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5559B1 - 화상형성장치와 그 급지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와 그 급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5559B1
KR101185559B1 KR1020070118665A KR20070118665A KR101185559B1 KR 101185559 B1 KR101185559 B1 KR 101185559B1 KR 1020070118665 A KR1020070118665 A KR 1020070118665A KR 20070118665 A KR20070118665 A KR 20070118665A KR 101185559 B1 KR101185559 B1 KR 101185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sensing
arm
actuato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8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2116A (ko
Inventor
강일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8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5559B1/ko
Priority to US12/142,170 priority patent/US8070153B2/en
Priority to JP2008198638A priority patent/JP5366183B2/ja
Publication of KR20090052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2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5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5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379Copy medium holder
    • G03G2215/00383Casset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71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 G03G2215/00729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sheet amount in input tr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2Paper hand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센서의 수를 최소화하면서도 간단한 구성으로서 카세트의 장착 여부 및 용지의 적재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카세트와, 본체에 마련되어 카세트의 장착 여부 및 인쇄매체 적재 여부를 함께 감지하는 감지유닛을 구비한다. 감지유닛은 본체에 설치되어 카세트의 인쇄매체 적재 여부를 감지하는 상기 제1액추에이터와, 본체에 설치되어 카세트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제2액추에이터와, 제1 및 제2액추에이터의 동작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가지는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와 그 급지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AND FEEDING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쇄매체를 수용하는 카세트가 본체에 제대로 장착되었는지의 여부 및 카세트에 인쇄매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화상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하나로 통합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이하에서는 편의상 '용지'라 칭하나, 인쇄매체가 용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의 공급을 위한 급지장치를 가지는데, 일반적으로 급지장치에는 용지를 감지하는 용지감지장치가 구비된다.
도 1a 내지 도 1c는 용지감지장치를 가지는 종래의 급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급지장치(1)는 용지적재판(2a)을 가지는 카세트(2)와, 용지적재판(2a)에 용지가 적재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용지감지장치(3)를 가진다.
용지감지장치(3)는 액추에이터(4), 센서(5) 및 작동공(6)을 구비한다. 액추 에이터(4)는 회전축(4a)과, 이 회전축(4a)에 연결되는 작동아암(4b) 및 센싱아암(4c)을 가진다. 작동아암(4b)은 용지적재판(2a)을 향해 연장되고, 센싱아암(4c)은 센서(5)를 향해 연장된다.
작동아암(4b)의 단부에는 용지적재판(2a)에 적재된 용지(P)와 접촉하는 용지접촉부(7)가 구비된다. 작동공(6)은 작동아암(4b)의 용지접촉부(7)를 수용할 수 있도록 용지적재판(2a)에 형성된다. 용지적재판(2a)에 용지가 없는 경우 작동아암(4b)의 용지접촉부(7)는 작동공(6)으로 삽입된다.
용지적재판(2a)에 용지(S)가 있는 경우에는 도 1a과 같이, 용지접촉부(7)가 용지(P)와 간섭하고, 이에 따라 액추에이터(4)가 위쪽으로 회동하여 센싱아암(4c)이 센서(5)의 감지영역을 벗어난 곳에 위치된다. 그러면 회상형성장치의 제어부는 용지적재판(2a)에 용지가 적재되어 있다고 인식하여 인쇄명령에 따라 인쇄 동작을 수행한다.
반면에 용지적재판(2a)에 용지가 없는 경우에는 도 1b와 같이, 작동아암(4b)의 용지접촉부(7)는 작동공(6)에 삽입되고, 센싱아암(4c)의 단부는 센서(5)의 감지영역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센서(5)에서 센싱아암(4c)이 감지되면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부는 용지적재판(2a)에 용지가 없다고 인식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급지장치에서는 카세트가 제대로 장착되지 않은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그대로 인쇄 동작이 수행됨에 따라 급지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거나 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도 1c와 같이, 사용자가 실수로 카세트(2)를 끝까지 밀어 넣지 않은 경우에도 작동아암(4b)은 용지적재판(2a)에 적재된 용지(P)와 간섭하고, 이에 따라 센싱아암(4c)이 센서(5)의 감지영역을 벗어난 곳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면 실제로는 급지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없는 비정상적인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부는 정상적인 인쇄가 가능한 상태로 인식하여 인쇄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인쇄에러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화상형성장치에 카세트의 장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별도의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용지감지장치 외에 별도의 센서를 추가적으로 설치하게 되면,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부품 수 증가로 인해 재료비가 많이 들어 제품의 경쟁력이 떨어지게 된다.
근래에는 장치가 소형화됨에 따라 본체의 크기가 카세트보다 작게 형성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카세트의 장착 시에 본체의 전면을 기준으로 하여 카세트의 전면이 본체의 전면과 나란해질 때까지 카세트를 밀어 넣는다. 그러나 본체의 크기가 카세트보다 작게 형성되면, 카세트가 본체에 완전히 장착된 상태에서도 카세트의 일부가 본체보다 돌출되므로, 사용자는 카세트가 본체에 제대로 장착되었는지를 육안으로 쉽게 구별하지 못해 카세트를 불완전하게 장착하는 실수를 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가 소형화되는 현재의 추세에서 카세트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여 인쇄에러를 예방할 수 있는 장치가 특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의 수를 최소화하면서도 간단한 구성으로 카세트가 본체에 제대로 장착되었는지의 여부 및 카세트에 용지가 적재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와 그 급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부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카세트;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카세트의 장착 여부 및 상기 카세트의 인쇄매체 적재 여부를 함께 감지하는 감지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카세트의 인쇄매체 적재 여부를 감지하는 상기 제1액추에이터;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카세트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제2액추에이터;와 상기 제1 및 제2액추에이터의 동작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가지는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액추에이터는 상기 카세트에 적재된 인쇄매체를 향해 연장되는 제1작동아암과, 상기 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제1센싱아암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액추에이터는 상기 카세트에 간섭될 수 있는 위치로 연장되는 제2작동아암과, 상기 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제2센싱아암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액추에이터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제2센싱아암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센서의 감지부에서 센싱될 수 있다.
상기 제1액추에이터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제1센싱아암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센서의 감지부에서 센싱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제1센싱아암과 상기 제2센싱아암이 모두 상기 센서의 감지부를 벗어난 경우에만 인쇄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카세트의 장착 시에 상기 제2작동아암이 상기 카세트와 간섭함에 따라 상기 제2액추에이터는 회동하고, 상기 제2센싱아암은 상기 센서의 감지부를 벗어난다.
상기 제1센싱아암은 상기 제2센싱아암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액추에이터가 상기 제1액추에이터의 움직임에 연동하도록 상기 제1센싱아암과 제2센싱아암은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싱아암과 제2센싱아암이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센싱아암이 상기 제2센싱아암을 가압하는 힘은 상기 제2센싱아암이 상기 제1센싱아암을 가압하는 힘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액추에이터와 제2액추에이터의 상대 위치에 따라 상기 제1센싱아암과 제2센싱아암은 상기 센서의 감지부에서 동시에 센싱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아암은 상기 카세트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인쇄매체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세트는 작동공을 가지는 적재판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매체 접촉부는 상기 적재판을 향해 돌출되는 접촉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세트가 상기 본체로부터 소정 거리(D)만큼 이격되어 있을 때, 상기 제1센싱아암과 제2센싱아암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센서에 의해 센싱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아암은 상기 카세트에 적재된 인쇄매체와 접촉하고, 상기 제1센싱아암과 제2센싱아암 중 어느 센싱아암이 상기 센서에 의해 센싱되는지는 상기 카세트에 적재된 인쇄매체의 양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카세트에 적재된 인쇄매체의 양이 기준치(S1) 이하인 경우, 상기 제1센싱아암이 상기 센서에 의해 센싱될 수 있다.
상기 카세트에 적재된 인쇄매체의 양이 기준치(S2) 이상인 경우, 상기 제2센싱아암이 상기 센서에 의해 센싱될 수 있다.
상기 카세트에 적재된 인쇄매체의 양이 제1기준치보다 크고 제2기준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센싱아암과 제2센싱아암이 모두 상기 센서에 의해 센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세트의 전면은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감지유닛은 제1이상상태와 제2이상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발생을 감지하도록 배열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상상태는 상기 카세트가 상기 본체에 적절히 장착되지 않은 것이고, 상기 제2이상상태는 상기 카세트 내에 인쇄매체가 없는 것이며, 상기 센서는 상기 제1이상상태와 제2이상상태가 모두 존재하지 않는 조건 하에서 정상동작상태의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는 인쇄매체를 수용하는 카세트;와 감지부를 가지는 센서;와 상기 감지부 내에 놓이는 제1위치와 상기 감지부에서 벗어난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제1센싱아암과, 상기 카세트에 수용된 인쇄매체와 접촉하는 제1작동아암을 가지는 제1액추에이터;와 상기 감지부 내에 놓이는 제1위치와 상기 감지부에서 벗어난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제2센싱아암과, 상기 카세트에 간섭되는 제2작동아암을 가지는 제2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액추에이터와 제2액추에이터는 서로 연동될 수 있다.
상기 제1액추에이터와 제2액추에이터의 상대 위치에 따라 상기 제1센싱아암과 제2센싱아암은 선택적으로 상기 감지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액추에이터와 제2액추에이터의 상대 위치에 따라 상기 제1센싱아암과 제2센싱아암은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에 동시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는 그 내부에 인쇄매체를 보관하는 카세트가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카세트 수용부를 가지는 본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내의 인쇄매체의 존재와 관련하여 움직이도록 구성되는 제1액추에이터;와 상기 본체 내의 상기 카세트의 위치와 관련하여 움직이도록 구성되는 제2액추에이터;와 상기 제1액추에이터와 상기 제2액추에이터의 동작 상태를 센싱하도록 배열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제1이상상태와 제2이상상태가 모두 존재하지 않는 조건 하에서 정상동작상태의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이상상태는 상기 카세트가 상기 본체 내에 적절히 장착되지 않은 것이고, 상기 제2이상상태는 인쇄매체가 상기 카세트 내에 없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액추에이터는 제1회동축과, 상기 제1회동축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카세트 수용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1작동아암과, 상기 일단의 반대편인 상기 제1회동축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센서를 향해 연장되는 제1센싱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1작동아암은 상기 카세트 내에 보관된 인쇄매체의 양과 관련하여 상기 인쇄매체에 접촉, 이동하도록 배열되어 상기 제1회동축이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센싱아암이 상기 센서의 감지영역 내외로 이동하도록 하며, 상기 제2액추에이터는 제2회동축과, 상기 제2회동축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본체 내에서 상기 카세트에 간섭될 수 있는 위치로 연장되는 제2작동아암과, 상기 일단의 반대편인 상기 제2회동축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센서를 향해 연장되는 제2센싱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2작동아암은 상기 본체 내의 상기 카세트의 위치와 관련하여 상기 카세트의 적어도 일부분에 간섭하여 움직이도록 배열되어 상기 제2회동축이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센싱아암이 상기 센서의 감지영역 내외로 이동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센서만을 사용하여 카세트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장착되었는지의 여부 및 카세트에 용지가 적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카세트의 장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센싱장치 및 용지의 적재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센싱장치를 별도로 설치함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구조가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부품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카세트가 본체에 불완전하게 장착된 경우에 인쇄 동작이 그대로 진행되어 잼과 같은 동작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10), 급지장치(20), 광주사장치(30), 현상장치(40), 전사장치(50), 정착장치(60) 및 배지장 치(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주사장치(30), 현상장치(40), 전사장치(50) 및 정착장치(60)는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로서,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다.
본체(10)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한다.
급지장치(20)는 내부에 용지(P)가 보관되는 카세트(100)와, 카세트(100)에 보관된 용지를 한 장씩 픽업하기 위한 픽업롤러(21)와, 픽업된 용지를 현상장치(40)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롤러(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카세트(100)는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본체(10)의 전면 하단부에는 카세트(1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개구부(1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형성장치를 소형화함에 따라 카세트(100)의 길이 방향으로 본체(10)의 크기가 카세트(100)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카세트(100)의 전면(100a)이 본체(10)의 전면(10a)보다 돌출된다. 본체(10)의 개구부(11)는 돌출된 카세트(10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본체(10)의 전면(10a)보다 돌출된다.
급지장치(20)는 본체(10)에 카세트(100)가 제대로 장착되었는지의 여부 및 카세트(100)에 용지가 적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유닛(200)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감지유닛(200)은 하나의 센서만을 이용하여 카세트 장착 오류 및 용지 적재 유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현상장치(40)는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 예를 들면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토너가 각각 수용되는 4개의 현상기(40Y, 40M, 40C, 40K) 를 가진다. 각각의 현상기(40Y, 40M, 40C, 40K)에는 광주사장치(30)에 의해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41)가 구비된다. 각각의 광주사장치(30)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인쇄 신호에 따라 각 현상기의 감광체(41)에 조사한다.
각각의 현상기(40Y, 40M, 40C, 40K)는 감광체(41)를 대전시키는 대전롤러(42), 각 감광체(41)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롤러(43) 및 현상롤러(43)에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롤러(44)를 가진다.
전사장치(50)는 감광체(41)에 현상된 토너 화상을 용지로 전사시킨다. 전사장치(50)는 각 감광체(41)에 접촉되어 순환 주행하는 전사벨트(51)와, 전사벨트(51)를 구동시키는 전사벨트 구동롤러(52)와,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전사벨트(51)를 지지하는 텐션롤러(53)와, 감광체(41)에 현상되어 있는 토너 화상을 용지로 전사시키는 4개의 전사롤러(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착장치(60)는 전사장치(50)에 의해 용지로 전사된 토너 화상을 용지에 고정시킨다. 정착장치(60)는 열원을 가지는 가열롤러(61)와, 가열롤러(61)에 압착되는 가압롤러(62)를 포함한다. 용지가 가열롤러(61)와 가압롤러(62) 사이를 통과할 때, 가열롤러(61)로부터 전달되는 열과 가열롤러(61)와 가압롤러(62) 사이에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토너 화상이 용지에 고정된다.
한편 배지장치(70)는 인쇄를 마친 용지를 화상형성장치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지롤러(71)와, 이 배지롤러(71)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배지백업롤러(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100)는 카세트본체(110)와, 카세트본체(110)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재판(120)과, 적재판(120)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130)을 구비한다.
적재판(120)의 일측은 카세트본체(110)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타측이 소정 각도 회동하며 업/다운 운동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체(10)에서 카세트(100)의 상부에는 카세트(100)가 본체(10)에 장착되었을 때 적재판(120)을 아래쪽으로 가압하는 캠이 설치된다. 캠의 일부분이 적재판(120)을 가압하면 적재판(120)은 아래로 회동하고, 캠이 적재판(120)으로부터 이격되면 적재판(120)은 스프링(130)의 탄성력에 의해 위로 회동한다. 급지 동작이 이루어질 때 캠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적재판(120)은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한다. 적재판(120)이 위로 회동된 상태에 있을 때 적재판(120)에 적재된 용지가 픽업롤러(21)에 접촉하여 한 장씩 픽업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카세트(100)에는 적재판(120)을 구속하는 록킹장치가 설치된다. 이 록킹장치는 카세트(100)가 본체(10)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적재판(120)을 구속하여 적재판(120)이 다운된 위치에 있을 수 있도록 한다. 카세트(100)가 본체(10)에 완전히 장착되면 록킹장치는 적재판(120)을 록킹 해제한다. 이러한 구조는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이에 관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카세트와 감지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감지유닛의 동작을 설 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는 제1액츄에이터가 카세트에 적재된 용지에 접촉하여 소정 각도 회동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유닛(200)은 제1액추에이터(210), 제2액추에이터(220), 센서(230) 및 작동공(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센서(230)는 제1액추에이터(210)와 제2액추에이터(220)를 감지하여 그 결과를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한다. 센서(230)의 감지부(231, 도 4 내지 도 7 참조)에서 제1액추에이터(210)와 제2액추에이터(220) 중 어느 하나라도 감지되면, 제어부는 비정상적인 상태로 인식하여 인쇄 명령이 있더라도 인쇄 동작을 시작하지 않는다.
센서(230)는 발광부(232)와 수광부(233)를 가지는 광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230)는 일정한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여 위치되는 두 지지체(234)를 가지고, 발광부(232)와 수광부(233)는 두 지지체(234)에 각각 설치된다. 발광부(232)와 수광부(233) 사이의 공간에는 센서(230)의 감지부(231)가 정의된다. 도 4 내지 도 7에서는 감지부(231)를 개념적으로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230)로서 광센서가 사용된 예에 관해 설명하나, 제1액추에이터(210)와 제2액추에이터(22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른 종류의 센서도 사용할 수 있다.
제1액추에이터(210)는 기본적으로 카세트(100)에 용지가 적재되어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지만, 이와 더불어 제2액추에이터(220)와 함께 카세트(100)가 본체(10)에 제대로 장착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액추에이터(210)는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는 프레임(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액추에이터(210)는 회동축(211)과, 회동축(211)의 일측으로부터 카세트(100)에 적재된 용지(P)를 향해 연장되는 제1작동아암(212)과, 회동축(211)의 타측으로부터 센서(230)를 향해 연장되는 제1센싱아암(213)을 구비한다.
제1작동아암(212)은 카세트(100)가 본체(10)에 장착되는 방향(A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인쇄매체 접촉부(212a)를 가진다. 인쇄매체 접촉부(212a)가 적재판(120)에 적재된 용지(P)와 접촉하면 제1작동아암(212)이 위쪽 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에 따라 제1센싱아암(213)도 위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5 및 도 6 참조).
인쇄매체 접촉부(212a)의 선단에는 적재판(120) 쪽으로 돌출되는 접촉돌기(212b)가 구비되고, 카세트의 적재판(120)에는 상기 접촉돌기(212b)가 삽입될 수 있도록 작동공(240)이 형성된다. 비어 있는 카세트(100)가 본체(10)에 장착되거나 인쇄 중에 용지가 모두 사용된 경우, 접촉돌기(212b)는 작동공(240)으로 삽입되고 이에 따라 제1센싱아암(213)이 아래도 회동하여 센서(230)의 감지부(231)를 가리게 된다(도 7 참조).
제1센싱아암(213)은 그 단부의 상측으로부터 좌우로 연장되는 걸림부(213a)를 가진다.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제1액추에이터(210)는 자중에 의해 아래로 회동하려는 힘을 받는데, 상기 걸림부(213a)가 센서(230)의 두 지지체(234)의 상면에 지지됨으로써 제1센싱아암(213)은 더 이상 아래로 회동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센싱아암(213)의 단부는 센서(230)의 감지부(231)를 가리게 된다(도 4 참조).
한편 카세트본체(110)의 선단부에는 카세트(100)가 본체(10)에 착탈될 때 카세트본체(110)가 제1액추에이터(210)와 간섭되는 것을 피할 수 있도록 개구부(111)가 마련된다.
제2액추에이터(220)는 카세트(100)가 본체(10)에 제대로 장착되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동축(221), 제2작동아암(222) 및 제2센싱아암(223)을 구비한다. 제2액추에이터(220)는 고정브라켓(25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고정브라켓(250)은 후크부(251)를 통해 본체(10)에 내부에 마련된 프레임(미도시)에 고정된다.
회동축(221)은 그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221a)를 가진다. 걸림돌기(221a)가 고정브라켓(250)의 바닥에 걸리면, 제2작동아암(222)은 더 이상 아래로 회동하지 못한다.
제2작동아암(222)은 회동축(221)의 일측으로부터 카세트(100)를 향해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제2센싱아암(223)은 회동축(221)의 타측으로부터 센서(230)를 향해 위쪽으로 연장된다. 제2작동아암(222)은 제1센싱아암(213)보다 무겁도록 형성된다. 그러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제2작동아암(222)은 그 자중에 의해 아래쪽으로 회동하려는 힘을 받고, 제2센싱아암(223)은 제2작동아암(222)과는 반대로 위쪽으로 회동하려는 힘을 받는다. 그러나 회동축(221)의 걸림돌기(221a)가 고정브라켓(250)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위치에 이르면 제2센싱아암(223)은 더 이상 위쪽으로 회동하지 못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센싱아암(223)의 단부는 센서(230)의 감지부(231)를 가리게 된다(도 5 참조).
제2작동아암(222)의 단부는 본체(10)에 장착되는 카세트(100)에 간섭될 수 있는 곳에 위치된다. 카세트본체(110)의 선단부에는 제2작동아암(222)과 간섭하는 간섭부(112)가 마련된다. 제2작동아암(222)이 카세트(100)와 간섭하여 위쪽으로 회동하면, 제2센싱아암(223)은 아래쪽으로 회동하고, 이에 따라 제2센싱아암(223)이 센서(230)의 감지부(231)로부터 벗어난다(도 6 참조).
제2센싱아암(223)은 제1센싱아암(213)의 하부에 위치된다. 제2센싱아암(223)은 그 회동 영역 중 일부 구간에서 제1센싱아암(213)의 하면에 접촉함으로써 제1센싱아암(213)에 연동한다. 제1센싱아암(213)과 제2센싱아암(223)이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제2센싱아암(223)의 위치는 제1센싱아암(213)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즉 제2액추에이터(22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제2센싱아암(223)은 제2작동아암(222)의 자중에 의해 위쪽으로 회동하려 하지만, 제2센싱아암(223)이 제1센싱아암(213)에 접촉한 상태에서는 제2센싱아암(223)이 회동하려는 힘보다 제1센싱아암(213)이 제2센싱아암(223)을 누르는 힘이 더 크기 때문에 제2센싱아암(223)의 위치는 제1센싱아암(213)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도 4 및 도 7 참조).
대부분의 경우 센서(230)의 감지부(231)에는 제1센싱아암(213)과 제2센싱아암(223) 중 어느 하나의 센싱아암만이 선택적으로 감지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1센싱아암(213)과 제2센싱아암(223)이 동시에 센서(230)의 감지부(231)에 위치될 때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1센싱아암과 제2센싱아암이 센서의 감지부에 동시에 위치될 때 제1센싱아암과 제2센싱아암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과 같이, 제1센싱아암(213)과 제2센싱아암(223)이 센서의 감지부(231)에 동시에 위치될 때 제1센싱아암(213)은 감지부(231)의 일부분을 커버하고, 제2센싱아암(223)은 감지부(231)의 다른 일부분을 커버한다. 이는 제1센싱아암(213)과 제2센싱아암(223)이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감지부(231)에 동시에 위치될 때, 제1센싱아암(213)과 제2센싱아암(223) 사이의 틈을 통해 빛이 누설되어 센싱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고려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2센싱아암(223)과 접촉하는 제1센싱아암(213)의 하면에는 제1경사부(213b)가 마련될 수 있고, 또 제1센싱아암(213)과 접촉하는 제2센싱아암(223)의 상면에는 제1센싱아암의 제1경사부(213b)에 대응하여 하향 경사지는 제2경사부(223a)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7에서 도면 부호 '12'로 표시된 것은 본체(10)에 설치되는 급지가이드이다. 급지가이드(12)는 인쇄 과정에서 픽업롤러(21)에 의해 픽업된 용지를 현상장치(40) 쪽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감지유닛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카세트(100)가 본체(10)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카세트(100)가 본체(10)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인쇄매체 접촉부(212a)의 후단부가 용지(P)에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 도 6은 카세트(100)가 본체(10)에 완전히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카세트(100)에 용지가 적재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4와 같이, 카세트(100)가 본체(10)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액추에이터(210)는 그 자중에 의해 아래로 회동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러면 제1센싱아암(213)은 센서(230)의 지지체(234)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센서(230)의 감지부(231)를 가리게 된다. 이 때 제2액추에이터(0)의 제2센싱아암(223)은 제1센싱아암(213)에 의해 밀려 아래로 회동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카세트(100)가 본체(10)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센싱아암(213)이 센서(230)에 의해 감지되고,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부는 현 상태가 인쇄를 정상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라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도 5와 같이, 카세트(100)가 본체(10)에 부분적으로 장착되어 제1작동아암(212)의 인쇄매체 접촉부(212a)의 후단이 용지(P)와 접촉하면, 제1작동아암(212)이 위로 회동한다. 그러면 제1센싱아암(213)도 위로 회동하고, 이에 따라 제1센싱아암(213)은 센서(230)의 감지부(231)를 벗어난다. 제1센싱아암(213)이 위로 회동하면, 제2센싱아암(223)은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제2센싱아암(223)은 위로 회동하여 센서(230)의 감지부(231)를 가리게 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부는 현 상태가 인쇄를 정상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라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카세트(100)가 본체(10)에 부분적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제1센싱아암(213)이 센서(230)에서 감지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제2센싱아암(223)이 센서(230)에서 감지된다. 따라서 카세트(100)가 본체(10) 제대로 장착되지 않은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그대로 인쇄 동작이 진행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과 같이, 카세트(100)가 본체(10)에 완전히 장착되면, 제2작동아암(222)의 단부는 카세트본체(110)의 선단부와 간섭하고, 이에 따라 제2작동아암(222)은 위로 회동한다. 그러면 제2센싱아암(223)은 아래로 회동하여 센서(230)의 감지부(231)를 벗어난다. 한편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인쇄매체 접촉부(212a)의 선단은 적재판(120)에 적재된 용지(P)에 접촉한다. 그러면 제1작동아암(212)은 용지(P)에 의해 위로 회동하고, 이에 따라 제1센싱아암(213)도 위로 회동하여 센서(230)의 감지부(231)를 벗어난다.
이와 같이, 제1센싱아암(213)과 제2센싱아암(223)이 모두 센서(230)의 감지부(231)를 벗어나면, 센서(230)의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이 수광부에서 그대로 검출된다. 그러면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부는 카세트의 장착 상태 및 용지의 적재 상태가 모두 정상이라고 인식하여 사용자의 인쇄 명령에 따라 인쇄 동작을 시작한다.
사용자가 빈 카세트를 장착하거나 인쇄 과정에서 용지가 모두 소모되어 도 7과 같이 카세트(100)에 용지가 적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인쇄매체 접촉부(212a)의 선단에 형성된 접촉돌기(212b)가 적재판(120)의 작동공(240)에 삽입된다. 그러면 제1작동아암(212)과 제1센싱아암(213)은 자중에 의해 아래로 회동하고, 이에 따라 제1센싱아암(213)이 센서(230)의 감지부(231)를 가리게 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부는 현 상태가 인쇄를 정상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라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카세트 고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 다. 도 9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카세트(100)가 본체(10)에 장착되었을 때 카세트(100)의 유동을 방지하는 카세트 고정장치(80)를 구비할 수 있다.
카세트 고정장치(80)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부재(81)와, 카세트본체(110)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8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부재(81)는 고정돌기(83)를 수용하는 고정홈(82)을 가지는데, 고정홈(82)의 입구(82a)는 고정돌기(8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9와 같이 고정돌기(83)가 고정홈(82)의 입구(82a)에 닿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카세트(100)를 소정 거리(D) 더 밀어 넣으면, 고정부재(81)의 입구를 형성하는 부분(81a)(81b)이 상하로 탄성 변형되면서 고정돌기(83)가 고정홈(82) 내로 진입하여 고정된다.
이와 같이 카세트(100)가 본체(10)에 완전히 장착되려면 도 9와 같은 상태에서 카세트(100)를 더 밀어 넣어야 하지만, 사용자는 종종 도 9와 같은 상태를 카세트(100)가 본체(10)에 완전히 장착된 상태로 착각하여 카세트(100)를 끝까지 밀어 넣지 않는 실수를 범하기도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감지유닛(200)을 이용하면 위와 같이 카세트(100)가 그 장착 완료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D)만큼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도 카세트(100)가 정상적으로 장착되지 않았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서 카세트가 그 장착 완료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D)만큼 이격되어 있을 때의 감지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0과 같이, 적재판(120)에 적재된 용지(P)의 양이 제1기준치(S1) 이하인 경우(예를 들면, 5매 이하인 경우)에는 제1작동아암(212)이 용지(P)와 접촉하여 회동하는 정도가 작게 된다. 따라서 제1센싱아암(213)이 제1작동아암(212)과 함 께 위로 회동하더라도 제1센싱아암(213)은 센서(230)의 감지부(231)를 벗어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센서(230)에서 제1센싱아암(213)이 센싱되고,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부는 현 상태가 인쇄를 정상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라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또 도 11과 같이, 적재판(120)에 적재된 용지(P)의 양이 제1기준치(S1) 초과, 제2기준치(S2) 미만인 경우(예를 들면, 6매~29매인 경우)에는 제1작동아암(212)이 용지(P)와 접촉하여 회동하는 정도가 도 10의 경우보다 좀 더 크게 된다. 그러면 제1센싱아암(213)이 센서(230)의 감지부(231)를 일부분만을 커버하고, 제1센싱아암(213)과 연동하여 상승하는 제2센싱아암(223)이 감지부(231)의 나머지 일부분을 커버한다. 즉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1센싱아암(213)과 제2센싱아암(223)이 센서(230)에 의해 동시에 센싱되고,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부는 현 상태가 인쇄를 정상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라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또한 도 12와 같이, 적재판(120)에 적재된 용지(P)의 양이 제2기준치(S2) 이상인 경우(예를 들면, 30매 이상인 경우)에는 제1작동아암(212)이 용지(P)와 접촉하여 위로 회동함에 따라 제1센싱아암(213)이 센서(230)의 감지부(231)를 완전히 벗어나게 된다. 그러면 제1센싱아암(213)에 의해 제한을 받지 않게 된 제2센싱아암(223)이 위로 회동하여 센서(230)의 감지부(231)를 가리게 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부는 현 상태가 인쇄를 정상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라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도 1a 내지 도 1c는 용지감지장치를 가지는 종래의 급지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카세트와 감지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감지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1센싱아암과 제2센싱아암이 센서의 감지부에 동시에 위치될 때 제1센싱아암과 제2센싱아암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카세트 고정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서 카세트가 그 장착 완료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D)만큼 이격되어 있을 때의 감지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본체 20 : 급지장치
100 : 카세트 120 : 적재판
200 : 감지유닛 210 : 제1액추에이터
212 : 제1작동아암 212b : 인쇄매체 접촉부
213 : 제1센싱아암 220 : 제2액추에이터
222 : 제2작동아암 223 : 제2센싱아암
230 : 센서 231 : 감지부
240 : 작동공

Claims (27)

  1. 화상형성부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카세트;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카세트의 장착 여부 및 상기 카세트의 인쇄매체 적재 여부를 함께 감지하는 감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감지유닛은 제1이상상태와 제2이상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발생을 감지하도록 배열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상상태는 상기 카세트가 상기 본체에 적절히 장착되지 않은 것이고, 상기 제2이상상태는 상기 카세트 내에 인쇄매체가 없는 것이며,
    상기 센서는 상기 제1이상상태와 제2이상상태가 모두 존재하지 않는 조건 하에서 정상동작상태의 표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카세트의 인쇄매체 적재 여부를 감지하는 제1액추에이터;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카세트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제2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제1 및 제2액추에이터의 동작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액추에이터는 상기 카세트에 적재된 인쇄매체를 향해 연장되는 제1작동아암과, 상기 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제1센싱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액추에이터는 상기 카세트에 간섭될 수 있는 위치로 연장되는 제2작동아암과, 상기 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제2센싱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액추에이터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제1센싱아암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센서의 감지부에서 센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액추에이터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제2센싱아암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센서의 감지부에서 센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싱아암과 상기 제2센싱아암이 모두 상기 센서의 감지부를 벗어난 경우에만 인쇄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의 장착 시에 상기 제2작동아암이 상기 카세트와 간섭함에 따라 상기 제2액추에이터는 회동하고, 상기 제2센싱아암은 상기 센서의 감지부를 벗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싱아암은 상기 제2센싱아암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액추에이터가 상기 제1액추에이터의 움직임에 연동하도록 상기 제1센싱아암과 제2센싱아암은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싱아암과 제2센싱아암이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센싱아암이 상기 제2센싱아암을 가압하는 힘은 상기 제2센싱아암이 상기 제1센싱아암을 가압하는 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액추에이터와 제2액추에이터의 상대 위치에 따라 상기 제1센싱아암과 제2센싱아암은 상기 센서의 감지부에서 동시에 센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아암은 상기 카세트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인쇄매체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는 작동공을 가지는 적재판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매체 접촉부는 상기 적재판을 향해 돌출되는 접촉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가 상기 본체로부터 소정 거리(D)만큼 이격되어 있을 때, 상기 제1센싱아암과 제2센싱아암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아암은 상기 카세트에 적재된 인쇄매체와 접촉하고,
    상기 제1센싱아암과 제2센싱아암 중 어느 센싱아암이 상기 센서에 의해 센싱되는지는 상기 카세트에 적재된 인쇄매체의 양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에 적재된 인쇄매체의 양이 기준치(S1) 이하인 경우, 상기 제1센싱아암이 상기 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에 적재된 인쇄매체의 양이 기준치(S2) 이상인 경우, 상기 제2센싱아암이 상기 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에 적재된 인쇄매체의 양이 제1기준치보다 크고 제2기준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센싱아암과 제2센싱아암이 모두 상기 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의 전면은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삭제
  22. 인쇄매체를 수용하는 카세트;와
    감지부를 가지는 센서;와
    상기 감지부 내에 놓이는 제1위치와 상기 감지부에서 벗어난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제1센싱아암과, 상기 카세트에 수용된 인쇄매체와 접촉하는 제1작동아암을 가지는 제1액추에이터;와
    상기 감지부 내에 놓이는 제1위치와 상기 감지부에서 벗어난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제2센싱아암과, 상기 카세트에 간섭되는 제2작동아암을 가지는 제2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액추에이터와 제2액추에이터는 서로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액추에이터와 제2액추에이터의 상대 위치에 따라 상기 제1센싱아암과 제2센싱아암은 선택적으로 상기 감지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액추에이터와 제2액추에이터의 상대 위치에 따라 상기 제1센싱아암과 제2센싱아암은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에 동시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26. 그 내부에 인쇄매체를 보관하는 카세트가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카세트 수용부를 가지는 본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내의 인쇄매체의 존재와 관련하여 움직이도록 구성되는 제1액추에이터;와
    상기 본체 내의 상기 카세트의 위치와 관련하여 움직이도록 구성되는 제2액추에이터;와
    상기 제1액추에이터와 상기 제2액추에이터의 동작 상태를 센싱하도록 배열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제1이상상태와 제2이상상태가 모두 존재하지 않는 조건 하에서 정상동작상태의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이상상태는 상기 카세트가 상기 본체 내에 적절히 장착되지 않은 것이고, 상기 제2이상상태는 인쇄매체가 상기 카세트 내에 없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액추에이터는 제1회동축과, 상기 제1회동축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카세트 수용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1작동아암과, 상기 일단의 반대편인 상기 제1회동축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센서를 향해 연장되는 제1센싱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1작동아암은 상기 카세트 내에 보관된 인쇄매체의 양과 관련하여 상기 인쇄매체에 접촉, 이동하도록 배열되어 상기 제1회동축이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센싱아암이 상기 센서의 감지영역 내외로 이동하도록 하며,
    상기 제2액추에이터는 제2회동축과, 상기 제2회동축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본체 내에서 상기 카세트에 간섭될 수 있는 위치로 연장되는 제2작동아암과, 상기 일단의 반대편인 상기 제2회동축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센서를 향해 연장되는 제2센싱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2작동아암은 상기 본체 내의 상기 카세트의 위치와 관련하여 상기 카세트의 적어도 일부분에 간섭하여 움직이도록 배열되어 상기 제2회동축이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센싱아암이 상기 센서의 감지영역 내외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KR1020070118665A 2007-11-20 2007-11-20 화상형성장치와 그 급지장치 KR101185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665A KR101185559B1 (ko) 2007-11-20 2007-11-20 화상형성장치와 그 급지장치
US12/142,170 US8070153B2 (en) 2007-11-20 2008-06-19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assette and paper sensing device
JP2008198638A JP5366183B2 (ja) 2007-11-20 2008-07-31 画像形成装置及び印刷媒体供給ユニッ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665A KR101185559B1 (ko) 2007-11-20 2007-11-20 화상형성장치와 그 급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2116A KR20090052116A (ko) 2009-05-25
KR101185559B1 true KR101185559B1 (ko) 2012-09-24

Family

ID=40642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8665A KR101185559B1 (ko) 2007-11-20 2007-11-20 화상형성장치와 그 급지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070153B2 (ko)
JP (1) JP5366183B2 (ko)
KR (1) KR1011855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70883B2 (ja) * 2007-08-31 2013-08-2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給紙装置
US7984901B2 (en) * 2008-08-19 2011-07-26 Kabushiki Kaisha Toshiba Paper feeding cassette
KR20100041292A (ko) * 2008-10-14 2010-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2011057432A (ja) * 2009-09-14 2011-03-24 Brother Industries Ltd シート送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553383B2 (ja) * 2010-04-02 2014-07-16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紙葉類処理装置
TWI517980B (zh) * 2011-12-13 2016-01-21 金寶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事務機
JP5723860B2 (ja) * 2012-11-30 2015-05-2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4231419A (ja) * 2013-05-29 2014-12-11 株式会社沖データ 媒体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972254B2 (ja) * 2013-12-27 2016-08-1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093690B2 (ja) * 2013-12-27 2017-03-08 株式会社沖データ 媒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365844B2 (ja) * 2015-07-31 2018-08-0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700722B2 (ja) * 2015-11-04 2020-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検知装置、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658623B2 (ja) * 2017-03-06 2020-03-0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1966365B1 (ko) * 2017-08-07 2019-04-05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정위치 센싱장치 및 스위치 브라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2389B1 (ko) 2000-12-29 2002-1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상형성기의 용지 픽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0907Y2 (ko) * 1974-10-30 1980-07-23
JPS522315A (en) * 1975-06-24 1977-01-10 Ricoh Co Ltd Mode changing method and unit for facsimile telegraphy
DE3105754C2 (de) * 1980-02-18 1984-10-11 Tokyo Shibaura Denki K.K., Kawasaki, Kanagawa Papierzufuhrvorrichtung für ein Kopiergerät
JPS62181543U (ko) * 1986-05-08 1987-11-18
JPH0338186Y2 (ko) * 1986-12-24 1991-08-13
JPH0419535U (ko) * 1990-06-05 1992-02-19
JPH0826527A (ja) * 1994-07-21 1996-01-3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の用紙及びカセット検知装置
US6152631A (en) * 1996-05-18 2000-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tomatic paper sensing technique for an ink jet printer
KR100205595B1 (ko) * 1997-04-24 1999-07-01 윤종용 급지카세트의 용지유무 감지장치
US6292636B1 (en) * 2000-05-18 2001-09-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per detecting apparatus of electrophotographic processor
JP2002326727A (ja) * 2001-04-27 2002-11-1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3212388A (ja) * 2002-01-29 2003-07-30 Funai Electric Co Ltd 給紙装置
JP2003226444A (ja) 2002-02-06 2003-08-12 Funai Electric Co Ltd 印字装置
JP5228745B2 (ja) * 2008-09-25 2013-07-0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用紙残量検出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20100041292A (ko) * 2008-10-14 2010-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2389B1 (ko) 2000-12-29 2002-1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상형성기의 용지 픽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2116A (ko) 2009-05-25
JP2009126713A (ja) 2009-06-11
JP5366183B2 (ja) 2013-12-11
US20090129790A1 (en) 2009-05-21
US8070153B2 (en) 2011-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5559B1 (ko) 화상형성장치와 그 급지장치
US804280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401426B2 (en)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12844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paper presence and paper width sensor
KR101330736B1 (ko) 화상형성장치
US1181582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7095221B2 (ja) 搬送装置、媒体排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980549B2 (en) Document feeder and image forming device
US8608153B2 (en) Printing media loading apparatus usable with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308799A (ja) 画像形成装置
US20060228152A1 (en) Paper detec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107874B2 (en) Printing medium guide device including rollers
JP4466440B2 (ja) 給紙装置
KR100452552B1 (ko) 화상형성기의 현상카트리지 인식장치
JP6635977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80044208A1 (en) Image forming device
JP7447058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476974B1 (ko)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배지커버 열림감지장치
JP3338166B2 (ja) 画像形成装置
JP3365666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283766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용지 감지장치
JP2007126285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