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8362B1 - 세포 환경 내에서의 단일 분자 수준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 - Google Patents

세포 환경 내에서의 단일 분자 수준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8362B1
KR101158362B1 KR1020110088062A KR20110088062A KR101158362B1 KR 101158362 B1 KR101158362 B1 KR 101158362B1 KR 1020110088062 A KR1020110088062 A KR 1020110088062A KR 20110088062 A KR20110088062 A KR 20110088062A KR 101158362 B1 KR101158362 B1 KR 101158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substrate
interaction
analyzing
cell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태영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PCT/KR2012/00307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2144859A2/ko
Priority to CN201610239561.6A priority patent/CN105928915B/zh
Priority to CN201280026166.XA priority patent/CN103608677B/zh
Priority to EP12774021.5A priority patent/EP2700947B1/en
Priority to JP2014506337A priority patent/JP5903486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362B1/ko
Priority to US14/059,349 priority patent/US9423400B2/en
Priority to JP2015248664A priority patent/JP6258915B2/ja
Priority to US15/211,096 priority patent/US9733255B2/en
Priority to US15/642,427 priority patent/US9964544B2/en
Priority to JP2017234865A priority patent/JP6543681B2/ja
Priority to US15/945,890 priority patent/US1040136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28Measuring fluorescence of fluorescent products of reactions or of fluorochrome labelled reactive substances, e.g. measuring quenching effects, using measuring "optr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86Measuring fluorescence of biological material, e.g. DNA, RNA,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1Production of immunochemical test materials
    • G01N33/532Production of labelled immunochemicals
    • G01N33/533Production of labelled immunochemicals with fluorescent labe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03General methods of protein analysis not limited to specific proteins or families of proteins
    • G01N33/6845Methods of identifying protein-protein interactions in protein mix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021/7769Measurement method of reaction-produced change in sensor
    • G01N2021/7786Fluoresce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5Specially adapted constructive features of fluorimeters
    • G01N21/6456Spatial resolved fluorescence measurements; Imaging
    • G01N21/6458Fluorescence microscop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5Specially adapted constructive features of fluorimeters
    • G01N21/648Specially adapted constructive features of fluorimeters using evanescent coupling or surface plasmon coupling for the excitation of fluoresce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Onc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단일 분자 수준까지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제1 단백질에 구비된 제1 표지자와 결합되는 생체 분자체가 부착된 기판에 제1 단백질을 공급하여 제1 표지자와 생체 분자체의 결합을 유도하고, 제1 표지자와 생체 분자체가 결합된 경우에, 제2 표지자가 구비된 제2 단백질이 포함된 세포의 세포 용액을 기판에 공급하며, 세포 용액이 기판에 공급된 상태에서, 제1 단백질과 제2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제1 분석값을 획득하고, 제1 표지자와 생체 분자체가 결합된 상태의 기판과 동일한 기판에 세포 용액과 분석 대상 세포 용액을 혼합한 혼합 세포 용액을 공급하며, 혼합 세포 용액이 기판에 공급된 상태에서, 제1 단백질과 제2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제2 분석값을 획득하고, 제1 분석값과 제2 분석값을 비교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제 세포 환경 내에서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을 단일 분자 수준까지 분석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실제 세포 환경 내에서 다른 단백질이 관여된 경우에 특정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에 대한 영향도를 분석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세포 환경 내에서의 단일 분자 수준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Method for analyzing single protein-protein interactions in whole cell lysates}
본 발명은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제 세포 환경 내에서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을 단일 분자 수준까지 분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 세포 환경 내에서 다른 단백질이 관여된 경우에 특정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에 대한 영향도를 분석할 수 있는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포는 다양하고 복잡한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을 통하여 유전자 표현, 세포성장, 세포 주기, 대사, 신호전달 등의 여러 생물학적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생명현상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세포내에서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및 상호작용의 기능을 이해하는 것은 생명현상들을 이해하는 초석이 되며 신약개발 및 질병 치료의 중요한 기반이 된다.
시험관 내에서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을 조사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친화성 크로마토 그래피(affinity chromoatography) 방법이 있다.
단백질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Protein affinity chromatography)의 경우, 정제된 단백질이 준비되어야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단백질 간 상호작용 확인이 시험관 내에서 일어나므로, 세포내에서는 상호작용하지 않는 단백질들이 컬럼을 통과하는 동안 정전기적 상호작용에 의하여 결합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는 false-positive 결과를 도출 할 수 있다.
즉, 정량적 측정을 위해서 종래 기술에 따른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을 조사하기 위한 방법은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해서 세포 내에 존재하는 각각의 단백질을 정제하여 이들을 세포 내의 다른 물질들과 분리한 상태에서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때문에, 다른 단백질 등이 혼재되어 있는 실제 세포 환경 내에서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을 단일 분자 수준에서 분석할 수는 없다는 한계가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에 따른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을 조사하기 위한 방법은 실제 세포 환경 내에서 기타의 다른 단백질이 관여된 경우에 특정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에 대한 영향도를 분석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제 세포 환경 내에서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을 단일 분자 수준까지 분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 세포 환경 내에서 다른 단백질이 관여된 경우에 특정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에 대한 영향도를 분석할 수 있는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은, 제1 단백질과 제2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단일 분자 수준까지 분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1 단백질에 구비된 제1 표지자와 결합되는 생체 분자체가 부착된 기판에 상기 제1 단백질을 공급하여 상기 제1 표지자와 상기 생체 분자체의 결합을 유도하는 단계; (b) 상기 제1 표지자와 상기 생체 분자체가 결합된 경우에, 제2 표지자가 구비된 제2 단백질이 포함된 세포의 세포 용액을 상기 기판에 공급하는 단계; 및 (c) 상기 세포 용액이 상기 기판에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단백질과 상기 제2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은, 제1 단백질과 제2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단일 분자 수준까지 분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1 단백질이 결합되는 생체 분자체인 제1 단백질 결합 분자체가 부착된 기판에 상기 제1 단백질을 공급하여 상기 제1 단백질과 상기 제1 단백질 결합 분자체의 결합을 유도하는 단계; (b) 상기 제1 단백질과 상기 제1 단백질 결합 분자체가 결합된 경우에, 표지자가 구비된 제2 단백질이 포함된 세포의 세포 용액을 상기 기판에 공급하는 단계; 및 (c) 상기 세포 용액이 상기 기판에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단백질과 상기 제2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1 단백질과 결합된 상기 제2 단백질에 구비된 표지자에 의해 발생하는 특정 파장의 형광 신호를 근접장을 발생시키는 광학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특정 파장의 형광 신호를 소정의 시간 동안 적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기판에 상기 공급된 세포 용액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상기 특정 파장의 형광 신호를 실시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1 단백질이 포함된 세포의 세포 용액을 상기 기판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 단계 이전에, 상기 기판에 버퍼 용액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표지자, 및 상기 제2 표지자는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 형광 단백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은, 제1 단백질과 제2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단일 분자 수준까지 분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1 단백질에 구비된 제1 표지자와 결합되는 생체 분자체가 부착된 기판에 상기 제1 단백질을 공급하여 상기 제1 표지자와 상기 생체 분자체의 결합을 유도하는 단계; (b) 상기 제1 표지자와 상기 생체 분자체가 결합된 경우에, 제2 표지자가 구비된 제2 단백질이 포함된 세포의 세포 용액을 상기 기판에 공급하는 단계; (c) 상기 세포 용액이 상기 기판에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단백질과 상기 제2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제1 분석값을 획득하는 단계; (d) 상기 (a) 단계에서의 상기 제1 표지자와 상기 생체 분자체가 결합된 상태의 기판과 동일한 기판에 상기 (b) 단계에서의 상기 세포 용액과 분석 대상 세포 용액을 혼합한 혼합 세포 용액을 공급하는 단계; (e) 상기 혼합 세포 용액이 상기 기판에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단백질과 상기 제2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제2 분석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1 분석값과 상기 제2 분석값을 비교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은, 제1 단백질과 제2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단일 분자 수준까지 분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1 단백질이 결합되는 생체 분자체인 제1 단백질 결합 분자체가 부착된 기판에 상기 제1 단백질을 공급하여 상기 제1 단백질과 상기 제1 단백질 결합 분자체의 결합을 유도하는 단계; (b) 상기 제1 단백질과 상기 제1 단백질 결합 분자체가 결합된 경우에, 표지자가 구비된 제2 단백질이 포함된 세포의 세포 용액을 상기 기판에 공급하는 단계; 및 (c) 상기 세포 용액이 상기 기판에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단백질과 상기 제2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제1 분석값을 획득하는 단계; (d) 상기 (a) 단계에서의 상기 제1 단백질과 상기 제1 단백질 결합 분자체가 결합된 기판과 동일한 기판에 상기 (b) 단계에서의 상기 세포 용액과 분석 대상 세포 용액을 혼합한 혼합 세포 용액을 공급하는 단계; (e) 상기 혼합 세포 용액이 상기 기판에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단백질과 상기 제2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제2 분석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1 분석값과 상기 제2 분석값을 비교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1 단백질과 결합된 상기 제2 단백질에 구비된 표지자에 의해 발생하는 특정 파장의 형광 신호를 근접장을 발생시키는 광학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특정 파장의 형광 신호를 소정의 시간 동안 적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기판에 상기 공급된 세포 용액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상기 특정 파장의 형광 신호를 실시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1 단백질이 포함된 세포의 세포 용액을 상기 기판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 단계 이전에, 상기 기판에 버퍼 용액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표지자, 및 상기 제2 표지자는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 형광 단백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제 세포 환경 내에서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을 단일 분자 수준까지 분석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실제 세포 환경 내에서 다른 단백질이 관여된 경우에 특정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에 대한 영향도를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의 각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분석자는 특정한 두 개의 단백질인 제1 단백질과 제2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단일 분자 수준까지 분석하기 위해서, 세포 상태에서 유전자 조작 과정을 거쳐 해당 세포 내에 존재하는 제1 단백질에 표지자로서 제1 형광 단백질이 발현되도록 한다(S110).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제1 형광 단백질을 물리 화학적인 방법에 의해서 제1 단백질에 부착 또는 연결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험에 있어서, 제1 단백질은 h-Ras 단백질이고, 제2 단백질은 C-Raf의 Ras-binding domain(RBD) 단백질이며, 제1 형광 단백질은 m-Cherry 단백질로 하였다.
그 다음 분석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glycol:PEG) 코팅처리된 퀄츠 슬라이드(Quartz Slide)인 기판에, 전술한 S110 단계에서 제1 단백질에 표지자로서 발현된 제1 형광 단백질과 결합되는 항체인 제1 형광 단백질 결합항체를 도 2에서와 같이 부착한다(S120).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제1 형광 단백질과 결합하는 항체에는, 항체 이외에도 DNA, RNA, 단백질과 결합하는 특정 성분을 갖는 리포좀(liposome) 등의 제1 형광 단백질과 결합하는 생체 분자체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 다음, 분석자는 전술한 S110 단계에서 준비해 놓은, 내부의 제1 단백질에 제1 형광 단백질이 발현되어 있는 세포의 세포질 원액을 기판에 공급함으로써(S130), 제1 단백질에 발현된 제1 형광 단백질과 제1 형광 단백질 결합항체의 결합을 유도한다(S140).
한편, 전술한 S130 단계를 실시함에 있어서 세포질 원액뿐만 아니라, 세포 원액, 희석된 세포질 원액, 또는 희석된 세포 원액 등의 세포 용액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에서와 같이, 기판상에 부착된 제1 형광 단백질 결합항체와 제1 형광 단백질이 결합된 경우에 분석자가 전반사 현미경을 이용한 기판의 표면 관찰을 수행하면, 분석자는 제1 형광 단백질에 의한 파장 변화로부터(즉, 제1 형광 단백질로부터 발생하는 개개의 단분자 신호를 측정하여) 기판상에 부착된 복수개의 제1 형광 단백질 결합항체에 제1 형광 단백질이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기판에 부착된 항체와의 결합을 위해 제1 단백질에 발현된 소정의 단백질은 반드시 형광 단백질일 필요는 없을 것이나, 형광 단백질이 아닌 경우에는 항체와의 결합여부를 전반사 현미경을 통해 파악할 수 없는 관계로 제1 단백질에 발현된 단백질은 형광 단백질이 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의 제1 단백질에 발현된 소정의 단백질은 기판에 부착된 항체와의 결합을 하는 항원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제1 단백질에 부착된 소정의 항원은 반드시 단백질일 필요는 없으며, 항체와의 결합이 가능한 화합물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제1 단백질에 발현된 단백질이 형광 단백질이 형광 단백질인 경우에는 항체와의 결합여부를 전반사 현미경을 통해 파악할 수 있으므로, 기판에 부착된 항체와 결합된 형광 단백질의 개수 및 그에 따른 결합 밀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기판상에 부착된 복수개의 제1 형광 단백질 결합항체에 각각 제1 형광 단백질이 결합된 것으로 확인되면, 분석자는 기판에 버퍼 용액을 공급함으로써, 제1 형광 단백질이 발현된 제1 단백질을 제외한 세포질 원액에 포함되어 있는 나머지 물질들을 기판상에서 제거하게 된다(S150).
그 다음, 분석자는 전술한 S110 단계에서의 세포와 동일한 다른 세포에서 해당 세포에 존재하는 제2 단백질에 유전자 조작을 통해 표지자로서 제2 형광 단백질이 발현되도록 한다(S160).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제2 형광 단백질을 물리 화학적인 방법에 의해서 제2 단백질에 부착 또는 연결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S160 단계는 원활한 분석의 진행을 위해 전술한 S110 단계와 함께 미리 실행할 수도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제2 형광 단백질은 제1 형광 단백질과 다른 파장역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제1 형광 단백질이 m-Cherry 단백질인 경우에 제2 형광 단백질은 녹색형광 단백질인 eGFP(enhanced Green Fluorescent Protein)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 다음, 분석자는 전술한 S160 단계에서의 내부의 제2 단백질에 제2 형광 단백질이 발현되어 있는 세포의 세포질 원액 전체를 기판에 공급한다(S170).
한편, 전술한 S170 단계를 실시함에 있어서 세포질 원액뿐만 아니라, 세포 원액, 희석된 세포질 원액, 또는 희석된 세포 원액 등의 세포 용액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기판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1 형광 단백질 결합항체에는 각각 제1 형광 단백질을 통해 제1 단백질이 결합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기판의 표면에 제2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는 세포질 원액 전체가 공급되면, 기판 표면의 제1 단백질은 세포질 원액에 포함되어 있는 제2 단백질 및 세포 내의 다른 단백질들(Native proteins in whole cell lysate)이 공존하는 세포내 환경에서와 동일한 상태에서 제2 단백질과 상호 작용을 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서와 같이 기판 표면상에 부착된 각각의 항체에 제1 형광 단백질을 통해 결합되어 있는 각각의 제1 단백질은 제2 단백질과 세포내 환경에서와 동일한 상태에서 단일 분자 수준에서 결합과 분리를 반복하는 상호 작용을 하게 된다.
도 4에서와 같이 제1 단백질과 제2 단백질 간의 단일 분자 수준에서의 결합이 있는 경우에 분석자가 473nm의 파장을 갖는 전반사 현미경 등의 근접장을 발생시키는 광학 장치를 통해 기판의 표면을 관찰하면, 제2 단백질에 발현되어 있는 제2 형광 단백질인 eGFP에 의해, 기판 표면에서의 파장이 473nm에서 520nm로 변화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제1 단백질과 제2 단백질 간의 결합을 통해 기판 표면에 위치하게 된 제2 형광 단백질(eGFP)로부터 발생되는 특정 파장대역(520nm)의 형광 신호의 검출을 통해 제1 단백질과 제 2단백질의 결합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고, 분석자는 기판 표면상에 부착된 각각의 항체에서의 파장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찰함으로써, 제1 단백질과 제2 단백질의 결합과 분리의 빈도 등의 상호작용을 단분자 수준에서 분석할 수 있게 된다(S180).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S170 단계에서 기판에 공급된 세포질 원액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특정 파장의 형광 신호를 실시간 측정함으로써 제1 단백질과 제2 단백질의 결합과 분리의 빈도 등의 상호작용을 세포 환경과 동일한 환경에서 분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1 단백질과 결합되지 않은 제2 단백질도 기판에 공급된 세포질 원액 내에서 부유이동하는 과정에서, 기판 표면 근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전반사 현미경을 통한 표면 관찰시 제2 단백질에 발현되어 있는 제2 형광 단백질인 eGFP에 의해, 기판 표면에서의 파장이 473nm에서 520nm로 변화하게 됨으로써, 상호작용 분석의 오류를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제기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전반사 현미경을 통해 기판 표면에서의 파장 변화를 측정하는 경우에 파장 변화를 소정의 시간 동안 적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1 단백질과 결합되지 않고 세포질 원액 내를 부유하는 제2 단백질은 세포질 원액내에서의 이동속도가 대단히 빠르므로, 제2 단백질이 부유 이동 중에 일시적으로 기판 표면에 접근하였더라도 적분 측정의 시간 구간 내에서 다시 기판 표면으로부터 이탈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제2 단백질을 제1 단백질과 결합되지 않도록 처리함으로써, 제1 단백질과 결합되는 제2 단백질이 없이 모든 제2 단백질이 세포질 원액내를 부유 이동하게 되는 상태에서 기판 표면에서의 파장 변화를 50msec의 적분 구간으로 적분 측정한 결과, 파장 변화가 전혀 관측되지 않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전술한 S180 단계에서의 단백질-단백질 상호 작용 분석값을 제1 분석값으로 확보하고, 후술하는 다른 환경에서의 단백질-단백질 상호 작용 분석값을 제2 분석값으로 확보하여 양자의 비교 분석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시험자는 전술한 S180 단계에서의 상호 작용 분석값을 제1 분석값으로 확보한 후에, 전술한 S110 단계 내지 S160 단계까지를 동일하게 반복하여 실시한다.
한편, 시험자는 전술한 S170 단계를 실행함에 있어서, 전술한 S160 단계에서 내부의 제2 단백질에 제2 형광 단백질이 발현되어 있는 세포의 세포질 원액을 기판에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세포의 세포질 원액과 암세포 등의 별도의 분석 대상 세포질 원액을 혼합한 혼합 세포질 원액을 기판에 공급하게 된다(S190).
한편, 전술한 S190 단계를 실시함에 있어서 혼합 세포질 원액뿐만 아니라, 혼합 세포 원액, 희석된 혼합 세포질 원액, 또는 희석된 혼합 세포 원액 등의 혼합 세포 용액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기판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1 형광 단백질 결합항체에는 각각 제1 형광 단백질을 통해 제1 단백질이 결합되어 있으며, 제2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는 세포질 원액과 분석 대상 세포질 원액을 혼합한 혼합 세포질 원액이 기판의 표면에 공급되면, 기판 표면의 제1 단백질은 혼합 세포질 원액에 포함되어 있는 제2 형광 단백질이 발현되어 있는 제2 단백질 뿐만 아니라, 분석 대상 세포 내의 제2 형광 단백질이 발현되어 있지 않은 제2 단백질 및 기타의 다른 단백질들(Native proteins in whole cell lysate)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제2 단백질과 상호 작용을 하게 된다.
즉, 전술한 S180 단계에서와는 달리, 제2 형광 단백질이 발현되어 있는 제2 단백질은 분석 대상 세포 내의 제2 형광 단백질이 발현되어 있지 않은 제2 단백질과 공존하는 상태에서 기판 표면의 제1 단백질과 경쟁적으로 상호 작용을 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분석 대상 세포 내의 다른 단백질에 의해 제2 형광 단백질이 발현되어 있는 제2 단백질은 제1 단백질과의 상호 작용에 있어 영향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은 분석 대상 세포 내의 다른 단백질 또는 분석 대상 세포 내의 제2 단백질에 의한 영향의 정도는, 시험자가 전술한 S180 단계에서와 같이 전반사 현미경 등의 근접장을 발생시키는 광학 장치를 통해 기판의 표면을 관찰하여, 기판 표면의 제1 단백질과 제2 형광 단백질이 발현되어 있는 제2 단백질의 결합과 분리의 빈도 등의 상호작용을 단분자 수준에서 분석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게 된다(S195).
보다 구체적으로, 시험자는 상술한 제1 분석값과 전술한 S195 단계에서의 분석값인 제2 분석값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제2 단백질의 제1 단백질과의 상호 작용에 있어서의 다른 세포 내의 제2 단백질 및 다른 세포 내의 기타의 단백질에 의한 상호 작용의 촉진 또는 방해 등의 영향 정도를 분석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5에서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제1 단백질에 제1 형광 단백질을 발현시키지 않고, 기판에 제1 형광 단백질 결합항체가 아니라, 제1 단백질 결합항체를 부착함으로써 제1 단백질이 기판에 부착된 항체에 직접 결합된 상태에서의 제1 단백질과 제2 단백질과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분석자는 특정한 두 개의 단백질인 제1 단백질과 제2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단일 분자 수준에서 분석하기 위해서,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glycol:PEG) 코팅처리된 퀄츠 슬라이드(Quartz Slide)인 기판에, 제1 단백질과 결합되는 항체인 제1 단백질 결합항체를 같이 부착한다(S210).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제1 단백질과 결합하는 항체에는, 항체 이외에도 DNA, RNA, 단백질과 결합하는 특정 성분을 갖는 리포좀(liposome) 등의 제1 단백질과 결합하는 생체 분자체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 다음, 분석자는 제1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는 세포의 세포질 원액을 기판에 공급함으로써(S220), 제1 단백질과 제1 단백질 결합항체의 결합을 유도한다(S230).
한편, 전술한 S220 단계를 실시함에 있어서 세포질 원액뿐만 아니라, 세포 원액, 희석된 세포질 원액, 또는 희석된 세포 원액 등의 세포 용액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분석자는 제1 단백질에 m-Cherry 등의 소정의 형광 단백질이 발현되도록 사전 처리할 수 있을 것이며, 이 경우에 제1 단백질 결합항체와 제1 단백질이 결합된 경우에 분석자가 전반사 현미경을 이용한 기판의 표면 관찰을 수행하면, 분석자는 제1 단백질에 발현되어 있는 제1 형광 단백질에 의한 파장 변화로부터 기판상에 부착된 복수개의 제1 단백질 결합항체에 제1 단백질이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기판상에 부착된 복수개의 제1 단백질 결합항체에 각각 제1 단백질이 결합된 것으로 확인되면, 분석자는 기판에 버퍼 용액을 공급함으로써, 제1 단백질을 제외한 세포질 원액에 포함되어 있는 나머지 물질들을 기판상에서 제거하게 된다(S240).
그 다음, 분석자는 전술한 세포와 동일한 다른 세포에서 해당 세포에 존재하는 제2 단백질에 유전자 조작을 통해 형광 단백질이 발현되도록 조작한다(S250).
한편, 전술한 S250 단계는 원활한 분석의 진행을 위해 전술한 S210 단계 이전에 미리 실행할 수도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제2 단백질에 발현되는 형광 단백질 또한 eGFP로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 다음, 분석자는 전술한 S250 단계에서의, 내부의 제2 단백질에 형광 단백질이 발현되어 있는 세포의 세포질 원액 전체를 기판에 공급한다(S260).
한편, 전술한 S260 단계를 실시함에 있어서 세포질 원액뿐만 아니라, 세포 원액, 희석된 세포질 원액, 또는 희석된 세포 원액 등의 세포 용액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기판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1 단백질 결합항체에는 각각 제1 단백질이 결합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기판의 표면에 제2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는 세포질 원액 전체가 공급되면, 기판 표면의 제1 단백질은 세포질 원액에 포함되어 있는 제2 단백질과 세포내 환경에서와 동일한 상태에서 상호 작용을 하게 된다.
즉, 기판 표면상에 부착된 각각의 항체에 결합되어 있는 각각의 제1 단백질은 제2 단백질과 세포내 환경에서와 동일한 상태에서 단일 분자 수준에서 결합과 분리를 반복하는 상호 작용을 하게 된다.
제1 단백질과 제2 단백질 간의 단일 분자 수준에서의 결합이 있는 경우에 분석자가 473nm의 파장을 갖는 전반사 현미경을 통해 기판의 표면을 관찰하면, 제2 단백질에 발현되어 있는 형광 단백질인 eGFP에 의해, 기판 표면에서의 파장이 473nm에서 520nm로 변화하게 되며, 이와 같은 파장의 변화를 통해 제1 단백질과 제 2단백질의 결합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고, 분석자는 기판 표면상에 부착된 각각의 항체에서의 파장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찰함으로써, 제1 단백질과 제2 단백질의 결합과 분리의 빈도 등의 상호작용을 단분자 수준에서 분석할 수 있게 된다(S270).
아울러, 도 5에서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을 실시함에 있어서도, 전술한 S270 단계에서의 단백질-단백질 상호 작용 분석값을 제1 분석값으로 확보하고, 후술하는 다른 환경에서의 단백질-단백질 상호 작용 분석값을 제2 분석값으로 확보하여 양자의 비교 분석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시험자는 전술한 S270 단계에서의 상호 작용 분석값을 제1 분석값으로 확보한 후에, 전술한 S210 단계 내지 S250 단계까지를 동일하게 반복하여 실시한다.
한편, 시험자는 전술한 S260 단계를 실햄함에 있어서, 전술한 S250 단계에서 내부의 제2 단백질에 제2 형광 단백질이 발현되어 있는 세포의 세포질 원액을 기판에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세포의 세포질 원액과 암세포 등의 별도의 분석 대상 세포질 원액을 혼합한 혼합 세포질 원액을 기판에 공급하게 된다(S280).
한편, 전술한 S280 단계를 실시함에 있어서 혼합 세포질 원액뿐만 아니라, 혼합 세포 원액, 희석된 혼합 세포질 원액, 또는 희석된 혼합 세포 원액 등의 혼합 세포 용액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기판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1 단백질 결합항체에는 각각 제1 단백질이 결합되어 있으며, 제2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는 세포질 원액과 분석 대상 세포질 원액을 혼합한 혼합 세포질 원액이 기판의 표면에 공급되면, 기판 표면의 제1 단백질은 혼합 세포질 원액에 포함되어 있는 제2 형광 단백질이 발현되어 있는 제2 단백질뿐만 아니라, 분석 대상 세포 내의 제2 형광 단백질이 발현되어 있지 않은 제2 단백질 및 기타의 다른 단백질들(Native proteins in whole cell lysate)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제2 단백질과 상호 작용을 하게 된다.
즉, 전술한 S270 단계에서와는 달리, 제2 형광 단백질이 발현되어 있는 제2 단백질은 분석 대상 세포 내의 제2 형광 단백질이 발현되어 있지 않은 제2 단백질과 공존하는 상태에서 기판 표면의 제1 단백질과 경쟁적으로 상호 작용을 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분석 대상 세포 내의 다른 단백질에 의해 제2 형광 단백질이 발현되어 있는 제2 단백질은 제1 단백질과의 상호 작용에 있어 영향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은 분석 대상 세포 내의 다른 단백질 또는 분석 대상 세포 내의 제2 단백질에 의한 영향의 정도는, 시험자가 전술한 S270 단계에서와 같이 전반사 현미경 등의 근접장을 발생시키는 광학 장치를 통해 기판의 표면을 관찰하여, 기판 표면의 제1 단백질과 제2 형광 단백질이 발현되어 있는 제2 단백질의 결합과 분리의 빈도 등의 상호작용을 단분자 수준에서 분석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게 된다(S290).
보다 구체적으로, 시험자는 상술한 제1 분석값과 전술한 S290 단계에서의 분석값인 제2 분석값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제2 단백질의 제1 단백질과의 상호 작용에 있어서의 다른 세포 내의 제2 단백질 및 다른 세포 내의 기타의 단백질에 의한 상호 작용의 촉진 또는 방해 등의 영향 정도를 분석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 단백질과 제2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단일 분자 수준까지 분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1 단백질에 구비된 제1 표지자와 결합되는 생체 분자체가 부착된 기판에 상기 제1 단백질을 공급하여 상기 제1 표지자와 상기 생체 분자체의 결합을 유도하는 단계;
    (b) 상기 제1 표지자와 상기 생체 분자체가 결합된 경우에, 제2 표지자가 구비된 제2 단백질이 포함된 세포의 세포 용액을 상기 기판에 공급하는 단계;
    (c) 상기 세포 용액이 상기 기판에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단백질과 상기 제2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제1 분석값을 획득하는 단계;
    (d) 상기 (a) 단계에서의 상기 제1 표지자와 상기 생체 분자체가 결합된 상태의 기판과 동일한 기판에 상기 (b) 단계에서의 상기 세포 용액과 분석 대상 세포 용액을 혼합한 혼합 세포 용액을 공급하는 단계;
    (e) 상기 혼합 세포 용액이 상기 기판에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단백질과 상기 제2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제2 분석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1 분석값과 상기 제2 분석값을 비교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
  10. 제1 단백질과 제2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단일 분자 수준까지 분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1 단백질이 결합되는 생체 분자체인 제1 단백질 결합 분자체가 부착된 기판에 상기 제1 단백질을 공급하여 상기 제1 단백질과 상기 제1 단백질 결합 분자체의 결합을 유도하는 단계;
    (b) 상기 제1 단백질과 상기 제1 단백질 결합 분자체가 결합된 경우에, 표지자가 구비된 제2 단백질이 포함된 세포의 세포 용액을 상기 기판에 공급하는 단계; 및
    (c) 상기 세포 용액이 상기 기판에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단백질과 상기 제2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제1 분석값을 획득하는 단계;
    (d) 상기 (a) 단계에서의 상기 제1 단백질과 상기 제1 단백질 결합 분자체가 결합된 기판과 동일한 기판에 상기 (b) 단계에서의 상기 세포 용액과 분석 대상 세포 용액을 혼합한 혼합 세포 용액을 공급하는 단계;
    (e) 상기 혼합 세포 용액이 상기 기판에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단백질과 상기 제2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제2 분석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1 분석값과 상기 제2 분석값을 비교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1 단백질과 결합된 상기 제2 단백질에 구비된 표지자에 의해 발생하는 특정 파장의 형광 신호를 근접장을 발생시키는 광학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특정 파장의 형광 신호를 소정의 시간 동안 적분 측정하는 것인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기판에 상기 공급된 세포 용액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상기 특정 파장의 형광 신호를 실시간 측정하는 것인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
  14.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1 단백질이 포함된 세포의 세포 용액을 상기 기판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전에,
    상기 기판에 버퍼 용액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지자, 및 상기 제2 표지자는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 형광 단백질인 것인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

KR1020110088062A 2011-04-20 2011-08-31 세포 환경 내에서의 단일 분자 수준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 KR101158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239561.6A CN105928915B (zh) 2011-04-20 2012-04-20 在单分子水平上在细胞环境中分析蛋白-蛋白相互作用的方法和装置
CN201280026166.XA CN103608677B (zh) 2011-04-20 2012-04-20 在单分子水平上在细胞环境中分析蛋白-蛋白相互作用的方法和装置
EP12774021.5A EP2700947B1 (en) 2011-04-20 2012-04-20 Method for analyzing protein-protein interaction on single-molecule level within the cellular environment
JP2014506337A JP5903486B2 (ja) 2011-04-20 2012-04-20 細胞環境内でのタンパク質−タンパク質相互作用分析方法及び装置
PCT/KR2012/003077 WO2012144859A2 (ko) 2011-04-20 2012-04-20 세포 환경 내에서의 단일 분자 수준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 및 장치
US14/059,349 US9423400B2 (en) 2011-04-20 2013-10-21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protein-protein interaction on single-molecule level within the cellular environment
JP2015248664A JP6258915B2 (ja) 2011-04-20 2015-12-21 細胞環境内での単一分子レベルにおけるタンパク質−タンパク質相互作用分析方法及び装置
US15/211,096 US9733255B2 (en) 2011-04-20 2016-07-15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protein-protein interaction on single-molecule level within the cellular environment
US15/642,427 US9964544B2 (en) 2011-04-20 2017-07-06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protein-protein interaction on single-molecule level within the cellular environment
JP2017234865A JP6543681B2 (ja) 2011-04-20 2017-12-07 細胞環境内での単一分子レベルにおけるタンパク質−タンパク質相互作用分析方法及び装置
US15/945,890 US10401367B2 (en) 2011-04-20 2018-04-05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protein-protein interaction on single molecule level within the cellular environ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942 2011-04-20
KR20110036942 2011-04-2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326A Division KR101249456B1 (ko) 2011-04-20 2012-02-07 세포 환경 내에서의 단일 분자 수준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8362B1 true KR101158362B1 (ko) 2012-06-22

Family

ID=46689228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062A KR101158362B1 (ko) 2011-04-20 2011-08-31 세포 환경 내에서의 단일 분자 수준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
KR1020110088084A KR101167649B1 (ko) 2011-04-20 2011-08-31 세포 환경 내에서의 단일 분자 수준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장치
KR1020110120653A KR101162919B1 (ko) 2011-04-20 2011-11-18 세포 환경 내에서의 단일 분자 수준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 및 세포 용액에서의 활성화된 단백질 농도 측정 방법
KR1020120012326A KR101249456B1 (ko) 2011-04-20 2012-02-07 세포 환경 내에서의 단일 분자 수준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
KR1020120045529A KR101339819B1 (ko) 2011-04-20 2012-04-30 세포 환경 내에서의 단일 분자 수준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 및 세포 용액에서의 활성화된 단백질 농도 측정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084A KR101167649B1 (ko) 2011-04-20 2011-08-31 세포 환경 내에서의 단일 분자 수준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장치
KR1020110120653A KR101162919B1 (ko) 2011-04-20 2011-11-18 세포 환경 내에서의 단일 분자 수준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 및 세포 용액에서의 활성화된 단백질 농도 측정 방법
KR1020120012326A KR101249456B1 (ko) 2011-04-20 2012-02-07 세포 환경 내에서의 단일 분자 수준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
KR1020120045529A KR101339819B1 (ko) 2011-04-20 2012-04-30 세포 환경 내에서의 단일 분자 수준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 및 세포 용액에서의 활성화된 단백질 농도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6) US9377462B2 (ko)
EP (2) EP2700947B1 (ko)
JP (4) JP5767746B2 (ko)
KR (5) KR101158362B1 (ko)
CN (3) CN103582817B (ko)
WO (2) WO201214486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362B1 (ko) 2011-04-20 2012-06-22 한국과학기술원 세포 환경 내에서의 단일 분자 수준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
CN112557301A (zh) * 2012-07-25 2021-03-26 赛拉诺斯知识产权有限责任公司 生物学样本的图像分析及测量
KR101415166B1 (ko) * 2013-06-05 2014-07-07 한국과학기술원 전반사 형광 시스템에 사용하는 비특이적 결합방지 기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일 분자 수준의 분석 시스템
KR101527797B1 (ko) * 2014-06-03 2015-06-15 한국과학기술원 신호전달경로의 활성화 상태 분석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개인 맞춤형 치료제의 선정방법
KR20180117529A (ko) 2017-04-19 2018-10-29 주식회사 프로티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에 의한 약물 반응성 예측 방법
CN108195801B (zh) * 2017-11-17 2020-11-24 北京林业大学 单分子水平观测气孔保卫细胞膜蛋白分布和动态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7274A (ja) * 2004-03-09 2005-09-22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近接場光を用いた生体分子の相互作用の検出方法および検出装置
KR100845139B1 (ko) * 2006-12-13 2008-07-0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측정을 위한 실시간 이중 색상분석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486A (ja) 1982-06-29 1984-01-10 ヤマハ株式会社 自動リズム演奏装置
CA2142197C (en) 1992-08-12 2004-06-22 Masakazu Kobayashi Monoclonal antibody recognizing fk506-binding protein method for assaying fk506-binding protein level, and kit therefor
DE19548028A1 (de) * 1995-12-21 1997-06-26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ynthetischen Kalibrators für den Einsatz in Sandwich-Immunoassays, bestehend aus einem Antikörper gegen einen der im Assay benutzten Antikörper und einer Sequenz des Analyten
DE19631395A1 (de) * 1996-08-02 1998-02-05 Basf Ag Verfahren zum Wirkstoff-Screening
US6406921B1 (en) * 1998-07-14 2002-06-18 Zyomyx, Incorporated Protein arrays for high-throughput screening
US20030186311A1 (en) * 1999-05-21 2003-10-02 Bioforce Nanosciences, Inc. Parallel analysis of molecular interactions
JP4845073B2 (ja) * 1999-07-30 2011-12-28 全国農業協同組合連合会 再構築受精卵の作製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トランスジェニック胚の作製方法
AU2001233276A1 (en) * 2000-02-03 2001-08-14 Immunomatrix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transduction pathway profiling
JP2001242116A (ja) 2000-03-02 2001-09-07 Fuji Photo Film Co Ltd タンパクチップおよびタンパク質の検出方法
JP2002253240A (ja) * 2001-02-27 2002-09-10 Gencom Co 分子間の相互作用の分析方法
US20050182242A1 (en) * 2001-05-11 2005-08-18 Michael Snyder Global analysis of protein activities using proteome chips
KR100455762B1 (ko) 2001-11-29 2004-11-06 네오바이오다임 주식회사 아사이알로당단백질 수용체 재조합 단백질을 이용한 아사이알로당단백질의 농도 측정방법
JP2003294631A (ja) 2002-03-29 2003-10-15 Olympus Optical Co Ltd エバネッセント照明を用いる分子蛍光解析方法
JP2004012176A (ja) * 2002-06-04 2004-01-15 Hitachi Software Eng Co Ltd 蛋白質検出方法
KR100523212B1 (ko) * 2003-01-04 2005-10-24 한국과학기술원 반응 단백질과 그의 기질 펩타이드간의 반응분석을 위한단백질 칩
GB0314980D0 (en) * 2003-06-26 2003-07-30 Babraham Inst Methods for identifying compounds
KR100567768B1 (ko) 2003-09-04 2006-04-0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시료 중 재조합 단백질의 농도를 정량적으로 측정 가능한 바이오칩과 그를 이용한 측정 방법
EP1759186A4 (en) * 2004-03-17 2009-02-11 Univ Hawaii SENSOR CONSTRUCTIONS AND DETECTION METHODS THEREFOR
WO2006107864A1 (en) * 2005-04-04 2006-10-12 Blueshift Biotechnologies, Inc. Screening using polarization anisotropy in fret emissions
KR100886312B1 (ko) 2006-01-20 2009-03-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백질-단백질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방법
JP5303448B2 (ja) * 2006-03-13 2013-10-02 ボード オブ トラスティーズ オブ ザ レランド スタンフォード ジュニア ユニバーシティ 親和性が減少した酵素の相補性レポーター系を用いた分子相互作用の検出
KR100783670B1 (ko) * 2006-05-22 2007-12-07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도메인 단백질을 이용한 생리활성물질의 검색 방법
KR20070114660A (ko) * 2006-05-29 2007-12-0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lk1 기반 단백질칩, 이를 이용한 항암물질의 초고속스크리닝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얻어진 항암물질
KR100815504B1 (ko) 2006-09-12 2008-03-20 (주) 디지탈바이오텍 혈액 내 트렌스티레틴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하여 알츠하이머병을 진단하기 위한 혈액용 진단키트
JP2008082715A (ja) * 2006-09-26 2008-04-10 Fujifilm Corp 特定物質と相互作用するペプチド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KR100741160B1 (ko) 2006-10-11 2007-07-2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백질 나노어레이 상에서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의고성능 분석법
CN101303354A (zh) * 2006-12-08 2008-11-12 中国科学院上海微***与信息技术研究所 表面等离子体共振的生物传感器的生物芯片、制备及应用
JP4702298B2 (ja) * 2007-01-31 2011-06-15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生体分子の解析方法
KR100908641B1 (ko) 2007-03-20 2009-07-2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칩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경쟁적 상호작용을 이용한 비표지혈액 단백질의 분석방법
CN101105493B (zh) * 2007-06-27 2011-06-22 中国人民解放军军事医学科学院放射与辐射医学研究所 基于蛋白芯片的免疫共沉淀检测蛋白相互作用的方法以及一种蛋白相互作用检测试剂盒
EP2245462B1 (en) * 2008-01-22 2017-05-31 Koninklijke Philips N.V. Detection of target components with the help of indicator particles
US8586316B2 (en) * 2008-02-07 2013-11-19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Methods for detecting molecule-molecule interactions with a single detection channel
WO2010123608A2 (en) * 2009-01-29 2010-10-2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 spatial biomarker of disease and detection of spatial organization of cellular recptors
KR20100012714A (ko) 2008-07-29 2010-02-08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Rna 분자와 단백질 사이의 상호작용을 조절하는 물질을동정하기 위한 분석 방법
JP5628793B2 (ja) * 2009-03-31 2014-11-1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生物学的試料中の物質を検出する方法
GB0912231D0 (en) 2009-07-14 2009-08-26 Imp Innovation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 analyte parameter
KR101235978B1 (ko) 2010-01-28 2013-02-21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 주조용 몰드의 용강 유동 측정장치
KR101158362B1 (ko) * 2011-04-20 2012-06-22 한국과학기술원 세포 환경 내에서의 단일 분자 수준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7274A (ja) * 2004-03-09 2005-09-22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近接場光を用いた生体分子の相互作用の検出方法および検出装置
KR100845139B1 (ko) * 2006-12-13 2008-07-0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측정을 위한 실시간 이중 색상분석방법 및 그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emistry & Biology. 2001 *
chemistry & Biology. 200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44861A3 (ko) 2013-03-07
JP2014512537A (ja) 2014-05-22
JP2018059942A (ja) 2018-04-12
US20160327566A1 (en) 2016-11-10
CN105928915A (zh) 2016-09-07
KR20120119989A (ko) 2012-11-01
US20140113309A1 (en) 2014-04-24
EP2700947B1 (en) 2020-06-03
US10401367B2 (en) 2019-09-03
KR101249456B1 (ko) 2013-04-03
US9377462B2 (en) 2016-06-28
WO2012144859A2 (ko) 2012-10-26
EP2700947A4 (en) 2015-01-07
JP2014514569A (ja) 2014-06-19
WO2012144859A3 (ko) 2013-03-21
US9733255B2 (en) 2017-08-15
US20170299603A1 (en) 2017-10-19
EP2700950A2 (en) 2014-02-26
KR101167649B1 (ko) 2012-07-20
JP2016105094A (ja) 2016-06-09
US9964544B2 (en) 2018-05-08
US20160266139A1 (en) 2016-09-15
EP2700947A2 (en) 2014-02-26
JP6258915B2 (ja) 2018-01-10
CN103608677A (zh) 2014-02-26
US9739785B2 (en) 2017-08-22
US20140113307A1 (en) 2014-04-24
CN103582817A (zh) 2014-02-12
WO2012144859A9 (ko) 2013-01-31
WO2012144861A2 (ko) 2012-10-26
CN103582817B (zh) 2016-02-10
US20180284127A1 (en) 2018-10-04
JP5903486B2 (ja) 2016-04-13
KR20120120092A (ko) 2012-11-01
JP5767746B2 (ja) 2015-08-19
KR101162919B1 (ko) 2012-07-05
CN103608677B (zh) 2016-09-07
CN105928915B (zh) 2019-05-28
US9423400B2 (en) 2016-08-23
KR101339819B1 (ko) 2013-12-10
JP6543681B2 (ja) 2019-07-10
EP2700950A4 (en) 2015-01-07
EP2700950B1 (en) 202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5363B1 (ko) 세포 환경 내에서의 단일 분자 수준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장치
KR101158362B1 (ko) 세포 환경 내에서의 단일 분자 수준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방법
JP4511363B2 (ja) 相互作用する分子を検出するためのfretプローブおよび方法
JP2009271087A (ja) レセプターオリゴマー形成の検出
Kodadek Chemical tools to monitor and manipulate the adaptive immune system
CN110382439A (zh) 多级样品回收***
JP2005207823A (ja) 蛍光分光分析の方法
CN110366677A (zh) 为数字测定使用横向照明的光学成像***
JP4684915B2 (ja) 生体分子の親和性解析装置及び該装置を使用する生体分子間の親和性を解析する方法
KR101191793B1 (ko) 세포질 원액에서의 단백질 농도 측정 방법
JP2010104297A (ja) siRNAによるRNA切断反応の検出方法
Tia Microfluidic Frameworks for Immunoanalysis of Multiple Protei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8