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6697B1 - 차동 전송 커넥터 및 이것과 감합하는 기판 취부용 차동전송 커넥터 - Google Patents

차동 전송 커넥터 및 이것과 감합하는 기판 취부용 차동전송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6697B1
KR101206697B1 KR1020087014491A KR20087014491A KR101206697B1 KR 101206697 B1 KR101206697 B1 KR 101206697B1 KR 1020087014491 A KR1020087014491 A KR 1020087014491A KR 20087014491 A KR20087014491 A KR 20087014491A KR 101206697 B1 KR101206697 B1 KR 101206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differential transmission
connector
contacts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4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2720A (ko
Inventor
도론 라피도트
마사유키 아이자와
이사오 이가라시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080072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2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7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special arrangement of ground and signal conductors, e.g. GSGS [Ground-Signal-Ground-Sig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차동 전송 커넥터 및 기판 취부용 차동 전송 커넥터에 있어서, 대직경의 전선끼리 간섭하는 일 없이 배치할 수 있고 또, 크로스토크를 큰 폭으로 저감할 수 있도록 한다.
차동 전송 커넥터는 절연 하우징에 보호 유지되는 복수의 차동 전송 콘택트쌍(16a, 16b) 및 이 쌍에 각각 대응하는 접지 콘택트(16c)를 구비한다. 차동 전송 콘택트(16a, 16b) 및 접지 콘택트(16c)는 감합부 및 와이어 접속부에 있어 2열로 배열된다. 감합부에서 차동 전송 콘택트쌍(16a, 16b)의 일방을 구성하는 제 1 콘택트(16a)가 제 1 열에 배치되는 것과 동시에, 타방을 구성하는 제 2 콘택트(16b)가 제 2 열에 배치되어 각 열에 대해 가장 가까운 차동 전송 콘택트 사이에 접지 콘택트(16c)가 배치되어 있다.
차동 전송 커넥터, 접지 콘택트, 기판 취부용 차동 전송 커넥터

Description

차동 전송 커넥터 및 이것과 감합하는 기판 취부용 차동 전송 커넥터{DIFFERENTIAL TRANSMISSION CONNECTOR AND DIFFERENTIAL TRANSMISSION CONNECTOR FOR FIXING SUBSTRATE FITTED TO IT}
본 발명은 차동 전송 커넥터 및 차동 전송 커넥터와 감합하는 기판 취부용 차동 전송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화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을 제어하는 컨트롤 장치간의 디지털 신호 전송 등에 사용되는 고속 디지털 차동 전송용 차동 전송 커넥터 및 기판 취부용 차동 전송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기판 취부용 차동 전송 커넥터로서 기판 취부용 차동 전송 커넥터의 감합부에 있어서, 차동 전송쌍 콘택트로서 1쌍의 신호 콘택트 및 1개의 접지 콘택트로 이루어지는 콘택트 세트(트리플 세트)가 삼각형을 형성하고, 인접하는 다른 트리플 세트가 서로 상하가 역인 관계로 배치되고, 더욱이 콘택트열이 2열로 형성된 기판 취부용 차동 전송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차동 전송쌍 콘택트에 접속된 케이블은 노이즈를 저감하기 위해, 디지털 전송에 적절한 +신호선과 -신호선이 서로 합쳐진 이른바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이 사용된다. 이 차동 전송 커넥터에 있어서는 트리플 세트를 형성하는 제 1의 콘택트 세트에 대 해 보면, 차동 전송쌍 콘택트 즉 1쌍의 신호 콘택트가 일방의 열에 배치되고, 같은 콘택트 세트의 1개의 접지 콘택트가 타방의 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1의 콘택트 세트에 인접하는 제 2의 콘택트 세트는 상기 일방의 열에 위치하는 제 1의 콘택트 세트의 1쌍의 신호 콘택트와 같은 열에 인접하여 제 2의 콘택트 세트의 접지 콘택트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의 콘택트 세트의 타방의 열에 위치하는 접지 콘택트와 같은 열에 인접하여 제 2의 콘택트 세트의 1쌍의 신호 콘택트가 배치되어 있다.
또, 이 기판 취부용 차동 전송 커넥터가 취부되는 기판에의 접속부에 있어서, 신호 콘택트 및 접지 콘택트를 포함하는 콘택트열이, 감합부에 있어서의 2열의 배치로부터 1열의 배치로 변환되어 기판에 납땜 접속되어 있다.
한편, 이 기판 취부용 차동 전송 커넥터에 접속되는 케이블측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이 문헌에는 명기되어 있지 않지만, 당연히 대응하는 차동 전송쌍 콘택트 및 접지 콘택트를 포함하는 트리플 세트를 형성하는 동일한 복수의 콘택트 세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런데, 최근에 전송되는 신호는 예를 들면, 1 내지 5 기가비트 등 종래에 비해 고속의 디지털 신호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는 커넥터측에 있어서도 고속의 디지털 신호를 스큐(skew), 즉 전송 시간의 도달시간차나 크로스토크(누화)를 일으키지 않고 전송 가능한 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송 주파수는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전선의 심선(도체)의 표면에 전류가 집중하게 되고(표면 효과), 또, 고속 디지털 신호의 전송은 고주파 신호의 전송이다. 따라서, 고속 디지털 신호를 전송할 때에, 특히, 케이블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신호의 감쇠량이 커지므로, 심선의 표면적이 큰 대직경의 신호용 케이블이 필요하게 된다.
특허 문헌 1 : 특표 2004-534358호 공보(도 6)
삼각형상으로 배치된 차동 전송 커넥터의 신호 콘택트 및 접지 콘택트의 개념을 도 10a에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10a에서는, 신호 콘택트(S1, S2)에 각각 접속된 소직경의 전선(d1, d2)가 일방의 열에 배치되고, 타방의 열에 접지 콘택트(G1)에 접속된 접지선(dg)가 배치되어 3 각형 모양을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전선으로서는 예를 들면, AWG#30(아메리칸 와이어 게이지 30 번선)과 같은 전선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전선(d1, d2)간의 피치는 P로 나타난다. 한편, 도 10b에 나타내듯이 1쌍의 대직경의 신호용 전선(D1, D2) 및 접지용 전선 (Dg)를, 도 10a에 나타낸 배치와 같은 피치 P로 배치하고자 하면, 전선(D1, D2)가 그 절연체의 표면에서 서로 간섭하여 배치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전선으로서는 예를 들면, AWG#24(동24 번선)를 생각할 수 있다. 도 10b에서는, 전선 D1, D2의 간섭 부분을 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피치 P를 크게 하면, 대직계의 전선 D1, D2를 배치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콘택트의 줄방향의 사이즈가 대형화하는 문제가 있다. 통상, 한정된 스페이스 내에 소정 수량의 전선을 배치해야 하기 때문에, 와이어(전선)의 피치를 크게 해 커넥터를 대형화한다고 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
또, 전술한 서로 역방향으로 배치된 가장 가까운 콘택트 세트의 사이에는, 신호의 크로스토크를 방지하기 위해서 1개의 접지 콘택트가 배치되지만, 다른 콘택트 세트의 신호 콘택트끼리가 서로 접근해, 그러한 사이에 크로스토크를 일으키게 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 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동 전송 커넥터 및 기판 취부용 차동 전송 커넥터를 대형화시키는 일 없이, 대직경의 전선끼리가 서로 간섭하는 일 없이 배치할 수 있는 고속 디지털 전송에 적절한 차동 전송 커넥터 및 이것과 감합하는 기판 취부용 차동 전송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러 가지의 직경 치수를 가지는 전선에 광범위하게 대응할 수 있는 차동 전송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다른 쌍의 가장 가까운 차동 전송 콘택트간의 크로스토크를 큰 폭으로 저감할 수 있는 고속 디지털 전송에 적절한 차동 전송 커넥터 및 이에 감합하는 기판 취부용 차동 전송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차동 전송 커넥터는 절연 하우징과 절연 하우징에 보호 유지되는 복수의 차동 전송 콘택트쌍 및 해당 차동 전송 콘택트쌍에 각각 대응하는 접지 콘택트를 구비하고, 차동 전송 콘택트 및 접지 콘택트가 감합부 및 와이어 접속부에 있어서 2열로 배열된 차동 전송 커넥터에 있어서, 감합부에서 상기 차동 전송 콘택트쌍의 일방을 구성하는 제 1 콘택트가 제 1 열에 배치되는 것과 동시에, 타방을 구성하는 제 2 콘택트가 제 2 열에 배치되고, 각 열에 있어서 가장 가까운 차동 전송 콘택트 사이에 접지 콘택트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판 취부용 차동 전송커넥터는 절연 하우징과, 절연 하우징에 보호 유지되는 복수의 차동 전송 콘택트쌍 및 해당 차동 전송 콘택트쌍에 각각 대응하는 접지 콘택트를 구비하고, 차동 전송 콘택트 및 접지 콘택트가 감합부에 있어서 2열로 배열되어 기판 접속부에서 1열로 변환되어 배열된 기판 취부용 차동 전송커넥터에 있어서, 감합부에서 차동 전송 콘택트쌍의 일방을 구성하는 제 1 콘택트가 제 1 열에 배치되는 것과 동시에, 타방을 구성하는 제 2 콘택트가 제 2 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각 열에 있어서 가장 가까운 차동 전송 콘택트간에 접지 콘택트가 배치되고, 기판 접속부에서는 가장 가까운 차동콘택트쌍의 사이에 2개의 접지 콘택트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판 취부용 차동 전송커넥터는 각 열에 있어서 일방 측의 상기 제 1 콘택트 및 접지 콘택트 및 타방측의 상기 제 2 콘택트 및 접지 콘택트가 소정의 피치로 배열되어 있는 것과 동시에, 일방 측의 각 콘택트의 위치와 타방측의 각 콘택트의 위치가 서로 반 피치씩 어긋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콘택트와 상기 제 2 콘택트의 절연 하우징으로부터 연출하여 기판에 접속되는 타인부의 길이가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차동 전송 커넥터는 감합부에서 차동 전송 콘택트쌍의 일방을 구성하는 제 1 콘택트가 제 1 열에 배치되고, 타방을 구성하는 제 2 콘택트가 제 2 열에 배치되고, 각 열에 있어서 가장 가까운 차동 전송 콘택트 사이에 접지 콘택트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대직경의 전선을 종래와 같은 배열 피치로 제 1 콘택트 및 제 2 콘택트에 서로 간섭하는 일 없이 접속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차동 전송 커넥터를 대형화시키는 일 없이 고속 디지털 전송에 적절한 차동 전송 커넥터 및 기판 취부용 차동 전송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용도에 따라 전선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서도 문제없이 차동 전송 콘택트에 접속할 수 있으므로, 여러 가지의 직경 치수를 갖는 전선에 대해 광범위하게 대응 가능하다. 게다가 각 열의 차동 전송 콘택트 사이에 접지 콘택트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다른 쌍의 가장 가까운 차동 전송 콘택트 사이의 크로스톡을 큰 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판 취부용 차동 전송 커넥터는 감합부에서 차동 전송 콘택트쌍의 일방을 구성하는 제 1 콘택트가 제 1 열에 배치되고, 타방을 구성하는 제 2 콘택트가 제 2 열에 배치되고, 나아가 각 열에 있어서 가장 가까운 차동 전송 콘택트 사이에 접지 콘택트가 배치되고, 또 기판 접속부에서는 가장 가까운 차동콘택트쌍의 사이에 2개의 접지 콘택트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기판 취부용 차동 전송 커넥터를 대형화시키는 일 없이, 각 열의 차동 전송 콘택트 사이에 접지 콘택트를 배치하고, 또 기판 접속부에서 다른 쌍의 차동 전송 콘택트쌍의 사이에 2개의 접지 콘택트가 배치되기 때문에, 다른 쌍의 차동 전송 콘택트 사이의 크로스톡을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기판 접속부에서 1열로 차동 전송 콘택트가 변환되어 있으므로, 기판면의 점유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기판 취부용 차동 전송 커넥터는 각 열에 있어서 일방측의 제 1 콘택트 및 접지 콘택트 및 일방측의 제 2 콘택트 및 접지 콘택트가 소정의 피치로 배열되어 있는 것과 동시에, 일방측의 각 콘택트의 위치와 타방측의 각 콘택트의 위치가 서로 반피치 어긋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는, 콘택트를 평면시로 직선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콘택트의 제조, 하우징에의 조립이 용이하게 됨과 함께, 콘택트의 공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1 콘택트와 제 2 콘택트의 절연 하우징으로부터 연출하여 기판에 접속되는 타인부의 길이가 서로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는 경우는, 스큐(skew)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동 전송 커넥터 및 이 차동 전송 커넥터와 서로 감합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판 취부용 차동 전송커넥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케이블에 접속된 차동 전송 커넥터를 나타내고, 2a는 평면도, 2b는 측면도, 2c는 정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차동 전송 커넥터에 접속되는 케이블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차동 전송 커넥터의 판상부의 콘택트에 납땜된 전선 및 접지선을 나 타내는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1의 기판 취부용 차동 전송 커넥터를 나타내고, 5a는 평면도, 5b는 정면도, 5c는 배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6은 도 5의 기판 취부용 차동 전송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5의 기판 취부용 차동 전송 커넥터의 감합면측에서 본 콘택트의 배치를 나타낸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차동 전송 커넥터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8a는 평면도, 8b는 측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내는 기판 취부용 차동 전송 커넥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삼각형장에 배치된 차동 전송 커넥터의 신호 콘택트 및 접지 콘택트의 개념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10a는 가는 전선이 접속된 상태, 10b는 큰 직경의 전선이 접속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00 : 차동 전송 커넥터    2 : 감합부
   8, 104 : 절연 하우징    12b : 와이어 접속부(판상부)
   16a, 16b, 108a, 108b : 차동 전송 콘택트  16c, 108c : 접지 콘택트
   100, 300 : 기판 취부용 차동 전송 커넥터 106 : 감합부(리브)
   109 : 기판 접속부    112, 312 : 타인부
113a, 113b : 경사부    B : 기판
P : 피치
이하, 본 발명의 차동 전송 커넥터 및 기판 취부용 차동 전송 커넥터의 최량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케이블(50)에 접속된 차동 전송 커넥터(이하, 커넥터라고 한다:1)과 이 커넥터(1)과 서로 감합하고 있는 기판 취부용 차동 전송 커넥터(이하, 기판용 커넥터라고 한다:100)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기판용 커넥터(100)은 단면으로 나타내고, 커넥터(1)은 감합부(2)만을 단면으로 나타낸다. 도 2는 케이블(50)에 접속된 커넥터(1)을 나타내고, 도 2a는 평면도, 도 2b는 측면도, 도 2c는 정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그리고 설명에서 감합부측을 정면측이라 하기로 한다. 우선 커넥터(1)에 대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커넥터(1)은 합성 수지제(절연성)의 엔클로져(4)와 이 엔클로져(4)의 전부에 보호 유지된 금속제의 실드(shield;전자차폐) 쉘(6)과 이 실드쉘(6)의 전부에 보호 유지된 절연 하우징(8)을 갖는다. 실드쉘(6)은, 금속판을 타발하여 틀모양으로 절곡한 것으로, 절연 하우징(8)을 대충 덮고 있다.
절연 하우징(8)은 실드쉘(6)의 전방으로 노출하는 전부(8a)와 실드쉘(6)의 내부에 수용되는 피수용부(8b)를 갖는다. 전부(8a)와 피수용부(8b)와의 사이의 전주에는 실드쉘(6)의 전단(6a)가 위치하는 단부(8c)가 형성되어 있다. 절연 하우 징(8)의 전부(8a)의 전면(감합면)에는 피수용부(8b)에 이르는 감합요부(10)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감합요부(10) 내의 중앙 및 절연 하우징(8)의 후부 중앙에는 커넥터(1)의 삽발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나아가 커넥터(1)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판상부(12a) 및 판상부(와이어 접속부:12b)가 각각 절연 하우징(8)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판상부(12a)는 감합요부(10) 내를 전방으로 연장되고, 판상부(12b)는 절연 하우징(8)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절연 하우징(8)에는, 각 판상부(12a, 12b)의 상하 양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콘택트 삽통공 (14)가 커넥터(1)의 폭방향을 따라 소정의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이 콘택트 삽통공(14)에 차동 전송 콘택트(이하, 콘택트라고 한다) 16(16a, 16b) 및 접지 콘택트(16c)가 압입되어 취부된다(도 4). 한편, 케이블(50)의 내부에 수용된 복수의 전선(53)의 심선(도체:53b)는 판상부(12b)에서 콘택트(16)의 후부에 납땜된다.
그리고 커넥터(1)의 실드쉘(6)의 전부 상면에는 전방에 고정단을 갖는 기판용 커넥터(100)과 서로 계합하는 탄성 잠금편(18)이 설치되어 있다. 탄성 잠금편(18)에는 타방의 기판용 커넥터(100)과 감합한 때에, 기판용 커넥터(100)가 도시되지 않은 계합 돌기와 계합하는 계합공(18a)(도 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탄성 잠금편(18)은 엔클로져(4)의 상면의 환공(20)으로부터 돌출하는 조작 버튼(20a)와 연동하고 있고, 조작 버튼(20a)를 압압함으로써, 탄성 잠금편(18)을 하방 즉, 실드쉘(6) 측에 휘게 하여 계합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이 구조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는 아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커넥터(1)에 사용되는 케이블(50)의 일 예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커넥터(1)에 접속되는 케이블(50)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확대횡단면도이다. 케이블(50)은 외주가 원형인 절연성의 외피(쟈켓: 50a), 이 외피(50a)의 내면에 전자차폐용 편조선(50b), 더욱이 그 내측에 알루미늄 증착필름(50c)의 층을 갖는다. 게다가 그 내측의 공간에는 5가닥의 세경 케이블(52)가 필러(56)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각 세경 케이블(52)는 같은 구조를 하고 있으므로, 1가닥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세경 케이블(52)는 실선으로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절연성의 외피(52a), 이 외피(52a) 내에 배치되는 1쌍의 전선(53) 및 접지선 (52b)를 갖는다. 외피(52a) 내에는 외피(52a)에 따라 알루미늄박 등의 접지 도체가 전선(53)과 접지선(52b)를 덮도록 배치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2가닥의 전선(53)의 각각은 절연성의 외피(53a)와 도체 즉 심선(53b)를 갖는다. 전선(53)은 서로 비틀린 씰 데드?트위스티드?페어 케이블로서 외피(52a) 내에 수용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케이블(50)의 각 전선(53)의 심선(53b)가, 콘택트(16)에 접속된 상태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판상부(12b) 상의 콘택트(16)에 납땜된 전선(53) 및 접지선(52b)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판상부(12b)의 표면에는 콘택트 삽통공(14)에 대응하고, 홈(22)가 형성되어 있고, 콘택트(16)은 이 홈(22) 내에 배치되어 있다. 각 콘택트(16)은 +신호용 콘택트(16 a), -신호용 콘택트(16b), 접지(G)용 콘택트(16c)의 3 종류가 있다. 트위스티드 패어의 전선(53, 53)의 각 심선(53b)는 외피(53a)가 박리되어, 판상부(12b)의 상단(제 1 열)측에 위치하는 +신호용 콘택트(제 1 콘택트:16a) 및 하단(제 2 열)측 에 위치하는 -신호용 콘택트(제 2 콘택트:16b)에 납땜된다. 같은 열의 +신호용 및 -신호용 콘택트(16) 사이에 위치하는 접지 콘택트(16c)에는 접지선(52b)가 접속된다. 1개의 접지 콘택트(16c)는 분기시켜 판상부(12b)의 양면에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가는 전선을 배치했을 경우의 피치(P)와 같은 피치로 배치된 콘택트(16a, 16b)에는 대경 전선(53)을 그 외피(53a)가 서로 간섭하는 일 없이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있어서, 상단에 +신호용 콘택트(16a)를 배치하고, 하단에 -신호용 콘택트(16b)를 배치했지만, 상하가 역인 관계가 되어도 좋다. 또, 상단 및 하단의 각 열에 있어서, +신호용 콘택트 (16a)와 -신호용 콘택트(16b)가 혼재해도 좋다. 그러나, 각 열의 신호용 콘택트(16a, 16a) 또는 (16a, 16b) 혹은 (16b, 16b) 사이에는 반드시 접지용 콘택트(16c)가 배치된다. 또, 상단 및 하단의 콘택트(16)은 도 4에 나타내듯이 수평 방향으로 약간 어긋나게 하여 배치해도 좋고, 상하 방향으로 정렬하여 배치해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콘택트(16)으로서 금속제의 선재로 형성된 것이 사용되었지만, 판상부(12) 대신에 절연 하우징(8)과는 별도의 기판을 사용하고, 이 기판에 콘택트(16)에 상당하는 도전 패턴을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절연 하우징(8)에는 판상부(12)에 대응하는 부분에 기판을 삽입하는 슬롯을 설치하고 이 슬롯 내에 도전 패턴이 형성된 기판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도전패턴으로 콘택트가 형성된 경우는 일방측에 형성된 접지용 도전 패턴은 기판의 비어홀을 통해 일방측에 형성된 도전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필요하면, 기판 상에 이퀼라이저 회로 등 을 형성해도 좋다.
다음으로,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타방의 기판용 커넥터(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기판용 커넥터(100)을 나타내고, 도 5a는 평면도, 도 5b는 정면도, 도 5c는 배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6은 도 5의 기판용 커넥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기판용 커넥터(100)은 전방에 개구하는 감합요부(102)가 형성된 대략 직방형의 절연 하우징(104)를 갖는다. 감합요부(102)에는 전술한 커넥터(1)의 감합부(2)가 삽입된다. 감합요부(102) 내에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잔되는 1쌍의 리브(106, 106)이 하우징(104)와 일체로 전방돌출하고 있다. 2개의 리브(106, 106) 사이의 틈에는 커넥터끼리의 감합 시에 커넥터(1)의 판상부(12a)가 삽입된다. 즉 리브(106)이 기판용 커넥터(100)의 감합부가 된다. 각 리브(106)의 대향하는 면에는 콘택트(108)을 배치하기 위한 콘택트 수용홈(110)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4)에는 콘택트 수용홈(110)에 연통하는 콘택트 삽통공(114)가 형성되어 있고 콘택트(108)은 이 콘택트 삽통공(114)에 압입되어 하우징(104)에 고정된다.
콘택트(108)은 상측 열에 위치하는 +신호용 콘택트(108a), 하측의 열에 위치한다. -신호용 콘택트(108b) 및 접지용 콘택트(108c)로 구성되어 있다. 각 콘택트 108(108a, 108b, 108c)의 타인부 112(112a, 112b, 112c)는 하우징(104)의 후부로부터 연출하여 기판B(도 1)에 표면 실장되지만, 상측 콘택트(108)의 타인부(112)와 하측 콘택트 (108)의 타인부(112)의 길이는 동일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도 1에 가장 잘 나타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상측 콘택트(108a)의 타 인부(112a)는 하우징(104)로부터 하향으로 후방에 비스듬하게 연출하는 경사부(113a)를 갖고, 하측 콘택트(108b)의 타인부(112 b)는 하우징(104)로부터 상향 비스듬하게 연출하는 경사부(113b)를 갖는다. 이들 경사부(113a, 113b)는 서로 거의 같은 위치까지 후방으로 연장되고 이에 의해 타인부(112a, 112b)의 하우징 (104)로부터 연출하여 기판B에 이를 때까지의 길이, 즉 전기장이 같게 된다. 타인부(112a, 112b)가 같은 길이가 됨으로써, 각각의 콘택트(108a, 108b)를 통하는 디지털 신호의 전송 시간의 차이, 즉 스큐가 해소된다. 또한, 2열로 배치된 콘택트(108)은 타인부(112)의 하부에서 기판 B를 따라 직각으로 절곡진 기판 접속부(109)에서 1열로 변환되어 있다(도 5a). 이에 의해, 기판 B상에 차지하는 기판 접속부(109)의 점유 면적이 작아진다.
전술한 하우징(104)에는 하우징(104)의 전면(116)측으로부터 하우징 (104)를 거의 덮는 실드쉘(118)이 피관된다. 실드쉘(118)은 하우징(104)의 전면(116)을 덮는 전벽(118c)과 이 전벽(118c)로부터 후방으로 연출하여 하우징(104)의 상벽(104a(도 6))를 덮는 상벽(118a) 및 하우징(104)의 측벽(104b)를 덮는 측벽(118b)를 갖는다. 전벽(118c)는 기판용 커넥터(100)의 감합면이 된다. 또한, 실드쉘(118)의 전벽(118c)에는 실드쉘(118)이 하우징(104)에 취부된 때에, 감합요부(102) 내에 비스듬하게 연출하는 복수의 접지설편 (120)이 돌설되어 있다. 이 접지설편(120)은 커넥터끼리의 감합시에 커넥터(1)의 실드쉘(6)과 접촉하여 연속한 접지도체를 형성하게 되어 있다. 또, 실드쉘(118)에는 기판 B에 실드쉘(118)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리텐션 레그(122)가 일체로 하향 돌설되어 있다.
다음으로, 기판용 커넥터(100)의 콘택트(108)의 배치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기판용 커넥터(100)의 감합면 측에서 본 콘택트(108)의 배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하우징(104)의 대략 중앙에 2열로 배치되어 있는 것은 콘택트 삽통공(114)이다. 각 콘택트 삽통공(114)에는 콘택트(108)이 배치되지만, 도 7에서는 일부의 콘택트(108)만을 나타내고, 그 외는 종별만을 나타내고 콘택트 (108)은 생략되어 있다. 상측 콘택트(108)은 +신호용 콘택트(108 a)와 G로 나타내는 접지용 콘택트(108c)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하측에 위치하는 콘택트(108)은 -신호용 콘택트(108b)와 접지용 콘택트(108c)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콘택트(108)의 배치는 커넥터(1)의 콘택트(16)의 배치에 대응한 것이 되어 있다. 따라서, 상단 및 하단의 콘택트(108)은 도 7에 나타내듯이 수평 방향으로 약간 비켜서 배치해도 괜찮고, 상하방향으로 정렬해 배치해도 괜찮다. 또한, 상단 및 하단의 콘택트(108)을 서로 반 피치 어긋나게 함으로써, 콘택트(108)을 평면시로 직선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콘택트(108)의 제조, 하우징(104)에의 콘택트 (108)의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또, 콘택트(108)은 휨만을 변경하는 것으로써 공용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콘택트(108)의 배치는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7과는 반대로, 상단측에 -신호용 콘택트(108b), 하단측에 +신호용 콘택트(108a)가 각각 배치되어도 좋고, 혹은 상단측에 +와 -의 콘택트(108)이 혼재하고, 하단 측에도+와 -의 콘택트(108)이 혼재해도 좋다. 그러나, 각 열의 신호용 콘택트(108) 사이에는 반드시 접지용 콘택트(108c)가 배치된다. 기판 접속부(109)에 있어서, 접지용 콘택트(108c)는 쌍이 된 신호용 콘택트(108)의 사이에 2개 배치된다. 이에 의해 크로스토크가 큰 폭으로 저감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커넥터(1)과 기판용 커넥터(100)이 서로 감합하면, 도 1에 나타내듯이 콘택트(16)과 콘택트(108)의 접촉편 (111)이 판상부(12a)의 부분에서 서로 접촉하여 양 커넥터(1, 100)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음으로, 커넥터(1)의 변형예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 1의 커넥터(1)과 같은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200)을 나타내고, 도 8a는 평면도, 도 8b는 측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커넥터(200)이 커넥터(1)과 상이한 점은 탄성 잠금편(18) 대신에 실드 쉘(206)의 상면에 돌기(202)를 돌설하고, 타방의 커넥터(100)과 감합한 때에, 커넥터(100)의 감합요부(102)와 마찰 계합하게 되어 있는 점이다. 따라서, 엔크로져(204)에는 커넥터(1)에 보이는 환공(20)이나 환공(20)으로부터 돌출하는 조작 버튼(20a)가 없다. 그 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커넥터(1)과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기판용 커넥터(100)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내는 기판용 커넥터(100)과 유사한 다른 기판용 커넥터(300)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기판용 커넥터(300)이 기판용 커넥터(100)과 다른 점은 콘택트(308)의 타인부(312)의 형상이다. 상단의 콘택트(308a)나, 하단의 콘택트(308b)나 하우징(304)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한 후, 대략 직각으로 기판 B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는 상단의 콘택트(308a)의 타인부 (312a)와 하단의 콘택트(308b)의 타인부(312b)와의 길이는 상이하지만 휨부의 수가 줄어드므로, 콘택트(308)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Claims (5)

  1. 절연 하우징과,
    해당 절연 하우징에 보호 유지되는 복수의 차동 전송 콘택트쌍 및 해당 차동 전송 콘택트쌍에 각각 대응하는 접지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차동 전송 콘택트쌍 및 상기 접지 콘택트가 감합부 및 와이어 접속부에 있어서 2열로 배열되고,
    상기 감합부에서 상기 차동 전송 콘택트쌍의 일방을 구성하는 제 1 콘택트가 제 1 열에 배치되는 것과 동시에, 타방을 구성하는 제 2 콘택트가 제 2 열에 배치되고,
    상기 각 열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제 1 콘택트 사이 및 이웃하는 상기 제 2 콘택트 사이에 상기 접지 콘택트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전송 커넥터.
  2. 절연 하우징과,
    해당 절연 하우징에 보호 유지되는 복수의 차동 전송 콘택트쌍 및 해당 차동 전송 콘택트쌍에 각각 대응하는 접지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차동 전송 콘택트쌍 및 상기 접지 콘택트가 감합부에 있어서 2열로 배열되어 기판 접속부에서 1열로 변환되어 배열되고,
    상기 감합부에서 상기 차동 전송 콘택트쌍의 일방을 구성하는 제 1 콘택트가 제 1 열에 배치되는 것과 동시에, 타방을 구성하는 제 2 콘택트가 제 2 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각 열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제 1 콘택트 사이 및 이웃하는 상기 제 2 콘택트 사이에 상기 접지 콘택트가 배치되고,
    상기 기판 접속부에서는 이웃하는 상기 차동 콘택트쌍의 사이에 2개의 상기 접지 콘택트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취부용 차동 전송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열에 있어서 일방 측의 상기 제 1 콘택트 및 상기 접지 콘택트 및 상기 타방 측의 상기 제 2 콘택트 및 상기 접지 콘택트가 소정의 피치로 배열되어 있는 것과 동시에, 상기 일방 측의 각 콘택트의 위치와 상기 타방측의 각 콘택트의 위치가 서로 반 피치씩 어긋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취부용 차동 전송 커넥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콘택트와 상기 제 2 콘택트의 상기 절연 하우징으로부터 연출하여 기판에 접속되는 타인부의 길이가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취부용 차동 전송 커넥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콘택트와 상기 제 2 콘택트의, 상기 절연 하우징으로부터 연출하여 기판에 접속되는 타인부의 길이가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취부용 차동 전송 커넥터.
KR1020087014491A 2005-11-17 2006-11-02 차동 전송 커넥터 및 이것과 감합하는 기판 취부용 차동전송 커넥터 KR1012066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33152A JP4738990B2 (ja) 2005-11-17 2005-11-17 差動伝送コネクタおよびこれと嵌合する基板取付用差動伝送コネクタ並びに差動伝送コネクタ組立体
JPJP-P-2005-00333152 2005-11-17
PCT/JP2006/321982 WO2007058079A1 (ja) 2005-11-17 2006-11-02 差動伝送コネクタおよびこれと嵌合する基板取付用差動伝送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2720A KR20080072720A (ko) 2008-08-06
KR101206697B1 true KR101206697B1 (ko) 2012-11-29

Family

ID=38048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4491A KR101206697B1 (ko) 2005-11-17 2006-11-02 차동 전송 커넥터 및 이것과 감합하는 기판 취부용 차동전송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11099B2 (ko)
EP (1) EP1950846A4 (ko)
JP (1) JP4738990B2 (ko)
KR (1) KR101206697B1 (ko)
CN (1) CN101351932B (ko)
TW (1) TWM320220U (ko)
WO (1) WO20070580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5868A1 (en) 2007-08-23 2009-02-26 Molex Incorporated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CN102656755B (zh) * 2009-12-28 2015-05-06 泰科电子日本合同会社 基板安装连接器
JP5554619B2 (ja) * 2010-04-13 2014-07-23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JP4976568B1 (ja) 2011-04-18 2012-07-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8425257B2 (en) * 2011-04-25 2013-04-23 Apple Inc. Edge connector for shielded adapter
CN103037614B (zh) * 2011-09-30 2015-10-07 无锡江南计算技术研究所 一种提高高速背板串扰性能的背板及其设计方法
CN102412453B (zh) * 2011-12-30 2013-11-06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制作方法
JP6966271B2 (ja) 2017-09-15 2021-11-10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基板実装型シールドコネクタ
CN109980385A (zh) * 2019-04-18 2019-07-05 西安微电子技术研究所 一种高低速混装连接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4203A (ja) 2000-09-11 2002-03-29 Nec Yonezawa Ltd フレキシブル回路板および同用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4806A (en) * 1969-10-31 1972-01-11 Thomas & Betts Corp Matched impedance connector
US4732565A (en) * 1985-05-28 1988-03-22 Mg Company, Ltd. Electric connector
US4802860A (en) * 1987-03-04 1989-02-07 Hirose Electric Co., Ltd. Surface mount type electrical connector
JP4248042B2 (ja) * 1998-02-25 2009-04-02 スリーエム カンパニー コネクタのコンタクトに差動信号を割り当てる方法及びケーブルアセンブリ
TW456619U (en) * 1999-07-16 2001-09-21 Molex Inc Impedance-tuned termination assembly and connectors incorporating same
US6280209B1 (en) * 1999-07-16 2001-08-28 Molex Incorporated Connector with improved performance characteristics
US6350134B1 (en) * 2000-07-25 2002-02-2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riad contact groups arranged in an alternating inverted sequence
JP3645170B2 (ja) * 2000-10-27 2005-05-1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電気ケーブル端部構造および電気ケーブル端部処理方法
ATE313864T1 (de) 2001-06-11 2006-01-15 Molex Inc Impedanzabgestimmter verbinder mit hoher dichte
US6540559B1 (en) * 2001-09-28 2003-04-0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with staggered contact pattern
JP2003109708A (ja) * 2001-09-28 2003-04-11 D D K Ltd 多芯高速信号伝送コネクタ
EP1516395B1 (en) * 2002-06-21 2007-05-30 Molex Incorporated High-density, impedance-tuned connector having modular constru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4203A (ja) 2000-09-11 2002-03-29 Nec Yonezawa Ltd フレキシブル回路板および同用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58079A1 (ja) 2007-05-24
KR20080072720A (ko) 2008-08-06
CN101351932B (zh) 2011-06-08
US7811099B2 (en) 2010-10-12
US20090181564A1 (en) 2009-07-16
JP2007141619A (ja) 2007-06-07
CN101351932A (zh) 2009-01-21
EP1950846A4 (en) 2011-01-19
TWM320220U (en) 2007-10-01
JP4738990B2 (ja) 2011-08-03
EP1950846A1 (en) 200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6697B1 (ko) 차동 전송 커넥터 및 이것과 감합하는 기판 취부용 차동전송 커넥터
US7147512B2 (en) Connector assembly
US6561849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outer conductive shell
US10741941B2 (en) Plug connector assembly having an insulative member
US5679008A (en) Electrical connector
US7651379B1 (en) Cable assembly with improved termination disposition
JP4691738B2 (ja) シールド機能を有するコネクタ装置
US7232346B2 (en)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with additional signal contacts
US7467969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wire management member
US6955568B1 (en) Miniature cable connector with contact holder
JP2010010102A (ja) ケーブルコネクタ
US7357679B2 (en) Cable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s
CN101557055B (zh) 屏蔽壳及基板组件
US11411356B2 (en) Electrical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a grounding layer clamped to a circuit board
US7892028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US6872084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6097165B2 (ja) コネクタ
WO2008042656A1 (en) Connector assembly
KR20070051362A (ko)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리드를 포함하는 커넥터 및커넥터 조립체
US20140017944A1 (en) Cable assembly
US20030124904A1 (en) Cable assembly having arrangement for organizing cable
JP2022183602A (ja) 多連同軸コネクタ
JP2006032208A (ja) 電気コネクタ
US11688963B2 (en) Cable shield structure for electrical device
US20240063587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