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823B1 - 리프팅장치 - Google Patents

리프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823B1
KR101192823B1 KR1020100131435A KR20100131435A KR101192823B1 KR 101192823 B1 KR101192823 B1 KR 101192823B1 KR 1020100131435 A KR1020100131435 A KR 1020100131435A KR 20100131435 A KR20100131435 A KR 20100131435A KR 101192823 B1 KR101192823 B1 KR 101192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shaft
piston
housing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1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0041A (ko
Inventor
오윤하
Original Assignee
오윤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윤하 filed Critical 오윤하
Priority to KR1020100131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823B1/ko
Publication of KR20120070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46Combinations of several jacks with means for interrelating lifting or lowering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 및 하부에 흡배기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고, 상기 각 흡배기부 사이에 구비되어 승하강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과 연결된 작동로드를 포함하는 구동유닛; 제1 축관통부와, 상기 제1 축관통부와 연통된 복수의 제2 축관통부를 갖는 기어박스와, 상기 제1 축관통부에 구비되고, 상기 각 제2 축관통부에 노출되는 래크부를 갖는 동조로드와, 상기 각 제2 축관통부에 구비되고, 상기 래크부와 맞물리는 피니언부를 갖는 연동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의 일측에 연결된 종동유닛; 및 상기 작동로드와 상기 동조로드의 각 외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구동유닛에 의하여 종동유닛을 연동시키기 위한 매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구동유닛과 종동유닛이 나란히 배열되고, 구동유닛의 작동로드와 종동유닛의 동조로드를 연결하는 매개부재를 도입하여 구동유닛의 구동력을 매개부재가 종동유닛으로 전달하여 연동시키고, 다수의 리프팅장치를 모듈화하기 위해 종동유닛의 동조로드에 의하여 연동하는 각 리프팅장치의 연동로드를 각각 레벨링샤프트로 연결하여 리프티장치의 승하강속도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동조화시킴으로써 대상체의 승하강 작업 시 동작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리프팅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리프팅장치{LIF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구동유닛과 종동유닛이 나란히 배열되고, 구동유닛의 작동로드와 종동유닛의 동조로드를 연결하는 매개부재를 도입하여 구동유닛의 구동력을 매개부재가 종동유닛으로 전달하여 연동시키고, 다수의 리프팅장치를 모듈화하기 위해 종동유닛의 동조로드에 의하여 연동하는 각 리프팅장치의 연동로드를 각각 레벨링샤프트로 연결하여 리프티장치의 승하강속도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동조화시킴으로써 대상체의 승하강 작업 시 동작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프팅장치(L)는 컨베이어용 업-다운 DIVERTER와, 테이블 리프터와, 자동 창고용 입출고 HOME POSITION LIFTER와, 포오크 리프터와, 볼 부쉬, LM 가이드 대용 가이드 유닛과, GLASS UP/DOWN UNIT(CLEAN ROOM TYPE)와, GLASS PIN UP UNIT(CLEAN ROOM TYPE) 및 기타 자동화 기계 및 산업기계 UP/DOWN SYSTEM 등과 같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리프팅장치는 구동부와 종동부가 상하부로 연결된 수직배열 형태로 구성되어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하여 종동부가 연동하여 작동함으로써 대상체를 승하강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리프팅장치의 경우에는 구동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종동부가 연결되는 형태로 그 높이 사이즈를 줄이는 데에 한계가 있어 장치를 콤팩트하게 구성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고,
또한 구동부의 실린더로드만으로 대상체를 승하강시키게 되므로 실린더로드와 연결된 테이블에 올려진 대상체가 일측으로 쏠려 무게중심이 센터에서 벗어나는 경우에는 리트팅 동작 시 편심이 발생하여 작동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더 나아가 구동부와 종동부가 상호 맞물린 상태로 구성되어 있어 리프팅장치의 행정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이는 리프팅장치의 사용 및 활용범위를 제한하여 장치의 활용도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구동유닛과 종동유닛이 나란히 배열되고, 구동유닛의 작동로드와 종동유닛의 동조로드를 연결하는 매개부재를 도입하여 구동유닛의 구동력을 매개부재가 종동유닛으로 전달하여 연동시키고, 다수의 리프팅장치를 모듈화하기 위해 종동유닛의 동조로드에 의하여 연동하는 각 리프팅장치의 연동로드를 각각 레벨링샤프트로 연결하여 리프티장치의 승하강속도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동조화시킴으로써 대상체의 승하강 작업 시 동작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리프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에 의하여 들어 올리어지는 대상체를 작동로드와 동조로드가 양 지점에서 지지하여 수평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대상체의 승하강 시 편심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작동성능을 보장할 수 있고,
또한 구동유닛과 종동유닛이 나란히 배열된 수평구조로 이루어져 종래에 구동부와 종동부가 상하 구조로 구성된 리프팅장치에 비하여 장치의 사이즈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사이즈는 줄이면서도 각 로드의 행정거리는 증가시킬 수 있어 장치의 활용범위를 넓힐 수 있는 리프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는 하우징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아울러 매개부재에 연결되는 작동로드와 동조로드에는 탈착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장치의 부품을 교체하거나 수리하기 위한 유지보수작업이나, 또는 리프팅장치의 초기 설정 높이를 높이거나 또는 낮추기 위해 작동로드와 동조로드를 교체하는 작업을 쉽고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프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는 상부 및 하부에 흡배기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고, 상기 각 흡배기부 사이에 구비되어 승하강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과 연결된 작동로드를 포함하는 구동유닛; 제1 축관통부와, 상기 제1 축관통부와 연통된 복수의 제2 축관통부를 갖는 기어박스와, 상기 제1 축관통부에 구비되고, 상기 각 제2 축관통부에 노출되는 래크부를 갖는 동조로드와, 상기 각 제2 축관통부에 구비되고, 상기 래크부와 맞물리는 피니언부를 갖는 연동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의 일측에 연결된 종동유닛; 및 상기 작동로드와 상기 동조로드의 각 외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구동유닛에 의하여 종동유닛을 연동시키기 위한 매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동유닛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는 커버가 더 구비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작동로드를 위한 가이드홀과, 상기 몸체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에 형성된 환형의 삽입홈에 장착되어 상기 커버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스냅링과, 상기 몸체의 외벽면과, 상기 가이드홀 벽면에 구비된 제1 기밀유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매개부재와, 상기 작동로드 및 동조로드에는 탈부착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탈부착수단은 상기 작동로드 상단부에 형성되고,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체결부와, 상기 동조로드의 상단면에 형성되고,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 체결부와, 상기 매개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에 대응하도록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체결공과, 상기 매개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부에 대응하는 제2 체결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체결부와 제1 체결공은 상기 제1 체결부에 구비된 결합너트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제2 체결부와 제2 체결공은 상기 제2 체결공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제2 체결부에 체결되는 결합볼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동유닛에서 상기 피스톤의 상부 및 하부에는 제2 기밀유지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 기밀유지부재 사이에는 윤활밴드가 더 구비되며,
상기 피스톤의 상면부와 하면부에는 완충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내장되고, 상기 피스톤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열되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는 구동유닛과 종동유닛이 나란히 배열되고, 구동유닛의 작동로드와 종동유닛의 동조로드를 연결하는 매개부재를 도입하여 구동유닛의 구동력을 매개부재가 종동유닛으로 전달하여 연동시키고, 다수의 리프팅장치를 모듈화하기 위해 종동유닛의 동조로드에 의하여 연동하는 각 리프팅장치의 연동로드를 각각 레벨링샤프트로 연결하여 리프티장치의 승하강속도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동조화시킴으로써 대상체의 승하강 작업 시 동작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에 의하여 들어 올리어지는 대상체를 작동로드와 동조로드가 양 지점에서 지지하여 수평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대상체의 승하강 시 편심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작동성능을 보장할 수 있고,
또한 구동유닛과 종동유닛이 나란히 배열된 수평구조로 이루어져 종래에 구동부와 종동부가 상하 구조로 구성된 리프팅장치에 비하여 장치의 사이즈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사이즈는 줄이면서도 각 로드의 행정거리는 증가시킬 수 있어 장치의 활용범위를 넓힐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는 하우징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아울러 매개부재에 연결되는 작동로드와 동조로드에는 탈착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장치의 부품을 교체하거나 수리하기 위한 유지보수작업이나, 또는 리프팅장치의 초기 설정 높이를 높이거나 또는 낮추기 위해 작동로드와 동조로드를 교체하는 작업을 쉽고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를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의 종동유닛을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의 또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인 리프팅장치(L)는 컨베이어용 업-다운 DIVERTER와, 테이블 리프터와, 자동 창고용 입출고 HOME POSITION LIFTER와, 포오크 리프터와, 볼 부쉬, LM 가이드 대용 가이드 유닛과, GLASS UP/DOWN UNIT(CLEAN ROOM TYPE)와, GLASS PIN UP UNIT(CLEAN ROOM TYPE) 및 기타 자동화 기계 및 산업기계 UP/DOWN SYSTEM 등과 같이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는
상부 및 하부에 흡배기부(12)를 갖는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에 내장되고, 상기 각 흡배기부(12) 사이에 구비되어 승하강하는 피스톤(13)과, 상기 피스톤(13)과 연결된 작동로드(15)를 포함하는 구동유닛(10); 제1 축관통부(21a)와, 상기 제1 축관통부(21a)와 연통된 복수의 제2 축관통부(21b)를 갖는 기어박스(21)와, 상기 제1 축관통부(21a)에 구비되고, 상기 각 제2 축관통부(21b)에 노출되는 래크부(23a)를 갖는 동조로드(23)와, 상기 각 제2 축관통부(21b)에 구비되고, 상기 래크부(23a)와 맞물리는 피니언부(25a)를 갖는 연동로드(25)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10)의 일측에 연결된 종동유닛(20); 및 상기 작동로드(15)와 상기 동조로드(23)의 각 외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구동유닛(10)에 의하여 종동유닛(20)을 연동시키기 위한 매개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L)는 상기 구동유닛(10)의 하우징(11)과, 상기 종동유닛(20)의 기어박스(21)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블록체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구동유닛의 하우징과, 상기 종동유닛의 기어박스가 분리된 개별체로 이루어져 상호간에 연결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과 기어박스(21)가 하나의 블록체로 이루어져 있으나,
도 2의 지면상에서 우측에는 구동유닛(10)의 하우징(11)이, 좌측에는 종동유닛(20)의 기어박스(21)가 구비된 것을 편의상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에서, 상기 구동유닛(10)은
에어의 유출입을 통하여 구동하고, 그 구동력을 매개부재(30)에 의하여 종동유닛(20)을 전달하여 연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유닛(10)은 상부에 흡배기부(12)를 갖는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에 내장되고, 상기 흡배기부(12)를 통하여 유출입하는 공기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피스톤(13)과,
상기 피스톤(13)과 연결된 작동로드(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1)은 원통 형태의 내실이 구비되고,
상기 흡배기부(12)는 상기 피스톤(13)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우징(11)의 내실을 점하고, 상기 내실과 연통하는 제1 에어홀(12a)을 갖는 제1 흡배기부(12A)와,
상기 피스톤(13)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우징(11)의 내실을 점하고, 상기 내실과 연통하는 제2 에어홀(12b)을 갖는 제2 흡배기부(1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그리고 상기 내실의 상부 벽면에는 환형의 삽입홈(11a)이 형성되어 커버(40)의 스냅링(45)이 삽입 장착된다.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 흡배기부(12B)에 에어의 일정한 압력으로 에어를 주입시키기 위한 에어공급장치(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에어공급장치와 상기 흡배기부(12)의 제1 및 제2 에어홀(12b)은 공급관(미도시)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흡배기부(12A)(12B)로 에어의 유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피스톤(13)은 하우징(11)의 내실에 내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흡배기부(12A)(12B) 사이에 배열되어 제1 및 제2 흡배기부(12A)(12B)를 통하여 유출입하는 에어에 의하여 승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피스톤(13)이 하강된 상태를 초기상태라 하고,
상기 제2 흡배기부(12B)에 일정한 압력의 에어가 주입되면 에어압에 의하여 피스톤(13)이 승강함과 동시에, 상기 제1 흡배기부(12A)에 잔류하던 에어는 배출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제1 흡배기부(12A)에 다시 일정한 압력의 에어가 주입되면 에어압에 의하여 피스톤(13)이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제2 흡배기부(12B)에 잔류하던 에어가 배출됨으로써
상기 피스톤(13)이 상기 제1 및 제2 흡배기부(12A)(12B)을 통하여 유출입하는 에어에 의하여 승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13)의 벽면 상부 및 하부 부분에는 환형의 제1 장착홈(13a)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장착홈(13a)에는 오링 형태의 제2 기밀유지부재(17)가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13)의 승하강 시 상기 제2 기밀유지부재(17)가 하우징(11)의 내실 벽면과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함으로써
상기 피스톤(13)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흡배기부(12A)(12B)에 주입된 에어의 누설을 방지하여 에어압 손실에 의한 구동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피스톤(13)의 벽면, 즉 상기 제1 장착홈(13a) 사이에는 환형의 제2 장착홈(13b)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장착홈(13b)에는 윤활밴드(18)가 구비되는데,
상기 윤활밴드(18)는 상기 피스톤(13)의 승하강 시 하우징(11)의 내실 벽면을 따라 승하강하게 되며, 이때 미끄럼동작이 원활히 이루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스톤(13)의 안정된 작동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13)의 상면부 및 하면부에는 환형의 제3 장착홈(13c)이 형성되고,
상기 각 제3 장착홈(13c)에는 완충부재(19)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완충부재(19)는 상기 피스톤(13)이 고속으로 승강하는 경우 상기 하우징(11)의 내실의 바닥면과, 커버(40)의 하면부와 맞닿는 경우 그 승하강 속도에 의하여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피스톤(13)의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을 높이고,
아울러 충돌 시 발생하는 진동이나 소음을 저감시켜 장치의 작동 중 안정성을 높임과 동시에 작업장 환경을 환기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13)에의 중심에는 그 상부 부분에 수용부(13d)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3d) 하부에는 결합공(13e)이 형성되는데,
상기 작동로드(15)는 그 하부 부분이 상기 수용부(13d)에 안치되며, 그 하면부에는 상기 결합공(13e)에 상응하고,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대응결합공(15a)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13e)과 대응결합공(15a)을 결합볼트(B)에 의하여 체결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피스톤(13)과 작동로드(15)가 일체로 거동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작동로드(15) 하부 외측면에는 환형의 수용홈(15b)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홈(15b)에는 상기 피스톤(13)의 수용부(13d) 벽면과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시키기 위한 오링 형태의 제3 기밀유지부재(16)가 구비되어 작동로드(15)와 피스톤(13)의 결합 부위에서 에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에서, 상기 종동유닛(20)은
상기 구동유닛(10)과 매개부재(30)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구동유닛(1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연동하여 다수로 시스템화되어 있는 리프팅장치(L)가 동조를 맞추어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종동유닛(20)은 상기 구동유닛(10)의 하우징(11) 일측에 연결되고, 제1 축관통부(21a)와, 상기 제1 축관통부(21a)와 연통된 복수의 제2 축관통부(21b)를 갖는 기어박스(21)와,
상기 제1 축관통부(21a)에 구비되고, 상기 각 제2 축관통부(21b)에 노출되는 래크부(23a)를 갖는 동조로드(23)와,
상기 각 제2 축관통부(21b)에 구비되고, 상기 래크부(23a)와 맞물리는 피니언부(25a)를 갖는 연동로드(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기어박스(21)에는 중심에 중공 형태의 제1 축관통부(21a)가 형성되어 상기 동조로드(23)가 수용되고,
상기 제2 축관통부(21b)는 상기 기어박스(21)가 사각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서로 다른 측면, 즉 서로 인접하여 직교하는 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축관통부(21a)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동로드(25)가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동조로드(23)에는 상기 제1 축관통부(21a)에 수용되고, 그 상부 부분은 상기 제1 축관통부(21a)의 상부 외측으로 노출되는데,
이때 상기 동조로드(23)는 상기 구동유닛(10)의 작동로드(15)의 일측에 나란히 배열되고,
매개부재(30)에 의하여 작동로드(15)와 연결되어 상기 작동로드(15)의 승하강 시 연동하는 상기 제1 축관통부(21a)를 따라 승하강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동조로드(23)의 하부 부분 외주면에는 원주상에서 직교하는 위치, 즉 동조로드(23)의 절단면 상에서 180도 각도 이내에 래크부(23a)가 형성되고,
상기 동조로드(23)의 래크부(23a)는 상기 제2 축관통부(21b)에 노출되도록 배열된다.
또한 상기 연동로드(25)는 상기 제2 축관통부(21b)에 각각 수용되고, 상기 제2 축관통부(21b)에 수용된 쪽의 연동로드(25)의 단부에는 상기 동조로드(23)의 래크부(23a)에 맞물리는 피니언부(25a)가 형성되어 상기 동조로드(23)가 작동하여 승하강하는 경우
상기 래크부(23a)에 맞물린 피니언부(25a)가 회전하여 연동함으로써 상기 연동로드(25)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동로드(25)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시스템화된 리프팅장치(L)의 각 연동로드(25)와 연결되어 매개부재(30) 위에 얹히어 있는 테이블(미도시)의 동조를 맞출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상기 연동로드(25)에 의하여 상기 테이블(미도시)에 놓여진 대상체에 의한 편심하중이 작용하는 리프팅장치(L)의 편심된 승하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 축관통부(21a) 상단부와 상기 제2 축관통부(21b) 입구 측에는 제4 기밀유지부재(27)가 구비되어 밀폐성을 보장하고,
상기 제2 축관통에 구비된 제4 기밀유지부재(27) 후방에는 베어링(29)이 구비되어 상기 연동로드(25)를 지지함으로써 회전 시 축 떨림현상을 보장함과 동시에, 원활한 축 회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동유닛(20)의 연동로드(25)의 외측 단부에는 축결합체(50)가 구비되고,
상기 축결합체(50)에 의하여 각 연동로드(25)를 레벨링샤프트(60)와 연결하여 리프팅장치(L)를 시스템화 함으로써 장치의 구동 시 동조를 맞출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축결합체(50)는 상기 연동로드(25)와 레벨링샤프트(60)의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리프팅장치(L)를 다양한 형태로 배열 및 구성이 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에서, 상기 매개부재(30)는
상기 구동유닛(10)의 일측에 연결된 종동유닛(20), 즉 상기 구동유닛(10)의 작동로드(15)와 나란히 배열된 상기 종동유닛(20)의 동조로드(23)를 연결하여 구동유닛(10)의 구동력이 종동유닛(20)에 전달되어 연동할 수 있도록 매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매개부재(30)와, 각각 연결되는 상기 구동유닛(10)의 작동로드(15)와 상기 종동유닛(20)의 동조로드(23)에는 상호간의 결합은 물론이고,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탈착수단(CS)에 의하여 결합된다.
상기 탈착수단(CS)은 상기 작동로드(15) 상단부에 형성되고,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체결부(15c)와, 상기 동조로드(23)의 상단면에 형성되고,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 체결부(23b)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매개부재(30)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15c)에 대응하도록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체결공(31)과, 상기 매개부재(30)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부(23b)에 대응하는 제2 체결공(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 체결부(15c)와 제1 체결공(31)은 상기 제1 체결부(15c)에 구비된 결합너트(N)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제2 체결부(23b)와 제2 체결공(33)은 상기 제2 체결공(33)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제2 체결부(23b)에 체결되는 결합볼트(B)에 의하여 결합된다.
즉 상기 매개부재(30)와 작동로드(15)는 상기 제1 체결공(31)에 상기 제1 체결부(15c)를 체결한 후, 상기 결합너트(N)를 상부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결합너트(N)가 상기 매개부재(30)의 하면부에 맞닿아 잠기도록 하여 고정하고,
분리하는 경우에는 이를 상기 결합너트(N)를 풀러 매개부재(30)와 작동로드(15)를 분리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 매개부재(30)와 동조로드(23)를 상기 매개부재(30)를 상기 동조로드(23) 상면부에 얹은 상태에서 상기 제2 체결공(33)에 상기 결합볼트(B)를 관통 삽입시킨 후,
상기 결합볼트(B)를 상기 제2 체결부(23b)에 체결하여 매개부재(30)와 동조로드(23)를 결합시키고,
분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결합볼트(B)를 풀어 매개부재(30)와 동조로드(23)를 분리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탈착수단(CS)은 리프팅장치(L)의 초기 상태의 설정 높이를 높이거나, 낮추기 위해 상기 작동로드(15) 또는 동조로드(23), 또는 이들 모두를 교체하거나 또는 장치의 부품 교체나 수리와 같은 유지보수작업을 쉽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우징(11)의 상단부에는 커버(4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커버(40)는 상기 하우징(11)에 내장되는 몸체(41)와, 상기 몸체(41)에 형성되고, 상기 작동로드(15)를 위한 가이드홀(43)과,
상기 몸체(41)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1)의 내벽면에 형성된 환형의 삽입홈(11a)에 장착되어 상기 커버(40)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스냅링(45)과, 상기 몸체(41)의 외벽면과, 상기 가이드홀(43) 벽면에 구비된 제1 기밀유지부재(4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커버(40)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11)의 개폐가 가능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구동유닛(10)의 부품의 교체나 수리와 같은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함은 물론, 리프팅장치(L)의 초기 설정 높이를 높이거나 낮추기 위해 작동로드(15)를 교체의 편의성을 보장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커버(40)에서 상기 가이드홀(43)은 작동로드(15)가 관통 삽입되고,
상기 작동로드(15)의 승하강 동작을 원활히 하기 위해 그 내경이 작동로드(15)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이 경우 가이드홀(43)과 작동로드(15)간의 사이즈 차이로 발생하는 틈새의 기밀유지를 위하여 상기 가이드홀(43)의 상부 벽면에는 환형의 안치홈(43a)이 형성되고,
상기 안치홈(43a)에는 제1 기밀유지부재(47)가 안착되어 상기 제2 흡배기부(12B)에 유입된 에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기밀유지부재(47)는 동일한 목적에서 상기 몸체(41)의 외측면에 형성된 환형의 안치홈(41b)에 안착되어 상기 제2 흡배기부(12B)에 유입된 에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커버(40)에서 상기 스냅링(45)은 상기 하우징(11) 내실 벽면 상부에 형성된 삽입홈(11a)에 장착되는데,
상기 몸체(41)에는 상기 삽입홈(11a)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스냅링(45)을 변위를 수용하기 위한 환형의 가이드홈(41a)이 되어 상기 하우징(11)에서 커버(40)를 분리시키기 위해 스냅링(45)을 오므리는 경우 스냅링(45)이 상기 가이드홈(41a)으로 수용되어 커버(40)의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냅링(45)의 양단부에는 스냅링(45)을 오므릴 수 있도록 공구를 수용하기 위한 투입공(미도시)이 구비되는데,
상기 하우징(11) 또는 커버(40)에는 상기 각 투입공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삽입홀(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홀에 공구를 투입하여 상기 스냅링(45)의 투입공에 끼운 상태에서 일정한 힘을 가하여 스냅링(45)을 변위시켜 커버(40)를 하우징(11)에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냅링(45)은 상기 몸체(41)에 구비된 제1 기밀유지부재(47)의 상부에 구비되도록 하여 밀폐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11)의 내실 상단부에는 직경이 확장된 단턱 형태의 걸림부(11b)가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커버(40)의 몸체(41) 상부 부분에는 상기 하우징(11)의 걸림부(11b)에 상응하는 대응걸림부(41c)가 형성되어 안치되도록 하여 커버(40)가 하우징(11)의 내실로 잠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버(40)의 가이드홀(43)과, 상기 제1 축관통부(21a)에는 상기 작동로드(15)와, 상기 동조로드(23)의 승하강 시 축 떨림을 방지하기 위한 링 형태의 가이드부재(70)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재(70)는 상기 작동로드(15)와 동조로드(23)와의 마찰이 발생하게 되므로 마찰 저항값이 적은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의 또 다른 변형례로
상기 하우징(11) 내부에 내장되고, 상기 피스톤(13)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탄성부재(80) 더 구비된다.
도 5의 (a)는 상기 탄성부재(80)가 상기 피스톤(13) 상부에 배열된 형태이며,
이 경우에 피스톤(13)의 작동을 위한 에어는 피스톤(13)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흡배기부(12B)에 의하여 일정한 압력의 에어가 유출입하게 된다.
즉 상기 피스톤(13)이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에어홀(12b)을 통하여 제2 흡배기부(12B)로 일정한 압력의 에어가 유입되면서 상기 피스톤(13)이 승강하고,
반대로 상기 피스톤(13)이 하강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흡배기부(12B)의 에어가 상기 제2 에어홀(12b)을 통하여 배출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80)가 탄성을 발휘하여 피스톤(13)을 하강시키는 것을 돕게 된다.
도 5의 (b)는 상기 탄성부재(80)가 상기 피스톤(13) 하부에 배열된 형태로,
이 경우에 피스톤(13)의 작동을 위한 에어는 피스톤(13)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흡배기부(12A)에 의하여 일정한 압력을 에어가 유출입하게 된다.
즉 즉 상기 피스톤(13)이 승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에어홀(12a)을 통하여 제1 흡배기부(12A)로 일정한 압력의 에어가 유입되면서 상기 피스톤(13)이 하강하고,
반대로 상기 피스톤(13)이 승강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흡배기부(12A)의 에어가 상기 제1 에어홀(12a)을 통하여 배출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80)가 탄성을 발휘하여 피스톤(13)을 승강시키는 것을 돕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80)가 도입되는 경우에는 에어의 유출입 상기 흡배기부 중에서 하나의 흡배기부와 탄성부재(80)에 의하여 피스톤(13)이 승하강하는 단동형태로 구성되는데 반해,
상기 탄성부재(80)가 도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흡배기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13)의 상부 및 하부에 모두 구비된 복동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80)를 도입하는 경우에는 피스톤(13)의 동작은 물론이고, 상기한 바와 같이 흡배기부(12)를 상기 피스톤(13)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성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탄성부재(80)의 탄성계수와 그 사이즈를 고려하여 리프팅장치(L)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리프팅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L : 리프팅장치 CS : 탈착수단
B : 결합볼트 N : 결합너트
10 : 구동유닛 11 : 하우징
11a : 삽입홈 11b : 걸림부
12 : 흡배기부 12A, 12B : 제1, 제2 흡배기부
12a, 12b : 제1, 제2 에어홀 13 : 피스톤
13a, 13b, 13c : 제1, 제2, 제3 장착홈
13d : 수용부 13e : 결합공
15 : 작동로드 15a : 대응결합공
15b : 수용홈 15c : 제1 체결부
16 : 제3 기밀유지부재 17 : 제2 기밀유지부재
18 : 윤활밴드 19 : 완충부재
20 : 종동유닛 21 : 기어박스
21a : 제1 축광통부 21b : 제2 축관통부
23 : 동조로드 23a : 래크부
23b : 제2 체결부 25 : 연동로드
25a : 피니언부 27 : 제4 기밀유지부재
29 : 베어링
30 : 매개부재 31 : 제1 체결공
33 : 제2 체결공
40 : 커버 41 : 몸체
41a : 가이드홈 41b : 안치홈
41c : 대응걸림부 43 : 가이드홀
43a : 안치홈 45 : 스냅링
47 : 제1 기밀유지부재
50 : 축결합체
60 : 레벨링샤프트
70 : 가이드부재
80 : 탄성부재

Claims (4)

  1. 상부 및 하부에 흡배기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고, 상기 각 흡배기부 사이에 구비되어 승하강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과 연결된 작동로드를 포함하는 구동유닛;
    제1 축관통부와, 상기 제1 축관통부와 연통된 복수의 제2 축관통부를 갖는 기어박스와,
    상기 제1 축관통부에 구비되고, 상기 각 제2 축관통부에 노출되는 래크부를 갖는 동조로드와,
    상기 각 제2 축관통부에 구비되고, 상기 래크부와 맞물리는 피니언부를 갖는 연동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의 일측에 연결된 종동유닛; 및
    상기 작동로드와 상기 동조로드의 각 외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구동유닛에 의하여 종동유닛을 연동시키기 위한 매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유닛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는 커버가 더 구비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작동로드를 위한 가이드홀과, 상기 몸체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에 형성된 환형의 삽입홈에 장착되어 상기 커버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스냅링과, 상기 몸체의 외벽면과, 상기 가이드홀 벽면에 구비된 제1 기밀유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부재와, 상기 작동로드 및 동조로드에는 탈착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작동로드 상단부에 형성되고,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체결부와,
    상기 동조로드의 상단면에 형성되고,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 체결부와,
    상기 매개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에 대응하도록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체결공과,
    상기 매개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부에 대응하는 제2 체결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체결부와 제1 체결공은 상기 제1 체결부에 구비된 결합너트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제2 체결부와 제2 체결공은 상기 제2 체결공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제2 체결부에 체결되는 결합볼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에서
    상기 피스톤의 상부 및 하부에는 제2 기밀유지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 기밀유지부재 사이에는 윤활밴드가 더 구비되며,
    상기 피스톤의 상면부와 하면부에는 완충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내장되고, 상기 피스톤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열되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장치.
KR1020100131435A 2010-12-21 2010-12-21 리프팅장치 KR101192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435A KR101192823B1 (ko) 2010-12-21 2010-12-21 리프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435A KR101192823B1 (ko) 2010-12-21 2010-12-21 리프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041A KR20120070041A (ko) 2012-06-29
KR101192823B1 true KR101192823B1 (ko) 2012-10-17

Family

ID=46687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1435A KR101192823B1 (ko) 2010-12-21 2010-12-21 리프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28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02601A (zh) * 2019-11-21 2020-03-24 亢慧慧 一种可升降的液压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798B1 (ko) * 2012-09-19 2014-07-23 송창룡 면진장치 설치용 리프팅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4894A (ja) * 1998-04-28 1999-11-16 Banzai Kogyo Kk ラック方式レベル同調装置の降下防止機構
KR100399312B1 (ko) * 1999-11-22 2003-09-26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듀얼 스트로크 실린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4894A (ja) * 1998-04-28 1999-11-16 Banzai Kogyo Kk ラック方式レベル同調装置の降下防止機構
KR100399312B1 (ko) * 1999-11-22 2003-09-26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듀얼 스트로크 실린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02601A (zh) * 2019-11-21 2020-03-24 亢慧慧 一种可升降的液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041A (ko) 201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0931B1 (ko) 부품 이송용 흡착식 픽커
KR101192823B1 (ko) 리프팅장치
CN200984690Y (zh) 机床工作台交换装置
JP6234578B2 (ja) フォークリフト、油圧シリンダアセンブリ及びその油圧装置
CN102853126A (zh) 一种流量调节阀
KR102350774B1 (ko) 소재 흡착 이송 장치
KR101738598B1 (ko) 양방향 게이트밸브
JP5370082B2 (ja) 直動案内装置
CN203201459U (zh) 工程钻机钻进总成
CN104633098A (zh) 换档执行机构
KR102198132B1 (ko) 자동 공구 교환 기구의 공구 교환 제어 방법
US20240102226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0380118Y1 (ko) 자동 구리스 주입장치
CN102434520B (zh) 一种气液混合驱动阀门执行机构
CN105441901A (zh) 精确定位工件台的传动装置
KR100976386B1 (ko) 실린더 내장형 리프팅장치
CN109538746A (zh) 一种双输出减速机
CN106181298B (zh) 压缩机曲轴与消音套头装配机的连杆换位组件
JP2005525982A (ja) タワー式物品貯蔵倉庫の昇降駆動装置
JP2009168722A (ja) 油圧モータの検査装置
CN104692626A (zh) 用于移动玻璃器皿成型机的操作构件的致动组件
CN204736174U (zh) 一种用于缸体轴承安装的气动重力锤
CN215059352U (zh) 一种曲轴泵用高效齿轮变速箱
KR101951407B1 (ko) 파렛트 어셈블리
CN206830108U (zh) 抽油机的光杆密封装置及抽油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