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7532B1 - 재액화 기능을 가지는 전기추진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재액화 기능을 가지는 전기추진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532B1
KR101187532B1 KR1020090017938A KR20090017938A KR101187532B1 KR 101187532 B1 KR101187532 B1 KR 101187532B1 KR 1020090017938 A KR1020090017938 A KR 1020090017938A KR 20090017938 A KR20090017938 A KR 20090017938A KR 101187532 B1 KR101187532 B1 KR 101187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refrigerant
lng
reliquefaction
coo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9441A (ko
Inventor
이재익
김철호
신재웅
김호경
최영달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7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532B1/ko
Priority to PCT/KR2010/000648 priority patent/WO2010101356A2/ko
Priority to CN201080010539.5A priority patent/CN102341303B/zh
Priority to RU2011139968/11A priority patent/RU2481234C1/ru
Priority to JP2011547814A priority patent/JP5349617B2/ja
Publication of KR20100099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9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2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powered by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1/00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 F25J1/0002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fluid to be liquefied
    • F25J1/0022Hydrocarbons, e.g. natural gas
    • F25J1/0025Boil-off gases "BOG" from stor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1/00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 F25J1/003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cold generation within the liquefaction unit for compensating heat leaks and liquid production
    • F25J1/0047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cold generation within the liquefaction unit for compensating heat leaks and liquid production using an "external" refrigerant stream in a closed vapor compression cycle
    • F25J1/005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cold generation within the liquefaction unit for compensating heat leaks and liquid production using an "external" refrigerant stream in a closed vapor compression cycle by expansion of a gaseous refrigerant stream with extraction of wo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1/00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 F25J1/006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fluid used
    • F25J1/007Primary atmospheric gases, mixtures thereof
    • F25J1/0072Nitro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1/00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 F25J1/02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requiring the use of refrigeration, e.g. of helium or hydrogen ; Details and kind of the refrigeration system used; Integration with other units or processes; Controlling aspects of the process
    • F25J1/0203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requiring the use of refrigeration, e.g. of helium or hydrogen ; Details and kind of the refrigeration system used; Integration with other units or processes; Controlling aspects of the process using a single-component refrigerant [SCR] fluid in a closed vapor compression cycle
    • F25J1/0204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requiring the use of refrigeration, e.g. of helium or hydrogen ; Details and kind of the refrigeration system used; Integration with other units or processes; Controlling aspects of the process using a single-component refrigerant [SCR] fluid in a closed vapor compression cycle as a single flow SC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1/00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 F25J1/02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requiring the use of refrigeration, e.g. of helium or hydrogen ; Details and kind of the refrigeration system used; Integration with other units or processes; Controlling aspects of the process
    • F25J1/0243Start-up or control of the process; Details of the apparatus used; Details of the refrigerant compression system used
    • F25J1/0257Construction and layout of liquefaction equipments, e.g. valves, machines
    • F25J1/0275Construction and layout of liquefaction equipments, e.g. valves, machines adapted for special use of the liquefaction unit, e.g. portable or transportable devices
    • F25J1/0277Offshore use, e.g. during ship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1/00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 F25J1/02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requiring the use of refrigeration, e.g. of helium or hydrogen ; Details and kind of the refrigeration system used; Integration with other units or processes; Controlling aspects of the process
    • F25J1/0243Start-up or control of the process; Details of the apparatus used; Details of the refrigerant compression system used
    • F25J1/0279Compression of refrigerant or internal recycle fluid, e.g. kind of compressor, accumulator, suction drum etc.
    • F25J1/0285Combination of different types of drivers mechanically coupled to the same refrigerant compressor, possibly split on multiple compressor casings
    • F25J1/0288Combination of different types of drivers mechanically coupled to the same refrigerant compressor, possibly split on multiple compressor casings using work extraction by mechanical coupling of compression and expansion of the refrigerant, so-called compa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63J2099/001Burning of transported goods, e.g. fuel, boil-off or ref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05/00Processes or apparatus using other separation and/or other processing means
    • F25J2205/02Processes or apparatus using other separation and/or other processing means using simple phase separation in a vessel or dr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30/00Processes or apparatus involving steps for increasing the pressure of gaseous process streams
    • F25J2230/08Cold compressor, i.e. suction of the gas at cryogenic temperature and generally without afterstage-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30/00Processes or apparatus involving steps for increasing the pressure of gaseous process streams
    • F25J2230/30Compression of the feed strea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02T70/5218Less carbon-intensive fuels, e.g. natural gas, biofuels

Abstract

본 발명은 재액화 기능을 가지는 전기추진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장치 에 관한 것으로, LNG 화물창에서 생성된 자연증발가스(Natural Boil-Off Gas, N-BOG)를 공급받아 냉매와 열교환하며 냉각하는 증발가스냉각기(10); 상기 증발가스냉각기(10)에서 냉각된 자연증발가스를 공급받아 DFDE(이중연료 디젤-전기, Dual Fuel Diesel Electric) 추진방식 엔진(3)에 사용가능한 가스압력으로 압축하는 가스압축기(20); 상기 가스압축기(20)를 통과하며 승온된 자연증발가스를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3)에 사용가능한 온도로 냉각하여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3)측으로 공급하는 엔진공급가스냉각기(30); 및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3)에 사용되지 않는 여분의 자연증발가스를 상기 엔진공급가스냉각기(30) 하류에서 공급받아 냉매와 열교환하며 냉각, 재액화하여 상기 LNG 화물창측으로 공급하는 재액화열교환기(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LNG 화물창에서 생성되는 자연증발가스를 선박의 운항에 필요한 동력원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추진에 이용되지 않는 잉여 가스를 재액화하여 자연증발가스 낭비의 최소화를 구현할 수 있는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90017938
전기추진 LNG선, DFDE, 자연증발가스, 재액화

Description

재액화 기능을 가지는 전기추진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장치{boil-off gas management apparatus of electric propulsion LNG carrier having reliquefaction function}
본 발명은 재액화 기능을 가지는 전기추진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장치 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LNG 화물창에서 생성되는 자연증발가스를 선박의 추진에 에너지 효율적으로 운용하면서도, 추진에 이용되지 않는 잉여 가스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화천연가스운반선(LNG선)이란 액화천연가스(LNG)를 생산기지에서 인수기지까지 운반하는 선박으로, 통상 줄여서 LNG선 또는 LNGC(LNG Carrier)라 한다. LNG(Liquefied Natural Gas)는 메단(CH4)이 주성분인 천연가스를 대기압에서 영하 162℃로 액화시킨 것으로, LNG의 액체와 기체의 용적 비율은 약 1/600이고 액화 상태의 LNG 비중은 0.43~0.50이다.
LNG선은 화물창의 형식에 따라 독립탱크형과 멤브레인(Membrane)형으로 구분된다. 독립탱크형으로는 노르웨이 모스 로젠베르그(Moss Losenberg)사가 개발하여 기술특허를 가지고 있는 모스형이 있으며, 멤브레인형은 프랑스의 GTT사가 특허기술을 가지고 있는 Mark III형과 NO96 E2형으로 나누어진다.
현재 건조, 운항되는 LNG선은 화물적재 운항 시, 시간당 4~6t 가량의 증발가스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데, 증발가스를 다시 액화시키는 재액화 설비를 구비하거나, 이중 연료 디젤-전기(DFDE) 추진방식 엔진을 채택하여 필요에 따라 원유와 (증발)가스를 연료로 번갈아 사용함으로써 막대한 가스 낭비를 줄이고 있다.
그러나, 기존 재액화 설비를 갖춘 LNG선은, HFO(Bunker C)를 연료로 사용하는 엔진을 갖추고 있음에 따라, HFO의 가격상승에 따라 운영비용이 급증하게 되며, 이중 연료 디젤-전기(DFDE, Dual Fuel Diesel Electric) 추진방식 엔진을 채택한 기존 전기추진선은 설계 운항속도 18knots ~ 20.5knots 이하에 해당되는 부하에서는 자연발생가스의 전량을 사용할 수 없어, 운항 시작 시점이나 터미널 도착 시점에서는 대량의 가스를 소각시키거나 대기 중으로 방출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 전기추진 LNG선을 17knots정도의 경제 속도의 범위에서 운전하는 경우, 최대 자연 가스 발생량의 약 30%정도의 과잉 가스가 남게 되는데,(예를 들어, 173k cbm LNG선의 경우, 17knots로 운항 시, 약 5,100kg/h의 자연 발생 가스량 중 3,700kg/h를 사용함으로써, 1,400kg/h정도의 잉여 가스가 남게 됨), 이러한 잉여 가스를 낭비없이 효율적으로 처리, 운용할 수 있는 증발가스 처리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기존 DFDE 추진방식 엔진과 기존 재액화 설비를 접목시킴에 있어서는, 기존 DFDE 추진방식 엔진에서 사용하는 가스 압력(4~6bar)을 구현할 수 있을 정도로 증발가스를 압축하게 되면, 가스의 온도 상승으로 인해 재액화 효율이 현격히 저하될 수 밖에 없어, DFDE 추진방식 엔진만을 위한 별도의 압축기를 구비하던지, 낮은 재액화 효율로 기존 재액화 설비를 가동시킬 수 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DFDE 추진방식 엔진을 사용하는 전기추진선에 재액화 설비를 접목하여, 전기추진선의 가동에 필요한 증발가스의 사용 후 발생되는 잉여 가스를 재액화함으로써, 자연증발가스를 낭비없이 효율적으로 처리, 운용할 수 있는, 재액화 기능을 가지는 전기추진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DFDE 추진방식 엔진을 사용하는 전기추진선에 재액화 설비를 접목함에 있어서, DFDE 추진방식 엔진만을 위한 별도의 압축기를 구비하지 않고도 높은 재액화 효율을 구현가능한, 재액화 기능을 가지는 전기추진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LNG 화물창(liquefied natural gas cargo tank)(미도시)에서 생성된 자연증발가스(Natural Boil-Off Gas, N-BOG)를 공급받아 냉매와 열교환하며 냉각하는 증발가스냉각기(10); 상기 증발가스냉각기(10)에서 냉각된 자연증발가스를 공급받아 DFDE(이중연료 디젤-전기, Dual Fuel Diesel Electric) 추진방식 엔진(3)에 사용가능한 가스압력으로 압축하는 가스압축기(20); 상기 가스압축기(20)를 통과하며 승온된 자연증발가스를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3)에 사용가능한 온도로 냉각하여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3)측으 로 공급하는 엔진공급가스냉각기(30); 및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3)에 사용되지 않는 여분의 자연증발가스를 상기 엔진공급가스냉각기(30) 하류에서 공급받아 냉매와 열교환하며 냉각, 재액화하여 상기 LNG 화물창측으로 공급하는 재액화열교환기(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액화 기능을 가지는 전기추진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장치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기상의 냉매를 다단으로 압축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냉매압축기(61a)와, 상기 냉매압축기(61a)를 통과하며 압축, 승온된 냉매를 팽창시켜 LNG의 냉각점 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하는 냉매팽창기(61b)가 구비되는 냉매컴팬더(61); 및 상기 냉매압축기(61a)로 유입 내지 유출되는 냉매를 냉각하여 상기 냉매압축기(61a)의 압축효율을 높이는 냉매냉각기(6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매공급장치(미도시)에 연결되어 냉매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으며, 내부에 기상의 냉매를 다량 수용가능한 저장공간과 기체배출구를 구비하여, 유동 및 열교환 중에 손실된 냉매를 보충하거나, 냉매공급도관의 압력, 유량변동 등에 따른 충격을 완충하고 과부하된 압력을 완화시키는 냉매버퍼탱크(6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냉매컴팬더(61)를 통과한 냉매를 상기 재액화열교환기(50)로 공급하고, 상기 재액화열교환기(50)를 통과하며 승온된 냉매를 상기 냉매버퍼탱크(63)로 공급하는 제1냉매공급도관(64a); 및 상기 냉매컴팬더(61)를 통과한 냉매를 상기 증발가스냉각기(10)로 공급하고, 상기 증발가스냉각기(10)를 통과하며 승 온된 냉매를 상기 냉매버퍼탱크(63)로 공급하는 제2냉매공급도관(64b);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증발가스냉각기(10)를 통과하는 자연증발가스의 온도, 유량에 비례하여 상기 제2냉매공급도관(64b)을 통과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는 온도제어용밸브(6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냉매압축기(61a)를 통과한 냉매를 상기 재액화열교환기(50)로 공급하고, 상기 재액화열교환기(50)를 통과하며 상기 제1냉매공급도관(64a)을 통과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각된 냉매를 상기 냉매팽창기(61b)로 공급하는 제3냉매공급도관(64c);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엔진공급가스냉각기(30)는, 담수를 냉매로 하여 열교환하는 담수냉각기로 구성하며, 상기 냉매냉각기(62)는, 해수를 냉매로 하여 열교환하는 해수냉각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냉매는, LNG보다 냉각점이 낮고, 폭발성이 없는 N₂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증발가스냉각기(10)는,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 일부 액화된 LNG를 중력에 의해 상기 LNG 화물창측으로 분리공급하도록 하부에 LNG유출로(미도시)가 개방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3)으로 유입되는 자연증발가스의 공급량을 계측하는 가스유량계(41); 및 선박 운항에 따른 부하 변동에 맞추어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3)에서 요구되는 가스량과, 상기 가스유량계(41)에서 계측된 가스량에 따라, 상기 재액화열교환기(50)로 유입되는 자연증발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부하분배용밸브(4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매컴팬더(61)는, 상기 부하분배용밸브(42)를 통과하는 유량에 비례하여, 냉매의 유량 내지 유속을 증감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재액화열교환기(50)에서 재액화되어 상기 LNG 화물창측으로 공급되는 액상의 LNG와, 재액화된 LNG에서 분리 생성된 기체 내지 N₂를 함께 수용가능한 저장공간과,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체배출구를 구비하여, 기체 내지 N₂를 분리시킨 상태의 재액화 LNG만을 상기 LNG 화물창측으로 공급하는 LNG증발가스분리기(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액화열교환기(50)에서 재액화된 LNG가 중력, 배관내 압력손실에 의해 상기 LNG 화물창측으로 자연적으로 공급되지 않을 경우, 재액화된 LNG를 상기 LNG 화물창측으로 강제 공급하도록 LNG공급도관상에 설치되는 LNG공급펌프(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재액화열교환기(50)가 고장, 손상, 오작동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작동되거나 작동이 정지된 경우,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3)에서 요구되는 가스량을 초과하는 만큼 자연증발가스를 공급받아 소각, 제거시키는 가스소각기(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설정된 경제운항속도로 선박이 운항되는 경우, 경제운항 중인 상태를 선박의 조타실에서 육안 내지 청각으로 인지가능하도록 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운항상태표시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LNG 화물창(liquefied natural gas cargo tank)에서 생성된 자연증발가스(Natural Boil-Off Gas, N-BOG)를 1차냉각하는 증발가스 선처리단계; 상기 증발가스 선처리단계에서 1차냉각된 자연증발가스를 공급받아 DFDE(이중연료 디젤-전기, Dual Fuel Diesel Electric) 추진방식 엔진에 사용가능한 가스압력으로 압축하는 증발가스 압축단계; 상기 증발가스 압축단계를 거치며 승온된 자연증발가스를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3)에 사용가능한 온도로 2차냉각하여,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3)측으로 공급하는 증발가스 냉각단계; 및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3)에 사용되지 않는 여분의 자연증발가스를 재액화열교환기(50)로 냉각, 재액화하여 상기 LNG 화물창측으로 공급하는 여분가스 재액화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액화 기능을 가지는 전기추진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방법을 다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재액화열교환기(50)가 고장, 손상, 오작동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작동되거나 작동이 정지된 경우,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3)에서 요구되는 가스량을 초과하는 만큼 자연증발가스를 공급받아 소각, 제거시키는 여분가스 소각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DFDE 추진방식 엔진 공급용 증발가스 처리 설비와 재액화 설비를 접목하여, 전기추진 LNG 운반선의 가동에 사용되지 않는 증발가스의 잉여분을 재액화함으로써, 자연증발가스의 낭비를 최소화하는 경제 성, 효율성을 구현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연증발가스가 증발가스냉각기, 가스압축기, 엔진공급가스냉각기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DFDE 추진방식 엔진에 사용하기 적합한 압력과 온도를 가짐과 동시에 재액화가 용이한 고압으로 압축되어, 고가의 설비인 압축기를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의 작동만을 위해 추가로 구비하지 않고도, DFDE 추진방식 엔진의 안정적인 적용과 함께 높은 재액화 효율을 구현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DFDE 추진방식 엔진에 걸리는 부하에 적합한 가스량이 공급되고 있는지, 또는 현재 DFDE 추진방식 엔진으로 공급중인 가스량과 DFDE 추진방식 엔진에서 요구되는 가스량의 차이를, 가스유량계를 통해 확인, 비교하면서, 부하분배용밸브에 의해 DFDE 추진방식 엔진 또는 재액화열교환기로 공급되는 가스량을 안정적으로 조정, 적용하면서, 자동화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엔진공급가스냉각기를 통과한 자연증발가스를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측으로 공급하는 경로상에 가스소각기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상기 재액화열교환기가 고장, 손상, 오작동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작동되거나 작동이 정지된 경우, 가스소각기를 가동시켜 DFDE 추진방식 엔진에서 요구되는 가스량을 초과하는 만큼 자연증발가스를 소각, 제거하여 가동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증발가스냉각기(10)와 온도제어용밸브(65)에 의해, 상기 LNG 화물창 내 자연증발가스의 온도와 무관하게, 상기 가스압축기(20)의 가동에 적합한 설정온도범위로 일정하게 자연증발가스를 냉각시켜 상기 가스압축기(20)측으로 공 급할 수 있어, 기존에 상기 LNG 화물창 내 LNG의 액위가 낮은 경우 자연증발가스 압축, 공급이 원활하게 어려워지기 어렵고, 분사된 LNG의 혼합에 의해 압축기에 무리하게 부하가 걸리게 되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재액화 기능을 가지는 전기추진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장치 및 방법을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액화 기능을 가지는 전기추진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액화 기능을 가지는 전기추진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장치의 증발가스 처리방법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액화 기능을 가지는 전기추진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장치는, LNG 화물창(liquefied natural gas cargo tank)에서 생성되는 자연증발가스(Natural Boil-Off Gas, N-BOG)를 선박의 추진에 에너지 효율적으로 운용하면서도, 추진에 이용되지 않는 잉여 가스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재액화하는 증발가스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증발가스냉각기(10), 가스압축기(20), 엔진공급가스냉각기(30), 재액화열교환기(50)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진다.
상기 증발가스냉각기(10)는 LNG 화물창(미도시)에서 생성된 자연증발가스를 공급받아 냉매와 열교환하며 1차적으로 냉각하고, 상기 가스압축기(20)는 상기 증발가스냉각기(10)에서 냉각된 자연증발가스를 공급받아 DFDE(이중연료 디젤-전기, Dual Fuel Diesel Electric) 추진방식 엔진(3)에 사용가능한 가스압력(예를 들어, 4~6bar)으로 압축한다.
상기 증발가스냉각기(10) 하부에 LNG유출로(미도시)를 개방형성하면,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 일부 액화되어, 상기 증발가스냉각기(10)의 자연증발가스 통로 내지 저장공간 하부로 중력에 의해 자연히 유동, 포집된 액상의 LNG를, 자연증발가스 하측에 분리된 상태로 상기 LNG유출로를 통해 상기 LNG 화물창측으로 유동, 공급할 수 있다.
LNG 화물창(미도시)에서 생성된 자연증발가스를 공급받아 냉매와 열교환하며 1차적으로 냉각하고, 상기 가스압축기(20)는 상기 증발가스냉각기(10)에서 냉각된 자연증발가스를 공급받아 DFDE(이중연료 디젤-전기, Dual Fuel Diesel Electric) 추진방식 엔진(3)에 사용가능한 가스압력(예를 들어, 4~6bar)으로 압축한다.
상기 엔진공급가스냉각기(30)는 상기 가스압축기(20)를 통과하며 승온(예를 들어, -140℃를 70~80℃로 승온)된 자연증발가스를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3)에 사용가능한 온도로 냉각(예를 들어, 70~80℃를 10~50℃로 냉각)하여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3)측으로 공급하며, 상기 재액화열교환기(50)는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3)에 사용되지 않는 여분의 자연증발가스를 상기 엔진공급가스냉각기(30) 하 류에서 공급받아 냉매와 열교환하며 냉각, 재액화하여 상기 LNG 화물창측으로 공급한다.
자연증발가스는 상기 증발가스냉각기(10), 가스압축기(20), 엔진공급가스냉각기(3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재액화가 용이한 고압으로 압축됨과 동시에,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3)에 사용하기 적합한 압력과 온도를 가지게 되어, 고가의 설비인 압축기를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3)의 작동만을 위해 추가로 구비하지 않고도,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3)의 가동과 함께 높은 재액화 효율을 구현가능하다.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3)측으로의 가스 공급량을 조정함에 있어서는,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3)으로 유입되는 자연증발가스의 공급량을 계측하는 가스유량계(41)와, 선박 운항에 따른 부하 변동에 맞추어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3)에서 요구되는 가스량과 상기 가스유량계(41)에서 계측된 가스량에 따라, 상기 재액화열교환기(50)로 유입되는 자연증발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부하분배용밸브(4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3)에 걸리는 부하에 적합한 유량으로 가스가 공급되고 있는지, 또는 현재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3)으로 공급중인 가스량과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3)에서 요구되는 가스량의 차이를, 상기 가스유량계(41)에 의해 확인, 비교하면서, 상기 부하분배용밸브(42)에 의해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3) 또는 재액화열교환기(50)로 공급되는 가스량을 안정적으로 조정, 적용하면서, 자동화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증발가스냉각기(10), 재액화열교환기(50)에 적용되는 냉매는, LNG 냉각점(-150~160℃) 보다 냉각점이 낮으며 폭발성이 없는 N₂(냉각점 : -196℃)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증발가스냉각기(10)와 재액화열교환기(50)로 냉매를 공급함에 있어서는, 냉매컴팬더(61), 냉매냉각기(62), 냉매버퍼탱크(63), 제1, 2, 3냉매공급도관(64a, 64b, 64c), 온도제어용밸브(65)로 이루어진 액화플랜트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매컴팬터(61)는, 기상의 냉매를 다단으로 압축(예를 들어, 4~10bar를 40~60bar로 압축)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냉매압축기(61a)와, 상기 냉매압축기(61a)를 통과하며 압축, 승온된 냉매를 팽창(예를 들어, 40~60bar를 4~6bar로 압력강하)시켜 LNG의 냉각점 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예를 들어, -20℃를 -150~160℃로 냉각)하는 냉매팽창기(61b)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하분배용밸브(42)를 통과하는 유량, 즉 상기 재액화열교환기(50)를 통과하는 자연증발가스의 유량에 비례하여, 냉매의 유량 내지 유속을 증감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매냉각기(62)는, 상기 냉매압축기(61a)로 유입 내지 유출되는 냉매를 냉각하도록 상기 다수의 냉매압축기(61a)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냉매압축기(61a)의 압축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상기 냉매압축기(61a)와 냉매팽창기(61b)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냉매팽창기(61b)의 냉각효율을 높이게 된다.
상기 냉매버퍼탱크(63)는, 냉매공급장치(미도시)에 연결되어 냉매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공급받으며, 내부에 기상의 냉매를 다량 수용가능한 저장공간과 기체배출구(미도시)를 구비하여, 유동 및 열교환 중에 손실된 냉매를 보충하거나, 냉매공급도관의 압력, 유량변동 등에 따른 충격을 완충하고 과부하된 압력을 완화시킨다.
상기 제1냉매공급도관(64a)은, 상기 냉매컴팬더(61)를 통과한 냉매(예를 들어, -150~-160℃, 4~6bar의 냉매)를 상기 재액화열교환기(50)로 공급하고, 상기 재액화열교환기(50)를 통과하며 승온된 냉매를 상기 냉매버퍼탱크(63)측으로 공급, 복귀가능한 유로를 제공한다.
상기 제2냉매공급도관(64b)은, 상기 냉매컴팬더(61)를 통과한 냉매(예를 들어, -150~-160℃, 4~6bar의 냉매)를 상기 증발가스냉각기(10)로 공급하고, 상기 증발가스냉각기(10)를 통과하며 승온된 냉매를 상기 냉매버퍼탱크(63)측으로 복급, 복귀가능한 유로를 제공한다.
상기 제2냉매공급도관(64b)상에, 상기 증발가스냉각기(10)를 통과하는 자연증발가스의 온도, 유량에 비례하여 상기 제2냉매공급도관(64b)을 통과하는 냉매의 유량을 증가 조절하는 온도제어용밸브(65)를 설치하면, 상기 증발가스냉각기(10)의 냉각 성능을 일정하게 구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LNG 화물창 내부에 LNG가 상대적으로 적게 수용(예를 들어, LNG 화물창 내부에 LNG가 만적(loaded voyage)된 상태와 비교되는 공선항(Ballast Voyage) 상태)되면, 상기 LNG화물창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LNG 화물창 하측에 수용된 액상의 LNG와의 이격거리가 보다 명확하게 멀어지게 된 자연증발가스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자연증발가스의 온도가 상승되면 자연증발가스를 압축하도록 상기 LNG화물창 외부에 설치된 압축기의 압축효율이 낮아지게 되므로, 기존 전기추진 LNG선은, 상기 LNG 화물창 외부에 설치된 압축기 입구측의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상기 LNG 화물창 내에 액상 내지 저온의 LNG를 분사(spray)하기 위한 프리쿨러(pre-cooler)와, 분사용 LNG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펌프를 구비하고 있다.
기존 전기추진 LNG선에 있어서, 특히, 상기 LNG 화물창 내 LNG의 액위가 낮은 경우, 프리쿨러 및 펌프의 운전이 필요하나, 선박의 운동으로 상기 LNG 화물창 내 LNG의 흔들림이 많아지면 LNG의 흡입,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렵고 이로 인해 상기 프리쿨러 및 펌프의 운전 또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워, 낮은 액위의 LNG를 안정적으로 흡입할 수 있는 별도의 설비를 구비하던지, 상기 프리쿨러 및 펌프의 운전 내지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측으로의 자연증발가스의 공급 운전을 중지하여야 하는 곤란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증발가스냉각기(10)와 온도제어용밸브(65)에 의해, 상기 LNG 화물창 내 자연증발가스의 온도와 무관하게, 상기 가스압축기(20)의 가동에 적합한 설정온도범위로 일정하게 자연증발가스를 냉각시켜 상기 가스압축기(20)측으로 공급할 수 있어, 기존에 상기 LNG 화물창 내 LNG의 액위가 낮은 경우 자연증발가스 압축, 공급이 원활하게 어려워지기 어렵고, 분사된 LNG의 혼합에 의해 압축기에 무리하게 부하가 걸리게 되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제3냉매공급도관(64c)은, 상기 다수의 냉매압축기(61a)를 통과한 냉매를 상기 재액화열교환기(50)로 공급하고, 별도의 냉각 열교환기를 이용하는 일 없이, 상기 재액화열교환기(50)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1냉매공급도관(64a)을 통과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매를 냉각(예를 들어, 40℃를 -20℃로 냉각)시켜 상기 냉매팽창기(61b)로 공급한다.
상기 엔진공급가스냉각기(30)는 부식의 위험이 적은 담수를 냉매로 하여 열교환하는 담수냉각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다수의 냉매냉각기(62)는 다량 획득이 용이한 해수를 냉매로 하여 열교환하는 해수냉각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액화열교환기(50)에서 재액화시킨 LNG를 상기 LNG 화물창측으로 공급하는 배관상에, 재액화된 액상의 LNG와 재액화된 LNG에서 분리 생성된 기체 내지 N₂를 함께 수용가능한 저장공간과,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체배출구(미도시)를 구비한 LNG증발가스분리기(70)를 설치하면, 기체 내지 N₂를 분리시킨 상태의 재액화 LNG만을 상기 LNG 화물창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액화열교환기(50)에서 재액화시킨 LNG를 상기 LNG 화물창측으로 공급하는 배관상에, LNG공급펌프(80)를 설치하면, 상기 재액화열교환기(50)에서 재액화된 LNG가 중력, 배관내 압력손실에 의해 상기 LNG 화물창측으로 자연적으로 공급되지 않을 경우, 상기 LNG공급펌프(80)를 작동시킴으로써 재액화된 LNG를 상기 LNG 화물창측으로 강제 공급할 수 있다.
기존의 재액화 설비는 잉여 가스 처리의 안정성을 위해 동일한 성능을 가지는 한쌍을 구비하고 있으나, 상기 엔진공급가스냉각기(30)를 통과한 자연증발가스를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3)측으로 공급하는 경로상에, 상기 재액화열교환기(50) 외에 가스소각기(90)를 추가로 구비하면, 상기 재액화열교환기(50)가 고장, 손상, 오작동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작동되거나 작동이 정지된 경우, 상기 가스소각기(90)를 가동시켜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3)에서 요구되는 가스량을 초과하는 만큼 자연증발가스를 소각, 제거하여 가동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추진 LNG 운반선이 기설정된 경제운항속도로 운항중인지 여부에 관계 없이, 선박의 추진에 이용되지 않는 잉여 가스를 재액화시켜 상기 LNG 화물창으로 복귀, 저장시킬 수 있으나, 전기추진 LNG 운반선이 기설정된 경제운항속도로 운항 중인지를 선박의 조타실에서 육안 내지 청각으로 인지가능하도록 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운항상태표시장치(미도시)를 구비하여, 선박의 운항이 최적의 상태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재액화 기능을 가지는 전기추진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방법은,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재액화 기능을 가지는 전기추진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증발가스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증발가스 선처리단계, 증발가스 압축단계, 증발가스 냉각단계, 여분가스 재액화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증발가스 선처리단계에서는 상기 증발가스냉각기(10)를 이용하여 상기 LNG 화물창(liquefied natural gas cargo tank)에서 생성된 자연증발가스(Natural Boil-Off Gas, N-BOG)를 1차냉각하며, 상기 증발가스 압축단계에서는 상기 가스압축기(20)를 이용하여, 상기 증발가스 선처리단계에서 1차냉각된 자연증발가스를 공 급받아 DFDE(이중연료 디젤-전기, Dual Fuel Diesel Electric) 추진방식 엔진에 사용가능한 가스압력으로 압축시킨다.
상기 증발가스 냉각단계에서는 상기 엔진공급가스냉각기(30)를 이용하여 상기 증발가스 압축단계를 거치며 승온된 자연증발가스를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3)에 사용가능한 온도로 2차냉각하여,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3)측으로 공급하며, 상기 여분가스 재액화단계에서는 상기 재액화열교환기(50)를 이용하여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3)에 사용되지 않는 여분의 자연증발가스를 재액화열교환기(50)로 냉각, 재액화하여 상기 LNG 화물창측으로 공급한다.
상기 재액화열교환기(50)가 고장, 손상, 오작동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작동되거나 작동이 정지된 경우, 상기 가스소각기(90)를 이용하여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3)에서 요구되는 가스량을 초과하는 만큼 자연증발가스를 공급받아 소각, 제거시키는 여분가스 소각단계를 거쳐,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3)에서 요구되는 가스량을 초과하는 만큼 자연증발가스를 소각, 제거하여 가동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 본 발명에 따른 재액화 기능을 가지는 전기추진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2 - 본 발명에 따른 재액화 기능을 가지는 전기추진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장치의 증발가스 처리방법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3 : DFDE 추진방식 엔진 10 : 증발가스냉각기
20 : 가스압축기 30 : 엔진공급가스냉각기
41 : 가스유량계 42 : 부하분배용밸브
50 : 재액화열교환기 61 : 냉매컴팬더
61a : 냉매압축기 61b : 냉매팽창기
62 : 냉매냉각기 63 : 냉매버퍼탱크
64a : 제1냉매공급도관 64b : 제2냉매공급도관
64c : 제3냉매공급도관 65 : 온도제어용밸브
70 : LNG증발가스분리기 80 : LNG공급펌프
90 : 가스소각기

Claims (17)

  1. LNG 화물창(liquefied natural gas cargo tank)에서 생성된 자연증발가스(Natural Boil-Off Gas, N-BOG)를 공급받아 냉매와 열교환하며 냉각하는 증발가스냉각기(10);
    상기 증발가스냉각기(10)에서 냉각된 자연증발가스를 공급받아 DFDE(이중연료 디젤-전기, Dual Fuel Diesel Electric) 추진방식 엔진(3)에 사용가능한 가스압력으로 압축하는 가스압축기(20);
    상기 가스압축기(20)를 통과하며 승온된 자연증발가스를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3)에 사용가능한 온도로 냉각하여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3)측으로 공급하는 엔진공급가스냉각기(30);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3)에 사용되지 않는 여분의 자연증발가스를 상기 엔진공급가스냉각기(30) 하류에서 공급받아 냉매와 열교환하며 냉각, 재액화하여 상기 LNG 화물창측으로 공급하는 재액화열교환기(50); 및
    상기 재액화열교환기(50)에서 재액화되어 상기 LNG 화물창측으로 공급되는 액상의 LNG와, 재액화된 LNG에서 분리 생성된 기체 내지 N₂를 함께 수용가능한 저장공간과,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체배출구를 구비하여, 기체 내지 N₂를 분리시킨 상태의 재액화 LNG만을 상기 LNG 화물창측으로 공급하는 LNG증발가스분리기(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액화 기능을 가지는 전기추진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기상의 냉매를 다단으로 압축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냉매압축기(61a)와, 상 기 냉매압축기(61a)를 통과하며 압축, 승온된 냉매를 팽창시켜 LNG의 냉각점 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하는 냉매팽창기(61b)가 구비되는 냉매컴팬더(61); 및
    상기 냉매압축기(61a)로 유입 내지 유출되는 냉매를 냉각하여 상기 냉매압축기(61a)의 압축효율을 높이는 냉매냉각기(62);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액화 기능을 가지는 전기추진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냉매공급장치에 연결되어 냉매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으며, 내부에 기상의 냉매를 다량 수용가능한 저장공간과 기체배출구를 구비하여, 유동 및 열교환 중에 손실된 냉매를 보충하거나, 냉매공급도관의 압력, 유량변동 등에 따른 충격을 완충하고 과부하된 압력을 완화시키는 냉매버퍼탱크(63);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액화 기능을 가지는 전기추진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컴팬더(61)를 통과한 냉매를 상기 재액화열교환기(50)로 공급하고, 상기 재액화열교환기(50)를 통과하며 승온된 냉매를 상기 냉매버퍼탱크(63)로 공급 하는 제1냉매공급도관(64a); 및
    상기 냉매컴팬더(61)를 통과한 냉매를 상기 증발가스냉각기(10)로 공급하고, 상기 증발가스냉각기(10)를 통과하며 승온된 냉매를 상기 냉매버퍼탱크(63)로 공급하는 제2냉매공급도관(64b);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액화 기능을 가지는 전기추진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가스냉각기(10)를 통과하는 자연증발가스의 온도, 유량에 비례하여 상기 제2냉매공급도관(64b)을 통과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는 온도제어용밸브(65);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액화 기능을 가지는 전기추진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냉매압축기(61a)를 통과한 냉매를 상기 재액화열교환기(50)로 공급하고, 상기 재액화열교환기(50)를 통과하며 상기 제1냉매공급도관(64a)을 통과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각된 냉매를 상기 냉매팽창기(61b)로 공급하는 제3냉매공급도관(64c);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액화 기능을 가지는 전기추진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공급가스냉각기(30)는,
    담수를 냉매로 하여 열교환하는 담수냉각기로 구성하며,
    상기 냉매냉각기(62)는,
    해수를 냉매로 하여 열교환하는 해수냉각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액화 기능을 가지는 전기추진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는,
    LNG보다 냉각점이 낮고, 폭발성이 없는 N₂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액화 기능을 가지는 전기추진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가스냉각기(10)는,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 일부 액화된 LNG를 중력에 의해 상기 LNG 화물창측으로 분리공급하도록 하부에 LNG유출로가 개방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액화 기능을 가지는 전기추진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3)으로 유입되는 자연증발가스의 공급량을 계측하는 가스유량계(41); 및
    선박 운항에 따른 부하 변동에 맞추어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3)에서 요구되는 가스량과, 상기 가스유량계(41)에서 계측된 가스량에 따라, 상기 재액화열교환기(50)로 유입되는 자연증발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부하분배용밸브(42);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액화 기능을 가지는 전기추진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컴팬더(61)는,
    상기 부하분배용밸브(42)를 통과하는 유량에 비례하여, 냉매의 유량 내지 유속을 증감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액화 기능을 가지는 전기추진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장치.
  12. 삭제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재액화열교환기(50)에서 재액화된 LNG가 중력, 배관내 압력손실에 의해 상기 LNG 화물창측으로 자연적으로 공급되지 않을 경우, 재액화된 LNG를 상기 LNG 화물창측으로 강제 공급하도록 LNG공급도관상에 설치되는 LNG공급펌프(8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액화 기능을 가지는 전기추진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액화열교환기(50)가 고장, 손상, 오작동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작동되거나 작동이 정지된 경우, 상기 DFDE 추진방식 엔진(3)에서 요구되는 가스량을 초 과하는 만큼 자연증발가스를 공급받아 소각, 제거시키는 가스소각기(9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액화 기능을 가지는 전기추진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경제운항속도로 선박이 운항되는 경우, 경제운항 중인 상태를 선박의 조타실에서 육안 내지 청각으로 인지가능하도록 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운항상태표시장치;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액화 기능을 가지는 전기추진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장치.
  16. 삭제
  17. 삭제
KR1020090017938A 2009-03-03 2009-03-03 재액화 기능을 가지는 전기추진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장치 KR101187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938A KR101187532B1 (ko) 2009-03-03 2009-03-03 재액화 기능을 가지는 전기추진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장치
PCT/KR2010/000648 WO2010101356A2 (ko) 2009-03-03 2010-02-03 재액화 기능을 가지는 전기추진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장치 및 방법
CN201080010539.5A CN102341303B (zh) 2009-03-03 2010-02-03 具备再液化功能的电力推进lng运输船的蒸发气体处理装置及方法
RU2011139968/11A RU2481234C1 (ru) 2009-03-03 2010-02-03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обработки отпарного газа на танкере спг с электрической гребной установкой и с функцией повторного сжижения
JP2011547814A JP5349617B2 (ja) 2009-03-03 2010-02-03 再液化機能を有する電気推進lng運搬船の蒸発ガス処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938A KR101187532B1 (ko) 2009-03-03 2009-03-03 재액화 기능을 가지는 전기추진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441A KR20100099441A (ko) 2010-09-13
KR101187532B1 true KR101187532B1 (ko) 2012-10-02

Family

ID=42710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938A KR101187532B1 (ko) 2009-03-03 2009-03-03 재액화 기능을 가지는 전기추진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349617B2 (ko)
KR (1) KR101187532B1 (ko)
CN (1) CN102341303B (ko)
RU (1) RU2481234C1 (ko)
WO (1) WO2010101356A2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74083A1 (en) * 2012-12-24 2014-06-26 General Electric Company Cryogenic fuel system with auxiliary power provided by boil-off gas
KR20150115097A (ko) * 2014-04-02 2015-10-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20150115098A (ko) * 2014-04-02 2015-10-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20150115102A (ko) * 2014-04-02 2015-10-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20150115094A (ko) * 2014-04-02 2015-10-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WO2017160007A1 (ko) * 2016-03-15 2017-09-21 김남국 선박용 액화천연가스의 증발가스 부분재액화장치
KR20180000649A (ko) * 2016-06-23 2018-01-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증발가스 재액화 시스템 및 선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924B1 (ko) * 2010-11-01 2013-01-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KR101224931B1 (ko) * 2010-11-01 2013-01-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KR101245746B1 (ko) * 2010-12-16 2013-03-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증발가스 재액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공급 시스템
WO2012124886A1 (ko) * 2011-03-11 2012-09-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재액화 장치 및 고압 천연가스 분사 엔진을 갖는 해상 구조물의 연료 공급 시스템
KR101147365B1 (ko) * 2011-03-11 2012-05-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재액화 장치 및 고압 천연가스 분사 엔진을 갖는 해상 구조물의 연료 공급 시스템의 운전방법
KR101106088B1 (ko) * 2011-03-22 2012-01-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고압 천연가스 분사 엔진용 연료 공급 시스템의 재액화 장치에 사용되는 비폭발성 혼합냉매
US20140053600A1 (en) * 2011-03-22 2014-02-27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Co., Ltd. System for supplying fuel to high-pressure natural gas injection engine having excess evaporation gas consumption means
JP2013210045A (ja) * 2012-03-30 2013-10-10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液化ガス蒸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その改修方法
KR101386543B1 (ko) 2012-10-24 2014-04-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CN103062620B (zh) * 2013-01-24 2014-06-11 成都深冷液化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低温bog气体冷量回收装置及工艺
CN103343718B (zh) * 2013-06-25 2016-06-01 上海佳豪船舶工程设计股份有限公司 一种lng燃料动力船舶的lng燃料主机余热利用***
KR101640768B1 (ko) * 2013-06-26 2016-07-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제조방법
KR101519541B1 (ko) * 2013-06-26 2015-05-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GB201316227D0 (en) * 2013-09-12 2013-10-30 Cryostar Sas High pressure gas supply system
FR3013672A1 (fr) * 2013-11-26 2015-05-29 Gdf Suez Methode d'aide a l'exploitation d'un navire de transport
RU2607893C2 (ru) * 2014-01-07 2017-01-11 Дэу Шипбилдинг Энд Марин Инджиниринг Ко., Лтд.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одачи топливного газа корабля
RU2546050C1 (ru) * 2014-02-26 2015-04-10 Аллтек Инвестментс Лимитед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газовым топливом энергетических установок танкеров сжиженного природного газа
KR102200362B1 (ko) * 2014-05-19 2021-01-08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101940837B1 (ko) * 2014-12-16 2019-01-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냉매 탱크를 내장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선체
KR101617020B1 (ko) 2015-02-04 2016-05-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증발가스 처리장치
US10661874B2 (en) * 2015-06-02 2020-05-26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Co., Ltd. Ship
WO2016200174A1 (ko) * 2015-06-09 2016-12-1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처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WO2016200170A1 (ko) * 2015-06-09 2016-12-1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처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KR102277367B1 (ko) * 2015-06-09 2021-07-1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처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JP6678077B2 (ja) * 2016-07-07 2020-04-0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船舶
KR101876974B1 (ko) * 2016-09-29 2018-07-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증발가스 재액화 장치 및 방법
AU2017381785B2 (en) 2016-12-23 2020-04-16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Vessel for the transport of liquefied ga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vessel
CN106640427A (zh) * 2016-12-31 2017-05-10 中船重工(上海)新能源有限公司 液化天然气bog回收发电方法及其实施装置
CN106678538A (zh) * 2016-12-31 2017-05-17 中船重工(上海)新能源有限公司 多能互补的液化天然气bog回收方法及其实施装置
RU177708U1 (ru) * 2017-01-19 2018-03-06 Рафаиль Минигулович Минигулов Компрессорный агрегат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СПГ - сжиженного природного газа
JP6733092B2 (ja) * 2017-08-24 2020-07-29 株式会社三井E&Sマシナリー 燃料供給システム及び燃料供給方法
KR102387172B1 (ko) * 2017-12-29 2022-04-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의 증발가스 처리 장치 및 방법
CN109178204B (zh) * 2018-09-12 2019-09-06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大型双燃料散货船天然气高低压集成供气***的布置结构
KR102601310B1 (ko) * 2018-09-20 2023-11-13 한화오션 주식회사 선박용 화물탱크 압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601311B1 (ko) * 2018-09-20 2023-11-13 한화오션 주식회사 선박용 화물탱크 압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1795294A (zh) * 2020-06-11 2020-10-20 青岛双瑞海洋环境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船用bog处理后冷却兼缓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0393B2 (ja) * 1999-11-05 2006-06-28 大阪瓦斯株式会社 液化天然ガス運搬船におけるカーゴタンクの圧力制御装置及びその圧力制御方法
GB0120661D0 (en) * 2001-08-24 2001-10-17 Cryostar France Sa Natural gas supply apparatus
FR2837783B1 (fr) * 2002-03-26 2004-05-28 Alstom Installation pour la fourniture de combustible gazeux a un ensemble de production energetique d'un navire de transport de gaz liquefie
JP4544885B2 (ja) * 2004-03-22 2010-09-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再液化装置およびガス再液化方法
FR2870206B1 (fr) * 2004-05-14 2006-08-04 Alstom Sa Installation pour la fourniture de combustible gazeux a un ensemble de production energetique d'un navire de transport de gaz liquefie.
JP4425090B2 (ja) * 2004-08-25 2010-03-03 株式会社川崎造船 Lng運搬船用エンジンへの燃料ガス供給システム
BRPI0608158A2 (pt) * 2005-02-17 2010-11-09 Shell Int Research instalação para a liquefação de gás natural, e, método para a liquefação de uma corrente de gás natural
JP2006348752A (ja) * 2005-06-13 2006-12-28 Kawasaki Shipbuilding Corp 液化天然ガス運搬船の蒸発ガス供給システム
WO2007011155A1 (en) * 2005-07-19 2007-01-25 Shinyoung Heavy Industries Co., Ltd. Lng bog reliquefaction apparatus
KR200436336Y1 (ko) * 2006-11-30 2007-08-01 주식회사 동화엔텍 가스운반선의 이중연료엔진용 압력보상시스템
KR100812723B1 (ko) * 2006-12-18 2008-03-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운반선의 연료 공급 장치 및 방법
NZ582507A (en) * 2007-07-09 2012-08-31 Lng Technology Pty Ltd A method and system for production of liquid natural gas
KR100883742B1 (ko) * 2007-10-09 2009-02-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이종연료디젤엔진 추진기관을 사용하는 액화천연가스운반선을 위한 자연기화천연가스 온도조절장치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5664B2 (en) * 2012-12-24 2016-02-09 General Electric Company Cryogenic fuel system with auxiliary power provided by boil-off gas
US20140174083A1 (en) * 2012-12-24 2014-06-26 General Electric Company Cryogenic fuel system with auxiliary power provided by boil-off gas
KR101922273B1 (ko) * 2014-04-02 2018-11-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20150115097A (ko) * 2014-04-02 2015-10-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20150115098A (ko) * 2014-04-02 2015-10-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20150115102A (ko) * 2014-04-02 2015-10-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20150115094A (ko) * 2014-04-02 2015-10-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101922274B1 (ko) * 2014-04-02 2019-02-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WO2017160007A1 (ko) * 2016-03-15 2017-09-21 김남국 선박용 액화천연가스의 증발가스 부분재액화장치
KR20180000646A (ko) * 2016-06-23 2018-01-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증발가스 재액화 시스템 및 선박
KR20180000645A (ko) * 2016-06-23 2018-01-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증발가스 재액화 시스템 및 선박
KR101909240B1 (ko) 2016-06-23 2018-10-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증발가스 재액화 시스템 및 선박
KR101910705B1 (ko) * 2016-06-23 2018-10-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증발가스 재액화 시스템 및 선박
KR101917921B1 (ko) * 2016-06-23 2018-11-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증발가스 재액화 시스템 및 선박
KR20180000642A (ko) * 2016-06-23 2018-01-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증발가스 재액화 시스템 및 선박
KR20180000649A (ko) * 2016-06-23 2018-01-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증발가스 재액화 시스템 및 선박
KR101985003B1 (ko) 2016-06-23 2019-06-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증발가스 재액화 시스템 및 선박
KR101996397B1 (ko) * 2016-06-23 2019-07-04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증발가스 재액화 시스템 및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49617B2 (ja) 2013-11-20
KR20100099441A (ko) 2010-09-13
JP2012516263A (ja) 2012-07-19
CN102341303B (zh) 2014-07-09
WO2010101356A2 (ko) 2010-09-10
CN102341303A (zh) 2012-02-01
WO2010101356A3 (ko) 2010-10-28
RU2481234C1 (ru) 2013-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7532B1 (ko) 재액화 기능을 가지는 전기추진 lng 운반선의 증발가스 처리장치
KR102377796B1 (ko)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144183B1 (ko) 증발가스 냉각 시스템 및 선박
KR20180093405A (ko) 증발가스 재액화 방법
CN112469624B (zh) 挥发性有机化合物处理***和船舶
JP2019038533A (ja) 船舶の蒸発ガス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KR102548332B1 (ko) 선박의 연료가스 관리시스템
KR102436048B1 (ko)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A3232619A1 (en) Boil-off gas re-liquefying system and ship comprising same
KR102516615B1 (ko) 선박의 연료가스 관리시스템
KR102087179B1 (ko) 선박의 증발가스 재액화 장치의 운전 방법
KR102474931B1 (ko) 증발가스 재액화 시스템 및 선박
KR102548335B1 (ko) 선박의 연료가스 관리시스템
US20230081154A1 (en) Gas treatment system and ship including same
KR102548334B1 (ko) 선박의 연료가스 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