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3012B1 - 카테터 - Google Patents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3012B1
KR101213012B1 KR1020127024243A KR20127024243A KR101213012B1 KR 101213012 B1 KR101213012 B1 KR 101213012B1 KR 1020127024243 A KR1020127024243 A KR 1020127024243A KR 20127024243 A KR20127024243 A KR 20127024243A KR 101213012 B1 KR101213012 B1 KR 101213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member
passage
catheter
tube
passage for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4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4405A (ko
Inventor
겐지 모리
Original Assignee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4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4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4Tip steering devices having flexible regions as a result of inner reinforcement means, e.g. struts or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61M2025/004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characterized by lumina being arranged circumferenti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025/0059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the catheter, sheath or lumens from collapsing due to outer forces, e.g. compressing forces, or caused by twisting or kin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61M2025/015Details of the distal fixation of the movable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카테터는, 원위측의 관상 부재 (4) 및 근위측의 관상 부재 (5) 가 연결된 고리형 구조를 갖는다. 관상 부재 (4) 의 내부에 있어서, 관상 부재 (4) 의 외주측에 조작용 와이어가 삽입 통과되는 튜브 (41, 42) 가 형성되어 있다. 또, 관상 부재 (5) 의 내부에 있어서, 관상 부재 (5) 의 단면 중심 부분에 조작용 와이어가 삽입 통과되는 내통 (5b) 이 형성되어 있다. 중간 부재 (100) 는, 튜브 (41, 42) 와 내통 (5b)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중간 부재 (100) 에 형성되어 있는 통로 (112) 에 의해, 튜브 (41) 와 내통 (5b) 이 접속되어 있다. 또, 중간 부재 (100) 에 형성되어 있는 통로 (114) 에 의해, 튜브 (42) 와 내통 (5b) 이 접속되어 있다. 통로 (112) 및 통로 (114) 는, 모두 내통 (5b) 측으로부터 튜브 (41, 42) 측을 향하여 관상 부재 (5) 의 외주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Description

카테터{CATHETER}
본 발명은,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체외에 배치되는 근위단 (近位端) 측의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체강 내에 삽입된 원위단 (遠位端) 근방의 방향을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혈관을 통해 심장의 내부까지 삽입되는 전극 카테터 등의 카테터에서는, 체내에 삽입된 카테터의 원위단 (선단) 의 방향이, 체외에 배치되는 카테터의 근위단 (기단 또는 가까운측) 에 장착된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편향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45766호
종래의 카테터에서는, 판스프링으로부터 그대로 조작용 와이어가 기단측 (근위측) 으로 잡아늘려져 있기 때문에, 조작부를 조작했을 때에, 조작용 와이어의 위치에 따라서는 카테터가 선단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예를 들어, 카테터의 중간 정도부터) 구부러지기 시작하는 등, 카테터 조작에 있어서의 조작감이 저하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카테터의 원위단 근방의 방향을 바꾸는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어느 양태는 카테터이다. 가요성을 갖는 관상 부재와, 관상 부재의 근위측의 내부에 있어서, 관상 부재의 단면 중심 부분에 관상 부재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공 구조의 항압축성 부재와, 관상 부재의 원위측의 내부에 있어서, 관상 부재의 단면 중심 부분으로부터 외주에 가까운 부분에 관상 부재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튜브부와, 항압축성 부재와, 튜브부 사이에 형성되고, 항압축성 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와 튜브부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를 접속하는 통로가 형성된 중간 부재와, 항압축성 부재에 형성된 통로, 중간 부재에 형성된 통로 및 튜브부에 형성된 통로에 삽입 통과된, 원위단의 방향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용 와이어를 구비하고, 중간 부재에 형성된 통로는, 항압축성 부재측으로부터 튜브부측을 향하여, 관상 부재의 외주에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양태에 의하면, 카테터의 근위측에 있어서는, 조작용 와이어가 카테터의 중심 부분을 따라 삽입 통과되고, 카테터의 원위측에 있어서는, 조작용 와이어가 카테터의 외주측을 따라 삽입 통과된다. 이로써,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이 카테터의 외주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원위단 와이어를 인장 조작했을 때에, 카테터의 원위단에 가해지는 토크를 증대시킬 수 있음과 함께, 카테터가 전체적으로 구부러지는 등의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카테터의 원위단 부분이 만곡되기 쉬워지고, 카테터의 원위단 근방의 커브 형상과 사용자가 원하는 커브 형상 사이에서 편차가 적어져, 사용자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양태의 카테터에 관하여, 관상 부재의 원위측의 내부에 있어서, 관상 부재의 단면 중심 부분을 사이에 두고 튜브부와는 반대측의 영역, 또한 관상 부재의 단면 중심 부분으로부터 외주에 가까운 부분에 관상 부재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른 튜브부와, 항압축성 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와 다른 튜브부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를 접속하도록 중간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다른 통로와, 항압축성 부재에 형성된 통로, 중간 부재에 형성된 다른 통로 및 다른 튜브부에 형성된 통로에 삽입 통과된, 원위단의 방향을 조작하기 위한 다른 조작용 와이어를 구비하고, 중간 부재에 형성된 다른 통로는, 항압축성 부재측으로부터 다른 튜브부측을 향하여, 관상 부재의 외주에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튜브부와 다른 튜브부 사이에 관상 부재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스프링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테터의 원위단 근방의 방향을 바꾸는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실시 형태에 관련된 카테터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2 는 실시 형태에 관련된 카테터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A-A 선 상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A-A 선 상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2 의 B-B 선 상의 단면을 향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1 의 C-C 선 상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3 의 D-D 선 상의 단면도이다.
도 8 은 도 3 의 E-E 선 상의 단면도이다.
도 9 는 카테터의 축 방향의 단면 및 카테터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을 포함하는 중간 부재의 개략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형태)
실시 형태에 관련된 카테터는, 선단 편향 조작이 가능한 전극 카테터로서, 예를 들어 심장에 있어서의 부정맥의 진단 또는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 은, 실시 형태 1 에 관련된 카테터의 개략 측면도이고, 도 2 는, 실시 형태 1 에 관련된 카테터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A-A 선 상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A´-A´ 선 상의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도 3 및 도 4 에서는, 후술하는 조작용 와이어 (50a, 50b) 가 생략되어 있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 1 에 관련된 카테터 (2) 는, 관상 부재 (4), 관상 부재 (5), 핸들 (6), 선단 칩 전극 (10), 및 복수의 링상 전극 (12a ~ 12k) (이하, 적절히, 링상 전극 (12a ~ 12k) 을 총칭하여 「링상 전극 (12)」 이라고 한다) 을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의 카테터 (2) 는, 원위측에 형성된 관상 부재 (4) 와 근위측에 형성된 관상 부재 (5) 가 연속된 관상 구조 (관상 부재) 를 갖는다.
카테터 (2) 는, 관상 부재 (4) 의 원위단부에 선단 칩 전극 (10) 및 링상 전극 (12) 을 갖는다. 선단 칩 전극 (10) 은, 예를 들어 접착제나 용융 접합 등에 의해 관상 부재 (4) 에 고정되어 있다. 또, 링상 전극 (12a ~ 12k) 은, 접착, 코킹 등에 의해 관상 부재 (4) 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링상 전극 (12) 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관상 부재 (4) 에 삽입 통과 가능한 도선의 수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관상 부재 (5) 의 근위단에는, 핸들 (6) 이 장착되어 있다. 또, 핸들 (6) 에는 관상 부재 (4) 의 선단부의 편향 조작 (스윙 조작) 을 실시하기 위한 노브 (7) 가 장착되어 있다. 핸들 (6) 과 노브 (7) 로 조작부를 구성하고 있다.
관상 부재 (4) 는,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싱글 루멘 구조를 갖는 외통 (4a) 과, 외통 (4a) 의 루멘 내에 형성된, 수용 공간 (20) 을 갖는 내통 (4b) 으로 이루어진다. 내통 (4b) 은, 외통 (4a) 의 원위단으로부터의 소정 영역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외통 (4a) 의 내주면과 내통 (4b) 의 외주면은 서로 밀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외통 (4a) 과 내통 (4b) 의 고정에는, 접착, 용착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용 공간 (20) 에는 판스프링과 복수의 통로 (도 3 에서는, 통로 (31, 32) (튜브 (41, 42)) 만이 도시되어 있다) 가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 참조). 관상 부재 (4) 는, 원위단 근방의 유연성이 상대적으로 높고, 근위단 근방의 유연성이 상대적으로 낮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관상 부재 (4) 는, 원위단측에 배치된 쇼어 D 경도 20 ~ 63 의 부재 Ⅰ 과, 부재 Ⅰ 의 근위단측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쇼어 D 경도가 45 ~ 72 이며 또한 부재 Ⅰ 보다 유연성이 낮은 부재 Ⅱ 와, 부재 Ⅱ 의 근위단측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쇼어 D 경도가 55 ~ 80 이며 또한 부재 Ⅱ 보다 유연성이 낮은 부재 Ⅲ 이 접합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관상 부재 (4) 는, 외통 (4a) 과 내통 (4b) 이 일체로 된 구조여도 된다. 또, 관상 부재 (4) 는, 외통 (4a) 이 다층 구조여도 된다.
관상 부재 (4) 의 주요부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 수지로 구성된다. 관상 부재 (4) 의 외경은, 일반적으로 약 0.6 ~ 3 ㎜ 이며, 길이는 약 500 ~ 1200 ㎜ 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관상 부재 (4) 의 외경은 약 2.0 ㎜ , 길이는 약 1170 ㎜ 이다.
선단 칩 전극 (10) 및 링상 전극 (12) 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구리, 스테인리스, 금, 백금 등, 전기 전도성이 양호한 금속으로 구성된다. 또한, X 선에 대한 조영성을 양호하게 갖게 하기 위해서는, 선단 칩 전극 (10) 및 링상 전극 (12) 은, 백금 또는 그 합금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단 칩 전극 (10) 및 링상 전극 (12) 의 외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관상 부재 (4) 의 외경과 동일한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통상 약 0.5 ~ 3 ㎜ 이다.
도 5 는, 도 2 의 B-B 선 상의 단면을 향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1 의 C-C 선 상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카테터 (2) 는, 관상 부재 (4) 의 내부에 판스프링 (30) 과 복수의 통로 (31, 32, 33, 34, 35, 36) 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용 공간 (20) 내에 판스프링 (30) 이 수용되어 있다. 판스프링 (30) 은, 관상 부재 (4) 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판상체이고, 관상 부재 (4) 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주표면 (30a, 30b) 과 관상 부재 (4) 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측면 (30c, 30d) 을 갖는다. 또, 판스프링 (30) 은, 그 원위단이 관상 부재 (4) 의 원위단 근방까지 연장되고, 근위단이 관상 부재 (4) 의 원위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까지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판스프링 (30) 은, 관상 부재 (4) 의 축 방향을 따른 측의 단부 (30e) 및 단부 (30f) 가 관상 부재 (4) (내통 (4b)) 에 매립되도록 하여 수용 공간 (20) 내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수용 공간 (20) 이 2 개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있다. 즉, 수용 공간 (20) 은, 판스프링 (30) 의 일방의 주표면 (30a) 측의 제 1 영역 (20A) 과, 판스프링 (30) 의 타방의 주표면 (30b) 측의 제 2 영역 (20B) 으로 구획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단부 (30e) 및 단부 (30f) 가 관상 부재 (4) (내통 (4b)) 에 매립된다」 란, 판스프링 (30) 중, 관상 부재 (4) 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 (30c, 30d) 과, 양 주표면 (30a, 30b) 의 당해 측면 (30c, 30d) 과 접하는 영역이 관상 부재 (4) 에 접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판스프링 (30) 은, 축 방향 전역에 걸쳐 양 단부 (30e, 30f) 가 내통 (4b) 의 내벽과 접하고 있다. 이로써, 판스프링 (30) 이 전체 길이에 걸쳐 관상 부재 (4) 에 걸린 상태가 되기 때문에, 조작용 와이어가 조작되었을 때에 발생할 수 있는, 판스프링 (30) 의 관상 부재 (4) 에 대한 비틀림을 규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카테터 (2) 의 비틀림 강성이 높아지고, 카테터 (2) 의 만곡부에 있어서의 평면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판스프링 (30) 의 존재 범위는, 카테터 (2) 의 만곡 영역의 길이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판스프링 (30) 에 의해 구획된 제 1 영역 (20A) 및 제 2 영역 (20B) 에는, 각각 복수의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영역 (20A) 에 통로 (31, 33, 34) 가 형성되고, 제 2 영역 (20B) 에 통로 (32, 35, 36)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영역 (20A) 에 형성된 통로 (31) 및 제 2 영역 (20B) 에 형성된 통로 (32) 는, 각각 조작용 와이어 삽입 통과용 통로로서 사용된다. 또, 제 1 영역 (20A) 에 형성된 통로 (33, 34) 및 제 2 영역 (20B) 에 형성된 통로 (35, 36) 는, 핸들 (6) 로부터 연장되어 선단 칩 전극 (10) 및 링상 전극 (12)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도선을 삽입 통과하기 위한 통로로서 사용된다.
복수의 통로 (31 ~ 36) 는, 복수의 튜브 (41, 42, 43, 44, 45, 46) (튜브부) 에 의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공 구조를 갖는 복수의 튜브 (41 ~ 46) 가 수용 공간 (20) 내에 수용되어 있고, 복수의 튜브 (41 ~ 46) 의 중공 부분이 각각 통로 (31 ~ 36) 로 되어 있다. 튜브 (41, 42) 가, 각각 조작용 와이어 삽입 통과용 튜브부에 상당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튜브 (41, 42) 의 내경, 즉 통로 (31, 32) 의 직경은, 예를 들어 약 0.34 ㎜ 이고, 튜브 (43 ~ 46) 의 내경, 즉 통로 (33 ~ 36) 의 직경은, 예를 들어 약 0.45 ㎜ 이다.
도 7 은, 도 3 의 D-D 선 상의 단면도이다. 관상 부재 (5) 는, 도 3,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공 구조를 갖는 외통 (5a) 과, 외통 (5a) 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 구조를 갖는 내통 (5b) 으로 이루어진다. 관상 부재 (5) 의 외경은, 관상 부재 (4) 의 외경과 동등하고, 일반적으로 약 0.6 ~ 3 ㎜ 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관상 부재 (5) 의 외경은 약 2.0 ㎜ 이다. 또, 관상 부재 (5) 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약 600 ~ 1500 ㎜ 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관상 부재 (5) 의 길이는 약 820 ㎜ 이다.
외통 (5a) 은, 블레이드가 장착된 합성 수지로 구성된다. 외통 (5a) 을 구성하는 합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등을 들 수 있다. 외통 (5a) 의 내벽과 내통 (5b) 의 외벽으로 둘러싸인 통로 (80) 는, 후술하는 중간 부재 (100) 를 개재하여, 튜브 (43) 에 의해 형성된 통로 (33), 튜브 (44) 에 의해 형성된 통로 (34), 튜브 (45) 에 의해 형성된 통로 (35) 및 튜브 (46) 에 의해 형성된 통로 (36) 와 연통되어 있다.
내통 (5b) 은, 외통 (5a) 의 단면 중심 부분에 있어서, 외통 (5a) 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내통 (5b) 은, 고탄성률을 갖는 재료, 바꾸어 말하면 항압축성이 높은 재료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내통 (5b) 은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액정 폴리머 등의 합성 수지, SUS, NiTi 등의 초탄성 금속제 금속 파이프 또는 평각 코일과 같은 금속 코일로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통 (5b) 은 SUS 파이프이다. 내통 (5b) 의 외경 및 내경은, 각각 예를 들어 0.92 ㎜, 0.67 ㎜ 이다. 내통 (5b) 의 중공 부분인 통로 (82) 는, 후술하는 중간 부재 (100) 를 개재하여, 튜브 (41) 에 의해 형성된 통로 (31) 및 튜브 (42) 에 의해 형성된 통로 (32) 와 연통되어 있다. 또한, 내통 (5b) 은, 중공 구조를 갖는 「항압축성 부재」 의 일례이다.
도 8 은, 도 3 의 E-E 선 상의 단면도이다. 도 9 는, 카테터의 축 방향의 단면 및 카테터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을 포함하는 중간 부재 (100) 의 개략 사시도이다.
중간 부재 (100) 는, 외통 (5a) 의 원위측의 내부에 있어서, 내통 (4b) 과 내통 (5b)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중간 부재 (100) 에는, 카테터 (2) 의 대략 축 방향을 따라, 복수의 통로 (관통공) 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 부재 (100) 에는, 관상 부재 (4) 에 형성된 통로 (31) 와 내통 (5b) 내의 통로 (82) 를 접속하는 통로 (112)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중간 부재 (100) 에는, 관상 부재 (4) 에 형성된 통로 (32) 와 내통 (5b) 내의 통로 (82) 를 접속하는 통로 (114) 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통로 (112) 의 원위측의 개구, 근위측의 개구를 각각 통로 (112) 용 원위측 개구부, 통로 (112) 용 근위측 개구부라고 한다. 또, 통로 (114) 의 원위측의 개구, 근위측의 개구를 각각 통로 (114) 용 원위측 개구부, 통로 (114) 용 근위측 개구부라고 한다. 통로 (112) 용 원위측 개구부는, 관상 부재 (4) 에 형성된 통로 (31) 용 근위측의 개구와 접속되어 있다. 또, 통로 (112) 용 근위측 개구부는, 내통 (5b) 내의 통로 (82) 용 원위측의 개구와 접속되어 있다. 한편, 통로 (114) 용 원위측 개구부는, 관상 부재 (4) 에 형성된 통로 (32) 용 근위측의 개구와 접속되어 있다. 또, 통로 (114) 용 근위측 개구부는, 내통 (5b) 내의 통로 (82) 용 원위측의 개구와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중간 부재 (100) 를 개재하여, 통로 (31) 와 통로 (32) 가 모두 통로 (82) 와 접속되어 있다.
내통 (5b) 내의 통로 (82) 는, 관상 부재 (5) 의 중심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통로 (31) 와 통로 (32) 는, 판스프링 (30) 을 사이에 두고, 판스프링 (30) 의 일방측과 판스프링 (30) 의 타방측에 이간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통로 (82) 와 통로 (31) 를 연결하는 통로 (112) 의 단면 중심이 통로 (82) 측의 단부로부터 통로 (31) 측의 단부를 향하여 관상 부재 (5) 의 외주에 가까워지도록, 통로 (112) 의 축 방향이 관상 부재 (5) 의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동일하게, 통로 (82) 와 통로 (32) 를 연결하는 통로 (114) 의 단면 중심이 통로 (82) 측의 단부로부터 통로 (32) 측의 단부를 향하여 관상 부재 (5) 의 외주에 가까워지도록, 통로 (114) 의 축 방향이 관상 부재 (5) 의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이 때문에, 통로 (112) 와 통로 (114) 의 간격은, 통로 (82) 로부터 통로 (31) (또는 통로 (32)) 에 가까워짐에 따라 커지고 있다.
또, 중간 부재 (100) 에는, 외통 (5a) 의 내벽과 내통 (5b) 의 외벽으로 둘러싸인 통로 (80) 와, 관상 부재 (4) 측의 통로 (33), 통로 (34), 통로 (35), 통로 (36) 를 각각 접속하는 통로 (116), 통로 (117), 통로 (118), 통로 (119) 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로 (116), 통로 (117), 통로 (118) 및 통로 (119) 는, 각각 중간 부재 (100) 의 외벽 부분에 관상 부재 (5) 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홈과, 이 홈을 막는 관상 부재 (5) 의 내벽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로 (116), 통로 (117), 통로 (118) 및 통로 (119) 는, 각각 중간 부재 (100) 를 관상 부재 (5) 의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으로서 형성되어도 된다.
그 밖에, 중간 부재 (100) 의 근위측에는, 내통 (5b) 의 외경과 동등한 내경을 갖는 오목부 (120)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 (120) 에 내통 (5b) 의 선단 부분을 삽입함으로써, 중간 부재 (100) 와 내통 (5b) 을 고정시킬 수 있다. 통로 (112) 및 통로 (114) 의 근위측의 개구는, 카테터 (2) 의 근위측에서 보아 오목부 (120) 의 바닥에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 (120) 의 바닥에 있어서 통로 (112) 및 통로 (114) 와 통로 (82) 가 연통되어 있다.
중간 부재 (100) 를 형성하는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액정 폴리머를 들 수 있다.
조작용 와이어 (50a) 의 원위단에는, 튜브 (41) 내에 위치하는 조작용 와이어 (50a) 보다 직경이 큰 부분 구상의 앵커 (도시하지 않음) 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용 와이어 (50b) 의 원위단에도 동일하게, 튜브 (42) 내에 위치하는 조작용 와이어 (50b) 보다 직경이 큰 부분 구상의 앵커 (도시하지 않음) 가 형성되어 있다. 선단 칩 전극 (10) 의 내측에는 오목부 (도시하지 않음)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에 땜납 (도시하지 않음) 이 충전되어 있다. 조작용 와이어 (50a), 조작용 와이어 (50b) 의 원위단에 각각 형성된 앵커는, 당해 땜납에 매립되어 있다. 이로써, 조작용 와이어 (50a, 50b) 는, 땜납 및 선단 칩 전극 (10) 에 대하여 고정되고, 관상 부재 (4) 의 원위단의 근방에 접속되어 있다. 조작용 와이어 (50a) 는, 관상 부재 (4) 내에서 튜브 (41) 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어 있다. 또, 조작용 와이어 (50b) 는, 튜브 (42) 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어 있다.
또, 조작용 와이어 (50a) 의 근위단은, 중간 부재 (100) 에 형성된 통로 (112) 및 내통 (5b) 내의 통로 (82) 를 경유하여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노브 (7) 에 접속되어 있다. 또, 조작용 와이어 (50b) 의 근위단은, 중간 부재 (100) 에 형성된 통로 (114) 및 내통 (5b) 내의 통로 (82) 를 경유하여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노브 (7) 에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노브 (7) 를 조작함으로써 조작용 와이어 (50a, 50b) 를 잡아당겨, 카테터 (2) 의 원위단을 스윙 편향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용 와이어 (50a) 를 잡아당김으로써 카테터 (2) 의 원위단을 도 2 의 화살표 D1 방향으로 편향할 수 있고, 조작용 와이어 (50b) 를 잡아당김으로써 카테터 (2) 의 원위단을 도 2 의 화살표 D2 방향으로 편향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조작용 와이어 (50a, 50b) 의 원위단에 각각 앵커를 형성함으로써, 조작용 와이어 (50a, 50b) 를 땜납으로부터 잘 빠지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카테터 (2) 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용 와이어 (50a, 50b) 는 선단 칩 전극 (10) 에 고정되어 있지만,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조작용 와이어 (50a, 50b) 는, 그 원위단이 관상 부재 (4) 등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선단 칩 전극용 도선 (60) 은, 관상 부재 (4) 내에서 튜브 (45) 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선단 칩 전극용 도선 (60) 은, 선단 칩 전극 (10) 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선단 칩 전극용 도선 (60) 의 원위단은, 선단 칩 전극 (10) 의 내측의 땜납에 매립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음). 이로써, 땜납을 개재하여 선단 칩 전극용 도선 (60) 과 선단 칩 전극 (10) 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선단 칩 전극용 도선 (60) 의 원위단은, 용접에 의해 선단 칩 전극 (10)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선단 칩 전극용 도선 (60) 의 근위단은, 중간 부재 (100) 에 형성된 통로 (118) 및 외통 (5a) 과 내통 (5b) 사이에 형성된 통로 (80) 를 경유하여 핸들 (6) 의 내부로 통과되어 있다.
또, 튜브 (43, 44, 46) 에는, 링상 전극 (12) 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링상 전극용 도선 (도시하지 않음) 이 서로 절연된 상태에서 삽입 통과되어 있다. 각 링상 전극용 도선의 원위단은, 튜브 (43, 44, 46) 및 관상 부재 (4) 에 형성된 세공을 개재하여 각 링상 전극 (12)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링상 전극용 도선의 원위단은, 땜납 (도시하지 않음) 혹은 용접에 의해 링상 전극 (12) 에 고정되어 있다. 관상 부재 (4) 내에서 튜브 (43) 에 삽입 통과된 링상 전극용 도선은, 중간 부재 (100) 에 형성된 통로 (116) 및 외통 (5a) 과 내통 (5b) 사이에 형성된 통로 (80) 를 경유하여 핸들 (6) 의 내부에 통과된다. 관상 부재 (4) 내에서 튜브 (44) 에 삽입 통과된 링상 전극용 도선은, 중간 부재 (100) 에 형성된 통로 (117) 및 외통 (5a) 과 내통 (5b) 사이에 형성된 통로 (80) 를 경유하여 핸들 (6) 의 내부에 통과된다. 또, 관상 부재 (4) 내에서 튜브 (46) 에 삽입 통과된 링상 전극용 도선은, 중간 부재 (100) 에 형성된 통로 (119) 및 외통 (5a) 과 내통 (5b) 사이에 형성된 통로 (80) 를 경유하여 핸들 (6) 의 내부에 통과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튜브 (41) 는, 튜브 (43, 44) 에 접하고 있고, 튜브 (42) 는, 튜브 (45, 46) 와 접하고 있다. 또, 각 튜브 (41 ~ 46) 는, 내통 (4b) 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고정되어 있다. 각 튜브 (41 ~46) 와 내통 (4b) 의 고정에는, 접착, 용착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영역 (20A) 및 제 2 영역 (20B) 에 있어서, 복수의 튜브 중 적어도 일부의 튜브, 여기서는 제 1 영역 (20A) 측의 2 개의 튜브 (43, 44) 와 제 2 영역 (20B) 측의 2 개의 튜브 (45, 46) 가 각각 판스프링 (30) 의 주표면 (30a, 30b) 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판스프링 (30) 이 튜브 (43, 44) 와 튜브 (45, 46)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되기 때문에, 판스프링 (30) 의 관상 부재 (4) 에 대한 비틀림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카테터 (2) 의 비틀림 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 제 1 영역 (20A) 및 제 2 영역 (20B) 에 있어서, 조작용 와이어 삽입 통과용 튜브 (41, 42) 가 판스프링 (30) 과 이간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튜브 (41, 42) 가 판스프링 (30) 에 보다 가까운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작은 힘으로 판스프링 (30) 을 굽힐 수 있다. 따라서, 카테터 (2) 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튜브 (41, 42) 는, 예를 들어 그 중심축이 튜브 (43, 44, 45, 46) 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원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영역 (20A) 에 있어서, 2 개의 튜브 (43, 44) 가 카테터 (2) 의 축 방향을 따른 판스프링 (30) 의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어 있다. 동일하게, 제 2 영역 (20B) 에 있어서, 2 개의 튜브 (45, 46) 가, 카테터 (2) 의 축 방향을 따른 판스프링 (30) 의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용 와이어 삽입 통과용 튜브 (41) 가 2 개의 튜브 (43, 44) 사이에 형성되고, 조작용 와이어 삽입 통과용 튜브 (42) 가, 2 개의 튜브 (45, 46)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튜브 (41, 42) 를 판스프링 (30) 의 주표면 (30a, 30b) 에 평행한 방향에서, 판스프링 (30) 의 중심선에 근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카테터 (2) 의 비틀림 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 조작용 와이어 삽입 통과용 튜브 (41) 는, 튜브 (43, 44) 와 외접하도록 형성되고, 조작용 와이어 삽입 통과용 튜브 (42) 는, 튜브 (45, 46) 와 외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튜브 (41) 가 튜브 (43, 44) 와 이간되고, 또 튜브 (42) 가 튜브 (45, 46) 와 이간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카테터 (2) 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여기서,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카테터 (2) 에 있어서의 튜브 (41 ~ 46) 의 배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 은, 튜브 (41 ~ 46) 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영역 (20A) 및 제 2 영역 (20B) 에 있어서, 복수의 튜브 (41 ~ 46) 가, 카테터 (2) 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 대략 원 (S) 에 각각 내접하도록 서로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관상 부재 (4) 의 단면 형상을 용이하게 대략 원형으로 유지할 수 있다. 관상 부재 (4) 의 단면 형상이 대략 원형인 경우에는, 시스나 혈관에 대한 카테터 (2) 의 삽입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카테터 (2) 에 의하면, 카테터 (2) 의 양호한 조작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 환자 체강 내에 삽입 가능한 카테터 (2) 의 크기 (굵기) 는, 일반적으로 관상 부재 (4) 의 최대 직경 부분의 크기 (직경) 에 의해 정해진다. 그래서, 이 최대 직경 부분의 크기를 동일하게 하여 비교한 경우, 단면 대략 원 형상인 쪽이 단면 편평 형상이나 단면 다각형 형상보다 카테터 (2) 의 공간 이용률을 높일 수 있다. 즉, 관상 부재 (4) 에 삽입 통과 가능한 도선 등의 수를 늘릴 수 있어, 카테터 (2) 의 다기능화, 고성능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관상 부재 (4) 의 단면 형상을 대략 원형으로 함으로써, 관상 부재 (4) 의 강도 밸런스를 향상시킬 수 있고, 다방향으로부터의 외력에 대하여 안정적인 구조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링상 전극 (12) 은, 관상 부재 (4) 의 외경보다 직경이 큰 금속 링을 코킹하여 관상 부재 (4) 에 조임으로써 관상 부재 (4) 에 고정시키고 있다. 관상 부재 (4) 의 단면 형상을 대략 원형으로 함으로써, 코킹시에 관상 부재 (4) 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관상 부재 (4) 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략 원」 이란, 진원과, 상기 효과가 얻어질 정도의 진원도를 갖는 원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 판스프링 (30) 도, 그 측면 (30c, 30d) 이 가상 대략 원 (S) 과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관상 부재 (4) 를 외력에 대하여 보다 안정적인 구조로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영역 (20A) 에 있어서, 2 개의 튜브 (43, 44) 가 서로 이간되어 형성되고, 제 2 영역 (20B) 에 있어서, 2 개의 튜브 (45, 46) 가 서로 이간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1 영역 (20A) 에는, 튜브 (43, 44) 와 튜브 (41) 와, 판스프링 (30) 으로 둘러싸인 공간 (22A) 이 형성되고, 제 2 영역 (20B) 에는, 튜브 (45, 46) 와, 튜브 (42) 와, 판스프링 (30) 으로 둘러싸인 공간 (22B)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 (22A, 22B) 의 적어도 일방에는, 필요에 따라 카테터 (2) 의 굽힘성을 조절하기 위한 부재 (이하, 적절히 굽힘 조절 부재라고 한다) 를 삽입할 수 있다. 이 굽힘 조절 부재는, 예를 들어, SUS나 NiTi 등의 금속이나 폴리에테르에테르 케톤 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봉재이다. 굽힘 조절 부재를 삽입함으로써, 관상 부재 (4) 의 경도를 변화시킬 수 있고, 이로써 카테터 (2) 의 굽힘성을 조절할 수 있다. 공간 (22A, 22B) 중 어느 일방에 굽힘 조절 부재를 삽입하거나, 혹은 공간 (22A, 22B) 의 양방에 서로 유연성이 상이한 굽힘 조절 부재를 삽입함으로써, 카테터 (2) 의 구부러짐 정도를 비대칭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간 (22A) 내의, 카테터 (2) 의 원위단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굽힘 조절 부재를 삽입함으로써, 굽힘 조절 부재보다 원위단측의 영역을 카테터 (2) 의 만곡 영역으로 할 수 있다. 이로써, 도 2 의 화살표 D1 방향으로 굽히는 경우의 카테터 (2) 의 만곡 범위를, 도 2 의 화살표 D2 방향으로 굽히는 경우의 카테터 (2) 의 만곡 범위보다 짧게 할 수 있다.
제 1 영역 (20A) 에 삽입되는 굽힘 조절 부재는, 튜브 (41), 2 개의 튜브 (43, 44) 및 판스프링 (30) 의 각각과 접하고 있어도 된다. 또, 제 2 영역 (20B) 에 삽입되는 굽힘 조절 부재는, 튜브 (42), 2 개의 튜브 (45, 46) 및 판스프링 (30) 의 각각과 접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관상 부재 (4) 를 외력에 대하여 보다 안정적인 구조로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카테터 (2) 에 있어서의 판스프링 (30) 은, 관상 부재 (4) 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 (30e, 30f) 중 적어도 일부가 관상 부재 (4) 에 매립되도록 하여 관상 부재 (4) 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조작용 와이어 (50a, 50b) 가 조작되어 판스프링 (30) 에 힘이 가해졌을 때에, 관상 부재 (4) 에 대한 비틀림이 판스프링 (30) 에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카테터 (2) 의 비틀림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카테터 (2) 의 만곡 영역에 있어서의 평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로써 카테터 (2) 에 커브 형상의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나, 판스프링 (30) 의 비틀림에 의해 관상 부재 (4) 가 파손될 가능성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선단 칩 전극용 도선 (60) 및 링상 전극용 도선은, 통로 (34 ~ 36) 내에 삽입 통과되어 있기 때문에, 카테터 (2) 의 만곡에 수반하여 도선이 서로 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카테터 (2) (관상 부재 (4)) 의 표면에, 얽힌 도선에서 기인되는 요철 등이 발생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카테터 (2) 에 의하면, 중간 부재 (100) 를 개재하여, 카테터 (2) 의 근위측에 있어서는, 조작용 와이어 (50a, 50b) 가 카테터 (2) 의 중심 부분을 따라 삽입 통과되고, 카테터 (2) 의 원위측에 있어서는, 조작용 와이어 (50a, 50b) 가 카테터 (2) 의 외주측을 따라 삽입 통과되어 있다. 이로써, 조작용 와이어 (50a, 50b) 의 원위단이 카테터 (2) 의 외주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조작용 와이어 (50a, 50b) 를 인장 조작했을 때에, 카테터 (2) 의 원위단에 가해지는 토크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카테터 (2) 의 원위단 부분이 만곡되기 쉬워지고, 카테터 (2) 의 원위 부분의 커브 형상과 사용자가 원하는 커브 형상 사이에서 편차가 적어져, 사용자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내통 (5b) 은 항압축성을 갖기 때문에, 조작용 와이어 (50a, 50b) 를 잡아당겼을 때의 관상 부재의 전체적인 구부러짐, 휨, 사행을 예방할 수 있다. 조작용 와이어 (50a, 50b) 가 카테터 (2) 의 중심 부근을 통과하기 때문에, 내통 (5b) 이 있는 부분에서는, 굽힘 방향에 대한 힘이 거의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바꾸어 말하면, 내통 (5b) 의 압축 방향 (종방향) 으로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선단만을 굽힐 수 있고, 카테터 (2) 가 도중부터 넘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 관상 부재 (5) 내에 있어서, 조작용 와이어 (50a, 50b) 가 삽입 통과되는 통로 (82) 와, 도선이 삽입 통과되는 통로 (80) 로, 통로가 나누어져 있다. 이로써, 조작용 와이어 (50a, 50b) 가 통로 (82) 내에서 슬라이드해도 통로 (80) 내의 도선에 접촉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도선에 대한 데미지를 억제하여, 카테터 (2) 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당업자의 지식 에 기초하여 각종 설계 변경 등의 변형을 가할 수도 있고, 그러한 조합되거나, 혹은 변형이 가해진 실시 형태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와 이하의 변형예의 조합에 의해 발생되는 새로운 실시 형태는, 조합되는 실시 형태 및 변형예 각각의 효과를 겸비한다.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판스프링 (30) 은, 전체 길이에 걸쳐 양 단부 (30e, 30f) 가 관상 부재 (4) 에 매립되어 있지만, 판스프링 (30) 의 전체 길이의 일부에서 양 단부 (30e, 30f) 가 관상 부재 (4) 에 매립되어 있어도 된다. 즉, 관상 부재 (4) 는, 카테터 (2) 의 비틀림 강성 향상 효과가 얻어지는 범위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 (30e) 및/또는 단부 (30f) 의 적어도 일부가 관상 부재 (4) 에 매립되어 있으면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에 관련된 카테터 (2) 에서는, 내통 (4b) 의 근위단과 외통 (4a) 의 근위단의 위치가 대략 일치하고 있지만, 내통 (4b) 의 근위단이 외통 (4a) 의 근위단에 비해 중간 부재 (100) 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내통 (4b) 과 외통 (5a) 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기 때문에, 관상 부재 (4) 와 관상 부재 (5) 의 접속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에 관련된 카테터 (2) 는, 내통 (4b) 에 형성된 수용 공간 (20) 을 1 개의 루멘으로 파악한 경우, 내통 (4b) 이 싱글 루멘 구조를 갖고, 내통 (4b) 의 루멘 내에 내통 (4b) 과는 별체인 튜브 (41 ~ 46) 가 수용된 구조로 될 수 있는데, 튜브 (41 ~ 46) 는, 관상 부재 (4) 와 일체여도 된다. 즉, 내통 (4b) 이 통로 (31 ~36) 를 구성하는 복수의 루멘과 판스프링 (30) 을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 멀티 루멘형 구조를 가져도 된다. 이 경우, 통로 (31 ~ 36) 를 구성하는 각 루멘의 내벽으로부터 소정 두께의 부분에 의해 튜브부가 형성되고, 통로 (33 ~ 36) 에 대응하는 튜브부가 판스프링 (30) 의 주표면 (30a, 30b) 에 접한다. 이로써, 카테터 (2) 의 비틀림 강성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내통 (4b) 이 멀티 루멘형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판스프링 (30) 의 주표면 (30a, 30b) 및 측면 (30c, 30d) 의 전체가 관상 부재 (4) 에 매립된 구조로 되어, 카테터 (2) 의 비틀림 강성 향상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또, 내통 (4b) 이 멀티 루멘형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공간 (22A, 22B) 에 대응하는 영역에 내통 (4b) 의 구성 재료가 채워진 상태가 되는데, 이 영역에 굽힘성 조절 부재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통로 (33 ~ 36) 모두에 전극용의 도선을 삽입 통과시키고 있지만, 통로 (33 ~ 36) 는, 모두가 도선 삽입 통과용 통로가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어, 통로 (33 ~ 36) 의 일부에는, 카테터 (2) 의 원위단 근방에 있어서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센서로서의 열전대를 삽입 통과시킬 수 있다.
2 : 카테터
4 : 관상 부재
5 : 관상 부재
20A : 제 1 영역
20B : 제 2 영역
22A, 22B : 공간
30 : 판스프링
30a, 30b : 주표면
30c, 30d : 측면
30e, 30f : 단부
31, 32, 33, 34, 35, 36 : 통로
41, 42, 43, 44, 45, 46 : 튜브
50a, 50b : 조작용 와이어
100 : 중간 부재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카테터에 적용 가능하다.

Claims (3)

  1. 가요성을 갖는 관상 부재와,
    상기 관상 부재의 근위측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관상 부재의 단면 중심 부분에 상기 관상 부재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공 구조의 항압축성 부재와,
    상기 관상 부재의 원위측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관상 부재의 단면 중심 부분으로부터 외주에 가까운 부분에 상기 관상 부재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튜브부와,
    상기 항압축성 부재와 상기 튜브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항압축성 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와 상기 튜브부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를 접속하는 통로가 형성된 중간 부재와,
    상기 항압축성 부재에 형성된 통로, 상기 중간 부재에 형성된 통로 및 상기 튜브부에 형성된 통로에 삽입 통과된, 원위단의 방향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용 와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부재에 형성된 통로는, 상기 항압축성 부재측으로부터 상기 튜브부측을 향하여, 상기 관상 부재의 외주에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 부재의 원위측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관상 부재의 단면 중심 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튜브부와는 반대측의 영역, 또한 상기 관상 부재의 단면 중심 부분으로부터 외주에 가까운 부분에 상기 관상 부재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른 튜브부와,
    상기 항압축성 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와 상기 다른 튜브부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를 접속하도록 상기 중간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다른 통로와,
    상기 항압축성 부재에 형성된 통로, 상기 중간 부재에 형성된 다른 통로 및 상기 다른 튜브부에 형성된 통로에 삽입 통과된, 원위단의 방향을 조작하기 위한 다른 조작용 와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부재에 형성된 다른 통로는, 상기 항압축성 부재측으로부터 상기 다른 튜브부측을 향하여, 상기 관상 부재의 외주에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카테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와 상기 다른 튜브부 사이에 상기 관상 부재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스프링이 형성되어 있는 카테터.
KR1020127024243A 2010-04-21 2011-04-19 카테터 KR1012130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98192 2010-04-21
JP2010098192A JP4679668B1 (ja) 2010-04-21 2010-04-21 カテーテル
PCT/JP2011/002295 WO2011132409A1 (ja) 2010-04-21 2011-04-19 カテーテ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405A KR20120114405A (ko) 2012-10-16
KR101213012B1 true KR101213012B1 (ko) 2012-12-20

Family

ID=44080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4243A KR101213012B1 (ko) 2010-04-21 2011-04-19 카테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679668B1 (ko)
KR (1) KR101213012B1 (ko)
CN (3) CN102258823A (ko)
TW (1) TWI458509B (ko)
WO (1) WO20111324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4123B2 (en) 2009-04-29 2016-02-09 Hansen Medical, Inc. Flexible and steerable elongate instruments with shape control and support elements
JP4679668B1 (ja) * 2010-04-21 2011-04-27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カテーテル
JP4940332B2 (ja) * 2010-06-15 2012-05-30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カテーテル
US9452276B2 (en) 2011-10-14 2016-09-27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Catheter with removable vision probe
US20130303944A1 (en) 2012-05-14 2013-11-14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Off-axis electromagnetic sensor
JP5307259B2 (ja) * 2012-01-26 2013-10-02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バルーンカテーテル
US8894610B2 (en) 2012-11-28 2014-11-25 Hansen Medical, Inc. Catheter having unirail pullwire architecture
EP3064244B1 (en) * 2012-11-28 2020-10-28 Auris Health, Inc. Catheter having unirail pullwire architecture
US20140148673A1 (en) 2012-11-28 2014-05-29 Hansen Medical, Inc. Method of anchoring pullwire directly articulatable region in catheter
CN107693112A (zh) * 2013-11-15 2018-02-16 上海微创电生理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消融电极以及具有该消融电极的医疗导管
US10610293B2 (en) 2013-12-24 2020-04-07 St. Jude Medical, Cardiology Division, Inc. Deflectable catheter bodies with corrugated tubular structures
EP2923669B1 (en) 2014-03-24 2017-06-28 Hansen Medical, Inc. Systems and devices for catheter driving instinctiveness
CN107427327A (zh) 2014-09-30 2017-12-01 奥瑞斯外科手术机器人公司 具有虚拟轨迹和柔性内窥镜的可配置机器人外科手术***
US10314463B2 (en) 2014-10-24 2019-06-11 Auris Health, Inc. Automated endoscope calibration
JP6600468B2 (ja) * 2015-02-24 2019-10-30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カテーテル
US10143526B2 (en) 2015-11-30 2018-12-04 Auris Health, Inc. Robot-assisted driving systems and methods
JP5976973B1 (ja) * 2016-03-28 2016-08-24 インター・ノバ株式会社 多極電極を有する末梢血管用ガイドカテーテル
US10463439B2 (en) 2016-08-26 2019-11-05 Auris Health, Inc. Steerable catheter with shaft load distributions
US9931025B1 (en) 2016-09-30 2018-04-03 Auris Surgical Robotics, Inc. Automated calibration of endoscopes with pull wires
US10244926B2 (en) 2016-12-28 2019-04-02 Auris Health, Inc. Detecting endolumenal buckling of flexible instruments
KR102643758B1 (ko) 2017-05-12 2024-03-08 아우리스 헬스, 인코포레이티드 생검 장치 및 시스템
CN110831653B (zh) 2017-06-28 2021-12-17 奥瑞斯健康公司 器械***补偿
US10426559B2 (en) 2017-06-30 2019-10-01 Auris Health,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al instrument compression compensation
US10145747B1 (en) 2017-10-10 2018-12-04 Auris Health, Inc. Detection of undesirable forces on a surgical robotic arm
US10016900B1 (en) 2017-10-10 2018-07-10 Auris Health, Inc. Surgical robotic arm admittance control
JP7362610B2 (ja) 2017-12-06 2023-10-17 オーリス ヘル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コマンド指示されていない器具の回動を修正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19118767A1 (en) 2017-12-14 2019-06-20 Auris Health, Inc.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instrument location
KR20200122337A (ko) 2018-02-13 2020-10-27 아우리스 헬스, 인코포레이티드 의료 기구를 구동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3856064A4 (en) 2018-09-28 2022-06-29 Auris Health,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ocking medical instruments
KR102235059B1 (ko) 2019-02-07 2021-04-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가변 선단부 구조를 갖는 카테터
JP6754144B2 (ja) * 2019-03-01 2020-09-09 リバーフィールド株式会社 手術支援ロボット用術具
US11602372B2 (en) 2019-12-31 2023-03-14 Auris Health, Inc. Alignment interfaces for percutaneous access
US11298195B2 (en) 2019-12-31 2022-04-12 Auris Health, Inc. Anatomical feature identification and targeting
KR20220123076A (ko) 2019-12-31 2022-09-05 아우리스 헬스, 인코포레이티드 경피 접근을 위한 정렬 기법
CN113491816B (zh) * 2021-07-06 2023-06-27 上海康德莱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电定位可控弯导丝
CN117958957A (zh) * 2024-02-08 2024-05-03 北京维康达心科技有限公司 除颤导管和除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9087A (ja) 1999-07-08 2003-03-11 シー・アール・バード・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操縦可能なカテーテル
JP2006061350A (ja) 2004-08-26 2006-03-09 Japan Lifeline Co Ltd 先端偏向操作可能カテーテル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4189B2 (ja) * 1989-11-22 1998-07-09 キヤノン株式会社 直結型ベース接地増幅器及び該増幅器を含む回路装置、半導体装置並びに情報処理装置
US5820591A (en) * 1990-02-02 1998-10-13 E. P. Technologies, Inc. Assemblies for creating compound curves in distal catheter regions
WO1991011213A1 (en) * 1990-02-02 1991-08-08 Ep Technologies, Inc. Catheter steering mechanism
JPH04252164A (ja) * 1991-01-29 1992-09-08 Nagaoka Koryo Kk 果実の皮剥き方法
US6198974B1 (en) * 1998-08-14 2001-03-06 Cordis Webster, Inc. Bi-directional steerable catheter
US6183435B1 (en) * 1999-03-22 2001-02-06 Cordis Webster, Inc. Multi-directional steerable catheters and control handles
US20020147427A1 (en) * 1999-12-21 2002-10-10 Joseph J. Chang Safety catheter with tortuous fluid path
US6522933B2 (en) * 2001-03-30 2003-02-18 Biosense, Webster, Inc. Steerable catheter with a control handle having a pulley mechanism
US6605086B2 (en) * 2001-05-02 2003-08-12 Cardiac Pacemakers, Inc. Steerable catheter with torque transfer system
US7998112B2 (en) * 2003-09-30 2011-08-16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Deflectable cathete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US8118775B2 (en) * 2008-09-09 2012-02-21 Biosense Webster, Inc. Deflectable catheter with bonded center strut and method of manufacture for same
JP4679668B1 (ja) * 2010-04-21 2011-04-27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カテーテ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9087A (ja) 1999-07-08 2003-03-11 シー・アール・バード・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操縦可能なカテーテル
JP2006061350A (ja) 2004-08-26 2006-03-09 Japan Lifeline Co Ltd 先端偏向操作可能カテーテ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58509B (zh) 2014-11-01
CN202086915U (zh) 2011-12-28
TW201200184A (en) 2012-01-01
JP2011224214A (ja) 2011-11-10
CN104739375A (zh) 2015-07-01
CN104739375B (zh) 2017-11-14
CN102258823A (zh) 2011-11-30
KR20120114405A (ko) 2012-10-16
JP4679668B1 (ja) 2011-04-27
WO2011132409A1 (ja) 201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3012B1 (ko) 카테터
KR101246970B1 (ko) 카테터
JP5508190B2 (ja) カテーテル
KR101310471B1 (ko) 카테터
JP4362536B2 (ja) カテーテル
WO2013088840A1 (ja) 先端偏向操作可能カテーテル
JP4897077B1 (ja) カテーテル
JP4993353B2 (ja) 先端偏向操作可能カテーテル
JP6456315B2 (ja) 電極カテーテル
JP5557393B2 (ja) 先端偏向操作可能カテーテル
JP5174542B2 (ja) カテーテル
JP4544457B2 (ja) 先端偏向操作可能カテーテル
JP2004255204A (ja) ガイドワイヤー用の雄型コネクタ
KR101953486B1 (ko) 카테터
JP5174487B2 (ja) カテーテ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