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8158B1 - 파일직물용 평판 프레스기 - Google Patents

파일직물용 평판 프레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8158B1
KR101178158B1 KR1020110009096A KR20110009096A KR101178158B1 KR 101178158 B1 KR101178158 B1 KR 101178158B1 KR 1020110009096 A KR1020110009096 A KR 1020110009096A KR 20110009096 A KR20110009096 A KR 20110009096A KR 101178158 B1 KR101178158 B1 KR 101178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ress
main body
pile fabric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7726A (ko
Inventor
권서윤
지영주
최은미
유지현
안종수
Original Assignee
한국패션산업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패션산업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패션산업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09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8158B1/ko
Publication of KR20120087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7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5/00Calendering, pressing, ironing, glossing or glazing textile fabrics
    • D06C15/10Calendering, pressing, ironing, glossing or glazing textile fabrics between flat plates of a press
    • D06C15/12Calendering, pressing, ironing, glossing or glazing textile fabrics between flat plates of a press for pressing a pile of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일직물에 심지를 접착함에 있어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파일류 섬유제품이 얻어지게 하는 파일직물용 평판 프레스기(100)로서, 작업대 본체(2)의 상부면에 작업판거치대(4)를 설치하고, 작업판거치대(4) 상에는 장탈이 가능케 침판(6)을 설치하며, 작업대 본체(2)의 측부에 연장 형성된 축대(8)에는 축회전판체(10)의 레버(12)가 축연결되고, 작업대 본체(2)의 측부에 설치된 제1 작동실린더(14)의 작동로드(14a)가 레버(12)의 후미단에 링크 연결되고 축회전판체(10)의 저부에는 축회전판체(10)에 탑재된 제2 작동실린더(16)에 의해 푸쉬 작동되며 히터가 내장된 프레스판부(18)가 장치되게 구성하여서 제1,제2 작동실린더(14)(16)에 의한 2차에 걸친 단계적 가압으로 상방의 프레스판부(18)가 하방의 침판(6) 상에 얹힌 파일직물과 심지를 열압 접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일직물용 평판 프레스기{FLATPLATE PRESSES FOR PILE FABRIC}
본 발명은 파일직물 제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일직물에 심지를 접착함에 있어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파일류 섬유제품이 얻어지게 하는 파일직물용 평판 프레스기에 관한 것이다.
벨벳, 벨루어, 번아웃 소재와 같이 기모가 표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파일직물에 빳빳한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대개가 파일직물의 배면에 실크나 부직포, 종이 등등과 같은 심지를 부착한다. 배면에 심지가 부착된 파일류 섬유제품은 의복의 앞판, 등판, 소매부분, 안단부분 등과 같은 위치에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된다.
의류용 부자재인 심지를 파일직물에 부착할 경우에는 일반 평판프레스를 사용하면 되질 않는다. 이는 일반 평판프레스를 사용하여 파일직물의 배면에 심지를 부착할 경우에는 기모가 눕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파일직물에 심지를 부착시 기모가 눕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소형의 침판(needle plate)을 사용하는데 벨벳직물용 침판은 크기가 가로*세로 = 10cm*30cm정도로 작아서 그보다 큰 파일직물에 심지를 부착할 경우에는 수작업으로 침판을 옮겨 가면서 심지를 부착하는 작업을 하여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작업을 수행하는데에 불편하고 번거로우며 작업자의 경험에 의존하는 생산방식이므로 공법을 정량하기가 어렵다. 또 침판을 옮겨가면서 심지를 부착하므로 위치마다 부착강도나 상태가 다를 수 있으며 그 형태가 균일하지 못하고 작업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일직물 제품 생산에 있어 공법의 정량화 및 완제품의 형태 안정을 도모하는 파일직물용 평판 프레스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고감성 파일류 섬유제품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파일직물용 평판 프레스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 침판보다 넓은 면적의 침판을 사용하면서도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형태를 유지하게 심지를 부착할 수 있으며 생산성과 품질이 양호하며 제조원가가 감소 되게 해주는 파일직물용 평판 프레스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작업대 본체(2)의 상부면에 작업판거치대(4)를 설치하고, 작업판거치대(4) 상에는 장탈이 가능케 침판(6)을 설치하며, 작업대 본체(2)의 측부에 연장 형성된 축대(8)에는 축회전판체(10)의 레버(12)가 축연결되고, 작업대 본체(2)의 측부에 설치된 제1 작동실린더(14)의 작동로드(14a)가 레버(12)의 후미단에 링크 연결되고 축회전판체(10)의 저부에는 축회전판체(10)에 탑재된 제2 작동실린더(16)에 의해 푸쉬 작동되며 히터가 내장된 프레스판부(18)가 장치되게 구성하여서 제1,제2 작동실린더(14)(16)에 의한 2차에 걸친 단계적 가압으로 상방의 프레스판부(18)가 하방의 침판(6) 상에 얹힌 파일직물과 심지를 열압 접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물용 평판 프레스기(100)이다.
상기의 프레스판부(18)는 개재된 완충부재(32)에 의해서 축회전판체(10) 상에서 탄지 작동되게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다.
또 본 발명에서 작업대 본체(2)의 콘트롤박스(22)에 내장된 제어부(40)는 제1,제2 작동실린더(14)(16)의 작동을 제어하되, 제1 작동실린더(14)의 작동에 의한 축회전판체(10)의 축회전으로 축회전판체(10)에 설치된 프레스판부(18)가 0.5~4kg/㎤(바람직하게는 2~4kg/㎤)의 1차 압력을 침판(6) 상면에 가하도록 제어하고, 제2 작동실린더(16)의 작동에 의해 푸쉬된 프레스판부(18)가 0.5~2kg/㎤의 2차 압력을 침판(6) 상면에 가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프레스판부(18)는 푸쉬로드(24a)와 안내로드(24b)를 배면에 갖는 작동판(24)의 전면 상에 단열판(26), 히터판(28), 열전도판(30)이 차례로 적층되어 장착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작업대 본체(2)에는 진공흡입부(3)가 구비되며, 작업판거치대(4)에는 침판(6) 이외의 작업판이 조립된 상태에서 진공 흡입고정에 이용될 수 있는 다수 흡입공(52)들이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침판(6)은 금속재 고정판(60) 상에 완충패드층(62)과, U자형 침(68)들이 정위치 배열될 수 있는 배열공들이 형성된 화이버층(64)과, 침고정용 수지접합층(66)으로 구성하되, U자형 침(68)들이 화이버층(64)의 배열공들을 통해 직립 배열됨과 동시에 하부의 완충패드층(62)에 의해서 바닥 지지되고 침고정용 수지접합층(66)에 의해서 접합되어 위치고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파일직물 제품 생산에 있어 수작업으로 하지 않고 파일직물용 평판 프레스기를 사용함으로써 공법의 정량화 및 완제품의 형태 안정을 도모하며, 또 넓은 면적의 파일직물에 단시간 일률적으로 심지를 부착할 수 있으면서도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고감성 파일류 섬유제품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일직물용 평판 프레스기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침판의 침판배열부 요부 단면 구성도,
도 5는 작업판 거치대 및 침판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상측 축회전판체와 프레스판부의 결합상태도,
도 7은 도 6의 프레스판부 분리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로블록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일직물용 평판 프레스기(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일직물용 평판 프레스기(100)는 크게는 작업대 본체(2) 상에 설치되는 침판 부분과 침판의 상면을 열압착하기 위한 프레스 부분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파일직물용 평판 프레스기(100)는 파일직물뿐 아니라 그외 다양한 직물의 심지 접착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에 따라 작업대 본체(2)에는 진공흡입모터(도 8의 44)의 구동에 따라 감압상태가 되는 진공흡입챔버(3)가 구비되며 작업대 본체(2)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흡입공들이 형성된다. 또 작업대 본체(2)의 상부면에는 침판(6)을 포함한 다양한 작업판을 거치할 수 있는 작업판거치대(4)가 설치된다. 침판(6)이 작업판거치대(4)에 장치될 경우에는 진공흡입챔버(3)가 작동되지 않으며, 침판(6)을 제거시에는 진공흡입챔버(3)가 작동을 하도록 구성된다.
작업판거치대(4) 상에는 침판(6)이 장탈이 가능케 설치된다.
이를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작업판거치대(4)의 중앙부에는 흡입공(52)들이 형성된 요홈면(50)이 넓게 형성되며 요홈면(50)의 좌우 상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침판(6)의 하측 받침부(6b) 밑면에는 작업판거치대(4)의 요홈면의 좌우 걸림턱(56)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부재(5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작업자는 침판(6)의 하측 받침부(6b)의 걸림부재(58)가 작업판거치대(4)에 끼움 장치된 후 위치고정용 볼트(54)로 체결함으로써 작업판거치대(4) 상에 침판(6)을 고정하며, 탈거 시에는 위치고정용 볼트(54)를 해제시킨 후 침판(6)을 빼내면 된다.
침판(6)은 예컨대, 600×1100mm나 되는 대형 사이즈의 침판으로서, 상측 침고정부(6a)와 하측 받침부(6b)로 구성된다. 침판(6)의 하측 받침부(6b)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밑면에 걸림부재(58)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측 침고정부(6a)는 파일직물의 기모를 안전하게 받침하기 위한 침들이 배열형성되어 있다.
침판(6)의 상측 침고정부(6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재 고정판(60) 상에 완충패드층(62)과, U자형 침(68)들이 정위치 배열될 수 있는 배열공들이 형성된 화이버층(64)과, 침고정용 수지접합층(66)으로 구성하되, U자형 침(68)들이 화이버층(64)의 배열공들을 통해 직립 배열됨과 동시에 하부의 완충패드층(62)에 의해서 바닥 지지되고 침고정용 수지접합층(66)에 의해서 접합되어 위치고정된 것이다. 화이버층(64)의 배열공들은 레이저가공을 통해서 형성되며 0.5~4mm 간격으로 조밀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외부로 직립 노출된 침(68)들도 그에 상응하는 조밀도를 갖게 된다. 또 외부로 노출된 침(68)들은 모두 균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그 선단부가 10~15°의 각도로 절곡 형성되어서 파일직물이나 작업자가 손상을 입지않도록 해줌과 동시에 절곡에 의한 탄성력이 작용되게 함으로써 갑작스런 초기 하중압력을 완충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으로 되돌아가면, 작업대 본체(2)의 후측부에는 곡형의 좌우 축대(8)가 상부로 연장 형성되며, 좌우 축대(8)에는 축회전판체(10)의 레버(12)가 레버축(20)에 축 연결되게 구성한다.
축회전판체(10)의 레버(12)의 후미단에는 작업대 본체(2)의 후측부에 설치된 제1 작동실린더(14)의 작동로드(14a)가 레버(12)의 후미단에 링크 연결된다.
축회전판체(10)는 제1 작동실린더(14)의 신축작동에 따라 레버축(20)을 중심으로 축회전 하며 제1 작동실린더(14)가 신장된 상태에서 작업대본체(2) 상에 설치된 침판(6)과 대면할 수 있게 구성한다. 또 축회전판체(10)의 상부에는 제2 작동실린더(16)가 탑재되며, 축회전판체(10)의 저방에는 축회전판체(10)에 탑재된 제2 작동실린더(16)에 의해 푸쉬 작동되며 히터가 내장된 프레스판부(18)가 설치된다. 즉 제2 작동실린더(16)의 작동로드(16a)가 프레스판부(18)의 푸쉬로드(24a)와 체결고정된다. 그러므로 프레스판부(18)는 제2 작동실린더(16)의 신축작동에 의해서 짧으나마 축회전체(10) 하방에서 승강작동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축회전판체(10)의 하방에 장치된 프레스판부(18)는 제1,제2 작동실린더(14)(16)에 의한 2차에 걸친 압력으로 작업대 본체(2)에 설치된 침판(6) 상에 얹힌 파일직물과 심지를 열압 접착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상측 축회전판체(10)와 프레스판부(18)의 결합 상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프레스판부(18)의 분리 상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판부(18)의 푸쉬로드(24a)와 그 좌우의 안내로드(24b)는 상측의 축회전판체(10)에 형성된 작동공을 통과하거나 또는 작동홈에 삽입되어서 프레스판부(18)가 상측의 축화전판체(10)로부터 이격되어서 전후진할 수 있으며, 프레스판부(18)와 상측의 축회전판체(10) 사이에는 압축스프링과 같은 완충부재(32)가 개재되어서 프레스판부(18)가 하방의 침판(6) 상에 면접촉되어 초기 가압을 행할 시에 충격 쿠션역할을 도모한다. 완충부재(32)가 도 6에서와 같이 압축스프링일 경우에는 안내로드(24b)에 끼워진 상태로 작동수납홈에 넣어져 탄력 설치될 수 있다.
제2 작동실린더(16)의 작동로드(16a)가 후진 수축한 경우에도 축회전판체(10)와 하방 프레스판부(18) 간은 완충부재(32)에 의해서 다소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축회전판체(10)의 하방에서 상하 소폭 작동하는 프레스판부(18)는, 푸쉬로드(24a)와 안내로드(24b)를 배면에 갖는 작동판(24)의 전면 상에 단열판(26), 히터판(28), 열전도판(30)이 차례로 적층되고 볼트체결을 통해 장착함으로써 일체로 조립 구성된다.
또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작업대 본체(2)의 우측부에는 콘트롤박스(22)가 설치되며 작업자가 조작하게 편리한 위치에 조작판넬(도 8의 42)이 장치된다.
콘트롤박스(22)에 내장된 제어부(40)는 도 8의 회로 블록도에서와 같이, 조작판넬(42)과 인터페이스하고, 제1,제2 작동실린더(14)(16)의 작동을 제어하며, 진공흡입챔버(3)에 감압환경을 형성하기 위한 진동흡입모터(44)와 프레스판부(18)에 내장된 히터판(28)과, 및 기타 작업시 스팀을 필요할 경우 스팀발생을 위한 스팀발생부(46)를 각각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가 조작판넬(42)을 통해서 파일직물에 심지를 접착시에 요구되는 온도와 압력, 프레스 시간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각종 버튼들을 구비하며, 본 발명의 제어부(40)는 침판(6) 위에 얹힌 파일직물을 열압착하기 위해서 제1,제2 작동실린더(14)의 단계적 작동과 아울러 히터판(28)에 발생하는 온도를 제어한다.
제어부(40)는 침판(6) 위에 얹힌 파일직물을 열압착하기 위해, 먼저 제1 작동실린더(14)를 작동시켜서 축회전판체(10)이 축회전되게 하되 축회전판체(10)에 설치된 프레스판부(18)가 0.5~4kg/㎤(바람직하게는 2~4kg/㎤)의 1차 압력을 침판(6) 상면에 가하도록 제어하고, 그 다음 단계로는 제2 작동실린더(16)를 작동시켜서 축회전판체(10)로부터 프레스판부(18)를 전방으로 밀어주어 0.5~2kg/㎤의 2차 압력을 침판(6) 상면에 가하도록 제어한다.
프레스판부(18)의 2차에 걸친 단계적인 열압착은 대형사이즈의 파일직물이라도 심지 접착이 균일하게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해주며, 최종 가해지는 압력합계 범위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1~6kg/㎤이고 히터판(28) 열온의 온도조절범위는 220~280℃로 설정한다.
이러한 압력합계 범위나 온도조절범위 내의 낮은 압력치나 낮은 온도치일 경우에는 프레스 시간을 상기 범위 내의 높은 압력치나 높은 온도치일 때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해주어야 하며, 이는 심지 접착박리강도가 0.5~1.0N 이상이 되도록 하는 프레스 시간을 설정하는데에 그 의의가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는 심지 접착을 위해 파일직물을 프레스하는데 있어 2단계에 걸친 압력합계값이 1kg의 낮은 압력이라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일반직물에 심지접착시 가열하는 온도(예컨대 180℃ 내외)보다 훨씬 높은 280℃의 가열온도와 긴 프레스시간을 주어서 심지 접착박리강도가 0.5~1.0N 이상이 되게 한다.
프레스시간은 파일직물의 종류나 두께 및 심지의 재질이나 두께 등의 변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실험을 통해서 작업자나 장비 설계자가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설명에서는 프레스판부(18)가 열압착 되는 것에 대해서만 언급하였지만 가열 및 스팀이 함께 가해지도록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때에는 스팀이 하방의 작업대 본체(2)내 진공 흡입부(3)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침판(6)에 별도의 흡입공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작업자는 대형 사이즈의 침판(6)을 작업판 거치대(4)를 이용하여 작업대 본체(2) 상에 설치한 후, 침판(6) 위에 파일직물과 심지를 겹쳐서 올려 놓고 작업시작버튼을 누름으로써 피일직물용 평판프레스기(100)를 작동시킨다. 그에 따라 콘트롤박스(22)내 제어부(40)의 제어 하에 히터판(28)이 설정된 온도의 열을 발생하고 제1,제2 작동실린더(14)(16)이 차례로 작동되면서 축회전판체(12)의 하방에 설치된 프레스판부(18)가 파일직물을 2차에 걸친 단계적 가압으로 열압착을 행한다. 그 결과, 침판(6) 위에 얹힌 파일직물은 기모가 눕는 현상 등이 전혀 없이 그 배면에 심지가 견고하게 부착되어 파일류 제품으로서 완성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본 발명은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고감성 파일류 섬유제품 개발에 이용될 수 있다.
(2)-- 작업대 본체 (3)-- 진공흡입챔버
(4)-- 작업판거치대 (6)-- 침판
(6a)-- 침고정부 (6b)-- 받침부
(8)-- 축대 (10)-- 축회전판체
(12)-- 레버 (14)(16)-- 제1,제2 작동실린더
(18)-- 프레스판부 (20)-- 레버축
(22)-- 콘트롤박스 (24)-- 작동판
(24a)-- 푸쉬로드 (24b)-- 안내로드
(26)-- 단열판 (28)-- 히터판
(30)-- 열전도판 (32)-- 완충부재
(40)-- 제어부 (42)-- 조작판넬
(44)-- 진공흡입모터 (46)-- 스팀발생부
(50)-- 요홈면 (52)-- 흡입공
(54)-- 위치고정용 볼트 (56)-- 걸림턱
(58)-- 걸림부재 (60)-- 고정판
(62)-- 완충패드층 (64)-- 화이버층
(66)-- 침고정용 수지접합층 (68)-- 침

Claims (6)

  1. 작업대 본체(2)의 상부면에 작업판거치대(4)를 설치하고, 작업판거치대(4) 상에는 장탈이 가능케 침판(6)을 설치하며, 작업대 본체(2)의 측부에 연장 형성된 축대(8)에는 축회전판체(10)의 레버(12)가 축연결되고, 작업대 본체(2)의 측부에 설치된 제1 작동실린더(14)의 작동로드(14a)가 레버(12)의 후미단에 링크 연결되고 축회전판체(10)의 저부에는 축회전판체(10)에 탑재된 제2 작동실린더(16)에 의해 푸쉬 작동되며 히터가 내장된 프레스판부(18)가 장치되게 구성하여서 제1,제2 작동실린더(14)(16)에 의한 2차에 걸친 단계적 가압으로 상방의 프레스판부(18)가 하방의 침판(6) 상에 얹힌 파일직물과 심지를 열압 접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물용 평판 프레스기.
  2. 제1항에 있어서, 프레스판부(18)는 개재된 완충부재(32)에 의해서 축회전판체(10) 상에서 탄지 작동되게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물용 평판 프레스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작업대 본체(2)의 콘트롤박스(22)에 내장된 제어부(40)는 제1,제2 작동실린더(14)(16)의 작동을 제어하되, 제1 작동실린더(14)의 작동에 의한 축회전판체(10)의 축회전으로 축회전판체(10)에 설치된 프레스판부(18)가 0.5~4kg/㎤의 1차 압력을 침판(6) 상면에 가하도록 제어하고, 제2 작동실린더(16)의 작동에 의해 푸쉬된 프레스판부(18)가 0.5~2kg/㎤의 2차 압력을 침판(6) 상면에 가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물용 평판 프레스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프레스판부(18)는 푸쉬로드(24a)와 안내로드(24b)를 배면에 갖는 작동판(24)의 전면 상에 단열판(26), 히터판(28), 열전도판(30)이 차례로 적층되어 장착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물용 평판 프레스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작업대 본체(2)에는 진공흡입부(3)가 구비되며, 작업판거치대(4)에는 침판(6) 이외의 작업판이 조립된 상태에서 진공 흡입고정에 이용될 수 있는 다수 흡입공(52)들이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물용 평판 프레스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침판(6)은 금속재 고정판(60) 상에 완충패드층(62)과, U자형 침(68)들이 정위치 배열될 수 있는 배열공들이 형성된 화이버층(64)과, 침고정용 수지접합층(66)으로 구성하되, U자형 침(68)들이 화이버층(64)의 배열공들을 통해 직립 배열됨과 동시에 하부의 완충패드층(62)에 의해서 바닥 지지되고 침고정용 수지접합층(66)에 의해서 접합되어 위치고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물용 평판 프레스기.
KR1020110009096A 2011-01-28 2011-01-28 파일직물용 평판 프레스기 KR101178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096A KR101178158B1 (ko) 2011-01-28 2011-01-28 파일직물용 평판 프레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096A KR101178158B1 (ko) 2011-01-28 2011-01-28 파일직물용 평판 프레스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726A KR20120087726A (ko) 2012-08-07
KR101178158B1 true KR101178158B1 (ko) 2012-08-29

Family

ID=46873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096A KR101178158B1 (ko) 2011-01-28 2011-01-28 파일직물용 평판 프레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81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74763B (zh) * 2015-11-03 2017-08-11 嘉善龙翔人造毛绒有限公司 一种布匹压平设备
CN112647274B (zh) * 2020-12-18 2022-05-13 常州常美超声波设备有限公司 一种拖把用布头的成型裁断机
KR102429660B1 (ko) * 2021-11-25 2022-08-04 성상욱 파일원단 가공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43880A (ja) 1986-04-16 1987-10-24 東レ株式会社 有毛製品のプレス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43880A (ja) 1986-04-16 1987-10-24 東レ株式会社 有毛製品のプレス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726A (ko) 201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8158B1 (ko) 파일직물용 평판 프레스기
CN100338294C (zh) 自提升熨斗
KR101151827B1 (ko) 연성회로기판용 보강판 부착장치
CN102133705A (zh) 可用于汽车行李架装配的过盈压入装置
CN105172310B (zh) 皮套压合机
KR101868512B1 (ko) 섬유 강화 복합소재의 프레스 성형 방법
CN209787452U (zh) 一种汽车扬声器生产的自动压合装置
CN211431194U (zh) 一种新型服装加工粘合机
CN218638321U (zh) 一种***加工用的冲孔装置
KR101178157B1 (ko) 파일직물용 침판
CN102264976A (zh) 熨斗放置器以及具有这种熨斗放置器的熨烫装置
CN101332974B (zh) 一种热键合装置
KR101160569B1 (ko) 전기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454742Y1 (ko) 원터치 승강식 전기다리미
CN113394003A (zh) 一种安全稳定的变压器安装布置结构及施工方法
CN211079591U (zh) 一种打枣机用便于调节的底座
CN214790385U (zh) 一种具有人脸识别功能的防疫测温仪
CN211280162U (zh) 工作效率高的双面烫画机
CN213973307U (zh) 一种基于酒店装修的地毯压制装置
CN217771764U (zh) 一种黄磷电炉炉底炉壁温度3d模型监控装置
CN218345752U (zh) 一种钓鱼服表面熨烫装置
CN212688412U (zh) 一种缝纫机底座用固定装置
JP5028914B2 (ja) プリプレグシートの固定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プリプレグシートの固定装置
CN221137223U (zh) 一种平衡压力式烫画机
CN214207340U (zh) 一种服饰生产用裤子打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