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2322B1 - 저면 필터를 가지는 액체 수용 용기 - Google Patents

저면 필터를 가지는 액체 수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2322B1
KR101172322B1 KR1020067012812A KR20067012812A KR101172322B1 KR 101172322 B1 KR101172322 B1 KR 101172322B1 KR 1020067012812 A KR1020067012812 A KR 1020067012812A KR 20067012812 A KR20067012812 A KR 20067012812A KR 101172322 B1 KR101172322 B1 KR 101172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ontainer
eye drop
outsid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2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5929A (ko
Inventor
히로시 야마다
나오히토 미요시
Original Assignee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5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5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9Ampoules
    • B65D1/095Ampoule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약액을 수용하는 액체 수용부(12)를 가지는 용기 본체(10)와, 개봉 상태에서 약액의 유출을 허용하는 주액구(61a)가 설치된 액체 수용부(점안 용기) A에 있어서, 용기 본체(10)의 저면에, 필터 부재(101)와, 외부로부터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고 외부로 약액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 밸브(103)를 구비한 통기 수단(10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통기 수단(100)을 덮는 저면 캡(110)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용기 본체(10)에, 개봉 부재(9)와 밸브 부재(11)를 구비한 캡 B를 장착 가능하도록 설치한다.
약액, 필터, 용기, 역류 방지 밸브, 통기 수단, 점안구, 캡

Description

저면 필터를 가지는 액체 수용 용기{LIQUID STORAGE CONTAINER WITH BOTTOM FILTER}
본 발명은,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부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개봉 상태에서 액체의 유출을 허용하는 주액부가 설치되어 있는 액체 수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액체 수용 용기는, 예를 들면, 의료용 점안액을 점안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의료용 점안구(이하, 「점안구」라고 한다)가 있다.
이와 같은 점안구로서는, 예를 들면,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약액을 수용하는 액체 수용부를 가지는 용기 본체에 주액 통부를 장착하고, 주액 통부를 밀봉하는 캡도 포함하면, 점안구 전체적으로 3개의 부재로 형성되는, 이른바 3(three) 피스형 점안구가 알려져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로우 성형이나 진공 성형 등에 의해 주액 통부(6)와 용기 본체(10)를 일체로 형성하는 일체 성형형 점안 용기 A에 캡 B를 나사 결합 또는 끼워맞춤 등에 의해 장착시키는, 이른바 보틀 팩 점안구 X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주액 통부의 선단에 주액구를 설치한 중간마개부를 장착하는 것도 알 려져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점안구 X의 소재로서는, 성형이 용이한 연질의 열가소성 수지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점안구 X에서는,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점안 용기 A 내의 약액을 투여하는 경우, 점안 용기 A(용기 본체(10))의 보디부(2)를 2개의 손끝으로 파지하여, 점안 용기 A의 주액구(61a)가 투여 대상자의 눈과 대면하는 투여 자세를 유지하고, 이 자세를 유지하면서 보디부(2)를 용기 축선 측으로 가압 조작하면, 주액구(61a)로부터 약액이 적하 투여된다.
전술한 점안구에서는, 점안구 개봉 후에 주액구로부터 약액을 적하 투여하면, 용기 본체 자체의 복원성 등에 의해 형상이 액체를 외부 유출하기 전 상태로 복원되므로, 투여한 약액 만큼의 외부 공기가 점안 용기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외부 공기를 유입 가능하게 한 구성으로서, 외기 흡입용의 균압밸브를 설치한 구성이 알려져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이에 따라, 약액의 적하 투여 후에 외부 공기를 유입할 수 있기 때문에, 용기 내의 압력과 외부의 압력이 평형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점안구는, 외기 흡입용 밸브의 장착 위치가 주액구 근방에 설치되어 구성되어있지만, 이에 비하여, 외기 흡입용 밸브의 장착 위치가 주액구의 반대측에 설치된 주액 용기의 구성(예를 들면, 특허 문헌 3)도 알려져 있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실공소 39(1964)-11991호 공보(제1-2도)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개소 51(1976)-146789호 공보(제7-8페이지, 도 4 참 조)
특허 문헌 3: 일본국 실개평 1(1989)-110147호 공보(실용 신안 등록 청구의 범위, 도 2 참조)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점안구는, 외기 흡입용 밸브와 함께 필터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외기 흡입에 따른 미생물 등에 의한 액체 수용부 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외기 흡입용 밸브와 필터 부재의 장착 위치를 주액구 근방으로 설정하면, 예를 들면, 주액 통부에 주액구, 외기 흡입용 밸브, 및, 필터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주액구 근방의 구성이 복잡하게 되면서, 외기 흡입용 밸브 및 필터 부재, 크기 등이 제약을 받게 된다. 한편,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주액 용기와 같이, 외기 흡입용 밸브의 장착 위치를 주액구의 반대측에 설치하여 구성하면, 주액구 근방의 구성이 간단해져서 용기의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점안구는, 주액 시에 주액구는 하향이 되고, 이 상태가 유지되면 액체 수용부에 있는 액체와 외기 흡입용 밸브가 항상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외기 흡입용 밸브는, 외기 유입을 허용하지만, 액체의 외부 유출을 허용하지 않는 역류 방지 밸브를 설치하여 구성되지만, 주액 시에는, 외기 흡입용 밸브는 액체와 접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액체의 누설 방지 면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주액 용기의 구성에서는, 주액구의 반대측에 외기 흡입용 밸브가 설치되어 있고, 주액 후의 외기 흡입 시에는, 액체 수용부 내의 액체와 외기 흡입용 밸브는 접하지 않기 때문에, 외기 흡입용 밸브로부터 액체가 누설될 우려는 없다. 그러나, 필터 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외기 흡입에 따른 미생물 등에 의하여 액체 수용부 내가 오염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점안구나 주액 용기의 구성에 의하면, 보관 등 주액 시를 제외하고는 주액구는 닫힌 상태가 된다. 이 때, 외기 흡입용 밸브에 충격 등에 의해 압력이 가해져서 외기 흡입용 밸브로부터 액체 수용부로 외기가 유입되면, 액체 수용부의 압력이 상승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주액 시에 주액구를 열면, 상승된 압력이 주액구로부터 개방되므로, 액체 수용부 내의 액체가 세차게 튀어 나올 우려가 있다.
이 때, 예를 들면, 주액 시의 1회의 적하량을 일정하게 제어하는 점안구라면, 이와 같이 주액 시에 액체가 세차게 튀어서, 주위에 흩어진 액체의 분량을 보충하기 위해서 재차 주액 조작을 행하고 눈에 적하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과도한 주액 조작과 액체를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기 흡입용 밸브로부터의 액체의 누설이나, 외기 흡입에 따른 미생물 등에 의한 액체 수용부 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주액 시를 제외하고는, 용기 내외에서 압력 차이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액체 수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수용 용기의 제1 특징 구성은,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부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개봉 상태에서 액체의 유출을 허용하는 주액부가 설치된 액체 수용 용기에서, 상기 용기 본체의 저면에 필터 부재와, 외부로부터의 공기의 유입을 허용하면서 외부로 액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 밸브를 구비한 통기 수단을 설치하는 것이며, 그 작용 효과는 이하와 같다.
예를 들면, 용기 본체의 보디부를 가압하여 용기 본체의 용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액체를 외부 유출시키는 용기의 경우, 원하는 양만큼의 액체를 외부 유출시킨 후, 용기 본체의 가압이 중지되면, 용기 본체 자체의 복원성 등에 의해 용기의 형상이 액체를 외부 유출하기 전 상태로 되돌아오려고 한다. 이 때, 용기 본체 내부는 부압(negative pressure)이 작용하며, 유출한 액체만큼의 외부 공기가 통기 수단으로부터 액체 수용부 내부에 유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 부재와 역류 방지 밸브를 구비한 통기 수단은 용기 본체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주액부의 반대 측에 설치하게 된다. 그러므로, 주액 시에 주액구는 하향이 되고, 이 상태를 유지하며서 주액 후의 외기 흡입이 행해지면, 액체 수용부에 있는 액체와 통기 수단은 접하지 않기 때문에, 통기 수단으로부터 액체가 누설될 우려는 없다.
또한, 통기 수단은, 필터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필터 부재는, 외부 공기에 포함되는 미생물 등의 오염원의 침입을 허용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통기 수단으로부터 흡입된 외부 공기가 필터 부재를 경유함으로써, 액체 수용부 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통기 수단은, 외부로부터의 공기의 유입을 허용하면서 외부로 액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 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역류 방지 밸브에서 외부 공기의 유입을 행하여 용기 내외의 압력이 평형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상기 역류 방지 밸브는 액체의 유출을 방지하기 때문에, 보관 시 등에, 통기 수단으로부터 액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점안구와 같이, 주액구 근방에 통기 수단을 설치하여 구성하면, 상기 통기 수단과 주액구의 위치 관계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므로, 상기 통기 수단은 크기 등이 설계상의 제약을 받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용기 본체의 저면에 필터 부재와 역류 방지 밸브를 구비한 통기 수단을 설치하여 구성하면, 용기 본체의 저면의 크기의 범위 내에서, 필터 부재와 역류 방지 밸브의 크기 등에 설계상의 제약을 덜 받게 된다. 즉, 통기 수단의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지므로, 액체 수용 용기의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액체 수용 용기는 용기 본체의 저면에 통기 수단이 설치되므로, 통기 수단의 중량이 증가된 만큼 액체 수용 용기의 중심은 용기 본체의 저면 측으로 이동한다. 그러므로, 통기 수단을 주액구 근방에 설치할 때와 비교하면, 용기 본체의 저면을 바닥면에 접촉시켜서 액체 수용 용기를 바닥면에 세울 때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진동 등에 의해 액체 수용 용기가 쉽게 넘어지기 않기 때문에, 보관에 적합한 구성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수용 용기의 제2 특징 구성은, 상기 통기 수단이, 바닥면과 접하면서 용기 본체를 지지하는 받이부를 가지는 것이며, 그 작용 효과는 이하와 같다.
즉, 통기 수단이, 바닥면과 접하면서 용기 본체를 지지하는 받이부를 가지면, 받이부와 바닥면을 접촉시켜서 액체 수용 용기를 바닥면에 세울 때는, 바닥면과 액체 수용 용기의 접촉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균형을 유지하면서 액체 수용 용기를 바닥면에 세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수용 용기의 제3 특징 구성은, 상기 통기 수단을 덮는 저면 캡을 설치되어 있는 것이며, 그 작용 효과는 이하와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기 수단을 덮는 저면 캡이 설치되어 있으면, 외부로부터의 압력 변동이 직접 통기 수단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 된다. 그러므로, 통기 수단에 대해서 어떠한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통기 수단으로부터 액체 수용부로 외기가 유입될 우려가 거의 없어져서, 이와 같은 압력 변동으로 인하여 액체 수용부의 압력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저면 캡 장착 시에는 용기 내외에 압력 차이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주액 시를 제외할 때에 상승한 압력이 주액 시에 주액부로부터 개방되면서 액체 수용부 내의 액체가 세차게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주액 시에, 다시 주액 조작을 행하거나, 액체를 낭비하지 않게 된다. 또한, 저면 캡 장착 시에는, 통기 수단을 양호하게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수용 용기의 제4 특징 구성은, 상기 저면 캡이 상기 용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면 캡은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해서 절취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며, 그 작용 효과는 이하와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면, 예를 들면, 블로우 성형이나 진공 성형 등으로 액체 수용 용기를 형성하면, 저면 캡을 용기 본체와 같은 패러슨(parison)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저면 캡을 설치한 액체 수용 용기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저면 캡은 용기 본체에 대해서 절취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으므로, 저면 캡을 절취하여 제거하면 통기 수단이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저면 캡은, 예를 들면 절취선을 따라서 간편하게 절취하여 제거할 수 있으므로, 저면 캡이 일그러진 형상으로 제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사용 시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한편, 사용자가 일부러 저면 캡을 절취하여 제거하지 않는 한, 통기 수단은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므로, 운송 중 등에 갑자기 저면 캡이 벗겨질 우려는 거의 없게 된다. 따라서, 액체 수용 용기를 사용하기 전에, 통기 수단을 양호하게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수용 용기의 제5 특징 구성은, 상기 역류 방지 밸브가, 단부에서 서로 접촉 가능한 한쌍의 판형 부위를 가지는 동시에, 상기 한쌍의 판형 부재 단부끼리의 접촉에 의하여 폐색(閉塞)되거나, 혹은, 상기 한쌍의 판형 부재의 단부끼리의 이격에 의해 개구되도록 구성하고 있는 덕빌(duckbill)형인 것이며, 그 작용 효과는 이하와 같다
여기서, 용기 본체를 가압 조작하여 액체 수용 용기로부터 액체를 유출시키는 형태의 용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 때, 역류 방지 밸브를 전술한 덕빌형으로 형성하면, 상기 역류 방지 밸브는, 단부에서 서로 접촉 가능한 한쌍의 판형 부위를 가지므로, 각 판형 부위는 각각 테이퍼면을 가진다.
그러므로, 평소에는 액체의 유출 조작을 하지 않고, 각 판형 부위의 단부끼리의 접촉에 의해 폐색된 상태가 되어 있다(닫힌 상태).
그리고, 용기 본체를 가압 조작중에는, 용기 본체 내부가 정압(positive pressure)이 되고, 외부 공기는 액체 수용부 내부로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유입되 외부 공기의 압력이 각 테이퍼 면의 내측(도 1: l04a, b)에 작용하지 않고, 각 테이퍼 면의 단부끼리 접촉은 해제되지 않는다(닫힌 상태: 도 1).
그러므로, 용기 본체를 가압 조작하여 액체를 유출하고 있는 동안에는, 통기 수단으로부터 약액이 유출되거나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된다.
한편, 가압 조작을 중지하면, 용기 본체 자체의 복원성 등에 의해 형상이 액체를 외부 유출하기 전의 상태에 돌아오려고 한다. 이 때, 용기 본체 내부는 부압(negative pressure)이 된다. 이 때,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압력이 각 테이퍼 면의 내측으로 작용하여 단부끼리의 접촉이 해제되고(도 2), 통기 수단은 열린 상태가 된다. 이같이 하여 유출된 액체의 분량만큼 외부 공기가 액체 수용부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5 특징 구성에 기재된 액체 수용 용기라면, 역류 방지 밸브가 덕빌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액체 유출 시에 용기 본체를 가압 조작할 때(용기 본체 내부는 정압)에는, 역류 방지 밸브를 닫힌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유출 후, 용기 본체의 가압 조작을 정지하여 용기 본체의 형상이, 액체가 유출하기 전의 상태에 돌아오려고 할 때(용기 본체 내부는 부압)에는,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압력을 적절하게 이용하여 역류 방지 밸브를 열린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액체 유출의 유무에 따라, 적절한 타이밍에서 외부 공기의 유입을 허용하고, 외부로 액체가 유출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역류 방지 밸브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수용 용기의 제6 특징 구성은, 상기 용기 본체에 장착 가능한 동시에, 미개봉 상태의 상기 주액부를 개봉 가능한 개봉 부재와, 외부로 액체가 유출되는 것을 허용하고, 외부로부터의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는 밸브 부재를 구비한 캡을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캡을, 액체를 수용한 미개봉의 용기 본체에 장착하여, 개봉 부재에 의해 밀봉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한편, 개봉 부재에 의한 주액부의 개봉 시까지 확실하게 용기 본체의 밀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은, 외부로 액체가 유출되는 것을 허용하면서, 외부로부터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밸브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원하는 양의 액체를 외부로 유출시킨 후에는, 외부 공기가 용기 본체 내로 유입하는 경로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 개봉 후에 외부의 공기에 포함되는 미생물 등이 점안 용기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용기 개봉 후에 용기 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액체 수용 용기(점안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열린 상태의 통기 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점안 용기 A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점안 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A: 점안 용기 10: 용기 본체
12: 액체 수용부 61a: 주액구
100: 통기 수단 103:역류 방지 밸브
101: 필터 부재 110: 저면 캡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액체 수용 용기로서, 주로 의료용에 사용되는 점안구 X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상기 점안구 X는, 액체로서 주로 의료용 점안액 등의 약액을 수용 가능한 용기 본체(10)를 가지는 점안 용기 A와, 점안 용기 A에 착탈 가능한 캡 B로 구성되어 있다.
점안 용기 A로서,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약액을 수용하는 액체 수용부(12)를 가지는 용기 본체(10)에 주액 통부(6)를 형성하고, 주액 통부(6)의 선단에 주액부(주액구)(61a)를 설치한 것을 예시한다. 상기 점안 용기 A는, 예를 들면, 블로우 성형이나 진공 성형 등에 의해 용기 본체(10)와 주액 통부(6)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점안 용기 A는, 원형상의 저부(1)와, 그 주위 에지로 이어지는 중공 원통형의 보디부(2)와, 상기 보디부(2)의 숄더 부분(2a)에 연속하는 원통형의 넥 부(3)와, 넥 부(3)의 위쪽으로 연속하는 주액 통부(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주액 통부(6)의 외주에는, 수나사(6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액 통부(6)의 선단에 중간마개부를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전술한 방법은, 블로우 성형이나 진공 성형 등에 의하여 주액 통부(6)에 직접주액구(61a)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제조 비용이 낮아지는 등의 이유에 의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중간마개부는 외부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주액 통부(6)에 밀착되도록 장착된다.
점안 용기 A의 구성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열가소성 재료 등이 있고, 성형된 점안 용기 A 전체가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캡 B는, 점안 용기 A의 수나사(6a)에 착탈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적용 가능하다(자세한 것은 후술). 이 때, 점안구 X를 개봉하기 전의 밀봉 상태의 확실한 유지, 점안구 X를 개봉 후에 액체 수용부(12)에 수용되어 있는 약액의 누설 방지, 또는, 외부의 공기에 포함되는 미생물 등이 점안 용기 A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액체 수용부(12) 내부의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형태이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점안 용기 A는 용기 본체(10)의 저면에 통기 수단(100)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통기 수단(100)은, 필터 부재(101)와, 외부로부터의 공기의 유입을 허용하면서 외부로 약액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 밸브(103)를 설치하고 있다. 통기 수단(100)은, 용기 본체(10)의 저면에 개구시킨 개구부(102)에 장착한다.
이와 같이 통기 수단(100)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역류 방지 밸브(103)에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고, 용기 내의 압력과 외부의 압력이 평형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즉, 점안 동작 시에는, 점안 용기 A(용기 본체(10))의 보디부(2)를 2개의 손가락끝으로 파지하여 보디부(2)를 용기의 축선 측으로 가압 조작하여 용기 본체(10)의 용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약액을 외부로 유출시킨다. 원하는 양의 액체를 외부로 유출시킨 후, 용기 본체(10)의 가압을 중지하면, 용기 본체(10) 자체의 복원성 등에 의해 형상이 액체를 외부 유출하기 전의 상태로 돌아오려고 한다. 이 때, 용기 본체(10)의 내부의 압력은 음압이 되어서, 유출한 액체의 분량만큼 외부 공기가 통기 수단(100)으로부터 액체 수용부(12)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필터 부재(101)는, 예를 들면, 역류 방지 밸브(103)의 외측에 설치할 수 있으며, 외부 공기에 포함되는 미생물 등의 오염원의 침입을 허용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면, 통기 수단(100)으로부터 빨려 들여가는 외부 공기는 처음에 필터 부재(101)를 경유하므로, 점안 용기 A의 밀봉이 해제된 다음에도, 용기 본체(10) 내에 있는 약액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류 방지 밸브(103)는 외부로부터의 공기의 유입을 허용하면서 외부로 액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역류 방지 밸브(103)에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용기 본체(10) 내의 압력과 외부의 압력이 평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통기 수단(100)은, 바닥면과 접하는 동시에, 용기 본체(10)를 지지하는 받이부(105)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점안 용기 A를 바닥면에 세울 때는, 균형을 유지하면서 점안 용기 A를 바닥면에 세울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점안 용기 A는 탄성 변형 가능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만약, 용기 본체(10)의 저면의 형상이 변형되어 있는 경우라도, 통기 수단(100)이 받이부(105)를 가지면, 점안 용기 A를 안정적으로 바닥면에 세울 수 있다.
또한, 통기 수단(100)을 덮는 저면 캡(110)이 설치되어 있다. 즉, 저면 캡(110) 장착 시에는, 외부로부터의 압력 변동이 직접 통기 수단(100)에 이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통기 수단(100)에 대해서 어떠한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통기 수단(100)으로부터 액체 수용부(12)에 외기가 유입될 우려가 없고, 이와 같은 압력 변동을 원인으로 한 액체 수용부(12)의 압력 상승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저면 캡(110) 장착 시에는, 통기 수단(100)을 양호하게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주액하지 않을 때에 상승한 압력이 주액 시에 주액구(61a)로부터 개방되고, 액체 수용부(12)에 있는 약액이 세차게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 되고, 재차 주액 조작을 행하거나, 액체의 낭비가 생기지 않게 된다.
즉, 통기 수단(100)을 덮는 저면 캡(110)을 형성함으로써, 용기 본체(10)의 내외에 압력차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저면 캡(110)은 용기 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면 캡(110) 은 용기 본체(10)에 대해서 절취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용기 본체(10)와 저면 캡(110)의 경계는, 예를 들면, 절취선 등으로 이루어지는 절취부(12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예를 들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블로우 성형이나 진공 성형 등에 의해 용기 본체(10)를 형성할 때, 저면 캡(110)을 용기 본체(10)와 같은 패러슨(parison)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저면 캡(110)을 설치한 용기 본체(10)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저면 캡(110)은 용기 본체(10)에 대해서 절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점안구 X를 개봉한 후에 저면 캡(110)을 잘라내서 제거하면 통기 수단(100)이 노출되는 구성이 된다. 이 때, 저면 캡(110)은 미싱눈 등의 절취부(120)를 따라서 간편하게 절취하여 제거할 수 있으므로, 저면 캡(110)이 찌그러진 형상으로 제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시에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일부러 저면 캡(110)을 잘라내어 제거하지 않는 한 통기 수단(100)은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점안구 X의 수송중 등에 갑자기 저면 캡(110)이 벗겨질 우려는 거의 없어진다. 따라서, 점안구 X를 사용하기 전에, 통기 수단(100)을 양호하게 보호할 수 있다.
역류 방지 밸브(103)는, 단부에서 서로 접촉 가능한 한쌍의 판형 부재(103a, b)를 가지고, 상기 한쌍의 판형 부재(103a, b)의 단부끼리 접촉에 의해 폐색하고, 또한, 한쌍의 판형 부재(103a, b)의 단부끼리 이격되면 개구되도록 구성되는 덕빌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쌍의 판형 부재(103a, b)는, 각각의 단부에서 서로 접촉되는 테이퍼형으로 구성하고 있다. 그러므로, 각 판형 부재(103a, b)는 각각 테이퍼면(104a, b)을 가진다.
점안 조작을 하지 않을 때는, 각 판형 부재(103a, b)의 단부끼리 접촉되어 폐색된 상태가 되어 있다(닫힌 상태).
한편, 점안 동작 시에는, 점안 용기 A(용기 본체(10))의 보디부(2)를 2개의 손가락끝으로 파지하여 보디부(2)를 용기 축선 측으로 가압 조작한다. 이 가압 조작에 의해 점안 용기 A의 내부의 압력은 정압이 되므로, 약액이 주액구(61a)로부터 유출되어 적하 투여된다.
약액을 적하 투여한 후, 가압 조작을 중지하면 점안 용기 A 자체의 복원성 등에 의해 약액을 적하 투여하기 전의 형상으로 돌아오려고 한다. 이 때, 점안 용기 A의 내부의 압력은 음압이 되어 투여한 약액의 분량만큼 외부 공기가 액체 수용부(12) 내부로 유입된다.
여기서, 점안 용기 A(용기 본체(10))의 보디부(2)를 가압 조작하고 있는 동안은, 점안 용기 A 내부가 정압이 된다. 이 때, 외부 공기는 액체 수용부(12) 내부로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외부 공기의 압력이 각각의 판형 부재(103a, b)의 내측의 테이퍼면(104a, b)(필터 부재(101) 측)에 작용하지 않고, 각 판형 부재(103a, b)의 단부끼리의 접촉은 해제되지 않는다(닫힌 상태가 되어 있다: 도 1 참조). 그 러므로, 점안 용기 A의 보디부(2)를 가압 조작하여 약액을 적하 투여하고 있는 동안에는, 통기 수단(100)으로부터 약액이 유출되거나, 및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않는다.
한편, 가압 조작을 중지하면, 투여한 약액의 분량만큼 외부 공기가 액체 수용부(12) 내부에 유입되려고 한다. 이 때, 필터 부재(101)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개구부(102)를 통과하면,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압력이 각 테이퍼면(104a, b)에 작용한다. 이 때, 각 판형 부재(103a, b)의 단부끼리의 접촉이 해제 된다. 그리고, 이 때 통기 수단(100)은 열린 상태가 되고(도 2 참조), 외부 공기가 외기 흡입공(105)으로부터 액체 수용부(12)의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역류 방지 밸브(103)를 전술한 덕빌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약액 투여시에 점안 용기 A의 보디부(2)를 가압 조작할 때(점안 용기 A 내부는 정압이 될 때)에는, 통기 수단(100)을 닫힌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약액 투여 후, 점안 용기 A의 보디부(2)의 가압 조작을 중지하여 점안 용기 A의 형상이 약액을 적하 투여하기 전 상태에 돌아오려고 할 때(점안 용기 A의 내부의 압력은 부압이 될 때)에는,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압력을 적절하게 이용하여 통기 수단(100)을 열린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점안 동작에 맞추어서, 적시에 외부 공기의 유입을 허용하면서 외부로 약액이 유출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역류 방지 밸브(103)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점안 용기 A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하에서 점안 용기 A에 장착하는 캡 B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캡 B는 점안 용기 A의 수나사(6a)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하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캡 B는, 미개봉 상태의 주액부(61a)를 개봉할 수 있는 개봉 부재와, 외부로 액체가 유출되는 것을 허용하면서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밸브 부재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액을 수용 가능한 점안 용기 A에 장착 가능한 기본 부재(7)와, 상기 기본 부재(7)에 장착 가능한 오버 캡(8)을 구비한다. 오버 캡(8)에는, 기본 부재(7)에 대해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기본 부재(7)에 삽입 유지되고, 그 측면에 약액을 외부로 안내하는 홈부(9a)를 가지는 동시에, 점안 용기 A의 밀봉 상태를 해제하는 오버 캡(8)에 의해 점안 용기 A의 측으로 압입 가능한 압입 부재(개봉 부재)(9)와, 압입 부재(9)에 대해 바깥쪽으로부터 밀접한 상태에서 기본 부재(7)의 선단 부분(77)에 설치한 제1 밀접 부재(밸브 부재(11))와, 기본 부재(7)의 내주측에 설치되어 있고, 압입된 압입 부재(9)와 밀접 가능한 제2 밀접 부재(13)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오버 캡(8)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례로서, 캡체(8a)와, 상기 캡체(8a)로부터 절취되는 절취부(8b)로 형성되고, 절취부(8b)를 제거한 후, 캡체(8a)를 압입하였을 때(도 2 참조), 캡체(8a)가 압입 부재(9)를 점안 용기 A의 측으로 압입함과 동시에, 캡체(8a)가 기본 부재(7)에 접촉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기본 부재(7)를, 제1 기본 부재(7a)와 제2 기본 부재(7b)로 구성할 수 있다.
점안구 A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점안 용기 A는 밀봉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도 1), 캡 B의 압입 부재(9)(개봉 부재)를 압입하는 조작을 행하지 않으므로, 용기 개봉 전의 약액과 외부 공기의 접촉이 방지되어, 미사용 시에 점안 용기 A의 밀봉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압입 부재(9)를 압입하는 조작에 의해, 압입 부재(9)는 점안 용기 A에 끼워지고(즉, 미개봉 상태의 주액부(61a)를 개봉), 확실하게 점안 용기 A의 밀봉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도 2).
그리고, 밀봉 상태 해제 후에 점안 용기 A로부터 유출된 액체는, 압입 부재(9)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부(9a)에 의해 외부로 안내된다. 이때, 기본 부재(7)의 내주 측에 설치되어 있는 제2 밀접 부재(13)는 압입 부재(9)와 밀접하므로, 약액이 홈부(9a) 이외의 경로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 시에 용기 본체(10)로부터의 약액 누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기본 부재(7)의 선단부분(77)에 설치되고, 압입 부재(9)에 대해 바깥쪽으로부터 밀접 상태에 있는 제1 밀접 부재(11)(밸브 부재)와 압입 부재(9)는, 홈부(9a)에 의해 안내되는 약액의 압력에 의해 용이하게 이격되고, 약액을 외부로 유출 시킬 수 있으므로, 약액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원하는 양만큼의 약액을 외부로 유출시킨 후에는, 제1 밀접 부재(11)는, 다시 압입 부재(9)에 대해 바깥쪽으로부터 밀접 상태가 되어, 외부 공기가 용기 본체(10) 내로 유입되는 경로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점안 용기 A를 개봉한 후에 외부의 공기에 포함되는 미생물 등이 점안 용기 A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점안 용기 A를 개봉한 후, 용기내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캡 B의 구성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포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열가소성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점안구 X의 점안 용기 A의 제조 방법을 기재한다.
점안 용기 A는, 예를 들면 블로우 성형이나 진공 성형에 의해 제작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블로우 성형, 약액 충전, 용기 폐색의 일관 시스템인 BFS(blow-fill-seal)법에 의해 저면 캡(110)과 점안 용기 A(용기 본체(10))를 일체로 형성하는 예를 예시한다(도 3 참조).
(a) 보디부(2)와 주액 통부(6)를 성형하는 한쌍의 주성형금형(41)과, 저면 캡(110)을 성형하는 동시에, 통기 수단(100)을 용기 본체(10)에 코킹(calking)하여 일체화 가능한 한쌍의 부성형금형(42)을 열린 상태로 한다. 이들 상부에 배치한 압출 헤드(43)로부터 중공 원통형의 패러슨(44)을 밀어내어, 양 성형형(41-42)의 사이에 배치한다.
(b) 주성형금형(41)을 닫음과 동시에 노즐(45)로부터 압축 공기를 불어서, 패러슨(44)을 팽창시킴으로써, 보디부(2)에서 주액 통부(6)를 성형한다.
(c) 노즐(45)에 의해 소정량의 약액을 충전한다.
(d) 설치 노즐(46)에 의해 별도의 공정에서 제조한 통기 수단(100)을 소정 위치(점안 용기 A의 저면 위치)에 위치시킨다.
(e) 설치 노즐(46)을 상승시킨 후, 부성형금형(42)을 닫아서 통기 수단(100) 을 용기 본체(10)에 코킹하여, 저면 캡(110)을 성형한다.
(f) 주성형금형(41)과 부성형금형(42)를 열어서, 점안 용기 A를 인출한다.
용기 본체(10)와 저면 캡(110)의 경계는, 저면 캡(110)을 절취하여 제거하기 용이하도록, 예를 들면 얇게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저면 캡(110)을, 용기 본체(10)와 같이 패러슨(44)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저면 캡(110)을 설치한 용기 본체(10)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부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개봉 상태에서 액체의 유출을 허용하는 주액부가 설치된 액체 수용 용기에 적용할 수 있고, 상기 액체 수용 용기는, 의료용 점안액을 수용하는 의료용 점안구로서 이용 가능하다.

Claims (6)

  1.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부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개봉 상태에서 액체의 유출을 허용하는 주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저면에, 필터 부재와, 외부로부터의 공기의 유입을 허용하고, 외부로 액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 밸브를 구비한 통기 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용기 본체에 장착할 수 있는 동시에, 미개봉 상태의 상기 주액부를 개봉 할 수 있는 개봉 수단과, 외부로의 액체의 유출을 허용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공기의 유입을 저지하는 밸브 수단을 구비한 캡을 설치하고,
    상기 밸브 수단이, 상기 개봉 수단에 대해 바깥쪽으로부터 밀접(密接) 상태에 있을 때에는 외부로부터의 공기의 유입을 저지하고, 액체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개봉 수단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 있을 때에는 외부로의 액체의 유출을 허용하는,
    액체 수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수단은, 바닥면과 접하면서 용기 본체를 지지하는 받이부를 가지는, 액체 수용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수단을 덮는 저면 캡이 설치되어 있는, 액체 수용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 캡이 상기 용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면 캡은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해서 절취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액체 수용 용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 방지 밸브가, 단부에서 서로 접촉 가능한 한쌍의 판형 부재를 가지고, 상기 한쌍의 판형 부재의 단부끼리 접촉되면 폐색되고, 또한 상기 한쌍의 판형 부재의 단부끼리 이격되면 개구되도록 구성되는 덕빌(duckbill)형 구조인, 액체 수용 용기.
  6. 삭제
KR1020067012812A 2003-12-26 2004-12-24 저면 필터를 가지는 액체 수용 용기 KR101172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34140 2003-12-26
JPJP-P-2003-00434140 2003-12-26
PCT/JP2004/019307 WO2005063165A1 (ja) 2003-12-26 2004-12-24 底面フィルタ付液体収容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5929A KR20070005929A (ko) 2007-01-10
KR101172322B1 true KR101172322B1 (ko) 2012-08-14

Family

ID=34736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2812A KR101172322B1 (ko) 2003-12-26 2004-12-24 저면 필터를 가지는 액체 수용 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32594B2 (ko)
EP (1) EP1698317B1 (ko)
KR (1) KR101172322B1 (ko)
CN (1) CN100415196C (ko)
CA (1) CA2551675C (ko)
ES (1) ES2425166T3 (ko)
WO (1) WO20050631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73358B1 (fr) * 2004-07-20 2006-11-10 Sivel Soc Civ Ile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istribution d'un produit avec flacon filtre sterile muni d'un embout
US8466180B2 (en) 2006-09-11 2013-06-18 Syngenta Crop Protection Llc Insecticidal compounds
US8684601B2 (en) * 2007-03-02 2014-04-01 Poppack, Llc Storage apparatus with a breachable flow conduit for discharging a fluid stored therein
GB0720288D0 (en) * 2007-10-12 2007-11-28 Videojet Technologies Inc Container and method for liquid storage and dispensing
FR2928901B1 (fr) * 2008-03-21 2010-03-12 Seriplast Flacon destine a contenir un produit liquide ou pateux
CA2841189C (en) * 2011-11-25 2018-05-15 Hoffmann Neopac Ag Insert for a drop dispensing tube spout
JP6373734B2 (ja) * 2014-11-21 2018-08-15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バルブ一体型容器、それを備えた液体取出装置、およびバルブ一体型容器の製造方法
WO2018205568A1 (zh) * 2017-05-08 2018-11-15 安徽铭装塑业有限公司 保鲜瓶
CN111279161A (zh) * 2017-11-02 2020-06-12 豪夫迈·罗氏有限公司 液滴分配装置及***
CN111615409A (zh) 2017-11-17 2020-09-01 科斯卡家族有限公司 用于流体输送歧管的***和方法
FR3080844B1 (fr) * 2018-05-07 2020-06-05 Horus Pharma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istribution d'un produit avec flacon et embout doseur muni d'un filtre
US10945881B1 (en) * 2019-12-19 2021-03-16 Paolo Gobbi Frattini S.R.L. Plural-use drop-by-drop dispenser for sterile liquid product, particularly for collyrium or other medicinal product or medical device
CN111982639A (zh) * 2020-09-04 2020-11-24 贵州美鑫达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快速自动染片机分液的装置及其使用方法
FR3110898B1 (fr) * 2020-05-27 2024-03-15 Coradin Sas Ensemble compose d’un recipient pour un fluide et d’un emballage distributeur
DE202021004191U1 (de) 2020-12-17 2023-01-09 Günter Faßbender Trinkflasche mit einer selbsttätigen Belüftungsvorrichtung, selbsttätige Belüftungsvorrichtung für eine Trinkflasche
USD992110S1 (en) 2021-08-10 2023-07-11 Koska Family Limited Sealed fluid contain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3576A (ja) 2001-06-15 2003-03-05 Taisei Kako Co Ltd 分与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87239A (en) 1958-03-21 1959-05-19 John A Reed Nursing bottle
JPS3911991Y1 (ko) 1962-08-27 1964-05-07
DE2434046C3 (de) * 1974-07-16 1979-10-18 Lothar 7500 Karlsruhe Schwarz Nadelhalterung für medizinische Spritzen
US4002168A (en) * 1975-04-24 1977-01-11 Tor Petterson Method of, and dispenser for introducing an opthalmic product into the occular cavity
JPS51146789A (en) * 1975-04-24 1976-12-16 Harii Petaason Toa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introducing eye lotion into eye
SE8703669L (sv) 1987-09-23 1989-03-24 Svecia Silkscreen Maskiner Ab Saett att i en flerfaergsstenciltryckmaskin kunna orientera ett material foer raett tryckning i resp trycklaege
US5186559A (en) * 1991-07-17 1993-02-16 Fu Peter P Cooking sauce dispenser and stand
JPH0698621B2 (ja) 1992-06-30 1994-12-07 日機装株式会社 ロールシート切断装置
JP2560817Y2 (ja) * 1992-08-04 1998-01-26 トーメ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眼科用容器
WO1997005436A1 (en) * 1995-07-26 1997-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ter dispenser of refrigerator
CN2400108Y (zh) * 1999-12-23 2000-10-11 侯湘波 一次性无污染眼药水瓶
JP3911991B2 (ja) 2000-09-28 2007-05-09 株式会社ナリス化粧品 活性酸素消去剤および化粧料
FR2816600B1 (fr) * 2000-11-13 2003-03-21 Michel Faurie Dispositif distributeur de liquides goutte a goutte
JP2003126218A (ja) 2001-10-19 2003-05-07 Ohtsu Tire & Rubber Co Ltd :The 薬液容器
KR100439432B1 (ko) * 2001-11-19 2004-07-09 주식회사 크로버 이중마개용 물통지지분배장치
US6827492B2 (en) * 2001-12-05 2004-12-07 Leland B. Cook One-way concealed-valve vented storage bag
EP1500603B1 (en) 2002-04-30 2011-06-08 Yoshino Kogyosho Co., Ltd. Pouring container
AU2003280622A1 (en) 2002-10-31 2004-05-25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Contamination preventing cap
JP4371773B2 (ja) 2002-10-31 2009-11-25 参天製薬株式会社 汚染防止キャップ
US7150376B2 (en) * 2003-11-06 2006-12-19 Chang-Keng Tsai Double-layered fluid contai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3576A (ja) 2001-06-15 2003-03-05 Taisei Kako Co Ltd 分与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51675A1 (en) 2005-07-14
EP1698317B1 (en) 2013-05-22
EP1698317A4 (en) 2011-09-21
US7832594B2 (en) 2010-11-16
EP1698317A1 (en) 2006-09-06
CN100415196C (zh) 2008-09-03
US20070145076A1 (en) 2007-06-28
ES2425166T3 (es) 2013-10-11
CA2551675C (en) 2013-01-29
KR20070005929A (ko) 2007-01-10
WO2005063165A1 (ja) 2005-07-14
CN1901872A (zh) 200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2322B1 (ko) 저면 필터를 가지는 액체 수용 용기
EP1500602B1 (en) Dispensing container
US20070158292A1 (en) Vented container
WO2013168244A1 (ja) 液体容器の口栓
US7114635B2 (en) Contamination preventive cap
JP5961452B2 (ja) 吐出容器
JP6400398B2 (ja) 逆止弁付きキャップ
US20090151807A1 (en) Container Insert for Zero Headspace
JP5936933B2 (ja) 液体容器の口栓
US20170320635A1 (en) Double container for high-viscosity liquid
JP6710468B2 (ja) 吐出容器
JP6366518B2 (ja) スクイズフォーマー容器
JP4463094B2 (ja) 底面フィルタ付液体収容容器
EP2296994B1 (en) Container insert for reducing headspace
CN212710539U (zh) 一种双层瓶
JP4255341B2 (ja) 汚染防止キャップ
JP5066297B1 (ja) 液体容器の口栓
CN113682637A (zh) 自密封控量式液体包装瓶
BG64821B1 (bg) Капачка за бутилка за вино
JP2005103153A (ja) 薬液容器
EP1988028A1 (en) Sealing cap
RU184094U1 (ru) Емкость для хранения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жидкостей, находящихся под давлением
JP5290839B2 (ja) ブロー成形薄肉ボトル
AU2022281993A1 (en) Container closure
CN112027300A (zh) 一种双层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