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429B1 - 개폐체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개폐체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429B1
KR101205429B1 KR1020117005649A KR20117005649A KR101205429B1 KR 101205429 B1 KR101205429 B1 KR 101205429B1 KR 1020117005649 A KR1020117005649 A KR 1020117005649A KR 20117005649 A KR20117005649 A KR 20117005649A KR 101205429 B1 KR101205429 B1 KR 101205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utral
latch
closing
opening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5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4284A (ko
Inventor
에이지 이타미
다케시 니시키베
Original Assignee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44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4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20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for assisting final closing or for initiating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66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bolt position, i.e. the latching st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66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bolt position, i.e. the latching status
    • E05B81/68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bolt position, i.e. the latching status by sensing the position of the det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05Y2201/22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3Actuation thereof
    • E05Y2201/232Actuation thereof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50Fault detection
    • E05Y2400/514Fault detection of spe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5Emergency conditions
    • E05Y2800/252Emergency conditions the elements functioning only in case of emergenc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44Multiple head
    • Y10T292/1045Operating means
    • Y10T292/1047Clo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75Operating means
    • Y10T292/1082Motor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개폐체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체 제어장치는, 클로즈 영역, 릴리스 영역, 및 중립 영역을 포함한 이동 영역 사이에서 이동 변위되는 변위체; 상기 변위체가 중립 영역의 클로즈 영역측 제1 경계부를 통과했을 때에 제1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중립 감지 제1 스위치; 변위체가 중립 영역의 릴리스 영역측 제2 경계부를 통과했을 때에 제2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중립 감지 제2 스위치; 및 변위체의 클로즈 동작 후에 수행되는 중립복귀 동작 개시 후, 소정 시간 내에 제1 감지신호 및 제2 감지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개폐체의 이동 속도를 저하시키는 브레이크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개폐체 제어장치{DEVICE FOR CONTROLLING OPENING/CLOSING BODY}
본 발명은, 래치(latch)와 스트라이커(striker)의 결합 상태를 확립시키는 클로즈(close) 조작 및 래치와 스트라이커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는 릴리스(release) 조작을 모터의 동작에 기초한 회동 변위에 의해 수행할 수 있는 개폐체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추에이터의 출력축을 정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잠금 조작을 수행하고, 역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잠금 해제 조작을 수행하는 자동차용 도어록 조작장치가 알려져 있다. 또한,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의 동력을 받는 변위체로서의 피동 기어(driven gear)를 일방향으로 변위시킴으로써 래치를 회동시켜 스트라이커를 인입하는 클로즈 동작을 수행하고, 피동 기어를 타방향으로 변위시킴으로써 래치와 폴의 결합을 해제하도록 폴을 회동시키는 릴리스 동작을 수행하는 차량용 도어 클로저 장치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장치에서는, 섹터 기어와 같은 모터 동력을 받는 변위체를 중립 영역을 기준으로 릴리스 방향으로 변위시킴으로써 래치와 스트라이커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릴리스 기능 및 변위체를 중립 영역을 기준으로 클로즈 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래치가 스트라이커를 인입하는 클로즈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릴리스 기능 또는 클로즈 기능을 실행한 후에, 모터 동력에 의해 변위체를 중립 영역으로 변위시키는 경우, 모터 정지 제어를 위해 스위치 등의 중립 감지 수단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중립 감지 수단이 고장난 경우에는, 변위체가 변위 종단까지 이동하게 될 우려가 있다. 즉, 클로즈 동작 실행 후에 중립 영역에서 정지되지 않고 릴리스 동작으로 이행하게 되어, 일단 폐쇄된 도어가 개방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릴리스 동작 실행 후에 중립 영역에서 정지되지 않고 클로즈 동작으로 이행하게 되어, 일단 개방된 도어가 폐쇄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는 기술로서 하기에 개시하는 비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변위체의 중립 영역에의 복귀 동작(중립 복귀 동작)이 소정 시간 이상 경과(타임오버)하면, 강제적으로 릴리스 작동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있다. 이에 더하여, 비특허문헌 1에서는, 중립 복귀 동작에 있어서 클로즈 작동 개시 조건(하프 래치 스위치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가 되면서, 백 도어 커티시 램프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된 상태)이 갖추어지면, 클로즈 작동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있다.
그러나, 비특허문헌 1과 같이, 중립 복귀 동작 중에 있어서의 클로즈 작동 개시 조건의 성립에 의한 클로즈 작동은, 예를 들면 중립 복귀 동작이 릴리스 작동으로부터의 중립 복귀 동작인 경우, 래치와 스트라이커가 맞물리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클로즈 동작이 이루어져, 래치가 헛돌아서 외측에서 맞물림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는 앞의 릴리스 작동에 의해 래치와 스트라이커의 맞물림이 어긋나 있기 때문이며, 그 결과, 백 도어를 완전 폐쇄 상태로 유지할 수 없어 백 도어가 차체에 대해 유지되지 않는 프리 상태가 되어, 이용자의 의도에 반해 백 도어가 개폐 동작하게 될 우려가 있다.
에스티마 하이브리드 신형차 해설서(제11장 보디 & 일렉트리컬 백 도어 11-66 ~ 11-69 도요타지도샤 가부시키가이샤 2006년 6월 12일 발행)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래치를 해제한 후, 이용자의 의도에 반해 개폐체가 개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개폐체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 제어장치의 특징 구성은, 개폐체를 자동으로 개폐시키고, 스트라이커의 인입과 개방을 수행하는 래치; 래치 조작기구를 통해 상기 래치를 조작하는 동시에, 상기 래치를 인입 상태로 만드는 클로즈 영역, 상기 래치를 개방 상태로 하는 릴리스 영역, 및 상기 클로즈 영역과 상기 릴리스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중립 영역을 포함한 이동 영역 사이에서 이동 변위되는 변위체; 상기 변위체가 상기 중립 영역의 상기 클로즈 영역측 제1 경계부를 통과했을 때에 제1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 감지부; 상기 변위체가 상기 중립 영역의 상기 릴리스 영역측 제2 경계부를 통과했을 때에 제2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 감지부; 및 상기 변위체의 클로즈 동작 후에 상기 변위체를 상기 클로즈 영역에서 상기 중립 영역으로 복귀시키는 중립 복귀 동작 개시 후,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제1 감지신호 및 상기 제2 감지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개폐체의 이동 속도를 저하시키는 브레이크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하는 점에 있다.
이와 같은 특징 구성으로 하면, 제1 감지부로부터의 제1 감지신호 및 제2 감지부로부터의 제2 감지신호를 검출할 수 없어, 개폐체가 이동을 개시한 경우라도, 클로즈 동작에 있어서의 중립 복귀 동작 개시 후, 제어유닛이 소정 시간 경과 후에 개폐체의 이동 속도를 저하시키도록 제어하므로, 이용자의 의도에 반해 개폐체가 개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 제어장치의 다른 특징 구성은, 개폐체를 자동으로 개폐시키고, 스트라이커의 인입과 개방을 수행하는 래치; 래치 조작기구를 통해 상기 래치를 조작하는 동시에, 상기 래치를 인입 상태로 만드는 클로즈 영역, 상기 래치를 개방 상태로 하는 릴리스 영역, 및 상기 클로즈 영역과 상기 릴리스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중립 영역을 포함한 이동 영역 사이에서 이동 변위되는 변위체; 상기 변위체가 상기 중립 영역의 상기 클로즈 영역측 제1 경계부를 통과했을 때에 제1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 감지부; 상기 변위체가 상기 중립 영역의 상기 릴리스 영역측 제2 경계부를 통과했을 때에 제2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 감지부; 및 상기 변위체의 릴리스 동작 후에 상기 변위체를 상기 릴리스 영역에서 상기 중립 영역으로 복귀시키는 중립 복귀 동작 개시 후,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제1 감지신호 및 상기 제2 감지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래치에 의한 상기 스트라이커의 인입 동작 조건이 성립한 경우에, 클로즈 동작을 개시하는 동시에, 상기 개폐체의 이동 속도를 저하시키는 브레이크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하는 점에 있다.
이와 같은 특징 구성으로 하면, 변위체의 릴리스 동작 후에 수행되는 상기 변위체의 중립 복귀 동작에 있어서, 소정 시간 내에 제1 감지신호 및 제2 감지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래치에 의한 스트라이커의 인입 동작 조건이 성립한 경우에는, 클로즈 동작이 개시되는 동시에, 브레이크 제어가 수행된다. 따라서, 만일 스트라이커와 래치가 결합 불가능한 상태에서 클로즈 동작이 수행된 경우라도, 브레이크 제어에 의해 개폐체의 이동 속도가 규제되므로, 이용자의 의도에 반해 개폐체가 개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트라이커와 래치가 결합 불가능한 상태에서 충돌하게 되는 것도 억제되어 스트라이커 및 래치의 파손이나 변형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중립 복귀 동작 개시 후, 상기 제1 감지신호 및 상기 제2 감지신호가 검출되지 않고 상기 클로즈 동작이 수행된 경우에, 상기 개폐체의 이동 속도를 감시하고, 상기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브레이크 제어의 유무를 판단하면 적합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정상적인 폐쇄 동작에 기초한 개폐체의 이동 속도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확실하게 이용자의 의도에 반해 개폐체가 개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체와 상기 개폐체를 개폐하는 모터 사이에 상기 모터의 동력을 단속(斷續)하는 클러치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브레이크 제어는, 상기 개폐체의 이동 속도를 미리 설정된 소정 속도 이하로 하는 제어이면 적합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이용자의 의도에 반해 개폐체가 개폐된 경우라도, 개폐체의 이동 속도를 용이하게 소정 속도 이하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개폐체의 이동 속도와 상기 클러치 기구의 단속(斷續) 시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맵에 기초하여 상기 브레이크 제어를 수행하면 적합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개폐체의 이동 속도에 따라 클러치 기구의 단속 시간을 용이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개폐체의 브레이크 제어를 적절히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브레이크 제어시에 있어서는 상기 개폐체의 이동 속도를 제로로 하도록 제어하면 적합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개폐체가 갑자기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개폐체 제어장치를 탑재한 차량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스트라이커 및 도어록 장치의 확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어 개폐 조작기구의 잠금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어 개폐 조작기구의 해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각 스위치의 출력 전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어유닛의 개략적인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7은 클로즈 동작에 관계되는 섹터 기어의 회동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릴리스 동작에 관계되는 섹터 기어의 회동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클로즈 동작에 관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릴리스 동작에 관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 제어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개폐체 제어장치(100)는 개폐체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폐체 제어장치(100)를, 차량이 구비하는 슬라이드 도어(3)의 개폐를 수행하는 경우에 적용한 예를 설명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개폐체는 차량이 구비하는 슬라이드 도어(3)가 해당된다. 도 1은 개폐체 제어장치(100)를 탑재한 차량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개폐체 제어장치(100)가 구비하는 스트라이커(2) 및 도어록 장치(4)의 확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는 개폐체 제어장치(100)를 탑재한 차체(1)와 슬라이드 도어(3) 사이에 설치된 도어 개폐장치(4)가 도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어 개폐장치(4)는 슬라이드 도어(3)측에 도어 개폐 조작기구(40)와 차체(1)측에 설치된 스트라이커(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 스트라이커(2)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어 개폐장치(4)와 함께, 슬라이드 도어(3)를 개방했을 때에 나타나는 차체(1)의 개구부의 차량 후방측에 설치된다. 물론, 개구부의 차량 전방측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또한, 슬라이드 도어(3)의 외측 측면에는 오픈 핸들(3a)이 설치된다.
도어 개폐 조작기구(40)는 슬라이드 도어(3)의 잠금 동작과 잠금 해제 동작을 수행한다. 도 3은 도어 개폐 조작기구(40)의 잠금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어 개폐 조작기구(40)의 해제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어록 장치(4)는 스트라이커(2)의 인입과 개방을 수행하는 래치(41), 래치(41)의 회전을 래칫(ratchet) 방식으로 규제하는 폴(42), 및 래치(41)나 폴(42)을 조작하는 래치 조작기구(50)를 가지며 구성된다. 래치(41)는 스트라이커(2)를 슬라이드 도어(3)의 본체측에 인입 조작할 수 있는 판상 부재로 형성된다.
래치 조작기구(50)에 조작 변위를 부여하기 위해, 모터(61), 상기 모터(61)의 회전을 변속하는 변속 기어 쌍으로서 기능하는 피니언 기어(62), 및 래치 조작기구(50)를 통해 래치(41)를 조작하는 섹터 기어(본 발명에 따른 변위체에 해당)(63)가 구비된다. 섹터 기어(63)는 도시하지 않은 하우징에 배치된 회동축(63a) 주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섹터 기어(63)는 래치(41)를 인입 상태로 만드는 클로즈 영역, 래치(41)를 개방 상태로 하는 릴리스 영역, 및 클로즈 영역과 릴리스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중립 영역을 포함한 이동 영역 사이에서 이동 변위된다. 이러한 이동은 모터(61)로부터 출력되는 회전 동력에 의해 실현된다.
래치(41)는 도시하지 않은 하우징에 배치된 지지축(41a) 주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프링 등(미도시)에 의해 도 3의 (a)와 같은 복귀 자세로 가압된다. 래치(41)에는 제1 아암부(411) 및 제2 아암부(412)가 형성되고, 그 사이에 스트라이커(2)를 수용할 수 있는 삽입홈부(413)가 형성된다. 제1 아암부(411)에는 하프 래치 위치에서 폴(42)의 접촉 작용부(421)에 결합하는 하프 결합면(414)이 형성된다. 또한, 제2 아암부(412)에는 풀 래치 위치에서 폴(42)의 접촉 작용부(421)에 결합하는 풀 결합면(415)이 형성된다.
폴(42)은 지지축심(42a) 주위에서 결합 자세와 이탈 자세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그 결합 자세나 이탈 자세에 있어서, 폴(42)의 접촉 작용부(421)가 래치(41)의 제1 아암부(411)나 제2 아암부(412)의 회전 궤적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폴(42)은 스프링 등(미도시)에 의해 결합 자세로 복귀하도록 가압된다.
래치(41)의 회동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검출기로서, 래치(41)와 일체적으로 지지축(41a) 주위를 회동하는 피검출통에 로터리 스위치형의 하프 래치 스위치(81)와 풀 래치 스위치(82)가 설치된다. 하프 래치 스위치(81)는 래치(41)가 하프 래치 영역에 있는 것을 감지한다. 그리고, 풀 래치 스위치(82)는 래치(41)가 풀 래치 영역에 있는 것을 감지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하프 래치 스위치(81)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래치(41)가 개방 위치로부터 하프 래치 위치의 바로 앞에 도달했을 때에 High(온)에서 Low(오프)로 전환된다. 마찬가지로, 풀 래치 스위치(82)는 래치(41)가 하프 래치 위치로부터 풀 래치 위치의 바로 앞에 도달했을 때에 High(온)에서 Low(오프)로 전환된다.
도 3으로 되돌아와서 폴(42)의 회동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검출기로서, 폴(42)과 일체적으로 지지축(42a) 주위를 회동하는 피검출통에 로터리 스위치형의 폴 스위치(83)가 설치된다. 폴 스위치(83)는 폴(42)이 래치(41)와 결합 자세인 것을 감지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폴 스위치(83)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폴(42)이 래치(41)의 제1 아암부(411)와 결합하는 하프 래치 위치를 포함한 그 바로 앞의 영역에 위치해 있을 때에 High(온)가 된다. 또한, 폴 스위치(83)는 폴(42)이 래치(41)의 제2 아암부(412)와 결합하는 풀 래치 위치를 포함한 그 바로 앞의 영역에 위치해 있을 때에 High(온)가 된다. 즉, 슬라이드 도어(3)의 클로즈 동작에 있어서, 폴 스위치(83)의 1회째 하강점이 하프 래치 위치에 대응되며, 2회째 하강점이 풀 래치 위치에 대응된다.
래치 조작기구(50)는 클로즈 조작기구(51)(도 3 참조)와 릴리스 조작기구(52)(도4 참조)를 갖는다. 클로즈 조작기구(51)는 섹터 기어(63)의 회동 변위를 입력으로 하고 래치(41)에 대한 회동 조작을 출력으로 한다. 릴리스 조작기구(52)는 섹터 기어(63)의 회동 변위를 입력으로 하고 폴(42)에 대한 회동 조작(결합 이탈 조작)을 출력으로 한다. 클로즈 조작기구(51)가 기능하는 섹터 기어(63)의 회동 영역인 클로즈 영역과 릴리스 조작기구(52)가 기능하는 섹터 기어(63)의 회동 영역인 릴리스 영역은 중립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이하게 되어 있다(상세한 것은 후술함). 따라서, 클로즈 조작기구(51)와 릴리스 조작기구(52)는 따로따로 동작한다.
섹터 기어(63)와 일체적으로 회동축(63a) 주위를 회동하는 피검출통에는 섹터 기어(63)의 회동 변위 자세를 감지하는 로터리 스위치형의 제1 감지부로서의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와 제2 감지부로서의 중립 감지 제2스위치(85)가 설치된다.
도 6은 도어 개폐 조작기구(40)를 제어하는 제어유닛(90)의 개략적인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제어유닛(90)의 입력 포트에는 하프 래치 스위치(81), 풀 래치 스위치(82), 폴 스위치(83),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 중립 감지 제2 스위치(85)가 접속된다. 또한, 제어유닛(90)의 출력 포트에는 도시되지 않은 드라이버를 통해 모터(61)가 접속된다. 또한, 이 제어유닛(90)은 차량의 상태를 평가하여 차량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차량상태 평가 ECU(80)와도 접속되어, 슬라이드 도어(3)의 개폐와 관련된 차량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유닛(90)은 래치 상태 평가부(91), 폴 평가부(92), 변위체 위치 평가부(93), 타이머 제어부(94), 모터 제어부(95), 브레이크 제어부(96)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어유닛(90)은 CPU를 중핵 부재로 하여 슬라이드 도어(3)를 개폐하는 여러 가지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상술한 기능부를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그 양자로 구축하고 있다.
래치 상태 평가부(91)는 하프 래치 스위치(81)나 풀 래치 스위치(82)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래치(41)의 상태를 평가한다. 폴 평가부(92)는 폴 스위치(83)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폴(42)의 상태를 평가한다. 변위체 위치 평가부(93)는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로부터의 제1 감지신호나 중립 감지 제2 스위치(85)로부터의 제2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섹터 기어(63)의 회동 위치를 평가한다. 타이머 제어부(94)는 내부 타이머 등을 이용하여 타이머 제어를 수행한다. 모터 제어부(95)는 래치 상태 평가부(91)나 폴 평가부(92)나 변위체 위치 평가부(93)의 평가 결과 및 타이머 제어부(94)의 타이머 정보에 기초하여 모터(61)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브레이크 제어부(96)는 도어 개폐 조작기구(40)에 대한 제어 과정에 있어서 어떠한 이상 사태가 발생한 경우에, 슬라이드 도어(3)의 이동 속도를 미리 설정된 소정 속도 이하가 되도록 제어한다.
스트라이커(2)를 래치(41)에 인입하는 클로즈 동작은 섹터 기어(63)를 통해 클로즈 조작기구(51)를 조작함으로써 실행된다. 또한, 스트라이커(2)를 래치(41)로부터 개방하는 릴리스 동작은 섹터 기어(63)를 통해 릴리스 조작기구(52)를 조작함으로써 실행된다. 클로즈 동작 및 릴리스 동작을 유도하는 섹터 기어(63)의 회동 영역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클로즈 영역과 릴리스 영역이 중립 영역을 사이에 두도록 구분된다. 또한, 중립 영역의 클로즈측 경계부에 소정의 회동폭을 갖는 제1 경계부가 설정되고, 중립 영역의 릴리스측 경계부에 소정의 회동폭을 갖는 제2 경계부가 설정된다. 제1 경계부의 중립 영역측 경계선을 제1 중립 위치로 하고, 제2 경계부의 중립 영역측 경계선을 제2 중립 위치로 하여 설정된다.
섹터 기어(63)가 클로즈 영역을 클로즈 영역측의 회동 종단인 제1 회동 종단을 향해 회동(도 8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클로즈 동작이 유도된다(도 8의 (a) 참조). 그리고, 섹터 기어(63)의 클로즈 동작 후(클로즈 동작 종료 후)에, 섹터 기어(63)를 클로즈 영역에서 중립 영역으로 복귀시키는 제1 복귀 동작(중립 복귀 동작)이 수행된다. 이러한 제1 복귀 동작에서는, 섹터 기어(63)가 반전 회동(도 8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클로즈 영역을 빠져나와 중립 영역으로 들어가고, 제1 중립 위치에서 정지된다.
또한, 섹터 기어(63)가 릴리스 영역을 제2 회동 종단을 향해 회동(도 8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릴리스 동작이 유도된다(도 8의 (b) 참조). 그리고, 섹터 기어(63)의 릴리스 동작 후(릴리스 동작 종료 후)에, 섹터 기어(63)를 릴리스 영역에서 중립 영역으로 복귀시키는 제2 복귀 동작(중립 복귀 동작)이 수행된다. 이러한 제2 복귀 동작에서는, 섹터 기어(63)가 반전 회동(도 8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릴리스 영역을 빠져나와 중립 영역으로 들어가고, 제2 중립 위치에서 정지된다.
상술한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는 섹터 기어(63)와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피검출통의 둘레면에 형성된 전극면과 이 전극면에 섹터 기어(63)의 특정 회동 범위에서 접촉하는 브러시를 갖는다.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의 전극면은 섹터 기어(63)의 회동 위치가 클로즈 영역 또는 제1 경계부인 경우에 브러시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는 섹터 기어(63)가 중립 영역의 클로즈 영역측 제1 경계부를 통과했을 때에 제1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즉,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는 제1 감지신호로서 섹터 기어(63)의 회동 위치가 클로즈 영역 또는 제1 경계부일 때에 High 신호를 출력한다. 그 밖의 회동 위치에서는 Low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중립 감지 제2 스위치(85)도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와 동일한 구성이지만, 이 전극면은 섹터 기어(63)의 회동 위치가 릴리스 영역 또는 제2 경계부인 경우에 브러시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중립 감지 제2 스위치(85)는 섹터 기어(63)가 중립 영역의 릴리스 영역측 제2 경계부를 통과했을 때에 제2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즉,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립 감지 제2 스위치(85)는 제2 감지신호로서 섹터 기어(63)의 회동 위치가 릴리스 영역 또는 제2 경계부일 때에 High 신호를 출력한다. 그 밖의 회동 위치에서는 Low 신호를 출력한다.
도 3 및 도 4로 되돌아와서 클로즈 동작 및 릴리스 동작에 있어서의 섹터 기어(63)와 래치(41)와 폴(42)의 상태를 설명한다. 도 3의 (a) 내지 (d)는 클로즈 동작과 그 후의 중립 복귀 동작의 양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4의 (a) 내지 (d)는 릴리스 동작과 그 후의 중립 복귀 동작의 양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클로즈 동작은 차체(1)에 대해 개방된 슬라이드 도어(3)를 폐쇄할 때에 수행된다. 슬라이드 도어(3)가 개방 상태에 있는 경우, 릴리스 동작에 부수되는 중립 복귀에 의해 섹터 기어(63)의 회동 위치는 도 3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은 제2 중립 위치가 된다. 개방 상태에 있는 슬라이드 도어(3)를 폐쇄 방향으로 움직이면, 슬라이드 도어(3)측에 배치된 도어 개폐 조작기구(40)가 차체(1)에 고정된 스트라이커(2)에 근접한다. 그리고, 도어 개폐 조작기구(40)에 있어서의 래치(41)의 삽입홈부(413)가 스트라이커(2)를 수용한다.
슬라이드 도어(3)를 더욱 움직이면, 도 3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폴(42)의 접촉 작용부(421)가 래치(41)의 제1 아암부(411)와 결합한다(하프 래치 위치). 래치(41)가 하프 래치 위치에 도달하기 바로 전에 모터(61)가 정회전 구동하여 섹터 기어(63)가 회동한다. 섹터 기어(63)가 회동하면 클로즈 조작기구(51)와 연동되고, 래치(41)가 모터 동력으로 회동하기 시작한다. 또, 이 단계에서는 슬라이드 도어(3)가 차체(1)에 대해 완전히 폐쇄되지는 않는다.
섹터 기어(63)가 더욱 클로즈 영역의 최종 회동 위치까지 회동하면, 도 3의 (c)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폴(42)의 접촉 작용부(421)가 래치(41)의 제2 아암부(412)와 결합한다(풀 래치 위치). 이 단계에서 슬라이드 도어(3)가 차체(1)에 대해 완전히 폐쇄된다.
클로즈 동작이 종료되면, 섹터 기어(63)의 중립 복귀를 위해 모터(61)가 역회전 구동한다. 도 3의 (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섹터 기어(63)의 회동 위치가 제1 중립 위치에 도달하여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의 신호가 High(온)에서 Low(오프)로 변화하면, 거기에서 정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어 개폐 조작기구(40)는 슬라이드 도어(3)의 폐쇄 동작을 수행한다.
릴리스 동작은 차체(1)에 대해 폐쇄된 슬라이드 도어(3)를 개방할 때에 수행된다. 슬라이드 도어(3)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 먼저 수행되고 있는 클로즈 동작에 부수되는 중립 복귀에 의해 섹터 기어(63)의 회동 위치는 도 4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은 제1 중립 위치로 되어 있다. 슬라이드 도어(3)의 오픈 핸들(3a)에 설치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 등의 조작에 의해 모터(61)가 역회전 구동하면, 도 4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섹터 기어(63)가 릴리스 영역 방향으로 회동한다.
섹터 기어(63)가 회동하면 릴리스 조작기구(52)와 연동되고, 폴(42)이 결합 이탈 방향으로 회동하기 시작한다. 도 4의 (c)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폴(42)의 접촉 작용부(421)가 래치(41)로부터 이탈하면, 스프링 가압력에 의해 폴(42)은 이탈 자세인 홈 포지션(home position)으로 되돌아간다. 래치(41)도 스프링 가압에 의해 스트라이커(2)를 개방하는 자세로 되돌아간다. 이 단계에서 슬라이드 도어(3)가 차체(1)에 대해 개방될 수 있다.
릴리스 동작이 종료되면, 섹터 기어(63)의 중립 복귀를 위해 모터(61)가 정회전 구동한다. 도 4의 (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섹터 기어(63)의 회동 위치가 제2 중립 위치에 도달하여 중립 감지 제2 스위치(85)의 신호가 High(온)에서 Low(오프)로 변화하면, 거기에서 정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어 개폐 조작기구(40)는 슬라이드 도어(3)의 개방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본 개폐체 제어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도어(3)의 클로즈 동작이 종료되면, 섹터 기어(63)의 제1 복귀 동작이 수행된다. 제1 복귀 동작에서는, 섹터 기어(63)가 반전 회동하여 클로즈 영역을 빠져나와 중립 영역으로 들어가고, 제1 중립 위치에서 정지된다. 이러한 제1 중립 위치의 검출은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 신호의 High(온)에서 Low(오프)로의 변화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그러나,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의 이상 등에 의해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 신호의 High(온)에서 Low(오프)로의 변화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섹터 기어(63)가 중립 영역을 통과하여 릴리스 영역으로 돌입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 개폐체 제어장치(100)는 슬라이드 도어(3)의 개방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서 오동작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개폐체 제어장치(100)는, 클로즈 동작 후의 제1 복귀 동작에 있어서의 섹터 기어(63)의 검출이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 신호의 High(온)에서 Low(오프)로의 변화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시에, 중립 감지 제2 스위치(85)의 신호가 Low(오프)에서 High(온)로의 변화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클로즈 동작 후의 제1 복귀 동작에 있어서,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 신호의 High(온)에서 Low(오프)로의 변화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중립 감지 제2 스위치(85) 신호의 Low(오프)에서 High(온)로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적절하게 섹터 기어(63)를 중립 영역에서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중립 감지 제2 스위치(85)의 신호가 Low(오프)에서 High(온)로의 변화를 검출한 경우에는, 섹터 기어(63)는 제2 중립 위치에서 정지된다.
또한, 더욱이 본 개폐체 제어장치(100)는, 클로즈 동작 후의 제1 복귀 동작에 있어서,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 신호의 High(온)에서 Low(오프)로의 변화나 중립 감지 제2 스위치(85) 신호의 Low(오프)에서 High(온)로의 변화를 모두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섹터 기어(63)가 릴리스 영역까지 도달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개폐체 제어장치(100)는 슬라이드 도어(3)의 릴리스 동작이 개시되었다고 인식하여 릴리스 동작이 계속되고, 슬라이드 도어(3)가 갑자기 개방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개폐체 제어장치(100)는 슬라이드 도어(3)가 갑자기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개폐체 제어장치(100)가 구비하는 제어유닛(90)은, 제1 복귀 동작 개시 후, 제1 감지신호 및 제2 감지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슬라이드 도어(3)의 이동 속도를 감시하고, 상기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제어의 유무를 판단한다. 즉, 제어유닛(90)은, 제1 복귀 동작 개시 후, 소정 시간 내에 제1 감지신호 및 제2 감지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슬라이드 도어(3)의 이동 속도를 저하시키는 브레이크 제어를 수행한다. 제1 복귀 동작의 개시는 모터(61)의 회전 방향 전환 타이밍이 해당된다. 즉, 제어유닛(90)이, 클로즈 동작에 있어서 모터(61)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제1 복귀 동작으로 이행하기 위해 모터(6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제어하는 타이밍이 해당된다. 제1 복귀 동작 개시 후의 경과 시간은 상술한 타이머 제어부(94)에 의해 계수된다. 그리고, 상기 계수가 미리 설정된 판정 시간에 도달한 경우에, 모터(61)로부터 섹터 기어(63)로 전달되는 동력을 단속해서 브레이크 제어를 수행하여 슬라이드 도어(3)의 이동 속도가 소정 속도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되는 판정 시간은 섹터 기어(63)가 제1 복귀 동작을 개시하고부터 제2 중립 위치를 넘는 정도의 시간으로 설정된다.
여기에서, 본 개폐체 제어장치(100)에는, 슬라이드 도어(3)와 상기 슬라이드 도어(3)를 개폐하는 모터(미도시) 사이에 상기 모터의 동력을 단속하는 클러치 기구(미도시)가 구비된다. 즉, 클러치 기구를 결합 상태로 한 경우에는, 모터의 동력을 슬라이드 도어(3)로 전달할 수 있고, 클러치 기구를 비결합 상태로 한 경우에는, 모터의 동력을 슬라이드 도어(3)로 전달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복귀 동작 개시 후의 경과 시간이 미리 설정된 판정 시간을 경과한 경우에는, 제어유닛(90)은 클러치 기구의 단속 시간을 제어하여 슬라이드 도어(3)의 이동 속도가 소정 속도 이하가 되도록 브레이크 제어를 수행한다. 슬라이드 도어(3)의 이동 속도는 모터의 회전에 따라 얻어지는 리플 펄스(ripple pulse)나 모터의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연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브레이크 제어는, 클러치 기구의 단속 시간을 조절하여 슬라이드 도어(3)의 이동 속도를 제한하는 제어이다. 이러한 브레이크 제어는, 예를 들면 제어유닛(90)이 도시하지 않은 미리 설정된 슬라이드 도어(3)의 이동 속도와 클러치 기구의 단속 시간의 관계를 나타낸 맵에 기초하여 수행하면(제어하면) 적합하다.
또, 이러한 이동 속도의 제한은 제어유닛(90)이 브레이크 제어시에는 슬라이드 도어(3)의 이동 속도를 제로로 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슬라이드 도어(3) 이동 속도의 예를 들면 1/2이나 1/10 등으로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슬라이드 도어(3)가 갑자기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이동 속도의 제어가 수행되고 있는 경우에는, 이용자가 수동 조작에 의해 슬라이드 도어(3)를 폐쇄시키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본 개폐체 제어장치(100)는 슬라이드 도어(3)의 릴리스 동작이 종료되면, 섹터 기어(63)의 제2 복귀 동작이 수행된다. 제2 복귀 동작에서는, 섹터 기어(63)가 정회전 회동하여 릴리스 영역을 빠져나와 중립 영역으로 들어가고, 제2 중립 위치에서 정지된다. 이러한 제2 중립 위치의 검출은 중립 감지 제2 스위치(85)의 신호가 High(온)에서 Low(오프)로의 변화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그러나, 중립 감지 제2 스위치(85)가 이상 등에 의해 중립 감지 제2 스위치(85) 신호의 High(온)에서 Low(오프)로의 변화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섹터 기어(63)가 중립 영역을 통과하여 클로즈 영역으로 돌입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 개폐체 제어장치(100)는 슬라이드 도어(3)의 폐쇄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서 오동작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개폐체 제어장치(100)는, 릴리스 동작 후의 제2 복귀 동작에 있어서의 섹터 기어(63)의 검출이 중립 감지 제2 스위치(85)의 신호가 High(온)에서 Low(오프)로의 변화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동시에,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의 신호가 Low(오프)에서 High(온)로의 변화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릴리스 동작 후의 제2 복귀 동작에 있어서, 중립 감지 제2 스위치(85) 신호의 High(온)에서 Low(오프)로의 변화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 신호의 Low(오프)에서 High(온)로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적절하게 섹터 기어(63)를 중립 영역에서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의 신호가 Low(오프)에서 High(온)로의 변화를 검출한 경우에는, 섹터 기어(63)는 제1 중립 위치에서 정지된다.
또한, 더욱이 본 개폐체 제어장치(100)는, 릴리스 동작 후의 제2 복귀 동작에 있어서, 중립 감지 제2 스위치(85) 신호의 High(온)에서 Low(오프)로의 변화나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 신호의 Low(오프)에서 High(온)로의 변화를 모두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섹터 기어(63)가 클로즈 영역까지 도달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개폐체 제어장치(100)는, 슬라이드 도어(3)의 클로즈 동작이 개시되었다고 인식하여 클로즈 동작이 계속되고, 래치(41)가 삽입홈부(413)에 스트라이커(2)를 수용하지 않고 회동되는 외측 맞물림 상태가 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외측 맞물림 상태이면, 슬라이드 도어(3)가 갑자기 개방될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개폐체 제어장치(100)는 래치(41)가 래치 외측 맞물림이 되는 것을 방지하여 슬라이드 도어(3)가 갑자기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개폐체 제어장치(100)가 구비하는 제어유닛(90)은, 제2 복귀 동작 개시 후, 제1 감지신호 및 제2 감지신호가 검출되지 않고 클로즈 동작이 수행된 경우에, 슬라이드 도어(3)의 이동 속도를 감시하고, 상기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제어의 유무를 판단한다. 즉, 제어유닛(90)은, 제2 복귀 동작 개시 후, 소정 시간 내에 제1 감지신호 및 제2 감지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래치(41)에 의한 스트라이커(2)의 인입 동작 조건이 성립한 경우에, 클로즈 동작을 개시하는 동시에, 슬라이드 도어(3)의 이동 속도를 저하시키는 브레이크 제어를 수행한다. 제2 복귀 동작의 개시는 모터(61)의 회전 방향 전환 타이밍이 해당된다. 즉, 제어유닛(90)이, 릴리스 동작에 있어서 모터(6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제2복귀 동작으로 이행하기 위해 모터(61)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제어하는 타이밍이 해당된다. 제2 복귀 동작 개시 후의 경과 시간은 상술한 타이머 제어부(94)에 의해 계수된다. 그리고, 상기 계수가 미리 설정된 판정 시간에 도달한 경우에, 제어유닛(90)은 클로즈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그 클로즈 동작에 있어서, 모터(61)로부터 섹터 기어(63)로 전달되는 동력을 단속해서 브레이크 제어를 수행하여 슬라이드 도어(3)의 이동 속도가 소정 속도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되는 판정 시간은 섹터 기어(63)가 제2 복귀 동작을 개시하고부터 제2 중립 위치를 넘는 정도의 시간으로 설정된다.
개폐체 제어장치(100)는, 릴리스 동작 후의 제2 복귀 동작에 있어서, 중립 감지 제2 스위치(85) 신호의 High(온)에서 Low(오프)로의 변화나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 신호의 Low(오프)에서 High(온)로의 변화를 모두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하프 래치 스위치(81)가 High(온)에서 Low(오프)로 전환될 때까지 제2 복귀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하프 래치 스위치(81)가 High(온)에서 Low(오프)로의 전환을 검출하면, 개폐체 제어장치(100)는 클로즈 동작을 개시한다. 이 클로즈 동작에 있어서, 슬라이드 도어(3)의 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소정 속도 이상인 경우에는, 개폐체 제어장치(100)는 브레이크 제어를 수행한다. 브레이크 제어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 복귀 동작에 있어서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클로즈 동작에 있어서, 슬라이드 도어(3)의 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소정 속도 미만이어도, 하프 래치 스위치(81)가 Low(오프)에서 High(온)로 전환을 검출하면, 개폐체 제어장치(100)는 브레이크 제어를 수행한다. 한편, 클로즈 동작에 있어서, 슬라이드 도어(3)의 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소정 속도 미만이며, 또한, 하프 래치 스위치(81)가 Low(오프)에서 High(온)로의 전환을 검출하지 않을 경우에는, 클로즈 동작이 계속해서 수행된다.
이와 같은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스트라이커(2)의 릴리스 동작 후에 수행되는 상기 스트라이커(2)의 제2 복귀 동작에 있어서, 소정 시간 내에 제1 감지신호 및 제2 감지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래치(41)에 의한 스트라이커(2)의 인입 동작 조건이 성립한 경우에는, 클로즈 동작이 개시되는 동시에, 브레이크 제어가 수행된다. 따라서, 만일 스트라이커(2)와 래치(41)가 결합 불가능한 상태에서 클로즈 동작이 수행된 경우라도, 브레이크 제어에 의해 개폐체의 이동 속도가 제어되므로, 이용자의 의도에 반해 슬라이드 도어(3)가 개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트라이커(2)와 래치(41)가 결합 불가능한 상태에서 충돌하게 되는 것도 억제되어 스트라이커(2) 및 래치(41)의 파손이나 변형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 이와 같이 이동 속도의 제어가 수행되고 있는 경우에는, 이용자가 수동 조작에 의해 슬라이드 도어(3)를 폐쇄 동작시키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이어서, 본 개폐체 제어장치(100)가 수행하는 처리에 관해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는 클로즈 동작에 관한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슬라이드 도어(3)가 폐쇄됨에 있어서, 래치(41)의 삽입홈부(413)에 스트라이커(2)가 진입하여 래치(41)가 회동한다. 또한, 래치(41)가 회동하여 하프 래치 스위치(81)가 High(온)에서 Low(오프)로 전환되면, 모터(61)를 정회전 구동함으로써 클로즈 동작이 개시된다(스텝 #01). 이 클로즈 동작은 래치(41)가 스트라이커(2)를 완전히 인입하여 풀 래치 위치가 될 때까지 계속해서 수행된다.
이와 같은 풀 래치 위치가 되면, 슬라이드 도어(3)는 완전 폐쇄 상태가 된다(스텝 #02: No). 슬라이드 도어(3)가 완전 폐쇄 상태가 되면(스텝 #02: Yes), 모터(61)는 정지되고, 섹터 기어(63)를 클로즈 영역에서 중립 영역, 여기에서는 제1 중립 영역으로 되돌리는 제1 복귀 동작이 수행된다(스텝 #03). 동시에, 타이머 제어부(94)는 제1 복귀 동작 개시 후의 경과 시간의 계수를 개시한다(스텝 #04).
그리고,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의 상태가 High(온)에서 Low(오프)로 이행했는지 여부의 확인이 수행된다. 여기에서의 섹터 기어(63)의 중립 복귀 동작은 래치(41)가 풀 래치 위치가 된 후에 수행되므로, 정상인 상태이면,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는 High(온) 상태가 된다.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의 상태가 High(온)에서 Low(오프)로의 이행이 검출되면(스텝 #05: Yes), 모터(61)가 정지된다. 그리고, 섹터 기어(63)의 제1 복귀 동작이 종료되어(스텝 #06),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스텝 #05에 있어서,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의 상태가 High(온)에서 Low(오프)로 이행한 것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스텝 #05: No), 중립 감지 제2 스위치(85)의 상태가 Low(오프)에서 High(온)로 이행했는지 여부의 확인이 수행된다. 중립 감지 제2 스위치(85)의 상태가 Low(오프)에서 High(온)로의 이행을 검출하면(스텝 #07: Yes), 모터(61)가 정지된다. 그리고, 섹터 기어(63)의 제1 복귀 동작이 종료되어(스텝 #06), 처리가 종료된다.
스텝 #07에 있어서, 중립 감지 제2 스위치(85)의 상태가 Low(오프)에서 High(온)로 이행한 것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스텝 #07: No), 타이머 제어부(94)에 의해 계수되어 있는 제1 복귀 동작 개시 후의 경과 시간이 미리 설정된 판정 시간에 도달해 있는지 여부의 판정이 수행된다. 경과 시간이 판정 시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08: No), 스텝 #05로 되돌아가 처리가 계속된다. 한편, 경과 시간이 판정 시간에 도달해 있는 경우에는(스텝 #08: Yes), 슬라이드 도어(3)가 갑자기 개방되지 않도록 클러치 기구의 접속/분리 시간을 제어하여 브레이크 제어가 수행된다(스텝 #09). 이와 같은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본 개폐체 제어장치(100)는 이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슬라이드 도어(3)의 개방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도 10의 릴리스 동작에 관한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릴리스 동작에 관계되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이용자에 의해 스위치 등의 조작에 의해 릴리스 동작이 개시되어(스텝 #31), 모터(61)가 역회전 구동된다. 이 릴리스 동작은 릴리스 동작 종료 조건이 성립될 때까지 수행된다(스텝 #32: No). 여기에서, 릴리스 동작 종료 조건은, 슬라이드 도어(3)가 완전 폐쇄 상태에서 완전 개방 상태가 될 때까지의 슬라이드 도어(3)의 이동 거리를 모터(61)의 회전에 따라 출력되는 리플 펄스로 검출할 수도 있으며, 하프 래치 스위치(81)의 전환으로 검출할 수도 있다.
릴리스 조건이 성립하면(스텝 #32: Yes), 모터(61)는 정지되고, 섹터 기어(63)를 릴리스 영역에서 중립 영역, 여기에서는 제2 중립 영역으로 되돌리는 제2 복귀 동작이 수행된다(스텝 #33).
그리고, 중립 감지 제2 스위치(84)의 상태가 High(온)에서 Low(오프)로 이행했는지 여부의 확인이 수행된다. 여기에서의 섹터 기어(63)의 중립 복귀 동작은 래치(41)가 스트라이커(2)를 개방하는 자세가 된 후에 수행되므로, 정상인 상태이면, 중립 감지 제2 스위치(85)는 High(온) 상태가 된다. 중립 감지 제2 스위치(85)의 상태가 High(온)에서 Low(오프)로의 이행이 검출되면(스텝 #34: Yes), 모터(61)가 정지된다. 그리고, 섹터 기어(63)의 제2 복귀 동작이 종료되어(스텝 #35),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스텝 #34에 있어서, 중립 감지 제2 스위치(85)의 상태가 High(온)에서 Low(오프)로의 이행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스텝 #34: No),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의 상태가 Low(오프)에서 High(온)로 이행했는지 여부의 확인이 수행된다.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의 상태가 Low(오프)에서 High(온)로의 이행을 검출하면(스텝 #36: Yes), 모터(61)가 정지된다. 그리고, 섹터 기어(63)의 제2 복귀 동작이 종료되어(스텝 #35), 처리가 종료된다.
스텝 #36에 있어서, 중립 감지 제1 스위치(84)의 상태가 Low(오프)에서 High(온)로의 이행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스텝 #36: No), 하프 래치 스위치(81) 출력의 High(온)에서 Low(오프)로 이행했는지 여부의 확인이 수행된다. 하프 래치 스위치(81) 출력의 High(온)에서 Low(오프)로 이행이 확인될 수 없는 경우에는(스텝 #37: No), 처리가 보류된다.
하프 래치 스위치(81) 출력의 High(온)에서 Low(오프)로 이행이 확인되면(스텝 #37: Yes), 모터(61)를 정회전 구동함으로써 섹터 기어(63)의 클로즈 동작이 개시된다(스텝 #38). 그리고, 이 클로즈 동작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도어(3)의 이동 속도의 검출이 수행된다. 이러한 이동 속도의 검출은 모터(61)의 회전에 따라 획득되는 리플 펄스에 기초하여 연산하면 적합하다. 슬라이드 도어(3)의 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소정 속도 이상인 경우에는(스텝 #39: Yes), 클러치 기구의 접속/분리 시간을 제어하여 브레이크 제어가 수행된다(스텝 #40).
한편, 스텝 #39에 있어서, 슬라이드 도어(3)의 이동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소정 속도 미만인 경우에는(스텝 #39: No), 클로즈 동작 후의 제1 복귀 동작이 수행된다. 즉, 래치(41)가 스트라이커(2)에 정상적으로 맞물려 있는 경우에는, 슬라이드 도어(3)의 이동 속도가 소정 속도 미만이 되므로, 정상 동작으로 판단되어 제1 복귀 동작이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복귀 동작에 있어서, 하프 래치 스위치(81) 출력의 Low(오프)에서 High(온)로 이행했는지 여부의 확인이 수행된다. 하프 래치 스위치(81) 출력의 Low(오프)에서 High(온)로의 이행이 확인된 경우에는(스텝 #41: Yes), 중립 감지 스위치(84, 85)의 동작 이상 등에 의해 제1 복귀 동작이 릴리스 동작에 도달했다고 판단되어, 클러치 기구의 접속/분리 시간을 제어해서 브레이크 제어가 수행된다(스텝 #40). 또한, 제1 복귀 동작에 있어서, 하프 래치 스위치(81) 출력의 Low(오프)에서 High(온)로의 이행이 확인되지 않을 경우에는(스텝 #41: No), 제1 복귀 동작이 정상적으로 종료됐다고 판단되어 여기에서의 처리를 일단 종료한다. 이와 같은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본 개폐체 제어장치(100)는 래치(41)의 외측 맞물림을 방지하여, 이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슬라이드 도어(3)의 개방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기타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개폐체 제어장치(100)가 제어하는 개폐체는 차량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도어(3)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개폐체로서 차량이 구비하는 백 도어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다른 도어로 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또한, 차량의 도어에 한하지 않고, 건물의 도어 등에 적용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어 개폐 조작기구(40)는 슬라이드 도어(3)측에 설치되고, 스트라이커(2)는 차체(1)측에 설치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어 개폐 조작기구(40)를 차체(1)측에 설치하고, 스트라이커(2)를 슬라이드 도어(3)측에 설치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래치와 스트라이커의 결합 상태를 확립시키는 클로즈 조작 및 래치와 스트라이커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는 릴리스 조작을 모터의 동작에 기초한 회동 변위에 의해 수행할 수 있는 개폐체 제어장치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6)

  1. 개폐체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체 제어장치로서,
    스트라이커의 인입과 개방을 수행하는 래치;
    래치 조작기구를 통해 상기 래치를 조작하는 동시에, 상기 래치를 인입 상태로 만드는 클로즈 영역, 상기 래치를 개방 상태로 하는 릴리스 영역, 및 상기 클로즈 영역과 상기 릴리스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중립 영역을 포함한 이동 영역 사이에서 이동 변위되는 변위체;
    상기 변위체가 상기 중립 영역의 상기 클로즈 영역측 제1 경계부를 통과했을 때에 제1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 감지부;
    상기 변위체가 상기 중립 영역의 상기 릴리스 영역측 제2 경계부를 통과했을 때에 제2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 감지부; 및
    상기 변위체의 클로즈 동작 후에 상기 변위체를 상기 클로즈 영역에서 상기 중립 영역으로 복귀시키는 중립 복귀 동작 개시 후,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제1 감지신호 및 상기 제2 감지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개폐체의 이동 속도를 저하시키는 브레이크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하는
    개폐체 제어장치.
  2. 개폐체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체 제어장치로서,
    스트라이커의 인입과 개방을 수행하는 래치;
    래치 조작기구를 통해 상기 래치를 조작하는 동시에, 상기 래치를 인입 상태로 만드는 클로즈 영역, 상기 래치를 개방 상태로 하는 릴리스 영역, 및 상기 클로즈 영역과 상기 릴리스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중립 영역을 포함한 이동 영역 사이에서 이동 변위되는 변위체;
    상기 변위체가 상기 중립 영역의 상기 클로즈 영역측 제1 경계부를 통과했을 때에 제1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 감지부;
    상기 변위체가 상기 중립 영역의 상기 릴리스 영역측 제2 경계부를 통과했을 때에 제2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 감지부; 및
    상기 변위체의 릴리스 동작 후에 상기 변위체를 상기 릴리스 영역에서 상기 중립 영역으로 복귀시키는 중립 복귀 동작 개시 후,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제1 감지신호 및 상기 제2 감지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래치에 의한 상기 스트라이커의 인입 동작 조건이 성립한 경우에, 클로즈 동작을 개시하는 동시에, 상기 개폐체의 이동 속도를 저하시키는 브레이크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하는
    개폐체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중립 복귀 동작 개시 후, 상기 제1 감지신호 및 상기 제2 감지신호가 검출되지 않고 상기 클로즈 동작이 수행된 경우에, 상기 개폐체의 이동 속도를 감시하고, 상기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브레이크 제어의 유무를 판단하는
    개폐체 제어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체와 상기 개폐체를 개폐하는 모터 사이에 상기 모터의 동력을 단속하는 클러치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브레이크 제어는,
    상기 개폐체의 이동 속도를 미리 설정된 소정 속도 이하로 하는 제어인
    개폐체 제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개폐체의 이동 속도와 상기 클러치 기구의 단속 시간의 관계를 나타낸 맵에 기초하여 상기 브레이크 제어를 수행하는
    개폐체 제어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브레이크 제어시에 있어서는 상기 개폐체의 이동 속도를 제로로 하도록 제어하는
    개폐체 제어장치.
KR1020117005649A 2008-11-18 2009-10-28 개폐체 제어장치 KR1012054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94608 2008-11-18
JP2008294608A JP4706937B2 (ja) 2008-11-18 2008-11-18 開閉体制御装置
PCT/JP2009/068503 WO2010058686A1 (ja) 2008-11-18 2009-10-28 開閉体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284A KR20110044284A (ko) 2011-04-28
KR101205429B1 true KR101205429B1 (ko) 2012-11-27

Family

ID=42198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5649A KR101205429B1 (ko) 2008-11-18 2009-10-28 개폐체 제어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22761B2 (ko)
EP (1) EP2348174B1 (ko)
JP (1) JP4706937B2 (ko)
KR (1) KR101205429B1 (ko)
CN (1) CN102149890B (ko)
WO (1) WO20100586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28943B2 (en) * 2007-02-28 2016-08-30 Magna Closures Inc. Modular latch
JP5110390B2 (ja) * 2008-11-18 2012-12-2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開閉体制御装置
JP5421012B2 (ja) * 2009-03-24 2014-02-1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開閉体駆動制御装置
JP6204207B2 (ja) * 2014-01-27 2017-09-27 株式会社ミツバ 車両用開閉体の制御装置
JP2015148074A (ja) * 2014-02-06 2015-08-2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開閉体制御方法及び装置
DE102014205720A1 (de) * 2014-03-27 2015-10-01 Zf Friedrichshafen Ag Vorrichtung für eine Betätigungshandhabe, Betätigungshandhabe und Verfahren zur drahtlosen Übermittlung eines energieautark erzeugten Signals
JP6553485B2 (ja) * 2015-11-06 2019-07-31 アイシン機工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US20180058112A1 (en) * 2016-09-01 2018-03-01 AISIN Technical Center of America, Inc. Vehicle door closing and releasing apparatus
JP6834293B2 (ja) * 2016-09-23 2021-02-2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開閉体制御装置
JP6992263B2 (ja) * 2017-03-17 2022-01-13 株式会社アイシン 車両用開閉体制御装置
US11149472B1 (en) 2019-03-14 2021-10-19 Wisk Aero Llc Lock with single-sided automatic locking
JP2022100802A (ja) * 2020-12-24 2022-07-06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開閉体制御装置
CN114412286A (zh) * 2022-01-18 2022-04-29 拉扎斯网络科技(上海)有限公司 锁体、锁结构及智能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0105A (ja) 2001-10-10 2003-04-23 Oi Seisakusho Co Ltd 車両用開閉体の駆動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1782A (ja) * 1985-10-30 1987-05-12 株式会社 大井製作所 自動車用ドアロツク制御装置
US6065315A (en) * 1994-11-18 2000-05-23 Mitsui Kinzoku Kogyo Kabushiki Kaisha Vehicle door latch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US5520425A (en) * 1993-12-21 1996-05-28 Mitsui Kinzoku Kogyo Kabushiki Kaisha Power closing door latch device for motor vehicle
JP3180028B2 (ja) * 1996-05-24 2001-06-25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用スライド扉自動開閉装置
US6386599B1 (en) * 1999-08-12 2002-05-14 John Phillip Chevalier Latch arrangement for automotive door
DE19859565B4 (de) * 1997-12-26 2005-03-31 Ohi Seisakusho Co., Ltd., Yokohama Elektrischer Türschließer
US6848727B1 (en) * 1999-02-18 2005-02-01 Atoma International Corp Power door latch assembly
JP4552169B2 (ja) * 1999-11-09 2010-09-29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開閉体制御装置
DE10065569B4 (de) * 1999-12-28 2007-12-20 Ohi Seisakusho Co., Ltd., Yokohama Vorrichtung zum Öffnen und Schließen von Kraftfahrzeugschlössern
JP3525105B2 (ja) * 2000-09-11 2004-05-10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動力クローズ機構付車両ドアラッチ装置の安全装置
WO2002087912A1 (en) * 2001-04-26 2002-11-07 Litens Automotive Powered liftgate opening mechanism and control system
US6637783B2 (en) * 2001-05-14 2003-10-28 Ohi Seisakusho Co., Ltd.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vehicle lock apparatus
JP4267934B2 (ja) * 2003-02-18 2009-05-2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のドアロック機構
JP4267933B2 (ja) * 2003-02-18 2009-05-2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2006265919A (ja) * 2005-03-23 2006-10-05 Omron Corp 開閉制御装置
CN101215947B (zh) * 2007-01-04 2011-05-11 敦扬科技股份有限公司 车辆开闭体的防夹方法
JP5051451B2 (ja) 2007-12-27 2012-10-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開閉操作装置
JP5325014B2 (ja) * 2009-04-28 2013-10-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開閉体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0105A (ja) 2001-10-10 2003-04-23 Oi Seisakusho Co Ltd 車両用開閉体の駆動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81051A1 (en) 2011-07-28
EP2348174A4 (en) 2012-11-28
US8322761B2 (en) 2012-12-04
WO2010058686A1 (ja) 2010-05-27
EP2348174B1 (en) 2017-02-22
JP2010121320A (ja) 2010-06-03
CN102149890B (zh) 2013-06-19
EP2348174A1 (en) 2011-07-27
CN102149890A (zh) 2011-08-10
KR20110044284A (ko) 2011-04-28
JP4706937B2 (ja)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5429B1 (ko) 개폐체 제어장치
KR101189896B1 (ko) 개폐체 제어장치
JP4958433B2 (ja) 車両ドア制御方法および車両ドア制御システム
JP5051451B2 (ja) 車両用ドア開閉操作装置
JP5423207B2 (ja) 車両用開閉体制御装置
US9745783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and method for electrically actuating a locking mechanism
US10683690B2 (en) Vehicular opening/closing body control device
US10794105B2 (en) Vehicular opening/closing body control device
JP6716827B2 (ja) 自動車ドアラッチ
US10689888B2 (en) Opening and closing body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US7397146B2 (en) Child lock apparatus
US20210102413A1 (en) Opening/closing body control device for vehicles
JP2018048532A (ja) 車両用開閉体制御装置
US7646158B2 (en) Device for controlling opening/closing body for vehicle
KR101308494B1 (ko)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JP3736431B2 (ja) オートスライドドア制御装置
JP4327539B2 (ja) 開閉体の閉鎖駆動装置
JP4167958B2 (ja) 車両用ドア制御装置
JP6458740B2 (ja) シフト制御装置
JP3154318B2 (ja) スライドドアの給電制御装置
JP2552989Y2 (ja) 自動車の自動ドア開扉装置
JPH0758018B2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の施解錠操作装置
JPH08260790A (ja) ロック制御装置
JP2005282307A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の全閉駆動装置
JP2006328701A (ja) ドアラ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