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0310B1 - Tree box filter system for rain water filter and restoration of urban water cycle - Google Patents

Tree box filter system for rain water filter and restoration of urban water cy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0310B1
KR101180310B1 KR1020120018790A KR20120018790A KR101180310B1 KR 101180310 B1 KR101180310 B1 KR 101180310B1 KR 1020120018790 A KR1020120018790 A KR 1020120018790A KR 20120018790 A KR20120018790 A KR 20120018790A KR 101180310 B1 KR101180310 B1 KR 101180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tree
layer
rain water
fil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7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영호
정인미
정광식
송시범
Original Assignee
(주)블루이앤이
주식회사 한국종합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이앤이, 주식회사 한국종합환경 filed Critical (주)블루이앤이
Priority to KR1020120018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031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3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ewage (AREA)

Abstract

PURPOSE: A tree pot filtering system for filtering rain water and restoring the water circulation in the city is provided to effectively filter micro pollutants and coarse pollutants in the rain water. CONSTITUTION: A tree pot filtering system for filtering rain water comprises the following: vegetation soil(100) surrounding roots of a tree; a filtering layer(200) filtering pollutants from the rain water flowing into the vegetation soil; a screen basket(300) filtering coarse pollutants from the rain water; a tree pot(400) including a rain water inlet(420) for flowing the rain water into the screen basket, and a rain water outlet(440)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rain water; a perforated pipe(500) having a rainwater inflow hole(520) discharging the rain water to a road rain water pipe; a bypass pipe(600) bypassing the excessive rain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of the tree pot toward the perforated pipe; a screen net(620) preventing the coarse pollutants from passing through the bypass pipe; a hanging plate supporting the screen basket; a hanging protrusion fix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ree pot; a basket body storing the filtered coarse pollutants; and a permeable reservoir storing the rain water flowing into the perforated pipe.

Description

우수 여과와 도시 물순환 회복을 위한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 {TREE BOX FILTER SYSTEM FOR RAIN WATER FILTER AND RESTORATION OF URBAN WATER CYCLE}TREE BOX FILTER SYSTEM FOR RAIN WATER FILTER AND RESTORATION OF URBAN WATER CYCLE}

본 발명은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 내에 존재하는 비점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ee pot filtr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ee pot filtration system for removing non-point contaminants present in rainwater.

도시화, 산업화로 인해 도시지역에서는 불투수층으로 된 도로들을 많이 볼 수 있다. 이러한 불투수층 도로들로 인해 각종 오염물들이 도로에 축적이 되고 이러한 오염물들은 강우 시 비점오염물이 되어 하천으로 유출되어 하천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강우 초기에는 비점오염물의 농도가 높아 중앙집중식 처리를 하였을 경우, 비점오염물이 전부 여과되지 못한 채로 하천으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Due to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many roads with impermeable layers can be seen in urban areas. Due to these impermeable roads, various contaminants accumulate on the roads, and these contaminants become non-point contaminants during rainfall and flow into rivers to pollute the rivers. In particular, in the early stage of rainfall, when the concentration of non-point contaminants is high, the centralized treatment has a problem in that all of the non-point contaminants flow out into the river without being filtered.

또한, 기존에 알려진 비점오염물 여과 시스템들은 비점오염물을 여과하는데 한계가 있어 우수에 존재하는 조대오염물과 미세오염물에 의해 여과층이 막힐 염려가 있다. 상기 여과층이 막히게 되면 상기 우수가 더 이상 여과시스템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고 여과시스템이 설치된 도로 위로 흘러 넘치게 될 수 있다.In addition, conventionally known non-point contaminant filtration systems have limitations in filtering non-point contaminants, and thus, the filtration layer may be blocked by coarse and fine contaminants present in rainwater. If the filtration layer is blocked, the rainwater may no longer flow into the filtration system and may overflow over the road where the filtration system is install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강우 시 조대오염물과 미세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여과하는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ood pollen filtration system that effectively filters coarse and fine contaminants during rainfal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로변에 나무가 식생 가능하면서 우수도 여과할 수 있는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ee plant filtration system that can filter the rainwater while the trees can be planted on the roadsid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에 있어서, 나무를 식생 가능하도록 상기 나무의 뿌리 부분을 둘러싸는 식생토양과; 상기 식생토양으로 유입되는 우수에서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층과; 상기 여과층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우수에서 조대오염물을 여과하는 스크린 바스켓과; 상기 식생토양, 상기 여과층 및 상기 스크린 바스켓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스크린 바스켓을 향해 상기 우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우수 유입구와 상기 식생토양, 상기 여과층 및 상기 스크린 바스켓을 통과하여 오염물질이 제거되어 정화된 우수가 배출되는 우수 배출구가 형성된 나무 화분과; 상기 나무 화분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층에 의해 여과된 상기 우수가 유입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형성된 우수 유입홀을 가지며 상기 유입된 우수를 도로 우수관으로 배수하는 유공관과; 상단부가 상기 여과층 외부로 돌출되고 하단부가 상기 유공관에 연결되도록 상기 나무 화분 내부에 기립 배치되어 상기 여과층을 통해 여과되는 양보다 더 많은 우수가 상기 나무 화분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우수 중 일부를 상기 상단부를 통해 상기 유공관으로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바이패스관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조대오염물이 상기 바이패스관으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린망을 포함하며, 상기 나무 화분의 우수 유입구에 상기 스크린 바스켓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된 걸림판과 상기 걸림판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무 화분의 내벽면에 고정된 걸림턱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바스켓은, 상기 조대오염물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홀과 상기 여과홀에 의해 걸러진 상기 조대오염물을 저장하기 위한 조대오염물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바스켓 몸체와; 상기 스크린 바스켓을 상기 나무 화분에 탈착 및 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스켓 몸체에 결합된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유공관으로 유입된 상기 우수를 저장하여 저장된 우수의 일부는 토양층으로 침투시키고, 저장된 우수의 다른 일부를 도로 우수관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침투저류조와; 상기 침투저류조와 상기 유공관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lant pot filtration system, vegetation soil surrounding the root portion of the tree so that the vegetation is possible; A filtration layer filtering contaminants from rainwater flowing into the vegetation soil; A screen basket disposed above the filtration layer and filtering coarse contaminants in the rainwater; The vegetation soil, the filtration layer and the screen basket is accommodated therein, contaminants are removed through the rainwater inlet for introducing the rainwater toward the screen basket and the vegetation soil, the filter layer and the screen basket. A tree pot formed with a rainwater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purified rainwater is discharged; A perforated pip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ree planter and having a plurality of rainwater inlet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uch that the rainwater filtered by the filtration layer can flow into the rainwater pipe; If the upper end is protruded outside the filter layer and the lower end is erected inside the tree planter so that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perforated tube and more rainwater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of the tree planter than the amount filtered through the filter layer A bypass tube for bypassing a part of the hole through the upper end; It is installed at the inlet of the bypass pipe and includes a screen net for preventing the coarse contaminants from passing through the bypass pipe, the locking plate and the hook installed to support the screen basket in the rainwater inlet of the tree planter It further comprises a locking jaw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plate fix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ree planter, the screen basket, the filtration hole for filtering the coarse contaminants and coarse contaminants for storing the coarse dirt filtered by the filtration hole A basket body forming a storage space; A handle coupled to the basket body to allow the screen basket to be detachable from and attached to the tree planter, and the rainwater stored in the perforated pipe is stored and the part of the rainwater stored is penetrated into the soil layer, and the other part of the rainwater stored. An infiltration storage tank capable of discharging the water to the road storm pipe; It may be achieved by a tree plant filtration system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transfer pipe connecting the permeate reservoir and the hole pipe.

여기서, 상기 나무 화분의 최상부에는 상기 식생토양에 식생되는 상기 나무를 지지하며 또한 유지관리를 위한 수목보호틀을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top of the tree pots may further include a tree protection frame for supporting and maintaining the tree that is vegetated in the vegetation soil.

삭제delete

또한, 상기 여과층은, 상기 나무 화분의 우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우수에 포함된 미세 오염물을 여과하기 위한 제1 섬유 격자망과; 상기 제1섬유 격자망을 통과한 상기 우수를 여과하기 위해 상기 식생토양 주변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모래층과; 상기 모래층을 통과한 우수를 상기 유공관을 통해 배출하기 위한 자갈층과; 상기 모래층과 상기 자갈층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모래층을 통과한 우수를 여과하여 여과된 우수가 상기 자갈층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2섬유 격자망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layer, the first fiber grid for filtering the fin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rainwater introduced through the rainwater inlet of the tree planter; A sand layer disposed to surround the vegetation soil to filter the rain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fiber grid; A gravel layer for discharging rain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and layer through the hole pipe; It may include a second fiber grid to prevent the sand layer and the gravel layer is mixed, and to filter the rainwater passing through the sand layer so that the filtered rainwater flows into the gravel layer.

삭제delete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tree pot filt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스크린 바스켓을 설치하여 우수에 존재하는 조대오염물을 걸러내어 여과층 위에 조대오염물이 쌓이지 않게 함으로써 여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크린 바스켓은 주기적으로 청소할 수 있으므로 조대오염물이 쌓여 우수 유입구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filtration performance by installing a screen basket to filter out coarse contaminants present in rainwater so that coarse contaminants do not accumulate on the filtration layer. In addition, since the screen basket can be cleaned periodically, coarse contaminants can be accumulated to prevent the rainwater inlet from clogging.

둘째, 우수의 유입이 많을 경우 바이패스관을 이용하여 우수를 빠르게 처리하여 우수가 도로변으로 넘치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Second, if there is a lot of rainwater inflow,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henomenon that rainwater overflows to the roadside by quickly treating rainwater using a bypass pipe.

셋째, 침투저류조를 설치하여 우수의 저장과 배출, 침투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도시 물순환을 회복할 수 있다.Third, the urban water circulation can be restored by installing a permeation reservoir to facilitate the storage, discharge, and infiltration of rainwat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의 종단면도,
도 2(a)는, 도 1의 스크린 바스켓의 평면도,
도 2(b)는, 도 1의 스크린 바스켓의 확대단면도,
도 3은, 도1의 유공관의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의 침투저류조의 평면도이다.
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tree plant filtra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 is a plan view of the screen basket of FIG.
2B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creen basket of FIG. 1;
3 is a plan view of the hole pipe of FIG.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tree plant filtra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the infiltration storage tank of the tree plant filt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각 실시예 별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여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Duplicate explanations will be omitted by assign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o the same elements in each embodiment.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은, 도 1, 도2,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토양(100), 여과층(200), 스크린 바스켓(300), 나무 화분(400), 유공관(500), 바이패스관(600), 수목보호틀(700)을 포함한다.Tree potting filtra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2, 3, vegetation soil 100, filtration layer 200, screen basket 300, tree pots ( 400), the hollow pipe 500, the bypass pipe 600, the tree protection frame 700.

상기 식생토양(100)은 나무를 식생 가능하도록 나무(10)의 뿌리 부분을 둘러싸고 있다.The vegetation soil 100 surrounds the root portion of the tree 10 so that the tree can be vegetated.

상기 여과층(200)은 상기 식생토양(100)으로 유입되는 우수의 오염물질을 여과한다.The filtration layer 200 filters contaminants of rainwater flowing into the vegetation soil 100.

상기 여과층(200)은 상기 식생토양(100)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여과층(200)은 상기 식생토양(100)을 대략 중앙부분에 두고 그 주위를 상하 좌우로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filtration layer 200 surrounds the vegetation soil 100. In more detail, the filtration layer 200 may be provided so as to surround the vegetation soil 100 at a central portion, and surround the periphery in up, down, left and right.

이에 의해, 후술할 우수 유입구(420)를 통해 상기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 내부로 유입된 우수가 상기 식생토양(100)으로 바로 전달되지 않고 상기 스크린 바스켓(300)과 상기 여과층(200)을 통과하여 조대오염물 및 미세오염물이 제거된 상대적으로 깨끗한 우수가 상기 식생토양(1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식생토양(100)에 심겨진 상기 나무(10)가 양호하게 식생될 수 있다.As a result, 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tree plant filtration system through rainwater inlet 420 to be described later is not directly transmitted to the vegetation soil 100, but passes through the screen basket 300 and the filtration layer 200. Relatively clean rainwater from which coarse contaminants and microcontaminants have been removed may be delivered to the vegetation soil 100. As a result, the tree 10 planted in the vegetation soil 100 may be well vegetated.

상기 여과층(200)은, 제1섬유 격자망(220), 모래층(240), 자갈층(260) 및 제2섬유 격자망(280)을 포함한다.The filtration layer 200 includes a first fiber grid 220, a sand layer 240, a gravel layer 260, and a second fiber grid 280.

상기 제1섬유 격자망(220)은 상기 여과층(200)의 최상부에 있으며 유입된 상기 우수에 포함된 미세오염물을 여과한다.The first fiber grid 220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filter layer 200 and filters the micro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rainwater flows in.

상기 제1섬유 격자망(220)은 그 재질이 야자 섬유(coir fiber), 활성탄소 섬유(activated carbon fiber), 폴리에틸렌 섬유(polyethylene fiber), 볏짚 거적 중 하나로 마련되거나 열거된 구성 중 둘 이상이 서로 교차 적층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교차 적층 구조의 경우, 적층되는 섬유등의 격자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상기 제1 섬유 격자망(220)의 격자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The first fiber grid 220 is made of one or more of the listed material is made of one of the coil fiber (coir fiber, activated carbon fiber, activated carbon fiber, polyethylene fiber, straw straw stacking) It may be provided in a cross-laminated structure. In the case of the cross-lamination structure, the lattice spacing of the first fiber grid network 220 can be finally adjusted by adjusting the lattice spacing of the fibers to be laminated.

상기 모래층(240)과 상기 자갈층(260)은 상기 제1섬유 격자망(220)의 하부에 존재한다. The sand layer 240 and the gravel layer 260 are present under the first fiber grid 220.

상기 모래층(240)과 상기 자갈층(260)은 각각 별도의 층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모래층(240)과 상기 자갈층(260)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 층 배치가 달라질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모래층(240)과 상기 자갈층(260)은 각각 별도의 층으로 구분되지 않고 서로 섞여 있을 수도 있다.The sand layer 240 and the gravel layer 260 may be arranged to form a separate layer, respectively. In some cases, the sand layer 240 and the gravel layer 260 may have different layer arrangements as shown in the drawing. If necessary, the sand layer 240 and the gravel layer 260 may be mixed with each other without being divided into separate layers.

상기 제2섬유 격자망(280)은 상기 여과층(200) 중 상기 모래층(240) 및 상기 자갈층(260)이 섞이지 않게 상기 모래층(240)과 상기 자갈층(260) 사이에 존재한다. The second fiber grid 280 is present between the sand layer 240 and the gravel layer 260 so that the sand layer 240 and the gravel layer 260 of the filtration layer 200 do not mix.

상기 제2섬유 격자망(280)은 그 재질이 상기 제1섬유 격자망(220), 부직포, 지오그리드(geogrid), 스크린망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fiber grid 280 may be made of one or two or more layers of the material of the first fiber grid 220, a nonwoven fabric, a geogrid, a screen net.

상기 스크린 바스켓(300)은 상기 여과층(2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우수에 존재하는 조대오염물을 여과한다. 이에 의해, 유입된 우수에 포함된 조대오염물은 상기 스크린 바스켓(300)에 의해 걸러지고, 걸러진 우수가 상기 여과층(200)으로 유입될 수 있다.The screen basket 300 is disposed above the filtration layer 200 to filter coarse contaminants present in the rainwater. As a result, coarse contaminants included in the introduced rainwater may be filtered by the screen basket 300, and the filtered rainwater may flow into the filtration layer 200.

상기 스크린 바스켓(300)은 상기 나무 화분(400)에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도록 나무 화분(400)에 연결된다.The screen basket 300 is connected to the tree planter 400 to be mounted and detached to the tree planter 400.

상기 스크린 바스켓(300)은 여과홀(320), 바스켓 몸체(340), 손잡이(360)을 포함한다.The screen basket 300 includes a filtration hole 320, a basket body 340, a handle 360.

상기 스크린 바스켓(300)을 상기 나무 화분(400)에 연결하기 위해 걸림판(380)과 상기 걸림판(380)을 상기 나무 화분(400)의 내벽면(480)에 고정하기 위한 걸림턱(460)을 포함한다.Hanging jaw 460 for fixing the hanger 380 and the hanger 380 to the inner wall surface 480 of the tree planter 400 to connect the screen basket 300 to the tree planter 400. ).

상기 우수 유입구(420)를 통해 우수가 상기 나무 화분(400) 내부의 상기 스크린 바스켓(300)으로 유입될 때 우수의 유입속도에 의해 상기 스크린 바스켓(300)이 흔들리거나 상기 걸림판(380)으로부터 탈착되지 않도록 상기 스크린 바스켓(300)과 상기 걸림판(380)은 별도의 고정장치(미도시)로 고정될 수 있다.When rainwater flows through the rainwater inlet 420 into the screen basket 300 inside the tree planter 400, the screen basket 300 is shaken or shaken from the locking plate 380 by the rainwater flow rate. The screen basket 300 and the locking plate 380 may be fixed by a separate fixing device (not shown) so as not to be detached.

상기 바스켓 몸체(340)는 상기 여과홀(320)에 의해 걸러진 상기 조대오염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스켓 몸체(340)는 상기 여과층(200) 방향으로 함몰된 바스켓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는 일례에 불과하고 상기 조대오염물을 걸러 저장할 수 있는 형상이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basket body 340 is provided to store the coarse dirt filtered by the filtration hole 320. As shown in FIG. 2 (b), the basket body 340 may have a basket structure rec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filtration layer 200. Of course, this is only an example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s long as it can filter and store the coarse contaminants.

상기 바스켓 몸체(34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The basket body 340 may be made of metal or plastic material.

상기 여과홀(320)은 상기 스크린 바스켓(300)에 형성되어 유입된 상기 우수를 통과시킨다.The filtration hole 320 is formed in the screen basket 300 to pass through the rainwater introduced.

상기 여과홀(320)은 상기 우수에 포함된 조대오염물을 걸러낼 수 있도록 상기 조대오염물의 평균 직경보다는 작은 사이즈로 마련될 수 있다.The filtration hole 320 may be provided in a size smaller than the average diameter of the coarse contaminants to filter coars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rainwater.

상기 여과홀(320)은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filtration hole 320 may be provided in a variety of shapes, such as circular, oval, triangular, square.

상기 여과홀(320)은 상기 스크린 바스켓(300)의 전면(全面)을 따라서 대체로 골고루 분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ltration hole 320 may be formed to be substantially evenly distributed along the entire surface of the screen basket 300.

상기 손잡이(360)는 상기 손잡이(360)의 일측 단부는 상기 바스켓 몸체(340)의 내부에 결합되며 타측 단부는 파지 가능하도록 상방향으로 노출된다. 상기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을 관리/정비하는 사람이 상기 손잡이(360)를 잡고 상기 바스켓 몸체(340)에 저장되어있는 저장된 상기 조대오염물을 상기 바스켓 몸체(34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The handle 360 is one end of the handle 360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asket body 340 and the other end is exposed upwardly to be gripped. A person who manages / maintains the tree pot filtration system may grab the handle 360 and remove the coarse contaminants stored in the basket body 340 from the basket body 340.

상기 걸림턱(460)은 상기 바스켓 몸체(340)가 후술할 걸림판(380)에 지지되도록 상기 바스켓 몸체(340)로부터 상기 걸림판(380)에 연결되어 상기 나무 화분(400)의 내벽면(480) 방향으로 연장된다.The hooking jaw 460 is connected to the hook plate 380 from the basket body 340 so that the basket body 340 is supported on the hook plate 380 to be described later (inner wall surface of the tree pot 400) 480).

상기 걸림판(380)은 상기 바스켓 몸체(340)를 상기 나무 화분(400)의 후술할 내벽면(480)으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상기 나무 화분(400)의 상기 내벽면(480)으로부터 상기 바스켓 몸체(340)가 이격됨으로써 그 사이의 공간을 통해 조대오염물이 걸러진 우수가 배출될 수 있다.The stopping plate 380 allows the basket body 34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surface 480 of the tree plant 40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s a result, the basket body 340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surface 480 of the tree planter 400 so that the coarse pollutant is filtered through the space therebetween.

상기 나무 화분(400)는 상기 식생토양(100), 상기 여과층(300) 및 상기 스크린 바스켓(300)을 수용하며 외관을 형성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나무 화분(400)는 콘크리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FRP(fiber reinforced plastic)의 단일 혹은 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tree pot 400 accommodates the vegetation soil 100, the filtration layer 300 and the screen basket 300 to form an exterior. In some cases, the tree pot 400 may be made of a single or two or more materials of concrete, polypropylene, polyethylene, fiber reinforced plastic (FRP).

상기 나무 화분(400)는 상기 우수 유입구(420), 우수 유출구(440), 상기 걸림판(380), 상기 걸림턱 (460), 상기 내벽면(480)을 포함한다.The tree planter 400 includes the rainwater inlet 420, the rainwater outlet 440, the catching plate 380, the catching jaw 460, and the inner wall surface 480.

강우 시 도로(50)에 흘러 내리는 우수는 상기 우수 유입구(420)를 통해 상기 나무 화분(400) 내부로 유입 된다.Rainfall flowing down the road 50 during rainfall is introduced into the tree pot 400 through the rainwater inlet 420.

상기 우수 유입구(420)를 통해 유입된 우수는, 상기 나무 화분(400) 내에 수용된 상기 스크린 바스켓(300) 및 상기 여과층(200)을 통과하여 오염물질이 제거된다.Rainwater introduced through the rainwater inlet 420 passes through the screen basket 300 and the filtration layer 200 accommodated in the tree pot 400 to remove contaminants.

오염물질이 제거된 상태의 정화된 우수는 상기 우수 유출구(440)를 통해 도로 우수관(30)으로 배출된다.The purified rainwater in a state in which contaminants are removed is discharged to the road storm pipe 30 through the rainwater outlet 440.

상기 걸림턱(460)은 상기 걸림판(380)을 지지 가능하도록 상기 나무 화분(400) 내부에 설치 되어있다.The locking jaw 460 is installed inside the tree planter 400 to support the locking plate 380.

상기 걸림판(380)은 상기 스크린 바스켓(300)과 상기 나무 화분(400)의 상기 내벽면(480)간에 상기 우수가 배출될 수 있을 만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우수 유입구(420)로부터 상기 스크린 바스켓(300)을 향해 연장된다.The stopping plate 380 is the screen basket from the rainwater inlet 420 so as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screen basket 300 and the inner wall surface 480 of the tree plant 400 to discharge the rainwater. Extend toward 300.

상기 걸림턱(460)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무 화분(400)의 상기 내벽면(480)에 설치될 수 있다.The locking jaw 460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wall surface 480 of the tree planter 400, as shown in FIG.

상기 유공관(500)은 상기 나무 화분(400)의 하부에 설치된다.The hole pipe 500 is installed below the tree pot 400.

상기 유공관(500)은 상기 우수의 유입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형성된 우수 유입홀(520)을 포함한다.The perforated pipe 500 includes a rainwater inlet hole 520 formed in a pluralit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enable the inflow of the rainwater.

상기 유공관(500)은 여과된 상기 우수가 상기 우수 유출구(440)를 통해 원활히 배출되도록 상기 우수 유출구(400)와 연통하는 수로를 형성한다.The hole pipe 500 forms a water channel communicating with the rainwater outlet 400 so that the filtered rainwater is smoothly discharged through the rainwater outlet 440.

상기 바이패스관(600)은 상단부가 상기 여과층(200)의 최상부 보다 높게 돌출되어 있고 그 하단부가 상기 유공관(500)에 연결되도록 상기 나무 화분(400) 내부에 기립 배치되어 있다.The bypass pipe 600 is erected inside the tree pot 400 so that an upper end thereof protrudes higher than the top of the filtration layer 200 and the low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hole tube 500.

상기 바이패스관(600)은 상기 여과층(200)에 의해 여과되는 속도보다 더 많은 우수가 상기 우수 유입구(420)를 통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우수 중 일부를 상기 바이패스관(600)을 통해 상기 유공관(500)으로 바이패스 시킨다.The bypass pipe 600 is a portion of the rain through the bypass pipe 600 when more rain is introduced through the rain inlet 420 more than the rate filtered by the filter layer 200 Bypass to the hole 500.

상기 바이패스관(600)은 상기 바이패스관(600)으로 상기 조대오염물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바이패스관(600)의 상단부에 설치된 스크린망(620)을 포함한다.The bypass pipe 600 includes a screen net 620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bypass pipe 600 to prevent the coarse contaminants from passing through the bypass pipe 600.

상기 수목보호틀(700)은 상기 나무 화분(400)의 최상부에 있으며 상기 식생토양(100)에 식생되는 상기 나무(10)를 지지한다.The tree protection frame 700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tree pot 400 and supports the tree 10 that is vegetated in the vegetation soil 100.

상기 수목보호틀(700)은 상기 나무 화분(400) 내부의 상기 스크린 바스켓(300), 상기 여과층(200), 상기 나무(10), 상기 바이패스관(600), 상기 스크린망(620), 상기 유공관(500)의 효과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수목보호틀(700)은 상기 나부 화분(400) 내부에 배치된 상술한 구성요소들을 관리/정비하기 위해 장착 및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된다.The tree protection frame 700 is the screen basket 300, the filtration layer 200, the tree 10, the bypass pipe 600, the screen net 620 inside the tree planter 400 , Can be used for effective maintenance of the hole 500. In more detail, the tree protection frame 700 is provided to be mounted and detachable to manage / maintain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disposed inside the potted plant 400.

이상과 같은 구성의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에 의할 경우, 상기 나무(10) 식생에 필요한 물을 정화하여 깨끗한 물을 상기 나무(10)에 공급해 줄 뿐만 아니라, 상기 우수에 포함된 질소, 인 성분을 상기 나무(10)에 의해 일부 제거할 수 있고, 강우 시 상기 우수에 포함된 상기 조대오염물 및 상기 미세오염물을 정화하여 도로 우수관(30)으로 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ree pot filtration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urifying the water required for the vegetation of the tree (10) not only supplies the clean water to the tree (10), but also nitrogen and phosphorus contained in the rainwater The tree 10 may be partially removed, and during rain, the coarse contaminants and the fine contaminants included in the rainwater may be purified and discharged to the road rainwater pipe 30.

또한, 상기 스크린 바스켓(300)을 이용하여 상기 조대오염물을 걸러내어 상기 여과층(200) 위에 상기 조대오염물이 쌓이지 않게 함으로써 여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by filtering the coarse contaminants using the screen basket 300 to prevent the coarse contaminants from accumulating on the filtration layer 200 can improve the filtration performance.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토양(100), 여과층(200), 스크린 바스켓(300), 나무 화분(400), 유공관(500), 바이패스관(600), 수목보호틀(700), 제1 침투공(800)을 포함한다. 본 제2실시예의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은 제1실시예의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과 비교하여 상기 제1 침투공(800)을 더 포함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차이점에 의해서 본 제2실시예는 여과된 우수가 토양으로 침투하는 효과를 더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plant pot filt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vegetation soil 100, the filter layer 200, the screen basket 300, the plant pot 400, and the perforated pipe 500. , Bypass tube 600, tree protection frame 700, the first penetration hole 800. The wood pollen filtration system of the second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wood pollen filtration system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it further includes the first penetration hole 800. Due to this difference, the second embodiment may further have an effect of penetrating the filtered rainwater into the soil.

상기 여과층(200)은, 제1섬유 격자망(220), 모래층(240), 자갈층(260), 제2섬유 격자망(280)을 포함한다.The filter layer 200 includes a first fiber grid 220, a sand layer 240, a gravel layer 260, and a second fiber grid 280.

상기 스크린 바스켓(300)은 여과홀(320), 바스켓 몸체(340), 손잡이(360)를 포함한다.The screen basket 300 includes a filtration hole 320, a basket body 340, a handle 360.

상기 나무 화분(400)는 우수 유입구(420), 우수 유출구(440), 걸림턱 (460), 걸림판(380), 내벽면(480)을 포함한다.The tree plant 400 includes a rainwater inlet 420, rainwater outlet 440, the locking step 460, the locking plate 380, the inner wall surface 480.

상기 유공관(500)은 우수 유입홀(520)을 포함한다.The hole 500 has a rain inlet hole 520.

상기 바이패스관(600)은 스크린망(620)을 포함한다.The bypass tube 600 includes a screen network 620.

상기 제1 침투공(800)은 상기 유공관(500) 및 상기 자갈층(260) 하부에 상기 나무 화분(400)에 관통하는 형태로 존재한다.The first penetration hole 800 is present in the form of penetrating the tree pot 400 in the lower hole 500 and the gravel layer 260.

상기 제1 침투공(800)은 여과된 우수가 토양층으로 침투 가능하게 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자갈층(260)에 의한 상기 제1 침투공(800)의 막힘 현상을 줄이기 위해 상기 자갈층(260)과 상기 제1 침투공(800) 사이에 제2섬유 격자망(2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enetration hole 800 allows the filtered rainwater to penetrate into the soil layer. In some cases, a second fiber grid 280 is disposed between the gravel layer 260 and the first penetration hole 800 to reduce the clogging of the first penetration hole 800 by the gravel layer 260. It may further include.

이상과 같은 구성의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에 의할 경우, 나무(10) 식생에 필요한 물을 정화하여 깨끗한 물을 상기 나무(10)에 공급해 줄 뿐만 아니라, 강우 시 상기 우수에 포함된 조대오염물 및 미세오염물을 정화하여 도로 우수관(30)으로 배출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tree plant filtration system of the above configuration, not only supplies the clean water to the tree 10 by purifying the water necessary for vegetation (10) vegetation, coarse contaminants and fine particles contained in the rainwater during rainfall The pollutants can be purified and discharged to the road storm pipe (30).

또한, 상기 스크린 바스켓(300)을 이용하여 상기 조대오염물을 걸러내어 상기 여과층(200) 위에 상기 조대오염물이 쌓이지 않게 함으로써 여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by filtering the coarse contaminants using the screen basket 300 to prevent the coarse contaminants from accumulating on the filtration layer 200 can improve the filtration performance.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갈층(260), 유공관(500), 우수 유입홀(520), 침투 저류조(900), 이송관(920), 우수 유출구(940)를 포함한다. 제3실시예의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은 제1실시예의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과 비교하여, 상기 침투 저류조(900)와 상기 이송관(920)을 더 포함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에 의해, 우수를 침투저류조(900)에 저장하여 활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plant pot filt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ravel layer 260, a perforated pipe 500, a rainwater inlet hole 520, a penetration storage tank 900, and a transfer pipe 920. Rainwater outlet 940. Compared to the tree pollen filtration system of the first embodiment, the tree pollen filtration system of the third embodiment further includes the infiltration storage tank 900 and the transfer pipe 920. As a result, the rainwater can be stored and utilized in the infiltration storage tank 900.

상기 침투 저류조(900)는 상기 우수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The infiltration reservoir 900 serves to store the rainwater.

상기 침투 저류조(900)에 저장된 상기 우수는 토양에 침투되거나, 펌프나 호스를 이용하여 상기 우수의 재사용이 가능하다.The rainwater stored in the infiltration reservoir 900 may be infiltrated into the soil, or reuse of the rainwater by using a pump or a hose.

상기 침투 저류조(900)는 이송관(920)과 우수 유출구(940), 제2 침투공(820) 을 포함한다.The infiltration reservoir 900 includes a transfer pipe 920, a rainwater outlet 940, and a second penetration hole 820.

상기 유공관(500)으로 들어온 상기 우수는 상기 이송관(920)을 통해 상기 침투 저류조(900)로 배출된다.The rainwater entering the hole pipe 500 is discharged to the infiltration reservoir 900 through the transfer pipe 920.

상기 침투 저류조(900)로 들어온 상기 우수 일부는 상기 침투 저류조(900)의 바닥을 관통하는 형태로 존재하는 상기 제2 침투공(820) 에 의해 토양층으로 침투되고, 상기 우수의 또 다른 일부는 상기 우수 유출구(940)를 통해 도로 우수관(30)으로 배출된다.Part of the rainwater entering the infiltration reservoir 900 is penetrated into the soil layer by the second penetration hole 820 which is in the form of penetrating the bottom of the infiltration reservoir 900, another portion of the rainwater The rainwater outlet 940 is discharged to the road storm pipe (30).

이상과 같은 구성의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에 의할 경우, 기존 조경용으로만 사용되던 나무와 나무가 식재되어 있는 공간을 활용하여 강우 시 우수에 포함된 조대오염물 및 미세오염물을 정화하고, 정화된 우수를 토양층으로 침투시키고, 침투되지 않는 우수는 도로 우수관(30)으로 배출함으로써 하천 건천화, 도시 침수, 도시 비점오염물 처리, 지하수위 확보 등 다양한 효과를 통해 도시 물순환 회복을 가능케 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tree pollen filtration system of the above configuration, by utilizing the space where trees and trees that were previously used only for landscaping are used to clean the coarse and fine contaminants contained in rainwater during rainfall, The rainwater that penetrates into the soil layer and is not penetrated can be discharged to the rainwater pipe 30 so that urban water circulation can be restored through various effects such as river dryness, urban flooding, urban non-pollutant treatment, and groundwater level.

또한, 상기 스크린 바스켓(300)을 이용하여 상기 조대오염물을 걸러내어 상기 여과층(200) 위에 상기 조대오염물이 쌓이지 않게 함으로써 여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by filtering the coarse contaminants using the screen basket 300 to prevent the coarse contaminants from accumulating on the filtration layer 200 can improve the filtration performance.

10: 나무 30: 도로 우수관
50: 도로 70: 유입된 우수
100: 식생토양 200: 여과층
220: 제1섬유 격자망 240: 모래층
260: 자갈층 280: 제2섬유 격자망
300: 스크린 바스켓 320: 여과홀
340: 바스켓 몸체 360: 손잡이
380: 걸림판 400: 나무 화분
420: 우수 유입구 440, 940: 우수 유출구
460: 걸림턱 480: 내벽면
500: 유공관 520: 우수 유입홀
600: 바이패스관 620: 스크린망
700: 수목보호틀 800: 제1 침투공
820: 제2 침투공 900: 침투 저류조
920: 이송관
10: tree 30: road storm tube
50: Road 70: Rainfall flowed in
100: vegetation soil 200: filter layer
220: first fiber grid 240: sand layer
260: gravel layer 280: second fiber grid
300: screen basket 320: filtration hole
340: basket body 360: handle
380: hung 400: wooden planter
420: rainwater inlet 440, 940: rainwater outlet
460: locking step 480: inner wall surface
500: Merit Hall 520: Rainwater Inlet Hall
600: bypass tube 620: screen network
700: tree protection frame 800: first penetration hole
820: second penetration hole 900: infiltration reservoir
920: transfer pipe

Claims (5)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에 있어서,
나무를 식생 가능하도록 상기 나무의 뿌리 부분을 둘러싸는 식생토양과;
상기 식생토양으로 유입되는 우수에서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층과;
상기 여과층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우수에서 조대오염물을 여과하는 스크린 바스켓과;
상기 식생토양, 상기 여과층 및 상기 스크린 바스켓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스크린 바스켓을 향해 상기 우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우수 유입구와 상기 식생토양, 상기 여과층 및 상기 스크린 바스켓을 통과하여 오염물질이 제거되어 정화된 우수가 배출되는 우수 배출구가 형성된 나무 화분과;
상기 나무 화분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층에 의해 여과된 상기 우수가 유입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형성된 우수 유입홀을 가지며 상기 유입된 우수를 도로 우수관으로 배수하는 유공관과;
상단부가 상기 여과층 외부로 돌출되고 하단부가 상기 유공관에 연결되도록 상기 나무 화분 내부에 기립 배치되어 상기 여과층을 통해 여과되는 양보다 더 많은 우수가 상기 나무 화분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우수 중 일부를 상기 상단부를 통해 상기 유공관으로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바이패스관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조대오염물이 상기 바이패스관으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린망을 포함하며,
상기 나무 화분의 우수 유입구에 상기 스크린 바스켓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된 걸림판과 상기 걸림판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무 화분의 내벽면에 고정된 걸림턱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바스켓은,
상기 조대오염물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홀과 상기 여과홀에 의해 걸러진 상기 조대오염물을 저장하기 위한 조대오염물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바스켓 몸체와;
상기 스크린 바스켓을 상기 나무 화분에 탈착 및 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스켓 몸체에 결합된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유공관으로 유입된 상기 우수를 저장하여 저장된 우수의 일부는 토양층으로 침투시키고, 저장된 우수의 다른 일부를 도로 우수관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침투저류조와;
상기 침투저류조와 상기 유공관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
Wood pollen filtration system,
Vegetation soil surrounding the root portion of the tree to enable the vegetation;
A filtration layer filtering contaminants from rainwater flowing into the vegetation soil;
A screen basket disposed above the filtration layer and filtering coarse contaminants in the rainwater;
The vegetation soil, the filtration layer and the screen basket is accommodated therein, contaminants are removed through the rainwater inlet for introducing the rainwater toward the screen basket and the vegetation soil, the filter layer and the screen basket. A tree pot formed with a rainwater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purified rainwater is discharged;
A perforated pip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ree planter and having a plurality of rainwater inlet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uch that the rainwater filtered by the filtration layer can flow into the rainwater pipe;
If the upper end is protruded outside the filter layer and the lower end is erected inside the tree planter so that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perforated tube and more rainwater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of the tree planter than the amount filtered through the filter layer A bypass tube for bypassing a part of the hole through the upper end;
It is installed at the inlet of the bypass pipe and includes a screen net for preventing the coarse contaminants from passing through the bypass pipe,
Further comprising a locking plate installed to support the screen basket in the rainwater inlet of the tree planter and a locking jaw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locking plate fix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ree planter,
The screen basket,
A basket body forming a filtration hole for filtering the coarse contaminants and a coarse contaminant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coarse contaminant filtered by the filtration hole;
A handle coupled to the basket body to enable detachment and attachment of the screen basket to the tree planter,
A permeation storage tank capable of storing the 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hole and storing some of the stored rainwater into the soil layer and discharging another portion of the stored rainwater into the road rainwater pipe;
The tree plant filtration system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transfer pipe connecting the permeate reservoir and the hole pi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무 화분의 최상부에는 상기 식생토양에 식생되는 상기 나무를 지지하며 또한 유지관리를 위한 수목보호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top of the tree planter, the tree planter filtra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a tree protection frame for supporting and maintaining the tree vegetated in the vegetation soil.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층은,
상기 나무 화분의 우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우수에 포함된 미세 오염물을 여과하기 위한 제1 섬유 격자망과;
상기 제1섬유 격자망을 통과한 상기 우수를 여과하기 위해 상기 식생토양 주변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모래층과;
상기 모래층을 통과한 우수를 상기 유공관을 통해 배출하기 위한 자갈층과;
상기 모래층과 상기 자갈층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모래층을 통과한 우수를 여과하여 여과된 우수가 상기 자갈층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2섬유 격자망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filtration layer,
A first fiber grid for filtering fin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rainwater introduced through the rainwater inlet of the tree pot;
A sand layer disposed to surround the vegetation soil to filter the rain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fiber grid;
A gravel layer for discharging rain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and layer through the hole pipe;
And a second fiber grid to prevent the sand layer and the gravel layer from being mixed and to filter the rainwater passing through the sand layer so that the filtered rainwater flows into the gravel layer.
삭제delete
KR1020120018790A 2012-02-24 2012-02-24 Tree box filter system for rain water filter and restoration of urban water cycle KR1011803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790A KR101180310B1 (en) 2012-02-24 2012-02-24 Tree box filter system for rain water filter and restoration of urban water cy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790A KR101180310B1 (en) 2012-02-24 2012-02-24 Tree box filter system for rain water filter and restoration of urban water cy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0310B1 true KR101180310B1 (en) 2012-09-07

Family

ID=47073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790A KR101180310B1 (en) 2012-02-24 2012-02-24 Tree box filter system for rain water filter and restoration of urban water cy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0310B1 (en)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672B1 (en) 2011-11-03 2014-02-25 (주)고려환경 natural circulation tree filter box system
KR101497967B1 (en) * 2013-04-17 2015-03-03 주식회사현우그린 Support Fixture Installed at Low Impact Development Type Planting Structure for Street Trees
KR101532425B1 (en) * 2014-08-04 2015-06-29 한국그린자원(주) Water purification system for using environmental purification tree
KR20150108434A (en) * 2014-03-17 2015-09-30 주식회사현우그린 Low Impact Development Separated-Type Planting Structure for Street Trees
KR20150108438A (en) * 2014-03-17 2015-09-30 주식회사현우그린 Filter for Exchange at Low Impact Development Separated-Type Planting Structure for Street Trees
CN105794523A (en) * 2016-04-11 2016-07-27 重庆大学 Tree pool device with rainwater infiltration, storage and purification functions
KR101650347B1 (en) * 2016-02-03 2016-08-23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Rainwater infiltration module for possible street tree protection low impact development
CN107254820A (en) * 2017-06-15 2017-10-17 埃瑞弗(上海)规划设计工程咨询股份有限公司 A kind of permeable tree pond of ecological sustainability
CN110468947A (en) * 2019-08-28 2019-11-19 星景生态环保科技(苏州)有限公司 Ecology tree pond
CN111587067A (en) * 2017-09-04 2020-08-25 树管公司 System and method for tree growth management
CN112219593A (en) * 2020-09-30 2021-01-15 华北理工大学 Flowerpot with humidity display function
CN112343155A (en) * 2020-10-30 2021-02-09 怀化市长兴园林绿化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City landscape garden pavement construction structure
KR102646864B1 (en) * 2023-09-13 2024-03-12 주식회사 가랑비 Construction method of plant cultivation pot construction body with improved water storage struc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944B1 (en) * 2007-08-14 2008-04-28 (주)엔포텍 Structure for treating rainwa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944B1 (en) * 2007-08-14 2008-04-28 (주)엔포텍 Structure for treating rainwater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672B1 (en) 2011-11-03 2014-02-25 (주)고려환경 natural circulation tree filter box system
KR101497967B1 (en) * 2013-04-17 2015-03-03 주식회사현우그린 Support Fixture Installed at Low Impact Development Type Planting Structure for Street Trees
KR101644848B1 (en) 2014-03-17 2016-08-04 주식회사현우그린 Low Impact Development Separated-Type Planting Structure for Street Trees
KR20150108434A (en) * 2014-03-17 2015-09-30 주식회사현우그린 Low Impact Development Separated-Type Planting Structure for Street Trees
KR20150108438A (en) * 2014-03-17 2015-09-30 주식회사현우그린 Filter for Exchange at Low Impact Development Separated-Type Planting Structure for Street Trees
KR101595805B1 (en) 2014-03-17 2016-02-22 주식회사현우그린 Low Impact Development Separated-Type Planting Structure for Street Trees
KR101532425B1 (en) * 2014-08-04 2015-06-29 한국그린자원(주) Water purification system for using environmental purification tree
KR101650347B1 (en) * 2016-02-03 2016-08-23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Rainwater infiltration module for possible street tree protection low impact development
CN105794523A (en) * 2016-04-11 2016-07-27 重庆大学 Tree pool device with rainwater infiltration, storage and purification functions
CN107254820A (en) * 2017-06-15 2017-10-17 埃瑞弗(上海)规划设计工程咨询股份有限公司 A kind of permeable tree pond of ecological sustainability
CN111587067A (en) * 2017-09-04 2020-08-25 树管公司 System and method for tree growth management
CN111587067B (en) * 2017-09-04 2023-10-27 树管公司 System and method for tree growth management
CN110468947A (en) * 2019-08-28 2019-11-19 星景生态环保科技(苏州)有限公司 Ecology tree pond
CN112219593A (en) * 2020-09-30 2021-01-15 华北理工大学 Flowerpot with humidity display function
CN112343155A (en) * 2020-10-30 2021-02-09 怀化市长兴园林绿化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City landscape garden pavement construction structure
KR102646864B1 (en) * 2023-09-13 2024-03-12 주식회사 가랑비 Construction method of plant cultivation pot construction body with improved water storage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0310B1 (en) Tree box filter system for rain water filter and restoration of urban water cycle
KR101287539B1 (en) Filter for removing sediment from water
KR101323288B1 (en) Penetration type rain water treatment and reusing apparatus
KR101728208B1 (en) Expansion infiltration pot pacility for plant growth by surface detention storage and evaporation
JP2006150351A (en) Wetland type water purification system
KR100629151B1 (en) Mult-filtering facility for primary rain water
KR101577378B1 (en) The vegetation planter system where the rainwater circulation
KR20140124555A (en) Low Impact Development Type Planting Structure for Street Trees Equipped with Purification Filter
KR20110128474A (en) System for treating infiltration water
CN208434404U (en) A kind of sponge city pavement ecology tree pond
KR20180060097A (en) Structure for cultivating plants of change type for low-impact development
KR100953473B1 (en) The constructable or separatable rainwater reservoir system for filtering remnants and purifying water
JP2007063785A (en) Rainwater seepage pit
KR102052679B1 (en) The vegetation structure of non-point pollution water treatment system with reusing the rain water drainage
KR100892834B1 (en) The constructable or separatable basket system for filtering remnants and purifying water
KR101499172B1 (en) Rainwater use apparatus
CN213897307U (en) Rainwater collecting device
CN109423936A (en) Water permeable pavement pipe
CN107675767A (en) A kind of biological arresting device
KR101530970B1 (en) Rainwater use apparatus
JP2535340Y2 (en) Rainwater seepage measure filter
KR101275298B1 (en) A permeated ditch type purifier for non-point contaminants(pdtp)
CN207392364U (en) Resident living area infiltration type intercepting pollution for rainwater governing system
KR101753901B1 (en) Filter combined with small filtering bag, apparatus therefor and facitility thereof
KR20130004817A (en) Undergrounding reservoir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