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935B1 - 침지 노즐 예열 버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지 노즐 예열 방법 - Google Patents

침지 노즐 예열 버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지 노즐 예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935B1
KR101204935B1 KR1020100028896A KR20100028896A KR101204935B1 KR 101204935 B1 KR101204935 B1 KR 101204935B1 KR 1020100028896 A KR1020100028896 A KR 1020100028896A KR 20100028896 A KR20100028896 A KR 20100028896A KR 101204935 B1 KR101204935 B1 KR 101204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mersion nozzle
mold
preheating
molten steel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9252A (ko
Inventor
유대경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8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935B1/ko
Publication of KR20110109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3/00Burners using capillary action
    • F23D3/02Wick burners
    • F23D3/18Details of wick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2/00Liquid fuel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burner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 carrier gas
    • F23D2900/3102Preheating devices; Star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지 노즐이 삽입될 수 있는 홀을 상부에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상기 침지 노즐을 예열 하기 위한 버너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침지 노즐을 예열하는, 침지 노즐 예열 버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지 노즐 예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침지 노즐 예열 버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지 노즐 예열 방법{PREHEATING BURNER APPARATUS FOR SUBMERGED ENTRY NOZZLE AND METHOD FOR PREHEATING SUBMERGED ENTRY NOZZ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침지 노즐의 내경에 이물질이 융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침지 노즐 예열 버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지 노즐 예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 주조기는 제강로에서 생산되어 래들(ladle)로 이송된 용강을 턴디쉬(turndish)에 받았다가 연속 주조기용 주형로 공급하여 일정한 크기의 슬라브를 생산하는 설비이다.
상기 연속 주조기는 용강을 저장하는 래들과, 턴디쉬 및 상기 턴디쉬에서 출강되는 용강을 최초 냉각시켜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주물으로 형성하는 연속 주조기용 주형와, 상기 주형에 연결되어 주형에서 형성된 주물을 이동시키는 다수의 핀치롤러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래들과 턴디쉬에서 출강된 용강은 주형에서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는 슬라브(Slab) 또는 블룸(Bloom), 빌렛(Billet) 등의 주물로 형성되어 핀치롤러를 통해 이송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침지 노즐을 미리 예열시켜, 연속 주조에 이용되는 침지 노즐의 내경에 용강이 응고되는 현상을 줄여, 조업 중단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낮추고, 연속 주조의 생산효율을 높이기 위한 침지 노즐 예열 버너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침지 노즐 예열 버너 장치는, 침지 노즐이 삽입되는 홀, 및 연소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상부에 구비함과 아울러 내구성 증진을 위해 이중 구조로 설계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상기 침지 노즐을 예열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부, 연소용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공급부, 상기 산소를 이용하여 상기 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부를 구비하는 버너; 및 상기 침지 노즐의 예열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버너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들 중 외곽에 삽입된 상기 침지 노즐을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로 예열하도록 상기 버너를 제어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속주조를 위해 침지노즐을 교체하는 경우, 침지 노즐 내경에 발생되는 용강 응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노즐 교체시 턴디쉬에서 주형 주입 용강의 프리징(freezing) 현상을 방지하여, 연속 주조의 조업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연속주조기를 보인 측면도.
도 2는 용강(M)의 흐름을 중심으로 도 1의 연속주조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도 2의 주형(30) 및 그와 인접한 부분에서의 용강(M)의 분포 형태를 보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침지 노즐 예열 버너 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침지 노즐 예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지 노즐 예열 버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지 노즐 예열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연속주조(連續鑄造, Continuous casting)는 용융금속을 바닥이 없는 주형(鑄型, Mold)에서 응고시키면서 연속적으로 주물 또는 강괴(鋼塊, steel ingot)를 뽑아내는 주조법이다. 연속주조는 정사각형?직사각형?원형 등 단순한 단면형의 긴 제품과 주로 압연용 소재인 슬래브?블룸?빌릿을 제조하는 데 이용된다.
연속주조기의 형태는 수직형?수직굴곡형?수직축차굴곡형?만곡형?수평형 등으로 분류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만곡형을 예시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연속주조기를 보인 측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연속주조기는 턴디쉬(20)와, 주형(30)과, 2차냉각대(60 및 65), 핀치롤(70), 그리고 절단기(90)를 포함할 수 있다.
턴디쉬(Tundish, 20)는 래들(Laddle, 10)로부터 용융금속을 받아 주형(Mold, 30)으로 용융금속을 공급하는 용기이다. 래들(10)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교대로 용강을 받아서 턴디쉬(20)에 공급하게 된다. 턴디쉬(20)에서는 주형(30)으로 흘러드는 용융금속의 공급 속도조절, 각 주형(30)으로 용융금속 분배, 용융금속의 저장, 슬래그 및 비금속 개재물(介在物)의 분리 등이 이루어진다.
주형(30)은 통상적으로 수냉식 구리제이며, 수강된 용강이 1차 냉각되게 한다. 주형(30)은 구조적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면들이 개구된 형태로서 용강이 수용되는 중공부를 형성한다. 슬라브를 제조하는 경우에, 주형(30)은 한 쌍의 장벽과, 장벽들을 연결하는 한 쌍의 단벽을 포함한다. 여기서, 단벽은 장벽보다 작은 넓이를 가지게 된다. 주형(30)의 벽들, 주로는 단벽들은 서로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회전되어 일정 수준의 테이퍼(Taper)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테이퍼는 주형(30) 내에서 용강(M)의 응고로 이한 수축을 보상하기 위해 설정한다. 용강(M)의 응고 정도는 강종에 따른 탄소 함량, 파우더의 종류(강냉형 Vs 완냉형), 주조 속도 등에 의해 달라지게 된다.
주형(30)은 주형(30)에서 뽑아낸 주물이 모양을 유지하고, 아직 응고가 덜 된 용융금속이 유출되지 않게 강한 응고각(凝固殼) 또는 응고쉘(Solidifying shell, 81, 도 2 참조)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수냉 구조에는 구리관을 이용하는 방식, 구리블록에 수냉홈을 뚫는 식, 수냉홈이 있는 구리관을 조립하는 방식 등이 있다.
주형(30)은 용강이 주형의 벽면에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실레이터(40)에 의해 오실레이션(oscillation, 왕복운동)된다. 오실레이션 시 주형(30)과 주물과의 마찰을 줄이고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윤활제가 이용된다. 윤활제로는 뿜어 칠하는 평지 기름과 주형(30) 내의 용융금속 표면에 첨가되는 파우더(Powder)가 있다. 파우더는 주형(30) 내의 용융금속에 첨가되어 슬래그가 되며, 주형(30)과 주물의 윤활뿐만 아니라 주형(30) 내 용융금속의 산화?질화 방지와 보온, 용융금속의 표면에 떠오른 비금속 개재물의 흡수의 기능도 수행한다. 파우더를 주형(30)에 투입하기 위하여, 파우더 공급기(50)가 설치된다. 파우더 공급기(50)의 파우더를 배출하는 부분은 주형(30)의 입구를 지향한다.
2차 냉각대(60 및 65)는 주형(30)에서 1차로 냉각된 용강을 추가로 냉각한다. 1차 냉각된 용강은 지지롤(60)에 의해 응고각이 변형되지 않도록 유지되면서, 물을 분사하는 스프레이(65)에 의해 직접 냉각된다. 주물 응고는 대부분 상기 2차 냉각에 의해 이루어진다.
인발장치(引拔裝置)는 주물이 미끄러지지 않게 뽑아내도록 몇 조의 핀치롤(70)들을 이용하는 멀티드라이브방식 등을 채용하고 있다. 핀치롤(70)은 용강의 응고된 선단부를 주조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주형(30)을 통과한 용강이 주조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절단기(90)는 연속적으로 생산되는 주물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도록 형성된다. 절단기(90)로는 가스토치나 유압전단기(油壓剪斷機)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도 2는 용강(M)의 흐름을 중심으로 도 1의 연속주조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용강(M)은 래들(10)에 수용된 상태에서 턴디쉬(20)로 유동하게 된다. 이러한 유동을 위하여, 래들(10)에는 턴디쉬(20)를 향해 연장하는 슈라우드 노즐(Shroud nozzle, 15)이 설치된다. 슈라우드 노즐(15)은 용강(M)이 공기에 노출되어 산화?질화되지 않도록 턴디쉬(20) 내의 용강에 잠기도록 연장한다. 슈라우드 노즐(15)의 파손 등으로 용강(M)이 공기 중에 노출된 경우를 오픈 캐스팅(Open casting)이라 한다.
턴디쉬(20) 내의 용강(M)은 주형(30) 내로 연장하는 침지 노즐(SEN, Submerged Entry Nozzle, 25)에 의해 주형(30) 내로 유동하게 된다. 침지 노즐(25)은 주형(30)의 중앙에 배치되어, 침지 노즐(25)의 양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용강(M)의 유동이 대칭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침지 노즐(25)을 통한 용강(M)의 토출의 시작, 토출 속도, 및 중단은 침지 노즐(25)에 대응하여 턴디쉬(20)에 설치되는 스톱퍼(stopper, 21)에 의해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스톱퍼(21)는 침지 노즐(25)의 입구를 개폐하도록 침지 노즐(25)과 동일한 라인을 따라 수직 이동될 수 있다. 침지 노즐(25)을 통한 용강(M)의 유동에 대한 제어는, 스톱퍼 방식과 다른, 슬라이드 게이트(Slide gate)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슬라이드 게이트는 판재가 턴디쉬(20)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침지 노즐(25)을 통한 용강(M)의 토출 유량을 제어하게 된다.
주형(30) 내의 용강(M)은 주형(30)을 이루는 벽면에 접한 부분부터 응고하기 시작한다. 이는 용강(M)의 중심보다는 주변부가 수냉되는 주형(30)에 의해 열을 잃기 쉽기 때문이다. 주변부가 먼저 응고되는 방식에 의해, 스트랜드(80)의 주조 방향을 따른 뒷부분은 미응고 용강(82)이 용강(M)이 응고된 응고쉘(81)에 감싸여진 형태를 이루게 된다.
핀치롤(70, 도 1)이 완전히 응고된 스트랜드(80)의 선단부(83)를 잡아당김에 따라, 미응고 용강(82)은 응고쉘(81)과 함께 주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미응공 용강(82)은 위 이동 과정에서 냉각수를 분사하는 스프레이(65)에 의해 냉각된다. 이는 스트랜드(80)에서 미응고 용강(82)이 차지하는 두께가 점차로 작아지게 한다. 스트랜드(80)가 일 지점(85)에 이르면, 스트랜드(80)는 전체 두께가 응고쉘(81)로 채워지게 된다. 응고가 완료된 스트랜드(80)는 절단 지점(91)에서 일정 크기로 절단되어 슬라브 등과 같은 제품(P)으로 나뉘어진다.
주형(30) 및 그와 인접한 부분에서의 용강(M)의 형태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주형(30) 및 그와 인접한 부분에서의 용강(M)의 분포 형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침지 노즐(25)의 단부 측에는 통상적으로 도면상 좌우에 한 쌍의 토출구(25a)들이 형성된다{주형(30) 및 침지 노즐(25) 등의 형태는 중심선(C)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본 도면에서는 좌측만을 표시한다}.
토출구(25a)에서 아르곤(Ar) 가스와 함께 토출되는 용강(M)은 화살표(A1, A2)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측을 향한 방향(A1)과 하측을 향한 방향(A2)으로 유동하는 궤적을 그리게 된다.
주형(30) 내부의 상부에는 파우더 공급기(50)로부터 공급된 파우더에 의해 파우더층(51)이 형성된다. 파우더층(51)은 파우더가 공급된 형태대로 존재하는 층과 용강(M)의 열에 의해 소결된 층{소결층이 미응고 용강(82)에 더 가깝게 형성됨}을 포함할 수 있다. 파우더층(51)의 하측에는 파우더가 용강(M)에 의해 녹아서 형성된 슬래그층 또는 액체 유동층(52)이 존재하게 된다. 액체 유동층(52)은 주형(30) 내의 용강(M)의 온도를 유지하고 이물질의 침투를 차단한다. 파우더층(51)의 일부는 주형(30)의 벽면에서 응고되어 윤활층(53)을 형성한다. 윤활층(53)은 응고쉘(81)이 주형(30)에 붙지 않도록 윤활하는 기능을 한다.
응고쉘(81)의 두께는 주조 방향으로 따라 진행할수록 두꺼워진다. 응고쉘(81)의 주형(30) 위치한 부분은 두께가 얇으며, 주형(30)의 오실레이션에 따라 자국(Ocillation mark, 87)이 형성되기도 한다. 응고쉘(81)은 지지롤(60)에 의해 지지되며, 물을 분사하는 스프레이(65)에 의해 그 두께가 두꺼워진다. 응고쉘(81)은 두꺼워지다가 일 부분이 볼록하게 돌출하는 벌징(Bulging) 영역(88)이 형성되기도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침지 노즐 예열 버너 장치 및 침지 노즐 예열 방법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침지 노즐 예열 버너 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침지 노즐 예열 버너 장치(100)은 하우징(110, 110', 110")과, 가스 공급부(120), 산소 공급부(공기 공급부)(130), 점화부(140, 140', 140")를 포함하는 버너가 복수개 나열되어 있다.
하우징(110)은 그 상부에 침지 노즐(25)이 삽입되기 위한 홀(112)이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연소가스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111)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은 그 내구성을 증진하기 위해, 이중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의 하부에는 버너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버너는 가스 공급부(120), 공기 공급부(130), 및 점화부(140)를 포함한다.
가스 공급부(120)는 액화 천연가스, 액화 프로판 가스등의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로서, 펌핑 장치(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하우징(110) 내에 설치된 점화부(120)까지 가스가 공급되게 된다.
공기 공급부(130)는, 상기 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산소를 상기 하우징(110) 내에 공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펌핑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기 공기를 하우징(110) 내에 설치된 점화부(140)까지 공급하게 된다.
점화부(140)는 상기 공기공급부(130) 및 상기 가스 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산소와 연료용 가스(액화 천연가스 및 액화 프로판가스 등)를 연소시켜, 상기 하우징(140)의 상부의 홀(112)로부터 삽입되는 침지노즐(25)에 대하여 예열을 실행하게 된다. 이 때, 예열 온도는 용강의 온도를 고려하여 대략 1100 도에서 1300도 까지 예열을 하게된다. 이 침지 노즐의 예열 온도를 제어하기 하기 위해 제어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각각의 버너를 독립제어함으로써, 각 하우징내의 침지 노즐(25)을 별도의 온도로 예열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이 복수개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상기 침지 노즐들 중 양측에 배치된 침지 노즐을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로 예열하도록 상기 버너를 제어할 수 있다. 통상, 턴디쉬(20)에 있어서, 양측은 중앙에 비하여 온도가 다소 낮게 된다. 따라서, 양측에 배치된 침지노즐에서 용강의 응고 현상이 일어나기 쉽다. 따라서, 양측의 예열 온도를 더 높게 하여 침지 노즐(25)의 내경에 발생할 수 있는 용강 응고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예를 들면, 중앙의 침지 노즐(25)은 대략 1150도로 예열하고, 양측의 침지 노즐은 1250도로 예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침지 노즐 예열 버너 장치를 이용한 침지 노즐 예열 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침지 노즐 예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복수의 하우징(110,110',110")을 포함한 예열 버너 장치를 제공한다(S1). 각 하우징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열 버너가 제공된다. 그 다음,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된 홀(112)을 통해 침지 노즐이 상기 하우징 내로 삽입한다(S3). 그 다음 예열 버너를 점화시켜 하우징(110) 내에 삽입된 침지 노즐(25)을 예열한다(S5). 이 때, 상기 침지 노즐이 적어도 3개 예열 되는 경우, 양측에 배치된 침지노즐을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로 예열하게 된다. 예열이 완료되면, 침지 노즐(25)을 턴디쉬(20)로 이동시킨다(S7).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가스를 이용하여 침지노즐을 예열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일예에 불과하고, 전기를 이용하거나, 레이저를 이용한 방법 등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침지 노즐 예열 버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지 노즐 예열 방법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 래들 15: 슈라우드 노즐
20: 턴디쉬 25: 침지 노즐
30: 주형 40: 주형 오실레이터
50: 파우더 공급기 51: 파우더층
52: 액체 유동층 53: 윤활층
60: 지지롤 65: 스프레이
70: 핀치롤 80: 스트랜드
81: 응고쉘 82: 미응고 용강
83: 선단부 85: 응고 완료점
87: 오실레이션 자국 88: 벌징 영역
100: 침지 노즐 예열 버너 장치 110: 하우징
120: 가스 공급부 130: 공기공급부
140: 점화부

Claims (6)

  1. 침지 노즐이 삽입되는 홀, 및 연소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상부에 구비함과 아울러 내구성 증진을 위해 이중 구조로 설계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상기 침지 노즐을 예열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부, 연소용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공급부, 상기 산소를 이용하여 상기 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부를 구비하는 버너; 및
    상기 침지 노즐의 예열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버너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들 중 외곽에 삽입된 상기 침지 노즐을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로 예열하도록 상기 버너를 제어하는 침지 노즐 예열 버너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00028896A 2010-03-31 2010-03-31 침지 노즐 예열 버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지 노즐 예열 방법 KR101204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896A KR101204935B1 (ko) 2010-03-31 2010-03-31 침지 노즐 예열 버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지 노즐 예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896A KR101204935B1 (ko) 2010-03-31 2010-03-31 침지 노즐 예열 버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지 노즐 예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252A KR20110109252A (ko) 2011-10-06
KR101204935B1 true KR101204935B1 (ko) 2012-11-26

Family

ID=45026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896A KR101204935B1 (ko) 2010-03-31 2010-03-31 침지 노즐 예열 버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지 노즐 예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9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542B1 (ko) * 2012-05-31 2014-06-26 현대제철 주식회사 침지노즐 예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252A (ko)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9450B1 (ko) 침지 노즐 막힘 정도 추정 방법 및 침지 노즐 교환 시기 추정 방법
KR101224955B1 (ko) 스트랜드 냉각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412542B1 (ko) 침지노즐 예열장치
KR101204935B1 (ko) 침지 노즐 예열 버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지 노즐 예열 방법
KR101368350B1 (ko) 용강의 탄소증가량 예측장치 및 그 방법
KR101175629B1 (ko) 슈라우드 노즐 장착 장치
KR101193850B1 (ko) 침지 노즐의 개재물 탈락 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
KR101121572B1 (ko) 침지 노즐 예열 장치 및 방법
KR101185919B1 (ko) 침지 노즐 막힘 경고 방법
KR101159604B1 (ko) 주형 내 비대칭 유동 판별 장치 및 비대칭 유동 제어 방법
KR101193857B1 (ko) 슈라우드 노즐 교체 장치
KR101140608B1 (ko) 용강의 초기 비산 제어형 침지 노즐 및 그를 이용한 초기 비산 제어 방법
KR101193875B1 (ko) 슈라우드 노즐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159613B1 (ko) 연속주조 주형의 테이퍼 판별 장치 및 방법
KR101400039B1 (ko) 냉각장치
KR101159612B1 (ko) 침지 노즐 조립체 제작용 모르타르 및 그를 이용한 침지 노즐 조립체 제작 방법
KR20110109258A (ko) 몰드 파우더 점도 추정 방법
KR20110130650A (ko) 턴디쉬
KR20110131356A (ko) 파우더 윤활재를 사용한 연속 주조 방법
KR20110120482A (ko) 컴파운드 캐스팅의 시작 방법
KR20110120544A (ko) 래들의 버블링 콘 인발용 지그 및 그를 이용한 인발 방법
KR20120021381A (ko) 연속 주조기용 주물 성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물 성형 방법
KR20110109108A (ko) 슈라우드 노즐의 용강 응고 판별 장치 및 그의 용강 유동 제어 방법
KR20110130807A (ko) 연속 주조에서의 턴디쉬 예열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368352B1 (ko) 주조 온도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