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343B1 - 보행장애용 재활기구 - Google Patents

보행장애용 재활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343B1
KR101205343B1 KR1020100033764A KR20100033764A KR101205343B1 KR 101205343 B1 KR101205343 B1 KR 101205343B1 KR 1020100033764 A KR1020100033764 A KR 1020100033764A KR 20100033764 A KR20100033764 A KR 20100033764A KR 101205343 B1 KR101205343 B1 KR 101205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ok
guide
guide hole
piv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4233A (ko
Inventor
남기백
Original Assignee
남기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기백 filed Critical 남기백
Priority to KR1020100033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343B1/ko
Publication of KR20110114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4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7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secured to the patient, e.g. with bel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장애를 가진 환자나 장애인이나 기타 재활치료나 재활운동이 필요한 이들을 대상으로 하체근력을 보조하여 올바른 자세로 걸을 수 있도록 훈련시켜 주는 보행장애용 재활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장애용 재활기구는 몸체를 이루는 프레임(110);
상기 프레임(110)에 세워진 수직지지대(120);
상기 수직지지대(120)의 상단에 설치된 견인부재(130);
상기 수직지지대(120) 상단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도르레(140);
상기 견인부재(130)에 의해 승강하도록 상기 회동도르레(140)에 감겨진 견인로프(150);
상기 견인로프(150)에 매달린 신축걸이대(160); 및
상기 신축걸이대와 연결끈(171)으로 연결된 벨트(172)를 구비하면서 바지의 형태로 사용자의 하체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상기 신축걸이대에 매달린 자켓(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보행장애용 재활기구{Apparatus for the Rehabilitation training of the people with disability for bipedal walking}
본 발명은 보행장애를 가진 환자나 장애인이나 기타 재활치료나 재활운동이 필요한 이들을 대상으로 하체근력을 보조하여 올바른 자세로 걸을 수 있도록 훈련시켜 주는 보행장애용 재활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기관이나 재활시설에서는 장애인이나 관절염 환자, 비만환자 및 노인들과 같이 스스로 보행할 수 없거나 성장자세 교정, 임신과 출산으로 인한 척추질환, 비만 체형관리 등을 목적으로 하는 사용자들을 위해 보행장애용 재활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보행장애용 재활기구는 몸체를 이루는 프레임(1)을 중심으로 지지대(2)가 세워지고, 이 지지대(2)의 전방에는 손잡이(3)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2)의 상단에는 연결끈(4)으로 자켓(5)이 매달려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켓(5)을 착용한 상태로 손잡이(3)를 잡고 자켓(5)에 체중을 의지한 채 안정된 자세로 무리하지 않고 천천히 보행을 하면서 재활치료 및 재활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보행장애용 재활기구는 자켓(5)이 탄성력이 없는 연결끈(4)만으로 매달려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시 탄력이 없어 보행시 발생되는 충격이 사용자에게 고스란히 전달되어 사용자가 심한 통증을 호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상,하 한 쌍의 권취드럼(11)(12)을 탄성밴드(13)로 여러겹 중첩되게 권취하여 탄성력을 부여한 탄성구(10)를 통해 충격이 흡수되도록 한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서 "척추 및 성장판 클리닉시스템 장치"가 국내등록특허 제825405호로 알려져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2006-0075445호(2006.07.04. 공개) 국내등록특허 제825405호(2008.04.29. 공고)
그러나, 종래의 보행장애용 재활기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첫째, 종래에는 지지대(2)와 손잡이(3)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기는 하나, 실제 상기 지지대(2)는 사용자를 견인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 이상을 확보하여야하므로 사용시 재활기구의 이동에 제약을 받게 되며 이로 인해 사용이 불편하고 재활효과도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즉, 신장이 큰 남자성인들의 경우에는 아무리 지지대(2)의 높이를 낮추어 조정한다 하더라도 지지대(2)의 높이가 최소한 2m 이상은 확보되어야 하는데, 상기 지지대(2)는 통상 2m 내외에서 높이가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출입구에 걸려 통과하기 어렵다. 설령, 출입구를 통과하였다 하더라도 출입구의 높이에 맞추어 지지대(2)의 높이를 대폭 낮춘 상태이므로 지지대(2)와 함께 낮아진 자켓(5)이 사용자의 체중을 제대로 지탱하지 못해 사용자가 보행에 큰 지장을 받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 중 화장실이나 기타 외부의 용무를 보기 위해서는 자켓(5)을 벗고 휠체어나 목발과 같은 보행보조기구를 이용하거나 보호자의 도움을 받아서 이동하여야 하므로 사용이 매우 불편하게 되고, 자연히 재활기구가 설치된 공간내로 활동범위가 제한되므로 재활효과가 크게 떨어지는 문제로 이어지게 된다.
둘째, 종래에는 자켓(5)에 탄성력이 부여된다 하더라도 자켓(5)이 상체를 감싸도록 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움직임에 큰 제약이 뒤따르는 것은 물론 사용자의 체중이 겨드랑이 부분에 집중되어 심한 통증을 수반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셋째, 종래에는 탄성구(10)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고 탄성방향이 수직방향으로만 제한되어 큰 충격을 흡수하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지지대의 높이를 낮추더라도 사용자가 보행에 지장을 받지 않게 되고, 제작이 용이하면서 큰 충격도 흡수할 수 있으며 통증을 수반하지 않는 자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보행장애용 재활기구는 몸체를 이루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세워진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된 견인부재와, 상기 수직지지대 상단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도르레와, 상기 견인부재에 의해 승강하도록 상기 회동도르레에 감겨진 견인로프와, 상기 견인로프에 매달린 신축걸이대와, 상기 신축걸이대와 연결끈으로 연결된 벨트를 구비하면서 바지의 형태로 사용자의 하체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상기 신축걸이대에 매달린 자켓자켓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신축걸이대는 상기 견인로프에 매달린 중앙몸체부와, 상기 중앙몸체부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중앙몸체부의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된 지지바와, 상기 중앙몸체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중앙몸체부측으로 회동된 지지바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자켓을 매달 수 있도록 상기 지지바의 단부에 형성된 고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회동도르레를 하강시켜 전체적인 크기를 축소시킨 다음 견인부재를 이용하여 회동도르레를 따라 하강된 자켓을 끌어올려 원래 높이로 보상하여 주기 때문에 사용자는 높이가 낮은 출입구도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출입에 지장을 받지 않게 되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이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활동범위가 넓어져 재활치료의 속도가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축걸이대는 양측에 상하로 탄성회동하는 지지대로 구성되기 때문에 종래보다 탄성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탄성방향이 종래의 수직방향이 아닌 사용자의 움직임에 근접하도록 좌,우측이 상하로 회동하는 방향을 따라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받는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자켓을 하체에 착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켓의 압박으로 인한 통증을느끼지 않게 되고 상체의 움직임도 자유로워져 사용상의 편안함이 크게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보행장애용 재활기구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보행장애용 재활기구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장애용 재활기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장애용 재활기구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신축걸이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록킹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요부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록킹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요부 상세도로서, 회동도르레가 하향회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장애용 재활기구의 측면도로서 회동도르레가 하향회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장애용 재활기구(100)는 몸체를 이루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에 세워진 수직지지대(120)와, 상기 수직지지대(120)의 상단에 설치된 견인부재(130)와, 상기 수직지지대(120) 상단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도르레(140)와, 상기 견인부재(130)에 의해 승강하도록 상기 회동도르레(140)에 감겨진 견인로프(150)와, 상기 견인로프(150)에 매달린 신축걸이대(160)와, 상기 신축걸이대(160)에 매달린 자켓(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10)은 이동 및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바닥에 캐스터(111)가 설치되어 있으며, 양측으로 한 쌍의 수직지지대(120)가 세워진다. 상기 각 수직지지대(120)의 일측에는 전후방향으로 팔걸이(112)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팔걸이(112)를 양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전,후방을 비롯한 다양한 방향으로 밀어가면서 안전하게 보행연습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팔걸이(112)는 수직지지대(120)를 따라 승강이 가능하도록 수직지지대(120)의 외측으로 끼움결합되며, 각 수직지지대(120)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높이조절공(1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팔걸이(112)에도 상기 높이조절공(113)에 대응되도록 단일의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팔걸이(112)는 관통공을 통해 높이조절공(113)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나사(114)에 의해 수직지지대(12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수직지지대(120)의 상단에는 견인부재(130)가 설치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견인부재(130)는 정역모터와 이 정역모터에 의해 동작되는 롤러(142)로 구성되며, 상기 롤러(142)에는 신축걸이대(160)와 연결된 견인로프(150)가 권취되어 있다.
한편, 상기 견인부재(130)는 사용자가 재활훈련 중 상기 견인부재(130)의 동작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도록 유무선 제어기(13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도르레(140)는 상기 수직지지대(120)의 양측에 각각 상하로 회동되게 힌지결합된 회동지지대(141)와, 상기 회동지지대(141)의 단부에 설치되어 롤러(142)와 신축걸이대(160) 사이에서 상기 견인로프(150)의 하부를 지지하는 롤러(142)와, 상단은 회동지지대(141)에 힌지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수직지지대(12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하향회동된 회동지지대(141)에 상향회동력을 부여하는 압축실린더(143)와, 외부조작에 의해 회동지지대(141)의 회동동작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록킹수단(144)으로 구성된다.
상기 록킹수단(144)은 수직지지대(120)의 일측에 고정된 안내브라켓(144a)과, 상기 안내브라켓(144a)에 상하로 형성된 가이드공(144b)과, 상단은 상기 회동지지대(141)에 힌지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회동지지대(141)의 회동동작시 상기 가이드공(144b)을 따라 이동되는 링커(144c)와, 상기 링커(144c)가 가이드공(144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공(144b)에 끼워진 상태로 링커(144c)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공(144b)의 전구간을 주행하는 안내핀(144d)과, 상기 안내브라켓(144a)의 하부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가이드공(144b)의 하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회동후크(144e)와, 상기 안내브라켓(144a) 상부에 상기 제1회동후크(144e)와 연동되도록 힌지결합되어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가이드공(144b)의 상단을 선택적으로 개페하는 제2회동후크(144f)로 구성된다. 상기 제1회동후크(144e)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제1회동후크(144e)의 회동조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작동레버(144g)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회동후크(144e)와 제2회동후크(144f)는 자중에 의해 각각 가이드공(144b)의 하단과 상단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안내브라켓(144a)에 힌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회동후크(144e)와 제2회동후크(144f)와의 연동은 제1회동후크(144e)의 회동시 승강하도록 제1회동후크(144e)의 단부에 하단이 힌지결합된 수직바(144h)와, 일단은 제2회동후크(144f)의 단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직바(144h)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수직바(144h)의 승강시 제2회동후크(144f)가 가이드공(144b)의 상단을 개방시키도록 회동력을 부여하는 작동바(144i)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록킹수단(144)에 의해, 상기 제1회동후크(144e)가 가이드공(144b)의 하단을 개방시키도록 회동되면 제2회동후크(144f)도 가이드공(144b)의 상단을 개방하도록 동시동작되며, 상기 제1회동후크(144e)와 제2회동후크(144f)가 안내핀(144d)을 구속한 상태로 가이드공(144b)의 하단과 상단을 각각 폐쇄시키도록 회동되면 링커(144c)의 이동이 제한되면서 회동지지대(141)의 회동동작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제1회동후크(144e)의 상단은 안내핀(144d)의 하중에 의해 가이드공(144b)의 하단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자동회동되도록 제1회동후크(144e)의 단부측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144j)을 가질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가이드공(144b)의 상단에는 안내핀(144d)이 안착되는 수평안착부(144k)가 형성되며, 상기 제2회동후크(144f)가 안내핀(144d)으로부터 상승가압력을 받을 경우에 상기 수평안착부(144k)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자동회동되도록 상기 제2회동후크(144f)는 상기 안내핀(144d)으로부터 상승가압력을 받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걸이대(160)는 상기 견인로프(150)에 매달린 중앙몸체부(161)와, 상기 중앙몸체부(161)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중앙몸체부(161)의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된 지지바(162)와, 상기 중앙몸체부(161)의 내측에 설치되어 중앙몸체부(161)측으로 회동된 지지바(162)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63)와, 자켓(170)을 매달 수 있도록 상기 지지바(162)의 단부에 형성된 고리(164)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좌측이나 우측으로 중심이 흔들리면 각 지지바(162)에 외력이 작용하고 이 외력에 비례하여 지지바(162)가 탄성회동되면서 사용자측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해준다. 동시에 상기 지지바(162)들은 사용자가 중심을 바로 잡을 수 있도록 지지해준다.
상기 자켓(170)은 바지의 형태로 사용자의 하체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바지를 입듯이 착용하면 된다. 그리고 자켓(170)의 상단에는 신축걸이대(160)와 복수의 연결끈(171)으로 연결된 벨트(172)가 구비되어 있어 안정된 상태로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켓(170)은 다리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는 사용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벨크로테이프(173)를 통해 착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유무선제어기(135)를 통해 견인부재(130)를 동작시키면 견인부재(130)에 권취되어 있는 견인로프(150)가 회동도르레(140)를 타고 승강하면서 견인로프(150)에 매달린 신축걸이대(160)도 함께 승강된다. 사용자는 이와 같은 조작에 의해 신축걸이대(160)를 충분히 하강시켜 자켓(170)을 착용한 다음 자신의 신장과 몸상태에 맞도록 신축걸이대(160)를 상승시키면 상승하는 자켓(170)에 의지하여 스스로 설 수 있게 된다. 이때, 수직지지대(120)에 설치된 팔걸이(112)를 사용자의 신장에 맞추어 높이가 조정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사용자는 이와 같은 상태에서 좌,우측의 팔걸이(112)를 양쪽 손으로 각각 잡고 안정된 자세로 서서히 한 걸음씩 걸음을 옮겨가면서 다리의 재활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자켓(170)은 사용자의 하체를 감싸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하중은 종래의 통증에 취약한 상체 부분이 아닌 비교적 통증에 둔감한 하체에 집중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편안한 상태로 재활운동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체가 자유로운 상태가 되므로 몸의 균형을 잡기가 더욱 수월해지므로 보행이 용이해지고 운동량이 증대되면서 재활치료 속도가 크게 향상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보행을 하기 시작하면 프레임(110)의 바닥에 설치된 캐스터(111)에 의해 사용자의 보행방향에 따라 본 발명의 재활기구(100)가 이동하게 된다. 사용자는 본 재활기구(100)를 밀고 다니면서 재활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출입구와 같이 본 발명의 재활기구(100)가 통과할 수 없는 낮은 지역을 지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상기 회동도르레(140)를 하향회동시켜 본 발명의 재활기구(100)의 전체높이를 낮추어주면 쉽게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동도르레(140)를 하향회동시키는 데에는 보호자의 도움이 필요하다. 즉,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보호자가 조작레버를 한손으로 잡고 아래로 당기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동후크(144e)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수직바(144h)를 상승시키고 수직바(144h)에 연결된 작동바(144i)가 동반상승하면서 작동바(144i)에 힌지결합된 제2회동후크(144f)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1회동후크(144e)와 제2회동후크(144f)에 의해 폐쇄되었던 가이드공(144b)의 상단과 하단은 개방되고, 가이드공(144b) 상단에 구속되어 있던 링커(144c)와 연결된 안내핀(144d)은 가이드공(144b)을 따라 하향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보호자가 회동지지대(141)를 다른 손으로 잡고 아래로 당기면 압축실린더(143)가 수축되면서 회동지지대(141)가 하향회동함과 동시에 회동지지대(141)에 힌지결합된 링커(144c)가 안내핀(144d)의 안내를 받으면서 가이드공(144b)을 따라 하향이동한다. 회동지지대(141)가 수평상태가 되면 링커(144c)의 하단이 가이드공(144b)의 하단에 위치되는데 이때 한손으로 잡고 있던 조작레버를 다시 원위치로 밀어올리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동후크(144e)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다시 가이드공(144b)의 하단을 폐쇄하게 되고 가이드공(144b)의 하단에 위치된 안내핀(144d)이 가이드공(144b)을 따라 상향이동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하향회동된 회동지지대(141)는 원래위치로 복귀되지 못하고 하향회동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의 조작과정에서 보호자는 링커(144c)의 하단이 가이드공(144b)의 하단에 위치되기 이전에 조작레버를 다시 원위치시켜도 무방하다. 즉, 사용자가 조작레버를 다시 위로 올리거나 조작레버로부터 손을 떼면 조작레버가 자중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가이드공(144b)을 따라 하강하던 안내핀(144d)이 제1회동후크(144e)의 상단에 형성된 경사면(144j)을 가압하게 된다. 안내핀(144d)이 상기 경사면(144j)을 가압함에 따라 안내핀(144d)은 경사면(144j)을 따라 하강이동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1회동후크(144e)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하면서 가이드공(144b)의 하단을 개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공(144b)의 하단이 개방되면 상기 안내핀(144d)은 가이드공(144b)의 하단으로 위치되고 더 이상의 가압력을 받지 못하게 되는 제1회동후크(144e)는 자중에 의해 원래 위치로 자동복귀되면서 가이드공(144b)의 하단을 자동으로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보호자는 조작레버를 끝까지 잡고 있을 필요가 없으므로 회동도르레(140)의 하향회동 조작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회동도르레(140)가 하향회동되면 신축걸이대(160) 및 자켓(170)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므로 보호자나 사용자는 유무선제어기(135)를 이용하여 견인부재(130)를 작동시켜 자켓(170)의 높이를 원래 높이로 상승시켜준다.
이와 같이 회동도르레(140)를 하향시켜 본 재활치료기의 전체높이를 낮추게 되면, 출입구와 같이 높이가 낮은 지역도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활동범위가 넓어지고 재활효과도 크게 상승된다. 뿐만 아니라, 회동도르레(140)가 하향회동되더라도 견인부재(130)를 통해 자켓(170)의 높이를 원래대로 높일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평상시와 다름없이 안정적인 자세로 보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하향회동시켰던 회동도르레(140)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고자 할 경우에 단지 조작레버를 하향회동시키기만 하면 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레버를 하향회동시키면 가이드공(144b)의 하단과 상단이 동시에 개방되므로 가이드공(144b) 하단의 안내핀(144d)은 구속상태가 해제되는데, 안내핀(144d)의 구속상태가 해제되면 압축되어 있던 압축실린더(143)에 의해 상승력을 부여받고 있던 회동지지대(141)가 상향회동되며 상향회동되는 회동지지대(141)를 따라 링커(144c)의 하단이 안내핀(144d)에 가이드되면서 가이드공(144b)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도르레(140)가 상향회동하여 원래위치로 복귀되면 상기 링커(144c)와 함께 가이드공(144b)을 따라 상승하던 안내핀(144d)이 가이드공(144b)의 상단에 형성된 안착부에 위치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조작레버에서 손을 떼면 제1회동후크(144e)의 자중에 의해 조작레버가 원래 위치로 자동복귀되고 그 결과 가이드공(144b)의 상단과 하단이 동시에 폐쇄되면서 안내핀(144d)은 구속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회동도르레(140)는 하향회동이 제한되므로 원래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의 조작과정에서 사용자는 링커(144c)의 하단이 가이드공(144b)의 상단에 위치되기 이전에 조작레버를 다시 원위치시켜도 무방하다. 즉, 사용자가 링커(144c)의 하단이 가이드공(144b)의 상단에 위치되기 이전에 조작레버를 다시 아래로 올리거나 조작레버로부터 손을 떼게 되면, 조작레버가 자중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가이드공(144b)을 따라 상승하던 안내핀(144d)이 제2회동후크(144f)에 상승가압력을 부여하게 되고 이 가압력에 제2회동후크(144f)가 밀려 올라가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그 결과 가이드공(144b)의 상단을 개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공(144b)의 상단이 개방되면 상기 안내핀(144d)은 가이드공(144b)의 상단의 안착부에 위치되고, 더 이상의 가압력을 받지 못하게 되는 제2회동후크(144f)는 자중에 의해 원래 위치로 자동복귀되면서 가이드공(144b)의 상단을 자동으로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보호자는 조작레버를 끝까지 잡고 있을 필요가 없으므로 회동도르레(140)의 상향회동 조작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10...프레임 120...수직지지대
130...견인부재 140...회동도르레
141...회동지지대 142...롤러
143...압축실린더 144...록킹수단
144a...안내브라켓 144b가이드공
144c...링커 144d...안내핀
144e...제1회동후크 144f...제2회동후크
144g...작동레버 144h...수직바
144i...작동바 144j...경사면
144k...수평안착부 150...견인로프
160...신축걸이대 161...중앙몸체부
162...지지바 163...탄성부재
164...고리 170...자켓
171...연결끈 172...벨트

Claims (9)

  1. 몸체를 이루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세워진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된 견인부재;
    상기 수직지지대 상단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도르레;
    상기 견인부재에 의해 승강하도록 상기 회동도르레에 감겨진 견인로프;
    상기 견인로프에 매달린 신축걸이대; 및
    상기 신축걸이대와 연결끈으로 연결된 벨트를 구비하면서 바지의 형태로 사용자의 하체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상기 신축걸이대에 매달린 자켓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장애용 재활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도르레는
    상기 수직지지대의 양측에 각각 상하로 회동되게 힌지결합된 회동지지대;
    상기 회동지지대의 단부에 설치된 롤러;
    상단은 회동지지대에 힌지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수직지지대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하향회동된 회동지지대에 상향회동력을 부여하는 압축실린더; 및
    회동지지대의 회동동작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록킹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장애용 재활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수직지지대의 일측에 고정된 안내브라켓;
    상기 안내브라켓에 상하로 형성된 가이드공;
    상단은 상기 회동지지대에 힌지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회동지지대의 회동동작시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이동되는 링커;
    상기 링커가 가이드공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공에 끼워진 상태로 링커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공의 전구간을 주행하는 안내핀;
    상기 안내브라켓의 하부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가이드공의 하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회동후크; 및
    상기 안내브라켓 상부에 상기 제1회동후크와 연동되도록 힌지결합되어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가이드공의 상단을 선택적으로 개페하는 제2회동후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장애용 재활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제1회동후크의 회동시 승강하도록 제1회동후크의 단부에 하단이 힌지결합된 수직바와, 일단은 제2회동후크의 단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직바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수직바의 승강시 제2회동후크가 가이드공의 상단을 개방시키도록 회동력을 부여하는 작동바를 통해 상기 제1회동후크와 제2회동후크가 연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장애용 재활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후크와 제2회동후크는 자중에 의해 각각 가이드공의 하단과 상단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안내브라켓에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장애용 재활기구.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후크의 상단은 안내핀의 하중에 의해 가이드공의 하단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제1회동후크의 단부측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장애용 재활기구.
  7. 제 3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공의 상단에는 안내핀이 안착되는 수평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회동후크가 안내핀으로부터 상승가압력을 받을 경우에 상기 수평안착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제2회동후크는 상기 안내핀으로부터 상승가압력을 받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장애용 재활기구.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걸이대는
    상기 견인로프에 매달린 중앙몸체부;
    상기 중앙몸체부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중앙몸체부의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된 지지바;
    상기 중앙몸체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중앙몸체부측으로 회동된 지지바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자켓을 매달 수 있도록 상기 지지바의 단부에 형성된 고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장애용 재활기구.
KR1020100033764A 2010-04-13 2010-04-13 보행장애용 재활기구 KR101205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764A KR101205343B1 (ko) 2010-04-13 2010-04-13 보행장애용 재활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764A KR101205343B1 (ko) 2010-04-13 2010-04-13 보행장애용 재활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233A KR20110114233A (ko) 2011-10-19
KR101205343B1 true KR101205343B1 (ko) 2012-11-28

Family

ID=45029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764A KR101205343B1 (ko) 2010-04-13 2010-04-13 보행장애용 재활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3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253B1 (ko) * 2011-11-24 2013-06-26 주식회사 피앤에스미캐닉스 보행 훈련 장치
KR102153217B1 (ko) 2019-03-28 2020-09-07 찬 일 함 보행 재활 기구
CN112642105B (zh) * 2020-11-27 2022-03-01 李言志 一种中医骨科用训练辅助装置
CN114555027B (zh) * 2021-09-29 2024-05-10 全能照护科技股份有限公司 照护机和包含照护机的悬吊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654Y1 (ko) 2003-01-02 2003-03-17 박승부 환자용 재활장치
JP2006034440A (ja) 2004-07-23 2006-02-09 Robotopia:Kk 歩行支援装置
JP2009066194A (ja) * 2007-09-13 2009-04-02 Kintetsu Smile Supply Inc 自力歩行訓練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654Y1 (ko) 2003-01-02 2003-03-17 박승부 환자용 재활장치
JP2006034440A (ja) 2004-07-23 2006-02-09 Robotopia:Kk 歩行支援装置
JP2009066194A (ja) * 2007-09-13 2009-04-02 Kintetsu Smile Supply Inc 自力歩行訓練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233A (ko) 201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65043B1 (en) Patient transfer and training aid
US5502851A (en) Assisted lifting, stand and walking device
US5117516A (en) Patient sling
US632502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a child to walk
US10143606B2 (en) Sit-to-stand apparatus and method
US20060229167A1 (en) Force assistance device for walking rehabilitation therapy
JP6362144B2 (ja) 患者位置変更システム
JP6578081B2 (ja) 起立着座移動支援装置
JP2009207858A (ja) 自立生活運動支援用車椅子
US11872171B2 (en) Device for supporting the ability of a person with restricted mobility to move
KR101205343B1 (ko) 보행장애용 재활기구
KR20200001098A (ko) 재활운동을 위한 보행용 스마트 전동휠체어
US20040074414A1 (en) Patient mobility system
CN107320259A (zh) 一种可自锁的多功能床椅
US73512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bed sores and lower back pain in spinal injury patients
JP2002028202A (ja) 歩行補助機
KR102054767B1 (ko) 운동 보조 기구를 구비하는 건강침대 시스템
WO2009128582A1 (en) The height up bed
KR20090102473A (ko) 보행재활 운동을 위한 재활평행봉용 재활보조장치
JP2008029676A (ja) 歩行補助装置
KR102163785B1 (ko) 욕창 방지 운동 안전 벨트
KR101527593B1 (ko) 전보행 재활 훈련기
CN111631922A (zh) 一种脑偏瘫术后行走的医疗康复训练设备
JP2020075084A (ja) 肢体不自由者用の用便介助トイレ
CN215915581U (zh) 一种多功能防摔助行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