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0310B1 - 우수 여과와 도시 물순환 회복을 위한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 - Google Patents

우수 여과와 도시 물순환 회복을 위한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0310B1
KR101180310B1 KR1020120018790A KR20120018790A KR101180310B1 KR 101180310 B1 KR101180310 B1 KR 101180310B1 KR 1020120018790 A KR1020120018790 A KR 1020120018790A KR 20120018790 A KR20120018790 A KR 20120018790A KR 101180310 B1 KR101180310 B1 KR 101180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tree
layer
rain water
fil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호
정인미
정광식
송시범
Original Assignee
(주)블루이앤이
주식회사 한국종합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이앤이, 주식회사 한국종합환경 filed Critical (주)블루이앤이
Priority to KR1020120018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03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 여과와 도시 물순환 회복을 위한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을 개시한다. 개시된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은, 나무를 식생 가능하도록 상기 나무의 뿌리 부분을 둘러싸는 식생토양과; 상기 식생토양으로 유입되는 우수에서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층과; 상기 여과층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우수에서 조대오염물을 여과하는 스크린 바스켓과; 상기 식생토양, 상기 여과층 및 상기 스크린 바스켓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스크린 바스켓을 향해 상기 우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우수 유입구와 상기 식생토양, 상기 여과층 및 상기 스크린 바스켓을 통과하여 오염물질이 제거되어 정화된 우수가 배출되는 우수 배출구가 형성된 나무 화분과; 상기 나무 화분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층에 의해 여과된 상기 우수가 유입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형성된 우수 유입홀을 가지며 상기 유입된 우수를 도로 우수관으로 배수하는 유공관과; 상단부가 상기 여과층 외부로 돌출되고 하단부가 상기 유공관에 연결되도록 상기 나무 화분 내부에 기립 배치되어 상기 여과층을 통해 여과되는 양보다 더 많은 우수가 상기 나무 화분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우수 중 일부를 상기 상단부를 통해 상기 유공관으로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바이패스관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조대오염물이 상기 바이패스관으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린망을 포함하며, 상기 나무 화분의 우수 유입구에 상기 스크린 바스켓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된 걸림판과 상기 걸림판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무 화분의 내벽면에 고정된 걸림턱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바스켓은, 상기 조대오염물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홀과 상기 여과홀에 의해 걸러진 상기 조대오염물을 저장하기 위한 조대오염물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바스켓 몸체와; 상기 스크린 바스켓을 상기 나무 화분에 탈착 및 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스켓 몸체에 결합된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유공관으로 유입된 상기 우수를 저장하여 저장된 우수의 일부는 토양층으로 침투시키고, 저장된 우수의 다른 일부를 도로 우수관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침투저류조와; 상기 침투저류조와 상기 유공관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우수 여과와 도시 물순환 회복을 위한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 {TREE BOX FILTER SYSTEM FOR RAIN WATER FILTER AND RESTORATION OF URBAN WATER CYCLE}
본 발명은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 내에 존재하는 비점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시화, 산업화로 인해 도시지역에서는 불투수층으로 된 도로들을 많이 볼 수 있다. 이러한 불투수층 도로들로 인해 각종 오염물들이 도로에 축적이 되고 이러한 오염물들은 강우 시 비점오염물이 되어 하천으로 유출되어 하천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강우 초기에는 비점오염물의 농도가 높아 중앙집중식 처리를 하였을 경우, 비점오염물이 전부 여과되지 못한 채로 하천으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 알려진 비점오염물 여과 시스템들은 비점오염물을 여과하는데 한계가 있어 우수에 존재하는 조대오염물과 미세오염물에 의해 여과층이 막힐 염려가 있다. 상기 여과층이 막히게 되면 상기 우수가 더 이상 여과시스템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고 여과시스템이 설치된 도로 위로 흘러 넘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강우 시 조대오염물과 미세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여과하는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로변에 나무가 식생 가능하면서 우수도 여과할 수 있는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에 있어서, 나무를 식생 가능하도록 상기 나무의 뿌리 부분을 둘러싸는 식생토양과; 상기 식생토양으로 유입되는 우수에서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층과; 상기 여과층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우수에서 조대오염물을 여과하는 스크린 바스켓과; 상기 식생토양, 상기 여과층 및 상기 스크린 바스켓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스크린 바스켓을 향해 상기 우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우수 유입구와 상기 식생토양, 상기 여과층 및 상기 스크린 바스켓을 통과하여 오염물질이 제거되어 정화된 우수가 배출되는 우수 배출구가 형성된 나무 화분과; 상기 나무 화분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층에 의해 여과된 상기 우수가 유입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형성된 우수 유입홀을 가지며 상기 유입된 우수를 도로 우수관으로 배수하는 유공관과; 상단부가 상기 여과층 외부로 돌출되고 하단부가 상기 유공관에 연결되도록 상기 나무 화분 내부에 기립 배치되어 상기 여과층을 통해 여과되는 양보다 더 많은 우수가 상기 나무 화분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우수 중 일부를 상기 상단부를 통해 상기 유공관으로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바이패스관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조대오염물이 상기 바이패스관으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린망을 포함하며, 상기 나무 화분의 우수 유입구에 상기 스크린 바스켓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된 걸림판과 상기 걸림판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무 화분의 내벽면에 고정된 걸림턱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바스켓은, 상기 조대오염물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홀과 상기 여과홀에 의해 걸러진 상기 조대오염물을 저장하기 위한 조대오염물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바스켓 몸체와; 상기 스크린 바스켓을 상기 나무 화분에 탈착 및 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스켓 몸체에 결합된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유공관으로 유입된 상기 우수를 저장하여 저장된 우수의 일부는 토양층으로 침투시키고, 저장된 우수의 다른 일부를 도로 우수관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침투저류조와; 상기 침투저류조와 상기 유공관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나무 화분의 최상부에는 상기 식생토양에 식생되는 상기 나무를 지지하며 또한 유지관리를 위한 수목보호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여과층은, 상기 나무 화분의 우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우수에 포함된 미세 오염물을 여과하기 위한 제1 섬유 격자망과; 상기 제1섬유 격자망을 통과한 상기 우수를 여과하기 위해 상기 식생토양 주변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모래층과; 상기 모래층을 통과한 우수를 상기 유공관을 통해 배출하기 위한 자갈층과; 상기 모래층과 상기 자갈층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모래층을 통과한 우수를 여과하여 여과된 우수가 상기 자갈층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2섬유 격자망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스크린 바스켓을 설치하여 우수에 존재하는 조대오염물을 걸러내어 여과층 위에 조대오염물이 쌓이지 않게 함으로써 여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크린 바스켓은 주기적으로 청소할 수 있으므로 조대오염물이 쌓여 우수 유입구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우수의 유입이 많을 경우 바이패스관을 이용하여 우수를 빠르게 처리하여 우수가 도로변으로 넘치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셋째, 침투저류조를 설치하여 우수의 저장과 배출, 침투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도시 물순환을 회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의 종단면도,
도 2(a)는, 도 1의 스크린 바스켓의 평면도,
도 2(b)는, 도 1의 스크린 바스켓의 확대단면도,
도 3은, 도1의 유공관의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의 침투저류조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각 실시예 별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여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은, 도 1, 도2,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토양(100), 여과층(200), 스크린 바스켓(300), 나무 화분(400), 유공관(500), 바이패스관(600), 수목보호틀(700)을 포함한다.
상기 식생토양(100)은 나무를 식생 가능하도록 나무(10)의 뿌리 부분을 둘러싸고 있다.
상기 여과층(200)은 상기 식생토양(100)으로 유입되는 우수의 오염물질을 여과한다.
상기 여과층(200)은 상기 식생토양(100)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여과층(200)은 상기 식생토양(100)을 대략 중앙부분에 두고 그 주위를 상하 좌우로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후술할 우수 유입구(420)를 통해 상기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 내부로 유입된 우수가 상기 식생토양(100)으로 바로 전달되지 않고 상기 스크린 바스켓(300)과 상기 여과층(200)을 통과하여 조대오염물 및 미세오염물이 제거된 상대적으로 깨끗한 우수가 상기 식생토양(1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식생토양(100)에 심겨진 상기 나무(10)가 양호하게 식생될 수 있다.
상기 여과층(200)은, 제1섬유 격자망(220), 모래층(240), 자갈층(260) 및 제2섬유 격자망(28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섬유 격자망(220)은 상기 여과층(200)의 최상부에 있으며 유입된 상기 우수에 포함된 미세오염물을 여과한다.
상기 제1섬유 격자망(220)은 그 재질이 야자 섬유(coir fiber), 활성탄소 섬유(activated carbon fiber), 폴리에틸렌 섬유(polyethylene fiber), 볏짚 거적 중 하나로 마련되거나 열거된 구성 중 둘 이상이 서로 교차 적층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교차 적층 구조의 경우, 적층되는 섬유등의 격자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상기 제1 섬유 격자망(220)의 격자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모래층(240)과 상기 자갈층(260)은 상기 제1섬유 격자망(220)의 하부에 존재한다.
상기 모래층(240)과 상기 자갈층(260)은 각각 별도의 층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모래층(240)과 상기 자갈층(260)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 층 배치가 달라질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모래층(240)과 상기 자갈층(260)은 각각 별도의 층으로 구분되지 않고 서로 섞여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제2섬유 격자망(280)은 상기 여과층(200) 중 상기 모래층(240) 및 상기 자갈층(260)이 섞이지 않게 상기 모래층(240)과 상기 자갈층(260) 사이에 존재한다.
상기 제2섬유 격자망(280)은 그 재질이 상기 제1섬유 격자망(220), 부직포, 지오그리드(geogrid), 스크린망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바스켓(300)은 상기 여과층(2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우수에 존재하는 조대오염물을 여과한다. 이에 의해, 유입된 우수에 포함된 조대오염물은 상기 스크린 바스켓(300)에 의해 걸러지고, 걸러진 우수가 상기 여과층(2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바스켓(300)은 상기 나무 화분(400)에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도록 나무 화분(400)에 연결된다.
상기 스크린 바스켓(300)은 여과홀(320), 바스켓 몸체(340), 손잡이(360)을 포함한다.
상기 스크린 바스켓(300)을 상기 나무 화분(400)에 연결하기 위해 걸림판(380)과 상기 걸림판(380)을 상기 나무 화분(400)의 내벽면(480)에 고정하기 위한 걸림턱(460)을 포함한다.
상기 우수 유입구(420)를 통해 우수가 상기 나무 화분(400) 내부의 상기 스크린 바스켓(300)으로 유입될 때 우수의 유입속도에 의해 상기 스크린 바스켓(300)이 흔들리거나 상기 걸림판(380)으로부터 탈착되지 않도록 상기 스크린 바스켓(300)과 상기 걸림판(380)은 별도의 고정장치(미도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 몸체(340)는 상기 여과홀(320)에 의해 걸러진 상기 조대오염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스켓 몸체(340)는 상기 여과층(200) 방향으로 함몰된 바스켓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는 일례에 불과하고 상기 조대오염물을 걸러 저장할 수 있는 형상이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 몸체(34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여과홀(320)은 상기 스크린 바스켓(300)에 형성되어 유입된 상기 우수를 통과시킨다.
상기 여과홀(320)은 상기 우수에 포함된 조대오염물을 걸러낼 수 있도록 상기 조대오염물의 평균 직경보다는 작은 사이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여과홀(320)은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여과홀(320)은 상기 스크린 바스켓(300)의 전면(全面)을 따라서 대체로 골고루 분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360)는 상기 손잡이(360)의 일측 단부는 상기 바스켓 몸체(340)의 내부에 결합되며 타측 단부는 파지 가능하도록 상방향으로 노출된다. 상기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을 관리/정비하는 사람이 상기 손잡이(360)를 잡고 상기 바스켓 몸체(340)에 저장되어있는 저장된 상기 조대오염물을 상기 바스켓 몸체(34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걸림턱(460)은 상기 바스켓 몸체(340)가 후술할 걸림판(380)에 지지되도록 상기 바스켓 몸체(340)로부터 상기 걸림판(380)에 연결되어 상기 나무 화분(400)의 내벽면(480)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걸림판(380)은 상기 바스켓 몸체(340)를 상기 나무 화분(400)의 후술할 내벽면(480)으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상기 나무 화분(400)의 상기 내벽면(480)으로부터 상기 바스켓 몸체(340)가 이격됨으로써 그 사이의 공간을 통해 조대오염물이 걸러진 우수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나무 화분(400)는 상기 식생토양(100), 상기 여과층(300) 및 상기 스크린 바스켓(300)을 수용하며 외관을 형성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나무 화분(400)는 콘크리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FRP(fiber reinforced plastic)의 단일 혹은 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나무 화분(400)는 상기 우수 유입구(420), 우수 유출구(440), 상기 걸림판(380), 상기 걸림턱 (460), 상기 내벽면(480)을 포함한다.
강우 시 도로(50)에 흘러 내리는 우수는 상기 우수 유입구(420)를 통해 상기 나무 화분(400) 내부로 유입 된다.
상기 우수 유입구(420)를 통해 유입된 우수는, 상기 나무 화분(400) 내에 수용된 상기 스크린 바스켓(300) 및 상기 여과층(200)을 통과하여 오염물질이 제거된다.
오염물질이 제거된 상태의 정화된 우수는 상기 우수 유출구(440)를 통해 도로 우수관(30)으로 배출된다.
상기 걸림턱(460)은 상기 걸림판(380)을 지지 가능하도록 상기 나무 화분(400) 내부에 설치 되어있다.
상기 걸림판(380)은 상기 스크린 바스켓(300)과 상기 나무 화분(400)의 상기 내벽면(480)간에 상기 우수가 배출될 수 있을 만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우수 유입구(420)로부터 상기 스크린 바스켓(300)을 향해 연장된다.
상기 걸림턱(460)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무 화분(400)의 상기 내벽면(48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공관(500)은 상기 나무 화분(400)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유공관(500)은 상기 우수의 유입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형성된 우수 유입홀(520)을 포함한다.
상기 유공관(500)은 여과된 상기 우수가 상기 우수 유출구(440)를 통해 원활히 배출되도록 상기 우수 유출구(400)와 연통하는 수로를 형성한다.
상기 바이패스관(600)은 상단부가 상기 여과층(200)의 최상부 보다 높게 돌출되어 있고 그 하단부가 상기 유공관(500)에 연결되도록 상기 나무 화분(400) 내부에 기립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바이패스관(600)은 상기 여과층(200)에 의해 여과되는 속도보다 더 많은 우수가 상기 우수 유입구(420)를 통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우수 중 일부를 상기 바이패스관(600)을 통해 상기 유공관(500)으로 바이패스 시킨다.
상기 바이패스관(600)은 상기 바이패스관(600)으로 상기 조대오염물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바이패스관(600)의 상단부에 설치된 스크린망(620)을 포함한다.
상기 수목보호틀(700)은 상기 나무 화분(400)의 최상부에 있으며 상기 식생토양(100)에 식생되는 상기 나무(10)를 지지한다.
상기 수목보호틀(700)은 상기 나무 화분(400) 내부의 상기 스크린 바스켓(300), 상기 여과층(200), 상기 나무(10), 상기 바이패스관(600), 상기 스크린망(620), 상기 유공관(500)의 효과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수목보호틀(700)은 상기 나부 화분(400) 내부에 배치된 상술한 구성요소들을 관리/정비하기 위해 장착 및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에 의할 경우, 상기 나무(10) 식생에 필요한 물을 정화하여 깨끗한 물을 상기 나무(10)에 공급해 줄 뿐만 아니라, 상기 우수에 포함된 질소, 인 성분을 상기 나무(10)에 의해 일부 제거할 수 있고, 강우 시 상기 우수에 포함된 상기 조대오염물 및 상기 미세오염물을 정화하여 도로 우수관(30)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 바스켓(300)을 이용하여 상기 조대오염물을 걸러내어 상기 여과층(200) 위에 상기 조대오염물이 쌓이지 않게 함으로써 여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토양(100), 여과층(200), 스크린 바스켓(300), 나무 화분(400), 유공관(500), 바이패스관(600), 수목보호틀(700), 제1 침투공(800)을 포함한다. 본 제2실시예의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은 제1실시예의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과 비교하여 상기 제1 침투공(800)을 더 포함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차이점에 의해서 본 제2실시예는 여과된 우수가 토양으로 침투하는 효과를 더 가질 수 있다.
상기 여과층(200)은, 제1섬유 격자망(220), 모래층(240), 자갈층(260), 제2섬유 격자망(280)을 포함한다.
상기 스크린 바스켓(300)은 여과홀(320), 바스켓 몸체(340), 손잡이(360)를 포함한다.
상기 나무 화분(400)는 우수 유입구(420), 우수 유출구(440), 걸림턱 (460), 걸림판(380), 내벽면(480)을 포함한다.
상기 유공관(500)은 우수 유입홀(520)을 포함한다.
상기 바이패스관(600)은 스크린망(6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침투공(800)은 상기 유공관(500) 및 상기 자갈층(260) 하부에 상기 나무 화분(400)에 관통하는 형태로 존재한다.
상기 제1 침투공(800)은 여과된 우수가 토양층으로 침투 가능하게 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자갈층(260)에 의한 상기 제1 침투공(800)의 막힘 현상을 줄이기 위해 상기 자갈층(260)과 상기 제1 침투공(800) 사이에 제2섬유 격자망(2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에 의할 경우, 나무(10) 식생에 필요한 물을 정화하여 깨끗한 물을 상기 나무(10)에 공급해 줄 뿐만 아니라, 강우 시 상기 우수에 포함된 조대오염물 및 미세오염물을 정화하여 도로 우수관(30)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 바스켓(300)을 이용하여 상기 조대오염물을 걸러내어 상기 여과층(200) 위에 상기 조대오염물이 쌓이지 않게 함으로써 여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갈층(260), 유공관(500), 우수 유입홀(520), 침투 저류조(900), 이송관(920), 우수 유출구(940)를 포함한다. 제3실시예의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은 제1실시예의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과 비교하여, 상기 침투 저류조(900)와 상기 이송관(920)을 더 포함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에 의해, 우수를 침투저류조(900)에 저장하여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침투 저류조(900)는 상기 우수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침투 저류조(900)에 저장된 상기 우수는 토양에 침투되거나, 펌프나 호스를 이용하여 상기 우수의 재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침투 저류조(900)는 이송관(920)과 우수 유출구(940), 제2 침투공(820) 을 포함한다.
상기 유공관(500)으로 들어온 상기 우수는 상기 이송관(920)을 통해 상기 침투 저류조(900)로 배출된다.
상기 침투 저류조(900)로 들어온 상기 우수 일부는 상기 침투 저류조(900)의 바닥을 관통하는 형태로 존재하는 상기 제2 침투공(820) 에 의해 토양층으로 침투되고, 상기 우수의 또 다른 일부는 상기 우수 유출구(940)를 통해 도로 우수관(30)으로 배출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에 의할 경우, 기존 조경용으로만 사용되던 나무와 나무가 식재되어 있는 공간을 활용하여 강우 시 우수에 포함된 조대오염물 및 미세오염물을 정화하고, 정화된 우수를 토양층으로 침투시키고, 침투되지 않는 우수는 도로 우수관(30)으로 배출함으로써 하천 건천화, 도시 침수, 도시 비점오염물 처리, 지하수위 확보 등 다양한 효과를 통해 도시 물순환 회복을 가능케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 바스켓(300)을 이용하여 상기 조대오염물을 걸러내어 상기 여과층(200) 위에 상기 조대오염물이 쌓이지 않게 함으로써 여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 나무 30: 도로 우수관
50: 도로 70: 유입된 우수
100: 식생토양 200: 여과층
220: 제1섬유 격자망 240: 모래층
260: 자갈층 280: 제2섬유 격자망
300: 스크린 바스켓 320: 여과홀
340: 바스켓 몸체 360: 손잡이
380: 걸림판 400: 나무 화분
420: 우수 유입구 440, 940: 우수 유출구
460: 걸림턱 480: 내벽면
500: 유공관 520: 우수 유입홀
600: 바이패스관 620: 스크린망
700: 수목보호틀 800: 제1 침투공
820: 제2 침투공 900: 침투 저류조
920: 이송관

Claims (5)

  1.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에 있어서,
    나무를 식생 가능하도록 상기 나무의 뿌리 부분을 둘러싸는 식생토양과;
    상기 식생토양으로 유입되는 우수에서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층과;
    상기 여과층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우수에서 조대오염물을 여과하는 스크린 바스켓과;
    상기 식생토양, 상기 여과층 및 상기 스크린 바스켓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스크린 바스켓을 향해 상기 우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우수 유입구와 상기 식생토양, 상기 여과층 및 상기 스크린 바스켓을 통과하여 오염물질이 제거되어 정화된 우수가 배출되는 우수 배출구가 형성된 나무 화분과;
    상기 나무 화분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층에 의해 여과된 상기 우수가 유입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형성된 우수 유입홀을 가지며 상기 유입된 우수를 도로 우수관으로 배수하는 유공관과;
    상단부가 상기 여과층 외부로 돌출되고 하단부가 상기 유공관에 연결되도록 상기 나무 화분 내부에 기립 배치되어 상기 여과층을 통해 여과되는 양보다 더 많은 우수가 상기 나무 화분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우수 중 일부를 상기 상단부를 통해 상기 유공관으로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바이패스관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조대오염물이 상기 바이패스관으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린망을 포함하며,
    상기 나무 화분의 우수 유입구에 상기 스크린 바스켓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된 걸림판과 상기 걸림판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무 화분의 내벽면에 고정된 걸림턱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바스켓은,
    상기 조대오염물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홀과 상기 여과홀에 의해 걸러진 상기 조대오염물을 저장하기 위한 조대오염물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바스켓 몸체와;
    상기 스크린 바스켓을 상기 나무 화분에 탈착 및 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스켓 몸체에 결합된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유공관으로 유입된 상기 우수를 저장하여 저장된 우수의 일부는 토양층으로 침투시키고, 저장된 우수의 다른 일부를 도로 우수관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침투저류조와;
    상기 침투저류조와 상기 유공관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무 화분의 최상부에는 상기 식생토양에 식생되는 상기 나무를 지지하며 또한 유지관리를 위한 수목보호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층은,
    상기 나무 화분의 우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우수에 포함된 미세 오염물을 여과하기 위한 제1 섬유 격자망과;
    상기 제1섬유 격자망을 통과한 상기 우수를 여과하기 위해 상기 식생토양 주변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모래층과;
    상기 모래층을 통과한 우수를 상기 유공관을 통해 배출하기 위한 자갈층과;
    상기 모래층과 상기 자갈층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모래층을 통과한 우수를 여과하여 여과된 우수가 상기 자갈층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2섬유 격자망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
  5. 삭제
KR1020120018790A 2012-02-24 2012-02-24 우수 여과와 도시 물순환 회복을 위한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 KR101180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790A KR101180310B1 (ko) 2012-02-24 2012-02-24 우수 여과와 도시 물순환 회복을 위한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790A KR101180310B1 (ko) 2012-02-24 2012-02-24 우수 여과와 도시 물순환 회복을 위한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0310B1 true KR101180310B1 (ko) 2012-09-07

Family

ID=47073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790A KR101180310B1 (ko) 2012-02-24 2012-02-24 우수 여과와 도시 물순환 회복을 위한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0310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672B1 (ko) 2011-11-03 2014-02-25 (주)고려환경 자연순환형 나무화분 여과시스템
KR101497967B1 (ko) * 2013-04-17 2015-03-03 주식회사현우그린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에 설치되는 지주목 구조물
KR101532425B1 (ko) * 2014-08-04 2015-06-29 한국그린자원(주) 환경정화수를 이용한 수질정화시스템
KR20150108438A (ko) * 2014-03-17 2015-09-30 주식회사현우그린 저영향개발 방식의 분리형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의 교환용 필터
KR20150108434A (ko) * 2014-03-17 2015-09-30 주식회사현우그린 저영향개발 방식의 분리형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
CN105794523A (zh) * 2016-04-11 2016-07-27 重庆大学 一种具有雨水渗蓄净化功能的树池装置
KR101650347B1 (ko) * 2016-02-03 2016-08-23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가로수 보호가능한 저영향개발을 위한 우수 침투용모듈
CN107254820A (zh) * 2017-06-15 2017-10-17 埃瑞弗(上海)规划设计工程咨询股份有限公司 一种生态可持续透水树池
CN110468947A (zh) * 2019-08-28 2019-11-19 星景生态环保科技(苏州)有限公司 生态树池
CN111587067A (zh) * 2017-09-04 2020-08-25 树管公司 用于树木生长管理的***和方法
CN112219593A (zh) * 2020-09-30 2021-01-15 华北理工大学 具有湿度显示功能的花盆
CN112343155A (zh) * 2020-10-30 2021-02-09 怀化市长兴园林绿化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城市风景园林路面施工结构
KR102646864B1 (ko) * 2023-09-13 2024-03-12 주식회사 가랑비 개량된 저수구조를 갖는 식물 재배화분 시공체의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944B1 (ko) * 2007-08-14 2008-04-28 (주)엔포텍 초기 우수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944B1 (ko) * 2007-08-14 2008-04-28 (주)엔포텍 초기 우수 처리장치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672B1 (ko) 2011-11-03 2014-02-25 (주)고려환경 자연순환형 나무화분 여과시스템
KR101497967B1 (ko) * 2013-04-17 2015-03-03 주식회사현우그린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에 설치되는 지주목 구조물
KR101644848B1 (ko) 2014-03-17 2016-08-04 주식회사현우그린 저영향개발 방식의 분리형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
KR20150108438A (ko) * 2014-03-17 2015-09-30 주식회사현우그린 저영향개발 방식의 분리형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의 교환용 필터
KR20150108434A (ko) * 2014-03-17 2015-09-30 주식회사현우그린 저영향개발 방식의 분리형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
KR101595805B1 (ko) 2014-03-17 2016-02-22 주식회사현우그린 저영향개발 방식의 분리형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
KR101532425B1 (ko) * 2014-08-04 2015-06-29 한국그린자원(주) 환경정화수를 이용한 수질정화시스템
KR101650347B1 (ko) * 2016-02-03 2016-08-23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가로수 보호가능한 저영향개발을 위한 우수 침투용모듈
CN105794523A (zh) * 2016-04-11 2016-07-27 重庆大学 一种具有雨水渗蓄净化功能的树池装置
CN107254820A (zh) * 2017-06-15 2017-10-17 埃瑞弗(上海)规划设计工程咨询股份有限公司 一种生态可持续透水树池
CN111587067A (zh) * 2017-09-04 2020-08-25 树管公司 用于树木生长管理的***和方法
CN111587067B (zh) * 2017-09-04 2023-10-27 树管公司 用于树木生长管理的***和方法
CN110468947A (zh) * 2019-08-28 2019-11-19 星景生态环保科技(苏州)有限公司 生态树池
CN112219593A (zh) * 2020-09-30 2021-01-15 华北理工大学 具有湿度显示功能的花盆
CN112343155A (zh) * 2020-10-30 2021-02-09 怀化市长兴园林绿化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城市风景园林路面施工结构
KR102646864B1 (ko) * 2023-09-13 2024-03-12 주식회사 가랑비 개량된 저수구조를 갖는 식물 재배화분 시공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0310B1 (ko) 우수 여과와 도시 물순환 회복을 위한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
KR101287539B1 (ko) 물로부터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KR101323288B1 (ko)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
KR101728208B1 (ko) 빗물 침투에 의한 저류 및 증발로 식생 성장이 가능토록 한 확장형 침투 화분 시설물
JP2006150351A (ja) 湿地型水質浄化処理システム
KR100629151B1 (ko) 초기우수 다중여과시설
KR101577378B1 (ko) 빗물이 순환되는 식생플랜터 시스템
KR20140124555A (ko) 정화 필터가 구비된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
KR20110128474A (ko) 침투수 처리시스템
JP2010275843A (ja) 貯水施設および貯水施設構築方法、貯水施設を用いた給水方法
CN208434404U (zh) 一种海绵城市人行道生态树池
KR20180060097A (ko) 저영향개발 시설의 화분 교체식 식생 구조체
KR100953473B1 (ko) 다양한 입자별 거름기능과 수량조절, 정화 및 투수작용의 착탈식 우수받이 시스템
JP2007063785A (ja) 雨水浸透ます
KR102052679B1 (ko) 우수를 재이용하는 식생구조를 갖는 비점오염원 정수 처리시스템
KR100892834B1 (ko) 다양한 입자별 거름기능과 수량조절, 정화 및 투수작용의 착탈식 침사조 시스템 장치
KR101499172B1 (ko) 빗물 이용 장치
CN213897307U (zh) 一种雨水收集装置
CN109423936A (zh) 透水铺面用管
JP2535340Y2 (ja) 雨水浸透枡用フィルタ
CN107675767A (zh) 一种生物滞留装置
KR101530970B1 (ko) 빗물 재이용 장치
KR101275298B1 (ko) 비점오염원 침투 도랑형 정화장치
KR101885876B1 (ko) 인공식물섬을 이용한 생태수로 공법
KR101753901B1 (ko) 다지여과망을 이용한 여과부 및 이에 사용되는 천공배수파이프와 이를 이용한 여과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