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895B1 - 삼륜차의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삼륜차의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5895B1
KR101165895B1 KR1020100034704A KR20100034704A KR101165895B1 KR 101165895 B1 KR101165895 B1 KR 101165895B1 KR 1020100034704 A KR1020100034704 A KR 1020100034704A KR 20100034704 A KR20100034704 A KR 20100034704A KR 101165895 B1 KR101165895 B1 KR 101165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cycle
absorber
suspension
shank
ste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5287A (ko
Inventor
진성현
Original Assignee
진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성현 filed Critical 진성현
Priority to KR1020100034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895B1/ko
Publication of KR20110115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8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with steering devices acting on two or mor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5Tricycles characterised by a single rear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1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with means for inwardly inclining the vehicle body on b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2005/001Suspension details for cycles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향 가능한 좌,우 한쌍의 전륜과 후륜이 구비된 삼륜차의 전륜에 각각 상하 수직방향으로 다단 작동하여 완충 및 충격 흡수기능을 하는 쇽크 업소버를 장착시킴으로써 주행시 발생되는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하거나 완충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쇽크 업소버를 좌우 비틀림 등과 같은 변형이나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항상 일정한 위치에 조립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전륜의 휠에 좌우 비틀림 등과 같은 변형이나 편심이 발생되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서 삼륜차에 장착되는 현가장치의 고장 발생을 최소화하여 사용 수명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지 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삼륜차의 현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삼륜차의 현가장치{Suspension appratus of three wheeled vehicle}
본 발명은 삼륜차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향 가능한 좌,우 한쌍의 전륜과 하나의 후륜이 구비된 삼륜차에 장착되는 현가장치에 의해 주행시 효율적인 완충 및 충격 흡수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토바이와 같은 2륜차는 주행중 도로를 회전하여 코너링할 때, 차체와 일치된 운전자의 기울기가 주행 속도와 비례하여 주행 방향의 지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어야만 안전한 코너링을 할 수 있다.
즉, 운전 또는 정지 중 방향 전환기능은 운전자가 방향을 바꾸고자 하는 자세(몸과 일치된 차체기울기 및 차체 기울려 끌기)에 의해서 기능이 실행되고, 회전 반경도 최소화되며, 이러한 이륜차에서 방향 전환을 위한 핸들 조작은 보조 기능 수단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실제로는 차체와 일치된 운전자의 자세가 회전 반경을 결정한다.
그러므로, 좌,우 한쌍의 전륜과 후륜이 구비된 삼륜차(오토바이, 자전거)의 경우에도 노면 조건이나 회전 각도, 주행 속도와 관계없이 2개 전륜은 항상 지면과 접지된 상태에서 이륜차의 장점 기능(운전자와 일치된 자유로운 차체기울기)을 100% 유지할 수 있는 구조가 구비되어 있거나, 사륜차의 조향장치 기능을 100% 적용해야 안전운전이 가능하다.
또한, 자동차와 같은 사륜차는 주행 중 도로를 코너링할 때 차체 무게와 구조 때문에 기계 구조의 기능 속에 기울기(이륜차의 경우 차체와 운전자 자세가 일치된 기울기)의 역할도 포함되어 있다.
즉, 방향 전환 때 회전 반경을 최소화하기 위해 핸들의 조작과 동시에 전륜 회전과 전륜의 기울기 기능을 이행하는 각각의 부품들이 이륜차 운전자의 자세(몸의 기울기) 역할을 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사륜차는 주행시 기계 부품들이 기울기 기능을 이행하는 기술의 구조이고, 이륜차는 주행시 운전자 몸으로 기능을 이행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좌,우 한쌍의 전륜과 후륜이 구비된 삼륜차에 4륜차 기초 기술을 부분적으로 잘못 적용할 경우 기능이 중복되고, 그 구조가 복잡해지며, 제조 원가의 상승을 초래하는 원인이 된다.
종래 좌,우 한쌍의 전륜과 후륜이 구비된 삼륜차는 한국 등록 특허공보 제0340597호, 일본 특허 공개공보 평6-제171569호, 일본 특허 공개공보 소56-제82681호, 일본 특허 공개공보 평1-제229787호가 개시되어 있으나, 공개 특허들의 공통점이 사륜차의 구조를 적용하고 있어 기능이 중복되는 것을 탈피하지 못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삼륜차 중에서 특히 한국 등록 특허공보10-제0340597호의 문제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방향 전환 때 핸들에서 좌,우 전륜으로 전달되는 과정 중 조향축 이후부터 피트맨 아암, 볼조인트, 타이 로드, 너클 아암까지 사륜차의 기초 기술을 적용함에 따라 간접 방식으로 4가지의 불필요한 부품들을 사용해야 하며, 다리 부재와 전륜 지지부재를 결합하기 위해서 조향축의 내부와 동일한 구조물이 좌우에 추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인해 구조가 복잡하고, 무게가 많이 나가 경량화시킬 수 없으며, 제작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차체의 직립 자세유지 기능은 코너링을 오히려 방해하는 역기능을 초래하였다.
즉, 고속 주행이 요구되는 오토바이에 적용할 경우 주행 중 회전할 때 이미 속도 그 자체가 직립 자세유지 기능이 되어 있는데, 기계 장치에 의하여 직립 자세 유지를 가속화시킨다면 차체의 기울기가 힘들어 코너링이 어렵고, 운전자 기능이 발달되었다 할지라도 지면에 돌, 요철 노면 등과 같은 작은 장애물을 넘어가는 순간 기능이 복원되면서 코너링 방향을 잃고 전복 사고를 일으키는 사고 발생의 원인이 되었다. 즉, 4륜차의 기술을 부분적으로 사용하여 너클 아암에 기울기 기능을 넣을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또한, 차체 직립 자세유지 장치는 정지 중 방향 전환(끌고가는 경우)때 차체의 기울기가 운전자의 몸쪽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기울어져 있지 않아 회전 반경을 최소화할 수 없으므로 인해 차체의 기울기를 위해 운전자가 별도의 힘을 가해야 하고, 고속 주행이 요구되는 오토바이는 2개의 전륜에 각각 별도의 충격 흡수장치가 장착되어야 하나 전륜에 별도의 충격 흡수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고, 또한 고속 주행 때 안전한 코너링을 위해서는 차체 기울기가 크게 요구되는데, 상부 링크, 하부 링크, 평행 링크, 타이 로드, 규제 플랜지, 내향 플랜지의 길이와 간격을 크게 해야 하므로 인해 차폭이 넓어지고 경량화에 장애가 되며, 특히 좁은 골목길 등에서는 주행할 수가 없고, 기울기를 제한하면 회전 반경이 늘어나 적용이 불가능한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선행 기술들은 기존의 이륜차 프레임(차대)에 장착할 수가 없고, 구조에 알맞은 별도의 프레임을 제작해야 하므로 인해 일반 저속 자전거에 적용할 경우 고가의 제품이 될 수밖에 없고, 오토바이에는 강성과 기능 부족의 한계로 현재까지 크게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사륜차의 기술을 기초로 하여 역 삼륜차의 현가장치 및 조향장치 기능 등을 실현하려 했기에 발생되는 문제점들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조향 가능한 좌,우 한쌍의 전륜과 후륜이 구비된 삼륜차의 전륜에 각각 상하 수직방향으로 다단 작동하여 완충 및 충격 흡수기능을 하는 쇽크 업소버를 장착시켜 주행시 완충 및 충격 흡수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쇽크 업소버를 좌우 비틀림 등과 같은 변형이나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항상 일정한 위치에 조립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륜의 휠에 좌우 비틀림 등과 같은 변형이나 편심이 발생되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삼륜차의 현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조향 가능한 좌,우 한쌍의 전륜과 후륜이 구비된 삼륜차의 현가 장치에 있어서, 한 쌍의 전륜의 내측에 각각 장착되어 주행시 상하 수직방향으로 다단 작동하여 완충 및 충격 흡수기능을 하기 위한 쇽크 업소버와, 상기 쇽크 업소버가 항상 일정한 위치에 조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토인 셋팅수단과, 상기 각각의 전륜의 휠에 변형 또는 편심이 발생되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변형 방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변형 방지수단으로 각각의 쇽크 업소버의 외측 케이스에는 각각의 링크 부재의 단부가 지지 볼트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감싼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링크 부재 내부의 체결 부재 양단에는 볼베어링이 장착되어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삼륜차의 현가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토인 셋팅수단은 쇽크 업소버의 상단과 지지 부재의 하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단차진 요철 고정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쇽크 업소버는 텔레스코픽 댐퍼 타입인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토인 셋팅수단은 쇽크 업소버의 상단에 형성되는 요입 고정홈과 지지 부재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요입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호 결합되는 돌출 고정편으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향 가능한 좌,우 한쌍의 전륜과 후륜이 구비된 삼륜차의 전륜에 각각 상하 수직방향으로 다단 작동하여 완충 및 충격 흡수기능을 하는 쇽크 업소버를 장착시킴으로써 주행시 발생되는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하거나 완충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텔레스코픽 쇽크 업소버를 좌우 비틀림 등과 같은 변형이나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항상 일정한 위치에 조립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전륜의 휠에 좌우 비틀림 등과 같은 변형이나 편심이 발생되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서 삼륜차에 장착되는 현가장치의 고장 발생을 최소화하여 사용 수명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지 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등의 많은 장점이 구비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전륜이 구비된 삼륜차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요부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스템과 장착 부품들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조향부재를 각각 나타낸 평면도와 종단면도 및 정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쇽크 업소버와 지지 부재의 조립 상태를 각각 나타낸 정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차체 기울기 제어시 레버 홀더의 작동 상태를 각각 나타낸 종단면도 및 측면도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록킹 샤프트와 스톱퍼의 정면도 및 작동 블록을 각각 나타낸 종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삼륜차의 단차 및 기울기 주행 상태를 각각 나타낸 정면도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삼륜차의 핸들조작 상태를 좌,우 각각 나타낸 평면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전륜이 구비된 삼륜차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요부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스템과 장착 부품들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조향부재를 각각 나타낸 평면도와 종단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쇽크 업소버와 지지 부재의 조립 상태를 각각 나타낸 정면도이다.
또한,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차체 기울기 제어시 레버 홀더의 작동 상태를 각각 나타낸 종단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록킹 샤프트와 스톱퍼의 정면도 및 작동 블록을 각각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삼륜차의 단차 및 기울기 주행 상태를 각각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삼륜차의 핸들조작 상태를 좌,우 각각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삼륜차의 프레임(=차대)(1)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티어링 스템(10)의 전방에 조향부재 장착부(32)가 형성되며, 상기 스티어링 스템(10)의 후방에는 핸들(20)이 장착되는 핸들 장착축(30)이 조향부재 장착부(32)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핸들 장착축(30)의 상단에는 상기 스티어링 스템(10)의 조향부재 장착부(32)와 핸들 장착축(30)을 상호 지지하기 위해 고정 홀더(40)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공(42)이 삽입되며, 상기 고정 홀더(40)의 타단은 상기 조향부재 장착부(32)의 상단에 볼트 등에 의해 체결된다.
또한, 한 쌍의 전륜(50)의 내측에 각각 장착되어 주행시 상하 수직방향으로 다단 작동하여 완충 및 충격 흡수기능을 하는 텔레스코픽 댐퍼(telescopic dampers) 타입의 쇽크 업소버(60) 상단에는 각각 지지 부재(70)가 삽입되어 볼트 등에 의해 체결되고, 이 각각의 지지 부재(70) 타단의 상부 및 하부에는 고정 힌지편(72)이 전방 및 후방 양쪽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쇽크 업소버(60)가 항상 일정한 위치에 조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토인(Toe-in) 셋팅수단으로 상기 쇽크 업소버(60)의 상단과 지지 부재(70)의 하단에는 각각 상호 결합되는 단차진 요철 고정홈(62)(74)을 형성시키거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쇽크 업소버(60)의 상단에 요입 고정홈(64)을 형성시키고, 상기 지지 부재(70)의 하단에는 상기 요입 고정홈(64)에 삽입되어 상호 결합되는 돌출 고정편(76)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쇽크 업소버(60)의 외측 케이스(52)에는 주행시 상기 전륜(50)의 휠(54)에 좌우 비틀림 등과 같은 변형이나 편심 등이 발생되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변형 방지수단으로 복수개의 링크 부재(140)가 결합 수단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감싼 형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결합 수단은 각각의 링크 부재(140)의 단부에 결합되는 지지 볼트(150)와, 상기 각각의 쇽크 업소버(60)의 외측 케이스(52)와 링크 부재(140) 내부의 체결 부재 양단에 장착되는 볼베어링(12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향부재 장착부(32) 전방 중앙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기 핸들(20)의 조작에 따라 좌,우로 회전하면서 한 쌍의 전륜(50)의 회전 방향을 연동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 부재(70)가 삽입되어 상부 전방과 후방 조향부재(80)(90) 및 하부 조향부재(100)와 함께 관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데, 이 하부 조향부재(100)의 양측에는 안내 장홈(106)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전방과 후방 조향부재(80)(90) 및 하부 조향부재(100)의 중앙에는 각각 제 1 체결공(82)(92)(102)이 형성되어 체결 부재(110)가 이 각각의 제 1 체결공(82)(92)(102)을 관통하여 상기 조향부재 장착부(32)의 전면 중앙에 설치된 제 1,2 체결부(33)(34)에 체결되고, 상기 체결 부재(110) 양단의 제 1 체결공(82)(92)(102) 내부에는 상부 전방과 후방 조향부재(80)(90) 및 하부 조향부재(100)의 원활한 회동과 강성을 위한 볼베어링(120) 및 테이퍼 롤러 베어링(122)이 압입된다.
또한, 상기 상부 전방과 후방 조향부재(80)(90) 및 하부 조향부재(100)의 단부에는 각각 상기 지지 부재(70) 타단의 상부 및 하부에 전방 및 후방 양쪽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 힌지편(72)이 삽입 고정되는 제 2 체결공(84)(94)(104)이 형성되어 체결 부재(112)가 이 각각의 제 2 체결공(84)(94)(104)을 관통하여 체결되고, 상기 체결 부재(112) 양단의 제 2 체결공(84)(94)(104) 내부에는 상부 전방과 후방 조향부재(80)(90) 및 하부 조향부재(100)의 회동을 원활하게 안내하기 위한 볼베어링(120)이 압입된다.
또한, 상기 상부 전방과 후방 조향부재(80)(90)의 양단 및 하부 조향부재(100)의 양단에는 각각 상부 전방과 후방 조향부재(80)(90) 및 하부 조향부재(100)의 강도를 보강하여 이탈이 방지되도록 지지하기 위한 보강 브라켓(130)이 볼트 등에 의해 체결된다.
또한, 차체 기울기 제어수단으로 상기 핸들(20) 일단의 하부에는 브레이크 레버(16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브레이크 레버(160)를 장착시키기 위한 레버 홀더(162)의 내부에 형성된 삽입공(164)에는 상기 브레이크 레버(160)를 당기고 있거나 당긴 후 삽입공(164)의 위쪽 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록킹되고 록킹된 상태에서 브레이크 레버(160)를 당겼다 놓았을 때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록킹 해제되는 록킹 샤프트(166)가 삽입되며, 상기 스티어링 스템(10)의 조향부재 장착부(32) 일측면에는 상기 브레이크 레버(160)를 당김에 따라 가압하여 작동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마스터 실린더(170)가 볼트 등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스티어링 스템(10)의 조향부재 장착부(32) 하단에는 상기 마스터 실린더(170)를 통해 공급되는 작동 유체에 의해 내부의 브레이크 패드를 밀어 상기 하부 조향부재(100)의 하단에 설치된 브레이크 디스크(180)를 압착하여 제동시키기 위한 캘리퍼(calliper; 19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 전방과 후방 조향부재(80)(90)의 상단 중앙에는 차체 기울기 잠금 및 해제수단이 장착되는데, 이 차체 기울기 잠금 및 해제수단으로 상기 상부 전방과 후방 조향부재(80)(90)의 상단 중앙에는 매입형태로 작동 블록(200)이 장착되고, 이 작동 블록(200)의 정면 중앙에는 관통공(202)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 블록(200)의 상부에는 삽입공(204)이 형성되고, 이 삽입공(204)과 대향되는 상기 작동 블록(200) 내의 하단에는 안착홈(206)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 블록(200)의 관통공(202)에는 외주면에 고정홈(214)이 요입 형성되고 이 고정홈(214)의 후방에 써클립(212)이 삽입되어 차체의 직립자세 유지시 단부가 상기 스티어링 스템(10)의 고정홈(12)에 삽입됨에 따라 스티어링 스템(10)을 고정시키기 위한 록킹 샤프트(210)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 블록(200) 상부의 삽입공(204)에는 차체의 직립자세 유지를 해제시키기 위한 리턴 버튼(220)이 돌출되어 삽입되며, 상기 작동 블록(200)의 안착홈(206)에는 제 1 스프링(230)이 설치되고, 상기 작동 블록(200) 내의 리턴 버튼(220) 하단과 제 1 스프링(230)의 상단 사이에는 상기 록킹 샤프트(210)가 관통하는 통공(242)이 형성된 스톱퍼(240)가 삽입되며, 이 스톱퍼(240) 후방의 상기 작동 블록(200)의 관통공(202) 내부에는 상기 록킹 샤프트(210)가 관통하고 써클립(212)에 지지되는 제 2 스프링(250)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향 가능한 좌,우 한쌍의 전륜과 하나의 후륜이 구비된 삼륜차의 현가장치는 도 1 내지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전륜(50)의 내측에 각각 텔레스코픽 댐퍼 타입의 쇽크 업소버(60)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주행시 상기 쇽크 업소버(60)가 상하 수직방향으로 다단 작동함으로써 미세한 충격도 완충 및 충격 흡수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쇽크 업소버(60) 상단에는 각각 지지 부재(70)가 삽입되어 볼트 등에 의해 체결되는데, 이때 전륜을 약간 안쪽으로 향하게 하는 토인 셋팅수단으로 도 7a와 같이 상기 쇽크 업소버(60)의 상단과 지지 부재(70)의 하단에는 각각 상호 견고한 상태로 결합시키기 위한 단차진 요철 고정홈(62)(7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쇽크 업소버(60)를 항상 일정한 위치에 조립시킬 수 있어서 쇽크 업소버(60)의 좌우 비틀림 등과 같은 변형이나 유동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토인 셋팅수단으로 도 7b와 같이 상기 쇽크 업소버(60)의 상단에 요입 고정홈(64)을 형성시키고, 상기 지지 부재(70)의 하단에는 상기 요입 고정홈(64)에 삽입되어 상호 결합되는 돌출 고정편(76)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그 외에 다른 토인 셋팅수단을 적용할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쇽크 업소버(60)의 외측 케이스(52)에는 각각의 링크 부재(140)의 단부가 지지 볼트(15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감싼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쇽크 업소버(60)의 외측 케이스(52)와 링크 부재(140) 내부의 체결부재 양단에는 볼베어링(120)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각각의 쇽크 업소버(60)의 작동시 링크 부재(140)의 안내에 따라 상하 수직 작동하므로 주행시 상기 전륜(50)의 휠(54)에 좌우 비틀림 등과 같은 변형이나 편심이 발생되는 현상을 사전에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 프레임 10; 스티어링 스템
12; 고정홈 20; 핸들
30; 핸들 장착축 32; 조향부재 장착부
33; 제 1 체결부 34; 제 2 체결부
40; 고정 홀더 42; 고정공
50; 전륜 52; 외측 케이스
54; 휠 60; 쇽크 업소버
62,74; 요철 고정홈 64; 요입 고정홈
70; 지지 부재 72; 고정 힌지편
76; 돌출 고정편 80; 상부 전방 조향부재
90; 상부 후방 조향부재 100; 하부 조향부재
82,92,102; 제 1 체결공 84,94,104; 제 2 체결공
106; 안내 장홈 110,112; 체결 부재
120; 볼베어링 122; 테이퍼 롤러 베어링
130; 보강 브라켓 140; 링크 부재
150; 지지 볼트 160; 브레이크 레버
162; 레버 홀더 164; 삽입공
166; 록킹 샤프트 170; 마스터 실린더
180; 브레이크 디스크 190; 캘리퍼
200; 작동 블록 202; 관통공
204; 삽입공 206; 안착홈
210; 록킹 샤프트 212; 써클립
214; 고정홈 220; 리터 버튼
230; 제 1 스프링 240; 스톱퍼
242; 통공 250; 제 2 스프링

Claims (4)

  1. 조향 가능한 좌,우 한쌍의 전륜과 후륜이 구비된 삼륜차의 현가 장치에 있어서,
    한 쌍의 전륜(50)의 내측에 각각 장착되어 주행시 상하 수직방향으로 다단 작동하여 완충 및 충격 흡수기능을 하기 위한 쇽크 업소버(60)와, 상기 쇽크 업소버(60)가 항상 일정한 위치에 조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토인 셋팅수단과, 상기 각각의 전륜(50)의 휠(54)에 변형 또는 편심이 발생되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변형 방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변형 방지수단으로 각각의 쇽크 업소버(60)의 외측 케이스(52)에는 각각의 링크 부재(140)의 단부가 지지 볼트(15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감싼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링크 부재(140) 내부의 체결 부재 양단에는 볼베어링(120)이 장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차의 현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인 셋팅수단은 쇽크 업소버(60)의 상단과 지지 부재(70)의 하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단차진 요철 고정홈(62)(74)으로 구성되고, 상기 쇽크 업소버(60)는 텔레스코픽 댐퍼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차의 현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인 셋팅수단은 쇽크 업소버(60)의 상단에 형성되는 요입 고정홈(64)과 지지 부재(70)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요입 고정홈(64)에 삽입되어 상호 결합되는 돌출 고정편(7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차의 현가장치.
  4. 삭제
KR1020100034704A 2010-04-15 2010-04-15 삼륜차의 현가장치 KR101165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704A KR101165895B1 (ko) 2010-04-15 2010-04-15 삼륜차의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704A KR101165895B1 (ko) 2010-04-15 2010-04-15 삼륜차의 현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287A KR20110115287A (ko) 2011-10-21
KR101165895B1 true KR101165895B1 (ko) 2012-07-13

Family

ID=45029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704A KR101165895B1 (ko) 2010-04-15 2010-04-15 삼륜차의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58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600124367A1 (it) * 2016-12-07 2018-06-07 Piaggio & C Spa Gruppo sospensione per motoveicolo, gruppo ruota per motoveicolo, avantreno di motoveicolo e relativo motoveicolo
CN106808944A (zh) * 2017-01-19 2017-06-09 戴亦飞 童车避震装置
JP7253987B2 (ja) 2019-06-19 2023-04-07 カワサキモータース株式会社 リーン型車両及び車両用リーンユニット
CN110562370A (zh) * 2019-08-09 2019-12-13 吕榕志 倒三轮的前双轮自回正平衡总成摇臂版可变形装置
IT201900015482A1 (it) * 2019-09-03 2021-03-03 Pulsar Srl Veicolo, in particolare di tipo ciclistico, in special modo sottoforma di una bicicletta
JP7463097B2 (ja) 2019-12-26 2024-04-08 カワサキモータース株式会社 リーン型車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3740A (ja) 2004-01-05 2005-07-21 Yoshiyuki Nakazawa 多用途の三輪車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3740A (ja) 2004-01-05 2005-07-21 Yoshiyuki Nakazawa 多用途の三輪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287A (ko) 201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7091B2 (en) Leaning vehicle
KR101165895B1 (ko) 삼륜차의 현가장치
US7900943B2 (en) Constant velocity joint rear wheel suspension system for all-terrain vehicle
JP2008168893A (ja) 2つのステアリング用前輪及び少なくとも1つの駆動後輪を備えたローリング車両
KR101165894B1 (ko) 삼륜차의 차체 기울기 제동장치
IL260228A (en) Front cart of rolling motor vehicle
JP5122538B2 (ja) 三輪車
WO2021131703A1 (ja) リーン型車両
JP5122537B2 (ja) 前輪操舵装置及び三輪車
WO2021131708A1 (ja) リーン型車両
JP5222249B2 (ja) 三輪車
WO2021131101A1 (ja) リーン型車両
KR102277250B1 (ko) 역삼륜 전동스쿠터용 조향 현가장치
KR101182878B1 (ko) 삼륜차의 조향장치
JP2004168072A (ja) 前二輪三輪車とそれに用いるフロントフレーム
GB2382806A (en) Three-wheeled vehicle
JP7357419B1 (ja) スイング機能付き車両
KR102651830B1 (ko) 자전거 서스펜션 포크
CN215475564U (zh) 骑行机动车安全减震前叉
JP7042534B1 (ja) 自転車
US20240132178A1 (en) Fork arch
CN108657318B (zh) 辅助支撑装置和两轮车及侧倾助力方法
JPH1059254A (ja) 揺動式3輪車の牽引構造
JPH01148685A (ja) 自動二輪車の後輪支持装置
WO2004045941A1 (ja) 前二輪式三輪車とこれに用いるフロントフレ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