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0324B1 - 도로용 빗물 저류조시설 - Google Patents

도로용 빗물 저류조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0324B1
KR101170324B1 KR1020120019545A KR20120019545A KR101170324B1 KR 101170324 B1 KR101170324 B1 KR 101170324B1 KR 1020120019545 A KR1020120019545 A KR 1020120019545A KR 20120019545 A KR20120019545 A KR 20120019545A KR 101170324 B1 KR101170324 B1 KR 101170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fork
rotating
fence
ch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윤호
Original Assignee
(주)천마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천마기술단 filed Critical (주)천마기술단
Priority to KR1020120019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03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3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sediment trap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9/00Arrangements or fixed installations methods or devices for cleaning or clearing sewer pipes, e.g. by flus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량에 한계를 갖는 도로의 하수시설을 보완하기 위해 도로 지하에 저류조를 두고, 저류조로 유입되는 각종 부유물을 주기적으로 걸러내어 빗물의 저류조 유입을 원활하게 한 도로용 빗물 저류조시설에 관한 것으로, 도로로 유입된 빗물(W)을 저류조(22)로 안내하기 위한 콘크리트배수로(24)와; 콘크리트배수로(24)의 단부에 설치되는 사각문틀(30)과; 사각문틀(30) 안쪽에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록 수직으로 설치되어 창살의 역할을 겸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샤프트(31)와; 사각문틀(30)의 좌우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승강스크류(32)(33)와; 승강스크류(32)(33)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승강모터(M1)와; 양측 승강스크류(32)(33)의 상단부에 설치된 스프로킷휠(34)(35)에 감겨서 승강스크류(32)(33)를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한 엔드리스 형태의 체인(36)과; 승강모터(M1)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을 승강스크류(32)(33)로 전달하기 위한 베벨기어(37)(38)와; 가이드샤프트(31)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는 슬라이드부시(51)가 후단부에 설치되고 좌우측에는 승강스크류(32)(33)에 결합되어 이송되는 이송너트(52)(53)가 설치되며 콘크리트배수로(24)의 바닥면(24f)에 형성된 포크수용실(25)로부터 소정높이로 승강운동하는 외팔보 형태의 승강포크(50)와; 승강포크(50) 사이사이에 위치되어 승강포크(50)에 의해 상승된 부유쓰레기(B)를 하기의 슈트(61)를 통해 컨베이어벨트(70)로 옮기기 위한 회전포크(60)와; 회전포크(60)로부터 이송되는 부유쓰레기(B)를 하기의 컨베이어벨트(70)로 안내하기 위해 경사진 슈트(61)와; 회전포크(60)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감속기붙이서보모터(M2)와; 슈트(61)로부터 미끄러져 이송된 부유쓰레기(B)를 콘크리트배수로(24)의 측벽(24s)에 형성되어 있는 쓰레기배출구(26)를 통해 외부로 반출하기 위한 컨베이어벨트(70)와; 승강포크(50)의 상승시 콘크리트배수로(24)로부터 유입되는 부유쓰레기(B)를 중간에서 임시로 차단하기 위한 기립차단펜스(80)와; 기립차단펜스(80)의 단부에 고정된 회동암(81)에 핀(82)으로 결합되어 기립차단펜스(80)를 콘크리트배수로(24)의 바닥면(24f)에 형성되어 있는 펜스수용실(27)에 수평하게 위치시키거나 수직으로 세우기 위한 유압실린더(9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도로용 빗물 저류조시설{Rain-water retaining facility for Road}
본 발명은 단시간에 많은 강수량을 갖는 게릴라성 집중호우시에 대비하기 위한 시설로서, 배수량에 한계를 갖는 도로의 하수시설을 보완하기 위해 도로 지하에 저류조를 두고, 저류조로 유입되는 각종 부유물을 주기적으로 걸러내어 빗물의 저류조 유입을 원활하게 한 도로용 빗물 저류조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배수시설은 우천시 도로 및 보도에 유입된 빗물을 배수하기 위한 것으로, 도로 측구에 마련되어 있으며, 집중호우시 단시간에 많은 양의 빗물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단위시간당 배수량이 유입량을 따라가지 못하므로 침수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도로 지하나 공터지하, 도로 주변 건물 등에 대량의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빗물저장탱크인 저류조를 두어 빗물을 우선 저장하여 두고, 저류조에 저장된 빗물을 간단히 정화하여 도로세척이나 조경수목에 물을 주는 관개용수로 사용하는 등 홍수대비와 수자원확보를 위해 점차 이용이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저류조시설은 첨부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10)로부터 지하에 빗물(11)을 담아 둘 수 있도록 된 저류조(12)로 이어지는 대형배수로(13)가 설치되어 있었고, 그 대형배수로(13)의 중간에는 빗물(11)과 함께 쓸려서 내려오는 부유쓰레기(14)를 걸려내기 위한 쇠창살(15)이 설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저류조시설은 쇠창살(15)에 부유쓰레기(14)가 걸려서 쌓이게 되면, 단위시간당 빗물(11) 배수량이 급격하게 떨어져 도로(10)가 침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유속이 매우 빠르고 대량의 빗물(11)이 유입되는 경우 부유쓰레기(14)를 치우기 위해 대형배수로(13)로 접근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저류조를 향해 빗물에 쓸려 내려오면서 배수로 중간에 걸린 부유쓰레기를 동력에 의해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거함으로써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도로용 빗물 저류조시설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로로 유입된 빗물을 저류조로 안내하기 위한 콘크리트배수로와; 콘크리트배수로의 단부에 설치되는 사각문틀과; 사각문틀 안쪽에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록 수직으로 설치되어 창살의 역할을 겸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샤프트와; 사각문틀의 좌우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승강스크류와; 승강스크류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승강모터와; 양측 승강스크류의 상단부에 설치된 스프로킷휠에 감겨서 승강스크류를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한 엔드리스 형태의 체인과; 승강모터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을 승강스크류로 전달하기 위한 베벨기어와; 가이드샤프트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는 슬라이드부시가 후단부에 설치되고 좌우측에는 승강스크류에 결합되어 이송되는 이송너트가 설치되며 콘크리트배수로의 바닥면에 형성된 포크수용실로부터 소정높이로 승강운동하는 외팔보 형태의 승강포크와; 승강포크 사이사이에 위치되어 승강포크에 의해 상승된 부유쓰레기를 하기의 슈트를 통해 컨베이어벨트로 옮기기 위한 회전포크와; 회전포크로부터 이송되는 부유쓰레기를 하기의 컨베이어벨트로 안내하기 위해 경사진 슈트와; 회전포크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감속기붙이서보모터와; 슈트로부터 미끄러져 이송된 부유쓰레기를 콘크리트배수로의 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쓰레기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반출하기 위한 컨베이어벨트와; 승강포크의 상승시 콘크리트배수로로부터 유입되는 부유쓰레기를 중간에서 임시로 차단하기 위한 기립차단펜스와; 기립차단펜스의 단부에 고정된 회동암에 핀으로 결합되어 기립차단펜스를 콘크리트배수로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펜스수용실에 수평하게 위치시키거나 수직으로 세우기 위한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도로용 빗물 저류조시설이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저류조를 향해 빗물에 의해 쓸려 내려오는 부유쓰레기를 승강포크에 의해 일정높이 들어올린 다음 회전포크와 슈트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외부로 반출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부유쓰레기를 동력에 의해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승강포크가 상승되면, 기립차단펜스가 세워지면서 콘크리트배수로의 중간에서 부유쓰레기만을 차단함으로써 승강포크가 하강되기전 포크수용실에 부유쓰레기가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승강포크를 상하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샤프트가 부유쓰레기를 걸러내는 창살기능을 겸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구성이 간단하여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도로용 저류조시설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종래 도로용 저류조시설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빗물 저류조시설을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도3의 상태로부터 승강포크가 상승되고 기립차단펜스가 세워진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부유쓰레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보인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빗물 저류조시설 전체 외관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배수로 내부에 설치된 주요부 구성을 콘크리트배수로를 제외한 상태로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포크의 작동을 보이기 이한 배면 하측에서 본 작동상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포크와 주변 구성을 보이기 위해 콘크리트배수로를 절개하여 보인 정면측 단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포크와 주변 구성을 보이기 위해 콘크리트배수로를 절개하여 보인 배면측 단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포크와 주변 구성을 보이기 위한 정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포크와 주변 구성을 보이기 위한 배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포크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립차단펜스가 눕혀진 상태를 보인 단면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립차단펜스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보인 단면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슈트를 밑에서 바라 본 분리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3 내지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로 유입된 빗물(W)을 저류조(22)로 안내하기 위한 콘크리트배수로(24)의 단부에 사각문틀(30)을 설치하고, 창살의 역할을 겸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샤프트(31)를 사각문틀(30) 안쪽에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록 수직으로 설치하며, 승강스크류(32)(33)를 사각문틀(30)의 좌우측에 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한다.
또, 승강스크류(32)(33)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승강모터(M1)와 일측의 승강스크류(32)(33) 사이에 상호 맞물린 베벨기어(37)(38)를 설치하여 승강모터(M1)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을 승강스크류(32)(33)로 전달한다.
또한, 양측 승강스크류(32)(33)의 상단부에 스프로킷휠(34)(35)을 설치하고, 그 스프로킷휠(34)(35)에 엔드리스 형태의 체인(36)을 감아서 양측의 승강스크류(32)(33)가 동시에 회전되어 좌우측에서 균일한 승강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또한, 승강스크류(32)(33)의 상부에는 플랜지(32a)(33a)를 설치하고 칼라(32b)(33b)를 설치하여 승강스크류(32)(33)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때 축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승강스크류(32)(33)는 사각문틀(30)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하여 지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승강모터(M1)는 예를 들어서 감속기어가 내장된 인덕션모터로 구성할 수 있으며, 사각문틀(30)의 상단 일측에 설치된 수평한 모터브래킷(40)에 설치한다.
상기 사각문틀(30)의 좌측부와 우측부 및 하부는 L형강을 절단하여 90도 맞대기 한 후 용접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부는 철판을 “L”으로 절곡한 후 용접한다.
또, 사각문틀(30)의 보강을 위해 후면 코너부분을 따라 여러 개의 보강리브(39)를 용접하며, 콘크리트배수로(24)의 단부에 사각문틀(30)을 고정하기 위한 앵커볼트(도시않됨)가 통과되는 관통구멍(30h)을 보강리브(39) 사이사이에 형성하고, 너트(도시않됨)에 의해 고정한다.
한편, 부유쓰레기(B)를 걸러낼 때는 콘크리트배수로(24)의 바닥면(24f)에 형성된 포크수용실(25)에 하강되어 있고, 부유쓰레기(B)를 제거하여야 하는 경우 소정높이로 상승되는 외팔보 형태의 승강포크(50) 후단부를 가이드샤프트(31)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는 여러 개의 슬라이드부시(51)에 설치한다.
또, 승강포크(50)는 후단부를 가로지르는 평철형태의 크로스바(54)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승강스크류(32)(33)에 결합되어 이송되는 이송너트(52)(53)를 승강포크(50)의 후단부에 설치하여 이송너트(52)(53)에 의해 승강포크(50)를 승강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승강포크(50) 사이사이에 위치되어 승강포크(50)에 의해 상승된 부유쓰레기(B)를 컨베이어벨트(70)로 옮기기 위한 회전포크(60)의 양단에 회전축(62)(63)을 설치하고, 이 회전축(62)(63)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64)(65)을 콘크리트배수로(24)에 형성된 측벽(24s)(24t)에 설치한다.
이때 베어링(64)(65)을 측벽(24s)(24t)의 외측에 위치시키고, 회전축(62)(63)이 측벽(24s)(24t)을 관통하도록 한다.
또, 회전포크(6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감속기붙이서보모터(M2)를 콘크리트배수로(24)의 측벽(24s) 외측에 설치하고, 감속기붙이서보모터(M2)의 모터축(100)과 회전포크(60)의 회전축(63)에 상호 맞물린 베벨구동기어(104)와 베벨전동기어(106)를 설치하여 감속기붙이서보모터(M2)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베벨구동기어(104)와 베벨전동기어(106)를 통해 회전포크(60)로 전달하도록 한다.
이때 회전포크(60)는 2가지 동작을 하게 되는데, 우선 승강포크(50)가 상승되기 전과 상승되는 동안 승강포크(50) 및 승강포크(50)에 얹힌 부유쓰레기(B)와 간섭되지 않도록 첨부도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포크(60)가 아래쪽으로 회전하여 수직으로 위치되며, 승강포크(50)가 상승한 후 승강포크(50)에 의해 올려진 부유쓰레기(B)를 컨베이어벨트(70)로 떨어뜨리기 위해 회전포크(60)가 상측으로 회전되면서 승강포크(50) 사이를 통과할 때 부유쓰레기(B)를 들어서 슈트(61)로 떨어뜨리는 동작을 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포크(60)의 동작은 감속기붙이서보모터(M2)에 내장된 엔코더(E)와 정역구동을 위한 모터드라이버(D) 및 각종 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서 구동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모터콘트롤러(C)에 의해 수행되며, 모터콘트롤러(C)에서는 승강포크(50)가 하강위치에 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여 승강포크(50)가 하강위치에 있는 것으로 판독되면, 감속기붙이서보모터(M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내장된 엔코더(E)에 의해 회전포크(60)의 회전방향과 회전각도를 검출하여 승강포크(50)가 아래쪽에 수직으로 위치되면 감속기붙이서보모터(M2)를 정지하게 된다.
또, 승강포크(50)가 상승위치에 있는 것으로 판독되면, 감속기붙이서보모터(M2)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승강포크(50)에 의해 견인된 부유쓰레기(B)를 들어서 슈트(61)를 향해 떨어뜨리게 된다.
또, 회전포크(60)로부터 떨어지는 부유쓰레기(B)를 컨베이어벨트(70)로 안내하기 위한 경사진 슈트(61)를 회전포크(60)와 컨베이어벨트(70) 사이에 설치하며, 이러한 슈트(61)의 고정은 슈트(61) 양단부에 90도 절곡부(68)(69)를 형성하고, 그 절곡부(68)(69)에 체결공(68a)(69a)을 형성한 후 쓰레기배출구(26)의 측벽(24s)(24t) 내측에 체결공(68a)(69a)과 중심이 일치되는 칼블럭(200)(201)을 박고 나사못(210)(211)으로 고정한다.
여기서 슈트(61)는 습한 곳에서 사용되므로 방식을 위해 강화플라스틱이나 스테인리스스틸로 구성할 수 있으며, 알루미늄판이나 일반 철로 된 금속판의 표면에 크롬도금하거나 합성수지코팅으로 처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슈트(61)로부터 미끄러져 이송된 부유쓰레기(B)는 컨베이어벨트(70)를 타고 이송되다가 콘크리트배수로(24)의 측벽(24s)에 형성되어 있는 쓰레기배출구(26)를 통해 외부로 반출된다.
이와 같은 컨베이어벨트(70)에는 이송모터(도시생략)가 내장된 것을 사용하며, 유압실린더(90)의 후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콘크리트배수로(24)의 측벽(24s)에 고정핀(99)을 설치하여 이 고정핀(99)에 유압실린더(90)의 후단부를 결합한다.
그리고, 승강포크(50)가 상승되어 있을 동안 빗물(W)에 의해 쓸려내려오는 부유쓰레기(B)가 포크수용실(25)을 메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배수로(24)로부터 유입되는 부유쓰레기(B)를 중간에서 임시로 차단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콘크리트배수로(24)의 바닥면(24f)에 일정한 깊이로 움푹하게 파인 형태의 펜스수용실(27)을 형성하고, 이 펜스수용실(27)에 수평하게 눕거나 수직으로 세워지는 기립차단펜스(80)의 좌우측 단부에 중심축(83)(84)을 설치하며, 이 중심축(83)(84)을 지지하기 위한 유닛베어링(85)(86)을 쓰레기배출구(26)의 측벽(24s)(24t)에 설치한다.
또, 기립차단펜스(80)를 유압실린더(90)에 의해 구동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이러한 구성은 기립차단펜스(80)의 일측에 설치된 중심축(83)에 회동암(81)을 고정하고, 쓰레기배출구(26)의 측벽(24s) 외측에 설치된 피봇축(87)에 유압실린더(90)의 후단부를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하며, 유압실린더(90)의 피스톤로드(91)의 단부에 설치된 앵글(92)에 핀(82)을 설치하고, 이 핀(82)을 회동암(81)에 끼워서 유압실린더(90)로부터 출몰하는 피스톤로드(91)의 수축과 신장에 의해 기립차단펜스(80)를 수평하게 눕히거나 수직으로 세울 수 있도록 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00은 컨베이어벨트(70)로부터 배출되는 부유쓰레기(B)를 담기 위한 쓰레기통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3 내지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중호우로 인해 도로로 많은 빗물(W)이 유입되면, 콘크리트배수로(24)를 통해 저류조(22)로 빗물(W)이 흐르게 된다.
이때 빗물(W)이 쓸려서 같이 내려오는 부유쓰레기(B)가 콘크리트배수로(24)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중간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샤프트(31)와 승강스크류(32)(33)에 걸려서 통과하지 못하고 콘크리트배수로(24)의 바닥면(24f)에 형성되어 있는 포크수용실(25)에 있는 승강포크(50) 위에 잔류하여 쌓이게 된다.
이후 승강모터(M1)가 구동되면, 승강모터(M1)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이 베벨기어(37)(38)를 거쳐 일측의 승강스크류(33)로 전달되는 동시에 양측 승강스크류(32)(33)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로킷휠(34)(35)과 체인(36)에 의해 양측의 승강스크류(32)(33)가 동시에 회전된다.
이때 승강스크류(32)(33)에 나사결합되어 있던 이송너트(52)(53)가 상승되면서 이 이송너트(52)(53)에 연결되어 있는 승강포크(50)를 상승시키게 되며, 승강포크(50)의 상승에 의해 승강포크(50) 위에 잔류하고 있던 부유쓰레기(B)가 승강포크(50)와 함께 상승된다.
이와 같이 승강포크(50)가 상승되는 과정에서 회전포크(60)와 승강포크(50)이 간섭을 피하기 위해 회전포크(60)는 미리 하측을 향해 수직으로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포크(50) 상승동작 중에 승강포크(50)와 회전포크(60)의 간섭은 없게 된다.
이후 승강포크(50)가 상승된 후 정지하게 되면, 감속기붙이서보모터(M2)에 의해 회전포크(60)가 상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승강포크(50)의 사이사이를 통과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승강포크(50) 위에 있던 부유쓰레기(B)를 회전포크(60)가 슈트(61)를 향해 떨어뜨리게 된다.
이때 회전포크(60)에 의해 슈트(61)로 떨어진 부유쓰레기(B)는 슈트(61)의 경사면을 타고 미끄러지면서 컨베이어벨트(70) 위로 대부분 떨어지게 되며, 컨베이어벨트(70)로 떨어진 부유쓰레기(B)는 콘크리트배수로(24)의 측벽(24s)에 형성되어 있는 쓰레기배출구(2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승강포크(50)가 상승된 상태에서 부유쓰레기(B)가 포크수용실(25)로 유입되면, 승강포크(50)가 하강될 때 위치결정이 힘들게 될 뿐만 아니라 부유쓰레기(B)가 승강포크(50)의 밑에 위치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승강포크(50)가 상승되기 전 기립차단펜스(80)를 세워서 부유쓰레기(B)를 중간에 임시로 머물도록 한 후 승강포크(50)가 포크수용실(25)로 하강되었을 때 기립차단펜스(80)가 수평하게 된다.
즉, 유압실린더(90)로 피스톤로드(91)가 진입되면서 유압실린더(90)의 전체적인 길이가 수축되면, 피스톤로드(91)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앵글(92)과 핀(82)에 의해 회동암(81)이 상방향으로 회전되고, 동시에 회동암(81)에 고정되어 있는 중심축(84)과 기립차단펜스(80)가 회전되면서 세워지게 된다.
그리고, 승강포크(50)에 있던 부유쓰레기(B)를 컨베이어벨트(70)로 옮긴 회전포크(60)는 승강모터(M1)가 하강될 때 간섭되지 않도록 처음의 위치와 같이 하강방향으로 회전하여 수직으로 위치되어 있게 되며, 이후 승강모터(M1)가 상승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승강포크(50)가 포크수용실(25)로 하강되어 일정한 주기로 작동을 반복하거나 수동조작에 의해 동작하게 된다.
22 : 저류조 W : 빗물
24 : 콘크리트배수로 24f : 바닥면
24s : 측벽 25 : 포크수용실
26 : 쓰레기배출구 27 : 펜스수용실
30 : 사각문틀 31 : 가이드샤프트
32,33 : 승강스크류 34,35 : 스프로킷휠
36 : 체인 37,38 : 베벨기어
50 : 승강포크 51 : 슬라이드부시
52,53 : 이송너트 60 : 회전포크
61 : 슈트 70 : 컨베이어벨트
80 : 기립차단펜스 81 : 회동암
82 : 핀 90 : 유압실린더
M1 : 승강모터 M2 : 감속기붙이서보모터
B : 부유쓰레기

Claims (1)

  1. 도로로 유입된 빗물(W)을 저류조(22)로 안내하기 위한 콘크리트배수로(24)와; 콘크리트배수로(24)의 단부에 설치되는 사각문틀(30)과; 사각문틀(30) 안쪽에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록 수직으로 설치되어 창살의 역할을 겸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샤프트(31)와; 사각문틀(30)의 좌우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승강스크류(32)(33)와; 승강스크류(32)(33)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승강모터(M1)와; 양측 승강스크류(32)(33)의 상단부에 설치된 스프로킷휠(34)(35)에 감겨서 승강스크류(32)(33)를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한 엔드리스 형태의 체인(36)과; 승강모터(M1)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을 승강스크류(32)(33)로 전달하기 위한 베벨기어(37)(38)와; 가이드샤프트(31)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는 슬라이드부시(51)가 후단부에 설치되고 좌우측에는 승강스크류(32)(33)에 결합되어 이송되는 이송너트(52)(53)가 설치되며 콘크리트배수로(24)의 바닥면(24f)에 형성된 포크수용실(25)로부터 소정높이로 승강운동하는 외팔보 형태의 승강포크(50)와; 승강포크(50) 사이사이에 위치되어 승강포크(50)에 의해 상승된 부유쓰레기(B)를 하기의 슈트(61)를 통해 컨베이어벨트(70)로 옮기기 위한 회전포크(60)와; 회전포크(60)로부터 이송되는 부유쓰레기(B)를 하기의 컨베이어벨트(70)로 안내하기 위해 경사진 슈트(61)와; 회전포크(60)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감속기붙이서보모터(M2)와; 슈트(61)로부터 미끄러져 이송된 부유쓰레기(B)를 콘크리트배수로(24)의 측벽(24s)에 형성되어 있는 쓰레기배출구(26)를 통해 외부로 반출하기 위한 컨베이어벨트(70)와; 승강포크(50)의 상승시 콘크리트배수로(24)로부터 유입되는 부유쓰레기(B)를 중간에서 임시로 차단하기 위한 기립차단펜스(80)와; 기립차단펜스(80)의 단부에 고정된 회동암(81)에 핀(82)으로 결합되어 기립차단펜스(80)를 콘크리트배수로(24)의 바닥면(24f)에 형성되어 있는 펜스수용실(27)에 수평하게 위치시키거나 수직으로 세우기 위한 유압실린더(9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빗물 저류조시설.
KR1020120019545A 2012-02-27 2012-02-27 도로용 빗물 저류조시설 KR101170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545A KR101170324B1 (ko) 2012-02-27 2012-02-27 도로용 빗물 저류조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545A KR101170324B1 (ko) 2012-02-27 2012-02-27 도로용 빗물 저류조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0324B1 true KR101170324B1 (ko) 2012-08-09

Family

ID=46880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545A KR101170324B1 (ko) 2012-02-27 2012-02-27 도로용 빗물 저류조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032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775B1 (ko) 2014-03-04 2014-06-17 (주)한도엔지니어링 도로표면의 다기능 배수라인을 갖는 도로구조
CN110454347A (zh) * 2019-08-14 2019-11-15 安徽企路石工程技术开发有限公司 动能回收装置及排水***
CN113101717A (zh) * 2021-04-17 2021-07-13 江苏银中建设有限公司 市政道路下凹绿化带收水净水装置
KR102303697B1 (ko) 2021-01-14 2021-09-17 조정호 빗물순환 포장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레일형 빗물순환 포장 도로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815B1 (ko) 2006-12-15 2010-03-02 기인서 하수 및 배수 처리용 기계식 제진기
KR100949325B1 (ko) 2009-04-17 2010-03-23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저류지 전단 설치용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023537B1 (ko) 2010-11-12 2011-03-21 주식회사 케이앤엠이엔지 빗물 수질개선 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815B1 (ko) 2006-12-15 2010-03-02 기인서 하수 및 배수 처리용 기계식 제진기
KR100949325B1 (ko) 2009-04-17 2010-03-23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저류지 전단 설치용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023537B1 (ko) 2010-11-12 2011-03-21 주식회사 케이앤엠이엔지 빗물 수질개선 처리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775B1 (ko) 2014-03-04 2014-06-17 (주)한도엔지니어링 도로표면의 다기능 배수라인을 갖는 도로구조
CN110454347A (zh) * 2019-08-14 2019-11-15 安徽企路石工程技术开发有限公司 动能回收装置及排水***
KR102303697B1 (ko) 2021-01-14 2021-09-17 조정호 빗물순환 포장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레일형 빗물순환 포장 도로 구조
CN113101717A (zh) * 2021-04-17 2021-07-13 江苏银中建设有限公司 市政道路下凹绿化带收水净水装置
CN113101717B (zh) * 2021-04-17 2021-11-30 江苏银中建设有限公司 市政道路下凹绿化带收水净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1406A (en) Roving bar screen
KR101170324B1 (ko) 도로용 빗물 저류조시설
US9539528B2 (en) Rack and pinion drive for trash rake
CN108930328A (zh) 一种清理雨水管道淤泥的机器人
CN103215933B (zh) 拦污清污装置
CN107649615A (zh) 建筑用钢筋调直切断及除锈装置
KR101538322B1 (ko) 호이스트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용 제진기
KR100980723B1 (ko) 무언체 전도 수문
CN202809580U (zh) 一种拦污清污机构
CN111519735B (zh) 一种给排水工程管道铺设处理施工方法
KR101133073B1 (ko) 제진기
KR101599999B1 (ko) 로터리 제진기
CN117364803A (zh) 一种预防边坡变形的岩土边坡本体加固结构
CN203625951U (zh) 一种削坡机及其削坡主机
CN116837927A (zh) 一种煤矿水仓智能在线清仓***
CN217272339U (zh) 一种给排水管道吊装施工装置
CN216892782U (zh) 水利工程道路排水口防堵装置
CN116201366A (zh) 一种适用于狭窄施工场地的全自动溜槽***
CN210887545U (zh) 一种泵站垃圾打捞的新型装置
CN113356772A (zh) 一种钻/修井作业环保型管杆存储测量***
CN208949951U (zh) 一种河道淤泥清理装置
CN206902015U (zh) 一种环保泥浆回收的容置装置
CN109869263A (zh) 一种用于发电的具有调控和过滤功能的水轮机
CN213836867U (zh) 一种方便使用的灌区泵站蓄水池
CN219548405U (zh) 一种适用于狭窄施工场地的全自动溜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