기 상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신장되어 형성되는 제2가압체, 상기 제2가압체가 관통되는 캡홀이 형성되며, 상기 턴테이블의 하면에 설치되는 가이드캡, 상기 가이드캡과 상기 턴테이블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가압체 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가드 및 상기 가드와 상기 턴테이블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가압체의 종단에 끼워지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턴테이블에는 4개의 상기 스테이홈이 형성되고, 상기 턴테이블은 1회에 90도 간격으로 회전하여, 상기 스테이홈에 상기 베이스가 안착되는 제1위치, 상기 턴테이블이 상기 제1위치로부터 90도 회전하고, 상기 베이스에 상기 유골분이 주입되는 제2위치, 상기 턴테이블이 상기 제2위치로부터 90도 회전하고, 상기 유골분이 주입된 상기 베이스 상에 상기 캡이 결합되는 제3위치, 상기 턴테이블이 상기 제3위치로부터 90도 회전하고, 상기 캡이 상기 융착장치에 의해 상기 베이스에 접합되는 제4위치 및 상기 턴테이블이 상기 제4위치로부터 90도 회전하여 상기 제1위치로 복귀한다.
상기 배출장치는 상기 제4위치와 상기 제1위치 사이의 위치에 상기 턴테이블의 상기 배면과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롤러와, 상기 턴테이블을 사이에 두고 상기 롤러와 대면하는 위치에 상기 턴테이블의 상면과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배출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배출장치의 상기 제1가압체는 상기 턴테이블이 상기 제4위치로부터 상기 제1위치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롤러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일단이 상기 배면에 인접한 위치로 상승되며, 상기 제2가압체는 상기 배출홀을 관통하여 상기 턴테이블의 상면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이송기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캡을 상기 용기이송장치로부터 상기 턴테이블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암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송기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캡을 동시에 각각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3위치로 이송한다.
상기 베이스는 반구형의 하부 베이스와 상기 투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베이스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상기 하부 베이스와 결합되는 상부 베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캡은 반구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베이스와의 접합부위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접합산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유골분 자동 밀봉장치는 간소화된 자동화 공정에 의해 유골분을 기밀용기에 봉입시켜 밀봉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골분 자동 밀봉장치는 초음파 접합을 이용하여 접합부가 불필요하며, 밀봉된 기밀용기의 모양이 구슬 모양이 되도록 하여, 기밀용기의 미관을 좋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 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이용된 참조도면은 실제 장치의 모습을 모사한 도면이 아닌, 개념의 이해를 위한 최소한의 사항만 도시한 예시도로써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골분 자동 밀봉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유골분 자동 밀봉장치에 대한 평면 배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골용기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골분 자동 밀봉장치는 유골용기(101), 용기이송장치(110)와 밀봉장치(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중 용기이송장치(110)는 용기(101)를 이송하기 위한 용기이송트레이(10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밀봉장치는 턴테이블(130), 이송기(159), 주입장치(160), 융착장치(170), 배출바(180) 및 배출장치(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유골용기(101)는 캡(102)과 베이스(103)로 구성되며, 밀봉장치(120)에 의해 유골이 주입된 후 캡(102)과 베이스(103)가 접합되어 밀봉된다. 이러한 유골용기(101)의 일례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유골용기(101)는 유골분이 투입되는 용기 역할을 하는 베이스(103)와, 유골분이 투입된 베이스(103)를 밀봉하는 뚜껑의 역할을 하는 캡(102)으로 구성된다. 베이스(103)는 유골용기(101)에 유골분이 가득 채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투입홀(111)가 형성된 구체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베이스(103)는 상부베이스(105)가 하부 베이스(106)에 비해 작은 외경을 가지는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상부베이스(105)와 하부베이스(106)의 연결부위에 단차부(108)가 형성된다. 이 단차부(108)는 캡(102)과 베이스(103)의 접합시, 캡(102)의 접합산(104)이 용융되어 접착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부베이스(105)와 하부베이스(106)는 속이 빈 반구형의 구조체로 각각 형성된 뒤 접합될 수도 있고,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캡(102)은 베이스(103)에 유골분이 투입된 후 상부베이스(105)를 덮도록 베이스(103)에 결합되고, 융착장치(170)에 의해 베이스(103)와 결합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캡(102)과 베이스(103)를 초음파 접합방법을 이용하여 접합하며, 이를 위해 캡(102)의 접합부(109)에는 접합산(104)이 형성된다. 이 접합산(104)은 캡(102)의 두께보다 얇고 날카롭게 형성되어, 캡(102)의 접합부(109)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융착시 초음파의 집중에 의해 용융되어 베이스(103)의 단차부(108)에 접착되게 된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예의 유골용기(101)는 캡(102)과 베이스(103)가 접합되는 경우 구슬과 같은 구체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유골용기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되며, 다양한 색, 모양, 투명도를 갖도록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아울러, 도 3에 도시된 유골용기는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유골용기(101)는 용기이송트레이(107)에 의해 밀봉장치(120) 인근으로 이송되며, 이송기(159)의 제1 및 제2 암(140, 150)에 의해 밀봉장치(120)의 턴테이블(130)에 옮겨지게 된다.
용기이송장치(107)는 분리되어 있는 유골용기(101)인 캡(102)과 베이스(103)를 밀봉장치(120)의 이송기(159)가 집어올릴 수 있는 위치로 이송시킨다. 이를 위해 용기이송장치(107)는 다수의 캡(102)과 베이스(103) 쌍을 컨베이어벨트(미도시) 또는 레일에 의해 이송시킨다. 여기서, 컨베이어벨트를 용기이송장치(107)로 사용하는 경우 복수의 캡(102)과 베이스(103)가 정렬된 용기 이송 트레이(미도시)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의 용기이송장치(107)에 이송되는 캡(102)과 베이스(103)는 용기이송장치(107) 상에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교번 배치는 본 발명의 밀봉장치(120)에 구성되는 이송기(159)가 1회의 동작으로 한 쌍의 캡(102)과 베이스(103)를 집어올리기 때문에, 이를 용이하게 하도록 캡(102)과 베이스(103)를 교번하여 배치할 수 있다. 아울러, 용기이송트레이를 사용하는 경우 용이이송트레이의 공간을 두 부분으로 나누어 한 부분에는 캡(102)만을 두고, 다른 부분에는 베이스(103)만을 두되 캡(102)과 베이스(103)의 간격을 일정하게 하여 유골용기(101)를 공급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밀봉장치(120)는 용기이송장치(107)를 통해 공급되는 유골용기(101)에 유골분을 봉입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밀봉장치(120)는 턴테이블(130), 이송기(159), 주입장치(160), 융착장치(170), 배출바(180) 및 배출장치(19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들이 설치되는 메인테이블(199) 및 배출되는 용기를 수용 하기 위한 회수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밀봉장치(120)는 대략 4 단계에 의해 유골용기(101)에 유골분을 봉입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밀봉장치(120)에 의한 유골분 봉입 과정은 베이스(103) 이송 및 캡(102) 부착, 유골분 주입, 캡(102) 접합 및 배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밀봉과정을 순차적으로 정리하면, 베이스(103)를 턴테이블(130) 상에 안착시키는 단계, 턴테이블(130)에 안착된 베이스(103)에 유골분을 채우는 단계, 유골분이 채워진 베이스(103) 상에 캡(102)을 덮는 단계, 캡(102)과 베이스(103)를 접합하여 밀봉하는 단계 및 밀봉된 유골용기(101)를 배출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특히, 이러한 단계들 중 베이스(103)를 턴테이블(130) 상에 안착시키는 단계와 캡(102)을 베이스(103)에 덮는 단계는 한 번의 동작에 의해 동시에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단계들은 턴테이블(130)의 회전에 의해 수행되며, 배출단계를 제외한 각 단계의 진행에 따라 턴테이블(130)이 약 90도씩 회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각 과정을 진행하는 장치들은 턴테이블(130)의 회전에 따라 각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1에서는 이러한 과정들을 순차적인 진행에 따라 도시하였으며, 실제적인 배치는 도 2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밀봉된 유골용기(101) 배출단계는 턴테이블(130)의 회전 중에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배출단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102)과 베이스(103)의 접합이 완료된 후 턴테이블(130)이 회전하는 중에 배출바(180)와 배출장치(190)에 의해 수행된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각 구성을 설명하며 좀더 상세히 하기로 한다.
턴테이블(130)은 유골용기(101) 내에 유골분이 봉입되는 과정이 이루어지는 작업대의 역할을 한다. 이 턴테이블(130)은 베이스(103)가 안착되는 스테이홈(131)이 가장자리 부근에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4개(P1 내지 P4 위치)가 형성된다. 턴테이블(130)은 각 단계가 진행된 후 90도 단위로 회전을 하게 되고, 이를 통해 스테이홈(131)에 안착된 베이스(103)는 이후의 단계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도 2에는 화살표 A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턴테이블(130)이 회전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회전방향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턴테이블(130)은 메인테이블(199)과 같은 작업대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고, 턴테이블(130)의 외주연 부분의 메인테이블(199)에는 유골분 봉입을 위한 장치들이 배치된다. 도 2에서 턴테이블(1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 부분(또는 제1위치(P1))에 용기이송장치(107)로부터 이송기(159)에 의해 옮겨지는 베이스(103)가 처음으로 턴테이블(130)에 안착하는 위치이며, 위쪽(또는 제2위치(P2))은 턴테이블(130)에 안착된 베이스(103)에 유골분을 채워넣는 주입장치(160)가 배치된다. 또한, 도 2에서 턴테이블(130)의 우측(또는 제3위치(P3))에 베이스(103)가 위치하는 경우 이송기(159)에 의해 캡(102)이 베이스(103) 상에 올려지게 된다. 그리고, 도 2에서 턴테이블(130)의 아래측(또는 제4위치(P4))에는 캡(102)과 베이스(103)를 접합하여 밀봉하기 위한 융착기가 설치되며, 좌측 하부(또는 제5위치(P5))에는 밀봉된 유골용기(101)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바(180)가 설치된다. 아울러, 턴테이블(130)의 각 스테이홈(131) 하부 즉, 턴테이블(130)의 배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장치(190)가 각각 설치된다. 이 배출장치(190)는 도 2의 배출위치에서 스테이홈(131)의 하부에 형성되 는 배출홀(136)을 통해 유골용기(101)를 턴테이블(130)의 상면 방향으로 밀어올리는 역할을 하며, 밀어올려진 유골용기(101)는 턴테이블(130)이 회전함에 따라 배출바(180)에 의해 턴테이블(130) 밖으로 배출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후의 도면을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하기로 한다. 아울러, 도 1 및 도 2에서는 턴테이블(130)을 메인테이블(199)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조 및 턴테이블(130)의 회전을 위한 수단이 생략되어 있으며, 이는 당업자 간에 공지된 기술이므로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송기(159)는 용기이송장치(110)를 통해 이송된 캡(102)과 베이스(103)를 턴테이블(130)로 옮기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이송기(159)는 동시에 캡(102)과 베이스(103)를 각각 다른 위치로 이송시킨다. 구체적으로 이송기(159)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암(140, 15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 제1 및 제2암(140, 150)은 이송기레일(158)에 의해 용기이송장치(110)와 턴테이블(130) 사이를 왕복하게 된다. 여기서, 제1, 제2암(140, 150) 및 이송기레일(158)로 구성되는 이송기(159)는 일례로 제시된 것으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 이송기(159)는 용기이송트레이(107)에 교번하여 적재된 캡(102)과 베이스(103)를 각각 픽업하여, 턴테이블(130)의 빈 제1위치(P1)의 스테이홈(131)과 유골분이 담긴 제3위치(P3)의 베이스(103) 상에 올려놓는다. 구체적으로 제1암(140)은 베이스(103)를 용기이송트레이(107)로부터 턴테이블(130)의 스테이홈(131)으로 이송하고, 제2암(150)은 캡(102)을 유골분 투입이 이루어진 베이스(103) 상에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송기(159)의 제1 및 제2암(140, 150)은 캡(102)과 베이스(103)를 흡착 또는 집어올리기 위한 픽업부(141, 151)와, 픽업부(141, 151)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픽업실린더(142, 1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주입장치(160)는 턴테이블(130)의 스테이홈(131)에 안착된 속이 빈 베이스(103)에 유골분을 주입한다. 이를 위해 주입장치(160)는 속이 빈 베이스(103)가 이송되어 안착되는 제1위치(P1)과 캡(102)이 이송되어 베이스(103) 상에 올려지는 제3위치(P3) 사이의 제2위치(P2)에 설치된다. 주입장치(160)는 제1위치(P1)로부터 턴테이블(130)의 90도 회전에 따라 제2위치(P2)로 이송되는 베이스(103)의 투입홀(111)를 통해 일정량의 유골분을 투입하게 된다. 이러한 주입장치(160)는 유골분이 담겨 보관되는 호퍼(미도시), 호퍼 내부의 유골분을 베이스(103)에 투입하는 실린더조립체 및 호퍼 내부의 유골분을 실린더조립체에 의해 투입작업이 가능한 곳으로 모으기 위한 진동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주입장치(160)에 대해서는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융착장치(170)는 유골분이 투입된 베이스(103)와, 베이스(103) 상에 위치하는 캡(102)을 융착하여, 유골용기(101)를 밀봉한다. 이를 위해 융착장치(170)는 베이스(103) 상에 캡(102)이 올려지는 제3위치(P3)의 다음 위치인 제4위치(P4)에 배치된다. 특히, 본 발명의 융착장치(170)는 유골용기(101)에 초음파를 공급하여, 초음파에 의해 캡(102)의 접합산(104)을 용융시켜 융착하는 초음파 융착장치이다. 이 융착장치(170)는 캡(102)과 베이스(103)의 접합부(109)에 초음파 진동을 제공하고, 캡(102)의 접합산(104)이 이 초음파 진동에 의해 용융되면서 베이스(103)와 접합되어 밀봉이 이루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융착장치(170)에서 발생되는 초음파의 주파수는 수십 킬로헤르츠 수준의 주파수로 1초 내외의 짧은 시간 동안 유골용기(101)에 공급된다. 특히, 융착장치(170)는 초음파의 공급과 동시에 캡(102)과 베이스(103)를 용기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수준에서 가압하게 된다. 융착장치(170)에 의해 이루어지는 초음파 용착은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인 진동에너지로 변환하여 유골용기에 제공하는 것으로, 캡(102)과 베이스(103)의 접합면에 순간적으로 강한 마찰열을 발생시키고, 이를 통해 캡(102)과 베이스(103)의 접합면이 용해되어, 분자결합에 의한 접착이 이루어지게 한다. 특히, 초음파 접합의 경우 접합산(104)과 같이 돌출된 부위가 존재하는 경우 응력이 집중되어 대부분의 초음파 에너지가 돌출된 부위 즉, 접합산(104)에서 소모된다. 이를 통해, 접합산(104)이 캡(102) 및 베이스(103)의 다른 부분에 비해 빨리 용융되고, 이를 통해 접합부(109)에 용융층이 쉽고 빠르게 형성되며, 초음파에 의해 용융층의 확산이 이루어짐으로써 분자단위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이 과정에서 융착장치(170)에 의해 캡(102)과 베이스(103)가 가압되어 접촉됨으로써 빠른 용융의 발생과 함께 긴밀한 접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초음파 접합의 경우 가열 접합에 비해 짧은 시간에 수행이 가능하며, 가열에 의한 용기의 형태 및 색상 변화가 적고, 별도의 접합부를 필요로하지 않으며, 접합부의 고른 접합을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배출바(180)는 배출장치(190)에 의해 스테이홈(131)으로부터 밀려나오는 접합된 유골용기(101)를 턴테이블(130) 외부로 유도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이를 위 해 배출바(180)는 제1위치(P1)와 제4위치(P4) 사이에 배치되며, 메인테이블(199)로부터 턴테이블(130) 상으로 신장되어 턴테이블(130)의 표면과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 배출바(180)는 스테이홈(131)으로부터 밀려난 후 턴테이블(130)이 회전에 따라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는 유골용기(101)의 장애물 역할을 하여, 유골용기(101)를 턴테이블(130)로부터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배출장치(190)는 융착장치(170)에 의한 밀봉이 이루어진 유골용기(101)를 스테이홈(131)으로부터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배출장치(190)는 각 스테이홈(131)에 대응되는 위치의 턴테이블(130) 하면에 설치되는 배출장치(190)와 제5위치(P5)에 설치되어, 배출장치(190)가 유골용기(101)를 밀어내도록 배출장치(190)를 가압하는 롤러(19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배출장치(190)는 턴테이블(130)의 하면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턴테이블(130)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기동하는 제1가압체(191), 제1가압체(191)의 일측 종단부에 기립되도록 설치되고, 제1가압체(191)의 상승에 따라 배출홀(136)을 관통하여 턴테이블(130)의 상면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가압체(192) 및 제1가압체(191)와 턴테이블(130)사이에 설치되어 제1가압체(191)의 일측 종단부가 턴테이블(130)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 또는 이격된 상태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19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배출장치(190)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193)에 의해 제1 내지 제4 위치(P1 내지 P4)에서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로 유지되다가, 제5위치(P4)로 이동되는 경우 롤러에 의해 제1가압체(191)가 턴테이블(130)의 하면 방향으로 상승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2가압체(192)가 배출홀(136)을 관통하여 유골용기(101)를 스테이홈(131)으로부터 밀어올리게 된다. 이러한 배출장치(190)의 동작에 대해서는 이후의 도면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밀봉장치의 이송기 및 용기이송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송기(159)는 도시된 바와 같이 용이이송장치(110)와 밀봉장치(120)의 턴테이블(130) 상부에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용기이송장치(110)를 통해 분리된 상태의 유골용기(101)가 공급되면, 이를 턴테이블(130)로 이송시키게 된다. 도 4에서는 일례로 컨베이어벨트(112)에 의해 용기이송장치(110)와 이송기(159)의 이송기레일(158)가 구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또한 용기이송장치(110)의 경우 복수의 분리된 유골용기(101)가 배열되어 컨베이어벨트(112)를 통해 이송되는 용기이송트레이(107)이 도시되어 있다.
용기이송트레이(107)는 몇 쌍의 분리된 유골용기(101)가 이송기(159)의 제1 및 제2암(140, 150)에 의해 픽업될 수 있는 형태로 배열되며, 이러한 복수의 용기이송트레이(107)가 컨베이어벨트(112)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송된다.
한편, 이송기(159)는 제1 및 제2암(140, 150), 제1 및 제2암(140, 150)이 설치되는 암블럭(155) 및 암블럭(155)을 컨베이어벨트(112)와 턴테이블(130) 사이에서 왕복시키는 이송기레일(158)이 도시되어 있다. 이송기레일(158)은 복수의 용기이송트레이(107)가 이송되어 오면, 암블럭(155)을 컨베이어벨트(112)로 이송시키고, 암블럭(155)에 설치된 제1 및 제2암(140, 150)은 용기이송트레이(107) 방향으로 하강하여 각각 베이스(103)와 캡(102)을 흡착하여 상승하게 된다. 흡착이 이루 어지면, 이송기레일(158)은 암블럭(155)을 턴테이블(130) 상부로 이송시키고, 제1 및 제2암(140, 150)은 다시 하강하여, 흡착한 베이스(103)와 캡(102)을 각각 제1위치(P1)와 제3위치(P3)에 내려놓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지속적으로 반복되며,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베이스(103)와 캡(102)을 하나의 장치로 1회의 동작을 통해 이송시킴으로써,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장치의 구동을 간소화하였다.
도 5는 주입기의 각각 다른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골분 주입기는 호퍼(161, 261), 진동기(163) 및 실린더조립체(166, 264, 2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호퍼(161, 261)는 유골분이 채워지며, 호퍼(161, 261)에 채워진 유골분은 실린더조립체(166, 264, 266)에 의해 베이스(103)에 투입된다. 이러한 호퍼(161, 261)는 상부가 개구되거나, 상부에 뚜껑을 가지며, 상부의 직경에 비해 하부의 직경이 좁은 깔대기, 원통형 형상으로 형상된다. 호퍼(161, 261)의 외부표면에는 유골분을 진동에 의해 낙하시키기 위한 진동기(163)가 설치되며, 실린더조립체(166, 264, 266)는 호퍼(161, 26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진동기(163)는 호퍼(161, 261)에 진동을 가하여, 유골분이 배출구(162) 부근에 모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실린더조립체(166, 264, 266)는 호퍼(161, 261)에 담겨진 유골분을 일정량씩 베이스(103)에 투입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실린더조립체(166, 264, 266)는 호퍼(161, 261)의 배출구(162)에 직접 설치되거나, 배출구(162)와 연결되어 설치되 며, 실린더(165)와 피스톤(167)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하나의 실린더조립체(166)가 호퍼(161) 내부에 직접 설치된 경우의 예이며, 도 5b는 두 개의 실린더조립체(264, 266)를 가지며, 호퍼(261)의 외부에 설치된 경우예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5a의 경우 호퍼(161)의 배출구(162)가 실린더조립체(166)의 실린더(165)와 직접 연결되어, 베이스(103)로 유골분을 투입하는 투입구로 이용된다. 이 실린더(165)에는 피스톤(167)이 결합되며, 피스톤(167) 수직 상승 및 하강을 통해 일정량의 유골분(103)을 베이스(103)에 투입하게 된다. 진동기(163)는 피스톤(167)의 수직 상승에 따른 공간에 진동에 의해 유골분을 낙하시켜, 빈 공간을 채우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5b의 경우 제1실린더(265) 및 제1피스톤(267)을 가지는 제1실린더조립체(264)와 제2실린더(268) 및 제2 피스톤(269)을 가지는 제2실린더조립체(2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b의 주입장치(260)는 배출구(162)에 제1실린더 조립체(264)가 연결되어 유골분을 일정량씩 수평이동 시켜 제2실린더조립체(266)에 공급하고, 제2실린더조립체(266)의 수직운동에 따라 제1실린더조립체(264)에 의해 제공받은 유골분이 베이스(103)에 투입되게 된다. 이를 위해 제1실린더조립체(264)와 제2실린더조립체(266)는 피스톤(267, 269)의 운동방향이 교차되어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도 6은 융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융착장치(170)는 초음파혼(171), 초음파 공급장치(173), 엘리베이터(175) 및 고정블럭(17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초음파혼(171)은 초음파 공급장치(173)로부터 제공되는 초음파를 유골용기(101)의 캡(102)에 공급하여, 캡(102)과 베이스(103)를 접합한다. 이를 위해 초음파혼(171)은 엘리베이터(175)에 의해 유골용기(101) 방향으로 하강하여 접합 전의 유골용기(101)를 가압함과 아울러, 초음파를 공급하여 유골용기(101)를 접합한다. 접합이 이루어지면, 초음파혼(171)은 엘리베이터(175)에 의해 다시 상승하게 된다.
초음파 공급장치(173)는 유골용기(101)의 접합을 위한 초음파를 발생하여 도선(172)을 통해 초음파혼(171)에 공급한다.
엘리베이터(175)는 초음파혼(171)을 수직 상승 및 하강시킴과 아울러, 고정블럭(176)에 결합시킨다. 이 엘리베이터(175)는 실린더와 피스톤을 가지는 실린더 블록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고정블럭(176)은 엘리베이터(175) 및 초음파혼(17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일단은 엘리베이터(175)에 결합되고, 타단은 메인테이블(199)에 결합된다.
도 7은 배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밀봉장치(120)에 구성되는 배출장치(190)는 턴테이블(130)의 각 스테이홈(131)에 대응되도록 턴테이블(130)의 하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배출장치(190)는 메인테이블(199)과 같이 턴테이블(130) 과 구분되어 설치되는 롤러(195)를 포함한다. 이 배출장치는 턴테이블(130)이 제1 내지 제4위치(P1 내지 P4)를 지나가는 동안에는 도 7의 (a)와 같이 턴테이블(130) 하면으로부터 수직방향 아래로 내려가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는 제1가압체(191)와 턴테이블(130)의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체(193)에 의해 가해지는 탄성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탄성체(193)는 스프링을 통해 용이하게 구현이 가능하며, 토션스프링, 압축스프링을 이용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하거나, 스프링의 위치를 바꾸어 인장스프링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배출장치(190)는 각 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턴테이블(130)이 회전하여 제1위치(P1)로부터 제2, 제3 및 제4위치(P2 내지 P4)를 지나 제5위치(P5)를 지나가게 된다. 이때, 제1가압체(191)가 롤러(195)와 접촉하면서 제1가압체(191)는 수직방향의 위쪽인 턴테이블(130) 하면에 근접한 위치로 롤러(195)에 의해 가압된다. 이러한 형태가 도 7의 (b)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제1가압체(191)는 힌지(194)를 축으로 하여 가동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탄성체(193)는 롤러(195)의 가압에 의해 압축되어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제1가압체(191)가 상승함에 따라, 제1가압체(191)의 종단부에 결합된 제2가압체(192)가 배출홀(136)을 통해 상승하여 유골용기(101)를 밀어올리게 된다. 밀어올려진 유골용기(101)는 배출바(180)에 의해 턴테이블(130) 밖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후, 턴테이블(130)이 계속회전하면 배출장치(190)는 롤러(195)를 지나가게 되며, 다시 도 7의(a)와 같은 상태로 복귀되어 유지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장치(390)는 턴테이블(130)의 각 스테이홈(131)에 대응되도록 턴테이블(130)의 하면에 설치되며,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제1가압체(301) 및 제2가압체(302)가 연직방향으로 가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장치(390)도 전술한 배출장치(190)와 마찬가지로 메인테이블(199)에 구분되어 설치되는 롤러(19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배출장치(390)도 턴테이블(130)이 제1 내지 제4위치(P1 내지 P4)를지나가는 동안에는 도 8의 (a)와 같이 턴테이블(130)의 하면으로부터 수직방향 아래로 내려가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의 유지 및 하강에 의한 복귀는 제1 및 제2가압체(301, 302)의 자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더욱 정확한 동작을 위해 탄성체(303)가 부가되어 구성되며, 이 탄성체(303)에 의해 하강상태 유지 및 복귀가 정확히 이루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의 배출장치(390)는 전술한 배출장치(190)와 비교하여, 롤러(195)에 의해 지정된 위치에서 상승 및 하강이 이루어지는 점은 유사하지만, 가압체(301, 302)의 형태가 다르고, 그에 따른 고정방법에 차이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압체(301)는 반구형 블럭으로 형성되며, 곡면(307)이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 제1가압체(301)의 곡면(307)는 후에 롤러(195)와 접촉하여 제1 및 제2가압체(301, 302)를 연직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시키게 된다. 아울러, 제1가압체(301)의 상면(308) 중앙에는 제2가압 체(302)가 기립되도록 제1가압체(301)의 상면(308)으로부터 연직방향으로 신장되어 형성된다. 이 제2가압체(302)는 제1가압체(301)의 상승에 따라 상승하여, 유골용기(101)를 스테이홈(131)으로부터 밀어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2가압체(302)는 가이드캡(304)의 캡홀(305)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아울러, 제2가압체(302)의 표면에는 가드(306)가 형성된다. 이 가드(306)는 제2가압체(302)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도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가드(306)는 가이드캡(304)과 턴테이블(130)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2가압체(302)에 결합되며, 제1 및 제2가압체(301, 302)의 과도한 하강을 방지함과 아울러 탄성체(303)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여, 탄성체(303)에 의해 제1 및 제2가압체(301, 302)가 하강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캡(304)은 턴테이블(130)의 하면에 설치되며, 제2가압체(302)가 관통하는 캡홀(305)이 형성된다. 이 캡홀(305)은 배출홀(136)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제2가압체(302)의 연직방향 이동을 보조함과 아울러, 제1 및 제2가압체(301, 302)를 턴테이블(130)의 하면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8에는 U자 형태의 가이드캡(304)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탄성체(303)는 가드(306)와 턴테이블(130)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도록 제2가압체(302)의 종단에 끼워진다.
본 실시예의 배출장치(390)는 턴테이블(130)이 회전하여 제5위치(P5)를 지나감에 따라 롤러(195)에 의해 제1가압체(301)가 상승하고, 그에 따라 제2가압체(302)가 캡홀(305) 및 배출홀(136)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유골용기(101)를 밀어 올리게 된다. 스테이홈(131)으로부터 밀려난 유골용기(101)는 배출바(180)에 의해 턴테이블 밖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후, 턴테이블(130)이 계획회전하여 롤러(195)를 지나가게 되면 제1 및 제2가압체(301, 302)는 하강하여 다시 도 8의 (a)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골분 자동 밀봉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유골분 자동 밀봉장치에 대한 평면 배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유골용기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밀봉장치의 이송기 및 용기이송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주입기의 각각 다른 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융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예시도.
도 7은 배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유골용기 102 : 캡
103 : 베이스 110 : 용기이송장치
120 : 밀봉장치 130 : 턴테이블
140 : 제1암 150 : 제2암
160 : 주입장치 170 : 융착장치

Claims (7)

  1. 유골분을 유골용기에 봉입하는 유골분 자동 밀봉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골분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홀이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기 투입홀을 덮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골용기;
    분리된 상태의 상기 베이스와 상기 캡을 이송하는 용기이송장치;
    상기 용기이송장치로부터의 상기 베이스에 상기 유골분을 투입하고, 상기 캡을 상기 베이스에 접합하는 밀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밀봉장치는,
    메인테이블;
    상기 메인테이블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가 안착되는 반구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스테이홈이 형성된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에 인접하게 상기 메인테이블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유골분이 저장되는 호퍼, 상기 호퍼 내의 상기 유골분을 낙하시키기 위한 진동기 및 상기 유골분을 상기 베이스의 상기 투입홀을 통해 주입하기 위한 실린더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주입장치;
    상기 용기이송장치 상의 상기 베이스를 상기 스테이홈에 이송하고, 상기 유골분이 주입된 상기 베이스 상에 상기 캡을 이송하는 이송기; 및
    상기 유골분이 주입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캡을 초음파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융착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분 자동 밀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홈의 바닥에는 상기 바닥으로부터 상기 턴테이블의 배면으로 관통되는 배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턴테이블의 상기 배면에는 상기 스테이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출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배출장치는,
    상기 턴테이블의 배면에 결합되는 힌지,
    일측 종단이 상기 힌지를 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힌지와 결합되는 제1가압체,
    상기 배출홀 방향으로 기립되도록 상기 제1가압체의 타측 종단에 결합되며, 상기 배출홀에 비해 작은 외경을 가지는 제2가압체, 및
    상기 제1가압체와 상기 턴테이블의 배면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제1가압체가 상기 배면으로부터 일정거리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분 자동 밀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홈의 바닥에는 상기 바닥으로부터 상기 턴테이블의 배면으로 관 통되는 배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턴테이블의 상기 배면에는 상기 스테이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출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배출장치는,
    곡면을 가지는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평면인 상면이 상기 턴테이블의 하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1가압체,
    상기 제1가압체의 상기 상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신장되어 형성되는 제2가압체,
    상기 제2가압체가 관통되는 캡홀이 형성되며, 상기 턴테이블의 하면에 설치되는 가이드캡,
    상기 가이드캡과 상기 턴테이블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가압체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가드 및
    상기 가드와 상기 턴테이블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가압체의 종단에 끼워지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분 자동 밀봉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에는 4개의 상기 스테이홈이 형성되고,
    상기 턴테이블은 1회에 90도 간격으로 회전하여,
    상기 스테이홈에 상기 베이스가 안착되는 제1위치,
    상기 턴테이블이 상기 제1위치로부터 90도 회전하고, 상기 베이스에 상기 유골분이 주입되는 제2위치,
    상기 턴테이블이 상기 제2위치로부터 90도 회전하고, 상기 유골분이 주입된 상기 베이스 상에 상기 캡이 결합되는 제3위치,
    상기 턴테이블이 상기 제3위치로부터 90도 회전하고, 상기 캡이 상기 융착장치에 의해 상기 베이스에 접합되는 제4위치 및
    상기 턴테이블이 상기 제4위치로부터 90도 회전하여 상기 제1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분 자동 밀봉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장치는 상기 제4위치와 상기 제1위치 사이의 위치에 상기 턴테이블의 상기 배면과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롤러와,
    상기 턴테이블을 사이에 두고 상기 롤러와 대면하는 위치에 상기 턴테이블의 상면과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배출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배출장치의 상기 제1가압체는 상기 턴테이블이 상기 제4위치로부터 상기 제1위치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롤러에 의해 가압되어 일단이 상기 배면에 인접한 위치로 상승되며,
    상기 제2가압체는 상기 배출홀을 관통하여 상기 턴테이블의 상면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분 자동 밀봉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기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캡을 상기 용기이송장치로부터 상기 턴테이블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암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송기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캡을 동시에 각각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3위치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분 자동 밀봉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반구형의 하부 베이스와
    상기 투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베이스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상기 하부 베이스와 결합되는 상부 베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캡은 반구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베이스와의 접합부위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접합산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분 자동 밀봉장치.
KR1020090097869A 2009-10-14 2009-10-14 유골분 자동 밀봉 장치 KR101219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869A KR101219102B1 (ko) 2009-10-14 2009-10-14 유골분 자동 밀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869A KR101219102B1 (ko) 2009-10-14 2009-10-14 유골분 자동 밀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553A KR20110040553A (ko) 2011-04-20
KR101219102B1 true KR101219102B1 (ko) 2013-01-11

Family

ID=44046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869A KR101219102B1 (ko) 2009-10-14 2009-10-14 유골분 자동 밀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1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700U (ko) * 1997-01-21 1998-10-15 김창중 컵형용기내에 약품을 포장하는 장치
KR20030000809A (ko) * 2001-06-27 2003-01-06 박민정 유골함 및 유골함 밀폐방법
KR20030015665A (ko) * 2001-08-17 2003-02-25 이용혁 납골함 밀봉방법
KR100827926B1 (ko) 2008-02-22 2008-05-07 박진신 유골 밀봉 포장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700U (ko) * 1997-01-21 1998-10-15 김창중 컵형용기내에 약품을 포장하는 장치
KR20030000809A (ko) * 2001-06-27 2003-01-06 박민정 유골함 및 유골함 밀폐방법
KR20030015665A (ko) * 2001-08-17 2003-02-25 이용혁 납골함 밀봉방법
KR100827926B1 (ko) 2008-02-22 2008-05-07 박진신 유골 밀봉 포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553A (ko)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3657B1 (ko) 음료제조장치용 용기 공급 및 포장장치
CN104259852B (zh) 瓶盖组装装置及瓶盖组装方法
KR101759315B1 (ko) 연속 로터리식 충전 포장 기계
CN113399204B (zh) 一种柱体与薄盖点胶机及点胶方法
CN109319715A (zh) 一种制冷剂自动化灌装生产线及其灌装方法
CN109080890A (zh) 托盘包装机
CN110654600A (zh) 电饭煲包装生产线
KR102454136B1 (ko) 반제품을 자동조립해 중앙의 메인장비에서 턴테이블 형태로 완성하는 전자담배 카트리지 시스템과 그 조립방법
US10683117B2 (en) Container sealing apparatus and sealing system
KR101219102B1 (ko) 유골분 자동 밀봉 장치
CN105377698A (zh) 填充用于萃取或浸泡饮料的一次性使用的胶囊的容纳元件的单元和方法
KR100898779B1 (ko) 용기 밀봉장치
CN206427314U (zh) 灌粉装盖生产线
CN205467353U (zh) 一种sd卡自动组装***
CN105253337A (zh) 软袋灌装机构、灌装方法和输液软袋生产线
CN110900191B (zh) 一种实验用滤瓶全自动组装设备
KR101912597B1 (ko) 화장품 제조공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485151B1 (ko) 파우치형 액체저장 용기의 스파우트 실링장치
KR20170107187A (ko) 콘텍트렌즈 포장 장치
KR101240583B1 (ko) 링거 약액백의 충전장치
KR200454534Y1 (ko) 제품용기 수납상자 이송장치
KR200142361Y1 (ko) 레이저 프린터 현상기의 조립장치
KR101554023B1 (ko) 사료포대 자동 씰링 장치
CN112550871A (zh) 一种小罐茶自动包装机
CN207694025U (zh) 一次性注射器的组装生产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